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Лачен пише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Лачен пише
Steve’s Catallaxy avatar
Steve’s Catallaxy
Steve’s Catallaxy avatar
Steve’s Catallaxy
Переслав з:
SOL기로운 HODL생활 avatar
SOL기로운 HODL생활
: : 아이오타는 IOTA Rebased를 위해 왜 수이의 인프라를 선택했을까

올해 가장 두드러진 블록체인 기술 트렌드 중 하나는 단연 수이(Sui)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MOVE 언어 기반 스택의 부상입니다. 다양한 언어와 가상 머신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수이의 기술은 자산 정의의 유연성, 풍부한 상호작용 처리, 그리고 고성능·고확장성을 모두 아우르며 단연 돋보이고 있습니다. 그 핵심에는 리소스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인 MOVE on Sui와 DAG 기반 BFT 합의 엔진인 Mysticeti가 있습니다.

MOVE 언어로 말할 것 같으면 - (미스텐랩스의 코파운더인 Sam Blackshear를 포함한) 메타 출신 개발자들이 설계한 언어로, 자산을 복제나 폐기가 불가능한 ‘리소스’로 정의해 안전한 상태 관리를 가능케 합니다. 수이의 무브는 오브젝트 단위 상태 관리를 통해 병렬 실행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높은 TPS와 낮은 수수료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MOVE로 정의된 자산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수이는 DAG 기반의 Mysticeti 합의 구조를 채택합니다. Mysticeti는 텐더민트(Tendermint)나 핫스터프(HotStuff) 등 기존 BFT 합의 방식에서 리더 의존성으로 발생하던 합의 지연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성능과 확장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면서 탈중앙화된 구조와 견고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뜨거운 주목을 받아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수이 인프라가 차세대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주목받자, 일부 프로젝트는 수이의 기술 스택을 조기에 도입하며 생태계 재구성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아이오타(IOTA)입니다.

수수료 없는 DAG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2016년 메인넷을 출시한 아이오타는, DAG 기반의 독자적인 합의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수수료 없는 가치 교환 네트워크라는 비전을 일관되게 추구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이오타 팀은 더 다양한 사용 사례를 지원하고 광범위한 채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도입을 통해 자산 표현의 유연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아이오타 팀은 2022년부터 IOTA EVM 레이어2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후에는 보다 본질적인 진화를 위해 수이의 기술 스택을 적극 도입해 레이어1 자체를 전면 재설계하는 IOTA Rebased 전략을 본격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스타피쉬(Starfish): Mysticeti를 개선한 아이오타의 합의 엔진

아이오타는 수이의 인프라를 포크하면서도, 자체 네트워크 환경에 맞춘 최적화를 시도 중입니다. 그 일환으로 개발 중인 합의 엔진 Starfish는, 인증된(certified) DAG의 보안성과 미인증(uncertified) DAG의 효율성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tarfish는 시간이 지나면 트랜잭션 블록의 가용성을 검증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데이터 은닉이나 누락 가능성을 최소화합니다.

즉, Mysticeti보다 단순성과 속도를 일부 양보하되, 보다 대규모 거래를 견디기 위한 확장성과 안정성에 무게를 둔 설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생태계 구축을 위한 자체 이니셔티브와 토크노믹스 리빌딩

이외에도, 아이오타는 네트워크의 운영 효율성과 개발자 친화성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자체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 가스 스테이션: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가스 대납 시스템
• 아이오타 인덱서: 효율적인 데이터 검색과 수집
• 아이오타 아이덴티티 프레임워크: 디지털 신원 관리를 위한 구조

기존의 $IOTA는 단순히 교환 수단 이상의 고유한 유틸리티를 거의 갖지 못했지만, 이번 IOTA Rebased 개편을 통해 거래 수수료 소각 모델, 스테이킹 인센티브*, 스토리지 디파짓 구조 등을 도입함으로써, 생태계 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디플레이셔너리·유틸리티 구조로 거듭날 예정입니다.

*총 스테이킹 보상은 에포크당 약 76.7만 개의 $IOTA로, 연간 약 6%의 인플레이션에 해당합니다.

맺으며

수년 간 DAG 기술의 원형을 다듬고 이를 금융, IoT, 게임, 공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온 아이오타가, 이제는 수이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것은 여러 측면에서 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IOTA에 대한 더욱 자세한 인트로 아티클이 약 1시간 이내로 FourPillars를 통해 퍼블리시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출처 : 제 트위터
Переслав з:
SOL기로운 HODL생활 avatar
SOL기로운 HODL생활
쿠모캣 NFT를 사면 에어드랍을 해주는 게이밍토큰 $KOBAN이 한국 시간 기준으로 14일 => 15일로 넘어가는 자정에 이뤄지네요!

출처 : https://x.com/luckykatstudios/status/1920093522872369296?s=46&t=Qyns4Kfmifo6n646v4GUQA
수이는 베이스캠프 이후로도 비교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 수이에서는 꽤 재밌는 것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수이랜드 파운더가 만든 Attention 토큰도 꽤 재미있는 이니셔티브이고, 수이의 카이토인 GiveRep도 수이 커뮤니티 내에서 큰 웨이브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곧 더블업도 TGE 예정이고, 수이랜드도 2차 에어드롭을 앞두고 있습니다. 쿠모캣의 거버넌스 토큰인 KOBAN도 토큰 론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재미있는 플젝들이 많은데 조만간 좀 정리해서 공유하도록 할게요.
01.05.202505:57
포필러스 수이 리포트 들고 지인들에게 자랑하는 에이드니를 발견하고 사진 찍었습니다.

80장이 넘어가니까 진짜 책 같네요.
29.04.202517:13
펏지펭귄이 스티커와 GIF들을 월루스 기반의 터스키에 저장한다고 합니다.

펏지 자체의 메타데이터는 아니라서 아쉽네요.
Переслав з:
종명이의 딸깍 avatar
종명이의 딸깍
Ika 투자 뭐지요

#ika
Переслав з:
흔자 avatar
흔자
IKA TGE 임박한 분위기입니다. 트위터에서도 언급이 점점 늘고 있고, NFT 가격도 꽤 많이 오른 상태네요. 현재 Tradeport 기준 등급별 리스팅 되어있는 최저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Common: 87.92 SUI
Rare: 98.91 SUI
Epic: 159 SUI
Legendary: 696 SUI
Mythic: 1978 SUI (리스팅 1개만 있음)

TGE 이후에는 가격이 많이 떨어질 수도 있으니, 스테이킹 고민중이시라면 잘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 https://www.tradeport.xyz/sui/collection/mf-squid-market?bottomTab=trades&tab=items
07.05.202504:18
개인적으로 궁금한 것:

1. 카이아는 이번 펀딩 라운드에 얼마를 모금했나?

2. 그중에 얼마가 카카오에게 들어갔는지? (% 기준)

3. 보통 투자가 하이프를 받으려면, 투자금이 재단에 귀속되어 그 투자금이 생태계 발전이나 이후 추가적인 로드맵을 이행할 수 있는 기초자본이 되는 경우인데, 카이아의 경우엔 그 자금이 얼마나 재단에게 갔을지?

마치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았는데 그게 신주발행을해서 회사에 자금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구주 매각을 한 경우인 거 같아서 기존 다른 블록체인들의 통상적인 "투자 발표"들과는 궤가 좀 다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01.05.202510:20
: : 저희 포필러스 리포트는 베이스캠프 공식 레지스트레이션 데스크에 배치되었었습니다.

수이팀이 리포트 보더니 직접 체크인 데스크 & 레지스터 데스크에 배치해줬습니다.

파트너십 총괄인 라이언은, 공식 자료로도 사용하고 싶다며 매우 인상깊어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Переслав з:
흔자 avatar
흔자
수이플레이 직접 플레이해봤는데, 생각보다 엄청 가볍습니다. 버튼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디스플레이 크기는 체감상 닌텐도보다 조금 더 큰 느낌입니다!

제 생각보다는 엄청 잘 나온 느낌입니다.
29.04.202511:34
제가 작년에 누구보다도 KBW를 앞장서서 비판하던 입장에서, 이번 이스트포인트는 매우 큰 기대를 하고 직접 경험해보고 솔직하게 후기 작성하겠습니다.
🇰🇷 한국 카이토 탑 야퍼가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1위 : 펭구애비
2위 : 라이터 애비
3위 : 온체인 애비
4위-5위 : 해시드 애기
6위 : 포필라스 애비

등등등

외국인으로 분류됐던 분들이 다시 귀국했네요.
08.05.202502:42
수이모닝
Переслав з: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avatar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카카오, 보유 카이아 반값에 VC에게 넘겨

https://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4300018166420104195

최근 했다던 투자 유치가 카카오 러그풀 종지부였네요
컨퍼런스 돌아다니다가 이상한(?) 행동을 하는 아저씨를 봤는데, 베이스캠프 못 온 회사 동료를 위해 저희 메가리포트를 한 장 한 장 사진 찍어서 보내주고 있는 진광경을 목격했습니다.

이 맛에 리서치 합니다.
베이스캠프 베뉴 왔는데 이벤트 내일 시작인데도 미리 신청하러 온 사람들이 꽤 많네요. 베뉴는 정말 이쁩니다.
글로벌 웹3 리더, 정·재계 인사 서울에…'이스트포인트:서울 2025' 9월 개최

글로벌 웹3 벤처캐피털 해시드와 블루밍비트(Bloomingbit), 한경미디어그룹은 오는 9월 22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EastPoint:Seoul 2025, 이하 이스트포인트)' 행사를 공동 주최한다고 밝혔다.

이스트포인트는 한국을 디지털자산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고 전통 금융과 디지털자산이 만나는 글로벌 허브로서 입지를 공고히 다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라이빗 웹3 콘퍼런스다. 이스트포인트는 사전 초청자만 참석 가능한 행사로, 올해는 글로벌 블록체인 및 디지털자산을 선도하는 프로젝트들과 대기업, 기관 투자자, 글로벌 정책 입안자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라운드테이블(Roundtable) ▲비투비 매치메이킹(B2B Matchmaking) ▲지식 공유(Knowledge Sharing) ▲소셜 개더링(Social Gathering) 등 4가지 주요 세션으로 구성된다.

가장 핵심적인 '라운드테이블'은 초청자에 한해 직접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비공개 논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비투비 매치메이킹'은 참석자 간 비즈니스 수요와 관심사에 기반한 1대 1 미팅을 통해 실질적인 협업 가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이다.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이스트포인트는 콘퍼런스를 넘어 글로벌 마켓의 정책 결정자와 시장 리더들이 규제와 기술의 접점을 함께 설계해 나가는 장이 될 것"이라며 "한국이 기관 디지털자산 시장의 전략적 관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화와 파트너십 탄생에 기여하고 싶다"고 전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89585O
26.04.202503:22
이니시아가 메인넷을 런칭했는데, 써보니까 여태까지 레이어1 블록체인들이랑 비교했을 때 새로운 것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그만큼 이니시아가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이지만, 유저 입장에선 새로운 것들이 많아서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일 거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에렌님이 친절하게 가이드를 작성해주셨습니다.

이니시아 하시다가 길을 좀 잃으셨다면, 에렌의 가이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07.05.202515:05
저희 포필러스에 새로운 리서처분이 온보딩 하셨습니다.

바로 캘빈님입니다. 사실 캘빈님과 저는 서로 알고 지낸지 1년이 넘었는데, 캘빈님이 트위터에서 활약하는 모든 모습을 지켜본 입장으로써 캘빈님을 모시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특히 캘빈님의 메가ETH 글들은 단순히 국내 커뮤니티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일으켰을 정도로 뎁스 측면에서도, 퀄리티 측면에서도 매우 뛰어났었죠. (https://x.com/SiwonHuh/status/1887784174700187800)

그래서 제가 캘빈님을 모셔두고, 왜 포필러스에 오셔야 하는지에 대해서 역으로 PR을 했고, 캘빈님도 그 비전과 포필러스의 가치에 크게 공감하셔서 포필러스에 온보딩을 하시게 됐습니다.

특히 캘빈님은 그냥 리서치도 리서치지만, 서큐리티 리서치를 전문적으로 하셨던 분이니 만큼 저희 포필러스에 새로운 관점과 새로운 컨텐츠도 많이 써주실 예정입니다.

앞으로 너무나도 다양한 활약상을 보여주실 예정이기 때문에, 미리 팔로우를 해두시기 바랍니다.

https://x.com/SiwonHuh/status/1920128990674915809
수이 기반의 프라이버시 중심의 분산형 AI 인프라인 아토마가 엔비디아 인셉션 프로그램에 선정됐네요.

예전에 아토마에 대해서 설명한 제 글이 있어서 짧게 첨부드립니다.

Atoma의 가장 큰 특징은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기반의 노드 구조를 통해 연산 중에도 데이터와 모델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신뢰 가능한 실행 환경을 구현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민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연산을 수행하면서도 해당 데이터가 노드 운영자나 제3자에게 유출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Atoma는 Sampling Consensus Protocol을 도입하여, 분산된 노드들 간의 연산 결과를 상호 검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산의 신뢰성과 정확성까지 보장한다.

Atoma는 자체 모델을 훈련하거나 보유하지 않으며, 오히려 OpenAI, Mistral, LLaMA 등의 외부 파운데이션 모델을 API 또는 로컬 실행 형태로 호출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처럼 Atoma는 파운데이션 모델의 실행 위치와 방식에 있어 사용자의 선택권과 프라이버시를 극대화하는 인프라 레이어로 기능한다. 또한, OpenAI와 동일한 API 형식을 유지하면서도 연산 환경을 TEE 기반의 탈중앙 노드로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 및 기관 사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보안성과 규제 회피 가능성을 제공한다.

Atoma Network는 이러한 탈중앙 AI 실행 구조를 온체인 상에서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운영하기 위해 Sui 블록체인을 기반 인프라로 채택하고 있다. AI 작업 요청, 노드 선택, 실행 결과에 대한 정산 및 보상 분배 등 핵심 메타데이터는 Sui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기록 및 처리되며, 이는 Atoma의 탈중앙 거버넌스와 인센티브 시스템의 기반이 된다. Sui의 고속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은 노드 간 실행 이력, 사용자 요청 상태, 연산 결과 등을 구조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처리량(TPS)은 실시간 AI 정산 시스템 구현에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Atoma는 Sui의 NFT 표준과 자산 토큰화를 활용해 노드 자격, 사용권, 프라이버시 정책 등을 온체인 자산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Sui Wallet을 통해 통합된다. 결과적으로 Atoma는 Sui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탈중앙 AI 마켓플레이스를 구성하고 있으며, 고신뢰 AI 실행 인프라와 고성능 L1 블록체인의 결합을 통해 차세대 AI 서비스 운영 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에 수이 기반 게이밍 프로젝트인 소사이어티도 아디다스와 협업을 하던데. 확실히 이제 단순 하이프를 넘어서 그 하이프를 활용한 협업 사례들도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토마 어난스먼트 출처: https://x.com/Atoma_Network/status/1919787840096854342
01.05.202506:07
수이는 유저도 없고 아무도 없다.

하지만 진짜 없는 것은 설 자리, 앉을자리였네요.
29.04.202511:29
인젝티브가 한국 마케팅 매니저를 채용하네요.

인젝티브가 다른 것은 몰라도 정말로 체인 잘 만들고 싶어하는 마음 만큼은 진심인 팀입니다.

그만큼 이 팀에는 정말 진심으로 잘 해보고 싶은 분들이 조인하셨으면 좋겠네요. 저희도 인젝티브의 동료로써 좋은 분을 소개해주고 싶은데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게 있으면 도와드리겠습니다!

https://injectivelabs.org/careers/?ashby_jid=46dd9d87-c810-4bfe-a675-888083d3ae07
Переслав з:
Four Pillars Research (KR) avatar
Four Pillars Research (KR)
: : [이슈] 이니시아 메인넷: 멀티체인 에덴동산을 위한 온보딩 노트
작성자: 에렌

- 이니시아는 메인넷 출시와 함께 VIP 게이지 보팅(Guage Voting)과 주요 앱체인들의 서비스 출시가 이어지며, 본격적인 인터우븐(Interwoven) 경제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 다만, 테스트넷을 경험해보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내재화된 유동성, 게이지 보팅, 인터우븐 롤업 구조 등 이니시아의 네트워크 환경은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 이에 본 아티클은 이니시아의 기술 개념과 실제 인터페이스를 비교하며 사용자들이 멀티체인 환경 속에서 길을 잃지 않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 이니시아의 정교한 아키텍처만큼이나, 온보딩부터 운영까지 마찰없는 사용자 경험은 이니시아가 지향하는 멀티체인 생태계를 실현하는 데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Показано 1 - 24 із 739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