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avatar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avatar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피규어에 이어 내일은 1X가 또 무언가를 공개....피규어가 395억달러(57조원* 현대차 42조원보다 큼..) 밸류라고 하는데 요즘 정말 난리도 아니네요
한경 바이오포럼

유한양행. 3월 유럽폐암학회에서
아미반타맵/레이저티닙 mOS 데이타 공식발표 언급.
이후 비소세포폐암 mEGFR prefered 1차 치료제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
댄공 운수권/슬롯 이관이 진행되고 있나봅니다
20.02.202521:57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2.210]

2.20 국내외 주요 뉴스

#일라이 릴리 +0.7#
> 일라이 릴리가 체중 감량 경구 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 3상 데이터 공개 전부터 $550mn 규모의 사전 출시 재고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남
> 오포글리프론은 2026년 출시 예정으로, 통상적인 승인 직전 재고 확보 시점보다 빠르게 준비하여 시장 선점 및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것으로 보임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eli-lilly-bets-big-weight-loss-pill-with-550-million-inventory-stockpile-2025-02-20/

#인사이트 +1.7%
> 인사이트가 제네시스 테라퓨틱스와 AI 기반 미공개 타겟 저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협력 계약 체결(선급금 $30mn, 타겟 당 마일스톤 최대 $295mn)
> 초기 협력 대상은 중증 질환 관련 2개 타겟이며 타겟 추가 확장 시 인사이트가 별도의 수익 지급 받을 예정
> 제네시스의 GEMS는 새로운 분자를 생산하고 효능, 선택성, 약동학 등의 특성을 예측하는 플랫폼으로, 제넨텍, 길리어드, 릴리 등 빅파마와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incyte-pens-900m-biobucks-ai-pact-use-genesis-gems-develop-new-drugs

#동아에스티 +0.4%, SK바이오팜 -2.9%
> 동아에스티가 식약처에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세노바메이트)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힘
> 동아에스티는 2024년 1월 SK바이오팜으로부터 세노바메이트를 기술도입하였으며 국내외 30개국에 대한 허가, 판매, 완제의약품(DP) 생산을 담당함
> 미국에서는 2019년 11월 FDA 승인을 받아 SK라이프사이언스가 판매 중이며 누적 처방 환자 수는 14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2

#큐로셀 0.0%
> 큐로셀이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 발행을 결정
> CD19 CAR-T 치료제 안발셀(제품명 림카토주)의 적응증 확대, 신규 CAR-T 치료제 개발 등을 위한 운영자금에 320억원, 바이러스벡터 제조설비 구축에 설비자금 10억원을 사용할 예정
> 한편 큐로셀은 안발셀에 대한 병행 심사 결과가 2025년 상반기에 도출된 후 하반기 국내 출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음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370
20.02.202509:41
참고

작년 중국산 후판 수입물량은 연간 138만톤(+5.5%yoy)

현재(2/14 기준) 국내 후판 가격 헌재 90만원/톤(중국산 대응재는 80만원/톤), 중국산 수입 유통가 78만원/톤

중국산 후판에 관세 30%부과시 101만원/톤이 되기 때문에 일반재, 중국산 대응재 모두 중국 대비 가격경쟁력을 갖게 됨
19.02.202522:21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2.20]

2.19 국내외 주요 뉴스

#BMS +1.0%
> BMS가 옵디보+화학요법 병용 임상3상(CHECKMATE-816) 최종 결과에서 절제 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통계적,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전체 생존(OS) 개선을 확인했다고 발표
> 옵디보+화학요법 병용은 화학요법 치료군 대비 병의 진행, 사망 위험을 37%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남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bristol-myers-squibb-notches-overall-survival-win-opdivo-pre-operative-nsclc

#MSD +2.8%
> 미국 머크가 Epitopea와 특정 고형암에서 ‘숨겨진’ 종양 항원을 발굴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함(선급금 비공개, 제품당 마일스톤 최대 $300mn)
> 에피토피아는 Cryptigen 종양 특이 항원 발굴 및 범용 RNA 기반 면역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는 영국 소재 바이오텍으로 전임상 단계에서 플랫폼을 테스트하고 있음
https://www.biospace.com/deals/merck-and-epitopea-join-forces-to-identify-unknown-tumor-antigens

#셀트리온 +0.2%
> 트럼프 정부가 의약품에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셀트리온은 2025년 상반기 중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에 대한 투자 결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 셀트리온은 또한 미국 판매 예정인 제품에 대해 이미 1월 말 기준 약 9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하였으며, 현지 CMO 업체와의 추가 생산 가능 물량도 확보하였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응 체계를 구축하였다고 설명
> 한편 셀트리온은 1천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2월 20일부터 진행할 예정. 2024년에는 총 5,346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을 완료한 바 있음
https://www.celltrion.com/ko-kr/company/notice/3688

#메디톡스 +1.0%
> 메디톡스가 세르비아에서 HA 필러 뉴라미스 2종의 품목허가를 획득함
> 성공적 시장 진입을 위해 파트너사와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힘
> 메디톡스는 뉴라미스를 중동, 남미, 아시아 등 총 35개국에서 판매하고 있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14
Repost qilingan:
한국경제 avatar
한국경제
19.02.202504:18
"요즘은 비수기도 없어요"…오히려 '신규 취항' 늘리는 항공사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94741g
• 간단히 핵심만 보자면 특징은 (1) 모델을 System 1,2로 분리하여 고차원의 사고와 저수준의 고속 행동제어를 리얼타임 수준으로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최적화했고 (2) 멀티로봇 협업 개념을 제시했다는 점 같습니다.

• 사실 지금까지 나온 여럿 로봇 AI 모델(구글의 RT-2, 피지컬인텔리전스의 PI0 등)과 비교하면 아키텍처는 그다지 새롭지는 않지만... 흥미로운 것은 멀티로봇 협업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점인 것 같네요. 기존의 단일 로봇 작업에서 복수 로봇간 협동이 가능해지면 휴머노이드 활용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 같습니다.

• 참고로 피규어는 작년에 26억달러 밸류로 평가받았는데 지금은 395억달러로 15억달러를 투자 유치 중이라고 합니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artificial-intelligence/robotics-startup-figure-ai-talks-new-funding-395-billion-valuation-bloomberg-2025-02-14/)
20.02.202509:19
[유진 철강금속 이유진] ☎02-368-6141

철강금속 위클리 - 철강재 반덤핑 제소 움직임(09/09)

* STS, 후판, 그리고 열연강판까지
- 올해 7월, 현대제철은 산업자원통상부에 중국업체들의 후판 반덤핑 제소 검토를 요청
- 최근에는 열연강판과 형강에까지 제소 검토를 요청하는 움직임
- 올해 8월까지 철강재 수입은 1,014만톤 전년 대비 -5.4%ytd 감소
- 여전히 중국 수입량은 609만톤 +1.7%ytd, 특히 중국산 후판은 +9.1%ytd 증가한 96만톤

* 과연 반덤핑 관세 도입 시 영향은?
- 2021년 이전 8년 간 연간 STS 열연 평균 수입량은 50만톤이었으나, 2021년 25만톤, 2022년 26만톤, 2023년 30만톤으로 수입량이 AD 도입 이전 보다 감소한 추세를 유지
- 반덤핑 제소 요청에서 도입까지는 1년 정도의 시간

(보고서링크) https://bit.ly/3TkCbEC

■컴플라이언스 검필
Ko'rsatilgan 1 - 24 dan 360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