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Fundeasy_최이지 avatar

Fundeasy_최이지

퀄리티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채널에서 언급되는 모든 기업들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Лют 16, 2024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13, 2024

Статистика Телеграм-каналу Fundeasy_최이지

Підписників

3 924

24 год.
2
0%Тиждень
157
4.2%Місяць
1 114
39.7%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0

Згадок0Репостів на каналах0Згадок на каналах0

Середнє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192

12 год.8270%24 год.1920%48 год.1920%

Залученість (ER)

1.04%

Репостів2Коментарів0Реакцій1

Залученість за охопленням (ERR)

4.9%

24 год.0%Тиждень
6.86%
Місяць
18.18%

Охоплення 1 рекл. допису

192

1 год.487253.65%1 – 4 год.9750.52%4 - 24 год.217113.02%
Під'єднайте нашого бота до каналу і дізнайтеся стать аудиторії цього каналу.
Всього дописів за 24 години
0
Динаміка
-

Останні публікації в групі "Fundeasy_최이지"

SW

https://t.me/fundeasy_choi/2993
M7 Drawdowns
#WRB
현재 세계 경제는 정치, 사회,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자연재해 측면에서도 변동성(Volatility)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관세(Tariffs) 부과 가능성과 이것이 손해액(Loss Costs)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관세는 자동차 수리비, 건축 자재비, 의약품 비용 등에 영향을 미쳐 자동차 보험, 재물 보험, 산재보험 등 다양한 보험 상품의 손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경영진은 현재 관세 관련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구체적인 영향을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향후 손해율 예측 및 보험료율 책정에 이를 반영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빌 버클리 회장은 과거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시기 경험을 언급하며, 당시에도 인플레이션 압력 속에서 업계가 가격 인상을 통해 대응했지만 경제 성장 둔화로 성장세는 제한적이었다고 설명


W. R. Berkley(WRB)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https://blog.naver.com/opushk/223842263635
그리고 해당 숫자는 작년부터 계속 실적에서 언급되던 물량입니다
아침에 lng선 발주 기사가 공유되던데 실적발표에서 나온 이야기입니다.
Gaztransport & Technigaz(GTT)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비록 올해 1분기에 초대형 선박 6척을 포함한 일부 수주가 있었고 아직 새로운 FID(최종투자결정)는 없었지만, 건설 중인 프로젝트들을 위해서는 여전히 약 40척에서 65척 사이의 선박이 필요합니다. 이 프로젝트들 중 일부는 지연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제때 인도된 선박들이 당분간은 다소 유휴 상태에 있어 일부 사람들에게 시장이 약간 공급 과잉(long)이라는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지연된 프로젝트들을 위해 선박이 필요한 이들(프로젝트 및 선주)이, 그리고 저희가 아는 바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들은 2028년 중반, 혹은 2029년 초에 준비될 예정인데, 조만간 선박을 물색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것은 저희가 이 에너지 프로젝트들 및 이 선박들에 대해 저희와 조선소와 논의하고 있는 선주들과 이야기하면서 얻는 피드백이기도 합니다. 저희는 그런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지연으로 인해 이 시장에 일종의 요인(factor)이 있지만, 선주들은 이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223839160897
골드만삭스, 넷플릭스 목표주가 955달러에서 1,000달러로 상향 조정, 투자의견 중립 유지

"넷플릭스는 예상보다 약간 나은 매출 실적, 강력한 영업이익 및 마진 실적, 주당순이익을 회사의 현재 및 미래 영업 모멘텀의 주요 변수로 복합화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투자와 자본 수익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어 강력한 1'25년 1분기 실적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현재 투자자들의 논쟁은 (소비자의 재량적 행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시장에서) NFLX의 수익화 및 소비 습관의 방어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번 실적 보고서에서도 이러한 논리가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저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몇 년간 영업 마진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수익 보고서와 경영진 논평을 바탕으로 영업 추정치를 조정하고 12개월 목표주가를 955달러에서 1,00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주식에 대한 위험/보상이 여전히 균형 잡힌 것으로 보고 중립 등급을 유지합니다."

Analyst: 에릭 셰리던
모건 스탠리, SPOT의 경쟁 해자가 깊어지고 있다며 투자의견 비중확대, 목표주가 670달러

"2025년 전망에서 밝혔듯이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의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메가 트렌드로 인해 최근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Spotify 같은 시장 선도 기업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합니다. 2028E까지 기본 및 상승 시나리오에서 각각 14%/16~17%의 외환 제외 매출 연평균 성장률을 예상합니다. 2025E는 대체로 컨센서스와 일치하지만, 2027E의 EBIT 추정치는 컨센서스를 거의 10% 상회합니다.

Spotify의 경쟁력 해자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음악 및 부가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개인화 기술을 활용하는 데 집중하는 이 회사의 독보적인 강점은 여전히 시장에서 과소평가되고 있습니다. 광고 수익, 동영상 콘텐츠, AI를 중심으로 한 추가 콜옵션이 실행될 경우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Spotify에 대한 목표주가 670달러와 투자의견 '매수'는 그대로 유지합니다."

Analyst: Benjamin Swinburne
오늘 유럽은 부활절 휴장입니다
허접한 채널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Переслав з: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avatar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말함과 동시에 3,000명 ㅊㅊ
감사합니다 ㅋㅋ

Рекорди

27.04.202523:59
3.9KПідписників
31.12.202400:15
9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07.12.202423:59
4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06.04.202512:03
3.8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15.01.202523:59
6.96%ER
02.12.202423:59
136.28%ERR

Розвиток

Підписників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Fundeasy_최이지

17.04.202509:23
#에르메스
캬.. 한국인 돈 많네
경영진은 한국 시장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223837807537
09.04.202501:50
17.04.202523:14
USTR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s://t.me/ihresearch/1797

- 미국 선박 건조 산업을 회복시키면서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 중국 선박 소유주 및 운영사는 180일 후부터 순톤당 $50의 항만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사용료는 3년간 매년 순톤당 $30씩 증가합니다
- 외국에서 건조된 자동차 운반선은 180일 후부터 차량당 $150의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중국 관련 선박에 대한 수수료는 항구 방문당 아닌 미국 항로당 부과되며, 연간 최대 5회까지 부과됩니다
-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의 주문은 최대 3년간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03.04.202521:09
글로벌 주식 재무기능이 가장 강력하다고 생각하는 사이트입니다.
Finchat 많이 이용해보세요.

아래 링크로 유료 플랜 가입시 15% 할인 됩니다.
https://finchat.io/?via=fundeasy
Переслав з:
Granit34의 투자스토리 avatar
Granit34의 투자스토리
17.04.202505:11
전력기기 1Q25 Update - 25. 04. 17

#업황
멀티플이 깎인 것과 별개로 업황은 탄탄.
작년부터 국가간 송전망 구축수요 / 신규 신재생 그리드 연결수요 증가를 기반으로 유럽 시장에 대한 언급이 업체들에게서 늘기 시작했는데 최근 종전 - 방산 투자와 연결될 설비 CAPEX 투자도 이러한 유럽 내 송전망 투자기조를 강화하는 데에 일조할 것으로 판단. SMR / 가스터빈 등의 활성화를 시작으로 에너지원 - 전력수요처 간 거리가 짧아지며 송전인프라 투자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는데 업체들의 경우 유틸리티 업체들의 인프라 CAPEX 수요가 워낙에 강력해 체감되지 않거나 오히려 발주 제품의 대형화 / 고스펙화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어 우려가 실제 업황으로 체감되고 있지는 않는다는 등의 코멘트를 남김.

#밸류에이션
밸류에이션의 경우 개인 추정치 기준 HD현대일렉 & LS ELEC 25F PER 14~15배 / 효성중공업 & 산일전기 & 일진전기 11~12배 레벨까지 내려왔음. 유틸리티 CAPEX가 AI CAPEX보다 재미없어보이는 건 사실이니 할 말은 없지만 OP 성장률 최소 27년까지는 연 20% 이상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에 향후 3년간 OP 성장률이 20%를 넘어가는 산업에 밸류 하향조정 이후 몇 배를 줄 수 있을까의 문제로 판단.

#1Q25?
1Q25 실적은 전체적으로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
4Q24 연결조정 이슈가 1분기에 반영될 일진전기 / HD현대일렉트릭, 큰 일회성 비용 없이 1분기 톤 무난해보이는 효성중공업까지는 좋아보이고, 그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LS Electric / 산일전기가 아쉬울 가능성. LS ELECTRIC은 아직 국내 매출 비중 높아 비수기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해보이고, 산일전기의 경우 애초에 셀사이드 컨센서스가 좀 높았다는 생각이라 수출데이터 상으론 매출은 약간 미스나고 OP는 OPM 잘 나오면서 인라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2025년?
25년 연간으로 보았을 때는 효성중공업 추정치가 과도하게 낮아보여 컨센서스 대비 서프라이즈 가능성 높아보이고, 4Q24 쇼크로 인해 추정치 내려간 HD현대일렉트릭도 추정치 상향조정 가능성 있다는 판단. 나머지 3사의 경우 각사별로 리스크가 있어 아직 확언하기 힘든데 LS ELECTRIC의 경우 매출 컨센서스는 북미 데이터센터향 수주 감안하면 보수적으로 잡힌 듯한데 관세 영향이 있다보니 영업이익 쪽이 좀 조심스럽고, 일진전기도 비슷한 상황. 산일전기는 애초에 24년 실적이 꾸준히 가이던스 대비 좋았던 영향으로 외려 25년 증권사 컨센서스가 약간 높게 잡혔던 것 같아보이기도.
18.04.202504:48
Переслав з:
피카츄 아저씨⚡️ avatar
피카츄 아저씨⚡️
06.04.202504:27
[이웃공개] 태리 스미스의 <퀄리티 투자, 그 증명의 기록>
책에 대한 문장을 일부 발췌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3821917

특히 팬데믹 시절의 레터가 지금과 같은 혼란한 시기에 와 닿을 것 같습니다^^;

[게시글]
위 책은 태리 스미스의 투자 레터들을 엮어 만든 책입니다. 태리 스미스는 영국 사람임에도 가장 유동성이 풍부한 미국 시장에 투자한다는 점, 그리고 무조건 싼 것만 찾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투자자입니다.

태리 스미스의 원칙은 저와 같습니다. "훌륭한 주식을 과도하게 비싸지 않게 사서 아무 것도 하지 말아라"

그러면서 동시에 회피해야 할 기업의 특징으로 자산 효율성이 낮고, ROCE가 낮은 기업 그리고 과도한 부채나 복잡한 회계구조, 그리고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종목을 꼽고, 이익은 없지만 미래는 밝은 종목들을 꺼립니다.

제가 좀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은 배당 재투자에 대한 관점입니다. 이는 워렌 버핏과 <현금의 재발견>에 나온 내용들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배당이란 결국 세금으로 소득률을 깎아먹기 때문에 잉여 창출분에 대해서는 회사가 잘 투자해서 복리의 마법을 이뤄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결국 단순 자사주 소각으로 빚어진 EPS는 환상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퀄리티 종목들의 성장은 지루하다는 점입니다.

고로 이 책을 통해서는 ROCE와 같은 수익성 지표, 그리고 FCF와 같은 현금흐름을 통해서 중요한 지표로 맞이할 수 있게 되고, 기업의 성장을 기다릴 수 있는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겠습니다.

태리 스미스의 원칙은 아래와 같이 요약되는데 잊지마세요.
1. 훌륭한 기업에 투자하라.
2. 비싸게 사지 마라.
3. 아무것도 하지 마라.

[발췌문]
은 피카츄 아저씨 블로그 이웃 추가를 하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3821917

독후감은 차차 써보겠습니닷
?
06.04.202510:39
다음주에도 하락의 여진이 계속 될 수 있는 근거

4/7 월요일 : 3개월, 6개월 국채 입찰
4/8 화요일 : 3년물 국채 입찰
4/9 수요일 : 10년물 국채 입찰
4/10 목요일 : 4주, 8주, 30년물 국채 입찰

경매 규모(3830억 달러)
14일 : 500억 달러
6주 : 700억 달러
13주 : 760억 달러
26주 : 680억 달러
3년 : 580억 달러
10년 : 390억 달러
30년 : 220억 달러

최소한 경매는 끝나고 좋은 소리하지않을까?
06.04.202509:36
💼가장 저렴한 “M7” 주식은 무엇일까요?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은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으며 품질이 우수한 7개 기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수요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계획을 발표한 후, 매그니피센트 7에 속한 모든 기업이 급락했습니다.

이제, 이들 세계적 수준의 기업들이 최소 20%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실제로 가장 저렴한 기업은 어디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이들 기업 모두에 적용되는 통일된 평가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회성 비용/고유한 회계 처리를 고려하기 위해 3가지 다른 측정 기준을 선택했습니다.

1. Apple
EV/FCF: 28.3x
EV/EBIT: 23.9x
Forward EV/EBIT: 22.7x

2. Microsoft
EV/FCF: 44x
EV/EBIT: 24.4x
Forward EV/EBIT: 21.5x

3. NVIDIA
EV/FCF: 49.7x
EV/EBIT: 30.1x
Forward EV/EBIT: 18.8x

4. Amazon
EV/FCF: 38.7x
EV/EBIT: 28.4x
Forward EV/EBIT: 24x

5. Alphabet
EV/FCF: 25.8x
EV/EBIT: 15.6x
Forward EV/EBIT: 14x

6. Meta
EV/FCF: 33.1x
EV/EBIT: 19.3x
Forward EV/EBIT: 17.9x

7. Tesla
EV/FCF: 1,779x
EV/EBIT: 109.4x
Forward EV/EBIT: 93.1x


무료로도 충분히 좋지만 Finchat을 유료로 이용하고싶으신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https://t.me/fundeasy_choi/2916
17.04.202507:19
지멘스 에너지(Siemens Energy)의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및 연간 전망 업데이트

핵심 요약:

지멘스 에너지는 2025 회계연도 2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긍정적인 사업 성과에 힘입어 2025 회계연도 전체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2분기 전체 실적은 2025년 5월 8일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5 회계연도 연간 전망 업데이트 (그룹 전체)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¹): 13% ~ 15% (기존 8% ~ 10%)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4% ~ 6% (기존 3% ~ 5%)
순이익: 최대 10억 유로 (기존 손익분기점 수준)
인도 지멘스(Siemens Limited) 에너지 사업 분할에 따른 긍정적 특별 항목은 제외한 가정치입니다.
세전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pre tax): 약 40억 유로


2025 회계연도 연간 전망 업데이트 (사업 부문별)

가스 서비스 (Gas Services):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11% ~ 13% (기존 7% ~ 9%)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11% ~ 13% (기존 10% ~ 12%)

그리드 기술 (Grid Technologies):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24% ~ 26% (기존 23% ~ 25%)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14% ~ 16% (기존 10% ~ 12%)

산업 전환 (Transformation of Industry):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13% ~ 15% (기존 11% ~ 13%)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9% ~ 11% (기존 8% ~ 10%)

지멘스 가메사 (Siemens Gamesa):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0% ~ 2% (기존 -9% ~ -5%)
특별 항목 제외 이익: 약 -13억 유로 (기존 전망 유지)
참고: 위 전망에는 법률 및 규제 관련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그룹 전체)

수주: 144억 3300만 유로 (전년 동기: 94억 70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124억 8500만 유로)
비교 기준 52.3% 증가
매출: 99억 6200만 유로 (전년 동기: 82억 78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93억 1900만 유로)
비교 기준 20.7% 증가
이익 (Profit): 6억 1500만 유로 (전년 동기: 5억 1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3억 7200만 유로)
지멘스 가메사 인도 풍력 사업 지분 매각 손실 포함
특별 항목 제외 이익 (Profit before Special Items): 9억 600만 유로 (전년 동기: 1억 70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5억 7700만 유로)
이익률: 9.1% (전년 동기: 2.1%, 시장 예상치: 6.2%)
세전 잉여현금흐름: 13억 9000만 유로 (전년 동기: 4억 8300만 유로)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사업 부문별)

가스 서비스:
수주: 70억 3800만 유로 (비교 기준 +102.1%)
매출: 31억 6300만 유로 (비교 기준 +18.7%)
특별 항목 제외 이익: 5억 1100만 유로 (이익률 16.1%)
세전 잉여현금흐름: 10억 400만 유로

그리드 기술:
수주: 52억 900만 유로 (비교 기준 +41.6%)
매출: 28억 6100만 유로 (비교 기준 +33.7%)
특별 항목 제외 이익: 5억 7100만 유로 (이익률 19.9%)
약 1억 유로의 긍정적 시점 차이(timing effects) 포함
세전 잉여현금흐름: 6억 3300만 유로

산업 전환:
수주: 15억 6400만 유로 (비교 기준 -1.5%)
매출: 14억 1100만 유로 (비교 기준 +10.5%)
특별 항목 제외 이익: 1억 5500만 유로 (이익률 11.0%)
세전 잉여현금흐름: 1억 4500만 유로

지멘스 가메사:
수주: 8억 7500만 유로 (비교 기준 -1.0%)
매출: 27억 600만 유로 (비교 기준 +16.2%)
특별 항목 제외 이익: -2억 4900만 유로 (이익률 -9.2%)
세전 잉여현금흐름: -3억 3300만 유로
Переслав з:
Pluto Research avatar
Pluto Research
09.04.202522:52
트럼프 중국 선박 재제 행정명령 서명 주요 내용 : 항만료 인상을 선령 + 화물 적재량 (톤 수) 비례하여 적용 - 노후 선박 퇴출/교체 속도는 빨라지는 동시에 코로나 직후 발주된 선박들은 일부 예외 적용 (미국 인플레이션 악화 감안)

https://news.bloombergtax.com/international-trade/white-house-considers-changes-to-plan-for-china-ship-fees
09.04.202508:04
반도체 추가했어요
https://t.me/fundeasy_choi/2993
05.04.202504:32
트럼프의 행동을 이해해보기(Fundeasy 끄적임)

🙏미국의 미래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트럼프?
- 미국의 국가부채는 약 36조달러, 연간 이자 비용만 1.1조 달러로 매년 약 2조달러 이상 부채가 늘어나는 상황

- GDP대비 국가부채는 2024년 약 124%가량 되며 2023년 122.3%에서 거의 2% 증가하고 있는 상황

- 매년 부채가 GDP의 2%가 늘어난다.

- 이 상황에서 트럼프는 재정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데

- 관세, 정부 지출 감소, 항만세 등을 추진했고 추진하고 있다.

- 재무장관인 베센트는 다른 지표보다 10년물 금리를 우선시한다고 말하고 있음.

- 바이든/옐런 시절 단기물로 돈을 땡긴 재무부이기 때문에 단기물을 장기물로 리파이낸싱하려면 10년물 금리가 저렴해져야 하는 상황

- 금리가 1% 낮아질 때마다 이자비용 3000억 달러 이상을 절약할 수 있음.

- 금리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은 금리를 내리는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잘 안내려가고 고용이 좋은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를 내릴 이유가 딱히 없음

- 그래서 ㄸㄹㅇ 같은 여러 행동으로 경기침체를 유발하려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침체가 오면 시장금리가 내려가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는 데이터가 나오기 때문

- 러프하게 바이든 정부 임기동안 10년물 금리가 평균 3% 중반인데 마지막 해에는 4.2% 정도. 단기물은 4.8%정도

- 현재 10년물 금리가 4% 아래로 내려갔고 이제 슬슬 리파이낸싱을 많이 해야하는 시점

- 관세는 대충 보편관세 10%, 상호관세 실효세율 18%정도를 가정하면 관세 수입이 약 4천억 달러정도로 계산됨.

- 금리 1%당 이자비용 3천억, 관세 4천억을 생각하면 연간 7천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음.

- 정부 지출도 줄인다면 연간 1조 달러 +@ 줄일 수 있다는 가정이 완성됨.

- 관세로 인한 미국 국민들의 피해는 하반기부터 나올 감세로 달래 줄 수 있을것이라 생각하는 듯함.

- 대충 트럼프 임기동안 5조 달러 + @의 부채가 줄어들면 미국이라는 나라의 디레버리징이 어느정도 완성?

https://blog.naver.com/opushk/223822996028
? : 아 V자 반등원해서 해줬잖아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