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반붐온? 방붐온? avatar
반붐온? 방붐온?
반붐온? 방붐온? avatar
반붐온? 방붐온?
转发自:
핵심 경제
24.04.202522:53
한국 산업부: 미국과의 조선 협력에 대한 공감대 형성

원문:
SOUTH KOREA INDUSTRY MIN: REACHED COMMON GROUND ON SHIPBUILDING CO-OPERATION WITH US [...](https://twitter.com/ForexLive/status/1915536652363067577)

출처: @marketfeed
번역제공: 구글
(오역 있을 수 있음)
24.04.202513:13
[HD한국조선해양 1Q25 실적발표_실적(1)]

1. 이슈

(1) 환율
- 평균환율 1453원으로 57원/달러 증가
- 환율 상승으로 기업 이익에는 큰 금액이 잡히진 않음
- 현대중공업 220억원
- 현대삼호 57억원
- 현대미포 40억원

(2) 강제효과
- 강제가격 하락세
- 이익 기여도는 크지 않음

(3) 일회성 요인
- 해양플랜트 C/O 140억원 환입
- 쉐난도 프로젝트에서 들어옴

(4) 수익성
- 환율 및 강제효과가 있었고, 외주비 증가폭도 둔화되고 있음
- 자동화, 노동자 능률개선 등이 포함되어 생산성이 빠르게 개선되는중
- 선표를 앞당길 정도
- 고선가물량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매출 증가하고 수익성도 좋아짐

2. 사업부문별 매출

(1) 조선
- 매출액 5조 8451억원(-6.0% QoQ, +21.6% YoY)
- 생산성 개선이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충분히 커버

(2) 해양플랜트
- 매출액 1613억원(-21.2% QoQ, +43.8% YoY)
- 계절적 요인으로 전분기대비 감소

(3) 엔진기계
- 매출액 6672억원(+24.2% QoQ, +48.7% YoY)
- 판가상승 영향과 지난 4분기에 인식 이연된 물량 인식되며 매출 증가

3. 사업부문별 영업이익

(1) 조선
- 영업이익 7814억원(+62.5% QoQ, +207.2% YoY)
- 생산성 향상에 따른 고선가 선박 매출 조기 반영
- 영업이익 증가는 더 이뤄질 것

(2) 해양 플랜트
- 영업이익 66억원(+94.1% QoQ, 흑자전환 YoY)
- 해양 프로젝트 C/O 140억원 반영되며 흑자전환

(3) 엔진기계
- 영업이익 1543억원(+50.2% QoQ, +103.3% YoY)
- 인도량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로 수익성 증가
- 제품믹스 개선 및 생산성 향상 효과 반영

4. 특수선
- 매출액 1681억원(-46% QoQ, -7.2% YoY)
- 영업이익 256억원(+3.2% QoQ, -5.2% YoY)
- 특이사항 없이 양호하게 진행중

5. 자회사별 연결실적

(1) HD한국조선해양(별도)
- 매출액 5518억원, 영업이익 4162억원
- 조선3사 배당수익 반영하며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 영업이익 중 배당수익 4176억원(현중 1392억원, 삼호 2648억원, 미포 120억원 등)
- 내년에는 이 배당수익이 훨씬 커질 것

(2) 현대중공업
- 매출액 3조 8225억원, 영업이익 4337억원
- 전사부문에서 실적개선
- 조선 부문 제품믹스 개선으로 이익 개선
- 가스선(LNG/LPG/암모니아) 비중: 1분기 60%, 2분기 69%, 3분기 79%, 4분기 79%, 2026년 70%대
- DF대형엔진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
- 마린엔진쪽으로 일부 OEM 물량 넘기면서 생산성 향상
- 미포 물량을 마린엔진쪽으로 넘기면서 DF대형엔진을 더 만들 수 있어 매출액 증가가 큰폭으로 이뤄짐

(3) 현대삼호
- 매출액 1조 9664억원, 영업이익 3659억원
- 실적개선폭 굉장히 큼
- 산업플랜트 일회성손실 없었음
- 고가의 메탄DF컨테이너선이 투입되면서 이익개선에 큰 도움
- 대형선의 경우 선가가 계단상승한 구간이 있었는데 그 부분이 반영됨
- 9월 이후 가동된 안벽 증설 효과도 이익개선에 영향
- 하반기로 갈수록 탱커선 비중 높아지면서 삼호는 영업이익 소폭 감소할 것
- 1분기 제품믹스: 탱커 4.1%, 가스선 44% 등
- 탱커 비중: 1분기 4.1%, 2분기 7.6%, 3분기 16.4%, 4분기 18.4%, 2026년 10% 아래
- 가스선 비중: 1분기 44%, 2분기 44%, 3분기 46%, 4분기 51%
- 전반적인 믹스 변경에 따라 떨어질 수 있으나 내년에 가스선 비중 58% 대로 올라가니까 내년까지도 수익성 개선 이뤄질 것

(4) 현대미포
- 매출액 1조 1838억원, 영업이익 685억원
- 계절영향으로 매출 감소했으나 생산성이 예상보다 훨씬 좋았음
- 작년 하반기 퀸즈레일 캔슬된 부분에 고가의 PC선 조기투입됨
- PC선 매출 비중: 1분기 69%, 2분기 66%, 3분기 64%, 4분기 60%
- 반복건조 효과로 미포 실적 우량할 것
- 뒤로갈수록 PC선 비중이 떨어지긴 하지만 가스선 비중 올라가며 수익성 개선효과 계속될 것
- 가스선 비중: 1분기 14.7%, 2분기 23.7%, 3분기 23%, 4분기 25%
- 지난해 수주받은 벙커링 베슬이 하반기부터 투입되면서 내년에도 실적개선 충분히 이뤄질 것

(5) 마린엔진
- 매출액 830억원, 영업이익 103억원
- 계절적 영향으로 매출 소폭 감소
- 1분기에 생산한 물량이 소폭 2분기로 밀려남
- 근 10년동안 분기 영업이익 100억원 초과 달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
- P와 Q가 동시에 증가하는 사업부

(6) 에너지솔루션
- 매출액 853억원, 영업이익 -30억원
- 관세문제로 수출에 혼선이 생김
- 관세가 확정되고 수출 노선 안정되면 점진적인 매출증가에 따른 실적개선 이뤄질 것

6. 영업외 손익
- 특이사항 없음
18.04.202500:21
오늘도 눈감원은???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16.04.202505:07
ASML 2025년 1분기 실적

수주(Booking): 39.4억 유로 (예상: 48.2억 유로)

매출(Revenue): 77.4억 유로 (예상: 77.5억 유로)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54% (예상: 52.5%)

2분기 매출 가이던스: 72억 ~ 77억 유로 (시장 예상: 76.6억 유로)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16.04.202504:05
팩트 시트)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 가공된 핵심 광물 및 파생 제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를 통해 국가안보와 경제 회복력 확보


미국의 핵심 광물 미래 강화: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수입된 정제 핵심 광물 및 그 파생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협에 대해 조사를 개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명령은 상무장관에게 1962년 무역확장법(Trade Expansion Act) 232조에 따라 공식 조사를 착수할 것을 지시하며, 해당 조사는 다음을 평가합니다:


공급망의 취약성

외국 시장의 왜곡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한 무역 대응책 마련 여부
조사 결과는 리스크 평가 및 미국 국내 생산 강화, 외국 의존도 감소, 국가경제 및 안보 회복력 향상을 위한 권고안을 담은 보고서로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만약 상무장관이 수입 광물 제품이 미국 국가안보를 해친다고 판단하고,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결정할 경우,
그 관세율은 4월 2일 발표된 상호관세 체계를 대체하게 됩니다.



국가안보 및 경제안정에 대한 위협 대응: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핵심 광물과 파생 제품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미국의 국방력, 인프라 개발, 기술혁신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희토류를 포함한 핵심 광물은 국가안보와 경제 회복력에 필수 요소입니다.

이들 광물은 제트 엔진, 미사일 유도 시스템, 고급 컴퓨팅, 레이더, 광학, 보안 통신 장비 등 국방 산업의 핵심 부품입니다.

현재 미국은 특히 적성국에 해당하는 외국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공급망 교란 및 경제적 압박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외국 생산자들은 다음과 같은 경제적 조작을 통해 미국을 압박해왔습니다:

가격 조작
공급 과잉
임의적 수출 제한
→ 이를 지정학적, 경제적 지렛대로 사용

특히 최근 몇 개월 간 중국은 갈륨, 저마늄, 안티모니 등 군사 응용이 가능한 고급 소재 수출을 금지했고,
이번 주에는 6종의 중(重)희토류 금속과 희토류 자석의 미국 수출도 전면 중단했습니다.
이 조치는 자동차, 항공우주, 반도체, 군수 기업의 핵심 부품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미국 산업 역량 강화:
이번 행정명령은 트럼프 행정부의 기존 무역정책과 연결되며, 미국의 장기적 이익을 지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첫 임기 첫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 무역 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을 시행

‘해방의 날’, 모든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과 무역적자가 큰 국가들에 대해 개별 상호관세 체계 도입

75개국 이상이 새로운 무역 협상에 착수

중국은 보복 조치로 대응, 그 결과 미국 수출품에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됨

철강 25%·알루미늄 25% 관세 부활

‘공정하고 상호적인 무역 계획(Fair and Reciprocal Plan)’ 발표

디지털세(DST), 과징금, 외국 규제 대응을 위한 관세 부과 가능성 검토

구리·목재 및 파생 제품 수입이 미국 경제 및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사 행정명령 서명 및 조사 착수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4/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ensures-national-security-and-economic-resilience-through-section-232-actions-on-processed-critical-minerals-and-derivative-products/
转发自:
AI MASTERS avatar
AI MASTERS
[ 이제 말로 비디오 편집하는 시대라고 ]

PonderAI를 개발하게 된 이유는 어도비 구독이 끝나서 브이로그를 편집할 도구가 필요했기 때문😅😅

여튼 PonderAI는 세계 최초 ai비디오 편집툴이라고 하며 편집에 필요한 내용을 그저 채팅하듯 치기만 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동안 전문가들이 해오던 복잡한 툴들이 점점 사라지는 시대가 오고있네요👊👊

현재 웨이트리스트를 반는다고 하니 관심 있으시면 등록 해보시기 바랍니다🙏

🤔 개인적으로 ponder라는 단어는 예전에 단어 외울때 열심히 봤던 단어중 하나인데 '곰곰이 생각하다' 영역의 단어였거든요. 영상 편집을 위해 ai가 곰곰이 생각하면서 해준다는 의미를 담은것 같아서 이름이 참 마음에 듭니다💯💯

👉 원문 보기
👉 웨이트 리스트 등록하기
24.04.202513:13
[HD한국조선해양 1Q25 실적발표_실적(2)]

7. 재무비율
- 순현금 6조 2627억원
- 현금 증가는 이익증가 및 선수금 증가로 발생
- 대부분 헤비테일이기 때문에 리스크도 거의 없음

8. 영업 현황
- 클락슨 3월말 발표자료, 올해 신조 발주량 9010만 GP(-30% YoY)
- 미 정부 관세정책 및 대중국 견제조치,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불확실성 증가가 그 원인
- 1분기 현재 전세계 신조발주량은 전년동기대비 약 50% 감소
- 전 선종에서 발주량 감소했는데, 특히 탱크선과 LPG선에서의 발주가 크게 감소
- 그럼에도 당 그룹 3사는 컨테이너선, 탱커선, LNG/LPG선 등 수주목표 달성해가고 있음
- 조선3사 수주목표: 현중 63억불, 삼호 45억불, 미포 35억불
- 1분기 수주실적 현중 32억불, 미포 4.5억불, 총 36.5억불 기록
- 선종별 수주실적
(현중) 18,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 수에즈막스 2척 , 88K급 VLGC 1척, 100K급 VLEC 2척, 총 17척
(미포) 18K급 LNG벙커링선 4척, 115K급 PC선 1척, 총 5척
(삼호) 4월 기준 수에즈막스 2척, 180K LNG선 1척
- 컨테이너선 중심으로 계약예정분 다수 확보된 상태

9. 선종별 시황

(1) 컨테이너선
- 시장 수요가 높은 상황
- 작년대비 전체적인 신조물량은 감소할거로 예상되나 라이너들의 높은 현금 보유 바탕으로 그린 트렌지션 및 미국의 대중 정책에 따른 신조 문의 증가
- Feeder 컨테이너선의 경우에도 낮은 발주잔량 및 높은 노후선으로 교체수요 높음

(2) LNG선
- 미국발 신규 LNG수출 프로젝트로 향후 견조한 수요 예상
- 노후 스팀터빈 LNG선 교체수요도 단기간 내 많이 발생할 것
- LNG DF 선박 인도로 LNG 벙커링선의 수요증가가 기대됨

(3) 기타 선종
- 단기간에는 수주물량 감소할 수 있음
- 다만 슈퍼사이클 시기에 대량 발주된 노후선박 교체수요 및 그린 트렌지션 트렌드에 따른 신조수요 지속될 것
- 강화된 친환경 규제로 교체수요 및 물동량 증가에 따른 수요로 주력 선종에 대한 안정정적 시장수요 이어질 것

(4-1) 해양 실적
- 중동 ,카타르, UAE, 북남미, 호주 등에서 발주 예정인 여러 해양프로젝트 입찰 참여중
- 중동 입찰 결과는 올해 안에 나올 것. 기대중임
- 신재생 에너지 사업은 지난 2월 국내 해상풍력용 해상 변전 설비에 대한 기본 설계 과정에 당사 참여
- 국내 다수 풍력개발사와 잠재적인 부유식 행상풍력 사업에 대해 협력관계 논의중
- 현중 자체모델 개발과 함께 향후 해상풍력 개화시기에 대비해서 점진적 대응 준비중
- 지난 3월, 미국 테라파워 사와 SMR 공동연구 추진 협약 체결
- 테라파워와 향후 SMR 상업화 사업을 연구중

(4-2) 해양 시황
- 국제유가는 1분기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기조와 지정학적 긴장 상황으로 등락 반복
- 원유와 천연가스 수요 증가로 에너지안보 중요성 더욱 부각
- 중장기 국제 유가에 대해 긍정적 전망
- 글로벌 국영 에너지기업과 민간기업은 전통 오일앤가스사업 확대 추진중
-, 중동, 북남미, 북아프리카 지역 중심으로 해양 오일앤가스 개설 프로젝트 발주 이어질 것
- 카타르는 대형 규모의 해양 OEM 생산설비 투입하는 공사가 올해와 내년에도 시리즈 계획 중
- UAE, 사우디, 쿠웨이트, 호주, 북아프리카 등 대형 생산설비 투자하기 위한 프로젝트 잠정 예고
- 신재생에너지 사업 중 해상풍력 발전 사업은 공급망 및 정책 등 구조적 문제로 더딘 움직임
- 장기적 관점에선 설비 확장 기대
- 국내는 최근 해상풍력 특별법 제정, 한국에너지공단 규정 개정, 정부 정책의 개선에 힘입어 해상풍력 사업 성장에 대한 기대감
✅ 상지건설(+24.88%)

❗️ 52주 신고가 돌파를 이어가는 중

거래대금 : 117억
시가총액 : 1,728억
- 현재가 : 54,200원
(2025-04-18 09:04기준)
16.04.202511:34
트럼프 : 이게 다 바이든 때문이다.
16.04.202504:58
삼성전자, HBM4 로직 다이 파운드리 수율 안정… HBM 경쟁력 회복 신호탄

핵심 내용
- 삼성전자가 4nm 파운드리 공정을 적용한 HBM4 로직 다이 테스트에서 수율 40% 이상 기록
- 기존 바이두 칩 수율(10%대 중후반) 대비 큰 개선으로 양산 가능 수준 도달
- 파운드리 성능 개선 위해 신규 공정 대거 도입
- 삼성 HBM4 양산 가속화 전망, 경쟁사 SK하이닉스·마이크론과 격차 줄일 기반 마련

추가 관련 정보
- HBM4는 HBM 시리즈 최초로 로직 다이에 파운드리 공정 적용
- 파운드리 기반 로직 다이는 성능·전력·설계 유연성 측면에서 강점
-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TSMC 파운드리에 의존, 삼성은 자체 파운드리로 대응 가능
- 로직 다이 이후 핵심 과제는 메모리부문의 1c D램 안정화와 패키징 기술 확립
- 삼성은 TC-NCF 기반 패키징 방식 사용, 발열 통제 과제 존재
- SK하이닉스는 1b D램 기반 HBM4 12단 샘플 고객사에 제공 완료

예상 효과 및 향후 관전 포인트
- 삼성 파운드리 수율 개선은 HBM4 개발·양산 속도에 긍정적
- 자체 파운드리 보유로 커스텀 HBM 수요 대응력 강화
- HBM4 제품 경쟁력은 1c D램 양산 안정성 및 발열 해소 능력에 달림
- 향후 D램 점유율 변화 및 고성능 AI 반도체 패키지 시장 주도권 향방 주목

#HBM4 #삼성전자 #파운드리 #1cD램 #AI반도체
16.04.202501:25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1289

"아바코는 2025년 3월부터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BOE에 제품 공급을 예정하고 있어 본격적인 매출 성장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중국 비전옥스의 8.6세대 투자에 대한 공급자 선정이 예상되며, 신규 수주도 기대되고 있다."

--------

회사에서 컨펌하고 기사가 4월 15일에 나간 것일텐데
비전옥스에 대한 공급자 선정이 예상된다고 적혀져있네요
24.04.202514:36
밍치궈) 애플 아이폰17프로 12GB 램 탑재로 마이크론, 하이닉스 수혜 예상

최신 업계 조사에 따르면:

1. 애플의 2025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새로운 아이폰 17 시리즈(프로 맥스, 프로, 울트라 씬 포함)는 모두 12GB DRAM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이전에는 프로 맥스만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추정했음).

2. 애플은 아이폰 17 베이스 모델에도 12GB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공급 부족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현재 평가를 마무리 중이며, 5월 중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입니다.

3. 만약 2025년 하반기 아이폰 17 베이스 모델이 올해에도 8GB를 유지하더라도, 2026년 하반기 출시되는 모든 아이폰 신제품에는 12GB가 탑재될 전망입니다.

4. 12GB의 평균 판매가격(ASP)은 8GB 대비 약 50% 높아, 주요 공급업체인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의 실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애플이 더 공격적인 DRAM 업그레이드 전략을 취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6. 전체적으로, 마이크론이 AI용 HBM 출하량 규모가 더 작기 때문에 SK하이닉스보다 성장 잠재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https://mingchikuo.craft.me/luXVWtplQ9Bokb
24.04.202513:13
[HD한국조선해양 1Q25 실적발표_Q&A(2)]

Q. USTR 중국 조선 및 해운업 제재안 완화 이후 선사 분위기

▶ 제재가 처음 발표보다 약화된 점이 유감
▶ 근본적인 핵심은 제재조치가 중국 조선/해운업에 구조적이고 지속적으로 제재하겠다는 정책이라는 것
▶ 선사는 영향 제한적이더라도 필요한 만큼 중국산 기피할 수 밖에 없음
▶ 자연스레 한국 조선업 수혜 있을 것
▶ USTR 제재안으로 가장 큰 타격은 컨테이너선인데, 1분기에만 작년대비 6배 많은 Inquiry 받음
▶ 이를 바탕으로 신조협의 진행중
▶ 4-5월 지나면 소식 들릴것

Q. 29년 납기 LNG선 슬롯 영업시점

▶ 하반기로 가면 미국 수출 물량 대상으로하는 1차 건들에 대해 29년 납기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Q. 예정원가율 변경에 따른 환입된 이익 여부

▶ 시리즈 호선의 경우, 일부 미래물량이 반영되면서 이익을 앞당기는 모습이 있을 수 있음
▶ 지나간 물량에 대해서는 예정원가율 낮추더라도 이익 환입되는 것은 없음

Q. 하반기 해양매출 둔화되면서 손익 망가질 가능성

▶ 1분기 기준 트리온 FPU 공사가 19.2% 진행
▶ 루야 프로젝트가 2.4% 진행
▶ 1분기는 상대적으로 일수가 줄기 때문에 매출 감소
▶ 3분기도 마찬가지
▶ 2,4분기는 매출 늘어나는 구간
▶ BEP를 맞추거나 조금 넘기는 수준일 것
▶ 매출 증가하면 이익 증가했다가, 매출 감소하면 소폭 감소하는 형태일 것
▶ 내년까지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BEP 수준일 것

Q. 엔진사업부문 4분기에서 이연된 물량 규모

▶ 정확하게 몇척이라고 말씀드리긴 어려움
▶ DF엔진 대형사이즈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엔진생산 대수는 줄어드는데 매출은 늘어나는 형태
▶ 향후에도 이런 모습이 나타날것
▶ 미포 물량은 마린엔진으로 넘기고, 대형사이즈가 그 자리를 채우기 때문에 이런 부분이 섞이면서 생산량은 줄어들더라도 생산금액은 늘어나는 구조

Q. 외인 인력의 생산성 증대 기여 효과

▶ 지난 분기 대비해서 점진적으로 개선 이뤄지는 중
▶ 대략 8% 정도 개선됐다고 보고있음
▶ 현중보다 삼호 외국인 능률이 빠르게 올아옴
▶ 몇퍼센트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능률 개선되는중
▶ 보너스 많이주고 있음

Q. 외주비 증가 속도

▶ 2-3년전 외주비 증가율이 굉장히 컸고, 작년은 재작년 대비 크게 감소
▶ 올해도 많이 떨어짐
▶ 외주비 증가 속도는 안정적
▶ 예상치 내에서 움직이고 있음

Q. 엔진 캐파 증설 계획

▶ 마린엔진 인수가 곧 증설
▶ 마린엔진 생산성을 더 높이려고 노력중
▶ 올해 90%까지 능률 올리는걸 목표로함
▶ 중공업 기준으로 150~160% 가동률 보이고 있음
▶ 마린엔진에서도 가동률 더 높일수 있고 추가증설 가능함
▶ 두 회사의 시너지를 낼거라고 봄
▶ 그 시너지효과가 증설효과로 나타날 것

Q. 외주 비중 확대 가능성

▶ 외주비중이 3-4년전보다 줄었음
▶ 미포가 외주 비중을 극단적으로 높였다가 사고가 많이 생겼어서 낮추고 있음
▶ 자동화를 늘리고 있음
▶ 생산효율성 좋게만들기 위해서 팔란티어 업체와 1년 넘게 개발프로젝트 진행중
▶ 그 효과가 아직 없지만 올해/내년정도엔 그 효과가 반영될거라고 생각

Q. 후판 가격 트렌드

▶ 중국 반덤핑이슈 관련 영향 전혀없음
▶ 후판 가격은 계속 협상 중이나 하락 추세에 있음
▶ 다만 철강업체도 반발이 심함
▶ 어떻게될지는 지켜봐야 함

Q. LNG 벙커링 선박 수주받을 수 있는 규모

▶ 올해 4척 포함하여 총 11척 건조중
▶ 시장 자체는 견조한 흐름
▶ LNG DF 선박이 많이 인도되면서 벙커링선 수요도 견조
▶ 시장에 2건정도 더 나와있고, 연간 10척 이상 가능할 것으로 예상

Q. 헌팅턴 잉걸스의 보유 설비 대비 활용 캐파 수준

▶ 헌팅턴 잉걸스 그룹사에 크게 두개 조선소 보유: 미시시피주 잉걸스 조선소, 버지니아주 뉴포트뉴스 조선소
▶ 뉴포트뉴스가 핵잠수함이나 핵항모 등 핵전력을 주로 만드는 조선소
▶ 잉걸스 조선소는 이지스함, 강습상륙함, 대형 수상함 등을 주로 생산
▶ 당사가 MOU를 맺은 것은 잉걸스 조선소
▶ 잉걸스는 미국 대표하는 방산조선소라서 백로그측면에선 걱정할게 없음
▶ 미국 해군이나 의회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생산성이 안나온다는 점이 문제
▶ 이지스함 건조 경험 및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생산성 높이는 협력, 기술협력이 기초를 이룰 것
▶ 당사가 잉걸스의 공급망으로 들어가는 것까지도 협력범위에 있음
▶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법적인 규제들이 많이 풀려야함
▶ full ship 뿐만 아니라 부분품 블록도 해외에서 지을 수 없는 상황
▶ 규제 완화될 경우 작은 부분부터 공급망으로 참여하여 점진적으로 블록 단계 수준까지 협력 범위 넓혀갈 가능성은 충분히 있음
转发自:
몰?루 avatar
몰?루
16.04.202523:54
https://dealsite.co.kr/articles/139914

삼성전자가 10나노급 6세대(1c) D램 재설계에 난항을 겪으면서 샘플 생산테스트가 연기됐다. 과거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도입 이후 지속돼 온 캐패시터 리키지(누설 전류) 현상을 해결하고, 수율을 높이고자 칩 사이즈를 확대했으나 여전히 뚜렷한 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회사 측이 1c 공정을 기반으로 한 HBM4를 올 하반기부터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나, 개발 일정에 차질이 생기며 양산 시점이 다소 늦춰질 가능성도 나온다. 

재설계가 어려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1z 공정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커패시터 리키지 현상이다. 당시 삼성전자는 경쟁사 대비 EUV를 선제적으로 도입하며 D램의 핵심인 커패시터 설계를 변경했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선 관계자는 "당시 삼성전자가 EUV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와 비교해 생산성 차이가 크지 않아 오히려 고정비만 크게 발생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이에 생산 라인에서는 '안정성보다는 생산성에 초점을 맞추자'는 판단 아래 캐패시터 길이를 늘리고 두께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말했다.
转发自:
Polaristimes avatar
Polaristimes
16.04.202511:34
#미국 공화당, 외국 투자자들의 이자/배당/양도차익 등에 대한 #증세 추진

https://www.theglobeandmail.com/business/article-proposed-republican-tax-change-would-lead-to-spike-in-costs-for/

1) 아예 미국 #주식, #국채 사지 말라고 고사를 지내라 ㅋㅋㅋ
#개도국화 익스프레스

2) 그래서, 이 조치에는 #암호화폐 가 포함됩니까?
최근 나오는 모든 법률과 정책, 그리고 정부 스탠스가 모두 주식 팔고 코인 사라는 방향인 게 웃음벨 ㅋㅋ
실장이 노렸다? 아님 오해다?
16.04.202501:21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화장품 업종 최근 현황 리마인드

- 한국 화장품의 3월 누적 수출 전년대비 +12%
- (3월 누적 기준) 지역별 수출 증감률:
- 미국 +12%, 일본 +15%, 유럽 +61%, 기타지역 +37%, 중국 -19% 등
-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일본 견조한 성장세,
유럽 초강세 흐름, 중국은 역성장폭 축소 중

- 전반적으로 수출 모멘텀 여전히 견조


* 최근 주요 기업 현황 업데이트
- 에이피알:
컨센서스 상회 기대, 해외 매출 초강세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 해외 매출 +147% 성장, 미국 +187%, 일본 +103% 성장 예상

- 아모레퍼시픽: 컨센서스 상회 예상, 북미/EMEA에서 라네즈가 고성장, 이익체력 상승 & 중국 적자 축소(예상 -100억원 → -50억원 수준), 다만 COSRX는 하회

- LG생활건강: 1Q 당사 OP 추정치 1.3천억원, 부합 전망. 면세 역성장 하나, H&B/온라인 중심 확대, 비중국 수출 확대 기조. 생활용품 수출 중심 확대, 음료는 업황 약세이나, 비용 축소를 통해 이익 안정성 높일 전망

- 실리콘투: 컨센서스 부합, 미국 지사 실적 회복 → 미국 성장세 전환(경쟁 강도는 유사하나, 전분기비 매출 확대에 따라 GPM QoQ 개선), 유럽/중동 등으로 기회 요인 확대 → 하반기 유럽/중동 매출이 미국 매출을 상회 기대

- 브이티: 1Q 당사 OP 추정치 250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2분기 부터 북미 주요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 예정, 중국 리들샷 물량 수출 본격화 예정

- 아이패밀리에스씨: 1Q 당사 OP 추정치 92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 H&B 매출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중이며, 수출은 2월 부터 일본/동남아/미국 등 수출 확대 추세, 3Q 미국 주요 화장품 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정

- 클리오: 1Q 당사 추정치 74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는 H&B 채널 사상 최대 매출, 수출은 일본 중심으로 회복세 나타나고 있음. 추가로 미국/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채널 접점 확보, 해외 매출 점진적 확대 예정

- ODM사: 국내 더블디짓 성장세 → 수출 주도 K뷰티 수주 강세 흐름 지속, 코스맥스 미드틴 성장, 한국콜마 로우틴 성장세

- 펌텍코리아: 2월 수주 ATH, 3월은 2월을 또 상회, 수주 강세 지속



***
24.04.202513:13
[HD한국조선해양 1Q25 실적발표_Q&A(1)]

Q. 선표 조정이 이뤄진 배경

▶ 생산성 좋다보니까 조기 생산이 가능해짐
▶ 생산성 높아지는 만큼 직원들에 대한 보너스를 늘리고 있음
▶ 최근 현중 공시를 통해 알 수 있듯 특정 선사 기준으로 납기일 당겨짐
▶ 연간 매출액 기준으로 크게 당겨진 모습
▶ 그 부분이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매출개선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을 것
▶ 빨라지는 만큼 다른 배들이 밀려 들어온다고 보면됨

Q. 카타르 1차분 비중

▶ 가스선 비중의 1/3이 카타르
▶ 미들 정도의 수익성
▶ 올해 지나면 대부분 호선이 인도될 것
▶ 내년부터 2차호선 투입될 것

Q. 미포의 PC선 저수익 물량 비중

▶ 2분기까지 남아있고, 3분기까지 하면 사라짐
▶ 작년에 받았던 고선가 PC선 일부가 조기투입됨
▶ 다른 선박에 대한 생산성 좋아지면서 전반적인 실적개선 이뤄짐
▶ PC선이 올해 많이 투입되고, 가스선 비중 늘어날거고, 내년에는 벙커링 베슬까지 늘어나게됨
▶ 지금 레벨에서 점진적 개선 있을 것

Q. 현대중공업의 수익성 개선은 일회성 요인이 아닌 구조적 개선으로 보면될지

▶ 구조적 개선 맞음
▶ 선종별 믹스개선 말씀드렸는데 뒤로갈수록 가스선 비중 높음
▶ 1차 카타르 물량이 올해면 끝나고, 내년되면 1.3억불에 받은 물량이 반영되기 때문에 마진 개선될 것
▶ 뒤로 갈수록 반영되는 선종들은 고선가 물량으로, 현중의 점진적 실적개선 기대됨

Q. 납기 빨라지는 경우 발주처와의 협의 이슈는 없을지

▶ 몇달씩 당겨지기보다는 며칠~한두주 정도 당겨지는 것
▶ 그만큼 매출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성도 좋아지는 것
▶ 2007-8년도에 인도 빨리해주면 보너스 주기도 함
▶ 배를 빨리 받고싶어하는 선주가 많음

Q. 선가가 계단식으로 상승한 적 있다는 것은 어떤 시점을 말하는 것인지

▶ 머스크에서 메탄올DF발주난게 있는데 해당 건을 포함하여 22년부터 23년까지 선가 꾸준히 상승
▶ 현중 25년 1분기 매출액 기준 22년도 물량 비중 80%, 23년 16%, 21년 4%

Q. 후판 하락 가격 반영되는 시점

▶ 합의된 부분은 작년 하반기 기준
▶ 올해 기준은 협상중이고 6-7월 중 되어야 협상될 것
▶ 이번에 합의된 부분은 2-3분기 중 투입될 것
▶ 가지고있는 재고만큼 또 딜레이되기 때문에 2분기부터 4분기까지 걸쳐서 저가 후판이 투입될 것

Q. 인도 스케쥴을 극단적으로 앞당기는게 아닌데 수익성이 빠르게 올라온 이유

▶ 연간으로 일하는 것은 똑같기 때문에 고정비는 같음
▶ 매출이 몇차례 더 발생하면 순수 원가 발생한거 제외하면 모두 마진
▶ 공사 빨리 진행될수록 이런 영향이 있고 제품믹스 개선도 좋고 향후에는 고선가 물량이 반영되는 점도 영향
▶ 향후 환율, 후판가 등의 변수는 있을 수 있으나 이런 변수들이 고정된다고 하면 수익성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

Q. 향후 약달러 전환시 헷지 정책

▶ 기본적으로 헷지비중 60%+@
▶ 현재는 75% 헷지

Q. 조기인도에 따른 27년 후반, 28년 초반 슬롯에 대한 프리미엄 여부

▶ 긍정적인 것은 맞지만 당사가 이미 수주잔고가 많음
▶ 현재로서는 답변하기 어려움

Q. 특수선 진전사항

▶ 폴란드, 캐나다 잠수함 사업은 계속 추진중
▶ 대상 국가의 사정으로 사업이 늦어지고 있음
▶ 캐나다는 원팀 MOU 체결 이후 K-해양방산이 원팀으로 사업진행중
▶ 당사는 필리핀과 페루 해군 현대화 사업 담당중
▶ 필리핀) 초계함 2차 사업이 올 후반기에 나올 것으로 예상
▶ 페루) 잠수함 개발사업 진행중으로, 작년 MOU 체결했고 이번 주에 MOA 체결 예정
▶ 빠르면 올 연말에 페루 잠수함 사업 가시화 될 것
▶ 사우디) 호위함 사업, 올 하반기 예상
▶ 해군에 납품했던 충납금 호위함과 수출용으로 개발한 호위함이 있는데 이것을 가지고 수주 진행 예정
▶ 장기적으로 보면 2030년대 이후 해군은 전투용 무인수상정이 중요해질 것
▶ 이에 대한 개념연구를 작년 1차 했고, 올해 해군이 2차 개념연구 하고있음
▶ 이 개념 설계를 당사가 수주
▶ 빠르면 2년 후 사업화가 진행될것
▶ 헌팅턴 잉걸스와 MOU체결
▶ 이는 미국 함정사업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
转发自:
선수촌 avatar
선수촌
16.04.202523:42
또 진 의장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상황에서 협상을 서둘러야 할 이유도 크지 않다”고 했다.


진성준의 가장 큰 문제는 메타인지가 안된다는 것.

일단, 트럼프가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오는 국가들이 더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왔기 때문에 진성준의 위 발언은 애초에 틀렸으며,

마침 미국에서 그것도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상공부 짬밥만 10년인 통상 & 행정 전문가가 협상에 들어가겠다고 하는데,

사회 경험이라고는 육군교도소 수감뿐인 진성준이 자신을 우아하게 부각시킬 수 있는 정치공격 떡밥들의 순위를 매겨본다면 이 건은 거의 꼴등에 가까운 자살행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19640
16.04.202506:25
中 ‘원가 공개’ 틱톡 효과 있었다…美쇼핑객들 우르르

- "美소비자, 中 전자상거래 앱 샅샅이 뒤지는 중"
- "210만원 루이비통 짝퉁 지갑 3.24달러" 한마디에
- 中쇼핑앱, 美앱스토어 2위 기염…플랫폼도 홍보 지원


블룸버그통신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들이 핸드백, 요가 팬츠, 지갑 등과 같은 저렴한 상품을 찾기 위해 중국의 전자상거래 앱을 샅샅이 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457126642136776&mediaCodeNo=257&OutLnkChk=Y
16.04.202504:08
미국 반도체 장비업계, 트럼프 관세로 연간 10억 달러 손실 우려
-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KLA 등은 각각 연간 3억5천만 달러의 손실을 입을 수 있다고 업계는 추산했다.
- 중소기업인 Onto Innovation 등도 수천만 달러의 비용 증가에 직면할 전망이다.
-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수출 규제에 이어 트럼프의 관세가 겹치며 수출 및 공급망 재편 비용이 가중되고 있다.
- 주요 기업들은 미국 정부와 협의하며 대응방안을 모색 중이나, 관세 구조가 복잡해 손익 예측도 어려운 상황이다.
- 업계는 대체 부품 확보 및 규정 대응 인력 채용 등 추가 비용 발생도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tariffs-may-cost-chip-equipment-makers-more-than-1-billion-industry-estimates-2025-04-15/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16.04.202501:02
TSMC 미국 공장, 주문 쇄도로 인해 파운드리 가격 30% 인상 예정

여러 고객사의 주문이 몰리면서 TSMC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이 생산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파운드리 단가를 30% 인상할 예정이다.

https://news.10jqka.com.cn/20250416/c667495105.shtml
显示 1 - 24 696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