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4.202505:05
30.03.202505:06
인도, SQM 호주 리튬 프로젝트 지분 확보 가능성
- SQM의 호주 내 리튬 프로젝트 2곳(Mt. Holland 및 Andover)에 대해 6억 달러 규모의 지분 20% 인수를 추진 중
- 이는 인도가 시도한 해외 리튬 확보 시도 중 최대 규모
- 현재 실사 진행 중이며 업체들은 예비 제안서 제출한 상태
- 인도 국영기업은 KABIL, Coal India, Oil Indea, ONGC Videsh이며 해당 거래를 위한 인수합병 자문사 선임 절차 진행 중
- 인도 정부는 최근 아르헨티나, 호주, 칠레 등 자원 부국과의 전략 광물 공급 협정 체결에 적극적. 최근 콩고와의 초기 협약 체결도 검토 중이며 지난해 아르헨티나 국영기업과 리튬 광구 5곳의 탐사 및 개발을 위한 협약 또한 체결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indian-state-firms-seek-stake-sqms-lithium-projects-australia-sources-say-2025-03-28/
- SQM의 호주 내 리튬 프로젝트 2곳(Mt. Holland 및 Andover)에 대해 6억 달러 규모의 지분 20% 인수를 추진 중
- 이는 인도가 시도한 해외 리튬 확보 시도 중 최대 규모
- 현재 실사 진행 중이며 업체들은 예비 제안서 제출한 상태
- 인도 국영기업은 KABIL, Coal India, Oil Indea, ONGC Videsh이며 해당 거래를 위한 인수합병 자문사 선임 절차 진행 중
- 인도 정부는 최근 아르헨티나, 호주, 칠레 등 자원 부국과의 전략 광물 공급 협정 체결에 적극적. 최근 콩고와의 초기 협약 체결도 검토 중이며 지난해 아르헨티나 국영기업과 리튬 광구 5곳의 탐사 및 개발을 위한 협약 또한 체결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indian-state-firms-seek-stake-sqms-lithium-projects-australia-sources-say-2025-03-28/


25.03.202502:53
21.03.202510:17
Trump invokes emergency powers to boost US critical minerals production
https://www.reuters.com/world/trump-says-us-sign-minerals-deal-with-ukraine-shortly-2025-03-20/
https://www.reuters.com/world/trump-says-us-sign-minerals-deal-with-ukraine-shortly-2025-03-20/


11.03.202507:17
11.03.202500:45
Critical minerals 생산 위한 정제 시설 구축하는 방안 추진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제한 우려 속 미국의 공급망 강화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eeks-minerals-refining-pentagon-bases-boost-us-output-sources-say-2025-03-10/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제한 우려 속 미국의 공급망 강화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eeks-minerals-refining-pentagon-bases-boost-us-output-sources-say-2025-03-10/


04.04.202500:37
[미래에셋 최유진]
스포듀민과 탄산리튬 가격 스프레드 확대
- 춘절 이후 스포듀민-탄산리튬 가격 스프레드 5% 이상으로 확대 지속
- 새로운 가격 메커니즘, 스포듀민 경매, 수급 트렌드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리스크 관리 도구 개선 및 가격 투명성 확보 필요성 부각
- 광산업체들이 진행한 스포듀민 경매 수 증가. 이 중 다수 거래 가격이 시장 내 리튬염 가격보다 높은 수준에서 체결
- 스포듀민 공급이 전환 수요를 크게 초과하는 상황 속에서 발생. 이는 최근 아프리카 등 신규 지역에서의 스포듀민 생산 증가와 관련
- 전환 업체들은 마진이 지속적으로 낮거나 거의 없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가격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의 중요성 부각
스포듀민 특성, 가격 책정 방식, 생산 구조
- 스포듀민 정광은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 생산에 사용. 일반적으로 리튬 함량 6% 기준으로 가격 책정
- 실제 생산되는 정광은 보통 5~6% 수준
- 24년 하반기부터 스포듀민-리튬 가격 괴리 본격화되었고, 25년 춘절 이후 심화
- 생산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스포듀민 7~8톤이 리튬염 1톤 정제하는데 필요
- 이는 스포듀민 가격이 전환 입장에서는 생산비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
- 최근 업스트림 광산 업체들은 점점 리튬염 연동 가격 구조에서 벗어나는 움직임
원문: https://www.fastmarkets.com/insights/relationship-spodumene-lithium-salts-prices/
스포듀민과 탄산리튬 가격 스프레드 확대
- 춘절 이후 스포듀민-탄산리튬 가격 스프레드 5% 이상으로 확대 지속
- 새로운 가격 메커니즘, 스포듀민 경매, 수급 트렌드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리스크 관리 도구 개선 및 가격 투명성 확보 필요성 부각
- 광산업체들이 진행한 스포듀민 경매 수 증가. 이 중 다수 거래 가격이 시장 내 리튬염 가격보다 높은 수준에서 체결
- 스포듀민 공급이 전환 수요를 크게 초과하는 상황 속에서 발생. 이는 최근 아프리카 등 신규 지역에서의 스포듀민 생산 증가와 관련
- 전환 업체들은 마진이 지속적으로 낮거나 거의 없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가격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의 중요성 부각
스포듀민 특성, 가격 책정 방식, 생산 구조
- 스포듀민 정광은 수산화리튬 및 탄산리튬 생산에 사용. 일반적으로 리튬 함량 6% 기준으로 가격 책정
- 실제 생산되는 정광은 보통 5~6% 수준
- 24년 하반기부터 스포듀민-리튬 가격 괴리 본격화되었고, 25년 춘절 이후 심화
- 생산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스포듀민 7~8톤이 리튬염 1톤 정제하는데 필요
- 이는 스포듀민 가격이 전환 입장에서는 생산비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
- 최근 업스트림 광산 업체들은 점점 리튬염 연동 가격 구조에서 벗어나는 움직임
원문: https://www.fastmarkets.com/insights/relationship-spodumene-lithium-salts-prices/
Переслав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6.03.202508:54
2025.03.26 17:40:07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4조 6,65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보통주 :
우선주 : 5,120,167주(발행가격 : 75,974원)
발행비율 : 7%
* 투자자
마스트아이비케이씨메자닌사모투자 합자회사
메리츠증권
파이프솔루션2호 유한회사
아이엠엠이브이2호 유한회사
미래에셋증권 (본건 펀드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미래에셋증권 (본건 펀드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제이케이엘 이에스지 미래 모빌리티 밸류체인 사모투자합자회사
케이비 에스비아이 글로벌첨단전략 사모투자합자회사
발표일자 : 2025-03-26
납입일자 : 2025-04-07
상장일자 :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600111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4조 6,655억)
보고서명: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보통주 :
우선주 : 5,120,167주(발행가격 : 75,974원)
발행비율 : 7%
* 투자자
마스트아이비케이씨메자닌사모투자 합자회사
메리츠증권
파이프솔루션2호 유한회사
아이엠엠이브이2호 유한회사
미래에셋증권 (본건 펀드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미래에셋증권 (본건 펀드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제이케이엘 이에스지 미래 모빌리티 밸류체인 사모투자합자회사
케이비 에스비아이 글로벌첨단전략 사모투자합자회사
발표일자 : 2025-03-26
납입일자 : 2025-04-07
상장일자 : -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600111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19.03.202505:06


11.03.202507:09
이춘 레피도라이트 리튬정광 생산업체도 경매 시작


10.03.202507:24
Rio Tinto, Arcadium Lithium 인수 완료
https://www.riotinto.com/en/news/releases/2025/rio-tinto-completes-acquisition-of-arcadium-lithium
https://www.riotinto.com/en/news/releases/2025/rio-tinto-completes-acquisition-of-arcadium-lithium
02.04.202500:15
25.03.202523:00
24.03.202513:00
코발트 가격 상승 지속
Cobalt prices surge on China's stockpiling plan and export ban extension threat -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cobalt-prices-surge-chinas-stockpiling-plan-export-ban-extension-threat-2025-03-24/
Cobalt prices surge on China's stockpiling plan and export ban extension threat -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cobalt-prices-surge-chinas-stockpiling-plan-export-ban-extension-threat-2025-03-24/


19.03.202505:06
[미래에셋 최유진]
배터리 메탈:
콩고 DRC 코발트 수출 중단에 따른 가격 상승
- 지난 2월 21일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코발트를 약 4개월 동안 중단 발표
- LME 코발트 가격은 약 3주 동안 +40.4% 상승하였으며 중국 황산코발트 및 산화코발트 현물가는 +46.4%, +38.2% 상승
-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의 약 77% 비중인 콩고 DRC의 수출 중단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과잉 해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 1) LFP배터리 침투율 증가 및 2) 삼원계 배터리 내 코발트 비중 하락으로 인해 22년부터 코발트 시장은 공급과잉이 지속
- 24년 기준 코발트 수요는 약 22만톤이며 공급은 약 25만톤
- 다만,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주요 소비국들이 대체 공급원 확보 또한 존재할 수 있다고 판단
- 24년 인도네시아의 중국향 코발트 수출량은 약 4만톤(+37.9% YoY)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 24년 콩고민주공화국의 중국향 코발트 수출량은 약 21.7만톤으로 전년 대비 약 +64.4% YoY 증가
- 1) 중국 CMOC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Tenke Fungurume 광산의 수출 재개 및 2) Kisanfu 광산의 생산 증가가 수출량 증가의 주 요인
- 이에 따라, 중국 코발트 정제련 업체들의 원재료 수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han.gl/poy3h
배터리 메탈:
콩고 DRC 코발트 수출 중단에 따른 가격 상승
- 지난 2월 21일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코발트를 약 4개월 동안 중단 발표
- LME 코발트 가격은 약 3주 동안 +40.4% 상승하였으며 중국 황산코발트 및 산화코발트 현물가는 +46.4%, +38.2% 상승
- 글로벌 코발트 생산량의 약 77% 비중인 콩고 DRC의 수출 중단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공급과잉 해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 1) LFP배터리 침투율 증가 및 2) 삼원계 배터리 내 코발트 비중 하락으로 인해 22년부터 코발트 시장은 공급과잉이 지속
- 24년 기준 코발트 수요는 약 22만톤이며 공급은 약 25만톤
- 다만,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주요 소비국들이 대체 공급원 확보 또한 존재할 수 있다고 판단
- 24년 인도네시아의 중국향 코발트 수출량은 약 4만톤(+37.9% YoY)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 24년 콩고민주공화국의 중국향 코발트 수출량은 약 21.7만톤으로 전년 대비 약 +64.4% YoY 증가
- 1) 중국 CMOC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Tenke Fungurume 광산의 수출 재개 및 2) Kisanfu 광산의 생산 증가가 수출량 증가의 주 요인
- 이에 따라, 중국 코발트 정제련 업체들의 원재료 수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han.gl/poy3h
11.03.202503:44
2/26일 콩고 수출 할당제 도입 가능성 참고


10.03.202504:13
[미래에셋 최유진]
배터리 메탈:
중국 탑티어 리튬 정제련 업체들의 경쟁력
- 강봉리튬(Ganfeng), 천제리튬(Tianqi)
보고서 원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304143342100_154
t.me/miraecyj
배터리 메탈:
중국 탑티어 리튬 정제련 업체들의 경쟁력
- 강봉리튬(Ganfeng), 천제리튬(Tianqi)
보고서 원문: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304143342100_154
t.me/miraecyj


02.04.202500:15
[미래에셋 김기룡/최유진]
POSCO홀딩스
리튬 사업부문:
리튬 수요 대응을 위한 양산 가동 시작
- 작년 아르헨티나 및 광양 지역 증설 완료. 올해 3월 말부터 배터리 셀 향 양산 가동 시작
- 일부 양극재 업체들의 인증 절차도 진행 중. 상반기 내 양산 가능
- 25년 리튬 생산능력은 9.3만톤 LCE(염호 5만톤, 광산 4.3만톤)
- 28년 추가적인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연말 기준 17.3만톤 LCE(+86% YoY)까지 증가
25년 리튬 부문 매출액 6,631억원, EBITDA 130억원 전망
- 26년 하반기 턴어라운드 예상. 1) 염호 및 광산에서의 본격적인 생산성 개선, 2) 낮아지는 매출원가, 3) 점진적인 리튬 가격 상승에 기인
- 26년 매출액은 1.0조원(+53.9% YoY), EBITDA는 3,172억원, EBITDA 마진은 15.9%일 것으로 전망
아르헨티나 염호에서의 생산원가 하락은 동사의 리튬 사업 부문의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보유자원 Hombre Muerto의 Cash cost는 생산비용 곡선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이며
- 리튬 함유량도 990ppm으로 칠레 아타카마 염호 다음으로 자원 내 가장 많음
보호무역주의 및 자원민족주의 강화 속 지역적 포트폴리오 다변화 중요
- POSCO홀딩스의 지역적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 리튬 자원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칠레 및 아르헨티나 지역의 자원에 대한 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
- 공급망 교란 속 신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북미 지역으로의 진출도 확대 예상
POSCO홀딩스의 DLE 공정, 리튬 Game changer
- 글로벌 관점에서 DLE 기술의 단계 별 공정이 가장 잘 구성이 되어있는 업체
- 기술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리튬 추출 공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리튬 클레이(점토) 중심 적용
- 중장기 관점에서 공정 별 기술 노하우 확보가 중요해진 시점
보고서 원문: https://han.gl/SQkth
POSCO홀딩스
리튬 사업부문:
리튬 수요 대응을 위한 양산 가동 시작
- 작년 아르헨티나 및 광양 지역 증설 완료. 올해 3월 말부터 배터리 셀 향 양산 가동 시작
- 일부 양극재 업체들의 인증 절차도 진행 중. 상반기 내 양산 가능
- 25년 리튬 생산능력은 9.3만톤 LCE(염호 5만톤, 광산 4.3만톤)
- 28년 추가적인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연말 기준 17.3만톤 LCE(+86% YoY)까지 증가
25년 리튬 부문 매출액 6,631억원, EBITDA 130억원 전망
- 26년 하반기 턴어라운드 예상. 1) 염호 및 광산에서의 본격적인 생산성 개선, 2) 낮아지는 매출원가, 3) 점진적인 리튬 가격 상승에 기인
- 26년 매출액은 1.0조원(+53.9% YoY), EBITDA는 3,172억원, EBITDA 마진은 15.9%일 것으로 전망
아르헨티나 염호에서의 생산원가 하락은 동사의 리튬 사업 부문의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보유자원 Hombre Muerto의 Cash cost는 생산비용 곡선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이며
- 리튬 함유량도 990ppm으로 칠레 아타카마 염호 다음으로 자원 내 가장 많음
보호무역주의 및 자원민족주의 강화 속 지역적 포트폴리오 다변화 중요
- POSCO홀딩스의 지역적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 리튬 자원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칠레 및 아르헨티나 지역의 자원에 대한 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
- 공급망 교란 속 신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북미 지역으로의 진출도 확대 예상
POSCO홀딩스의 DLE 공정, 리튬 Game changer
- 글로벌 관점에서 DLE 기술의 단계 별 공정이 가장 잘 구성이 되어있는 업체
- 기술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리튬 추출 공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리튬 클레이(점토) 중심 적용
- 중장기 관점에서 공정 별 기술 노하우 확보가 중요해진 시점
보고서 원문: https://han.gl/SQkth


13.03.202505:57
[미래에셋 최유진]
배터리 메탈: 글로벌 리튬 밸류체인 리뷰
글로벌 리튬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
- 리튬 밸류체인 내 상위업체들의 리튬 정광 및 리튬 화합물의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 리튬 가격 하락(탄산리튬 기준 -5.2% QoQ)으로 인해 전분기/전반기 대비 매출액은 모두 감소
점진적인 공급과잉 해소 및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 올해 리튬 공급과잉 해소에 대한 가능성 및 26년 리튬 가격 상승 가능성을 공통적으로 제시
- 현재 글로벌 리튬 수요는 약 140만톤~150만톤 수준인 것으로 추정하며 공급은 160만톤
- 지난해 4분기부터 리튬 가격은 하향 안정화 시작
- 25년 리튬 가격은 탄산리튬 가격 기준 8만위안/톤 ~ 12.8만위안/톤 내에서 횡보 예상
- 26년 리튬 가격은 9만위안/톤 ~ 14.1만 위안/톤 내에서 등락 반복 예상
다가올 상승 사이클을 위한 준비
- 전반적으로 성장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을 위해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 외 전체적인 자본 지출을 제한하는 방향을 유지할 것이라고 판단
- 앨버말의 25년 Capex는 약 7억 ~ 8억 달러로 축소하였다. 이는 23년 대비 약 2/3 정도 감소한 수치이며 24년 지출 금액의 약 50%에 해당하는 규모
- SQM 또한 Capex를 $1.1bn(기존 $1.7bn)으로 축소하였는데 칠레 염호 Capex 규모는 유지하고 해외 리튬 Capex 규모 축소 예정
- 상위업체로의 consolidation은 진행되고 있으며 가속화 예상
-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지역적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자원 인수도 활발하게 진행 중
커버리지 업데이트: 앨버말
-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10달러 유지
관심종목: 강봉리튬(NR), 천제리튬(NR), SQM, 필바라 미네랄스, 미네랄 리소스
보고서 링크: https://han.gl/lNHPo
배터리 메탈: 글로벌 리튬 밸류체인 리뷰
글로벌 리튬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격 하락으로 인한 매출액 감소
- 리튬 밸류체인 내 상위업체들의 리튬 정광 및 리튬 화합물의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 리튬 가격 하락(탄산리튬 기준 -5.2% QoQ)으로 인해 전분기/전반기 대비 매출액은 모두 감소
점진적인 공급과잉 해소 및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 올해 리튬 공급과잉 해소에 대한 가능성 및 26년 리튬 가격 상승 가능성을 공통적으로 제시
- 현재 글로벌 리튬 수요는 약 140만톤~150만톤 수준인 것으로 추정하며 공급은 160만톤
- 지난해 4분기부터 리튬 가격은 하향 안정화 시작
- 25년 리튬 가격은 탄산리튬 가격 기준 8만위안/톤 ~ 12.8만위안/톤 내에서 횡보 예상
- 26년 리튬 가격은 9만위안/톤 ~ 14.1만 위안/톤 내에서 등락 반복 예상
다가올 상승 사이클을 위한 준비
- 전반적으로 성장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을 위해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 외 전체적인 자본 지출을 제한하는 방향을 유지할 것이라고 판단
- 앨버말의 25년 Capex는 약 7억 ~ 8억 달러로 축소하였다. 이는 23년 대비 약 2/3 정도 감소한 수치이며 24년 지출 금액의 약 50%에 해당하는 규모
- SQM 또한 Capex를 $1.1bn(기존 $1.7bn)으로 축소하였는데 칠레 염호 Capex 규모는 유지하고 해외 리튬 Capex 규모 축소 예정
- 상위업체로의 consolidation은 진행되고 있으며 가속화 예상
-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지역적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자원 인수도 활발하게 진행 중
커버리지 업데이트: 앨버말
-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10달러 유지
관심종목: 강봉리튬(NR), 천제리튬(NR), SQM, 필바라 미네랄스, 미네랄 리소스
보고서 링크: https://han.gl/lNHPo


11.03.202503:42
코발트 현물가격 상승폭 확대 지속
05.03.202522:16
SQM 주요 Q&A
Q) 수요 증가로 리튬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올해 가격은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음. 수요 증가 강하지만 공급 증가도 만만치 않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시장이 개선될 요인은?
A) 2024년 리튬 수요 120만 톤 이상 도달, 전년 대비 약 25% 증가. EV 판매가 전체 수요의 약 70% 차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15% 이상 차지. 글로벌 EV 판매량 1,800만 대 가까이 도달, 전년 대비 약 26% 성장.
2025년 수요 140만 톤 이상 예상, 전년 대비 약 20% 증가. EV가 주요 성장 동력 유지, 중국이 여전히 시장 주도. 미국과 유럽은 정책 불확실성 존재해 수요에 영향 줄 가능성 있음.
시장은 LCE 생산으로 점진적 이동 예상, 특히 중국에서 양극재 수요 증가 중요해질 전망. 이에 따라, 2024년 공급량 130만 톤 이상 도달, 전년 대비 35% 이상 증가. 2025년 공급 증가율 약 10% 예상, 가격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공급량 150만 톤 가까이 도달 전망.
아프리카, 아르헨티나, 중국의 신규 프로젝트 및 호주·칠레 확장 생산 올해 시작. 중국 정제 부문 일부 과잉 생산 상태 유지. 2025년 공급 과잉 규모 2024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 가격에 영향 미칠 가능성 있음. 2026년에는 상승 가능성 존재.
Q) 수요가 예상보다 더 좋다면, 올해 추가로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지? 가이던스 이상으로 가능한지?
A) 작년부터 가능한 한 최대 생산하는 전략 유지. 지난 5~6년간 생산량 계속 증가. 작년 20만 톤, 올해 23만 톤 예상(칠레 아타카마 염호 생산량 기준).
생산 능력(capacity)과 실제 생산(actual production) 구분해야 함. 정제 시설 확장 중이며, 칠레 정제소에서 24만 톤 목표. 동시에 중국 쓰촨에서도 정제 능력 개발 중.
올해는 신규 확장 프로젝트 램프업 진행, 내년에도 추가 성장 기대.
Q) Salar Futuro 관련해서는 자금 조달 완료 시점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지금 진행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다음 과정에서 주요 마일스톤이나 촉매 요소?
Tianqi 측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 JV가 마무리되고, SQM이 미래를 위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과정이 남아 있는지?
A) Codelco와 협약 체결 당시 JV 운영을 위해 충족해야 할 조건들이 설정됨. 이후 Codelco, Corfo와 협력하며 해당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한 작업 진행 중.
현재까지 큰 장애물은 없었으며, 올해 하반기 내 조건 충족될 것으로 예상. 해야 할 작업이 많아 시간이 걸리는 과정임.
Q) 2025년 부문별 CapEx 가이던스 제공했는데, 각 프로젝트별로는 어떤지? 유지보수 CAPEX 규모? 추가로, 향후 몇 년간의 CapEx 요건?
A) 25년 총 Capex $1.1bn. 칠레 리튬 $550mn, 해외 리튬 $200mn, 칠레 칼리체 $350mn.
25년~27년 예상 Capex는 $3.1bn. 연도별로 균등 배정. 칠레 리튬 확장 $1.5~1.8bn, 해외 리튬 $700mn~$1bn, 칠레 칼리체 $900mn~$1bn.
26년~27년은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추가 투자 진행될 예정. 현재는 수산화리튬 생산 확대에 집중. 장기 계약 기반으로 10만톤 생산 목표 설정.
탄산리튬도 수요 증가에 맞춰 지속적으로 생산 능력 확장 예정. 최근 몇 년간 생산 능력 확대해왔으며, 앞으로도 같은 기조 유지.
해외리튬은 Mt.Holland Kwinana 정제소 건설 완료. 나머지 절반은 andover 프로젝트 개발과 호주 및 나미비아에서 진행 중인 탐사 프로그램에 분배.
Q) 4Q 리튬 판매량 높은 수준. 아마도 역대 최고 분기였던 것 같은데 주 요인? 업계에서는 중국이 가격이 낮을 때 가능한 많은 양을 사들여 비축하려 한다는 이야기들도 있었음. 이에 대한 의견?
A) 판매량은 높았던 이유는 중국은 24년 총 판매의 약 80% 비중이며 글로벌 수요와 일치. 24년 중국은 강력한 성장을 보였고, +35% YoY 이상 증가. 미국 및 유럽은 예상보다 낮은 성장률.
중국에서 재고를 쌓고 있지 않으며, 실제로 수요가 존재하고 합리적인 수준의 재고 유지.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도 직접 정제하거나 제3자와 함께 생산 중.
Q) 중국 고객사들이 가능한 빨리 물량을 원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유는?
A) 가격이나 공급망에서 비상식적인 재고 축적은 보지 못했음. 단지 수요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합리적인 수준의 재고만 유지하는 상황
Q) 아프리카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 승인. 아프리카 자산에 대한 잠재적인 채굴 계획이나 계획? 그리고 호주 Mt. Holland에 대한 간략한 업데이트?
A) 나미비아 프로젝트는 초기 탐사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환. 호주에 20개 이상의 프로젝트 있으며 나미비아에서 새 프로젝트 진행 중. 조건 충족 시 스웨덴에서도 프로젝트 시작 예정. 다만, 아직은 모두 초기 탐사 단계.
Mt. Holland는 24년 호실적 기록. 연중에 농축기 생산을 램프업하며, 1분기에서 4분기까지 단위 생산비용을 지속적으로 관리. 마지막 분기에는 생산 용량이 거의 80%에 달했으며, 농축기 쪽에서는 매우 좋은 한 해.
정제소는 95% 이상의 건설 완료율을 기록했으며, 50% 이상 커미셔닝을 마무리. 현재 Kwinana의 정제소는 2/3가 커미셔닝 완료. 올해 중반에는 첫 제품을 생산 예상
Q) 25년 판매량 분포. 1분기 및 2분기와 하반기 차이? 여름에 판매가 가속화될지?
A) 1Q25 판매량은 최소 5만톤으로 +15% YoY 증가한 수치. 호주 리튬 판매도 추가될 예정. 2분기부터 4분기까지 판매량 증가 예상되며 4분기는 가장 높은 판매량 기록 예상.
t.me/miraecyj
Q) 수요 증가로 리튬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만, 올해 가격은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음. 수요 증가 강하지만 공급 증가도 만만치 않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튬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시장이 개선될 요인은?
A) 2024년 리튬 수요 120만 톤 이상 도달, 전년 대비 약 25% 증가. EV 판매가 전체 수요의 약 70% 차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15% 이상 차지. 글로벌 EV 판매량 1,800만 대 가까이 도달, 전년 대비 약 26% 성장.
2025년 수요 140만 톤 이상 예상, 전년 대비 약 20% 증가. EV가 주요 성장 동력 유지, 중국이 여전히 시장 주도. 미국과 유럽은 정책 불확실성 존재해 수요에 영향 줄 가능성 있음.
시장은 LCE 생산으로 점진적 이동 예상, 특히 중국에서 양극재 수요 증가 중요해질 전망. 이에 따라, 2024년 공급량 130만 톤 이상 도달, 전년 대비 35% 이상 증가. 2025년 공급 증가율 약 10% 예상, 가격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공급량 150만 톤 가까이 도달 전망.
아프리카, 아르헨티나, 중국의 신규 프로젝트 및 호주·칠레 확장 생산 올해 시작. 중국 정제 부문 일부 과잉 생산 상태 유지. 2025년 공급 과잉 규모 2024년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 가격에 영향 미칠 가능성 있음. 2026년에는 상승 가능성 존재.
Q) 수요가 예상보다 더 좋다면, 올해 추가로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지? 가이던스 이상으로 가능한지?
A) 작년부터 가능한 한 최대 생산하는 전략 유지. 지난 5~6년간 생산량 계속 증가. 작년 20만 톤, 올해 23만 톤 예상(칠레 아타카마 염호 생산량 기준).
생산 능력(capacity)과 실제 생산(actual production) 구분해야 함. 정제 시설 확장 중이며, 칠레 정제소에서 24만 톤 목표. 동시에 중국 쓰촨에서도 정제 능력 개발 중.
올해는 신규 확장 프로젝트 램프업 진행, 내년에도 추가 성장 기대.
Q) Salar Futuro 관련해서는 자금 조달 완료 시점이 중요할 것으로 보임.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지금 진행되는 과정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다음 과정에서 주요 마일스톤이나 촉매 요소?
Tianqi 측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 JV가 마무리되고, SQM이 미래를 위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과정이 남아 있는지?
A) Codelco와 협약 체결 당시 JV 운영을 위해 충족해야 할 조건들이 설정됨. 이후 Codelco, Corfo와 협력하며 해당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한 작업 진행 중.
현재까지 큰 장애물은 없었으며, 올해 하반기 내 조건 충족될 것으로 예상. 해야 할 작업이 많아 시간이 걸리는 과정임.
Q) 2025년 부문별 CapEx 가이던스 제공했는데, 각 프로젝트별로는 어떤지? 유지보수 CAPEX 규모? 추가로, 향후 몇 년간의 CapEx 요건?
A) 25년 총 Capex $1.1bn. 칠레 리튬 $550mn, 해외 리튬 $200mn, 칠레 칼리체 $350mn.
25년~27년 예상 Capex는 $3.1bn. 연도별로 균등 배정. 칠레 리튬 확장 $1.5~1.8bn, 해외 리튬 $700mn~$1bn, 칠레 칼리체 $900mn~$1bn.
26년~27년은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추가 투자 진행될 예정. 현재는 수산화리튬 생산 확대에 집중. 장기 계약 기반으로 10만톤 생산 목표 설정.
탄산리튬도 수요 증가에 맞춰 지속적으로 생산 능력 확장 예정. 최근 몇 년간 생산 능력 확대해왔으며, 앞으로도 같은 기조 유지.
해외리튬은 Mt.Holland Kwinana 정제소 건설 완료. 나머지 절반은 andover 프로젝트 개발과 호주 및 나미비아에서 진행 중인 탐사 프로그램에 분배.
Q) 4Q 리튬 판매량 높은 수준. 아마도 역대 최고 분기였던 것 같은데 주 요인? 업계에서는 중국이 가격이 낮을 때 가능한 많은 양을 사들여 비축하려 한다는 이야기들도 있었음. 이에 대한 의견?
A) 판매량은 높았던 이유는 중국은 24년 총 판매의 약 80% 비중이며 글로벌 수요와 일치. 24년 중국은 강력한 성장을 보였고, +35% YoY 이상 증가. 미국 및 유럽은 예상보다 낮은 성장률.
중국에서 재고를 쌓고 있지 않으며, 실제로 수요가 존재하고 합리적인 수준의 재고 유지. 탄산리튬 및 수산화리튬도 직접 정제하거나 제3자와 함께 생산 중.
Q) 중국 고객사들이 가능한 빨리 물량을 원한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유는?
A) 가격이나 공급망에서 비상식적인 재고 축적은 보지 못했음. 단지 수요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합리적인 수준의 재고만 유지하는 상황
Q) 아프리카 프로젝트에 대한 규제 승인. 아프리카 자산에 대한 잠재적인 채굴 계획이나 계획? 그리고 호주 Mt. Holland에 대한 간략한 업데이트?
A) 나미비아 프로젝트는 초기 탐사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환. 호주에 20개 이상의 프로젝트 있으며 나미비아에서 새 프로젝트 진행 중. 조건 충족 시 스웨덴에서도 프로젝트 시작 예정. 다만, 아직은 모두 초기 탐사 단계.
Mt. Holland는 24년 호실적 기록. 연중에 농축기 생산을 램프업하며, 1분기에서 4분기까지 단위 생산비용을 지속적으로 관리. 마지막 분기에는 생산 용량이 거의 80%에 달했으며, 농축기 쪽에서는 매우 좋은 한 해.
정제소는 95% 이상의 건설 완료율을 기록했으며, 50% 이상 커미셔닝을 마무리. 현재 Kwinana의 정제소는 2/3가 커미셔닝 완료. 올해 중반에는 첫 제품을 생산 예상
Q) 25년 판매량 분포. 1분기 및 2분기와 하반기 차이? 여름에 판매가 가속화될지?
A) 1Q25 판매량은 최소 5만톤으로 +15% YoY 증가한 수치. 호주 리튬 판매도 추가될 예정. 2분기부터 4분기까지 판매량 증가 예상되며 4분기는 가장 높은 판매량 기록 예상.
t.me/miraecyj
Показано 1 - 24 із 154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