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Mid-curve Research avatar

Mid-curve Research

TGlist reytingi
0
0
TuriOmmaviy
Tekshirish
Tekshirilmagan
Ishonchnoma
Shubhali
Joylashuv
TilBoshqa
Kanal yaratilgan sanaSep 26, 2023
TGlist-ga qo'shildi
May 27, 2024
Muxrlangan guruh

Rekordlar

29.04.202523:59
711Obunachilar
27.05.202423:59
0Iqtiboslar indeksi
28.05.202423:59
1.4KBitta post qamrovi
20.02.202523:59
1.3KReklama posti qamrovi
13.02.202511:07
8.21%ER
06.02.202512:49
287.27%ERR

Mid-curve Research mashhur postlari

30.04.202502:05
비트텐서(TAO) 서브넷 씨 뿌리기

TAO 가격이 오르면서 서브넷 토큰도 같이 뜨고 있음. 씨 뿌려둘 예정인데, 이상한 서브넷이 많아서 레짓한 팀이랑 서브넷 추려보려 함

1. Rayon Labs
- Bittensor 최상위팀, 전체 에미션의 25% 정도 차지하고 있음
- 파운더 1명이 옥스포트에서 통계학 석사, 다른 한명은 파키스탄의 카이스트 같은 곳에서 컴공 전공
- SN64 Chutes, SN56 Gradients, SN19 Nineteen 운영
- 누구나 AI를 쉽게 "구동", "훈련", "배포"할 수 있게 만드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2. Macrocosmos
- Bittensor 생태계 내에서 규모있는 팀 (24명+), 전체 에미션의 8% 정도 차지하고 있음
- 영국 기반 팀이고, UCL, Maastricht, Columbia 대학 출신 엔지니어들이 많음
- SN1 Apex, SN9 Pretrain, SN13 Data Universe, SN25 Folding, SN37 Finetuning 운영
- 서브넷 간 데이터, 결과, 모델이 순환하도록 파이프라인을 설계함. SN9(Pre-training) → SN37(Fine-tuning) → SN1(Inference). 단순히 독립적인 서브넷 여러 개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계되면서 가치를 상승시키는 구조를 목표로 함.

3. Flock
- Flock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AI 모델을 훈련·조정하고, 보상과 거버넌스를 탈중앙화하고자 하는 Web3 플젝.
- Flock은 OKX, 애니모카 등으로 부터 $9M 투자 받았으며, 현재 시총 $14M임.
- 최근에는 Qwen(알리바바가 만든 AI 모델)과 파트너십 체결하며 주목 받은 바 있음.
- 그저께는 파운더가 Qwen과 함께 SN69 Unknown에서 뭐 할거라는 것을 암시하는 글을 올림.
- 발표 직후 SN69 Unknown 가격은 약 9배 정도 상승했으며, 현재는 일부 조정받은 상태

4. OpenKaito
- 카이토에서 진행하는 팀으로, 최고 성능의 범용 텍스트 임베딩 모델을 개발·제공하고자 목표하고 있음
- 현재 전체 서브넷 중 14번 째로 가격이 높으며, 에미션의 1.58%를 차지하고 있는 SN5 OpenKaito를 운영 중
- 이름 값이 좋긴한데, 최근에 활동을 열심히 안하는 것 같음

5. Tensorplex
- 바이낸스 랩스, 아서 헤이즈 등으로 부터 투자 받은 팀. $3M이상 투자 받았는데, 정확한 규모는 알려지지 않음.
- Tensorplex는 TAO 리퀴드 스테이킹, 브릿지, 익스플로러 등 전반적인 인프라 제공하고 있음
- 또한 SN52 Dojo 운영하고 있음. Dojo는 현재 16번째로 가격이 높은 서브넷이며, 에미션의 1.66%를 차지하고 있음
- Dojo는 AI/ML 모델 훈련과 AI 에이전트 운영에 필요한 인간 지능 데이터를 제공하고 보상받을 수 있는 서브넷
베라체인 거버넌스 업데이트

https://blog.berachain.com/blog/berachain-governance-update-new-rfrv-standards-a-clearer-path-forward

주요 변경 사항

- 프로토콜 소유 유동성 억제: 리워드 볼트 등록 시 단일 주체가 해당 풀의 소유권 중 40% 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아야 하고, 20% 이상을 가지고 있는 주체들은 모두 식별되어야 함.

- 리워드 볼트 부스팅 가중치 제한 도입: 단일 리워드 볼트에 실행할 수 있는 밸리데이터의 리워드 볼트 부스팅 가중치를 최대 30%로 제한. (앞으로 밸리데이터들은 최소 4개의 리워드 볼트를 부스팅 해야함.)

상기 사항들 1주 이내로 업데이트 반영 예정.
08.04.202508:21
역 플라이휠 조심하라고 글까지 써놓고 역플라이휠 톱니바퀴에 온몸 갈려나가는 중

https://research.despread.io/ko/berachain-risk/
11.04.202504:48
야락장 버티기 1일차

카나랩스 수익률 대회(테스트넷이라 돈 안듬)

총 상금 1,000 APT

https://testnet-perps.kanalabs.io/?market=APT-PERP

리더보드
https://app.kanalabs.io/pnl
11.04.202508:34
화요일 행사 오시면 제가 작성한 아티클이 포함된 책과 베라체인 굿즈, 그리고 긴장해서 벌벌떨며 스피치를 하는 저를 만나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30.04.202504:25
현재 yBGT/yBERA 페어가 인센티브 레이트 1위

팀 피셜 인센티브 고갈 없게 운영하는게 목표라고 함.

$yBGT 프리미엄도 출발 ~
Kodiak TGE 이후 성적.. 그리고 과연 TGE는?

🍯디파이라마 DEX 쪽을 보다가 꽤 흥미로워서 가져와봤곰

🐻현재 Kodiak 의 TVL은 1.35b로 4위지만 사실 진짜 TVL은 boyco가 끝나고 시간이 좀 지나야한다는걸 모두가 알고 있곰.
그래도 POL 돌입 이후 지난 이틀간 하락때 TVL이 빠진 것을 빼면 꾸준히 우상향했는데, 아마 첫번째 승인된 리워드볼트목록의 70% 가량이 코디악 풀이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최근 7일간 fee 부문에서 764k 로 전체 DEX 중 11위, 에어로드롬 의 절반 가량인게 꽤 놀라웠는데, 왜냐면 지금 베라에서는 거래가 활발한 케이스들이 전혀 없고 (tg봇들 다죽는중...) 거래할 토큰 숫자도 많지 않은데 비해 비교적 괜찮은 성적인 것 같곰

🐻해당 fee를 코디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한데, 최근 Auto-BGT 라는 기능(트윗원문)을 통해 (참고:미드커브리서치채널) 토큰 farm의 주인장들이 아닌 kodiak 에서 수수료를 다시 인센티브를 지원해주는 미친 기능을 선보였는데, 이 말은 곧 코디악에서 직접 지원해주는 풀을 생성하는 것이 모든 생태계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것이 된다는 뜻...

🐻심지어 자체 밸리 2개(10M 맥스밸리는 아니지만)를 보유하고 있어 앱 단에서 인프라레드 다음 가는(허니자와 동급정도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지 않나 합니다.

🐝그럼 토큰은? 에서는 솔직히 저도 모르겠곰.. 다만 최근 beradrome kodiak 파트너쉽 풀에서 캘 수 있었던 xKDK가 사라진 것으로 보아 어느정도 토크노믹스 계산/정리가 끝나고 타이밍을 생각하지 않나 싶고, 저희가 할 수 있는 건 지금 크게 없는 것 같습니다. 그냥 우가부가 쓰다보면 쌓이는 거래량 정도 아닐지...

🐝코디악 토큰으로 뿌려지는 boyco 물량을 고려하면 5월 쯔음 상황에 따라 TGE를 할 것 같은데... 넘사벽 인프라레드 제외 다음가는 스케일이니 어떻게든 잘 성공해주고 PoL과 생태계로 낙수 효과가 있었으면 하곰
Bearn 근황

- $yBGT는 $BGT 유동화 토큰 중 가장 높은 프리미엄 형성 중.

- 포인트 프로그램 공식적으로 시작.
얼리 유저들한테 300K 개의 포인트 분배 완료.

매주 75K 개의 포인트 를 $yBGT 스테이커와 yBGT/yBERA 유동성 공급자들에게 분배할 예정.


포인트는 $BEARN TGE 이후 1대 1 비율로 해당 토큰과 교환될 예정.

다만 $BEARN 토큰은 별다른 유틸리티가 붙을 여지가 없어 보상이 매력적이진 않을 듯.

- yBGT/yBERA 풀의 유동성이 $100K에 도달해야 리워드 볼트로 등록 가능.

하루사이에 두배 정도 올라서 현재 $65K 상당.

- 원래 $yBGT 스테이커들이 100% 수취해야 하는 인센티브 보상을 yBGT/yBERA 유동성 공급자들에게도 분배하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단일 스테이킹 APR은 260% 수준.

리워드 볼트 등록 이후 단일 스테이킹 APR은 더 높아질 예정.
$yBGT, $BGT 유동화 엔드게임?

Curve War에서도 방구 좀 뀌던 Yearn Finance가 Bearn이라는 이름의 $BGT 유동화 프로토콜로 $BGT 전쟁에 참여하네요.

특장점

- $yBGT에는 부스팅 투표 권한 유틸리티가 존재(아마도 스테이커들에게)하며, 1 $yBGT는 1개 이상의 $BGT 투표권을 가짐.

- $yBGT는 $yBERA와 페어를 형성할 예정.
yBERA란?


Yearn에 $BERA를 예치받아 운용하는 멀티 전략 볼트의 유동성 토큰. 1대 1 비율로 BERA로 상환 가능하다고 함.
Yearn의 멀티 전략 볼트 수익금은 yBGT/yBERA 리워드 볼트의 브라이브로 활용 예정


- 여러 전략에 대한 오토 컴파운딩 가능.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은 요정도입니다.

물론 Yearn의 볼트 수익률이라던지 실제 yBGT 수요는 리워드 볼트 등록 이후를 봐야 하겠지만 구조만 놓고 보면 그저 아름답네요.

의도한 대로 잘 작동한다면 장기적으로는 $BGT 유동성 토큰 중 가장 높은 프리미엄이 붙을 여지가 있어보임.
이니시아 메인넷 D-1!

이니시아는 전체 토큰 발행량의 25%를 VIP에 할당한 만큼, 개인 입장에서도 괜찮은 수익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인센티브 프로그램가 그렇듯, INIT 에미션 대비 인센티브 보유 지분에 따라 ROI가 결정되는데, 초기에는 경쟁이 치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VIP 스코어를 쌓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 않으리라 짐작해봅니다.

VIP를 간단히 설명하면,

- 롤업이 설정한 조건(렌딩 차입, 게임 플레이, NFT 민팅 등)을 충족하면 VIP 스코어를 획득. VIP 스코어는 2주 단위 에포크마다 집계되고, 이에 따라 INIT 보상이 주어짐

VIP를 보다 디테일하게 살펴보면,

- esINIT 유동화: VIP 보상은 에스크로된 형태인 esINIT으로 분배됨. 이를 유동화하려면, 다음 에포크까지 VIP 스코어를 유지하거나 LP 예치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함

- VIP 화이트리스트: 모든 롤업이 VIP 할당을 받는 것은 아님. 최소 TLV 기준을 충족한 상태로 거버넌스 승인을 통해 VIP 자격을 획득해야 함. 이 현황을 모니터링하다가 초기에 VIP 스코어를 빠르게 쌓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음

- INIT 할당: 각 롤업이 에포크마다 받는 VIP 할당은 계속 달라짐. 이는 1)롤업에 브릿지된 INIT의 규모, 2)게이지 보팅 결과에 의해 결정함. 따라서 에포크마다 게이지 보팅 결과, INIT 브릿지 규모, 참여자 비율을 가늠해서 전략을 짜볼 수 있음 (이 대시보드를 통해 VIP 모니터링 가능)

그래서 메인넷이 열리면 무엇을 해야하나? 아직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상기했듯 각 롤업이 어떤 VIP 보상 조건을 설정할지, 그리고 어떤 롤업이 VIP 자격을 획득할지는 메인넷 이후 확인이 필요합니다.

VIP 타임라인에 따르면, 이러한 과정이 메인넷 런칭 직후 Stage 0에서 이뤄지며, 본격적인 VIP는 다음 에포크인 Stage 1(약 2주후)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까지의 생태계 현황을 바탕으로는 아래와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디파이
- Inertia, MilkyWay가 주요한 디파이(LRT, 렌딩) 롤업

- INIT의 LST, LRT 담보로 INIT 차입 및 루핑 + VIP 보상

- nlINIT or milkINIT-INIT LP 예치 + VIP 보상 (이게 제일 좋아 보임)

등등, Enshriend Liquidity(베라체인처럼 LP 포지션 스테이킹)와 VIP를 활용해서 다양하게 운용해볼 수 있을듯


게이밍
- VIP가 재밌는 점은, 기존의 P2E류 게임이 대부분 시간, 자원의 투입에 따라 인센티브를 분배했다면, VIP는 롤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원하는 것 무엇이든 보상 기준으로 정해 인센티브 설계를 할 수 있음. 가령, BFB는 무조건 승점과 실력 위주의 보상을 하겠다고 선언한 바있음

- 순수 재미는 좀비 vs 식물같은 오토 배틀러 게임인 BFB가 가장 할만함. 그외 Civitia(모노폴리류 게임)와 Kamigotchi(다마고치 + 타일형 RPG)가 있음


카발 (브라이브 프로토콜)
- 베라체인과 달리 이니시아는 벨리데이터가 인센티브 할당을 결정(게이지 보팅, BGT 위임)하지 않음. 대신, INIT 스테이킹 지분에 보팅 파워가 부여됨.

- 이때, 카발은 커브 워 당시의 Yearn, Convex처럼 보팅 파워를 활용해 일드 최적화해주는 프로토콜임. 즉, 롤업들이 카발에 브라이브를 제공하고 보팅 파워를 얻을 수 있음.

- 따라서, 몇 개의 에포크가 지나 VIP가 활성화된 시점에는 다른 LRT 대비 높은 APY가 붙을 것으로 예상됨. 이를 활용해 사용자는 sxINIT(카발 LST 스테이킹 포지션)으로 다양한 일드 출처(LP 수수료, 스테이킹 리워드, 브라이브)에 노출될 수 있음
30.04.202502:08
요약

Rayon Labs
Chutes
Gradients
Nineteen

Macrocosmos
Apex
Pretrain
Data Universe
Folding
Finetuning

Flock
Unknown(69번)

Kaito
OpenKaito

Tensorplex
Dojo

렛츠고
🐻 탈당했는데도 챙겨주시다니요..베라체인 밸리데이터 디스프레드의 호감작

저점에 쫄튀해서 저는 베라 기본소득당에 탈당했지만, 밸리데이터들은 묵묵히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 중에 국내 밸리데이터인 디스프레드도 맛도리 인센티브를 만들려고 노력하면서 필사 영업중인데요.

개인적으로 트랭크스님이 써주시는 베라체인인센티브는 저도 도움이 많이 되어 참고하는 편입니다.

높은 인센티브를 위해 매일 최소 3회 이상의 BGT 볼트 보팅 리밸런싱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생태계 기여 → 인센티브 환원 → 지속적 성장'이라는 선순환 플라이휠을 커뮤니티와 함께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위 방식처럼 실제로 베라체인을 탐방하고 있는 파이터들이 밸리데이터 인센티브도 기획하여 하고 있어 그만큼 맛있게 말아줄 거라 기대할 수 있겠죠? 이번에 서울에서 베라체인 관련 밋업도 한다고 하니 참고!

🐻 BeraHive Seoul: https://lu.ma/012rzm94
🐼 Beras in Seoul: https://lu.ma/sevs1qmx

그리고 저는 잠시 탈당했지만, 그래도 한국에서 베라체인을 가장 적극적으로 다룬 KOL로써 커뮤니티에 스벅 100잔 뿌릴 찬스권을 얻었습니다!

구글폼 신청하러 가기


조건 따로 없습니다! 그냥 신청하시고 당첨되면 커피 받아가셔유! 탈당해서 미안하다.
베이스와 제시폴락은 정말 정말 꿀밤이 마려움

작년 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베이스 섬머를 이끌었던 버츄어는 이악물고 모른 척하는 반면, 아무도 관심없는 파캐스터를 억지로 밀던 행보를 보임. 이때부터 베이스와 제시 폴락이 말하는 빌더 중심 메시지에는 어떠한 진정성도 느끼지 못해왔음

트위터에도 올렸었지만, 최근에는 조라와 함께 Content Coin이라는 내러티브를 억지로 만들어내더니, 정작 본인들이 시장 생리에 전혀 맞지않은 제품을 내놓고서는 참여자들을 어리석은 파머 취급함

Zora TGE에서 보여지는 경과는 베이스의 인사이더 문화와 위선적인 태도를 전형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함. 이렇게 된 이상,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베이스의 앞날을 저주할 수밖에 없음
24년 곡갱이 최고 아웃풋
3,3 폰지의 새지평을 열엇던 에어로드롬


0.01에서 시작해서 거의 2.5불 250배 올렸던, 폰지하나는 기가막히게 햇던 DEX임

지금도 베이스 TOP 볼륨의 DEX임.

에어로 같은 경우에는 죽엇던놈이, 불장과 버추얼의 미친 거래량으로 다시 고점으로 부활하는 모습을 보여줫엇음.

지금은 장도 안좋고, DEX들 거래량이 죽을 쓰고 있어서, 곡갱이 코인의 운명답게 무한 우하향중임.

베라도 그래서 끝이 아니라는 거임.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겟지, 다시 유동성인 넘치고 거래량이 터지는 시즌이 돌아오면, 전고뚫고 하이킥을 할수도 있다 생각함.

하지만 베라의 바닥은 언제가 될지 모르겟음.
대충 지켜보다가 상방으로 추세 전환되면 그때 다시 타보면 괜찬을꺼 같다고 생각됨.
20.04.202509:54
플라이휠은 돌지 않았다. 왜?

프로토콜의 인센티브가 회복하는 추이가 관찰되었지만, 이 추이가 장기적으로는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아니, 정확하게 얘기하면 $BERA 가격 상승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며칠 간 그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고, 생태계 빌더들의 의견을 참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 현 인센티브 지급 구조의 문제

지금 프로토콜이 인센티브를 배출할 때 설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는 총 3가지입니다.
1. 어떤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2. 얼마나 많은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3. 풀에서 발생되는 $BGT 1개 당 몇 개의 인센티브 토큰을 지불할 것인지?


즉, 인센티브가 지출되는 전체 기간을 프로토콜이 설정할 수 없으며, 밸리데이터들의 보팅이 쏠릴 경우 빠르면 반나절만에 인센티브가 고갈되곤 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밸리데이터들은 인센티브 레이트가 높게 설정된 리워드 볼트를 쫓아 보팅 변경을 자주 실행하게 되고, 빠른 보팅 변경을 소화하지 못하는 밸리데이터들로 인해 해당 밸리데이터에게 위임된 $BGT의 내제가치는 하락하여 전체 $BGT의 내제가치와 희석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프로토콜들 또한 낮은 인센티브 레이트로 지속가능한 인센티브 지출을 보장하는 것이 아닌, 높은 레이트로 단기 배출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BGT 배출 확보가 프로토콜의 장기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것이 아니라 높은 인센티브를 배출하는 저시총 토큰의 펌프앤 덤프를 유도하게 됩니다.

“뭐 그래도 단기적으로는 PoL 참여 수요가 증가하며 $BERA 가격도 올라야 하는거 아냐?” 라는 생각이 들 수 있겠지만, 여기에는 또 다른 문제가 존재합니다.

- 유동성 $BGT의 가치 흡수

투자자들은 인센티브 총량이 늘어날 때, 유동성 $BGT 토큰을 매수하여 단기적으로 인센티브를 수취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즉, 인센티브 총량이 증가하면, 유동성 $BGT 토큰들이 $BERA보다 우선적으로 인센티브 증가에 대한 가치 포착에 성공하게 됩니다.

물론, 유동성 $BGT 토큰들의 프리미엄이 상승하면, PoL 참여 수요를 끌어올려 장기적으로는 $BERA 가격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에게 플라이휠 모멘텀이 생겼다는 것을 각인시키고, 유동성 공급을 통한 $BGT 파밍을 유도하는 데에는 조금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동안 프로토콜들이 간헐적으로 지출하는 인센티브는 고갈되어 버리고, 유동성 $BGT 토큰의 프리미엄 또한 상승을 멈추며 PoL 참여에 필요한 $BERA의 수요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난 10일간의 인센티브 배출량의 증가가 $BERA 가격 증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