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Жовт 16, 2024
Додано до TGlist
Січ 08, 2025

Рекорди

25.04.202523:59
1.8KПідписників
08.01.2025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01.04.202514:45
4.3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06.02.202505:43
3.9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07.04.202521:01
3.94%ER
01.04.202514:45
257.78%ERR

Розвиток

Підписників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ER
ERR
ЛЮТ '25БЕР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DAOL 시황 김지현 & 경제/전략 조병현

06.04.202512:28
[다올 시황 김지현]
⏰ 4월 2주차 증시일정

🗓 4월 7일 (월)
08:30 일본 2월 실질임금 YoY
17:30 EU 4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18:00 EU 2월 소매판매 MoM

🗓 4월 8일 (화)
⭐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 (장전)
08:00 한국 2월 경상수지
19:00 미국 3월 NFIB 소기업낙관지수

🗓 4월 9일 (수)
⭐ 상호관세 발효 시작일
✔ 미국 실적시즌 시작
✔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9~11일)
02:00 미국채 3년물 입찰
23:00 미국 2월(잠정) 도매재고 MoM
23:00 델타항공 실적

🗓 4월 10일 (목)
✔️ 3월 FOMC 회의록 공개
✔ 한국 옵션만기일
02:00 미국채 10년물 입찰
03:00 ⭐ 3월 FOMC 회의록 공개
08:50 일본 3월 생산자물가지수 YoY
10:30 중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 YoY
10:30 중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YoY
21:30 ⭐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 YoY
21:30 미국 3월 실질 평균시간당 임금 YoY

🗓 4월 11일 (금)
✔ 미국 금융주 실적발표
02:00 미국채 30년물 입찰
20:30 블랙록 실적
21:30 ⭐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 YoY
21:30 JP모건 실적
23:00 웰스파고 실적
23:00 ⭐ 미국 4월(잠정)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23:00 ⭐ 미국 4월(잠정)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23:00 미국 4월(잠정) 미시간대 5-10년 기대인플레이션
09.04.202511:14
[속보]중국,미국 상품에 대한 관세 84%로 올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91635i
02.04.202515:33
[다올 시황 김지현]
한국에 대한 관세부과 확정 시 한국이 제시할 수 있는 카드는?

👉 1) 방위비 분담금 인상
2) LNG 수입확대 및 외국인의 원전 소유 제한 완화를 통한 에너지 협력 강화
3) 미국산 농산물 및 육류 수입 확대
4) 미국의 수입비중 상위인 의약품, 한국의 대미 수출 비중 큰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기지 미국 이전


USTR 지적사항

- 국방 절충교역
외국에서 1천만 달러 이상의 무기나 군수품, 용역 등을 살 때 반대급부로 계약 상대방으로부터 기술이전 또는 부품 제작·수출, 군수지원 등을 받아내는 교역 방식.

미국 방산업체가 한국에 무기를 판매할 때 기술이전 등을 요구받는다는 점에서 외국 방위 기술보다 국내 기술 및 제품을 우선하는 정책이 불공정하다고 지적

- 전력 분야 투자 제한
작년 보고서는 수력, 화력, 태양열을 언급, 올해 처음으로 원전에 대한 외국인 소유 제한 문제 언급.

- 디지털 무역 장벽
반도체, 자동차, 로봇, 항공 부문 등 국가 안보 기술에 대해 해외로 반출될 가능성을 이유로 외국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금지.

해외 콘텐츠 공급자가 한국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게 네트워크 망사용료 부과, 한국 3대 통신의 과점이 강화될 수 있음을 지적.

- 정책의 투명성
수입차 배출가스 관련 자동차 부품 규제, 제약 및 의료기기 산업의 가격 책정 및 변제 정책, 혁신제약사(IPC) 인증 정책, 농업·생명공학 관련 규제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1009952071?input=1195m
18.04.202501:20
[다올 시황 김지현]
로드아일랜드 연방법원, IRA 및 IIJA 자금집행 재개 판결


트럼프 1/20 취임 첫날 IRA 및 IIJA에 따라 이미 승인된 연방 자금의 집행을 전면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로드아일랜드 연방지방법원의 메리 맥엘로이 판사는 해당 자금 동결이 불법적이며 권한을 초과한 행위라고 판단.

에너지부, 주택도시개발부, 내무부, 농무부, 환경보호청(EPA) 등이 이전에 지급을 보류한 보조금을 다시 집행하도록 명령

트럼프 대통령의 자금 동결 이후, 6개 비영리단체는 3월에 연방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 법원은 이들뿐 아니라 모든 수혜자에게도 자금 재개를 적용하라고 판시.

판결문에서 “이미 승인된 IRA 및 IIJA 자금의 갑작스럽고 무기한적인 동결은 자의적이고 변덕스러웠으며, 합리적이지도 설명되지도 않았다”고 명시


👉 행정부는 대통령의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무제한적인 권한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이전 행정부가 의회를 통해 통과시킨 법률을 무기한 방해할 권한도 없다는 부분에 주목.

항소가 이루어질 경우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범위가 조정될 가능성은 있으나 의회 승인 없이 행정명령으로만 승인된 트럼프 정책이 전부 실현되기 어렵다는 걸 보여주는 첫판결 사례. 관세정책 역시 장기화될수록 미국 내 소송 리스크 및 권한 논란 부각될 수 있음.



https://www.manufacturingdive.com/news/judge-orders-trump-reinstate-inflation-reduction-act-funding/745498/?utm_campaign=Yahoo-Licensed-Content&utm_source=yahoo&utm_medium=referral
03.04.202523:57
👉 관세 영향 하우스 섹터뷰
24.04.202522:09
한미 협상, 조기대선 이후인 7월 초 합의 가능성

7월 8일까지 관세 폐지를 목표로 하는 '7월 패키지(Julypackage)' 통과 전망

조선업 협력, LNG 수입, 자동차 및 반도체 관세 면제 언급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한국이 '최선의 제안(A 게임)'을 가져왔다면서 이르면 다음 주 협상의 틀에 관한 양해에 관한 합의(agreement on understanding)를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언급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3878?cds=news_edit
08.04.202504:22
한국, 철강 및 자동차 25% 관세에 LNG 수입확대로 무역적자 해소 논의중

👉 한국이 고려할 수 있는 대응책 중 한가지
조선, LNG 파이프라인 테마에 주목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2624
07.04.202505:57
18.04.202501:47
12.2조원 추경 의결


- 재해·재난 피해복구 3.2조원

- AI‧반도체 등 글로벌 기술 4.4조원
: 관세 피해, 수출 기업들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저리 대출 등 25조원의 정책 자금 공급, 수출 바우처 지원 기업 2배 확대, 최신 고성능 GPU 1만장 확보

- 영세 소상공인, 취약계층지원 4.3조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0289
고객예탁금 59.4조원으로 증가
신용잔고 17.4조원으로 감소
17.04.202522:23
트럼프, 중국과 3~4주 안에 협상 타결 전망

중국
- 상호 관세 부과 이후에도 중국과 대화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긍정
- 그러나 시진핑 국가주석과 직접 대화한 적이 있느냐는 말에는 즉답하지 않음
- 틱톡 매각 협상은 관세 상황이 정리될 때까지 연기
- 중국이 관세를 더 올리면 추가 보복 조치를 하느냐는 질문에는 더 높이기를 원치 않는다고 답변
- 시진핑 주석이 동남아 3국을 순방하며 동맹을 구축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고 언급

그외
- Big 15 경제국과 협상을 우선시
- 일본과의 전날 회담은 환상적이었으며 EU와도 통화가 진행
- 한국은 다음 주에 오며 인도와도 대화 중으로 빠르게 진행 중
-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문제가 일본과의 통상협상에 포함되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니라고 답변
- 이탈리아 국방비 지출 GDP 2%가 충분하지 않다고 언급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37716?sid=104
[다올 시황 김지현]
미국 서킷 브레이커 제도 - S&P 500 기준

# 발동기준

- Level 1: -7% 하락
•조치: 15분간 거래 중단
•3:25 이후 발생 시: 거래 계속

- Level 2: -13% 하락
•조치: 15분간 거래 중단
•3:25 이후 발생 시: 거래 계속

- Level 3: -20% 하락
•조치: 장 종료까지 거래 중단
•시각 무관하게 발동


# 실제 발동 사례


1. 2020년 3월 - 코로나19 팬데믹 공포로 인한 대폭락
총 4번 Level 1 서킷브레이커 발동

2. 1997년 10월 27일 - 아시아 외환위기
다우지수 -7.18% 하락으로 당시 서킷 브레이커 발동 (제도 초기 버전)
•이 날을 계기로 현재와 같은 3단계 제도로 정비

3.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서킷 브레이커 발동은 없었음
•다만 일중 변동성 극심, 서킷 임계치 근접 사례는 다수 존재

4. 2024년 이후 현재
2020년 이후 발동 사례 없음
•서킷 임계치에 근접한 사례는 다수, 발동까지는 이르지 않음


👉
S&P500 서킷 브레이커 기준은 -7%로(사이드카 제도는 없음. 한국은 사이드카 -5%, 서킷브레이커 -8%) 실제로 발동됐던 날은 드물음. 지난주 금요일 VIX 지수는 판데믹 당시 수준까지 급등했으나 낙폭은 7%에 못미침.

서킷 브레이커 발동일 다음 날에는 대체로 기술적 반등 혹은 정책 기대감에 따른 상승세가 관찰됐으나, 이는 단기적인 반등일 뿐 전반적인 추세 전환은 아니었음. 금주 상호관세 실제 발효 가능성이 추가로 프라이싱될 가능성.
13.04.202512:09
[다올 시황 김지현]
⏰ 4월 3주차 증시일정

🗓 4월 14일 (월)
00:00 중국 3월 무역수지
00:00 중국 3월 수출/입 YoY

🗓 4월 15일 (화)
✔️미국채 3년물 입찰

00:00 미국 뉴욕 연은 1년 기대인플레
18:00 EU 2월 산업생산 MoM
18:00 EU 4월 ZEW 서베이 예상
21:30 미국 3월 수출/입물가지수 YoY
21:30 미국 4월 뉴욕 제조업지수
21:30 BofA, 존슨앤존슨 실적

🗓 4월 16일 (수)
00:00 씨티 실적
10:30 중국 3월 신규주택가격 YoY
11:00 ⭐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 YoY
11:00 중국 3월 고정자산투자 YoY
11:00 중국 3월 실업률
11:00 중국 3월 산업생산 YoY
11:00 중국 3월 소매판매 YoY
21:30 ⭐ 미국 3월 소매판매 MoM
22:00 애보트, ASML 실적
22:15 미국 3월 산업생산 MoM
23:00 미국 4월 NAHB 주택시장지수

🗓 4월 17일 (목)
10:00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15:00 ⭐️TSMC 실적
21:15 ECB 통화정책위원회
21:30 미국 2월(최종) 건축허가 MoM
21:30 미국 3월 주택착공건수 MoM
21:30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D.R 홀튼 실적
21:45 유나이티드헬스케어 실적

🗓 4월 18일 (금)
✔ 미국 옵션만기일
05:45 넷플릭스 실적
08:30 일본 3월 소비자물가지수 YoY
04.04.202502:37
끝나지 않은 불확실성으로 해석?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97595?sid=100
16.04.202501:46
[다올 시황 김지현]
트럼프, 약가 인하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

IRA의 일부 조항에 대한 업계 불만 해소 목적. 백악관 관계자는 공화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행정부가 제정한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며, 메디케어(정부) 지출은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백악관의 약가 인하 정책 추진은 4/1 '무역 확장법 제232조(Section 232)'에 따라 의약품 및 관련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 조사 시작, 2달 내 의약품 관세 부과 예고로 의약품 가격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이루어짐.


행정명령 내용

1. 메디케어 약값 협상 구조 개편
- 저분자 약물(알약)의 협상 시점을 더 앞당기도록 명령.
- 현재 IRA에서는 알약은 출시 후 7년, 바이오의약품은 11년 보호.
-트럼프는 이러한 격차가 바이오 시밀러 대비 신약 개발의 인센티브를 왜곡한다고 주장.

2. 제약산업 규제 완화 및 경쟁 촉진
- FDA 승인 절차 간소화
제네릭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의 승인 속도 개선 지시.
- 캐나다 의약품 수입 확대
주정부와 협력해 해외 저가 의약품 도입 경로 확대.

3. 기존 보건정책 부활
- 저소득층 인슐린·에피네프린 할인 부활.
- 트럼프 1기에서 추진했던 의약품 수입 프로그램 재추진.

4. 병원과 외래진료소 간 약값 지불 차이 해소
- ‘사이트 중립 지불(Site-neutral payment)’ 정책 추진
병원 소속 외래진료소(Hospital Outpatient Clinic)와 독립 클리닉(Independent Physician Office) 간 메디케어 지불 차이 해소, 같은 금액 지급
- 병원 소유 외래진료소에서 치료를 받으면 메디케어(정부) 지불 금액이 큼
- 병원 업계는 이에 강하게 반대. 외래 클리닉 운영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
- 정부 예산 효율성, 의료비 절감에는 긍정적이나, 의회 승인 없이 행정부 단독 시행이 가능한지 불분명


👉 의약품 조사는 2025년 5월 7일 공개 의견 수렴 종료, 5월 중순 이후 의약품 관세 발표 예상. 금번 행정명령은 제네릭 의약품 및 바이오시밀러의 접근성을 높이고, 주정부가 캐나다에서 저가 의약품을 수입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반도체 관세 유예와 마찬가지로 소비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판단.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4/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announces-actions-to-lower-prescription-drug-price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15/trump-signs-order-aimed-at-lowering-prescription-drug-prices?srnd=phx-industries-health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