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avatar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시그널랩은 증권사/자산운용사와 함께합니다
.투자의 미래를 구독하세요
.투자의 혁신 - visual invest tech
.시그널엔진 글로벌 분석종목 & 리서치 제공
.정부가 지원하는 특허 투자솔루션
.삼성/신한/우리/하이/DB/IBK/BNK증권/한경/KRX 제공
.팀소개: https://naver.me/5wHMEqSk
.솔루션: https://naver.me/FjjdX9Hh
.SNS: moneystation.net/user/siglab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Серп 21, 2019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20, 2024

Останні публікації в групі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저궤도 위성통신 R&D 사업 첫발...위성통신 강국 '마중물' 기대

"올해 저궤도 위성통신 R&D 사업에는 총 317억원이 투입된다. 첫번째 과제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 개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 3개 사업부터 시작한다. 시스템개발과 탑재체·지상국 개발에 총 66억7000만원, 단말국 개발에 1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3GPP 표준화에 맞춰 기초 기술개발을 시작하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248억 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본체·위성체계종합 개발' 사업도 조만간 시작할 예정이다."

https://www.etnews.com/20250416000361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30조 현금배당…시가배당률 3.05% 5년來 최고치 [투자360]

- 565개사 현금배당…배당총액 3조원 가까이 증가
- 밸류업공시 기업 배당액이 전체의 60%…배당성향도 높아
- 코스닥 612개사 2조3000억원 배당…4년째 2조원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58297
[주간베스트] 솔라나에 2,100만 달러 베팅한 부동산 핀테크 기업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117
'슈퍼 을' ASML 1Q 매출 12조, 전년比 16%↓…"관세 불확실성 가중"

- 매출·순이익, 전년 대비 각각 16%, 12% 감소
- '차세대 공정 필수' High-NA 장비 총 3곳에 공급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755208
중국의 글로벌 국채 투자에 쏠리는 눈…룩셈부르크 주시하는 이유

- 중국계 기관 수요, 룩셈부르크 통해 유입
- 중국의 美 국채 매도 의혹과 연결고리일까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1545
[시그널랩 리서치] 4/16 (수)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영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예상: YoY +2.7%, MoM +0.4%
- 이전: YoY +2.8%, MoM +0.4%
● (EU)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예상: YoY +2.2%, MoM +0.6%
- 이전: YoY +2.3%, MoM +0.4%
● (미국) 3월 소매판매
- 예상: MoM +1.4% / 이전: MoM +0.2%
● (미국) 3월 근원 소매판매
- 예상: MoM +0.4% / 이전: MoM +0.3%
● (미국) 3월 산업생산
- 예상: MoM -0.2% / 이전: MoM +0.7%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이전: 255만 3천 배럴 증가
● (미국)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설

# 오늘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내용이 무엇보다 중요.
# 최근 연준 위원들은 대체로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면서도, 하드 데이터를 확인 후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음.
# 파월 의장도 관세에 대해서는 다른 연준 위원들과 비슷한 입장을 보일 가능성이 높음.
# 직전 발언인 4일(2주 전) 발언에서는 관세의 영향력이 불확실하다면서도 금리 경로에 대해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없지만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언급.
# 파월 의장의 발언 외에는 미국이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 등 경제지표도 중요.
# 3월 소매판매의 경우 2월대비 크게 개선되었을 것으로 예상. 다만 관세 우려에 따른 일회성 요인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3월 산업생산은 2월 대비 크게 부진이 예상되는데, 이 역시 관세 영향일 가능성 높음. 이 부분은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주간베스트] 루블화가 올해 최고 강세 통화로 급부상한 이유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114
[WSJ] Canadian Property Market Hurt by Tariff Concerns

- 미중 무역 분쟁 여파로 캐나다 부동산 시장 회복세 급제동

✔️ 주요 도시 주택 거래량 급감: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으로 토론토, 밴쿠버, 캘거리 등 주요 시장의 주택 재판매 활동이 급감. 토론토는 전년 대비 3월 거래량 23.1% 감소, 신규 매물은 29% 증가.

✔️ 경기 불확실성과 소비자 신중 심리: 로열뱅크오브캐나다(RBC)는 미-캐나다 무역 갈등과 연방 선거를 앞둔 소비자들의 보수적 태도가 시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분석.

✔️ 국가 전체 주택 지표도 하락세: 캐나다부동산협회에 따르면 2월 기준 전국 재판매량도 급감하며 시장 우려 증폭. 일부 경제학자들은 2025년 초 주택 판매량이 두 자릿수 하락, 평균 가격은 중간 한 자릿수 하락을 전망.

✔️ 정책 대응도 제약: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응은 미미. 캐나다중앙은행은 7차례 연속 금리 인하 후 추가 조치를 보류할 가능성이 있으며, 선거를 앞두고 주택 인센티브 및 세금 감면 논의도 진행 중.

https://www.wsj.com/economy/housing/canadian-property-market-hurt-by-tariff-concerns-7b7c41b4
✍️ 주요 지수 실적 전망 추이(12개월 선행)
- SignalLab Research

KOSPI 12개월 선행 실적 추정치
- 영업이익: 309조 1,340억원(MoM +2.3%)
- 당기순이익: 230조 5,927억원(MoM +0.9%)

KOSDAQ 12개월 선행 실적 추정치
- 영업이익: 11조 4,147억원(MoM +14.7%)
- 당기순이익: 8조 5,201억원(MoM +8.1%)

# 밸류에이션상 주요 지지선에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으로 저가 매력 부각 가능성 높음.
[주간베스트] 의료비는 세계 1위, 기대수명은 최하위인 나라는?
https://www.moneystation.net/post/99907
차바이오텍 계열 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 조현병 환자의 복약 순응도 개선 위해 구강필름 제형으로 개발
- ‘데핍조’에서 ‘메조피’로 브랜드 변경, 기술력으로 시장 우위 선점
- 2026년 미국 시판 예정… 5년 내 연간 1000억원 이상 판매 목표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5/04/20250416541212.html
"시장은 넓다"…K-푸드, 수출 겨냥 '역주행 투자' 나서

- 내수 침체에도 공격적 투자 단행…생산라인 확대·글로벌 거점 확보 박차
- 美·中·동남아 등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 매출 극대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82423
美 반도체 관세 임박…TSMC 2Q 전망에 업계 '이목 집중'

- 파운드리 점유율 67%…팹리스 주문량 토대로 전망치 제시
- 美 관세 영향 가늠자…엔비디아 H20 中 수출 규제 복병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754986
[주간베스트] 일반인이 10억 짜리 집을 살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https://www.moneystation.net/post/100038
✍️ 시장의 자금 유출입 흐름을 통해 투자심리 향방의 추정, 기저에 깔린 투자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는 ETF의 설정·환매 규모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특정 ETF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ETF 설정이 증가하고, 수요가 감소하면 ETF 환매가 증가하는 것을 활용한 방법입니다.

최근 1개월 ETF 종목별 순설정 순위를 살펴보면, 국내 섹터 ETF 중에서는 TIGER 삼성그룹펀더멘털,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 TIGER TOP10 ETF 등 3개 종목, 그외 국내 ETF 주요 ETF 중에서는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 KODEX 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 ETF 3개 종목이 상위권에 위치한 것이 특징적인 부분입니다.

이는 최근 한 달동안 시장에서는 삼성그룹주, 2차전지 섹터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국내 주요 지수의 반등 기대감이 높았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섹터분석] ETF 설정·환매로 본 유망 테마·섹터
https://naver.me/Gq8zD0yn

Рекорди

13.03.202523:59
11.1KПідписників
10.09.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08.12.202423:59
976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08.12.202423:59
976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21.09.202423:59
9.38%ER
08.12.202423:59
8.77%ERR

Розвиток

Підписників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27.03.202512:53
中반발로 파나마항구 매각거래 정체…美·中충돌예고

- 중국정부 "국가안보및 독금법 위반 조사,법과 규정따라처리"
- 중국 매체 "CK허치슨, 트럼프에 과도하게 굽실거린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11319
16.04.202506:44
저궤도 위성통신 R&D 사업 첫발...위성통신 강국 '마중물' 기대

"올해 저궤도 위성통신 R&D 사업에는 총 317억원이 투입된다. 첫번째 과제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탑재체 및 지상국 핵심기술 개발 △3GPP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단말국 핵심기술 개발 3개 사업부터 시작한다. 시스템개발과 탑재체·지상국 개발에 총 66억7000만원, 단말국 개발에 1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3GPP 표준화에 맞춰 기초 기술개발을 시작하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248억 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본체·위성체계종합 개발' 사업도 조만간 시작할 예정이다."

https://www.etnews.com/20250416000361
04.04.202503:36
‘있으나 마나’ 키움증권 영웅문, 투자자 신뢰 바닥…금감원 제재할 듯(종합2보)

- ‘20년 연속 1위’ 자화자찬 ‘먹칠’
- 이틀째 원인 불명에 ‘총체적 난국’
- “금감원 조사 및 제재 뒤따를 듯”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5040412161311738
31.03.202506:26
진양곤 "FDA 승인 자신...주식 한 주도 안 팔 것"

"미국 FDA 삼수 도전에 나선 HLB는 주주총회에서 간암 신약이 89%의 확률로 승인을 받을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진양곤 회장은 "FDA 승인 전까지 주식을 한 주도 팔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3978
02.04.202511:55
Societe Generale: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는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는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 있음. 투자자라면 약세장 바닥을 예단하려다 실패한 경험 하나쯤은 있을 것임. 결국 중요한 건 바닥을 맞히려는 시도보다, 바닥 확인 이후 추세 복원 구간에서 진입하는 전략임. 기술적 측면에서는 Coppock Curve, MACD 등 모멘텀 기반 지표를 통해 추세 회복 여부 판단이 가능함.

30년 가까이 SG와 일하며 얻은 결론은, 가격 모멘텀 전략이 단순하지만 가장 일관된 성과를 내는 전략 중 하나라는 것임. 복잡한 모델링보다는 진입·청산 기준의 명확성과 투자 규율이 성과를 좌우함. 시장 격언인 “추세는 친구다. 단, 곡선과 만나기 전까지는”이 이를 잘 설명하며, Paul Tudor Jones 역시 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200일선 하회 구간의 리스크를 지속 경고해왔음.

실제로 지난 3월 초 S&P500은 20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며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됨. 이후 5,500pt 저점에서 기술적 반등이 나타났으나, 현재 지수는 다시 200일선을 하회 중임. 반등의 배경에는 AAII, Investors Intelligence 등 심리지표의 극단적 위축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추세 회복이 명확히 확인되기 전까지 시장 불확실성은 지속될 가능성 높음.

또한, 이번 조정은 단순히 기술적 요인 때문만은 아님. 펀더멘털 측면에서도 하방 리스크가 가시화되고 있음. 대표적으로, 미국 기업 실적에 대한 애널리스트 낙관론이 후퇴 중이며, EPS 상향 조정 비중이 감소하고 있음. ‘경기 사이클 회복기 진입’이라는 일부 기대와 달리, 애널리스트 전망 데이터에는 이를 뒷받침할 신호 없음. 오히려 ISM 선행지표는 최근 급락하며 실물 지표 역시 둔화 흐름에 동조함.

실적 모멘텀 둔화의 배경으로는 소비 여력 고갈이 핵심 요인으로 지목됨.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미국 소비는 점차 고소득층 주도로 전환되고 있으며, 주식시장 조정은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의 핵심 동력이었던 자산효과 약화로 이어질 수 있음. 약세장이 이어질 경우, 부유층 소비 둔화가 전체 소비 위축 → 실적 약화 → 시장 하방 압력의 악순환으로 연결될 가능성 있음.

실제 사례도 존재함. VantageScore CEO 실비오 타바레스는 CNBC 인터뷰에서, 연소득 15만 달러 이상 고소득층의 연체율이 최근 두 배 이상 급증했다고 언급함. 이는 저소득층보다 빠른 속도이며, 주식 약세장이 고소득층 소비와 신용을 직접 타격할 수 있음을 시사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01.04.202509:15
낸드, 8년 만에 최대폭 상승…범용 메모리 시장 살아난다

3월 평균 고정거래가 9.6% 올라
AI 붐에 기업용 SSD 수요 회복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139051
✍️ 우리 증시는 실적 측면에서 긍정적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바로 KOSPI와 KOSDAQ의 12개월 선행 실적 추정치가 최근 1개월 사이 상향된 것인데요. 영업이익 기준 KOSPI는 300조원을 돌파, KOSDAQ은 11조원 수준에 근접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 바랍니다.

[마켓분석] 마켓(코스피, 코스닥) 실적 전망
https://naver.me/xtgtDvnl
11.04.202501:31
LG디스플레이, 中 광저우 공장 매각대금 2.2조원 확정
- 예상보다 2000억원 늘어…1일부터 中 CSOT 운영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4/11/4KCDND3L2JHD5CF7K6LDQO25UA
16.04.202506:30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30조 현금배당…시가배당률 3.05% 5년來 최고치 [투자360]

- 565개사 현금배당…배당총액 3조원 가까이 증가
- 밸류업공시 기업 배당액이 전체의 60%…배당성향도 높아
- 코스닥 612개사 2조3000억원 배당…4년째 2조원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6/0002458297
25.03.202505:48
금감원, '코스피 전종목 거래 먹통' 한국거래소 검사 착수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한국거래소의 전산장애와 관련한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는 금융투자검사2국 산하 IT검사팀에서 맡는다.

금감원 관계자는 "검사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오늘부터 착수했다"며 "법 위반 사항이 있는지를 살피고 재발 방지책을 받을 에정"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25_0003112281
03.04.202501:30
[美관세폭풍] 상호관세 피했지만 車관세에 수출 9.2조원 감소할듯

- 트럼프 韓 비관세 장벽 언급에 "테슬라 등 미국車 사라는 압박"
- 관세로 현대차·기아 영업익 5.2조 감소 전망…HMGMA 생산증대가 '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3035400003
27.03.202512:16
[주간베스트] 한국 저출산 진짜 이유
https://www.moneystation.net/post/98281
27.03.202511:49
[단독] 미래에셋, ‘수익률 -70%’ 대체육 업체 임파서블푸드 매각 수순

- PE부문 투자 펀드 만기 임박
- 고점 투자, 이후 70% 급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66367?
10.04.202502:16
'800조 탄소포집기술', 대선 여야 공통 핵심 정책 부상 전망...관련株는?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확대에 따른 탄소세 부과 논의, 국내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정, 유럽연합(EU)의 탄소 국경세 도입, 바이오가스 활용 의무화 정책 등 국내외 다양한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CCUS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CCUS 기술은 향후 탄소 중립과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https://www.fnnews.com/news/202504101055109076
03.04.202523:45
[신한 조선/방산/기계 이동헌]

조선/방산/기계
조선/방산: 관세가 뭐예요, 전력기기: Not Bad

▶️ 신한생각: 조선/방산 관세 무관, 전력기기도 길게보면 호재
- 미국 상호관세 부과 발표. 조선업은 물동량 둔화 우려 대비 중국 반사이익, 군함과 LNG 모멘텀, 협상카드로서의 매력. 방산은 미국의 관세 압박이 안보 위협과 연결되어 군비 증가 수혜. 전력기기는 단기 부담, 중장기 전력 수요 증가로 호황이 길어질 전망. 산업재는 관세에서 상대적 안전지대

▶️ 조선: 경기(물동량) 둔화보다 LNG 모멘텀과 점유율 확대 기대
- 미국 관세 장벽으로 물동량 감소 예상. ’25년 전세계 해상 물동량 전망치는 128억톤(+1.4%, 이하 전년동기대비, 클락슨 전망), ’26년 130억톤(+1.6%)이나 관세로 둔화될 수 있음(과거 20년 평균 +2.7%).
- ’22년~현재까지 조선주 주가 상승을 경기 사이클로 볼수 없음. 조선업은 경기보다 산업적 성장에 방점. 1) 조선사의 직접적인 미국 수출은 5% 이하이며 조선업이 없는 미국은 한국을 협력 파트너로 인식, 2)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선박 규제를 위한 압력을 가중, 한국 조선사의 반사이익 3) LNG 사용 국가들은 대미 무역흑자 감소를 위해 수입량을 증가하며 LNG개발, LNG운반선 수요를 자극. 4) 특수선(군함, 잠수함)은 미국의 중국 견제를 위한 주요 투자 대상이며 한국과의 협력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

▶️ 방산: 미국과의 무기 수출 경쟁은 일부, 각국의 군비 증강 수혜
- 방산업체의 미국 수출은 한국항공우주의 보잉향 기체부품 수출 정도이며 교환무역, 보잉의 직접적 수요를 감안하면 영향은 제한적. 이외 미국 관세의 영향과 무관. 미국이 전세계 무역장벽을 높이며 불안 고조, 국가별로는 군비 증강 기조가 유지. 수출 파이프라인 확대 지속 전망

▶️ 전력기기: 결국 미국 리쇼어링으로 귀결, 전력수요 증가
- 전력기기는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음. 전력기기 3사의 북미 수출은 매출액 대비 평균 20% 수준, 수주잔고에서 미국 비중은 30% 이상으로 관세는 단기 부담. 다만 미국에 공장 보유, 일부 수요처들은 미국 전력인프라 투자 확대로 관세를 부담하더라도 납기를 맞추길 원함. 미국내 전력기기 공장 부족과 공급자 우위 시장 지속의 영향. 미국 전력사용은 증가. 전력기기 업체들은 관세를 극복하고 수요 확대, 실적 성장이 지속될 것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223
위 내용은 2025년 4월 4일 7시 47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신한 조선/방산/기계 채널: https://bit.ly/3pMTnTY
신한 리서치 채널: https://bit.ly/3AqbpSm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