Не змогли отримати доступ
до медіаконтенту
до медіаконтенту
25.04.202504:18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1.04%,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1.04%,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24.04.202522:04
24.04.202507:54
Lenovo와 HP, Dell 등의 PC 대기업들이 관세 위험 속 사우디아라비아를 생산 거점 타겟으로 삼은 것으로 알려져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4/news-pc-giants-lenovo-hp-and-dell-reportedly-set-sights-on-saudi-arabia-production-amid-tariffs-risks/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4/news-pc-giants-lenovo-hp-and-dell-reportedly-set-sights-on-saudi-arabia-production-amid-tariffs-risks/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3.04.202521:57
[4월 23일, 전세계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4%, Sandisk +2%, Kioxia +4%, Seagate +4%, WDC +3%
♠ 비메모리: Nanya -2%, Intel +6%, Nvidia +4%, AMD +5%, Broadcom +4%, Marvell +6%, Qualcomm +1%, Arm +5%, Skyworks +1%
TI +4%, ADI +3%, NXP +4%, STMicro +4%, Microchip +4%, On Semi +3%, Silicon Motion +6%, Mediatek +5%, Renesas +3%, Novatek +2%
◆ 파운드리: TSMC +4%, SMIC 0%, UMC +3%, GFS +4%, VIS +3%
◆ 후공정: ASE +4%, Amkor +3%, Agilent +2%, Chipbond +2%
♥ 장비: ASML +3%, AMAT +4%, LAM +5%, TEL +2%, KLA +3%, AMEC -1%, Naura -1%
♥ 소재: Linde -1%, Air Liquid 0%, Air Products 0%, Merck +2%, ADEKA +2%, Resonac +1%, Siltronic +4%, Sumco +2%
♣ 서버: Dell +6%, HPE +1%, Lenovo +4%
♣ 클라우드: Amazon +4%, Microsoft +2%, Alphabet +3%, Apple +2%, Meta +4%, Netflix +1%, Alibaba +3%, Tencent +3%, Baidu +3%
♣ EDA/SW: Oracle +3%, Salesforce +3%, Synopsys +2%, Cadence +3%
♣ Quantum: IBM +2%, IonQ +5%, Rigetti Comp. +6%, D Wave +14%, Quantum Comp. +7%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4%, Sandisk +2%, Kioxia +4%, Seagate +4%, WDC +3%
♠ 비메모리: Nanya -2%, Intel +6%, Nvidia +4%, AMD +5%, Broadcom +4%, Marvell +6%, Qualcomm +1%, Arm +5%, Skyworks +1%
TI +4%, ADI +3%, NXP +4%, STMicro +4%, Microchip +4%, On Semi +3%, Silicon Motion +6%, Mediatek +5%, Renesas +3%, Novatek +2%
◆ 파운드리: TSMC +4%, SMIC 0%, UMC +3%, GFS +4%, VIS +3%
◆ 후공정: ASE +4%, Amkor +3%, Agilent +2%, Chipbond +2%
♥ 장비: ASML +3%, AMAT +4%, LAM +5%, TEL +2%, KLA +3%, AMEC -1%, Naura -1%
♥ 소재: Linde -1%, Air Liquid 0%, Air Products 0%, Merck +2%, ADEKA +2%, Resonac +1%, Siltronic +4%, Sumco +2%
♣ 서버: Dell +6%, HPE +1%, Lenovo +4%
♣ 클라우드: Amazon +4%, Microsoft +2%, Alphabet +3%, Apple +2%, Meta +4%, Netflix +1%, Alibaba +3%, Tencent +3%, Baidu +3%
♣ EDA/SW: Oracle +3%, Salesforce +3%, Synopsys +2%, Cadence +3%
♣ Quantum: IBM +2%, IonQ +5%, Rigetti Comp. +6%, D Wave +14%, Quantum Comp. +7%
[박유악 키움 반도체]
23.04.202503:56
Huawei가 이르면 5월부터 Ascend 910C의 대량 출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2/news-huaweis-910c-ai-chip-reportedly-gears-up-for-mass-shipment-in-may-amid-u-s-curbs-on-nvidia/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2/news-huaweis-910c-ai-chip-reportedly-gears-up-for-mass-shipment-in-may-amid-u-s-curbs-on-nvidia/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5.04.202500:37
Amazon과 Nvidia가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우려를 일축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4.04.202522:03
[메모리 반도체 스팟 시장]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DRAM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DRAM 현물 시장에서는 주로 Samsung과 Micron의 DDR3/DDR4 브랜드 칩에 수요가 집중되었음. 구매자의 목표 가격은 일반적으로 견적보다 낮았지만, 일부 공장에서는 거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음. 그러나 판매자들의 매도 거부로 인해 전체 거래량은 크게 늘지 않았음
2)주요 제품 가격
DDR4 16Gb $3.5(1D +0.8%, 2W +7.5%, 1M +11.9%)
DDR5 16Gb $5.5(1D +0.4%, 2W +4.5%, 1M +5.8%)
DDR4 Spot Premium +38%, 한달전 +24%
DDR5 Spot Premium +46%, 한달전 +38%
▶ NAND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NAND 현물 시장에서는 호가가 상대적으로 산발적이어서 공급과 수요 측면 모두 더욱 신중한 관망세를 채택함. 불확실한 미래 전망으로 인해 적극적인 문의가 이뤄지지 않았음. 전반적으로 시장은 좁은 변동을 보임
TLC 512Gb $4.4(1D +0.0%, 2W +0.0%, 1M +0.0%)
TLC 1Tb $10.3(1D +0.0%, 2W +0.0%, 1M +0.0%)
TLC 1Tb Spot Premium -5%, 한달전 -5%
▶ LCD 주요 제품 평균가격
TV $76(2W +0.0%, 1M +0.8%, 3M +4.4%)
MNT $45(2W +0.5%, 1M +1.1%, 3M +1.4%)
NB $31(2W +0.0%, 1M +0.0%, 3M +0.0%)
▶ 자료: https://buly.kr/DwDzZ53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DRAM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DRAM 현물 시장에서는 주로 Samsung과 Micron의 DDR3/DDR4 브랜드 칩에 수요가 집중되었음. 구매자의 목표 가격은 일반적으로 견적보다 낮았지만, 일부 공장에서는 거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음. 그러나 판매자들의 매도 거부로 인해 전체 거래량은 크게 늘지 않았음
2)주요 제품 가격
DDR4 16Gb $3.5(1D +0.8%, 2W +7.5%, 1M +11.9%)
DDR5 16Gb $5.5(1D +0.4%, 2W +4.5%, 1M +5.8%)
DDR4 Spot Premium +38%, 한달전 +24%
DDR5 Spot Premium +46%, 한달전 +38%
▶ NAND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NAND 현물 시장에서는 호가가 상대적으로 산발적이어서 공급과 수요 측면 모두 더욱 신중한 관망세를 채택함. 불확실한 미래 전망으로 인해 적극적인 문의가 이뤄지지 않았음. 전반적으로 시장은 좁은 변동을 보임
TLC 512Gb $4.4(1D +0.0%, 2W +0.0%, 1M +0.0%)
TLC 1Tb $10.3(1D +0.0%, 2W +0.0%, 1M +0.0%)
TLC 1Tb Spot Premium -5%, 한달전 -5%
▶ LCD 주요 제품 평균가격
TV $76(2W +0.0%, 1M +0.8%, 3M +4.4%)
MNT $45(2W +0.5%, 1M +1.1%, 3M +1.4%)
NB $31(2W +0.0%, 1M +0.0%, 3M +0.0%)
▶ 자료: https://buly.kr/DwDzZ53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24.04.202507:54
삼성전자가 HBM3E와 HBM4 중심 전환을 위해 HBM2E를 단계적으로 폐지할 전망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4/news-samsung-reportedly-phasing-out-hbm2e-as-focus-shifts-to-hbm3e-and-hbm4/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4/news-samsung-reportedly-phasing-out-hbm2e-as-focus-shifts-to-hbm3e-and-hbm4/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3.04.202522:06
23.04.202507:05
[4월 23일, 대만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2%, Winbond +1%, Macronix +3%
♠ 비메모리: Mediatek +5%, Novatek +2%, Realtek +4%
◆ 파운드리: TSMC +7%, UMC +2%, VIS +3%
◆ 후공정: ASE +8%, Chipbond +2%, PTI +6%, ChipMOS +4%, KYEC +5%
♥ 반도체 유통: Adata +2%, Transcend +3%, Phison +4%
♥ Apple Vendor: Hon Hai +5%, Pegatron +3%, Largan +4%, Genius +4%, Catcher +2%
♣ 서버: Aspeed +9%, Nuvoton +6%, Quanta +5%, Inspur +1%, Wiwynn +7%, Inventec +2%, Mitac +3%, Asrock +6%
♣ PC: Acer +2%, Asustek +6%, Lenovo +4%, Gigabyte +5%, Compal +4%, Wistron +4%
■ PCB: Unimicron +10%, Nanya PCB +10%, Kinsus +6%
■ EV(패키징): Simplo +4%, Dynapack +6%
● LCD 패널: AUO +2%, Innolux 0%, Hannstar +1%
● MLCC: Yageo +4%, Walsin +3%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2%, Winbond +1%, Macronix +3%
♠ 비메모리: Mediatek +5%, Novatek +2%, Realtek +4%
◆ 파운드리: TSMC +7%, UMC +2%, VIS +3%
◆ 후공정: ASE +8%, Chipbond +2%, PTI +6%, ChipMOS +4%, KYEC +5%
♥ 반도체 유통: Adata +2%, Transcend +3%, Phison +4%
♥ Apple Vendor: Hon Hai +5%, Pegatron +3%, Largan +4%, Genius +4%, Catcher +2%
♣ 서버: Aspeed +9%, Nuvoton +6%, Quanta +5%, Inspur +1%, Wiwynn +7%, Inventec +2%, Mitac +3%, Asrock +6%
♣ PC: Acer +2%, Asustek +6%, Lenovo +4%, Gigabyte +5%, Compal +4%, Wistron +4%
■ PCB: Unimicron +10%, Nanya PCB +10%, Kinsus +6%
■ EV(패키징): Simplo +4%, Dynapack +6%
● LCD 패널: AUO +2%, Innolux 0%, Hannstar +1%
● MLCC: Yageo +4%, Walsin +3%
[박유악 키움 반도체]
23.04.202503:56
삼성전자가 커진 관세 부담으로 인해 테일러메이드 칩 제조 장비 도입을 주저한다는 뉴스 보도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3/news-samsung-faces-high-tariff-risks-on-chipmaking-tools-as-it-reportedly-hesitant-to-bring-in-equipment-for-taylor/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3/news-samsung-faces-high-tariff-risks-on-chipmaking-tools-as-it-reportedly-hesitant-to-bring-in-equipment-for-taylor/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4.04.202522:36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포스코퓨처엠 (TP 17만원)
: 양극재 판매량 증가 유효하나, 다소 높은 연간 기대치
♠ 투자 포인트
1)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8,454억원(+17%QoQ, -26%YoY), 영업이익 172억원(흑자전환 QoQ, -55%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59억원) 상회
양극재의 경우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연말 재고 조정 종료에 따른 Restocking 수요 및 라인 전환 후 신규 공장 가동(절강포화)으로 인한 하이니켈 양극재(N86/N87/NCA) 중심의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비 매출이 증가(+33%QoQ)
수익성의 경우 전분기 불용재고 평가손실 소멸(298억원), 양극재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및 기초소재 부문의 마진 개선 등으로 흑자전환 달성
2) 2Q25 실적은 매출액 8,899억원(+5%QoQ, -3%YoY), 영업이익 116억원(-32%QoQ, +325%YoY)을 기록할 전망
양극재의 경우 전방 고객사의 신차 출시 효과 및 IRA 적격 전구체 양산 시작에 따라 N87/N86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음극재는 중국산 저가 음극재 수요 증가로 올해까지는 큰 폭의 판매량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
손익의 경우 가동률 개선이 일부 예상되나, 음극재 적자 지속 및 전구체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가동 비용 발생으로 수익성은 전분기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9조원(+5%YoY), 영업이익 810억원(+8,000%YoY)으로 전망. 금번 실적발표 시 회사측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는 기존대로 +30%YoY를 유지했으나, 당사는 최근 관세 영향 및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에 따라 고객사의 라인 가동 시점(SOP)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해 올해 판매량이 +13%YoY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동사는 양극재 업체 중 북미 향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향후 관세 정책, IRA 법안 변화 가능성 등 미국 정책 변수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나, 만약 정책 변수들이 시장 기대치 정도로만 구체화 된다면, 하반기 이차전지 섹터 주가 반등 시 양/음극 소재의 전체 밸류체인을 보유한 동사의 주가도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17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관점에서 투자의견은 ‘BUY’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1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포스코퓨처엠 (TP 17만원)
: 양극재 판매량 증가 유효하나, 다소 높은 연간 기대치
♠ 투자 포인트
1)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8,454억원(+17%QoQ, -26%YoY), 영업이익 172억원(흑자전환 QoQ, -55%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59억원) 상회
양극재의 경우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연말 재고 조정 종료에 따른 Restocking 수요 및 라인 전환 후 신규 공장 가동(절강포화)으로 인한 하이니켈 양극재(N86/N87/NCA) 중심의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비 매출이 증가(+33%QoQ)
수익성의 경우 전분기 불용재고 평가손실 소멸(298억원), 양극재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및 기초소재 부문의 마진 개선 등으로 흑자전환 달성
2) 2Q25 실적은 매출액 8,899억원(+5%QoQ, -3%YoY), 영업이익 116억원(-32%QoQ, +325%YoY)을 기록할 전망
양극재의 경우 전방 고객사의 신차 출시 효과 및 IRA 적격 전구체 양산 시작에 따라 N87/N86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음극재는 중국산 저가 음극재 수요 증가로 올해까지는 큰 폭의 판매량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
손익의 경우 가동률 개선이 일부 예상되나, 음극재 적자 지속 및 전구체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가동 비용 발생으로 수익성은 전분기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9조원(+5%YoY), 영업이익 810억원(+8,000%YoY)으로 전망. 금번 실적발표 시 회사측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는 기존대로 +30%YoY를 유지했으나, 당사는 최근 관세 영향 및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에 따라 고객사의 라인 가동 시점(SOP)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해 올해 판매량이 +13%YoY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동사는 양극재 업체 중 북미 향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향후 관세 정책, IRA 법안 변화 가능성 등 미국 정책 변수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나, 만약 정책 변수들이 시장 기대치 정도로만 구체화 된다면, 하반기 이차전지 섹터 주가 반등 시 양/음극 소재의 전체 밸류체인을 보유한 동사의 주가도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17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관점에서 투자의견은 ‘BUY’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1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24.04.202521:59
[4월 24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6%, 4,208p 마감
다우 +1.2%, 나스닥 +2.7%, S&P +2.0%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6% 상승. 금리 인하 및 무역 협상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 강세. Amazon(+3.3%)과 Nvidia(+3.6%)의 임원들이 데이터 센터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면서 AI 업종 상승폭 확대. 전일 실적을 발표한 TI(+6.6%)와 Lam Research(+6.2%) 등도 업종 상승을 주도. 그러나 Intel(+4.4%)은 실적 발표 이후 가이던스가 예상치를 하회한 영향으로 시간외 -6% 급락 후 약보합까지 반등. TSMC(+4.0%)는 북미 기술 심포지엄에서 최신 Logic 기술인 A14 공정을 공개. Google(+2.5%)은 실적 발표에서 서비스 및 클라우드 부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강력한 분기 실적을 발표하여 시간외 +7% 주가 급등. iPhone17에 더 많은 12GB DRAM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Micron(+6.2%)의 강력한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으로 주가 상승. 주요 SaaS 기업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Cadence(+6.2%) 등의 SW 기업들 주가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30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Microchip: +12.4%. TI의 실적 발표 이후 아날로그 반도체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며 주가 급등
2) IBM: -6.6%. SW 부문 매출 실적 하회와 DOGE의 지출 삭감으로 컨설팅 사업에 대한 전망이 약해지며 주가 급락
♠ 메모리 업종
Micron +6.2%, SanDisk +6.4%, Kioxia -1.5%. 주요 기업들의 호실적과 더불어, 금리 인하 및 무역 협상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이 지수 상승 주도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5.6%, 4,208p 마감
다우 +1.2%, 나스닥 +2.7%, S&P +2.0%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6% 상승. 금리 인하 및 무역 협상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 강세. Amazon(+3.3%)과 Nvidia(+3.6%)의 임원들이 데이터 센터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를 일축하면서 AI 업종 상승폭 확대. 전일 실적을 발표한 TI(+6.6%)와 Lam Research(+6.2%) 등도 업종 상승을 주도. 그러나 Intel(+4.4%)은 실적 발표 이후 가이던스가 예상치를 하회한 영향으로 시간외 -6% 급락 후 약보합까지 반등. TSMC(+4.0%)는 북미 기술 심포지엄에서 최신 Logic 기술인 A14 공정을 공개. Google(+2.5%)은 실적 발표에서 서비스 및 클라우드 부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강력한 분기 실적을 발표하여 시간외 +7% 주가 급등. iPhone17에 더 많은 12GB DRAM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Micron(+6.2%)의 강력한 수혜가 예상된다는 전망으로 주가 상승. 주요 SaaS 기업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Cadence(+6.2%) 등의 SW 기업들 주가 급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30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Microchip: +12.4%. TI의 실적 발표 이후 아날로그 반도체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며 주가 급등
2) IBM: -6.6%. SW 부문 매출 실적 하회와 DOGE의 지출 삭감으로 컨설팅 사업에 대한 전망이 약해지며 주가 급락
♠ 메모리 업종
Micron +6.2%, SanDisk +6.4%, Kioxia -1.5%. 주요 기업들의 호실적과 더불어, 금리 인하 및 무역 협상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이 지수 상승 주도
[박유악 키움 반도체]
24.04.202507:53
TSMC가 2025 북미 테크 컨퍼런스에서 '28년부터 1.4nm 공정 양산을 개시할 계획 공개
뉴스: https://zdnet.co.kr/view/?no=2025042408311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zdnet.co.kr/view/?no=2025042408311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3.04.202522:03
[메모리 반도체 스팟 시장]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DRAM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DRAM 현물 시장에서는 DDR3 및 DDR4에 대한 문의가 계속되어 특정 칩 용량의 가격이 눈에 띄게 인상되었음. 공장들은 상승세를 쫓는 데 관심을 갖고 문의를 이어갔지만, 입찰 속도는 여전히 조심스러웠음. 결과적으로 실제 거래량은 여전히 제한적임
2)주요 제품 가격
DDR4 16Gb $3.5(1D +0.7%, 2W +6.6%, 1M +12.8%)
DDR5 16Gb $5.5(1D +0.7%, 2W +4.1%, 1M +5.9%)
DDR4 Spot Premium +37%, 한달전 +22%
DDR5 Spot Premium +45%, 한달전 +37%
▶ NAND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NAND 현물 시장에서는 eMMC 8G에 대한 수요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저가 라인업에서는 산발적인 문의가 나타남. 그러나 공급자들이 견적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유지하여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가격 차이가 발생함.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관망세가 유지되었고, 거래 결과도 좋지 않았음
TLC 512Gb $4.4(1D +0.0%, 2W +0.0%, 1M +0.0%)
TLC 1Tb $10.3(1D +0.0%, 2W +0.0%, 1M +0.0%)
TLC 1Tb Spot Premium -5%, 한달전 -5%
▶ LCD 주요 제품 평균가격
TV $76(2W +0.0%, 1M +0.8%, 3M +4.4%)
MNT $45(2W +0.5%, 1M +1.1%, 3M +1.4%)
NB $31(2W +0.0%, 1M +0.0%, 3M +0.0%)
▶ 자료: https://buly.kr/5JMr8cD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DRAM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DRAM 현물 시장에서는 DDR3 및 DDR4에 대한 문의가 계속되어 특정 칩 용량의 가격이 눈에 띄게 인상되었음. 공장들은 상승세를 쫓는 데 관심을 갖고 문의를 이어갔지만, 입찰 속도는 여전히 조심스러웠음. 결과적으로 실제 거래량은 여전히 제한적임
2)주요 제품 가격
DDR4 16Gb $3.5(1D +0.7%, 2W +6.6%, 1M +12.8%)
DDR5 16Gb $5.5(1D +0.7%, 2W +4.1%, 1M +5.9%)
DDR4 Spot Premium +37%, 한달전 +22%
DDR5 Spot Premium +45%, 한달전 +37%
▶ NAND Spot Market Today
1)시장 동향: NAND 현물 시장에서는 eMMC 8G에 대한 수요가 소폭 증가한 가운데, 저가 라인업에서는 산발적인 문의가 나타남. 그러나 공급자들이 견적에 대해 확고한 입장을 유지하여 구매자와 판매자간의 가격 차이가 발생함.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는 관망세가 유지되었고, 거래 결과도 좋지 않았음
TLC 512Gb $4.4(1D +0.0%, 2W +0.0%, 1M +0.0%)
TLC 1Tb $10.3(1D +0.0%, 2W +0.0%, 1M +0.0%)
TLC 1Tb Spot Premium -5%, 한달전 -5%
▶ LCD 주요 제품 평균가격
TV $76(2W +0.0%, 1M +0.8%, 3M +4.4%)
MNT $45(2W +0.5%, 1M +1.1%, 3M +1.4%)
NB $31(2W +0.0%, 1M +0.0%, 3M +0.0%)
▶ 자료: https://buly.kr/5JMr8cD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23.04.202503:56
Google의 크롬 강제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OpenAI가 인수에 관심을 보일 것이라는 뉴스 보도
뉴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google-contemplated-exclusive-gemini-ai-deals-with-android-makers-2025-04-22/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google-contemplated-exclusive-gemini-ai-deals-with-android-makers-2025-04-22/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3.04.202503:56
SK 하이닉스가 CXL 2.0 기반 DDR5 고객 인증을 완료했다고 밝힘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1/amazon-has-paused-some-data-center-lease-commitments-wells-fargo.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1/amazon-has-paused-some-data-center-lease-commitments-wells-fargo.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4.04.202522:30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퀀텀스케이프 (QS.US)
: 기대감은 높으나 아직은 이른 시점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아직 매출이 전무한 상태로, 영업이익 $-123.6M(적자지속QoQ, 적자지속YoY)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90.10M)
1분기 R&D 비용은 $95.6M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며, CapEx의 경우 $5.8M으로 QSE-5 B1 샘플 생산 확대를 위한 장비 구매 및 설비 투자를 단행. 올해 당사 가이던스에 의하면 Adj. EBITDA는 기존대로 유지하고(-$250M ~ -$280M), 분기별 EPS도 flat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1분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액($860.3M) 감안 시, 유동성도 2028년 하반기까지는 문제없을 것으로 전망
2) 동사는 주요 고객 및 협력사로 Volkswagen의 배터리 자회사인 PowerCo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동사와 기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을 발표(40GWh~80GWh 규모)
또한, 금번 실적 발표를 통해 일본의 전자부품 기업인 Murata와 세라믹 생산 관련 협력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Cobra 분리막 생산 공정 기술 강화로 전고체 전지의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
동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올해 QSE-5 B1 샘플 출하 시작 및 2026년까지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전고체 전지 양산을 위한 타임라인을 추진
3) 동사는 여전히 가시적인 매출 성과보다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단계에 있는 전고체 기술 스타트업으로 신중한 접근 필요
당사가 최근 발간한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25/03/18)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고체 전지의 소량 생산 시점은 27~28년이겠으나, 시장이 본격 개화되는 시점은 2030년 이후로 전망
현재 시점은 전고체 관련 스타트업을 적극 매수하는 전략(Buy&Hold) 보다는, Event-Driven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
♠ 리포트: bbn.kiwoom.com/rfCC91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퀀텀스케이프 (QS.US)
: 기대감은 높으나 아직은 이른 시점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아직 매출이 전무한 상태로, 영업이익 $-123.6M(적자지속QoQ, 적자지속YoY)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90.10M)
1분기 R&D 비용은 $95.6M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며, CapEx의 경우 $5.8M으로 QSE-5 B1 샘플 생산 확대를 위한 장비 구매 및 설비 투자를 단행. 올해 당사 가이던스에 의하면 Adj. EBITDA는 기존대로 유지하고(-$250M ~ -$280M), 분기별 EPS도 flat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1분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액($860.3M) 감안 시, 유동성도 2028년 하반기까지는 문제없을 것으로 전망
2) 동사는 주요 고객 및 협력사로 Volkswagen의 배터리 자회사인 PowerCo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동사와 기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을 발표(40GWh~80GWh 규모)
또한, 금번 실적 발표를 통해 일본의 전자부품 기업인 Murata와 세라믹 생산 관련 협력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Cobra 분리막 생산 공정 기술 강화로 전고체 전지의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
동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올해 QSE-5 B1 샘플 출하 시작 및 2026년까지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전고체 전지 양산을 위한 타임라인을 추진
3) 동사는 여전히 가시적인 매출 성과보다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단계에 있는 전고체 기술 스타트업으로 신중한 접근 필요
당사가 최근 발간한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25/03/18)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고체 전지의 소량 생산 시점은 27~28년이겠으나, 시장이 본격 개화되는 시점은 2030년 이후로 전망
현재 시점은 전고체 관련 스타트업을 적극 매수하는 전략(Buy&Hold) 보다는, Event-Driven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
♠ 리포트: bbn.kiwoom.com/rfCC91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24.04.202521:59
[4월 24일, 전세계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6%, Sandisk +6%, Kioxia -1%, Seagate +6%, WDC +7%
♠ 비메모리: Nanya -3%, Intel +4%, Nvidia +4%, AMD +5%, Broadcom +6%, Marvell +7%, Qualcomm +5%, Arm +7%, Skyworks +5%
TI +7%, ADI +7%, NXP +7%, STMicro +7%, Microchip +12%, On Semi +9%, Silicon Motion +6%, Mediatek -3%, Renesas +3%, Novatek -1%
◆ 파운드리: TSMC +4%, SMIC -1%, UMC -2%, GFS +6%, VIS 0%
◆ 후공정: ASE +2%, Amkor +6%, Agilent +2%, Chipbond -1%
♥ 장비: ASML +3%, AMAT +5%, LAM +6%, TEL +4%, KLA +5%, AMEC 0%, Naura 0%
♥ 소재: Linde 0%, Air Liquid +2%, Air Products +2%, Merck -1%, ADEKA +1%, Resonac +3%, Siltronic +4%, Sumco +2%
♣ 서버: Dell +6%, HPE +5%, Lenovo 0%
♣ 클라우드: Amazon +3%, Microsoft +3%, Alphabet +3%, Apple +2%, Meta +2%, Netflix +5%, Alibaba 0%, Tencent -1%, Baidu +2%
♣ EDA/SW: Oracle +5%, Salesforce +6%, Synopsys +4%, Cadence +6%
♣ Quantum: IBM -7%, IonQ +6%, Rigetti Comp. +2%, D Wave +3%, Quantum Comp. +9%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6%, Sandisk +6%, Kioxia -1%, Seagate +6%, WDC +7%
♠ 비메모리: Nanya -3%, Intel +4%, Nvidia +4%, AMD +5%, Broadcom +6%, Marvell +7%, Qualcomm +5%, Arm +7%, Skyworks +5%
TI +7%, ADI +7%, NXP +7%, STMicro +7%, Microchip +12%, On Semi +9%, Silicon Motion +6%, Mediatek -3%, Renesas +3%, Novatek -1%
◆ 파운드리: TSMC +4%, SMIC -1%, UMC -2%, GFS +6%, VIS 0%
◆ 후공정: ASE +2%, Amkor +6%, Agilent +2%, Chipbond -1%
♥ 장비: ASML +3%, AMAT +5%, LAM +6%, TEL +4%, KLA +5%, AMEC 0%, Naura 0%
♥ 소재: Linde 0%, Air Liquid +2%, Air Products +2%, Merck -1%, ADEKA +1%, Resonac +3%, Siltronic +4%, Sumco +2%
♣ 서버: Dell +6%, HPE +5%, Lenovo 0%
♣ 클라우드: Amazon +3%, Microsoft +3%, Alphabet +3%, Apple +2%, Meta +2%, Netflix +5%, Alibaba 0%, Tencent -1%, Baidu +2%
♣ EDA/SW: Oracle +5%, Salesforce +6%, Synopsys +4%, Cadence +6%
♣ Quantum: IBM -7%, IonQ +6%, Rigetti Comp. +2%, D Wave +3%, Quantum Comp. +9%
[박유악 키움 반도체]
24.04.202506:56
[4월 24일, 대만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3%, Winbond -1%, Macronix +1%
♠ 비메모리: Mediatek -3%, Novatek -1%, Realtek -2%
◆ 파운드리: TSMC -1%, UMC -4%, VIS 0%
◆ 후공정: ASE -4%, Chipbond -1%, PTI -2%, ChipMOS 0%, KYEC -1%
♥ 반도체 유통: Adata 0%, Transcend +1%, Phison 0%
♥ Apple Vendor: Hon Hai -2%, Pegatron 0%, Largan -2%, Genius -1%, Catcher +2%
♣ 서버: Aspeed -2%, Nuvoton -1%, Quanta -2%, Inspur -2%, Wiwynn -2%, Inventec -1%, Mitac +1%, Asrock +2%
♣ PC: Acer +3%, Asustek 0%, Lenovo 0%, Gigabyte 0%, Compal -3%, Wistron -1%
■ PCB: Unimicron -3%, Nanya PCB +3%, Kinsus 0%
■ EV(패키징): Simplo +3%, Dynapack +1%
● LCD 패널: AUO -3%, Innolux -1%, Hannstar 0%
● MLCC: Yageo -2%, Walsin 0%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3%, Winbond -1%, Macronix +1%
♠ 비메모리: Mediatek -3%, Novatek -1%, Realtek -2%
◆ 파운드리: TSMC -1%, UMC -4%, VIS 0%
◆ 후공정: ASE -4%, Chipbond -1%, PTI -2%, ChipMOS 0%, KYEC -1%
♥ 반도체 유통: Adata 0%, Transcend +1%, Phison 0%
♥ Apple Vendor: Hon Hai -2%, Pegatron 0%, Largan -2%, Genius -1%, Catcher +2%
♣ 서버: Aspeed -2%, Nuvoton -1%, Quanta -2%, Inspur -2%, Wiwynn -2%, Inventec -1%, Mitac +1%, Asrock +2%
♣ PC: Acer +3%, Asustek 0%, Lenovo 0%, Gigabyte 0%, Compal -3%, Wistron -1%
■ PCB: Unimicron -3%, Nanya PCB +3%, Kinsus 0%
■ EV(패키징): Simplo +3%, Dynapack +1%
● LCD 패널: AUO -3%, Innolux -1%, Hannstar 0%
● MLCC: Yageo -2%, Walsin 0%
[박유악 키움 반도체]
23.04.202521:57
[4월 23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4.0%, 3,984p 마감
다우 +1.1%, 나스닥 +2.5%, S&P +1.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0% 상승.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하할 것이라고 밝힌 이후로 Nvidia(+3.9%)를 비롯한 AI 업종 주가 상승. 특히 중국 노출도가 높은 Dell(+6.0%), AMD(+4.8%) 등의 상승폭이 확대되었으며, Marvell(+6.2%)과 Broadcom(+4.3%) 등의 ASIC 업종의 주가 상승도 뚜렷. Lam Research(+5.1%)와 Texas Instrument(+3.7%)는 실적 발표에서 각각 실적과 가이던스를 모두 상회하며 시간외거래에서 +9%대 급등. ASML(+3.0%)도 최대 10%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반도체 장비 업종 전반적으로 상승 마감. IBM(+1.9%)은 실적 발표에서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을 공개했으나, 컨설팅 부문이 여전히 부진한 영향으로 시간외거래에서 음전. Amazon(+4.3%)은 관세 우려 완화와 더불어 차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30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D-Wave: +14.1%. 앨라배마 현장에 Advantage2 양자 컴퓨터 설치를 완료했다고 발표한 영향으로 주가 급등
2) 하락률 상위 종목 부재
♠ 메모리 업종
Micron +3.9%, SanDisk +2.5%, Kioxia +4.3%. 트럼프와 베센트가 연일 관세 우려 진화를 위한 발언들을 쏟아내며, 미중 무역 분쟁 완화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 반등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4.0%, 3,984p 마감
다우 +1.1%, 나스닥 +2.5%, S&P +1.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0% 상승.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하할 것이라고 밝힌 이후로 Nvidia(+3.9%)를 비롯한 AI 업종 주가 상승. 특히 중국 노출도가 높은 Dell(+6.0%), AMD(+4.8%) 등의 상승폭이 확대되었으며, Marvell(+6.2%)과 Broadcom(+4.3%) 등의 ASIC 업종의 주가 상승도 뚜렷. Lam Research(+5.1%)와 Texas Instrument(+3.7%)는 실적 발표에서 각각 실적과 가이던스를 모두 상회하며 시간외거래에서 +9%대 급등. ASML(+3.0%)도 최대 10%의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반도체 장비 업종 전반적으로 상승 마감. IBM(+1.9%)은 실적 발표에서 예상치를 상회한 실적을 공개했으나, 컨설팅 부문이 여전히 부진한 영향으로 시간외거래에서 음전. Amazon(+4.3%)은 관세 우려 완화와 더불어 차주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30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D-Wave: +14.1%. 앨라배마 현장에 Advantage2 양자 컴퓨터 설치를 완료했다고 발표한 영향으로 주가 급등
2) 하락률 상위 종목 부재
♠ 메모리 업종
Micron +3.9%, SanDisk +2.5%, Kioxia +4.3%. 트럼프와 베센트가 연일 관세 우려 진화를 위한 발언들을 쏟아내며, 미중 무역 분쟁 완화 기대감으로 반도체 업종 반등
[박유악 키움 반도체]
23.04.202503:56
Intel이 20% 이상의 인력을 감축할 예정이라는 블룸버그 뉴스 보도
뉴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cut-over-20-workforce-bloomberg-news-reports-2025-04-2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cut-over-20-workforce-bloomberg-news-reports-2025-04-2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3.04.202503:47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0.16% DDR5 16G (2Gx8) 4800/5600은 +0.73%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0.16% DDR5 16G (2Gx8) 4800/5600은 +0.73%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Показано 1 - 24 із 729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