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4.202506:01
17.04.202523:13
25년 4월 18일 부동산 주요뉴스
신안산선 붕괴사고 원인은 부실 공사?…커지는 책임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6648
[공실 폭탄] ②“조물주 위에 건물주? 이제 옛말”…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은 ‘공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0278
"토허제에도 강남은 강남"…50억 이상 거래 올들어 2배 늘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1191
“지옥같던 층간소음·주차난, 이젠 기쁘다”...살기 나쁠수록 재건축 빨라진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8414
잠실 아파트 40억 시대…토허제·금리동결에도 상급지 수요 여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200213
대치동 상징 '은마아파트', 49층·5962가구 규모로 재건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37741
신안산선 붕괴사고 원인은 부실 공사?…커지는 책임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6648
[공실 폭탄] ②“조물주 위에 건물주? 이제 옛말”…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은 ‘공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0278
"토허제에도 강남은 강남"…50억 이상 거래 올들어 2배 늘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1191
“지옥같던 층간소음·주차난, 이젠 기쁘다”...살기 나쁠수록 재건축 빨라진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8414
잠실 아파트 40억 시대…토허제·금리동결에도 상급지 수요 여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200213
대치동 상징 '은마아파트', 49층·5962가구 규모로 재건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37741


15.04.202512:35


11.04.202506:10
10.04.202501:04
1주택 양도세 비과세 폐지하나…전방위 증세 검토 -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4689024
인간적으로 1주택자는 건들지마라..
인간적으로 1주택자는 건들지마라..
08.04.202523:12
25년 4월 9일 부동산 주요뉴스
‘토허제’ 해제에 자극 받았나…서울 원정투자 50% 반짝 급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7738
서울-부산 '20분 컷'…국토부 '하이퍼튜브' 연구개발 본격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2804
건설업계 원가율 ‘高高’…치솟는 환율에 공사비 안정화 ‘까마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2999
대통령 파면 이후, 재건축 법안 진통…정비업계 불안감 고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1270
세종시 집값 '붐'?…대통령실 이전 가능성에 거래 '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2986
부동산 시장 안정화는?…'규제 완화·공급 확대' 전문가들 공감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1257
'부산 최대어' 분담금만 9억?…"거의 집 한채 값" 전국이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7765
‘토허제’ 해제에 자극 받았나…서울 원정투자 50% 반짝 급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7738
서울-부산 '20분 컷'…국토부 '하이퍼튜브' 연구개발 본격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2804
건설업계 원가율 ‘高高’…치솟는 환율에 공사비 안정화 ‘까마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2999
대통령 파면 이후, 재건축 법안 진통…정비업계 불안감 고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1270
세종시 집값 '붐'?…대통령실 이전 가능성에 거래 '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2986
부동산 시장 안정화는?…'규제 완화·공급 확대' 전문가들 공감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1257
'부산 최대어' 분담금만 9억?…"거의 집 한채 값" 전국이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7765
18.04.202506:00
*집값이 오를수밖에 없는 이유
1) 가격이란 돈의 양의 변화이다
ㆍ수출이 잘되고 월급이 오르면 돈의 양이 증가하고 그 결과는 가격의 변화이다
ㆍ잘살게 된다는것은 돈의 양의 증가가 지속된다는 것이고 그 결과는 가격의 상승이다
ㆍ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는것은 살기 힘들어진다는 것과 같다
그렇기에 가격을 억제하겠다는것은 실기힘들어지는것 을 요구 하는것과 같다
ㆍ세계 모든 나라들은 적든 크든 지속적으로 돈의 양을 증가시키고 있기에 우리나라 역시 그에 맞추어 돈의 양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것이 환률 변화이다
만약 가격 상승을 억제 하겠다는 이유로 화폐량 늘리지 않으면 우리 수출품 가격은 점차 상승하기에 그것을 막기위해선 우리나라 월급을 그것에 맞추어 조금씩 줄여야 한다
ㆍ즉 집값 억제를 요구하면 급여 인상을 히지 않거나 오히려 줄여야 한다
2) 집값을 최대한 억제 하는 또다른방법은 공급량을 늘리는것이다
즉 필요 이상으로 주택을 건설하면 된다
하지만 건설사는 집이 팔리지 않으면 건설하지 않기에 현실에서 초과공급은 쉽지 않다
유일한 초과 공급은 다주택자 의 주택 매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책(세금제도)은 다주택은 엄청난 중과세로 투자대비 실익이 감소한 반면 투자에 따른 위험은 커진 상태이기에 다주택자의 주택구입은 매력이 크게 감소 한 상태이다
즉 여유 주택의 공급이 매우 제한적이고 이는 기존주택의 노후화 등 여러요인이 겹친상황이기에 결과적으로 주택이 수요(소요)보다 적어지고 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을 야기 한다
3) 주택을 단순히 숫자 만으로 많고 적음을 이야기 하면 안된다
ㆍ 수요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주택이 필요하다
(중국 BYD 전기차 가 인기 없는 것도 그런 이유다)
이러한 수요에 맞는 품질( 새집ㆍ넓은집ㆍ교통편지역 ㆍ각종 서비스제공) 의 주택 공급이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재건축 재개발 등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하는 각종 제한 규정과 2주택 3주택 보유제한은 양질의 주택 공급을 막고 있는 상황이다
ㆍ기존 주택의 노후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1980~2000 년대 건축된 주택이 대부분을 차지 하는 상황이기에 신속한 주택 교체가 필요 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ㆍ그렇기에 중심지 새집의 가치는 급등중이고 이는 점차 인접지역으로 확산될것이다
ㆍ 좋은 주택의 희소성을 더욱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4)주택역시 다른 자산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의 결과로 오르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인상을 비 정상적이라 생각하게 하는 위정자들의 잘못된 홍보가 대다수 국민의 사고 체계 를 오염시켰다
이를 정상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이념적으로 세뇌시킨 정치인들과 교육계와 언론과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무식한 부모들이 원인이다
지금은 1970년대 와 1980년 후반 2000년 초기와 2015년이후 격었던 주택 문제가 재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유는 위 1 2 3 4항 모든 문제점들이 누적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1) 가격이란 돈의 양의 변화이다
ㆍ수출이 잘되고 월급이 오르면 돈의 양이 증가하고 그 결과는 가격의 변화이다
ㆍ잘살게 된다는것은 돈의 양의 증가가 지속된다는 것이고 그 결과는 가격의 상승이다
ㆍ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는것은 살기 힘들어진다는 것과 같다
그렇기에 가격을 억제하겠다는것은 실기힘들어지는것 을 요구 하는것과 같다
ㆍ세계 모든 나라들은 적든 크든 지속적으로 돈의 양을 증가시키고 있기에 우리나라 역시 그에 맞추어 돈의 양을 증가시켜야 하고 이것이 환률 변화이다
만약 가격 상승을 억제 하겠다는 이유로 화폐량 늘리지 않으면 우리 수출품 가격은 점차 상승하기에 그것을 막기위해선 우리나라 월급을 그것에 맞추어 조금씩 줄여야 한다
ㆍ즉 집값 억제를 요구하면 급여 인상을 히지 않거나 오히려 줄여야 한다
2) 집값을 최대한 억제 하는 또다른방법은 공급량을 늘리는것이다
즉 필요 이상으로 주택을 건설하면 된다
하지만 건설사는 집이 팔리지 않으면 건설하지 않기에 현실에서 초과공급은 쉽지 않다
유일한 초과 공급은 다주택자 의 주택 매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책(세금제도)은 다주택은 엄청난 중과세로 투자대비 실익이 감소한 반면 투자에 따른 위험은 커진 상태이기에 다주택자의 주택구입은 매력이 크게 감소 한 상태이다
즉 여유 주택의 공급이 매우 제한적이고 이는 기존주택의 노후화 등 여러요인이 겹친상황이기에 결과적으로 주택이 수요(소요)보다 적어지고 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을 야기 한다
3) 주택을 단순히 숫자 만으로 많고 적음을 이야기 하면 안된다
ㆍ 수요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주택이 필요하다
(중국 BYD 전기차 가 인기 없는 것도 그런 이유다)
이러한 수요에 맞는 품질( 새집ㆍ넓은집ㆍ교통편지역 ㆍ각종 서비스제공) 의 주택 공급이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재건축 재개발 등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하는 각종 제한 규정과 2주택 3주택 보유제한은 양질의 주택 공급을 막고 있는 상황이다
ㆍ기존 주택의 노후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1980~2000 년대 건축된 주택이 대부분을 차지 하는 상황이기에 신속한 주택 교체가 필요 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ㆍ그렇기에 중심지 새집의 가치는 급등중이고 이는 점차 인접지역으로 확산될것이다
ㆍ 좋은 주택의 희소성을 더욱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4)주택역시 다른 자산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의 결과로 오르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인상을 비 정상적이라 생각하게 하는 위정자들의 잘못된 홍보가 대다수 국민의 사고 체계 를 오염시켰다
이를 정상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이념적으로 세뇌시킨 정치인들과 교육계와 언론과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한 무식한 부모들이 원인이다
지금은 1970년대 와 1980년 후반 2000년 초기와 2015년이후 격었던 주택 문제가 재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유는 위 1 2 3 4항 모든 문제점들이 누적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17.04.202505:22
본인 공약대로 한번도 본적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어놨죠
나라 구석구석 박살내둠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00089?lfrom=kakao
나라 구석구석 박살내둠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00089?lfrom=kakao
11.04.202522:24
■2025년 4월 11일 부동산 아침 뉴스
사람을 절대 무시하면 안되는 이유
https://youtu.be/AWF8F9MRkeA?si=_4KSg8aAwUz1c7Rt
“몰랐으면 100만원 낼 뻔했네”…6월부터 정식시행 된다는 이것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3844
토허제 묶인 강남 3구·용산 전세 '품귀'…거래 줄고 잇단 최고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3900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 치솟는 환율에 건설업계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336
맹모들 움직인다…같은 토허구역이면 목동 몸테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65
상업용 부동산시장 꿈틀 “금리인하 기대감”… 美트럼프발 ‘관세전쟁’ 변수될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68963
"곧 철거하는데 2년 실거주?"…재건축단지 매매 '난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58
'전셋값 5억' 아파트, 그림의 떡인데…서민 '주거사다리' 빌라 끊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8383
사람을 절대 무시하면 안되는 이유
https://youtu.be/AWF8F9MRkeA?si=_4KSg8aAwUz1c7Rt
“몰랐으면 100만원 낼 뻔했네”…6월부터 정식시행 된다는 이것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3844
토허제 묶인 강남 3구·용산 전세 '품귀'…거래 줄고 잇단 최고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3900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 치솟는 환율에 건설업계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336
맹모들 움직인다…같은 토허구역이면 목동 몸테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65
상업용 부동산시장 꿈틀 “금리인하 기대감”… 美트럼프발 ‘관세전쟁’ 변수될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68963
"곧 철거하는데 2년 실거주?"…재건축단지 매매 '난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58
'전셋값 5억' 아파트, 그림의 떡인데…서민 '주거사다리' 빌라 끊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8383
11.04.202500:53
25년 4월 11일 부동산 주요뉴스
국토부, 전세사기 예방 청년 홍보대사 ‘안심전세 꼼꼼이’ 모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8425
“전부 복구하고 나가세요” 정부, 임대인 과다한 원상 복구비 청구 막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8428
‘4월 위기설’ 현실화…고환율 부담 더해진 건설사 위기감 고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3983
1분기 아파트 분양 실적률 16%…2분기도 '개점휴업'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77466
강남3구 매매수급지수 하락…매수자 우위시장 전환 초읽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6487
[단독]오세훈표 상생주택, '토지매입' 도입해 추진력 높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9032
멀쩡한 집 부수고 재개발?…"서울시 신속통합기획에 원주민 쫓겨날 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58960
'철공소 마을' 문래동…고층 아파트로 재탄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690
국토부, 전세사기 예방 청년 홍보대사 ‘안심전세 꼼꼼이’ 모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8425
“전부 복구하고 나가세요” 정부, 임대인 과다한 원상 복구비 청구 막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8428
‘4월 위기설’ 현실화…고환율 부담 더해진 건설사 위기감 고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3983
1분기 아파트 분양 실적률 16%…2분기도 '개점휴업'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77466
강남3구 매매수급지수 하락…매수자 우위시장 전환 초읽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6487
[단독]오세훈표 상생주택, '토지매입' 도입해 추진력 높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9032
멀쩡한 집 부수고 재개발?…"서울시 신속통합기획에 원주민 쫓겨날 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58960
'철공소 마을' 문래동…고층 아파트로 재탄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690
09.04.202523:18
25년 4월 10일 부동산 주요뉴스
“몰랐으면 100만원 낼 뻔했네”…6월부터 정식시행 된다는 이것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3844
토허제 묶인 강남 3구·용산 전세 '품귀'…거래 줄고 잇단 최고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3900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 치솟는 환율에 건설업계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336
맹모들 움직인다…같은 토허구역이면 목동 몸테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65
상업용 부동산시장 꿈틀 “금리인하 기대감”… 美트럼프발 ‘관세전쟁’ 변수될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68963
"곧 철거하는데 2년 실거주?"…재건축단지 매매 '난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58
'전셋값 5억' 아파트, 그림의 떡인데…서민 '주거사다리' 빌라 끊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8383
“몰랐으면 100만원 낼 뻔했네”…6월부터 정식시행 된다는 이것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3844
토허제 묶인 강남 3구·용산 전세 '품귀'…거래 줄고 잇단 최고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83900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 치솟는 환율에 건설업계 '비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3336
맹모들 움직인다…같은 토허구역이면 목동 몸테크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65
상업용 부동산시장 꿈틀 “금리인하 기대감”… 美트럼프발 ‘관세전쟁’ 변수될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68963
"곧 철거하는데 2년 실거주?"…재건축단지 매매 '난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3658
'전셋값 5억' 아파트, 그림의 떡인데…서민 '주거사다리' 빌라 끊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78383
07.04.202522:48
25년 4월 8일 부동산 주요뉴스
"천당 아래 분당"⋯성남 전역이 '들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2621
용산 떠나고 세종? 청와대?…'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78882
한 달 새 2억 올라…꿈틀거리는 세종시 “바닥 찍었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1861
16억 '영끌'해 산 상가…2년 만에 3억으로 쪼그라 들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69339
입주한다던 공공주택 가보니 맨땅…수도권 공급 지연 ‘2만 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58195
텅텅 빈 상가들…10곳 중 1곳, 3년 내내 공실률 20% 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2574
"천당 아래 분당"⋯성남 전역이 '들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2621
용산 떠나고 세종? 청와대?…'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78882
한 달 새 2억 올라…꿈틀거리는 세종시 “바닥 찍었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81861
16억 '영끌'해 산 상가…2년 만에 3억으로 쪼그라 들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69339
입주한다던 공공주택 가보니 맨땅…수도권 공급 지연 ‘2만 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58195
텅텅 빈 상가들…10곳 중 1곳, 3년 내내 공실률 20% 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2574


18.04.202502:27


17.04.202505:22
11.04.202507:27
▶ 이문1구역 조합원 입주축하금 조합원당 2,000만원 지급예정.
- 2025년 조합원총회(未定) 승인후 지급예정.
- 비례율은 기존 권리가액 확정.
- 소득세율은 15.4%(소득세 14%+지방소득세 1.4%) 인 관계로, 조합원가구당 실수령액은 16,920,000원 예상됨.
▷ 이문1구역은 입주 이전에 비례율 변동이 없었슴.
- 2025년 조합원총회(未定) 승인후 지급예정.
- 비례율은 기존 권리가액 확정.
- 소득세율은 15.4%(소득세 14%+지방소득세 1.4%) 인 관계로, 조합원가구당 실수령액은 16,920,000원 예상됨.
▷ 이문1구역은 입주 이전에 비례율 변동이 없었슴.


10.04.202503:47
09.04.202504:12
시장에 그만 개입좀..
https://naver.me/FIfAmidt
https://naver.me/FIfAmidt
07.04.202522:47
아파트미 실거래가(4.8) 국평신고가 TOP
신고가 순위
서초 15/강남 10/동작 10/양천 10
마포/송파/영등포/강동/용산
안양/과천/김포/안산/부평/양주
강남 토허제 이후 첫 신고가 출현
한양1차 31평 47.5억 신고가 (토허제 이후)
반포자이 35평 44억 신고가
개포주공7단지 34평 32.2억 신고가
방배그랑자이 33평 31억 신고가
래미안서초스위트 34평 27.5억 신고가
강변 30평 25억 신고가
대교 30평 25억 신고가
방배1차현대홈타운 33평 24.2억 신고가
래미안마포리버웰 34평 23.35억 신고가
목동신시가지1 35평 22.3억 신고가
올림픽훼밀리타운 31평 21.8억 신고가
명수대현대 30평 21억 신고가
과천자이 30평 20.3억 신고가
백현마을7단지 33평 19.6억 신고가
목동청구한신 31평 17.9억 신고가
상록마을 31평 17.45억 신고가
이매촌 31평 16억 신고가
청솔마을 32평 13.95억 신고가
목련경남 36평 12.83억 신고가
한화포레나미아 33평 11.44억 신고가
신고가 순위
서초 15/강남 10/동작 10/양천 10
마포/송파/영등포/강동/용산
안양/과천/김포/안산/부평/양주
강남 토허제 이후 첫 신고가 출현
한양1차 31평 47.5억 신고가 (토허제 이후)
반포자이 35평 44억 신고가
개포주공7단지 34평 32.2억 신고가
방배그랑자이 33평 31억 신고가
래미안서초스위트 34평 27.5억 신고가
강변 30평 25억 신고가
대교 30평 25억 신고가
방배1차현대홈타운 33평 24.2억 신고가
래미안마포리버웰 34평 23.35억 신고가
목동신시가지1 35평 22.3억 신고가
올림픽훼밀리타운 31평 21.8억 신고가
명수대현대 30평 21억 신고가
과천자이 30평 20.3억 신고가
백현마을7단지 33평 19.6억 신고가
목동청구한신 31평 17.9억 신고가
상록마을 31평 17.45억 신고가
이매촌 31평 16억 신고가
청솔마을 32평 13.95억 신고가
목련경남 36평 12.83억 신고가
한화포레나미아 33평 11.44억 신고가
18.04.202502:25
16.04.202500:38
25년 4월 16일 부동산 주요뉴스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9598
공시가격 현실화에 다주택자 규제까지…“부동산 세부담 커지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5644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2100가구 이주에 매물 없다는 이 동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7001
1분기 수도권 분양 비중 15%…2~3년 뒤 공급부족 '경고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85890
HUG 전세사기 대위변제금 빠르게 회수한다…'특례조항' 발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94884
전세사기 후폭풍.. 중개사협회 공제금 지급 건수 역대 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1031
한강 품은 서울의 ‘마지막 한수’…1조 규모 용산 재개발, 포스코·현산 ‘격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6992
대단지 이점에도…통합 재건축 시도 곳곳서 잡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9598
공시가격 현실화에 다주택자 규제까지…“부동산 세부담 커지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945644
“서울도 아닌데 25평 전세가 10억?”…2100가구 이주에 매물 없다는 이 동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7001
1분기 수도권 분양 비중 15%…2~3년 뒤 공급부족 '경고등'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85890
HUG 전세사기 대위변제금 빠르게 회수한다…'특례조항' 발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94884
전세사기 후폭풍.. 중개사협회 공제금 지급 건수 역대 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1031
한강 품은 서울의 ‘마지막 한수’…1조 규모 용산 재개발, 포스코·현산 ‘격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6992
11.04.202507:21
모든 임대인에게 보증보험가입을 강제하는 법안입니다. 반대 ㄱㄱ
https://pal.assembly.go.kr/napal/search/lgsltpaSearch/view.do?lgsltPaId=PRC_P2X5V0W3U0V5T0U8P0O8O0N2N1M5M3
https://pal.assembly.go.kr/napal/search/lgsltpaSearch/view.do?lgsltPaId=PRC_P2X5V0W3U0V5T0U8P0O8O0N2N1M5M3
10.04.202501:26
펌)
광교
자연앤힐스테이트
33평 판상형 탑층 15.9억거래.
현재 매물은 판상 최저가 15.5, 타워형 15.2억 정도
중흥
34평 비호수뷰 6층 15.5억. 호수뷰 16억초반 매물있음
자연앤자이
39평 14.7억 급매가 이 동네 급매
전세가 부족하긴 한데 수요도 많지는 않아서 바로바로 나가진 않지만 지난 주말 자힐 33평 전세 8억 나감
잠실
파크리오
33평 113동 c타입으로 26억 거래.
1단지에서 같은 c타입으로 26.5 해서 2개가 주말에 나감
토허제로 매물자체가 많이들어갔고 다른데서 팔고온 사람들이 샀다는 썰
트리지움
33평 27.5억~29.5억으로 포진되어 있어서,
28억~28.5억 매물 중 하나 인 듯.
며칠전 333동이 27.6억에서 네고되서 거래됨
영통
전체적으로 전세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음
청명역세권 주공도 전세 1개뿐. 매물 없어서 못한다고 하시네요.
매매는 간간히 오지만 딱히 거래가 되는건 아닌데 전세 가격은 오를거같다는 이야기.
청명주공 24평
매매4.5~4.8억/전세 3.2억
분당수내동
양지마을
50평 114동 공원뷰로얄물건 24.5억 나온거 조정해서 24억정도로 오늘거래완료. 신고가.
푸른마을
32평 14.7억짜리 14.5억 정도 거래완료
손님은 별로 없는데 이 물건들이 주말에 집들보고 어제오늘 계약금 들어간 물건일 듯
광교
자연앤힐스테이트
33평 판상형 탑층 15.9억거래.
현재 매물은 판상 최저가 15.5, 타워형 15.2억 정도
중흥
34평 비호수뷰 6층 15.5억. 호수뷰 16억초반 매물있음
자연앤자이
39평 14.7억 급매가 이 동네 급매
전세가 부족하긴 한데 수요도 많지는 않아서 바로바로 나가진 않지만 지난 주말 자힐 33평 전세 8억 나감
잠실
파크리오
33평 113동 c타입으로 26억 거래.
1단지에서 같은 c타입으로 26.5 해서 2개가 주말에 나감
토허제로 매물자체가 많이들어갔고 다른데서 팔고온 사람들이 샀다는 썰
트리지움
33평 27.5억~29.5억으로 포진되어 있어서,
28억~28.5억 매물 중 하나 인 듯.
며칠전 333동이 27.6억에서 네고되서 거래됨
영통
전체적으로 전세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음
청명역세권 주공도 전세 1개뿐. 매물 없어서 못한다고 하시네요.
매매는 간간히 오지만 딱히 거래가 되는건 아닌데 전세 가격은 오를거같다는 이야기.
청명주공 24평
매매4.5~4.8억/전세 3.2억
분당수내동
양지마을
50평 114동 공원뷰로얄물건 24.5억 나온거 조정해서 24억정도로 오늘거래완료. 신고가.
푸른마을
32평 14.7억짜리 14.5억 정도 거래완료
손님은 별로 없는데 이 물건들이 주말에 집들보고 어제오늘 계약금 들어간 물건일 듯
09.04.202500:35
■ 탄핵 후 부동산 시장 전망
세금 정책 변화 예측
- 대통령 탄핵 소추: 최근 대통령 탄핵 소추가 가결되었으며, 야당이 정권을 잡을 경우 세금 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 세금 정책 변화: 야당이 정권을 잡게 된다면, 세금 정책에 대한 몇 가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세무사 의견: 세무사는 오늘 콘텐츠가 구독자들에게 세금 정책을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기대되는 변화: 기존 세제 정책을 살펴보면,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도소득세 및 종부세 변화
- 1세대 1주택자 과세 완화: 민주당은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과세를 완화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 반면, 다주택자나 고가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2주택자 중과세: 2주택자는 20% 중과세, 3주택자는 30%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다.
- 종부세 공정 가치 비율: 종부세의 경우, 과세 표준을 조정하는 공정 가치 비율이 95%에서 100%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세금 부담 증가: 양도소득세 중과 제도가 유예되어 있으며, 유예 기간 종료 전 세법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시행될 것이다.
국토 보유세의 도입
- 국토 보유세 개념: 국토 보유세는 토지를 가진 사람이 토지 가격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부담하는 제도이다.
- 세금 성격: 이 제도는 토지 보유자에게 일괄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준조세 성격을 가진다.
- 과거 유사 제도: 과거 50년대에 존재했던 토지 초과 이익세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 종부세와의 차이: 종부세는 건물과 관련된 세금인 반면, 국토 보유세는 토지 자체에 대한 세금이다.
재건축 초과익 환수제
- 제초한 폐지 논의: 재건축 초과익 환수제의 폐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 초과 개발 이익: 재건축을 통해 조합이 얻는 초과 개발 이익에 대해 최대 50%까지 부담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 정권 변화의 영향: 정권이 바뀌면 재건축 초과익에 대한 과세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예시: 서초구의 반포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의 경우, 조합원 1인당 1억 6천만 원의 부담금이 예상된다.
상속세 및 증여세 개편
- 상속세 개정 원점 회귀: 현재 상속세 개정은 원점으로 돌아가 백지화된 상태이다.
- 기존 공제 인상 제안: 정부는 자녀 공제를 1인당 5천만 원에서 5억으로 인상하고, 최고 세율을 50%에서 40%로 낮추자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상속세 과세 대상 증가: 2030년까지 서울의 아파트를 가진 중산층의 80%가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부동산 가격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상속세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
- 미실현 이득 과세 증가: 앞으로 세금 문제는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금 부담의 불공정성: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는 실제로 현금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을 내야 하는 불공정한 상황을 초래한다.
- 부동산 예시: 부동산을 3억에 구매했으나, 시간이 지나 10억이 되었을 경우, 미실현 이득에 대한 세금이 부과된다.
- 조세 불만의 원인: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는 조세 불만의 목소리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야당의 상속세 개편 주장
- 상속세 공제 인상 제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상속세 공제를 기존 5억에서 8억으로, 배우자 공제를 5억에서 10억으로 인상하겠다는 안을 주장하였다.
- 총체적 공제액: 총체적 공제액이 18억으로 증액되면, 수도권의 중산층이 상속세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세제 혜택의 중요성: 18억 공제는 상당한 세제 혜택으로 평가된다.
- 기타 공제: 금융 재산 공제 등 추가적인 공제가 존재하여 최대 20억까지 세금이 면제될 수 있다.
상속세 공제의 단점
- 상속세 공제의 문제점: 야당의 상속세 공제 인상에는 해결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 이중 과세 문제: 배우자 공제를 활용할 경우, 1차 상속에서 절세한 세금이 2차 상속에서 다시 부과되는 이중 과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증여세 정산: 상속세 신고 시 과거 10년치 증여 내역을 정산해야 하며, 이로 인해 세금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 절세 방법의 한계: 배우자 공제를 활용하는 방법은 임시 방편일 뿐이며,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과세 방식의 문제점
- 징벌적 과세 방식: 한국의 과세 방식은 징벌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세무사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 동기 부여의 필요성: 세금을 내는 국민들에게 동기 부여가 필요하며, 구슬리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 신뢰 구축: 세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교육과 청문회를 통해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 선진국으로의 발전: 세금 납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통해 한국이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세금 정책 변화 예측
- 대통령 탄핵 소추: 최근 대통령 탄핵 소추가 가결되었으며, 야당이 정권을 잡을 경우 세금 정책의 변화가 예상된다.
- 세금 정책 변화: 야당이 정권을 잡게 된다면, 세금 정책에 대한 몇 가지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세무사 의견: 세무사는 오늘 콘텐츠가 구독자들에게 세금 정책을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기대되는 변화: 기존 세제 정책을 살펴보면,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도소득세 및 종부세 변화
- 1세대 1주택자 과세 완화: 민주당은 1세대 1주택자에 대한 과세를 완화하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 반면, 다주택자나 고가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2주택자 중과세: 2주택자는 20% 중과세, 3주택자는 30% 중과세가 적용될 수 있다.
- 종부세 공정 가치 비율: 종부세의 경우, 과세 표준을 조정하는 공정 가치 비율이 95%에서 100%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세금 부담 증가: 양도소득세 중과 제도가 유예되어 있으며, 유예 기간 종료 전 세법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시행될 것이다.
국토 보유세의 도입
- 국토 보유세 개념: 국토 보유세는 토지를 가진 사람이 토지 가격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부담하는 제도이다.
- 세금 성격: 이 제도는 토지 보유자에게 일괄적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준조세 성격을 가진다.
- 과거 유사 제도: 과거 50년대에 존재했던 토지 초과 이익세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 종부세와의 차이: 종부세는 건물과 관련된 세금인 반면, 국토 보유세는 토지 자체에 대한 세금이다.
재건축 초과익 환수제
- 제초한 폐지 논의: 재건축 초과익 환수제의 폐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 초과 개발 이익: 재건축을 통해 조합이 얻는 초과 개발 이익에 대해 최대 50%까지 부담금을 부과하는 제도이다.
- 정권 변화의 영향: 정권이 바뀌면 재건축 초과익에 대한 과세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예시: 서초구의 반포 센트레빌 아스테리움의 경우, 조합원 1인당 1억 6천만 원의 부담금이 예상된다.
상속세 및 증여세 개편
- 상속세 개정 원점 회귀: 현재 상속세 개정은 원점으로 돌아가 백지화된 상태이다.
- 기존 공제 인상 제안: 정부는 자녀 공제를 1인당 5천만 원에서 5억으로 인상하고, 최고 세율을 50%에서 40%로 낮추자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상속세 과세 대상 증가: 2030년까지 서울의 아파트를 가진 중산층의 80%가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부동산 가격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상속세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
- 미실현 이득 과세 증가: 앞으로 세금 문제는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세금 부담의 불공정성: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는 실제로 현금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을 내야 하는 불공정한 상황을 초래한다.
- 부동산 예시: 부동산을 3억에 구매했으나, 시간이 지나 10억이 되었을 경우, 미실현 이득에 대한 세금이 부과된다.
- 조세 불만의 원인: 미실현 이득에 대한 과세는 조세 불만의 목소리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야당의 상속세 개편 주장
- 상속세 공제 인상 제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상속세 공제를 기존 5억에서 8억으로, 배우자 공제를 5억에서 10억으로 인상하겠다는 안을 주장하였다.
- 총체적 공제액: 총체적 공제액이 18억으로 증액되면, 수도권의 중산층이 상속세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세제 혜택의 중요성: 18억 공제는 상당한 세제 혜택으로 평가된다.
- 기타 공제: 금융 재산 공제 등 추가적인 공제가 존재하여 최대 20억까지 세금이 면제될 수 있다.
상속세 공제의 단점
- 상속세 공제의 문제점: 야당의 상속세 공제 인상에는 해결되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 이중 과세 문제: 배우자 공제를 활용할 경우, 1차 상속에서 절세한 세금이 2차 상속에서 다시 부과되는 이중 과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증여세 정산: 상속세 신고 시 과거 10년치 증여 내역을 정산해야 하며, 이로 인해 세금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 절세 방법의 한계: 배우자 공제를 활용하는 방법은 임시 방편일 뿐이며,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과세 방식의 문제점
- 징벌적 과세 방식: 한국의 과세 방식은 징벌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세무사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 동기 부여의 필요성: 세금을 내는 국민들에게 동기 부여가 필요하며, 구슬리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 신뢰 구축: 세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교육과 청문회를 통해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하다.
- 선진국으로의 발전: 세금 납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통해 한국이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07.04.202506:26
Ko'rsatilgan 1 - 24 dan 150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