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reposted:
가투방(DCTG) 저장소

24.04.202523:33
📌 한미 ‘2+2 고위급 통상협의’ 주요 정리 (2024.04.24 1차 회의 기준)
🔹 1. 회의 개요
• 한국과 미국은 4월 24일 워싱턴에서 재무·통상·산업 장관급 ‘2+2’ 협의 개시
• 핵심 의제: 트럼프발 25% 상호관세 유예 또는 철폐
• 선박, LNG, 농산물, 방위물자 등도 교환 카드로 논의
🔹 2. 관세 유예 시한 = 7월 8일 전후
• 미국은 4월 9일 상호관세 유예 발표 (유예기간: 90일)
• 7월 초까지 가시적 성과 필요
• 6~7월 중 협상 압박 강해질 전망
🔹 3. 향후 협상 일정 (예상)
• 5월: 실무급·국장급 협의 수시 개최 예정
• 6월 중하순: 2차 장관급 협상 가능성
• 7월 초: 마라톤 협상 가능성 (7월 4~6일 워싱턴 재회설 보도, 공식 확인은 아직 없음)
🔹 4. 결론: 7월 협상은 계획 중, 확정 전
• 7월 일정은 아직 공식 발표 없음
• 관세 유예 종료 전후로 고위급 회의 가능성 매우 높음
• 정부·언론 모두 “7월 타결 목표” 언급 중
🔍 5. 투자자 체크리스트
1. 상호관세 25% ‘폐지 or 단계적 인하’ 문안 등장 여부
2. 미국의 농산물·자동차·방위비 요구 강도 → 국내 기업·재정 영향
3. 7월 공동성명 발표 시 주요 패키지 내용 확인
4. 협상 진전에 따른 환율·자동차·철강·반도체 종목 변동성 모니터링
📎 요약: 이번 협상은 '서막'일 뿐. 7월 초 고위급 협상 전까지 실무 접촉 지속 예정. 핵심 변수는 25% 관세 조정. 6월 말 ~ 7월 초 협상 일정 발표 여부에 주목.
🔹 1. 회의 개요
• 한국과 미국은 4월 24일 워싱턴에서 재무·통상·산업 장관급 ‘2+2’ 협의 개시
• 핵심 의제: 트럼프발 25% 상호관세 유예 또는 철폐
• 선박, LNG, 농산물, 방위물자 등도 교환 카드로 논의
🔹 2. 관세 유예 시한 = 7월 8일 전후
• 미국은 4월 9일 상호관세 유예 발표 (유예기간: 90일)
• 7월 초까지 가시적 성과 필요
• 6~7월 중 협상 압박 강해질 전망
🔹 3. 향후 협상 일정 (예상)
• 5월: 실무급·국장급 협의 수시 개최 예정
• 6월 중하순: 2차 장관급 협상 가능성
• 7월 초: 마라톤 협상 가능성 (7월 4~6일 워싱턴 재회설 보도, 공식 확인은 아직 없음)
🔹 4. 결론: 7월 협상은 계획 중, 확정 전
• 7월 일정은 아직 공식 발표 없음
• 관세 유예 종료 전후로 고위급 회의 가능성 매우 높음
• 정부·언론 모두 “7월 타결 목표” 언급 중
🔍 5. 투자자 체크리스트
1. 상호관세 25% ‘폐지 or 단계적 인하’ 문안 등장 여부
2. 미국의 농산물·자동차·방위비 요구 강도 → 국내 기업·재정 영향
3. 7월 공동성명 발표 시 주요 패키지 내용 확인
4. 협상 진전에 따른 환율·자동차·철강·반도체 종목 변동성 모니터링
📎 요약: 이번 협상은 '서막'일 뿐. 7월 초 고위급 협상 전까지 실무 접촉 지속 예정. 핵심 변수는 25% 관세 조정. 6월 말 ~ 7월 초 협상 일정 발표 여부에 주목.
22.04.202500:34
#현대로템
22.04.202500:27
기회는 극심한 쏠림에서 생긴다
쏠리는쪽에서 한번 빠져나가는쪽에서 또 한번
쏠리는쪽에서 한번 빠져나가는쪽에서 또 한번
21.04.202501:35
23.04.202504:23
post.reposted:
에너지 비빔밥

23.04.202501:15
아래는 주요 보고서 링크 모음 입니다.
1. 산업 인뎁스
[수소 투자 백서] #1. 연료전지: 확장
(원문 링크: https://bit.ly/3p4acxd )
[수소 투자 백서] #2-1. 수전해전지: 가속
(원문 링크: https://bit.ly/49xLEh4 )
[유틸리티/신에너지] 원전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콜라보 자료, SMR 내용 29~43p)
(원문 링크: http://bit.ly/3TLYbsr )
2. 산업 코멘트
[수소] 백색 수소가 갖는 시사점
(원문 링크: https://bit.ly/3v63ucw )
[수소] 2024년 수소 발전 시장 입찰 공고에서 의미 찾기
(원문 링크: https://bit.ly/3XlSPF3 )
[수소]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서 의미 찾기
(원문 링크: https://bit.ly/3Xkglnq )
[소재/산업재 Quarterly(2024년 여름)] 부익부 빈익빈(콜라보 자료, SOFC 내용 58~61p)
(원문 링크: https://bit.ly/4dNYVVL )
[ESG Navigator(24-08)] 시장을 이기는 ESG 전략과 ETF(콜라보 자료, 수소 내용 41~46p)
(원문 링크: https://me2.kr/HbNBM )
[수소] 트럼프가 돼도 미국 수소는 갈 길 갑니다
(원문 링크: https://bit.ly/4fM5HwJ )
3. 기업 코멘트(최근 기준)
(1) 국내
[두산퓨얼셀] 매출액 앞자리 4와 V자 반등
(원문 링크: https://bit.ly/4dll2Cs )
[일진하이솔루스] 어둡고 긴 터널도 끝은 있다
(원문 링크: https://bit.ly/3W2sueK )
[비나텍] 2Q24 Review: 아쉬워도 미래를 위해서라면
(원문 링크: https://bit.ly/3AA4c4o )
[범한퓨얼셀] 2Q24 Review: 고마운 부동산 임대 수익
(원문 링크: https://bit.ly/4e3va39 )
[에스퓨얼셀] 본업 의존도 하락은 기업 가치 상승으로
(원문 링크: https://bit.ly/4c9FvJa )
(2) 해외
[티센크루프 누세라] 결국 증명해낼 유럽 수소 경제의 에이스
(원문 링크: https://bit.ly/3X7ngP3 )
[넬] 선택과 집중. 큰 한방이 필요한 시점!
(원문 링크: https://bit.ly/4d0L7WD )
1. 산업 인뎁스
[수소 투자 백서] #1. 연료전지: 확장
(원문 링크: https://bit.ly/3p4acxd )
[수소 투자 백서] #2-1. 수전해전지: 가속
(원문 링크: https://bit.ly/49xLEh4 )
[유틸리티/신에너지] 원전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콜라보 자료, SMR 내용 29~43p)
(원문 링크: http://bit.ly/3TLYbsr )
2. 산업 코멘트
[수소] 백색 수소가 갖는 시사점
(원문 링크: https://bit.ly/3v63ucw )
[수소] 2024년 수소 발전 시장 입찰 공고에서 의미 찾기
(원문 링크: https://bit.ly/3XlSPF3 )
[수소]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서 의미 찾기
(원문 링크: https://bit.ly/3Xkglnq )
[소재/산업재 Quarterly(2024년 여름)] 부익부 빈익빈(콜라보 자료, SOFC 내용 58~61p)
(원문 링크: https://bit.ly/4dNYVVL )
[ESG Navigator(24-08)] 시장을 이기는 ESG 전략과 ETF(콜라보 자료, 수소 내용 41~46p)
(원문 링크: https://me2.kr/HbNBM )
[수소] 트럼프가 돼도 미국 수소는 갈 길 갑니다
(원문 링크: https://bit.ly/4fM5HwJ )
3. 기업 코멘트(최근 기준)
(1) 국내
[두산퓨얼셀] 매출액 앞자리 4와 V자 반등
(원문 링크: https://bit.ly/4dll2Cs )
[일진하이솔루스] 어둡고 긴 터널도 끝은 있다
(원문 링크: https://bit.ly/3W2sueK )
[비나텍] 2Q24 Review: 아쉬워도 미래를 위해서라면
(원문 링크: https://bit.ly/3AA4c4o )
[범한퓨얼셀] 2Q24 Review: 고마운 부동산 임대 수익
(원문 링크: https://bit.ly/4e3va39 )
[에스퓨얼셀] 본업 의존도 하락은 기업 가치 상승으로
(원문 링크: https://bit.ly/4c9FvJa )
(2) 해외
[티센크루프 누세라] 결국 증명해낼 유럽 수소 경제의 에이스
(원문 링크: https://bit.ly/3X7ngP3 )
[넬] 선택과 집중. 큰 한방이 필요한 시점!
(원문 링크: https://bit.ly/4d0L7WD )
post.reposted: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22.04.202500:33
**올해 내 계약체결이라...생각 보다 빠르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국 K2 전차 모로코 도착: 스페인과 알제리의 도전
https://www.escudodigital.com/defensa/desarrollo-defensa/tanque-k2-surcoreano-llega-marruecos-desafio-espana-argelia_63074_102.html
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국 K2 전차 모로코 도착: 스페인과 알제리의 도전
한국이 개발한 이 현대식 전차 모델을 도입하는 최초의 아프리카 국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모로코의 높은 목표: 한국산 K2 전차를 원한다.
앞서 언급한 모로코 대표단은 K2 전차 제조사인 현대로템 의 대표단과 이미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 공식적인 계약 체결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일부 외교 소식통은 이 계약이 2025년 말 이전에 마무리될 가능성이 있으며, 첫 번째 차량은 2027년에 라바트에 도착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https://www.escudodigital.com/defensa/desarrollo-defensa/tanque-k2-surcoreano-llega-marruecos-desafio-espana-argelia_63074_102.html
post.reposted:
카이에 de market

22.04.202500:25
개인적으로 'Sell America' 흐름은 이제 누구나 인지하는 상황이 됐고, 그 중반을 지나가고 있다고 생각
트럼프는, 아직 최악은 아니지만 패가 드러난 플레이어가 됐음을 충분히 느낄 시점이 됐고 따라서 트럼프, 그리고 그 최측근들로부터의 변화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
따라서 (관세전쟁으로부터 주식 수급적으로, 펀더멘털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테크에 대한 매수를 시작할 타이밍이라고 봄
트럼프는, 아직 최악은 아니지만 패가 드러난 플레이어가 됐음을 충분히 느낄 시점이 됐고 따라서 트럼프, 그리고 그 최측근들로부터의 변화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
따라서 (관세전쟁으로부터 주식 수급적으로, 펀더멘털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테크에 대한 매수를 시작할 타이밍이라고 봄
post.reposted:
TNBfolio

21.04.202500:38
아시아 소비재 주식, 관세 회피처로 부상
1. 글로벌 무역전쟁 속 소비재의 역할
-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아시아 소비재 주식이 방어적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 Goldman Sachs와 Morgan Stanley는 4월 2일 관세 발표 이후 방어 전략으로 아시아 필수 소비재 비중 확대를 권고했다.
- Fidelity International은 중국 소비재 주식을 매입하며 정부 부양책에 따른 수혜를 기대했다.
2. 주가 흐름과 종목별 성과
- MSCI 아시아태평양 필수 소비재 지수는 4월 2일 이후 5% 상승해 11개 섹터 중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 같은 기간 MSCI 아시아 벤치마크는 2.5% 하락했다.
- 중국 Yonghui Superstores, 일본 Kobe Bussan은 각각 19% 이상 상승했다.
- 음료 및 유제품 기업도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3. 투자심리 변화와 정부 부양책 기대감
- 성장주 중심 투자에서 내수 회복 중심의 방어 전략으로 전환 중이다.
- Saxo Markets는 투자자들이 점점 더 보호무역 환경을 반영해 내수 중심 주식을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 각국 정부의 재정정책이 추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4. 각국 정책과 경기 자극 기대
- 중국은 외식, 헬스케어 등 소비 확대를 위한 48개 조치 발표했다.
- 한국은 추가경정예산을 12조 원으로 확대했다.
- 인도는 평년 이상 몬순이 예고돼 농촌 소비 증가 기대감이 있다.
5. 투자 전략과 지역별 선호도
- Fidelity International은 4월 7일 중국 및 홍콩 주가 급락 시 필수 소비재 및 일부 여행 관련 소비재 주식 매수에 나섰다.
- 중국 본토 상장 주식이 홍콩 상장 주식보다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6. 글로벌 대비 성과
- 아시아 소비재 주식은 미국과 유럽의 동종 업종보다 정책 지원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다.
- Goldman Sachs는 4월 6일 아시아 소비재 비중을 ‘시장비중’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 JPMorgan Chase도 동남아 소비재에 대해 비슷한 평가를 내놨다.
7. 경기 방어성과 금리 기대
- Tokio Marine Asset Management는 필수 소비재 수요는 경기 변동에 크게 좌우되지 않으며 미국 수출 비중도 낮다고 설명했다.
- 금리 인하가 소비 자극으로 이어질 경우 긍정적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8. 리스크 요인과 향후 전망
- 필수 소비재의 위험 요소로는 인플레이션 재확산이 꼽힌다.
- 단기적으로는 소비재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선택지로 인식되고 있다.
- 향후 위험 선호가 회복되면 다시 서비스나 재량 소비재로 자금이 이동할 수 있다.
-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0/fidelity-goldman-find-tariff-haven-in-asian-consumer-stocks?embedded-checkout=true
1. 글로벌 무역전쟁 속 소비재의 역할
-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아시아 소비재 주식이 방어적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 Goldman Sachs와 Morgan Stanley는 4월 2일 관세 발표 이후 방어 전략으로 아시아 필수 소비재 비중 확대를 권고했다.
- Fidelity International은 중국 소비재 주식을 매입하며 정부 부양책에 따른 수혜를 기대했다.
2. 주가 흐름과 종목별 성과
- MSCI 아시아태평양 필수 소비재 지수는 4월 2일 이후 5% 상승해 11개 섹터 중 가장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 같은 기간 MSCI 아시아 벤치마크는 2.5% 하락했다.
- 중국 Yonghui Superstores, 일본 Kobe Bussan은 각각 19% 이상 상승했다.
- 음료 및 유제품 기업도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3. 투자심리 변화와 정부 부양책 기대감
- 성장주 중심 투자에서 내수 회복 중심의 방어 전략으로 전환 중이다.
- Saxo Markets는 투자자들이 점점 더 보호무역 환경을 반영해 내수 중심 주식을 선호한다고 분석했다.
- 각국 정부의 재정정책이 추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4. 각국 정책과 경기 자극 기대
- 중국은 외식, 헬스케어 등 소비 확대를 위한 48개 조치 발표했다.
- 한국은 추가경정예산을 12조 원으로 확대했다.
- 인도는 평년 이상 몬순이 예고돼 농촌 소비 증가 기대감이 있다.
5. 투자 전략과 지역별 선호도
- Fidelity International은 4월 7일 중국 및 홍콩 주가 급락 시 필수 소비재 및 일부 여행 관련 소비재 주식 매수에 나섰다.
- 중국 본토 상장 주식이 홍콩 상장 주식보다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6. 글로벌 대비 성과
- 아시아 소비재 주식은 미국과 유럽의 동종 업종보다 정책 지원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다.
- Goldman Sachs는 4월 6일 아시아 소비재 비중을 ‘시장비중’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 JPMorgan Chase도 동남아 소비재에 대해 비슷한 평가를 내놨다.
7. 경기 방어성과 금리 기대
- Tokio Marine Asset Management는 필수 소비재 수요는 경기 변동에 크게 좌우되지 않으며 미국 수출 비중도 낮다고 설명했다.
- 금리 인하가 소비 자극으로 이어질 경우 긍정적 시나리오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8. 리스크 요인과 향후 전망
- 필수 소비재의 위험 요소로는 인플레이션 재확산이 꼽힌다.
- 단기적으로는 소비재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선택지로 인식되고 있다.
- 향후 위험 선호가 회복되면 다시 서비스나 재량 소비재로 자금이 이동할 수 있다.
-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그 전환점이 될 수 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0/fidelity-goldman-find-tariff-haven-in-asian-consumer-stocks?embedded-checkout=true
23.04.202504:04
post.reposted:
投資, 아레테



23.04.202502:03
#실적
실적 시즌 이제 막 시작했지만 특이적으로 기록할 만한 종목 첫 스타트가 모두 반도체 소부장입니다.
중국향 소부장 업체 전반적으로 숫자가 올라오는지, 기존에 안보던 종목들 숫자가 얼마나 올라올지 관심이 가긴합니다.
실적 시즌 이제 막 시작했지만 특이적으로 기록할 만한 종목 첫 스타트가 모두 반도체 소부장입니다.
중국향 소부장 업체 전반적으로 숫자가 올라오는지, 기존에 안보던 종목들 숫자가 얼마나 올라올지 관심이 가긴합니다.
post.reposted:
재야의 고수들

22.04.202502:51
전업 사무실을 열고, 투자에 집중하다(1)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40896572?recommendTrackingCode=2
전업 사무실을 열고, 투자에 집중하다(2)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41550678?recommendTrackingCode=2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40896572?recommendTrackingCode=2
전업 사무실을 열고, 투자에 집중하다(2)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41550678?recommendTrackingCode=2
#포즈랑님
22.04.202500:32
한국은 (주주환원이 적정선에서 이뤄지는 회사에 한해) 절대 저평가가 해소되는 때까지는 꽤 괜찮을거 같습니다
post.reposted:
루팡

21.04.202500:19
[속보]이재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주가지수 5000' 시대 열겠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post.reposted: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3.04.202501:53
2025.04.23 10:34:24
기업명: 에스앤에스텍(시가총액: 7,6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79억(예상치 : -)
영업익 : 119억(예상치 : -)
순이익 : 120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79억/ 119억/ 120억
2024.4Q 452억/ 40억/ 66억
2024.3Q 466억/ 96억/ 82억
2024.2Q 424억/ 85억/ 78억
2024.1Q 418억/ 74억/ 7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90009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01490
기업명: 에스앤에스텍(시가총액: 7,6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79억(예상치 : -)
영업익 : 119억(예상치 : -)
순이익 : 120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79억/ 119억/ 120억
2024.4Q 452억/ 40억/ 66억
2024.3Q 466억/ 96억/ 82억
2024.2Q 424억/ 85억/ 78억
2024.1Q 418억/ 74억/ 7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90009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01490
22.04.202500:41
미국시장 투자한분이 극심한 포모가 생기면 미국시장에 기회가 생기겠죠
22.04.202500:30
왜 한국시장이 강한가요. 미국은 밸류가 목구녕까지 찼는데 트럼프가 저러고 계시고 한국은 상법개정 한다고 하고, 주주권익보호가 시대정신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 아닌가 싶습니다.
post.reposted:
Pluto Research_발간자료

21.04.202523:56
얼마전 상법개정 토론회에서 이재명 대표가 아래 발언을 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회사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순자산)이 0.3배라고요?
그 기업은 적대적 인수합병(M&A) 당해야죠."
그렇다면 우리는 이재명식 밸류업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텐데요. 이재명식 밸류업에 투자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https://naver.me/IFgqMGAI
"회사 주가순자산비율(PBR=시가총액÷순자산)이 0.3배라고요?
그 기업은 적대적 인수합병(M&A) 당해야죠."
그렇다면 우리는 이재명식 밸류업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텐데요. 이재명식 밸류업에 투자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https://naver.me/IFgqMGAI
18.04.202505:05
뭔가를 해석하고 설명하려고 하지말고 행동
Показано 1 - 24 из 1067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