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avatar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Dec 28, 2022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Mar 05, 2025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한 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시황&ETF] 무역 정책 리스크 완화, 그럼에도 미-중간 리스크 상존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uTriot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상상인 FICC Brief 4월 16일 (수)★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5bp 하락한 2.662%에 마감. 4월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장세가 시현되는 가운데, 4월 기준금리 동결 기대감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선물 순매수세가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1bp 하락한 4.333%에 마감.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 영향에 상승 출발했으나 베센트 재무장관의 국채 추가 매입 시사 발언 영향에 하락 전환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4.70원 상승한 달러당 1,427.2원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 달러화 가치 절상에 연동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53pt 상승한 100.17pt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가 유입되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43% 상승한 온스당 3,218.7달러에 마감. 국채 금리 하락과 함께 관세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33% 하락한 배럴당 61.33달러에 마감. OPEC에 이어 IEA 역시 세계 원유 수요 전망을 하향하며 하락세 시현, 다만 최근 발생한 낙폭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하락 폭을 완화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88% 상승한 2,477.41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이 한국 증시에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 또한 추경 규모가 확대된 점도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17% 하락한 5,396.63pt에 마감. 캐나다의 대미 보복 관세 유예 소식에도 불구하고 EU와의 관세 협상 난항 및 중국과의 무역갈등 우려에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48%(-0.1bp)
5년물: 3.987%(-2.5bp)
10년물: 4.336%(-4.2bp)
30년물: 4.780%(-3.2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5.2bp(-0.1)
2년/10년: 48.8bp(-4.1)
10년/30년: 44.4bp(+1.0)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32%(+2.5bp)
미국: 4.336%(-4.2bp)
영국: 4.653%(-0.7bp)
프랑스: 3.297%(+2.1bp)
그리스: 3.422%(+3.4bp)
이탈리아: 3.723%(+4.5bp)
스페인: 3.238%(+2.5bp)
일본: 1.371%(+3.5bp)
호주: 4.300%(-5.5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97%(-1.5bp)
5년물: 2.502%(-1.3bp)
10년물: 2.662%(-2.5bp)
30년물: 2.495%(-3.5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5.3bp(-1.5)
3년/10년: 26.5bp(-1.0)
10년/30년: -16.7bp(-1.0)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5pt(+0.03)
10년 KTB: 120.36pt(+0.2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6.6bp(+0.9)
3년: 25.4bp(-0.4)
5년: 23.3bp(-0.2)

AAA 은행채
1년: 16.2bp(+0.7)
3년: 28.6bp(par)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5.1bp(+1.7)
3년: 49.4bp(par)
5년: 48.9bp(-0.2)

AA+ 카드채
1년: 29.5bp(+1.5)
3년: 43.6bp(+0.3)
5년: 43.6bp(-0.1)

AA- 캐피탈
1년: 37.6bp(+1.5)
3년: 58.4bp(+0.3)
5년: 74bp(par)

A+ 캐피탈
1년: 101.2bp(+1.5)
3년: 143.1bp(+0.3)
5년: 187.8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22.7원/전일 대비 0.1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0.16pt(+0.47pt, +0.47%)
달러/유로: 1.1282달러(-0.007, -0.61%)
엔/달러: 143.23엔(+0.18, +0.13%)
달러/파운드: 1.3230달러(+0.004, +0.30%)
위안/달러: 7.316위안(+0.006pt, +0.08%)

◆ 상품시장 ($)
WTI: $61.3(-0.2, -0.3%)
브렌트: $64.9(+0.1, +0.2%)
천연가스(HH): $3.33(-0.2, -6.1%)
금: $3218.7(+13.9, +0.4%)
구리: $9154.5(+166.5, +1.8%)
옥수수: $485.0(-5.3, -1.1%)

◆ 미국 증시
DOW: 40369.0pt(-0.4%)
S&P500: 5396.6pt(-0.2%)
NASDAQ: 16823.2pt(-0.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3,873.1USD(-718.5, -0.9%)
이더리움(Binance): 1,592.3USD(-31.5, -2.0%)
[상상인 Macro Daily 4/16(수)]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88% 상승한 2,477.41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이 한국 증시에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 또한 추경 규모가 확대된 점도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17% 하락한 5,396.63pt에 마감. 캐나다의 대미 보복 관세 유예 소식에도 불구하고 EU와의 관세 협상 난항 및 중국과의 무역갈등 우려에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5bp 하락한 2.662%에 마감. 4월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장세가 시현되는 가운데, 4월 기준금리 동결 기대감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선물 순매수세가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1bp 하락한 4.333%에 마감.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 영향에 상승 출발했으나 베센트 재무장관의 국채 추가 매입 시사 발언 영향에 하락 전환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4.70원 상승한 달러당 1,427.2원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 달러화 가치 절상에 연동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53pt 상승한 100.17pt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가 유입되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43% 상승한 온스당 3,218.7달러에 마감. 국채 금리 하락과 함께 관세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33% 하락한 배럴당 61.33달러에 마감. OPEC에 이어 IEA 역시 세계 원유 수요 전망을 하향하며 하락세 시현, 다만 최근 발생한 낙폭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하락 폭을 완화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BpEqXLc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6(수)

● Top News
- 한미, 다음주 무역협상… 관세 골든타임
https://naver.me/5apA2N8H

● Economy
- "트럼프 싫다" NO 아메리카 바람…미국, 130조원 손실 위기
https://naver.me/GalXojKO
- 은행 안 가리고 쭉쭉 내리네… 예금금리 ‘1%대 시대’ 코앞
https://naver.me/5l79Nepa

● Stock Market
- 뉴욕증시, 시진핑 전화 기다리는 트럼프…동반 약세 마감
https://naver.me/xwmLRtjJ
- 코스피 ‘美관세 완화’ 기대감에 2470대 상승…기관 ‘사자’ 외인·개인 ‘팔자’
https://naver.me/5apACFsV

● Fixed Income
- '관세 부과'에 폭락한 美 국채…서학개미들 장기채 '줍줍'
https://naver.me/xgN3QGJH
- '불확실성' 트럼프 관세에 美국채 기간프리미엄 10년 만에 최고
https://naver.me/x67WtZct

● Currency
- 원/달러 환율, 이틀 연속 1420원대…"美달러화 약세 지속"
https://naver.me/xTTcPlPs
- 달러 가치 10% 떨어질 때, 원화 고작 3% 상승 그쳤다
https://naver.me/Fjb8KxVz

● Commodity
- 사흘 만에 하락…IEA, 세계 석유 수요 전망 하향
https://naver.me/FvE2mWaM
- 예상보다 강경한 中에 당황한 美..."협상 필요한건 中" 강조
https://naver.me/F2Z53w0A

● Real Estate
- 서울 아파트 거래 8000건대 찍고 '급랭'…대선 전까지 숨죽인다
https://naver.me/GdyXz56o
- "1분기 훌쩍 지났는데"…마수걸이 수주도 못한 건설사
https://naver.me/5k74n64P

● ESG
- “상법 개정 ‘충실 의무’ 오해…대주주가 ‘먼저 넣자’고 해야 하는 것”
https://naver.me/F3TtFoIU

● ETC
-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습니다"… 잇따른 논란에 내린 결단
https://naver.me/FO9knhve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5 (화)

● Top News
- ‘12조’ 필수추경, 다음주 국회 제출…최상목 “초당적 협조 당부”
https://naver.me/GMmiuojX

● Economy
- 3월 車 생산·내수판매·수출액 증가…친환경차 내수판매 21%↑
https://naver.me/xiqNbxID
-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에 투자 보조금…200억 투자시 최대 100억 지원
https://naver.me/5A3DvkY6

● Stock Market
- 코스피, 장중 상승폭 커져 2470선 돌파…자동차·AI 관련주 강세
https://naver.me/xq3MzXKQ
- 이복현 만난 글로벌IB.."한국 공매도 규제수준 높다" 불만
https://naver.me/5N1Jn94g

● Fixed Income
- '트럼프 관세'에 회사채시장도 흔들…‘오버금리’ 발행 속출
https://naver.me/5sskKF1T
- 채권 전문가 88%, 4월 기준금리 동결 전망
https://naver.me/GEXSHKyD

● Currency
- 한은 “정치적 불확실성 여전히 높아”…경제 위험 장기화 우려
https://naver.me/GctL6RU4
- 엔화, 뉴욕 증시 강세에 지분조정 매도로 1달러=143엔대 전반 하락 출발
https://naver.me/xAFIeD4c

● Commodity
- 최남호 산업 2차관 “美 알래스카 LNG 사업 출장…관세협상 패키지”
https://naver.me/xY4hwz6P
- 트럼프 “中·베트남, 美 망치는길 탐색”… 시진핑 “따돌림 행위 공동반대”
https://naver.me/5bVJSLRP

● Real Estate
- 주택사업자들이 본 4월 경기 전망, 가장 높은 곳은 서울 아닌 '이곳'
https://naver.me/xjgv8scY
-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6개월 만에 '최고치'
https://naver.me/F74fLbbX

● ESG
- 美 SEC, 친환경 증권거래소 개장 승인
https://naver.me/5l79WVDm

● ETC
- 비트코인 1억2200만원대…트럼프 관세 유예 기대에 반등세
https://naver.me/5MVE4HGG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한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채권전략]
4월 금통위 프리뷰: 금리 인하 전 숨 고르기
신얼 수석연구위원 02-3779-3184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 동결 전망
- 소멸되지 않는 글로벌 불확실성이 지지하는 점진적 금리 조정

1. 금융불안정 이슈에 의한 숨 고르기
- 외환시장의 불안 심리 지속
- 금리 인하 기대감과 엮인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불안감

2. 현재 진행형인 기준금리 인하 국면
- 금융안정 신호를 기다린 후 물가와 경기에 의한 금리 인하 단행하는 패턴
-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25년 5월 추가 인하 및 '25년말 2.25% 기존 전망 유지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DEYu3K8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상상인 FICC Brief 4월 15일 (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0.3bp 하락한 2.687%에 마감. 관세발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가운데, 금주 예정된 4월 금통위를 앞두고 5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선물 순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국고채 시장 강세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11.6bp 하락한 4.374%에 마감.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 소화 이후 금리는 하락한 가운데 월러 연준 이사의 경기 침체 위험 주장에 금리 하락 폭은 확대,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50원 상승한 달러당 1,422.5원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이 모호해진 가운데 관세 경계감 속 횡보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42pt 하락한 99.68pt에 마감. 무역 정책의 불안감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면제 발언에도 불구하고, 가계 재정 위축 및 경기 불안을 반영하여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204.8달러에 마감. 달러 및 미국채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관세 우려의 일부 완화 및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발생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05% 상승한 배럴당 61.53달러에 마감. OPEC의 원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소식에 하락 출발했으나 글로벌 경기 불안 요소가 일부 완화되며 상승 전환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5% 상승한 2,455.89pt에 마감. 미-중 양국 모두 관세를 추가 인상하지 않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대폭 완화된 점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반도체 등의 전자 제품의 상호 관세가 제외되었다는 소식이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79% 상승한 5,405.97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세 제외 영향에 관세 우려가 일부 회복되며 상승, 자동차 업종에도 관세 면제를 시사하며 미 증시는 상승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49%(-11.6bp)
5년물: 4.012%(-15.0bp)
10년물: 4.377%(-11.4bp)
30년물: 4.811%(-6.2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5.2bp(-11.6)
2년/10년: 52.9bp(+0.2)
10년/30년: 43.4bp(+5.2)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06%(-6.3bp)
미국: 4.377%(-11.4bp)
영국: 4.661%(-10.1bp)
프랑스: 3.277%(-5.2bp)
그리스: 3.388%(-10.1bp)
이탈리아: 3.678%(-12.0bp)
스페인: 3.213%(-7.7bp)
일본: 1.336%(-0.5bp)
호주: 4.355%(+0.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412%(+1.1bp)
5년물: 2.515%(+2.5bp)
10년물: 2.687%(-0.3bp)
30년물: 2.530%(-1.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3.8bp(+1.1)
3년/10년: 27.5bp(-1.4)
10년/30년: -15.7bp(-0.7)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2pt(-0.02)
10년 KTB: 120.11pt(+0.02)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5.7bp(+1.2)
3년: 25.8bp(+0.1)
5년: 23.5bp(-0.7)

AAA 은행채
1년: 15.5bp(+0.8)
3년: 28.6bp(par)
5년: 31bp(-0.1)

AA+ 회사채
1년: 33.4bp(+0.8)
3년: 49.4bp(+0.3)
5년: 49.1bp(par)

AA+ 카드채
1년: 28bp(+0.8)
3년: 43.3bp(+0.4)
5년: 43.7bp(par)

AA- 캐피탈
1년: 36.1bp(+0.8)
3년: 58.1bp(+0.4)
5년: 74bp(-0.1)

A+ 캐피탈
1년: 99.7bp(+0.8)
3년: 142.8bp(+0.4)
5년: 187.8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8.9원/전일 대비 -2.4원 하락 출발
달러인덱스: 99.69pt(-0.09pt, -0.09%)
달러/유로: 1.1350달러(-0.001, -0.05%)
엔/달러: 143.05엔(-0.48, -0.33%)
달러/파운드: 1.3190달러(+0.011, +0.85%)
위안/달러: 7.310위안(+0.016pt, +0.22%)

◆ 상품시장 ($)
WTI: $61.5(+0.0, +0.0%)
브렌트: $64.8(+1.4, +2.2%)
천연가스(HH): $3.33(-0.2, -6.1%)
금: $3204.8(-17.4, -0.5%)
구리: $8988.0(+375.0, +4.2%)
옥수수: $490.3(+7.3, +1.5%)

◆ 미국 증시
DOW: 40524.8pt(+0.8%)
S&P500: 5406.0pt(+0.8%)
NASDAQ: 16831.5pt(+0.6%)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4,649.3USD(+889.3, +1.1%)
이더리움(Binance): 1,622.9USD(+25.2, +1.5%)
[상상인 Macro Daily 4/15(화)]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5% 상승한 2,455.89pt에 마감. 미-중 양국 모두 관세를 추가 인상하지 않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대폭 완화된 점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반도체 등의 전자 제품의 상호 관세가 제외되었다는 소식이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79% 상승한 5,405.97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세 제외 영향에 관세 우려가 일부 회복되며 상승, 자동차 업종에도 관세 면제를 시사하며 미 증시는 상승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0.3bp 하락한 2.687%에 마감. 관세발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가운데, 금주 예정된 4월 금통위를 앞두고 5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선물 순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국고채 시장 강세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11.6bp 하락한 4.374%에 마감.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 소화 이후 금리는 하락한 가운데 월러 연준 이사의 경기 침체 위험 주장에 금리 하락 폭은 확대,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50원 상승한 달러당 1,422.5원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이 모호해진 가운데 관세 경계감 속 횡보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42pt 하락한 99.68pt에 마감. 무역 정책의 불안감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면제 발언에도 불구하고, 가계 재정 위축 및 경기 불안을 반영하여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204.8달러에 마감. 달러 및 미국채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관세 우려의 일부 완화 및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발생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05% 상승한 배럴당 61.53달러에 마감. OPEC의 원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소식에 하락 출발했으나 글로벌 경기 불안 요소가 일부 완화되며 상승 전환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YeLOuI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5 (화)

● Top News
-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https://naver.me/I55Rhqc3

● Economy
- '관세 폭탄' 앞두고 밀어내기…반도체 수출 증가세 두드러져
https://naver.me/F74fKdcd
- 골드만 "미-중 디커플링, 2.5조 달러 규모 매도 쓰나미 촉발 가능성"
https://naver.me/FMcYtYuB

● Stock Market
- 트럼프 관세 일보 후퇴에 코스피 ‘활짝’…연기금 힘 더해 2450대 강세
https://naver.me/FLykp8Td
- 트럼프 일시 관세 면제에 애플 2%↑…뉴욕증시 상승 마감
https://naver.me/xprfE1GD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복합 관망세'에 대체로 하락…3년물 2.408%
https://naver.me/FSwfoBz8
- 2.5조원 국고채 10년물 입찰 소화…“수정경제전망 있는 5월 금리 인하”
https://naver.me/5ZJVpeDn

● Currency
- ‘셀 아메리카’에 환율 넉 달 만에 1420원대…“약달러 지속”
https://naver.me/5Rhwxtqb
- 달러 10% 내릴 동안 원화 3%만 올랐다…원화 저평가 여전
https://naver.me/5qDxfzdA

● Commodity
- 시진핑은 반미 결속 위해 동남아로…희토류 공급 차질 우려
https://naver.me/5MVEOb5f
- OPEC "트럼프 관세로 원유 수요 전망 하향"…WTI 강보합
https://naver.me/5yPmpi6p

● Real Estate
- 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https://naver.me/xX7JO73P
- 지속되는 '싱크홀 공포'… 대형 공사 줄줄이 지연되나
https://naver.me/x4FhLUzz

● ESG
- 하늘을 나는 온정… 전세계 재난 현장에 희망의 비행기 띄웁니다
https://naver.me/5iTSHMH9

● ETC
- "연말 25만달러 간다"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전쟁서 '강세'
https://naver.me/x1VhzsFT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4 (월)

● Top News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내주 발표…일부 기업에 유연성"
https://naver.me/5chgv9EP

● Economy
- 프차 가맹점 절반이 "투자금 회수 못했다"…월매출은 2700만원
https://naver.me/xwmLlAbB
- 중국 매체 "미국 무차별 관세 대응…中, 더 많은 국가와 연대"
https://naver.me/5D8EpVHT

● Stock Market
- "美 증시 반등에" 코스피, 1%대 상승세…코스닥 1.47%↑
https://naver.me/F0zIDdzj
- 불공정거래·불법공매도하면 거래제한·상장사 임원도 못한다
https://naver.me/FxFGsgKl

● Fixed Income
- 국고채, 1bp 미만 등락 출발…아시아 장서 미국채 소폭 하락
https://naver.me/xl0U9gjW
- 미국 국채 장단기 금리차 9주째 확대
https://naver.me/5fIGgfPf

● Currency
- 환율, 1420원대 초반으로 급락… 넉 달 만에 최저
https://naver.me/xCB4PJWD
- 지난해 수출대금 달러 결제 비중↑…엔화 역대 최소
https://naver.me/GWeHdgzb

● Commodity
- '트럼프에 맞불' 中 희토류 수출통제에 美 산업계 '비상'
https://naver.me/5RhwNI5x
- 금 선물, 온스당 3200달러 돌파
https://naver.me/G0D6rNrm

● Real Estate
- 1주택자 재산세, 올해도 줄어든다…공시가 4억 '30만원→17.2만원'
https://naver.me/FBebS8yb
- "분양시장 개점휴업"⋯서울 74.5% 급감
https://naver.me/GzEk0o4S

● ESG
- 공정위 그린워싱 제재 본격화
https://naver.me/F5DSAUiK

● ETC
- 미 특사 방문 직후… 러, 우크라 도심 폭격
https://naver.me/5sskteMt
- "국내 기업만 규제?"…스테이블코인 인가제 추진에 업계 반발
https://naver.me/x2jbx6qn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4 (월)

● Top News
-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국가별 상호관세 10%가 하한"
https://naver.me/FlZqsaYu

● Economy
- 트럼프, 반도체 관세 질문에 "14일에 답하겠다…구체적일 것"
https://naver.me/GG7QaPPJ
- 미국 물가·소비심리 동반 하락…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https://naver.me/F6l3lBhb

● Stock Market
- 뉴욕증시, 美·中 관세 숫자놀음은 일단 끝…나스닥 2%↑ 마감
https://naver.me/Fr7eunT8
- 코스피 변동성 4년 만에 최고… 롤러코스터 증시 언제까지
https://naver.me/513zv9Q0

● Fixed Income
- 29조달러 미국 국채 시장 '출렁'…안전자산 지위도 '흔들'
https://naver.me/xAFIlzJg
- 美 국채 투매 배후에 중국?…월가 “보복 매도 가능성” 놓고 논란
https://naver.me/IMyWurVr

● Currency
- "결국 믿을 건 골드"... 관세폭탄에 '80년 안전자산' 달러 흔들
https://naver.me/F74fTtBo
- 트럼프 한마디에 널뛴 환율… 외환시장 연장 후 최대 변동
https://naver.me/5ZJVc8Qm

● Commodity
- "트럼프, 태평양 심해 '단괴' 비축 추진"…미중 광물경쟁 본격화
https://naver.me/5jJLG3QK
- NYT “중국, 미국에 희토류 수출 중단”
https://naver.me/5S9pGcaA

● Real Estate
- "폐업도 어려운데" 부동산 중개사 개업 25년만에 최저
https://naver.me/5tJIbVLN
- 최악의 ‘주택 대란’ 오나...2년새 330개 디벨로퍼 사라졌다
https://naver.me/FqWOBNb4

● ESG
- 전 세계 ESG 경영시스템 표준, 국제표준화기구와 유엔개발계획이 공동으로
https://naver.me/F9NUsPVe

● ETC
- 관세 전쟁 우려에도 비트코인 '낙관론' 왜?
https://naver.me/56R3boRV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4월 3주)Quant Lens Weekly:1분기 실적시즌 시작 (현대로템, 이수페타시스, 주성엔지니어링, 산일전기, 메디톡스)

[상상인증권 퀀트 김경태] 02-3779-3427

-1분기 실적 컨센서스는 대체로 발표치에 부합하는 결과 예상 코스피 및 글로벌 증시는 3월~4월에 계절적 강세기에 진입. 트럼프발 관세장벽과 무역분쟁 우려로 조정. 2016년 이후 1분기 실적은 평균 서프라이즈율 2.3%로 컨센서스에 부합. 95.2%의 높은 표준편차로 종목별 변동성 확대. 컨센서스 표준편차와 실적 편차 간 상관관계 미미. 추정치 불확실성이 높아도 실적 괴리 보장 없음. 2020년 이후 컨센서스 상회/하회 결과는 균등 분포. 애널리스트 평균 추정치의 정확성 입증

-코스피 EPS 추정치는 지속 상승. 금리인하와 실적개선으로 하반기 리커버리 예상. '상저하고' 패턴 가능성 증가.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추가 조정 시 기술적 반등 전개 가능성 높음. 최악 상황에서도 2,300선 이하는 견고한 지지선 구축. 1분기 관세 불안으로 인한 선제적 물량 공급으로 단기 실적 양호 전망. 트럼프 리스크와 경기침체 우려 지속. 불확실성 상존 환경에서는 지수 베타보다 실적과 업황 변화에 민감한 개별 종목 알파 플레이 유효

-4월 3주차 Top Pick은 현대로템, 이수페타시스, 주성엔지니어링, 산일전기, 메디톡스, Short Pick은 대한항공, 일진전기 2 종목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qYBnlh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1 (금)

● Top News
- 美 국채 '발작' 의식?…트럼프, 관세 90일 유예한 이유는
https://naver.me/x9BkCjff

● Economy
- 4월 1~10일 수출 186억불…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
https://naver.me/Fw7xHJt2
- 다음 달부터 돼지 1만톤·계란 4천톤 긴급 할당관세
https://naver.me/G65O6TuS

● Stock Market
- '관세충격' 증시 방어…中 상장사들 4조원 자사주 매입
https://naver.me/xX7J3ylO
- 코스피, 외국인 ‘팔자’에 1%대 약세… 코스닥은 상승 전환
https://naver.me/5FmQ5zRU

● Fixed Income
- 국고채, 장기물 위주 약세 출발…아시아 장서 미국채 금리↑
https://naver.me/5bVJFks4
- 불안정한 미국 금융자산…6000억원 규모 50년물 입찰
https://naver.me/FdCA3bkg

● Currency
- 미중 무역갈등 고조에 달러 약세…환율, 1450원선 아래로
https://naver.me/xJibUylv
- 트럼프 관세 폭탄 남발하더니…달러 10년래 최저로 추락
https://naver.me/5chgGceF

● Commodity
- ‘트럼프 열차’ 탄 증시·가상자산·원자재…안전벨트도 의미 없다
https://naver.me/GHvyiJAV
- 달러·채권 마저 무너졌다…"이제 믿을 건 너뿐"
https://naver.me/5HkXYmcx

● Real Estate
- 당근마켓 '허위매물' 잡는다…부동산원, 모니터링 대상 확대
https://naver.me/Ffe6bTuY
- ‘반값 수준’ 서울 경매도 34차례 유찰…위기 더 커지나
https://naver.me/xjgvkudX

● ESG
- 독일, 공급망 실사법 폐지 수순
https://naver.me/Fio4aYNU

● ETC
- 금양, 이의신청서 제출…상폐 위기 벗어날까
https://naver.me/F42B3AVg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Рекорды

20.03.202523:59
616Подписчиков
08.03.202523:59
10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18.01.202523:59
92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02.04.202523:59
89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15.02.202523:59
1.82%ER
02.04.202523:59
13.01%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NOV '24DEC '24JAN '25FEB '25MAR '25APR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15.04.202522:29
★상상인 FICC Brief 4월 16일 (수)★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5bp 하락한 2.662%에 마감. 4월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장세가 시현되는 가운데, 4월 기준금리 동결 기대감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선물 순매수세가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1bp 하락한 4.333%에 마감.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 영향에 상승 출발했으나 베센트 재무장관의 국채 추가 매입 시사 발언 영향에 하락 전환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4.70원 상승한 달러당 1,427.2원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 달러화 가치 절상에 연동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53pt 상승한 100.17pt에 마감.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최근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가 유입되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43% 상승한 온스당 3,218.7달러에 마감. 국채 금리 하락과 함께 관세 불안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유입되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33% 하락한 배럴당 61.33달러에 마감. OPEC에 이어 IEA 역시 세계 원유 수요 전망을 하향하며 하락세 시현, 다만 최근 발생한 낙폭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하락 폭을 완화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88% 상승한 2,477.41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시사하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이 한국 증시에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 또한 추경 규모가 확대된 점도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17% 하락한 5,396.63pt에 마감. 캐나다의 대미 보복 관세 유예 소식에도 불구하고 EU와의 관세 협상 난항 및 중국과의 무역갈등 우려에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48%(-0.1bp)
5년물: 3.987%(-2.5bp)
10년물: 4.336%(-4.2bp)
30년물: 4.780%(-3.2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5.2bp(-0.1)
2년/10년: 48.8bp(-4.1)
10년/30년: 44.4bp(+1.0)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32%(+2.5bp)
미국: 4.336%(-4.2bp)
영국: 4.653%(-0.7bp)
프랑스: 3.297%(+2.1bp)
그리스: 3.422%(+3.4bp)
이탈리아: 3.723%(+4.5bp)
스페인: 3.238%(+2.5bp)
일본: 1.371%(+3.5bp)
호주: 4.300%(-5.5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97%(-1.5bp)
5년물: 2.502%(-1.3bp)
10년물: 2.662%(-2.5bp)
30년물: 2.495%(-3.5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5.3bp(-1.5)
3년/10년: 26.5bp(-1.0)
10년/30년: -16.7bp(-1.0)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5pt(+0.03)
10년 KTB: 120.36pt(+0.2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6.6bp(+0.9)
3년: 25.4bp(-0.4)
5년: 23.3bp(-0.2)

AAA 은행채
1년: 16.2bp(+0.7)
3년: 28.6bp(par)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5.1bp(+1.7)
3년: 49.4bp(par)
5년: 48.9bp(-0.2)

AA+ 카드채
1년: 29.5bp(+1.5)
3년: 43.6bp(+0.3)
5년: 43.6bp(-0.1)

AA- 캐피탈
1년: 37.6bp(+1.5)
3년: 58.4bp(+0.3)
5년: 74bp(par)

A+ 캐피탈
1년: 101.2bp(+1.5)
3년: 143.1bp(+0.3)
5년: 187.8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22.7원/전일 대비 0.1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0.16pt(+0.47pt, +0.47%)
달러/유로: 1.1282달러(-0.007, -0.61%)
엔/달러: 143.23엔(+0.18, +0.13%)
달러/파운드: 1.3230달러(+0.004, +0.30%)
위안/달러: 7.316위안(+0.006pt, +0.08%)

◆ 상품시장 ($)
WTI: $61.3(-0.2, -0.3%)
브렌트: $64.9(+0.1, +0.2%)
천연가스(HH): $3.33(-0.2, -6.1%)
금: $3218.7(+13.9, +0.4%)
구리: $9154.5(+166.5, +1.8%)
옥수수: $485.0(-5.3, -1.1%)

◆ 미국 증시
DOW: 40369.0pt(-0.4%)
S&P500: 5396.6pt(-0.2%)
NASDAQ: 16823.2pt(-0.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3,873.1USD(-718.5, -0.9%)
이더리움(Binance): 1,592.3USD(-31.5, -2.0%)
02.04.202522:47
★상상인 FICC Brief 4월 3일 (목)★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1bp 하락한 2.765%에 마감. 관세 정책 발표 및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외국인 순매수세 영향에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3.8bp 하락한 4.131%에 마감. ADP 비농업고용자수의 예상치 상회 및 미 재무장관 발언 영향에 위험자산 선호 심리 확대되며 상승했으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급락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9.10원 하락한 달러당 1,462.5원에 마감. 글로벌 무역 분쟁 우려에 따른 달러화 약세 및 EU의 비상 대책 마련 소식 영향에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40pt 하락한 103.86pt에 마감. 견조한 경제지표에도 불구하고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미국 경제 악화 우려 및 EU의 보복 관세 관련 대책 마련 소식이 유로화 강세로 이어지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67% 상승한 온스당 3,139.9달러에 마감. 달러 약세 및 관세 부과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대되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72% 상승한 배럴당 71.71달러에 마감. EIA 원유 재고 급증에도 관세 도입 우려에 따른 캐나다산 원유 수입 급증으로 해석되며 상승, 관세 발표 이전 종가 기준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62% 하락한 2,505.9pt에 마감. 상호 관세 발표를 앞두고 불확실성에 따른 관망 심리 속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며 하락, 2,500선을 지지하며 한국 증시는 하락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67% 상승한 5,670.97pt에 마감. 미 재무부에서 더 이상의 관세 인상은 없을 것이며, 재협상을 통해 관세가 낮아질 수 있다는 발언에 미 증시는 저가매수세 유입으로 상승했으나, 장 후반 트럼프 실제 관세 발표를 앞두고 상승폭 축소되며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65%(-1.3bp)
5년물: 3.887%(-3.8bp)
10년물: 4.136%(-3.3bp)
30년물: 4.503%(-2.3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3.5bp(-1.3)
2년/10년: 27.1bp(-2.0)
10년/30년: 36.7bp(+1.0)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717%(+2.6bp)
미국: 4.136%(-3.3bp)
영국: 4.642%(-0.5bp)
프랑스: 3.430%(+2.8bp)
그리스: 3.504%(+3.5bp)
이탈리아: 3.817%(+2.4bp)
스페인: 3.342%(+2.3bp)
일본: 1.474%(-2.5bp)
호주: 4.380%(+0.4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582%(-0.3bp)
5년물: 2.647%(-1.3bp)
10년물: 2.765%(-2.1bp)
30년물: 2.577%(-2.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16.8bp(-0.3)
3년/10년: 18.3bp(-1.8)
10년/30년: -18.8bp(+0.1)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6.91pt(-0.01)
10년 KTB: 119.28pt(+0.13)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6.9bp(-1.3)
3년: 24.6bp(-0.2)
5년: 24.5bp(-0.1)

AAA 은행채
1년: 17.7bp(-1.5)
3년: 27.9bp(-0.1)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4bp(-1.4)
3년: 48.6bp(+0.1)
5년: 48.5bp(par)

AA+ 카드채
1년: 28.3bp(-1.7)
3년: 40.8bp(-0.5)
5년: 43.3bp(par)

AA- 캐피탈
1년: 36.5bp(-1.6)
3년: 55.3bp(-0.6)
5년: 73.9bp(par)

A+ 캐피탈
1년: 100.5bp(-1.6)
3년: 141bp(-0.5)
5년: 187.7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65.5원/전일 대비 1.4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3.66pt(-0.55pt, -0.53%)
달러/유로: 1.0856달러(+0.006, +0.59%)
엔/달러: 149.29엔(-0.31, -0.21%)
달러/파운드: 1.3004달러(+0.008, +0.63%)
위안/달러: 7.268위안(-0.002pt, -0.03%)

◆ 상품시장 ($)
WTI: $71.7(+0.5, +0.7%)
브렌트: $74.5(-0.3, -0.3%)
천연가스(HH): $4.06(+0.1, +2.6%)
금: $3150.3(+36.0, +1.1%)
구리: $9710.0(-84.5, -0.9%)
옥수수: $461.8(+4.5, +1.0%)

◆ 미국 증시
DOW: 42225.3pt(+0.6%)
S&P500: 5671.0pt(+0.7%)
NASDAQ: 17601.1pt(+0.9%)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2,915.0USD(-2243.3, -2.7%)
이더리움(Binance): 1,801.2USD(-103.8, -5.8%)
14.04.202522:44
★상상인 FICC Brief 4월 15일 (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0.3bp 하락한 2.687%에 마감. 관세발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된 가운데, 금주 예정된 4월 금통위를 앞두고 5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 선물 순매수세가 유입된 점이 국고채 시장 강세 요인으로 작용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11.6bp 하락한 4.374%에 마감.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 소화 이후 금리는 하락한 가운데 월러 연준 이사의 경기 침체 위험 주장에 금리 하락 폭은 확대,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50원 상승한 달러당 1,422.5원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이 모호해진 가운데 관세 경계감 속 횡보세를 보이며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42pt 하락한 99.68pt에 마감. 무역 정책의 불안감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면제 발언에도 불구하고, 가계 재정 위축 및 경기 불안을 반영하여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204.8달러에 마감. 달러 및 미국채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관세 우려의 일부 완화 및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발생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05% 상승한 배럴당 61.53달러에 마감. OPEC의 원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 소식에 하락 출발했으나 글로벌 경기 불안 요소가 일부 완화되며 상승 전환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5% 상승한 2,455.89pt에 마감. 미-중 양국 모두 관세를 추가 인상하지 않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대폭 완화된 점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 특히 반도체 등의 전자 제품의 상호 관세가 제외되었다는 소식이 호재로 인식
- S&P 500은 전일대비 0.79% 상승한 5,405.97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세 제외 영향에 관세 우려가 일부 회복되며 상승, 자동차 업종에도 관세 면제를 시사하며 미 증시는 상승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49%(-11.6bp)
5년물: 4.012%(-15.0bp)
10년물: 4.377%(-11.4bp)
30년물: 4.811%(-6.2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5.2bp(-11.6)
2년/10년: 52.9bp(+0.2)
10년/30년: 43.4bp(+5.2)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06%(-6.3bp)
미국: 4.377%(-11.4bp)
영국: 4.661%(-10.1bp)
프랑스: 3.277%(-5.2bp)
그리스: 3.388%(-10.1bp)
이탈리아: 3.678%(-12.0bp)
스페인: 3.213%(-7.7bp)
일본: 1.336%(-0.5bp)
호주: 4.355%(+0.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412%(+1.1bp)
5년물: 2.515%(+2.5bp)
10년물: 2.687%(-0.3bp)
30년물: 2.530%(-1.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3.8bp(+1.1)
3년/10년: 27.5bp(-1.4)
10년/30년: -15.7bp(-0.7)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2pt(-0.02)
10년 KTB: 120.11pt(+0.02)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5.7bp(+1.2)
3년: 25.8bp(+0.1)
5년: 23.5bp(-0.7)

AAA 은행채
1년: 15.5bp(+0.8)
3년: 28.6bp(par)
5년: 31bp(-0.1)

AA+ 회사채
1년: 33.4bp(+0.8)
3년: 49.4bp(+0.3)
5년: 49.1bp(par)

AA+ 카드채
1년: 28bp(+0.8)
3년: 43.3bp(+0.4)
5년: 43.7bp(par)

AA- 캐피탈
1년: 36.1bp(+0.8)
3년: 58.1bp(+0.4)
5년: 74bp(-0.1)

A+ 캐피탈
1년: 99.7bp(+0.8)
3년: 142.8bp(+0.4)
5년: 187.8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8.9원/전일 대비 -2.4원 하락 출발
달러인덱스: 99.69pt(-0.09pt, -0.09%)
달러/유로: 1.1350달러(-0.001, -0.05%)
엔/달러: 143.05엔(-0.48, -0.33%)
달러/파운드: 1.3190달러(+0.011, +0.85%)
위안/달러: 7.310위안(+0.016pt, +0.22%)

◆ 상품시장 ($)
WTI: $61.5(+0.0, +0.0%)
브렌트: $64.8(+1.4, +2.2%)
천연가스(HH): $3.33(-0.2, -6.1%)
금: $3204.8(-17.4, -0.5%)
구리: $8988.0(+375.0, +4.2%)
옥수수: $490.3(+7.3, +1.5%)

◆ 미국 증시
DOW: 40524.8pt(+0.8%)
S&P500: 5406.0pt(+0.8%)
NASDAQ: 16831.5pt(+0.6%)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4,649.3USD(+889.3, +1.1%)
이더리움(Binance): 1,622.9USD(+25.2, +1.5%)
30.03.202522:41
[상상인 Macro Daily 3/31(월)]

◆ Stock Market

- KOSPI는 전영업일대비 1.89% 하락한 2,557.98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 4월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반도체 섹터를 중심으로 한 투자 심리 전반이 약화된 점이 한국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 S&P 500은 전영업일대비 1.97% 하락한 5,580.94pt에 마감. PCE 지표 및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의 부진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영향에 매도세 우위.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경제 성장률 둔화도 영향을 주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0.7bp 하락한 2.840%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여파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부각된 가운데,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물량들이 출회했으나 경계 심리 속 보합권을 등락하며 금리는 하락 마감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11.0bp 하락한 4.249%에 마감. 미국 경기 불안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대되며 미국채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영업일대비 5.20원 상승한 달러당 1,469.9원에 마감. 달러 인덱스 약세에도 불구하고 상호 관세 임박에 따른 경기 불안이 원화 약세를 유도,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영업일대비 0.29pt 하락한 104.04pt에 마감. 관세 부과를 앞두고 부진한 경제지표 영향에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불거지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0.53% 상승한 온스당 3,077.3달러에 마감. 미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화 약세 영향 속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대되며 금 선물 가격은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0.80% 하락한 배럴당 69.36달러에 마감. 경기 불안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가 반영되며 하락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B7ZiojO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06.04.202522:46
★상상인 FICC Brief 4월 7일 (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5.4bp 하락한 2.692%에 마감. 전일 미국채 금리의 급락 여파로 하락한 가운데 헌법재판소의 尹 전 대통령 파면 선고를 소화하며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3.4bp 하락한 3.994%에 마감. 고용지표 결과의 영향력이 미미한 가운데 글로벌 경기 침체 이슈가 크게 작용하며 10년물 중심으로 금리는 급락. 다만,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금리 하락 폭을 축소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영업일대비 7.50원 상승한 달러당 1,461.0원에 마감. 尹 전 대통령 탄핵 인용에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되며 주간 거래에서 환율은 크게 하락, 다만 야간 거래에서 달러화 강세 영향에 상승 전환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영업일대비 0.951pt 상승한 103.02pt에 마감. 견조한 고용보고서 결과와 최근 발생했던 하락에 따른 되돌림세 유입 영향에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2.74% 하락한 온스당 3,012.0달러에 마감. 안전자산 선호 심리 영향에 장 초반 상승했으나, 달러 강세 및 자산시장 전반에 걸친 패닉셀에 하락 전환, 마진콜 대응 및 차익실현 매물 출회도 영향을 주며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2.90% 하락한 배럴당 60.19달러에 마감. 중국의 보복 관세 발표에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되며 하락, OPEC+의 증산 소식 및 자산시장 전반의 패닉셀도 영향을 주며 급락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영업일대비 0.86% 하락한 2,465.42pt에 마감. 관세 부과 소식에 따른 외국인 순매도세가 지수 하락을 유도한 가운데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에 변동성이 크게 확대, 장 마감 전 소폭 반등했으나 한국 증시는 하락 마감
- S&P 500은 전영업일대비 5.97% 하락한 5,074.08pt에 마감. 견조한 고용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상호 관세 발표에 따른 각국의 적극적인 보복 관세가 경기 불안 심리를 자극, 패닉셀이 발생하며 미 증시는 급락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659%(-3.0bp)
5년물: 3.710%(-1.7bp)
10년물: 3.999%(-3.1bp)
30년물: 4.411%(-6.1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84.1bp(-3.0)
2년/10년: 34.0bp(-0.1)
10년/30년: 41.2bp(-3.0)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75%(-7.5bp)
미국: 3.999%(-3.1bp)
영국: 4.448%(-7.8bp)
프랑스: 3.314%(-5.2bp)
그리스: 3.402%(-5.0bp)
이탈리아: 3.758%(-1.1bp)
스페인: 3.266%(-2.5bp)
일본: 1.151%(-19.5bp)
호주: 4.182%(-4.7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465%(-8.0bp)
5년물: 2.545%(-7.5bp)
10년물: 2.692%(-5.4bp)
30년물: 2.512%(-5.5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28.5bp(-8.0)
3년/10년: 22.7bp(+2.6)
10년/30년: -18.0bp(-0.1)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29pt(+0.26)
10년 KTB: 120.05pt(+0.5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2.9bp(-2.2)
3년: 25bp(+0.6)
5년: 24.8bp(+0.9)

AAA 은행채
1년: 13.8bp(-1.8)
3년: 28.2bp(+0.3)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0.5bp(-1.9)
3년: 48.6bp(+0.3)
5년: 48.6bp(+0.1)

AA+ 카드채
1년: 24.6bp(-1.9)
3년: 40.8bp(+0.3)
5년: 43.2bp(-0.1)

AA- 캐피탈
1년: 32.8bp(-1.8)
3년: 55bp(par)
5년: 73.8bp(-0.1)

A+ 캐피탈
1년: 96.8bp(-1.8)
3년: 140.6bp(-0.1)
5년: 187.5bp(-0.2)

◆ 외환시장
NDF환율(1M): 1,457.2원/전일 대비 25.7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2.92pt(+0.97pt, +0.95%)
달러/유로: 1.0960달러(-0.009, -0.82%)
엔/달러: 146.96엔(+0.91, +0.62%)
달러/파운드: 1.2892달러(-0.021, -1.59%)
위안/달러: 7.283위안(-0.000pt, -0.00%)

◆ 상품시장 ($)
WTI: $62.0(-5.0, -8.0%)
브렌트: $70.1(-4.8, -6.9%)
천연가스(HH): $3.84(-0.3, -7.8%)
금: $3121.7(-44.5, -1.4%)
구리: $9366.5(-334.0, -3.6%)
옥수수: $457.5(-0.3, -0.1%)

◆ 미국 증시
DOW: 38314.9pt(-5.5%)
S&P500: 5074.1pt(-6.0%)
NASDAQ: 15587.8pt(-5.8%)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78,343.1USD(-5194.9, -6.6%)
이더리움(Binance): 1,581.9USD(-224.2, -14.2%)
30.03.202521:51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3. 31 (월)

● Top News
- 美 관세전쟁에 손잡은 한중일… 6년만에 통상장관 한자리
https://naver.me/F74un1Hf

● Economy
- 정부, 10조 필수 추경 추진…여야 이견 없는 3대 사업 '집중'
https://naver.me/Fw7RSjPM
- 美 2월 PCE 물가 전년대비 2.5%↑…전월대비 0.3%↑
https://naver.me/xRh9b1Z2

● Stock Market
- 월요일 공매도 재개 앞두고 대차잔고 급증…삼성전자 6.8조 쌓여
https://naver.me/FEU5wYYR
- 뉴욕증시, 무역전쟁·인플레 우려에 급락…나스닥 2.7%↓
https://naver.me/FW62cONs

● Fixed Income
-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https://naver.me/GI3LfW4n
- 반가운 미국채 금리 급락…올해 1Q보단 흥미진진할 2Q 시장
https://naver.me/5UEY34mV

● Currency
- 美 관세·탄핵 선고 코 앞 1,460원대 굳어진 환율…1,500원 가나
https://naver.me/F42FN3ty
- “최우선 안전자산, ‘달러’가 무너진다”
https://naver.me/Fy2yQTGA

● Commodity
- 국제금값, 관세發 인플레·경기 우려에 최고치 또 경신
https://naver.me/5EU5pOF0
- 소비심리는 꺾이고 인플레는 뜨겁고…WTI 0.8%↓
https://naver.me/Gvc3bJyv

● Real Estate
- “원리금 갚다 허리 휘겠네”…부동산 대출 ‘2682조원’, 절반이 가계대출
https://naver.me/GI3LvNga
- “5층은 안 되고 4층은 됩니다”…갭투자 묶는 토허제, 뒤죽박죽 기준에 혼돈
https://naver.me/5fIkIJL0

● ESG
- 올해 주총도 ESG가 키워드…"글로벌 경영 승부처"
https://naver.me/GOPgfZJk

● ETC
- 트럼프 일가, 밈코인 만들더니…이번엔 스테이블 코인 출시
https://naver.me/5JpMocfc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30.03.202522:43
★상상인 FICC Brief 3월 31일 (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0.7bp 하락한 2.840%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여파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부각된 가운데,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 물량들이 출회했으나 경계 심리 속 보합권을 등락하며 금리는 하락 마감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11.0bp 하락한 4.249%에 마감. 미국 경기 불안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대되며 미국채시장은 강세장을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영업일대비 5.20원 상승한 달러당 1,469.9원에 마감. 달러 인덱스 약세에도 불구하고 상호 관세 임박에 따른 경기 불안이 원화 약세를 유도,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영업일대비 0.29pt 하락한 104.04pt에 마감. 관세 부과를 앞두고 부진한 경제지표 영향에 미국 경기 둔화 우려가 불거지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0.53% 상승한 온스당 3,077.3달러에 마감. 미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화 약세 영향 속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증대되며 금 선물 가격은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영업일대비 0.80% 하락한 배럴당 69.36달러에 마감. 경기 불안에 따른 수요 둔화 우려가 반영되며 하락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영업일대비 1.89% 하락한 2,557.98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 4월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반도체 섹터를 중심으로 한 투자 심리 전반이 약화된 점이 한국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 S&P 500은 전영업일대비 1.97% 하락한 5,580.94pt에 마감. PCE 지표 및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의 부진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영향에 매도세 우위. 자동차 관세 부과에 따른 경제 성장률 둔화도 영향을 주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913%(-8.0bp)
5년물: 3.980%(-11.1bp)
10년물: 4.250%(-11.1bp)
30년물: 4.630%(-9.3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58.7bp(-8.0)
2년/10년: 33.7bp(-3.1)
10년/30년: 38.0bp(+1.8)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728%(-4.7bp)
미국: 4.250%(-11.1bp)
영국: 4.697%(-9.1bp)
프랑스: 3.442%(-3.1bp)
그리스: 3.552%(-2.6bp)
이탈리아: 3.852%(-2.8bp)
스페인: 3.366%(-3.7bp)
일본: 1.549%(-3.8bp)
호주: 4.460%(-4.6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622%(-0.8bp)
5년물: 2.705%(-0.9bp)
10년물: 2.840%(-0.7bp)
30년물: 2.619%(+0.9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12.8bp(-0.8)
3년/10년: 21.8bp(+0.1)
10년/30년: -22.1bp(+1.6)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6.75pt(0.0)
10년 KTB: 118.53pt(+0.0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9.8bp(-0.2)
3년: 24.6bp(-0.1)
5년: 24.3bp(-0.3)

AAA 은행채
1년: 20.7bp(-0.5)
3년: 28bp(-0.2)
5년: 30.7bp(par)

AA+ 회사채
1년: 36.5bp(+0.5)
3년: 48.5bp(par)
5년: 48.3bp(-0.2)

AA+ 카드채
1년: 31.4bp(-0.7)
3년: 41.6bp(-0.9)
5년: 43.5bp(-0.1)

AA- 캐피탈
1년: 39.6bp(-0.6)
3년: 56.1bp(-0.9)
5년: 74.1bp(-0.1)

A+ 캐피탈
1년: 103.4bp(-0.7)
3년: 141.5bp(-0.9)
5년: 187.7bp(-0.1)

◆ 외환시장
NDF환율(1M): 1,466.0원/전일 대비 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4.02pt(-0.24pt, -0.23%)
달러/유로: 1.0827달러(+0.003, +0.24%)
엔/달러: 149.89엔(-1.16, -0.77%)
달러/파운드: 1.2939달러(-0.001, -0.08%)
위안/달러: 7.264위안(-0.001pt, -0.01%)

◆ 상품시장 ($)
WTI: $69.4(-0.6, -0.8%)
브렌트: $74.0(+0.2, +0.3%)
천연가스(HH): $4.20(+0.2, +5.8%)
금: $3114.3(+53.3, +1.7%)
구리: $9846.5(-80.5, -0.8%)
옥수수: $450.0(-1.3, -0.3%)

◆ 미국 증시
DOW: 41583.9pt(-1.7%)
S&P500: 5580.9pt(-2.0%)
NASDAQ: 17323.0pt(-2.7%)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2,570.1USD(-78.4, -0.1%)
이더리움(Binance): 1,810.7USD(-17.4, -1.0%)
06.04.202508:25
🧮(4월 2주)Quant Lens Weekly:
관세 무풍업종 종목 선별(유한양행, 휴젤, F&F, 엘앤에프,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상상인증권 퀀트 김경태] 02-3779-3427

-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과 미국 경기침체 우려로 반도체 업종이 외국인 매도세에 큰 폭 하락. 공매도 재개 여파로 대차잔고 상위 종목들도 급락. 탄핵 가결로 원화 강세 있었으나 일시적이었음. 반면 화장품, 필수소비재, 건강관리, 소프트웨어 등 관세 영향 적은 업종은 상대적으로 방어력 견고

-업종 내에서도 종목별 차별화 심화. 분석 결과 주가와 관련성 높은 요소는 컨센서스 변화율과 60일, 120일 중기 매수강도. 기관의 60일 매수강도와 주가 상관관계 높음. 대차잔고 비중 높은 종목들은 부진. 반면 펀더멘털에 근접한 신용융자비중, 외국인비중, 모멘텀, 밸류에이션은 관세발 주가 하락과 상관관계 미미한 편

-4월 2주차 Top Pick: 유한양행, 휴젤, F&F, 엘앤에프, 와이지엔터테인먼트 5종목
Short Pick: 웹젠, 메가스터디교육 2종목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7QLqXa0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10.04.202522:44
★상상인 FICC Brief 4월 11일 (금)★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1.3bp 하락한 2.712%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회복되었으나, 아직 경기 둔화 우려는 완전히 해소되지 않으면서 나타난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채선물 순매수세에 국고채 10년물 시장은 강세 흐름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9.3bp 상승한 4.425%에 마감. 미국 CPI 둔화 소식에 단기물 중심으로 하락세를 시현했으나 장기물의 경우 중국발 대량매도 이슈 속 불확실성에 대한 미국채 우려가 반영되며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상승 마감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6.50원 하락한 달러당 1,455.5원에 마감. 미국 CPI 하락세 영향에 달러화는 약세,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소식에 원/달러 환율은 반등세가 시현됐으나 글로벌 달러화 약세에 연동되어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1.97pt 하락한 100.93pt에 마감. 미국 CPI가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발표되며 타환율 대비 달러화는 약세, 엔화 및 유로화 강세 속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3.23% 상승한 온스당 3,155.2달러에 마감. 안전자산 선호심리, 단기물 중심 국채금리 하락, 달러 약세를 반영하여 최근 하락 폭을 모두 만회하는 상승세를 시현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66% 하락한 배럴당 60.07달러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추가관세 부과에 따른 경기 불안 심리가 높아지며 하락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6.60% 상승한 2,445.06pt에 마감. 미국의 중국을 제외한 90일 상호관세 유예 조치로 인해 글로벌 무역 관련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투자 심리가 회복되면서 반등세 시현
- S&P 500은 전일대비 3.46% 하락한 5,268.05pt에 마감. 소비자물가지수 안정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추가관세 부과 소식에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되며 투자심리는 크게 위축,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64%(-4.8bp)
5년물: 4.071%(+2.8bp)
10년물: 4.428%(+9.0bp)
30년물: 4.871%(+12.9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3.6bp(-4.8)
2년/10년: 56.4bp(+13.8)
10년/30년: 44.3bp(+3.9)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78%(-0.7bp)
미국: 4.428%(+9.0bp)
영국: 4.646%(-16.4bp)
프랑스: 3.342%(-4.8bp)
그리스: 3.469%(-6.9bp)
이탈리아: 3.794%(-8.7bp)
스페인: 3.306%(-2.7bp)
일본: 1.372%(+9.5bp)
호주: 4.287%(-6.7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440%(+1.0bp)
5년물: 2.522%(-0.6bp)
10년물: 2.712%(-1.3bp)
30년물: 2.545%(-0.5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1.0bp(+1.0)
3년/10년: 27.2bp(-2.3)
10년/30년: -16.7bp(+0.8)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33pt(-0.03)
10년 KTB: 119.88pt(+0.18)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4.5bp(+0.6)
3년: 25.8bp(+0.7)
5년: 24.7bp(+0.5)

AAA 은행채
1년: 14.7bp(+0.4)
3년: 28.6bp(par)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2.5bp(+0.4)
3년: 48.9bp(par)
5년: 49.2bp(+0.2)

AA+ 카드채
1년: 27bp(+0.5)
3년: 42.2bp(+0.1)
5년: 43.6bp(-0.1)

AA- 캐피탈
1년: 35.1bp(+0.6)
3년: 56.8bp(+0.3)
5년: 73.9bp(-0.2)

A+ 캐피탈
1년: 98.7bp(+0.4)
3년: 142bp(+0.1)
5년: 187.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54.1원/전일 대비 0.1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0.94pt(-2.05pt, -1.99%)
달러/유로: 1.1202달러(+0.025, +2.30%)
엔/달러: 144.44엔(-3.32, -2.24%)
달러/파운드: 1.2970달러(+0.015, +1.14%)
위안/달러: 7.317위안(-0.033pt, -0.45%)

◆ 상품시장 ($)
WTI: $60.1(-2.3, -3.8%)
브렌트: $65.5(+2.7, +4.1%)
천연가스(HH): $3.82(+0.4, +9.2%)
금: $2990.2(+16.6, +0.6%)
구리: $8655.5(-76.5, -0.9%)
옥수수: $474.0(+5.0, +1.1%)

◆ 미국 증시
DOW: 39593.7pt(-2.5%)
S&P500: 5268.1pt(-3.5%)
NASDAQ: 16387.3pt(-4.3%)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79,846.9USD(-2768.3, -3.5%)
이더리움(Binance): 1,530.4USD(-139.1, -9.1%)
26.03.202522:26
★상상인 FICC Brief 3월 27일 (목)★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0bp 상승한 2.853%에 마감. 향후 추경 규모 및 횟수에 대한 경계 심리가 부각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세가 장기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국고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3.9bp 상승한 4.352%에 마감. 연준 위원들의 불확실성을 경고 발언과 함께 5년물 입찰이 다소 부진한 가운데 내구재 주문은 예상치를 상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불안 요인이 작용하며 미국채 금리는 상승 마감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3.80원 상승한 달러당 1,467.3원에 마감. 정국불안에 대한 경계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체 관세 부과 소식에 달러화 강세 영향,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46pt 상승한 104.65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 발표 영향에 달러화는 강세. 무살렘 총재의 매파적 발언 및 영국 파운드화 약세도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11% 하락한 온스당 3,022.5달러에 마감. 안전자산 선호심리 부각에도 불구하고 달러 강세 및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발생으로 인해 약보합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0.94% 상승한 배럴당 69.65달러에 마감. EIA가 발표한 원유 재고가 예상치를 하회하며 급감하자 상승, 금주 발표되었던 베네수엘라 관세 여파도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며 WTI 선물 가격은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08% 상승한 2,643.94pt에 마감. 업황 회복 기대감이 부각되거나 신규 수주 소식이 전해진 반도체, 2차전지 업종 내 대형주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한국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1.12% 하락한 5,712.20pt에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발표 영향에 자동차 업종 중심으로 하락. 중국 정부의 엔비디아 수입 규제 강화 소식도 반도체 업종에 악재로 작용하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18%(-0.3bp)
5년물: 4.096%(+2.8bp)
10년물: 4.353%(+4.0bp)
30년물: 4.703%(+4.2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48.2bp(-0.3)
2년/10년: 33.5bp(+4.3)
10년/30년: 35.0bp(+0.2)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795%(par)
미국: 4.353%(+4.0bp)
영국: 4.727%(-3.1bp)
프랑스: 3.479%(+0.3bp)
그리스: 3.577%(-0.9bp)
이탈리아: 3.898%(+0.5bp)
스페인: 3.413%(-1.3bp)
일본: 1.582%(+1.4bp)
호주: 4.478%(+5.5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620%(+1.5bp)
5년물: 2.715%(+2.2bp)
10년물: 2.853%(+4.0bp)
30년물: 2.625%(+4.5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13.0bp(+1.5)
3년/10년: 23.3bp(+2.5)
10년/30년: -22.8bp(+0.5)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6.74pt(-0.05)
10년 KTB: 118.40pt(-0.40)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9.4bp(-1.3)
3년: 25.2bp(par)
5년: 25bp(par)

AAA 은행채
1년: 21.6bp(-1.3)
3년: 28.2bp(-0.3)
5년: 31.1bp(par)

AA+ 회사채
1년: 35.6bp(-0.6)
3년: 48.3bp(-0.2)
5년: 48.8bp(par)

AA+ 카드채
1년: 32.6bp(-1.0)
3년: 43.3bp(-0.3)
5년: 44bp(-0.3)

AA- 캐피탈
1년: 40.7bp(-1.3)
3년: 57.8bp(-0.2)
5년: 74.6bp(-0.3)

A+ 캐피탈
1년: 104.4bp(-1.3)
3년: 143.2bp(par)
5년: 188bp(-0.1)

◆ 외환시장
NDF환율(1M): 1,464.9원/전일 대비 1.4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4.54pt(+0.32pt, +0.31%)
달러/유로: 1.0755달러(-0.004, -0.34%)
엔/달러: 150.58엔(+0.69, +0.46%)
달러/파운드: 1.2889달러(-0.006, -0.43%)
위안/달러: 7.268위안(+0.011pt, +0.15%)

◆ 상품시장 ($)
WTI: $69.7(+0.7, +0.9%)
브렌트: $73.0(+0.0, +0.0%)
천연가스(HH): $3.86(-0.1, -1.4%)
금: $3022.5(-3.4, -0.1%)
구리: $9956.0(+100.5, +1.0%)
옥수수: $457.8(-6.8, -1.5%)

◆ 미국 증시
DOW: 42454.8pt(-0.3%)
S&P500: 5712.2pt(-1.1%)
NASDAQ: 17899.0pt(-2.0%)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6,849.1USD(-543.8, -0.6%)
이더리움(Binance): 1,998.5USD(-67.7, -3.4%)
08.04.202522:27
[한 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시황&ETF] 글로벌 관세 전쟁 시작, 추가 하락 우려가 부각되는 증시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및 그에 따른 보복 관세 여파는 증시의 하락세 야기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아웃퍼폼

- 상상인 테마 지수, 중단기 채권 강세장에 힘입어 KOSPI 주간 수익률 상회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강행, 자산시장의 불확실성 점증

- 상호 관세에 민감한 업종들의 하락세 부각. 증시 추가 하락세 가능성 역시 상승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GvmmRit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09.04.202522:42
★상상인 FICC Brief 4월 10일 (목)★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9bp 상승한 2.725%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104% 관세 부과 소식에 채권 투심은 위축, 한국 국채의 WGBI 편입 지연 소식도 영향을 주며 국고채 시장은 약세장을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3.9bp 상승한 4.332%에 마감. 중국의 추가 보복 관세 및 인플레이션 우려에 상승, 10년물 입찰을 소화한 가운데 관세 유예 소식에 상승 폭을 일부 축소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7.0원 하락한 달러당 1,472.0원에 마감. 주간 거래에서는 미-중 무역갈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상승했으나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 소식에 급락하며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102.98pt에 마감. 중국의 보복 관세 소식에 달러화는 약세 흐름을 보였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유예 소식에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전환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2.97% 상승한 온스당 3,056.5달러에 마감. 미국채 금리 급등에도 불구하고 유동성 부족에 따른 최근 하락세에 대한 반발 매수세가 크게 유입되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4.65% 상승한 배럴당 62.35달러에 마감. 원유 수요 급감 우려에 하락 출발했으나 상호 관세 유예 소식에 수요 증대가 기대되며 급등, 변동성 확대하며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74% 하락한 2,293.70pt에 마감. 미국발 관세 발효 본격화에 대한 우려 심리가 강화되며 외국인, 기관 중심의 매도 물량이 대거 출회. 외국인은 9영업일 연속 순매도세를 이어가며 한국 증시는 하락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9.52% 상승한 5,456.90pt에 마감. 중국 보복관세 추가 소식에 하락 출발했으나, 장 후반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는 소식에 저가매수세 및 숏커버링 물량 등이 유입되며 급등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911%(+18.3bp)
5년물: 4.043%(+12.6bp)
10년물: 4.337%(+4.2bp)
30년물: 4.742%(-2.6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58.9bp(+18.3)
2년/10년: 42.6bp(-14.2)
10년/30년: 40.5bp(-6.7)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85%(-3.6bp)
미국: 4.337%(+4.2bp)
영국: 4.810%(+19.6bp)
프랑스: 3.390%(+0.9bp)
그리스: 3.537%(+0.8bp)
이탈리아: 3.881%(+3.8bp)
스페인: 3.333%(-2.1bp)
일본: 1.277%(+0.3bp)
호주: 4.354%(+15.3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430%(+1.8bp)
5년물: 2.528%(+2.1bp)
10년물: 2.725%(+4.9bp)
30년물: 2.550%(+4.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2.0bp(+1.8)
3년/10년: 29.5bp(+3.1)
10년/30년: -17.5bp(-0.9)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36pt(-0.06)
10년 KTB: 119.70pt(-0.49)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3.9bp(+0.5)
3년: 25.1bp(-0.3)
5년: 24.2bp(-0.2)

AAA 은행채
1년: 14.3bp(par)
3년: 28.6bp(par)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2.1bp(+0.7)
3년: 48.9bp(+0.1)
5년: 49.0bp(par)

AA+ 카드채
1년: 26.5bp(+0.5)
3년: 42.1bp(+0.3)
5년: 43.7bp(+0.2)

AA- 캐피탈
1년: 34.5bp(+0.4)
3년: 56.5bp(+0.4)
5년: 74.1bp(+0.2)

A+ 캐피탈
1년: 98.3bp(+0.5)
3년: 141.9bp(+0.4)
5년: 187.9bp(+0.2)

◆ 외환시장
NDF환율(1M): 1,443.9원/전일 대비 -37.3원 하락 출발
달러인덱스: 102.99pt(+0.02pt, +0.02%)
달러/유로: 1.0950달러(-0.001, -0.07%)
엔/달러: 147.76엔(+1.49, +1.02%)
달러/파운드: 1.2824달러(+0.006, +0.46%)
위안/달러: 7.350위안(+0.011pt, +0.15%)

◆ 상품시장 ($)
WTI: $62.4(+2.8, +4.4%)
브렌트: $62.8(-1.4, -2.2%)
천연가스(HH): $3.82(+0.4, +9.2%)
금: $3056.5(+82.9, +2.7%)
구리: $8732.0(-48.0, -0.5%)
옥수수: $469.0(+4.5, +1.0%)

◆ 미국 증시
DOW: 40608.5pt(+7.9%)
S&P500: 5456.9pt(+9.5%)
NASDAQ: 17125.0pt(+12.2%)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3,144.7USD(+6822.3, +8.2%)
이더리움(Binance): 1,674.5USD(+201.1, +12.0%)
15.04.202522:29
[한 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시황&ETF] 무역 정책 리스크 완화, 그럼에도 미-중간 리스크 상존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uTriot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01.04.202522:39
[한 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시황&ETF] 상호관세 이벤트를 앞두고 요동치는 투자 심리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상호관세&공매도 재개로 급락한 KOSPI,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며 일부 반등에 성공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언더퍼폼 지속

- 대부분의 주식 테마 하락세에도 안전자산들의 상승세에 KOSPI 주간 수익률을 상회한 상상인 테마 지수

- 상호관세에서 다소 자유로운 조선 섹터, 단기 조정 이후 다시 반등 모멘텀 확보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hoYMux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5.04.202522:24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