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BUYagra avatar
BUYagra
BUYagra avatar
BUYagra
时间范围
浏览量

引用

帖子
隐藏转发
25.02.202510:08
#HD현대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IR 내용중..

⛴️⛴️⛴️미국 특수선 조선소 인수 가시화

- HD현대중공업, 그룹차원에서는 특수선 관련 직접 주도하고 있고 HD현대중공업이 사업 영위할것이나 그룹차원에서 미국 조선소 인수시 분산 투자 가능성 있음 (HD한국조선해양 공동투자)
- HD그룹, '24년 한화가 필라델피아 조선소 인수하기 전부터 미국내 8개 조선소 검토 완료. 특수선 조선소 관련 미국 뿐 아니라 미국 타지역까지 검토를 끝냈음
- 내부적으로는 인수 해놓고 기다리는것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많다는 판단으로 당장 서두를 필요 없다는 결론이었으나
이미 투자 검토를 다 마쳤고 미국과 협상 이후 바로 인수 가능한 상태. 즉, 인수 의지는 매우 높고 미국 정부와의 협상 이후 대응하자는 그룹사의 의견
- 인수후 건조 인력 투입등을 고려해 인력을 HD현대중공업을 위주로 인력 확대하고 있음: 인수의지 확인
- 매각 대상인 미국 8개 조선소, 미국 특수선 신조발주 당장 늘어나는것 없고 여전히 자본 잠식 상태로 검토 당시의 가격과 트럼픔 당선이후 가격 크게 변동 없음. 다른 국가 조선소 진입 가능성도 낮아서 인수하게 된다면 가격에 대한 부담은 없을 것으로 보임




https://t.me/psychotherapy101
25.02.202508:32
2025.02.25 17:31:10
기업명: HD한국조선해양(시가총액: 15조 8,178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교환사채권발행결정)

발행금액 : 6,000억(전체대비 : 1.95%)
발행방법 : 사모
교환가액 : 346,705원(현재가 : 223,500원)
표면이율 : 0.0%
만기이율 : 0.0%

납입일자 : 2025-03-28
교환시작 : 2025-03-31
교환종료 : 2030-02-28

* 투자자
파이프솔루션 유한회사
NH투자증권
큐브피앤아이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00468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9540
25.02.202508:11
#카페24 OP 2개 분기 연속 서프라이즈
-GMV, 영업수익 증가도 놀랍지만
-OPM 확대 되는거 되는거 보면 레버리지 구간인가봄? wow
25.02.202507:55
2025.02.25 16:42:00
기업명: 산일전기(시가총액: 2조 672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GE VERNOVA (GE Power Conversion India Pvt. Ltd.)
계약내용 : ( 기타 판매ㆍ공급계약 ) BESS용 변압기 공급
공급지역 : 미국
계약금액 : 208억

계약시작 : 2025-02-24
계약종료 : 2025-09-08
계약기간 : 6개월
매출대비 : 9.70%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800942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0620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2040
24.02.202523:55
#조선

### 아시아 조선업 시장 요약 (J.P. Morgan 보고서)

#### 1. 조선업 주요 동향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관행 조사**가 글로벌 무역 구조를 변화시킬 가능성.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이제 막 투자 사이클 시작.
- LNG 운반선 투자 증가 전망, 미국 에너지 투자 확대가 주요 동력.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제약.

#### 2.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 미국이 중국 조선업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 달러의 입항 수수료 부과 가능.
- 중국은 글로벌 조선 시장 점유율 70% 차지, 컨테이너선 건조의 70%를 담당.
- 한국 조선소 수주 비중 증가, 2025년 초 글로벌 신규 수주의 62%를 차지.

#### 3. 조선업 발주 및 가격 동향
- 글로벌 조선 수주잔량 1억 5400만 CGT, 선박 노후화로 인한 갱신 수요 증가.
- 컨테이너선 발주량 정점 도달, 벌크선 및 탱커선은 성장 초기 단계.
- LNG 운반선 수요 증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가속화.
- 선가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제한으로 인해 신조선 가격 지수 전년 대비 4% 상승.

#### 4. 주요 기업 평가
##### 1) 양쯔강 조선 (YZJ)
- 컨테이너선 의존도 높아 향후 성장 둔화 예상, 투자 의견 "중립(Neutral)"으로 하향.
- 신규 발주 정점 도달, 수주잔량 감소 가능성.
- 2024년 주가 100% 상승, 차익 실현 권고.

##### 2) 현대중공업 (HD Hyundai Heavy)
- 한국 조선업 성장 주도, LNG 운반선과 친환경 선박 주문 증가.
-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 3) COSCO SHIPPING
- 아시아 최대 컨테이너 해운사, 트랜스퍼시픽 및 아시아-유럽 항로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
- 친환경 선박 투자, 선단 갱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추진.

#### 5. 친환경 선박 및 연료 전환
- 대체 연료 선박 비중 증가, 2025년 2월 기준 전체 선박 중 8%가 친환경 연료 대응 가능.
- LNG와 메탄올 선박 확대, 글로벌 선사들이 신조 발주 시 친환경 연료 대응 선박을 우선 고려.
- IMO(국제해사기구) 목표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 압박 증가, 2030년까지 20%, 2040년까지 80% 감축 목표.

#### 6.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능성, 글로벌 해운 및 조선업 비용 상승 예상.
- 벌크선 및 탱커선 발주 증가, 조선업체들의 새로운 성장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조선소 용량 부족으로 공급 조절 예상.
- 친환경 선박 및 LNG 운반선 투자 증가, 한국 조선소의 경쟁력 강화 요인.
- 세계 경제 둔화 시 조선업 수요 위축 가능성, 선박 발주 감소 및 조선업체 실적 악화 가능성.

### 결론
- 컨테이너선 발주 정점 도달, 벌크선과 탱커선 시장이 새로운 성장 사이클 진입.
- LNG 운반선 및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 한국 조선소에 유리한 시장 환경 조성.
- 미국의 중국 조선업 규제 강화 가능성, 한국 조선업체들의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
- 조선 가격 상승 지속 전망, 제한된 조선소 용량으로 인해 가격 강세 유지 가능.
24.02.202514:04
#tesla 회사 자체도 Elon 없이 자율주행중..인듯🫣
25.02.202509:54
#로봇

"휴머노이드는 제2전기차"…테슬라·현대차·BYD, 660억弗 시장 격돌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587421
25.02.202508:31
한화엔진 생산설비투자 공시

한화엔진이
중장기 생산능력 확보 목적으로
설비투자에 나섭니다.
매년 Capex를 하고 있지만
이번 금액이 공시 기준에 부합해서
따로 공시하게 된 건입니다.

가장 큰 목적은
시운전 설비를 갖추는 것입니다.
1) 고압 가스(LNG)
2) 암모니아
테스트 베드를 넓히려는 목적의
투자입니다.

Dual Fuel 엔진을
최종 인도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병목은
시운전에서 생겨납니다.
투자를 통해 이를 해소하게 되는데
연간 저속엔진 생산 capa(130대)가
실제 늘어나게 될 전망입니다.

4Q24 프리뷰 리포트를 통해
한화엔진의 수량 효과는
2024년 부로 마무리되었고
2025년 부터는
인도하는 엔진의 가격 효과만
발생할 것이라고 언급드린 바 있습니다.

추정치를 일부 상향해야 할 이슈이며
구체적인 회사의 소통을 반영해서
리포팅하겠습니다.
25.02.202508:02
#카페24
25.02.202507:55
카페24 4Q24 실적발표 자료
24.02.202522:12
미국증시 나스닥 반등에 실패

-S&P500 -0.5%, Nasdaq -1.2%, DJIA +0.08%

-TD코웬의 MSFT AI서버 임대 취소 확인 소식으로 AI견인 했던 테크장 급락: Palantir -10.5%, Nvidia -3%, MSFT -1%, Meta -2.2%
-Apple +0.6%, 향후 4년간 미국내 AI투자에 $500bn 투자 발표에도 시장 못 들어올림🤔

-트럼프 멕시코와 캐나다향 관세 추진 압박
-스테그플레이션 나레티브 상승중 (BoA)

-방어주인 음식료 업체들 반등: Campbell’s +3%, Kraft Heinz +2.5%, General Mills +2.2%
-Berkshire Hathaway +4%, 지난분기 이익 증가
-중국ETF들도 급락

-Hims & Hers Health 시간외 -18%, 지난분기 실적 GPM 77% vs. consensus 78.4% 기대치 하회

📉📉📉📉📉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24.02.202514:02
테슬라, 중국에서 오랫동안 기다려온 FSD 기능 출시 준비 중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중국 도로에서 FSD(완전 자율 주행) 기능을 운영하기 위한 규제 승인을 추진 중이며, 올해 내로 시스템을 중국에서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aze Fan 기자에 따르면, 테슬라는 중국 고객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준비 중이며, 이 업데이트를 통해 미국에서 제공 중인 FSD(완전 자율 주행) 기능과 유사한 운전자 지원 기능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익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며칠 내로 배포될 예정인 이 업데이트는 테슬라 차량 소유자가 도심 도로에서도 운전자 보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테슬라는 고객들에게 다음과 같은 기능을 안내할 계획입니다:

출구 램프 및 교차로에서 차량 주행 가이드
교통 신호 인식
회전 기능 지원
차선 변경 및 속도 조절 기능

이러한 기능은 테슬라가 아직 공식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 발표 이후 제공될 예정입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2-24/tesla-prepares-to-deploy-long-awaited-fsd-features-in-china?srnd=homepage-americas
25.02.202508:19
🔺#한화엔진 - 신규 시설투자는 좀 많이 서프라이즈인데?

-2월 중순에 미팅했을때 CAPA확대 없다고 했었는데.. 오호!
-(기존 CAPA 관련 내용) 저속엔진 기준으로 130대 유지/ 고출력 엔진 라인 확대하여 마력 기준 CAPA확대 효과 기대
25.02.202507:56
ohhh noooo...
25.02.202506:13
24.02.202514:01
#elonstop 하.. 너무 아슬아슬 하잖아..
25.02.202508:15
2025.02.25 17:08:54
기업명: 한화엔진(시가총액: 1조 9,735억)
보고서명: 신규시설투자등

*투자구분 및 목적
- 신규시설투자 / 선박엔진 생산설비 신설
- 중장기 생산능력 확보

투자금액 : 802억
자본대비 : 25.64%

투자시작 : 2025-02-25
투자종료 : 2026-09-30
투자기간 : 1.6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8010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2740
25.02.202507:55
2025.02.25 16:42:15
기업명: 실리콘투(시가총액: 2조 1,196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735억(예상치 : 1,939억)
영업익 : 260억(예상치 : 393억)
순이익 : 339억(예상치 : 294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735억/ 260억/ 339억
2024.3Q 1,867억/ 426억/ 299억
2024.2Q 1,814억/ 389억/ 333억
2024.1Q 1,499억/ 294억/ 255억
2023.4Q 1,057억/ 149억/ 100억

* 변동요인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한 매출의 증가에 따른 수익증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59009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57720
25.02.202501:28
#동진쎄미켐 - 회장님 사망으로 지분 경쟁 구도 가능성이 부각되나 그로인한 주가 플레이는 부담스러울 수 있음

지분율 현황
-동진쎄미켐 아들들 지분율: 이준혁 둘째아들 명부산업 (개인회사) 1.23% 보유 + 와이프 안상희 0.41% vs. 이준규 큰아들 지분율 0.43% 직접보유 + 와이프 옥연수 0.4%

-동진홀딩스, 동진쎄미켐의 지분 32.49% 보유중
-동진홀딩스의 지분율 이부섭회장 55.7% vs. 이준혁 둘째아들 총 36.62% (직접 17.77% + 명부산업 7% + 미세테크 11.59% (미세테크 지분율 52%)) + 안상희(와이프) 0.26% vs. 이준규 첫째아들 직접 3.22% -> 동진홀딩스의 둘째와 첫째의 지분율 차이는 33.4%p

-만약 법적 효력이 없는 동진홀딩스 이부섭 회장님 부인이 50% 상속 받는다는 가정을 하면 지분 27.85%가 큰아들 이준규 우호 지분이 될 수도?
-다만 상속은 단순 홀딩스 지분을 1/n로 나눠서상속하는것이 아니라 전체 자산을 allocation하는것으로 둘째아들의 지분율이 월등히 놓아서 당장 동진쎄미켐의 지분싸움이 있다고 보긴 어려운것 같은데..

🙋‍♀️주가에 대한 의견
-장기적으로 지분 경쟁을 떠나서 회장님 사망으로 인해 보수적이었던 IR 스탠스 등이 바뀐다면 기업 가치는 올라갈 수 있는 여지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상속세 이슈로 주가 상승이 우호적이지 않을 수 있어서 단기적인 IR스탠스 변화 부재 가능성

https://t.me/psychotherapy101
24.02.202514:06
그동안 칼을 갈아왔던 걸까요. 화이자(Pfizer)가 차세대 '키트루다'로 지목되는 '이보네시맙'의 병용요법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화이자는 '키트루다'를 뛰어넘을 차세대 항암제 가능성을 보인 PD-1·VEGF 이중특이 항체 '이보네시맙(Ivonescimab)'을 자사의 항암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에 끼워넣었는데요.

자사의 항체-약물 접합체(ADC)와 이보네시맙 병용요법 개발을 위해 이보네시맙 개발사인 미국 바이오기업 서밋 테라퓨틱스(Summit Therapeutics Inc., 이하 서밋)와 맞손을 잡았습니다.

두 회사는 여러 고형암 환경에서 서밋의 이보네시맙과 화이자의 여러 ADC를 병용 투여하는 임상을 올해 중반부터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보네시맙은 중국 기업인 아케소(Akeso Inc.)에 의해 개발됐으며, 전세계적으로 2300명 이상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수의 임상3상이 진행 중입니다. 현재 서밋과 공동 개발 중인데요. 특히, 이보네시맙은 앞서 PD-L1 양성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에서 키트루다(성분 펨브롤리주맙) 대비 질병 진행 위험을 49% 감소시키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해당 결과는 지난해 9월 발표된 임상3상(HARMONi-2) 데이터를 통해 공개됐습니다.

이보네시맙의 성과로 여러 기업들이 PD-L1 VEGF 표적 이중항체 개발에 뛰어든 상황이다. 이 가운데 화이자가 이보네시맙과 ADC 병용 조합 카드를 꺼내든 것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051
24.02.202513:53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코스맥스(192820.KS/매수):
역대 최대 매출 달성

■ 4Q24 Review: 역대 최대 매출 달성

코스맥스의 4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5.6천억원(YoY+28%), 영업이익 398억원(YoY+77%, 영업이익률 7%)으로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성수기와 비수기가 구분되지 않는 실적으로 국내에서 압도적인 성과 시현했다. 수출 주도 브랜드가 대형화되며, 또한 R&D 역량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면서, 상위 ODM사로의 수주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은 저점 통과 중이며,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산업 호조 및 성공적인 현지화 대응으로 호실적 기록했다. 미국은 아쉬우나, 전사적으로는 압도적 실적이라는 점에선 변함없다. 한편 대손 환입 20억원이 반영되어, 채권 관리의 안전성이 높아졌음을 증명했다.


■ 국내 +40%, 중국 +5%, 미국 -21%, 동남아 +49%
4분기 국내/중국/미국/동남아 매출 성장률은 각각 +40%/+5%/-21%/+49%로 달성했다.

국내(별도)는 매출 3.5천억원(YoY+40%), 영업이익 346억원(YoY+98%, 영업이익률 10%) 기록했다. K뷰티 무대가 글로벌로 확대되면서 동사의 매출 성장이 가속화되었고, 강한 수주가 지속되고 있다. 상위 고객사 중 절반은 매출이 3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비 미국 수출은 37% 성장했으며, 일본향 수출도 42% 고성장 시현했다. 유럽향 또한 매분기 증가 추세다. 원가율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수출 증가에 따른 지급수수료 133억원 발생, 대손상각비 5억원이 반영되었음에도 매출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 돋보였다.

중국(이스트)은 매출 1.5천억원(YoY+5%), 영업이익 26억원(흑자전환) 추산한다.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이나, 회복되고 있다. 4분기 화장품 소매판매가 9% 성장, 점진적 개선 기대된다. 상해는 주력 브랜드의 부진으로 14% 감소했으나, 광저우는 별도가 5% 성장, 잇센JV 연결 반영되며 43% 성장 달성했다.

미국(웨스트)는 매출 298억원(YoY-21%), 영업손실 40억원(YoY+114억원) 추정한다. 주요 고객사의 주문 위축으로 부진했다. 신규 고객 확대에 주력, 2025년 상저하고 기대한다. 영업 외에 일회성 50억원(유형자산 폐기손 30억원, 일회성 노무비 20억원) 반영되었다.

동남아(인도네시아+태국)는 매출 440억원(YoY+49%), 영업이익 66억원(흑자전환) 추산된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각각 +40%/ +78% 성장했다. 현지 수요가 강하며, 동사의 적극적인 현지화 대응이 두드러졌다.


■ 가이던스 통해서 확인되는 자신감
코스맥스의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2.6조원(YoY+20%), 영업이익 2.5천억원(YoY+40%, 영업이익률 10%) 전망, 역대 최대 실적 기대된다. 수출 주도 브랜드의 대형화와 R&D 역량에 대한 니즈 높아지며, 동사의 수출 점유율은 올해도 확대 기대된다. 지난 2년간 20% 이상 고성장 했으나, 여전히 강한 수주 기반 올해도 국내법인 가이던스를 20% 성장 제시했다. 동남아 또한 고성장 기대되며, 부진했던 미국과 중국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다.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추정치 상향에 기인 목표주가는 22만원으로 상향한다.

전문: https://vo.la/SYfpjZ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텔레그램 채널

https://bit.ly/3iuQwik
显示 1 - 24 640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