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avatar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유진투자증권 대체투자분석팀 리서치 자료와 뉴스를 제공합니다.
*담당 애널리스트
황성현(화학/정유/유틸리티/배터리)
권해순(바이오/제약)
류태환(건설/부동산)
양승윤(로봇/기계/운송)
이유진(철강/금속)
김진우(음식료/농산물)
이다빈(RA)
임범수(RA)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Лип 26, 2022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10, 2024

Рекорди

25.04.202523:59
3.5KПідписників
09.09.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18.02.202523:59
8.4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18.02.202523:59
8.4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15.11.202423:59
4.01%ER
18.02.202523:59
257.12%ERR

Розвиток

Підписників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유진증권 대체투자분석팀 (에너지/소재/바이오/기계/운송/음식료)

Переслав з:
ablbio_official avatar
ablbio_official
06.04.202522:51
금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GSK(시가총액 약 108조원)와의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기술이전 소식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09.04.202523:01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로봇/방산/조선/항공 양승윤

▶ 조선 Quarterly Report: 훌륭한 차선책

- 지난 수개월간 한국 조선업의 주가 흐름을 이끌었던 것은 미국의 함정 사업에 대한 기대감. 조선 업종이 다시 한 번 주가 상승 국면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본업인 상선이 뒷받침되어줄 필요가 있을 것.

- 상선 분야는 최근 발주 흐름도 주춤하고 중국의 조선 공급 능력 확대로 무언가 천장에 부딪힌 모양새. 한국은 중국에게 수주 점유율 1등을 내어준 상황. 그러나, 한국은 1등보다 나은 차선책이 될 것.

-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로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에 대한 견제 움직임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 미국이 전세계 선주들에게 중국 조선소를 이용하지 않도록 직/간접적으로 요구하고 있고, 아직은 눈치 싸움 중이지만 선주들은 조금씩 중국에 대한 노출도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

- 하반기에는 이러한 흐름에 더해 한국의 주력 선종인 LNGC 발주가 미국 LNG 수출 승인 재개 영향으로 확대될 예정.

- 드라마틱한 변화를 예상하기는 쉽지 않지만, 잔잔한 파도가 쉼없이 몰려올 것. 조선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

------------------------------------------------------
1. 1Q25 Preivew
2. 상선 - 선방. 하반기가 대목
3. 특수선 - 미국 함정 스토리에는 공감
4. 해양 - 기회는 여전하다
5. 커버리지 - HD현대중공업(TP 350,000), 삼성중공업(TP 18,000), 한화오션(TP 79,000)

* 보고서 -> http://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410_B2040_syyang0901_222.pdf
* 본 내용은 당사 준법감시관리인의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09.04.202523:02
[방산 프리뷰 주요 내용]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매출액 5조 6,731억원, 영업이익 4,808억원(OPM 8.5%)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4,574억원) 부합 전망. 1분기부터 한화오션 실적 연결 반영. 오션 실적 반영에 따라 컨센서스 변동 가능성 큼. 1분기 폴란드 인도량은 K-9 8대, 천무 18대로 추정. 이 외에도 추가 물량 1분기내 출하된 것으로 파악되나, 현지 도착 시점 및 천무의 모듈 결합 시기에 따라 유동적. 유상증자 이슈 있으나, 구조 바꾸고 상세 투자 계획 공개하며 당위성 부여. 직수출 이후 Phase를 위한 선제적/공격적인 해외 생산거점 확보 등 위함. 유럽 외 중동, 미국 시장 새롭게 부각되는 점 긍정적.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글로벌 피어 멀티플 상승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850,000원으로 상향 조정

- 현대로템: 매출액 1조 2,664억원(+69%yoy), 영업이익 1,740억원(+289%yoy, OPM 13.7%)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1,874억원) 소폭 하회 전망. 폴란드 K-2 연간 인도 목표 96대 달성 위한 연속 생산 진행 중. 1분기 인도량 26대로 추정. 4Q24 디펜스 부문 OPM 33%은 정산 이익 발생 및 조기 생산 영향이며, 1분기는 22% 수준으로 2Q24~3Q24 19% 대비 소폭 개선된 것으로 추정. 폴란드 2차 계약은 현지 양산 관련 논의 진행 중으로 파악됨. 상반기 중 계약 체결 기대하며, 폴란드 외 페루, 루마니아, 중동 추가 수주도 시야에 둠. 레일 부문 성장은 올해가 아닌 내년. 에코플랜트 현대차그룹 미국 투자 확대 일부 낙수 효과 기대.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목표주가 115,000원으로 상향. 글로벌 피어 멀티플 상향 반영. 수출국 다변화 가능성 반영하여 할인율도 축소

- 한국항공우주: 매출액 7,689억원(+4%yoy), 영업이익 560억원(+17%yoy, OPM 7.3%)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 680억원 하회 전망. 연간 영업이익 30% 성장 전망하나, 이익은 하반기 집중될 전망. 이라크 CLS 인식, 인도네시아 인도 등 하반기 예정. 올해는 필리핀 FA-50 계약 기대하며, 내년에 가시화될 풍부한 파이프라인(이집트, 말레이, 사우디 등)을 기다려봄. 최근 미국 UJTS 스케줄 재차 앞당겨지는 것으로 보도(2Q28 → 1Q27). 내년에는 KF-21 인도도 시작. 월 2기 생산 전망. 기체 부품은 보잉&에어버스 여전히 공급망 이슈 있으나, 1분기 인도 전년비 20% 증가. 미국 관세 영향은 예의 주시. 피어 멀티플 상향에 따라 목표주가 89,0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

- 한화시스템: 매출액 7,980억원(+47%yoy), 영업이익 399억원(-12%yoy, OPM 5.0%)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 461억원 하회 전망. 적자 구간 통과 중인 필리조선소 실적이 변수. 그러나 내년에는 필리조선소 BEP 달성, 27년은 흑전 전망. NSMV 건조 마치고, 컨테이너선 건조에 따른 이익 확보 기대. 미국 필리조선소 실적을 제외한 본업 영업 이익 체력은 전년비 11% 성장한 것으로 추정. 시장 기대 높아지는 중동 L-SAM 외 다양한 수출 기회들을 더하여 볼 필요(위성, 레이더 등).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목표주가 38,000원으로 상향. 피어 멀티플 상승을 반영
09.04.202523:02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로봇/방산/조선/항공 양승윤

▶ 방산 1Q25 Preview: 늘 그렇듯 비수기, 그래도 눈이 가는 이유

- 방산 업종에서 1분기는 비수기. 상저하고의 계절성. 4Q24 높은 마진 기록했으나, 1분기는 물량 감소하는 만큼 이익률 눈높이는 낮추어야 할 것.

- 그러나, 분기 실적에 연연할 필요는 없음. 연간으로 보면 여전히 편안한 성장세를 유지하기 때문.

- 게다가, 유럽 발 무기 수요 증가에 따른 낙수 효과와 중동/아태 시장의 새로운 기회도 도래 중인 점도 긍정적.

- 한국 방산의 멀티플은 미국 방산을 따라가다, 유럽 방산 멀티플을 쫓아가기 시작. 이를 증명할 수주 필요하며, 파이프라인은 충분.

* 보고서 -> http://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410_B2030_syyang0901_221.pdf
* 본 내용은 당사 준법감시관리인의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Переслав з:
디일렉(THEELEC) avatar
디일렉(THEELEC)
08.04.202508:07
LS전선이 대한전선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침해 소송에서 최종 승소했다. 양사 모두 2심 판결에 상고하지 않기로 하면서 5년 넘게 이어진 국내 전선 업계 1·2위 간의 특허 분쟁도 마침표를 찍게 됐다.8일 특허법원 제24부는 LS전선이 대한전선에 대해 제기한 특허 침해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의 2심 판결을 확정했다. 앞서 재판부는 지난달 13일 대한전선이 LS전선의 특허권을 침해했다고 판단, LS전선에 15억원 상당의 배상금을 지급하란 내용의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이후 양사는 판결문을 송달 받은 3월 25일을 기준으로

via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 전체기사 https://ift.tt/RySKNQn
04.04.202508:53
05.04.202502:15
노르웨이 K9 24대(7,684억원) 추가 구매 계획. 현재 28문 보유 중. 핀마르크 여단 소속의 새로운 포병 대대에 배치 예정.

http://m.g-enews.com/view.php?ud=202504050521119970fbbec65dfb_1
02.04.202522:11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4.3]

4.2 국내외 주요 뉴스

#뉴릭스(NASDAQ:NRIX) +8.7%,
#키메라(NASDAQ.KYMR) +4.5%,
#아비나스(NASDAQ.ARVN) +2.1%,
#C4(NASDAQ.CCCC) +5.9%
- 뉴릭스테라퓨틱스가 사노피와의 기존 파트너십 하에 새로운 전사인자 표적 자가면역 질환 신약 프로그램 미국 권리를 기술이전(라이선스 확장료 $15mn, 추가 마일스톤 $465mn)
- 해당 후보물질은 STAT6과는 다른 염증 반응 조절 전사인자를 표적으로 하며, 뉴릭스의 DEL-AI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최초의 분자 접착제 분해제임
https://ir.nurixt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nurix-licenses-drug-discovery-program-sanofi-targeting-novel

#그리폴스(NASDAQ:GRFS) +7.6%,
#ADMA(NASDAQ:ADMA) +4.2%
#CSL(ASX:CSL) +0.0%
- 스페인 혈장제제 전문 제약사 그리폴스가 캐나다 투자사 브룩필드와의 인수 협상이 재개됐다고 보도됨
- 브룩필드는 그리폴스 최대주주인 그리폴스 가문과 접촉해 약 €7bn($7.55bn) 규모의 인수 제안을 검토 중이며, 모건스탠리가 자문 역할 수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 그리폴스 이사회는 해당 협상 재개에 대한 공식 정보가 없다고 밝혔으며, 앞서 브룩필드는 €6.7bn 규모의 비구속 인수 제안을 철회한 바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brookfield-resumes-grifols-takeover-talks-el-confidencial-reports-2025-04-02/

#셀트리온 -2.9%
- 셀트리온은 지난달 약 500억원 규모로 매입한 자사주 약 26.8주를 오는 4월 18일까지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
- 2025년 초 이후 현재까지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약 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함
- 셀트리온은 2025년~2027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주주 친화 정책 강화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3

#대웅제약 +0.1%
- 대웅제약이 P-CAB 계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의 위염 적응증에 대해 국내 보험 급여를 획득하고 10mg 제품을 본격 출시
- 대웅제약은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등으로 적응증 확대 연구 중이며, 펙수클루를 연매출 15,00억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시킬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2
10.04.202506:05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

***2030년 휴머노이드 최강국을 목표로 국내 기업/전문가 참여하는 휴머노이드 연합 출범

<5대 추진 과제>
- 로봇 AI 공용 모델 개발
- 휴머노이드 핵심 기술 개발
- AI 반도체, 모빌리티용 배터리 등 개발
- 스타트업, 인력 등 양성
- 공급-수요 기업 간 협력 강화

<참여 기업 중 상장 로봇 전문 기업>
- 로봇 제조사: 레인보우로보틱스, 엔젤로보틱스, 뉴로메카, 두산로보틱스
- 로봇 부품사: 로보티즈, SBB테크
06.04.202523:30
2025.04.07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바이오제약업종 2025년1분기 실적시즌 관전포인트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Top picks :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관심종목: ABL바이오. 에스티팜

투자에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07.04.202509:34
+) 작년 12월에 HSW가 크랩 96대 추가 수주한 바 있습니다. 48대는 기존 크랩으로, 나머지는 자동 장전 등 자동화를 포함한 개량을 실시 예정이라고 하네요. 이 개량에는 에어로가 공동 개발을 한다는 내용의 보도도 있었습니다.

http://www.defense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8518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60975
31.03.202501:46
09.04.202523:05
2025.04. 10. 목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권해순

[ABL바이오 BUY.  TP 8만원(상향)]
차세대 CNS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안녕하세요. 
ABL바이오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4월 7일 월요일 ABL바이오의 기술이전계약 체결 공시가 있었고
4월 9일 수요일  ABL바이오의 대표이사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ABL바이오의 BBB셔틀 플랫폼인 Grabody B가 차세대 CNS치료제 개발에 있어 패러다임을 전환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념비적인 이벤트들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ABL바이오는 최근 3일간 기업가치가 레벨 업 되었습니다.
하지만 Grabody B플랫폼의 확장성, ABL바이오의 높아진 글로벌 위상을 감안하면,

당사는 ABL바이오의 기업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Grabody B플랫폼의 가치 상승을 반영하여 
ABL바이오의 목표주가를 종전 5만원에서 8만원으로 상향합니다
더불어 당사 바이오업종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일 발간 자료를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