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KK Kontemporaries avatar

KK Kontemporaries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Січ 02, 2024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10, 2024

Рекорди

21.04.202523:59
4.8KПідписників
10.09.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16.04.202500:24
14.1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29.03.202523:59
10.8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20.04.202505:40
6.63%ER
16.04.202500:24
298.33%ERR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KK Kontemporaries

18.04.202511:07
https://youtu.be/GJgnInryEzY?si=IpXc5jQKPS66lgUC

글 쓰는 게 더 편하긴 하더라고요. 🥹

삼쩜삼 캠퍼스와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삼쩜삼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글로벌 매크로 전문가는 아니고요… 시장 옵저버 쪽에 더 가깝습니다 ㅎ)
05.04.202515:17
https://youtu.be/KpnUyGM5M-I?si=XJaaVMjJtqxsM1Zi

지금 유용한 관점인듯

PDF는 인터뷰 내용 번역
20.04.202523:45
JP

1. 우리는 한미반도체 공장 투어에 참석했으며, 핵심 부품 대부분을 내재화함으로써 장비 지식재산(IP)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받음. 아직 SK하이닉스의 생산 차질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HBM의 중요성과 M15X 클린룸 증설 전까지 한정된 공간을 고려할 때 양측이 곧 합의할 것으로 예상함.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한미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음. 이는 고객사 내 지갑 점유율(wallet-share) 감소 리스크 때문이며, 한미는 올해 들어 수요가 강한 마이크론(MU)/중국 쪽 옵션 가치를 우선시할 것으로 기대됨.

2. 시장에서는 NVIDIA의 GB300이 소켓 아키텍처로 인한 전송 문제로 인해 GB200과 동일한 설계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보고 있음. 애널리스트들은 이 변경이 특히 수냉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사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설계 변경으로 인해 수냉 플레이트 모듈 및 관련 부품은 다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며, GB300 출시 일정은 기존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될 것으로 보임. 이는 AURAS(3324), FOSITEK(6805)에게 부정적임.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686599?from=ednappsharing&secureweb=wintrv
20.04.202523:30
BoA

자동차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투자자들은 현대/기아의 현재 밸류에이션(총주주수익률 11%)에 미국 관세 리스크가 이미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함.
4월 중순 미국 자동차 판매는 재고 부족으로 인해 전년 대비 +22% 증가 (2024년 계절 조정 연율 기준 대비).
현대의 로보틱스 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로보택시 및 SDV(자율주행차)에서의 새로운 성장 기회에 집중되고 있음.

조선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4월 초와 달리 공매도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은 조선업에 대해 매력적인 리스크-보상 비율로 평가함.
환 헤지 완화, 철강 가격 하락, 제품 믹스 개선 등에 따라 마진 피크 우려가 완화되고 있음.
2025년 1분기: 현대미포조선은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기대되며(W560억 vs. 컨센서스 W470억), 두드러질 전망.

방산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한국 방산 섹터에 투자하는 해외 투자자 풀 확대가 확인됨. 이는 장기 수출 사이클 지속 때문.
수주잔고 커버리지가 높다는 점 외에도, 2025년 1분기 한국 주요 방산 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99% 증가함.
향후 유럽 외 시장의 총주소요시장(TAM) 확대와 세부 분야 확장이 방산주 상승의 촉매가 될 것으로 기대됨.
03.04.202511:55
공매도 (실용적 관점) 잘 설명해주심

https://m.blog.naver.com/innocent_man/223821208810
미국 국채는 전통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수익률 급등과 달러 약세, 그리고 글로벌 무역 긴장 속에서 그 안정성이 의심받고 있다.

최근 시장에서는 투자자들이 주식과 기타 위험 자산뿐만 아니라 국채까지도 대거 매도하면서, 미국 국채가 마치 위험 자산처럼 거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채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 세계 금융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국채는 다른 자산의 가격 책정 기준이자 수조 달러 규모의 대출 거래에서 담보로 사용되기 때문에, 신뢰 상실이 지속된다면 미국의 차입 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등 심각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
07.04.202502:57
수요일까지 휴가라 시장을 못보고 (안보고🥹) 있는데 정리 좀 해드리자면

---------

시장 바닥을 가늠할 수 있는 요소들
1. 금융시장을 구성하는 두 가지 핵심 축은 매크로(성장 + 인플레이션)와 유동성이다. 이번 시장 붕괴는 매크로 요인에 의한 가능성이 크며,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한 상황이다.

매크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매우 *이분법적(binary)*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무역 협상, 트럼프 임기 등 주요 이벤트에 따라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다.

차트 1- 뉴스위크 트럼프 지지율

머니마켓 트레이더 코멘트:
“이건 명백히 매크로 이벤트로 촉발된 매도 현상이며, 시장의 구조적 힘들이 이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어. 전체적인 거시 유동성은 여전히 충분하지만, 미국 수뇌부가 ‘공익을 위해’ 매도를 유도하면서 가격에 상관없는 매도(예: 트레이딩 데스크들이 리스크 한도에 걸려 자동 매도)가 발생하고 있어.”

2. 주식 시장 하락이 베센트파월을 움직이긴 힘들 것이다. 궁극적으로 크레딧 시장에서 문제가 터질 경우에야 정부나 연준이 실질적인 개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차트 2- 미국 회사채 크레딧 스프레드


3. 현재 미국 주식시장이 다른 시장 대비 과매도 상태에 있기 때문에, 미국 트레이더들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통계가 공유되고 있다:

“이번 주 이전까지 S&P500이 이틀 연속 4% 이상 하락한 사례는 단 4번 있었고,
3일 연속 하락은 한 번도 없었다.
그 4번의 경우, 1주 후 평균 수익률은 4.6%, **1개월 후 평균 수익률은 8%**였다.
(단, 2020년만이 유일한 음수 사례, 2008년 11월이 유일한 1개월 후 음수 사례)”
이런 과매도 상태로 인해, 미국 시장이 아시아보다 먼저 반등을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

------------
참고사항 - 오늘 외국인 수급:
일부 리스크 오프 매도는 관찰되지만, 대부분의 수급은 알고리즘 기반 자동 매매로 인한 것으로 보임.

“It’s all computers.”
02.04.202523:35
타이밍이 좀 아쉽지만 - JPM

삼성전자 (005930 KS, 비중확대(OW), 목표주가 74,000원): 투자의견을 중립(N)에서 비중확대(OW)로 상향 조정, 목표주가는 60,000원에서 74,000원으로 23.3% 상향.

SK하이닉스 (000660 KS, 비중확대(OW), 목표주가 300,000원): 목표주가를 280,000원에서 300,000원으로 7.1% 상향.

글로벌 메모리 시장: 기존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있으며, 견고한 AI 관련 종목을 유지할 것. SK하이닉스를 최우선 추천주로, 삼성전자/난야테크 투자의견을 각각 비중확대/중립으로 상향조정.
09.04.202511:18
필자가 본 글 중 가장 합리적인 글

미국인 제조업 출신자의 관세 + 미국 제조업 복귀 관한 좋은 관점

"아무리 마이클 조던이어도 야구는 못했다"

"세계화의 종말이 아니라 미국을 뺀 세계화의 시작이다"

https://x.com/molson_hart/status/1908940952908996984?s=12&t=xqAS5Xg0kII_7JxezPKEHw
03.04.202522:44
미장 요약:

거래량 20일 이동평균 대비 +34% 증가.
미국 주식시장은 기관 매도세가 지속되며 약 5% 하락 마감했다. 매도세의 속도는 폭력적이진 않았지만, 장중 최저가에서 마감한 점과 장기 투자자(LO)의 ‘경기 침체 대비’ 매매가 시작된 점을 고려하면, 오늘 거래에서 긍정적인 해석은 단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

'해방의 날' 직전 며칠간은 올해 들어 가장 매매가 저조한 거래일들이었으며, 유일한 테마는 매크로 상품에서의 숏 익스포저 조정뿐이었다.

단기 트레이더들은 어제 발표를 앞두고 상승 서프라이즈 시 일부 수익을 놓칠 수는 있어도, 큰 손실은 피하려는 포지션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발표는 시장 예상보다 나빴지만, 충격적인 수준은 아니었기 때문에, 오늘의 거래 속도는 트럼프 첫 당선, 브렉시트, 코로나 같은 진짜 시장 충격에 비할 정도는 아니었다.

테마성 매수도 없었다. 지난 몇 달간의 마켓 뉴트럴 (헤지펀드 포지션) 청산 이후, L/S(롱숏) 및 시스템 매매자들의 리스크는 많이 해소된 상태다.

Metli가 밤새 발표한 노트는 오늘의 거래 분위기를 완벽하게 요약한다:

“예상보다 명확하고 큰 폭의 관세 인상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 물가 상승) 위험을 높인다. 긍정적인 점은 빠른 자금(HF)의 포지션은 이미 많이 줄어든 상태라는 것 (MS PB 기준 HF 순포지션 하위 18%, 거시 시스템 레버리지 하위 30%, 2010년 이후 기준). 부정적인 점은 경기 침체 리스크가 아직 시장 가격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시장은 하향 추세로 가겠지만, 급락보다는 완만하고 거친 하락 흐름이 예상된다. 따라서 반등은 매도 기회이며, 고품질 종목(Quality)과 기술주(Tech)가 경기민감주보다 우수한 성과를 낼 것이다.”

지난 한 달의 청산은 대부분 L/S 및 시스템 트레이더의 디레버리징(레버리지 축소)이었고, 장기 투자자들은 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부터 그들도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제 질문은, 장기 투자자들이 증가하는 경기 침체 리스크를 반영하여 주식 익스포저를 조정할 것인가이다. 오늘 매도세는 무차별적이진 않았지만, 우리 플로우 및 가격 흐름은 분명히 LO의 베어리시 전환이 시작됐음을 보여준다.

과거 이와 같은 변화는 금액이나 시간 측면 모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Wilson (Morgan Stanley 미국 주식 전략가)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S&P 500이 5500 아래로 떨어진 지금, 1차적 관세 영향은 어느 정도 가격에 반영됐다고 보지만, 2차적 영향(기업 신뢰도 하락 → 실업 증가 → 경기침체)은 여전히 반영이 부족하다. 결국 위험은 관세 협상 일정과 그에 대한 반응에 달려있다.”

Kevin Barry(MS 주식 트레이딩)는 오늘의 거래 흐름을 이렇게 정리한다:

실제 자금의 매도세는 외국인 투자자 논쟁이 심화되며 점점 악화됐다. 글로벌 환율 변동은 비미국 지역 포지션 조정을 자극했고, 시장 구조도 약화되었다(SPY에서 $1 빠질 때 Mag7에서 -30센트씩 하락). 소비재는 수년 만에 최악의 타격을 입었고(우리 데스크의 매도 플로우는 ‘투항’ 그 자체), 경기민감주와 방어주의 상대 수익률도 사상 최악이었다.
오늘은 기술적으로는 리밸런싱이 있었지만, 정상적인 날은 아니었다. 다행히 국채, 신흥국 ETF(EWZ, FXI), 헤지(고품질 + 모멘텀 전략)가 손실을 어느 정도 상쇄해 주었다. 이런 하루는 빨리 잊고 싶다.”

오늘의 흐름과 가격 행동에서는 어떤 긍정적인 신호도 없었다. 리테일은 $55억을 매수했지만, 레버리지 ETF는 $250억 이상 매도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QDS 팀은 향후 며칠간 $750억~$1000억의 시스템 매도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z-score 3.5 수준이다.

다행히, 베어리시한 헤지펀드들은 S&P보다는 나은 하루를 보냈을 수 있다. PB Content에 따르면, 오늘 이전까지 총 익스포저는 지난 5년 기준 상위 92%타일이었고, 순포지션은 12개월 기준 5%, 5년 기준 29%에 불과했다. 모멘텀 전략은 상승했고, 롱-숏 혼합 지수는 -0.7%로 상대적으로 건강한 HF 환경을 반영한다. 퍼포먼스 통계는 내일 다시 보고될 예정이다.

NFP(비농업 고용지표)가 상황을 바꿔줄 수 있을까?
우리 미국 경제팀의 견해는 부정적이다:

“이번 NFP는 비대칭적 리스크를 갖고 있다. 고용이 아주 강하게 나와야만 경기 둔화 우려를 잠재울 수 있고, 약간만 실망스러운 수치도 그 우려를 더 키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Wilson은 새로운 S&P 5100~5500 박스권을 제시한다:

“단기적으로 성장률 급반등은 지수 상승의 촉매가 되기 어렵다. 상승이 가능하려면, 예상보다 비둘기파적인 연준(Fed)이 등장하거나, 주요 무역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명확한 진전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고, 관세 협상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어제 이후 지수 차원의 35% 이상 상승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만약 5450/5500 아래에서 마감한다면, 다음 지지선은 51005200(8월 저점, PER 19배 수준)이고, 5500은 저항선이 될 것이다.”
04.04.202511:47
주요 쟁점은 이번이 기술적 침체(technical recession)인지, 아니면 2008년 같은 전면적 침체인지인데, 개인적으로는 전자에 가까울 것 같다는 느낌이 들지만, 살펴보고 알려드릴게요
골드만 - 미국 관세

“상호주의” 관세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것으로, 가중 평균 관세율을 18.3%로 올리는 방안이다. 이는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약 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전체 수입품의 약 3분의 1은 면제 대상이 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관세율 인상은 12.6%포인트로 줄어든다.

우리는 이와 올해 발표된 다른 관세 조치들이 미국의 실효 관세율을 총 18.8%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무역 상대국과의 협상을 통해 오늘 발표된 것보다는 다소 낮은 “상호주의” 관세율로 조정될 것으로 보지만, 보복 관세에 따른 갈등 확대 가능성과 추가 산업별 관세가 나올 확률이 높기 때문에, 실효 관세율이 경제 전망에서 가정한 15%포인트 상승보다 더 크게 오를 위험이 있다.

---

한국은 실질적으로 14% 관세 (면제 포함)
17.04.202506:14
TSMC 외국계 트레이더들 1차 반응

분기 매출 가이던스: 전 분기 대비 +13% (시장 기대치 +4~5% 대비 상회)

TSMC 2분기 가이던스, 예상보다 강한 수준

2025 회계연도(내년) 설비투자 가이던스: 380~420억 달러 계획 재확인 – 고객사의 성장 지원 지속 의지

연간 매출 가이던스 하향 없음 –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결과에 가까움

1. 2분기 가이던스 양호
2. 설비투자 축소 없음
3. 연간 가이던스 하향 없음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