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 관세 업데이트: "영국과의 합의, 그러나 진짜는 이제부터" - 5월 9일

■ 트럼프 대통령, 스타머 영국 총리와 공개 전화 통화를 하고 미국과 영국 간 무역 협정을 공식 발표

* 미국은 연간 10만대 규모의 영국산 자동차에 대해 기존 25%의 관세를 10%로 인하하고, 영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해 부과하던 25%의 관세를 철폐

* 영국은 에탄올, 소고기, 농산물, 기계류 등 미국산 제품에 대한 시장을 개방하고 보잉 항공기 100억달러어치를 구매하기로 결정

*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영국에 대한 10%의 기본 상호관세는 유지되며, 이를 통해 약 60억달러의 세수가 발생할 것이라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오는 10일 스위스에서 열리는 중국과의 첫 무역 협상은 실질적인 협상이 될 것이라 기대하며, 현재 부과중인 145%의 대중 관세는 더 이상 높아질 수 없을 것이라 발언

■ 뉴욕포스트,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145%에서 50%대로 낮추는 협상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

■ 블룸버그통신, EU는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협상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할 경우, 미국산 제품에 950억 유로(약 150조원) 규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새로운 대미 보복안을 준비중이라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jZF5LE)
ㅋㅋㅋㅋㅋㅋㅋ 🤣🤣🤣🤣

몽상가들, 이젠 웃기지도 않은데 자꾸 웃음이 🤣🤣🤣
07.05.202513:49
# 지금 FOMC가 중요한게 아닌듯...혼돈에 빠진 전세계 🙈

🇷🇺🇺🇦 러-우 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인도-파키스탄 긴장 고조

지금처럼 글로벌 곳곳에서 전쟁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던 적이 있었나 싶을정도로 전세계는 지금 갈등과 분열로 치닫고 있습니다.

최근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인도-파키스탄 갈등은 기존 국가들의 분쟁과는 차원이 다른 얘기입니다. 두 나라 모두 핵보유국이기 때문이죠.

트럼프가 재선되면 글로벌 분쟁은 잠식될 것이다라고 생각했던 것은 제 오판이었습니다. 기존 공약과는 다르게 아직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트럼프...

이번 인도-파키스탄 사태가 미중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는 건 아닌지...? 그 이후 확대된 전면전이 대만-중국 갈등으로 연결되는 건 아닐지...??👀

현 글로벌 정세는 말 그대로 케이오스 입니다...🙈 (= 금 외 다시 빨리 달러를 사야하나😢)


https://youtu.be/6mqP14q7huI?si=_eCNP6eJrPJz6_ak
06.05.202522:37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5/7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68%
- 전년동기비 성장률 +17%
- 성장률 상위: 조선(+469%) > 화학(+101%)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디스플레이 > 소매(유통) > 철강

KOSDAQ
- 기발표 완료율 9%
- 전년동기비 성장률 +10%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기계(+386%) > 반도체(+78%)
- 서프라이즈 섹터: IT가전 > 상사,자본재

■ 실적발표 예정
- (5/8) 카카오 1,059억원 (-12%y / +40%q)
- (5/9) 셀트리온 2,154억원 (+1,295%y / +10%q)
- (5/9) NAVER 5,089억원 (+16%y / -6%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https://buly.kr/9iFsNcB)
└ 반미 연대 + 미국 하드 데이터 둔화 가시화

= 기축통화 위상 의구심 강화 🙈🚬
# 관세 업데이트: "트럼프 100일" - 4월 29일

■ 워싱턴포스트,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취임 100일을 앞두고 진행한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 부정적은 55%라고 보도

* 관세 정책에 대해서 미국 국민 중 64%가 부정적이라 대답

* 지지율 39%는 지난 80년간 취임 100일을 맞은 미국 대통령 중 최저치

■ 베센트 재무장관, 15~17개국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좋은 조건을 제시했으며 한국과의 관세 협상도 매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 높은 관세율이라는 채찍을 보여준 뒤 대미 관세나 비관세 무역 장벽, 통화 조작 등을 중단해야 협상을 시작할 수 있다는 당근을 제시하는 것이 트럼프의 전략이라고 소개

* 중국의 비즈니스 모델은 미국에 저가의 보조금 지원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이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중국 경제도 갑자기 멈출 것이기에 중국은 반드시 협상할 것이라 전함

■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로 인해 무역에 영향을 주는 사례:

* 파이낸셜타임스, 중국발 상품의 주요 입국 경로인 미국 로스앤젤레스 항구의 다음주 예정된 도착 물량이 지난해보다 30% 줄어들 전망이고 운항 취소로 인해 약 20편의 빈 항해가 예상된다 보도

* 로이터통신, 2025년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는 관세 부담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을 판매하던 일부 판매자들이 행사 참여를 포기하거나 할인 폭을 줄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8pg2aAJ)
# "큰 거 온다?" 🙄

이미 흑자를 보고있는 나라한테 뭐가 큰 거고, 뭐가 역사적인...(?)

🇺🇸 자동차 관세 일부 인하 + 철강, 알루미늄 폐지
🇬🇧 $100억 규모 보잉 구매 (보잉 = 영국산 롤스로이스 엔진 사용🤣)

👉 이를 반영하듯 합의 성공 + 영란은행 기준금리까지 인하했으나, 유럽 증시서 나홀로 하락
👉👉 미국에게 영국은 이번 주말사이에 있을 중국과의 합의를 위한 초석일뿐
└ LET'S GET IT 🤙🔥🔥
# 5월 섹터별 매력도 ❤️

▪︎ 지난달 유망 업종
소프트웨어, 상사자본재(방산), 비철목재, IT하드웨어

▪︎ 이번달 유망 업종
미디어교육(엔터), 상사자본재(방산), 비철목재, 화장품, 필수소비재, 건강관리, 조선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스타일 전략

"트럼프처럼 주식 스타일도 오락가락"

▪︎ 5월 들어 주가 설명력이 높은 다수의 매크로 변수들이 "성장" 시그널로 둔화되며 1개월만에 강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

▪︎ 이는 패시브 외국인 유출, 물동량 감소, 기대인플레 하락에 주로 기인하며, 반대로 최근 글로벌 반미 연대 확산 및 대만 생보사 환헷지 등의 달러 약세 환경이 국내 환 강세를 야기하며 개선. 이 또한 모두 "트럼프발 사이클 왜곡"에 해당되는 만큼, 앞으로도 로테이션 빈도가 잦을 수 밖에 없는 이유

▪︎ EQUITY DURATION상 다수의 국내 섹터들이 성장주 쪽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대다수 건강관리, 조선, 방산(상사자본재) 등의 종목들이 리스트 상위에 등극된 유망 업종

(보고서 원본 ☞ https://buly.kr/2fdZ0CH)
# 글로벌 반미 연대 강화 영향? 🚨

👉 미국채 10년물 상단 타겟 mid-4% 돌파 수순??
28.04.202500:19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4/28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53%
- 전년동기비 성장률 +18%
- 성장률 상위: 조선(+484%) > 건강관리(+119%)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건강관리> 디스플레이 > 반도체

KOSDAQ
- 기발표 완료율 2%
- 전년동기비 성장률 +19%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소프트웨어(+530%) > 반도체(+42%)

■ 실적발표 예정
- (4/28) 한화오션 1,592억원 (+201%y / -6%q)
- (4/29) 크래프톤 3,865억원 (+25%y / +79%q)
- (4/3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019억원 (+1,242%y / -44%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 https://buly.kr/4FsKjkq)
└ 쉬어가는 코너: 갑갑할 땐 롹이지 🤘

"베이스 기타는 5현이 진리지!"를 일깨워준 누나, 베이스계의 GOAT ❤️

🎵 THE WARNING - ENTER SANDMAN
「에이피알」 1Q25 실적발표

05/08 9:53 DART 공시

◆ 수급 정보
- 종목주인: 기관
- 수급레벨: 꽉찬집

◆ 실적 정보
- 매출액 2660억원 (79% y // 9% q)
- 영업익 546억원 (97% y // 38% q)
- 순이익 499억원 (107% y // 15% q)
→ 과거 6개 분기 평균치(18.2%)를 상회하는 OPM(20.5%) 발표

◆ 퀀트 결론
- 실적강도(SUE): 최고분위 (서프라이즈)
- 센티먼트(△P/E): 고분위 (주도주)

☞ 이는 주가 상향 Drift가 발생하는 「LONG」 실적임을 알려드립니다!
# 관세 업데이트: "계속되는 품목별 관세 부과" - 5월 7일

■ 미국,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 발효

■ 트럼프 대통령,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힘

*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영화 관세 부과 발언 하루만에 외국 영화에 대한 관세는 아직 최종 결정된 사안이 아니며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 발표

■ 트럼프 대통령, 향후 2주 이내에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관련하여 큰 발표를 할 것이라 예고

* 트럼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짓는데 걸리는 승인 시간을 단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의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반대 의견서 제출

■ 파이낸셜타임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활 움직임에 중국 수출업체들이 제3국을 경유해 원산지 세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

■ 워런 버핏 버크셔 CEO,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고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 표출

(자료 원본 ☞ https://buly.kr/7bGmbt0)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REITERATE: "RATHER BUY IN MAY?"

▪︎ 국내 경기 사이클은 작년 5월을 기점으로 확장 추세에서 벗어났으며, 8월에는 본격적인 수축 사이클로 전환. 그 이후 10개월 내내 둔화하던 국내 경기의 침체 속도가 이번달 들어 가장 크게 줄어들며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

▪︎ 이번달 선행 및 후행경기지표의 동반상승이 목격되는데, 이는 두 지표가 교차하기 직전 나타난 상황으로 트럼프 관세 우려가 만든 밀어내기 물량 즉, “사이클 왜곡 현상”에 주로 기인. 이러한 왜곡은 추세라기 보단 단발성 요인인 만큼, 이번달 시그널의 큰 변화를 변곡으로 보기엔 무리수

▪︎ 국내 경기의 이번 수축 사이클이 아직 절반에도 못 미쳤다는 기존 시각을 유지하는 바, KOSPI의 상단은 제한적인 반면 하단은 국내 밸류에이션 상 락바텀인 2,400P 대에서 지지하는 횡보장세 지속 예상. 결론적으로 향후 경기 기초체력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중장기적 주식전략 차원에서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통신과 같은 성장주이자 방어주 컨셉을 띄는 "NON-CYCLICAL DEFENSIVE” 업종 유망 시각 지속 유지 (REITERATE)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4mcekvR)
# 관세 업데이트: "협상의 시기" - 5월 2일

■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담을 줄이려고 미국과 현재 대화 중인 한국, 일본, 인도와 무역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

*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한국과 진행 중인 무역 협상 상황에 대해 한국은 먼저 제안을 내놨고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

■ 트럼프 대통령, 이란산 석유나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어떤 국가나 개인도 즉시 2차 제재의 대상이 될 것이며 미국과 어떠한 형태로도 거래할 수 없다고 강조

* 이는 하루 100만 배럴 넘게 이란산 석유를 수입하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

■ 중국 관영 CCTV, 최근 미국이 관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여러 채널을 통해 접촉해 왔다고 보도

■ 미국 상무부, 올해 1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감률(속보치)이 -0.3%(직전분기 대비 연율)로 집계되었다 밝힘

* 스웡크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둔화는 수입이 41.3% 급증하고 수출은 1.8% 증가에 그치면서 순수출이 감소해 전체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결과

* 스웡크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수입액이 급증한 것은 수입 업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세금을 피하고자 수입품 재고 물량을 일시적으로 크게 늘렸기 때문

* 전문가들은 미국이 관세 정책을 수정하지 않는다면 경제가 올해 여름부터 본격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

■ 트럼프 대통령, 삼성이 관세 때문에 미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 들었다며 역성장한 미국 1분기 경제성장률에도 관세로 인한 자신의 경제 성과를 강조

(자료 원본 ☞ https://buly.kr/Eonp1Hv)
28.04.202500:19
# 관세 외 올해 임박한 첫번째 관문 ⚠️

올해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트럼프 관세를 상수로, 그 외 추가 변수로 다음과 같이 말씀드렸습니다:

1)상반기 FED의 QT 종료 시점,
2)하반기 BOJ 긴축 및 엔케리 청산 가속화,
3)연중 스테이블코인의 도입과 이후 국채 향방

상단 차트는 이 중 올해 첫번째 관문인 QT 종료 시점 관련 자료입니다.

시장에서는 이번 5월 QT 완전 종료를, 반면 필자는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방 압력 등을 고려시 적기는 6~7월부터이지 않겠느냐"를 전달 드렸습니다.

실제로 이번달 FOMC에서 QT 관련 조치는 지난달 Taper 이후 전무했습니다. 파월은 이렇게 아무것도 안해도 괜찮은 걸까요?

차트 내 하늘색 선은 FED의 지급준비금 유동성 지표입니다. 예치기관들의 준비금을 GDP로 나눈 이 수치는 최소 10~11%를 기준으로 상회시 풍부, 하회시 부족한 유동성을 의미합니다.

비전통적 QE가 시작된 이래 2019년 레포 발작 사태 때를 제외시 단 한번도 기준점을 밑돈 적이 없습니다. 허나 작년부터 시작된 초과 유동성 축소로 인해 현재는 그 기준점까지 내려온 상황입니다.

곤색 선 RDE는 지급준비금 변화에 따른 시장금리 민감도를 의미합니다. 준비금이 풍부한 상태에서 RDE는 0 부근에 머물지만, 부족할수록 음수 값이 커집니다. 즉, QT가 연준의 지급준비금을 갉아먹게 되면 민감해진 시중은행간 단기조달 시장은 금리 급등(발작)을 야기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그렇다몀 준비금 유동성은 이렇게 간당간당해도 RDE은 평온한 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아직 풍부한 시장 자금에 주로 기인하는 바입니다. 아래 차트에서 보는 것처럼 역레포 잔고가 $0이 됐다는 가정을 해도 MMF와 같은 시중 유동성은 $0.2조가 남아있는 상태로 RDE를 지키기에 아직 버퍼가 남아있기 때문이죠.

트럼프의 90일 관세 유예도 어느덧 1/3이 지났습니다. 잠시나마 평온을 되찾은 현재, FED발 통화정책 쪽의 불협화음은 부재하길 기원해 봅니다. 🫡🤞
# 관세 업데이트: "드디어 만나는 둘" - 5월 8일

■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무역대표부 그리어 대표와 함께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 예정인 중국과의 통상 문제 협상이 토요일 (10일)에 시작된다고 밝힘

* 중국 측 수석 대표는 중국 경제 실세이자 미중 경제·무역 협상의 사령탑인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

* 중국 외교부 또한 미국 발표와 같은 시점에 허리펑 부총리가 스위스 정부 초청에 따라 스위스 방문 기간 동안 베선트 장관과 회담을 연다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의 첫 고위급 협상을 앞두고 미국이 먼저 145%의 대중국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은 없다고 밝힘

■ 파월 연준 의장,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드라이브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진단한 뒤 경제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며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4.25∼4.50%로 재차 동결

■ 로이터통신,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이번 달 15일 발효 예정이었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을 철회할 계획이라 보도

*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은 전 세계 국가를 "동맹 국가", "일반 국가", "우려 국가"로 등급을 나눠 구분하고 차별적으로 AI 반도체에 대한 수출 통제를 하는 시스템

*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 관세 발표 이후 주요 국가와 통상 협상을 진행함에 따라, AI 반도체 수출 통제 문제를 통상 협상과 연계한다는 분석

(자료 원본 ☞ https://buly.kr/Edt6DJw)
06.05.202522:37
06.05.202504:55
# 대만의 SVB화 : "겨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

대만 달러 급등 요인과 금융시장 파급 요약

▪︎ 급등 현황

• 대만 달러는 하루 3% 상승하며 1988년 이후 최대 상승폭 기록.

• 대만 증시도 2.7% 상승해 아시아 주요 지수 중 최고 성과.


▪︎ 표면적 원인

• 대만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됨.

• 미·중 무역 협상 가능성 언급.

• 미국 기술주 실적 호조로 대만 반도체 수출 기대 상승.


▪︎ 실질적 원인

• 대만 생명보험사들이 1.7조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 등 해외 자산을 보유 중이나 환헤지를 제대로 하지 않아, 미국 달러 약세 시 손실 위험 커짐.

• 2025년 들어 달러 약세가 가속되자, 보험사들이 뒤늦게 환헤지에 나서며 대규모 TWD 매입 발생 → 환율 급등 유발.


▪︎ 파급 효과

• 한국 원화도 갑자기 강세. 일부 기관이 원화를 TWD 헤지 대체 수단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

• 향후 한국, 일본 등 주변국 환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정책적 딜레마

• 대만 중앙은행은 통화 약세 유도를 꺼림 (e.g.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

• 그러나 보험사의 환위험 노출 규모가 워낙 커, 실질적으로는 중앙은행이 방어해야 하는 구조.

•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압박 속에서 외환시장 개입은 정치적으로도 민감.


▪︎ 결론

• 이번 TWD 급등은 기술적 수급 요인 (i.e. 보험사들의 늦은 환헤지)이 핵심 원인.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달러 강세 지속 될 거란 안일함.

• 단기적으로는 대만 금융시장 구조의 불균형이 외환시장 급변동을 초래했고, 그 여파가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확산 가능성 있음.

• 장기적으로는 트럼프 관세정책이 힘을 잃을수록 거세질 아메리카-엑소더스 (e.g. 금리상승, 달러 약세, etc.). 반대로 트럼트, 무역통상 원상복구시 업사이드 큰 달러.

• SVB는 미국채 몰빵, 대만은 외환보유고보다 몸집이 커진 생보사들의 환노출 미국채 자산-부채간 미스매치. 적극적 방어(SVB)든, 공격 목적(대만)이든 쏠림현상 극대화 됐을 때의 폐해.
30.04.202512:48
# GDP RECAP. - "매번 시차에 안주하는 우리"

* 3년만의 첫 경제 수축 (심지어 저건 명목)
* 물가는 예상치 상회 및 ADP고용 올해 증분 급감 (스테그플레이션 심화, "the only way out is printing money " -> 빈부격차 심화)

하드 데이타 벌써 꺾이나...🙈

https://t.me/purequant/11729
# 관세 업데이트: "중국을 개방하라" - 4월 28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의지를 시사하는 등 유화 제스처를 취한 가운데 중국도 일부 미국산 품목에 대한 125%의 추가 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짐

*외신과 중국 현지 매체,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는 않았지만 중국은 미국산 반도체 관련 관세 면제 조치는 이미 무역현장에서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에테인과 의료 장비 등에 대한 관세 면제도 검토되고 있다 보도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개방하고(free up China), 중국에 미국이 들어가 일하게 하는 실질적인 양보를 주지 않으면 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이 전화를 걸어왔으며 이것은 중국의 약점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힘

* 중국, 정례 브리핑에서 중미 양국은 결코 관세 문제에 관해 협상이나 담판을 진행한 바 없다고 강력 부인

■ 트럼프 대통령, 어떤 협상에서도 군대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면서 한국 등과의 협상에서 방위비와 관세를 별도로 논의할 것을 시사

■ 트럼프 대통령, 일본과의 관세 문제를 합의하는 데 매우 근접했다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GvmtLXY)
Показано 1 - 24 із 317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