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4.202522:44
상상인 소비재 뉴스 (04/18)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맛김’, 전년 동기보다 20.4% 올라…가격 상승률 3분기 연속 최고 (식품저널)
ㅁ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가격 상승률이 가장 컸던 생활필수품은 맛김으로, 가격이 전년 동기보다 20.4% 상승. 맛김은 지난해 3분기부터 3분기 연속 가격 상승률 1위를 기록
ㅁ 맛김은 원재료인 김 생산량 감소와 해조류 수급 불안정으로 지난해 2분기부터 가격이 크게 오르더니, 올 1분기에는 평균 가격이 5452원으로 전년 동기 4528원에서 20.4% 상승
맥도날드 넘어섰다...日 정복한 맘스터치 (이코노미스트)
ㅁ 24년 4월 16일 오픈한 도쿄 1호 직영점 ‘시부야 맘스터치’의 매장 누적 방문객 수는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70만명을 넘어서, 누적 매출은 한화 약 50억원 달성
ㅁ ‘치즈싸이버거’(단품 570엔, 세트 900엔)는 매장이 위치한 시부야 중심가의 평균 점심값(1000~1500엔)보다 약 10~30% 저렴하며 맛과 양을 갖춰 가성비를 중시하는 일본의 ‘코스파’(Cost+Performance) 트렌드를 저격
▶️유통
봄 실종?… 기후 변화에 유통업계 희비 (세계일보)
ㅁ 기후변화 영향으로 간절기가 짧아지며 백화점들은 봄옷 판매에 직격탄을 맞았고 가전업계는 여름 가전 특수에 분주한 상황
ㅁ 올해 2∼3월 롯데백화점의 패션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수준에 머물러.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은 0.9%, 현대백화점은 0.2% 각각 증가. 패션 카테고리가 평균 6∼7% 성장세를 보였던 예년과 비교하면 부진한 실적. 때 이른 더위 탓에 매출 증가율이 2% 안팎에 불과했던 지난해보다도 성장세가 크게 둔화
이마트도 뷰티 경쟁 참전… 4950원 갓성비 기능성 화장품 출시 (대한경제)
ㅁ 이마트가 주요 화장품 브랜드의 뷰티 제품 30여종을 선보여. 이마트 전용 상품으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이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별도 구성한 것과 같은 맥락
ㅁ 이마트 관계자는 "20대 이하 세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성비 상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고, 그 중심에는 화장품이 있다”고 언급
▶️화장품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연구개발비 지출 평균 113억…전년比 3.8%↑ (약업신문)
ㅁ 화장품 관련 기업 74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2, 코넥스 1, 외감 7)가 2024년 한해 동안 사용한 연구개발비 평균 금액은 113억원으로 집계. 전년동기 109억원 대비 3.8% 증가
ㅁ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1%로 전년동기 대비 0.2%p 감소
설화수, 美럭셔리 뷰티 공략… 메이시스百 입점 (파이낸셜뉴스)
ㅁ 설화수는 지난 2월 메이시스의 온라인 채널인 메이시스닷컴을 시작으로 3월 뉴욕 플러싱점과 LA의 산타 애니타점, 사우스 코스트 플라자점에 각각 입점. 향후 입점 매장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계획. 1858년에 뉴욕에서 설립된 메이시스 백화점은 미국 전역에 420여 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최대 백화점 체인
ㅁ 설화수는 2010년 미국 시장 첫 진출 이후 꾸준히 위상을 높여와. 최근 3년 간 미국시장에서의 설화수 성장률은 CAGR 약 20%에 달해
2080 닥터크리닉 치약 ‘누적 판매량 1,200만개 돌파’ (장업신문)
ㅁ 애경산업의 오럴케어 브랜드 ‘2080’의 ‘닥터크리닉 치약’이 2021년 5월 출시된 이후 약 4년 만에 누적 판매량 1,200만개를 돌파
ㅁ 2080 닥터크리닉 치약은 21년부터 24년까지 연평균 판매량이 103%씩 증가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맛김’, 전년 동기보다 20.4% 올라…가격 상승률 3분기 연속 최고 (식품저널)
ㅁ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가격 상승률이 가장 컸던 생활필수품은 맛김으로, 가격이 전년 동기보다 20.4% 상승. 맛김은 지난해 3분기부터 3분기 연속 가격 상승률 1위를 기록
ㅁ 맛김은 원재료인 김 생산량 감소와 해조류 수급 불안정으로 지난해 2분기부터 가격이 크게 오르더니, 올 1분기에는 평균 가격이 5452원으로 전년 동기 4528원에서 20.4% 상승
맥도날드 넘어섰다...日 정복한 맘스터치 (이코노미스트)
ㅁ 24년 4월 16일 오픈한 도쿄 1호 직영점 ‘시부야 맘스터치’의 매장 누적 방문객 수는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70만명을 넘어서, 누적 매출은 한화 약 50억원 달성
ㅁ ‘치즈싸이버거’(단품 570엔, 세트 900엔)는 매장이 위치한 시부야 중심가의 평균 점심값(1000~1500엔)보다 약 10~30% 저렴하며 맛과 양을 갖춰 가성비를 중시하는 일본의 ‘코스파’(Cost+Performance) 트렌드를 저격
▶️유통
봄 실종?… 기후 변화에 유통업계 희비 (세계일보)
ㅁ 기후변화 영향으로 간절기가 짧아지며 백화점들은 봄옷 판매에 직격탄을 맞았고 가전업계는 여름 가전 특수에 분주한 상황
ㅁ 올해 2∼3월 롯데백화점의 패션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수준에 머물러.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은 0.9%, 현대백화점은 0.2% 각각 증가. 패션 카테고리가 평균 6∼7% 성장세를 보였던 예년과 비교하면 부진한 실적. 때 이른 더위 탓에 매출 증가율이 2% 안팎에 불과했던 지난해보다도 성장세가 크게 둔화
이마트도 뷰티 경쟁 참전… 4950원 갓성비 기능성 화장품 출시 (대한경제)
ㅁ 이마트가 주요 화장품 브랜드의 뷰티 제품 30여종을 선보여. 이마트 전용 상품으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이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별도 구성한 것과 같은 맥락
ㅁ 이마트 관계자는 "20대 이하 세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성비 상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고, 그 중심에는 화장품이 있다”고 언급
▶️화장품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연구개발비 지출 평균 113억…전년比 3.8%↑ (약업신문)
ㅁ 화장품 관련 기업 74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2, 코넥스 1, 외감 7)가 2024년 한해 동안 사용한 연구개발비 평균 금액은 113억원으로 집계. 전년동기 109억원 대비 3.8% 증가
ㅁ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1%로 전년동기 대비 0.2%p 감소
설화수, 美럭셔리 뷰티 공략… 메이시스百 입점 (파이낸셜뉴스)
ㅁ 설화수는 지난 2월 메이시스의 온라인 채널인 메이시스닷컴을 시작으로 3월 뉴욕 플러싱점과 LA의 산타 애니타점, 사우스 코스트 플라자점에 각각 입점. 향후 입점 매장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계획. 1858년에 뉴욕에서 설립된 메이시스 백화점은 미국 전역에 420여 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최대 백화점 체인
ㅁ 설화수는 2010년 미국 시장 첫 진출 이후 꾸준히 위상을 높여와. 최근 3년 간 미국시장에서의 설화수 성장률은 CAGR 약 20%에 달해
2080 닥터크리닉 치약 ‘누적 판매량 1,200만개 돌파’ (장업신문)
ㅁ 애경산업의 오럴케어 브랜드 ‘2080’의 ‘닥터크리닉 치약’이 2021년 5월 출시된 이후 약 4년 만에 누적 판매량 1,200만개를 돌파
ㅁ 2080 닥터크리닉 치약은 21년부터 24년까지 연평균 판매량이 103%씩 증가
17.04.202522:29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8 (금)
● Top News
- 트럼프, '관세파장' 지적한 연준의장에 "그는 내가 원하면 사임"
https://naver.me/5IS3V9Ge
● Economy
- ECB, 7번째 금리인하 단행…핵심 예치금리 2.25%로
https://naver.me/GOPoyevc
- "1분기 역성장" 한은마저 경고
https://naver.me/xCBN9kF0
● Stock Market
- 뉴욕증시, 파월 압박하는 트럼프에도 '무덤덤'…혼조 마감
https://naver.me/Gn0ETMCi
- 코스피, 美 반도체 규제에도 2470선 회복…한화에어로 '사상 최고가'
https://naver.me/xAFjr46J
● Fixed Income
- 중국 2월 미국채 보유액 7843억$…전월비 235억$↑
https://naver.me/xDJrOvxj
- 4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미실시…"수급여건 감안"
https://naver.me/Gq82O47J
● Currency
- 미국의 신뢰 위기, 자금 엑소더스 촉발…안전자산 대우 못 받는 달러
https://naver.me/5hunZI2Q
- 美·日 “관세 조기 협상 타결”… 日, 환율은 의제 빠져 안도
https://naver.me/xFLmHTG5
● Commodity
- 한미, 알래스카 LNG 본격 협상 목전…"신중 접근해야"
https://naver.me/xq39GLtX
- ‘金’ 미국 M7보다 매력적… 장중 최고치 또 돌파
https://naver.me/GpCdaFGG
● Real Estate
- 대치동 상징 '은마아파트', 49층·5962가구 규모로 재건축
https://naver.me/5qD4O9lm
- 전셋값 안정에 HUG '안도'…전세보증 사고액 3분의 1로 줄었다
https://naver.me/xFLmH11i
● ESG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제동
https://naver.me/5ssRvfTW
● ETC
- 파리서 美·유럽·우크라 고위급 회담…"평화 열망으로 단합"
https://naver.me/xQeqr4p1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25. 04. 18 (금)
● Top News
- 트럼프, '관세파장' 지적한 연준의장에 "그는 내가 원하면 사임"
https://naver.me/5IS3V9Ge
● Economy
- ECB, 7번째 금리인하 단행…핵심 예치금리 2.25%로
https://naver.me/GOPoyevc
- "1분기 역성장" 한은마저 경고
https://naver.me/xCBN9kF0
● Stock Market
- 뉴욕증시, 파월 압박하는 트럼프에도 '무덤덤'…혼조 마감
https://naver.me/Gn0ETMCi
- 코스피, 美 반도체 규제에도 2470선 회복…한화에어로 '사상 최고가'
https://naver.me/xAFjr46J
● Fixed Income
- 중국 2월 미국채 보유액 7843억$…전월비 235억$↑
https://naver.me/xDJrOvxj
- 4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미실시…"수급여건 감안"
https://naver.me/Gq82O47J
● Currency
- 미국의 신뢰 위기, 자금 엑소더스 촉발…안전자산 대우 못 받는 달러
https://naver.me/5hunZI2Q
- 美·日 “관세 조기 협상 타결”… 日, 환율은 의제 빠져 안도
https://naver.me/xFLmHTG5
● Commodity
- 한미, 알래스카 LNG 본격 협상 목전…"신중 접근해야"
https://naver.me/xq39GLtX
- ‘金’ 미국 M7보다 매력적… 장중 최고치 또 돌파
https://naver.me/GpCdaFGG
● Real Estate
- 대치동 상징 '은마아파트', 49층·5962가구 규모로 재건축
https://naver.me/5qD4O9lm
- 전셋값 안정에 HUG '안도'…전세보증 사고액 3분의 1로 줄었다
https://naver.me/xFLmH11i
● ESG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제동
https://naver.me/5ssRvfTW
● ETC
- 파리서 美·유럽·우크라 고위급 회담…"평화 열망으로 단합"
https://naver.me/xQeqr4p1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17.04.202503:58
[한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채권전략]
4월 금통위 리뷰: 금리 인하의 확실한 힌트
신얼 수석연구위원 02-3779-3184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 유지
- 금리 인하 소수의견 1인 확인을 통해 5월 금통위 금리 인하 예상
1. 금융안정을 위한 세 가지 조건을 기다리는 중
-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해소보다는 진행형
- 통화당국은 금융안정을 대기 중
2. 성장 불확실성 확대에 의한 필수 불가결한 추가 금리 인하
- 성장 하방압력 등 불확실성 확대 금리 인하 필요성 지지
- 5월 금통위 금리 인하 및 국고 시장금리 하락세 예상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6MrMZjZ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4월 금통위 리뷰: 금리 인하의 확실한 힌트
신얼 수석연구위원 02-3779-3184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 유지
- 금리 인하 소수의견 1인 확인을 통해 5월 금통위 금리 인하 예상
1. 금융안정을 위한 세 가지 조건을 기다리는 중
-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해소보다는 진행형
- 통화당국은 금융안정을 대기 중
2. 성장 불확실성 확대에 의한 필수 불가결한 추가 금리 인하
- 성장 하방압력 등 불확실성 확대 금리 인하 필요성 지지
- 5월 금통위 금리 인하 및 국고 시장금리 하락세 예상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6MrMZjZ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6.04.202522:43
16.04.202515:38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세아베스틸지주 1Q25 Preview: 개선의 폭은 제한, 신사업 기대는 지속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6,000원 하향
▶ 1Q25 Preview: 방향성 전환 성공, 컨센서스 부합 예상
세아베스틸지주의 1Q25 실적은 매출액 8,696억원(-8.7% YoY, +4.8% QoQ), 영업이익 178억원(-16.5% YoY, +131.1%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8,7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에 부합할 전망이다. 전사 기준 1분기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전분기 대비 뚜렷한 개선세를 시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아베스틸의 경우 스크랩 가격 약세에 따라 제품가격 인하되었으며, 스프레드는 전분 대비 축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세아창원특수강은 니켈 가격 상승세에 따른 STS선재 판가 인상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니켈, 수요와 공급에 대한 우려는 상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1분기 니켈 가격의 상승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니켈 감산 계획, 中 델롱 그룹 파산에 따른 공급 우려에 기인한다. 다만 미국의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은 최근 산업 금속 전반의 우려 요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미-중 관세 협상 여부, 각 국가별 관세 협상 상황에 따라 니켈 가격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 연내 실적 회복 가능성은 제한. 신사업 모멘텀은 하반기부터 이어질 가능성
2025~2026년 연간 실적추정치를 하향함에 따라 목표주가를 26,000원으로 조정한다.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따른 국내 자동차 업계의 Offshoring, 국내 스크랩 가격 및 수요 등을 고려할 때 동사의 실적 회복 속도는 기대보다 완만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럼에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 CASK, 우주항공용 특수합금 사업 등 신사업의 장기 성장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특히 국내 한빛, 한울, 고리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추가 저장 용량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 및 입찰은 하반기부터 내년 사이에 진행될 것으로 추측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1GJNwNJ 👈
# 세아베스틸지주 1Q25 Preview: 개선의 폭은 제한, 신사업 기대는 지속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6,000원 하향
▶ 1Q25 Preview: 방향성 전환 성공, 컨센서스 부합 예상
세아베스틸지주의 1Q25 실적은 매출액 8,696억원(-8.7% YoY, +4.8% QoQ), 영업이익 178억원(-16.5% YoY, +131.1%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8,7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에 부합할 전망이다. 전사 기준 1분기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전분기 대비 뚜렷한 개선세를 시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아베스틸의 경우 스크랩 가격 약세에 따라 제품가격 인하되었으며, 스프레드는 전분 대비 축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세아창원특수강은 니켈 가격 상승세에 따른 STS선재 판가 인상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 니켈, 수요와 공급에 대한 우려는 상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1분기 니켈 가격의 상승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니켈 감산 계획, 中 델롱 그룹 파산에 따른 공급 우려에 기인한다. 다만 미국의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은 최근 산업 금속 전반의 우려 요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미-중 관세 협상 여부, 각 국가별 관세 협상 상황에 따라 니켈 가격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 연내 실적 회복 가능성은 제한. 신사업 모멘텀은 하반기부터 이어질 가능성
2025~2026년 연간 실적추정치를 하향함에 따라 목표주가를 26,000원으로 조정한다.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따른 국내 자동차 업계의 Offshoring, 국내 스크랩 가격 및 수요 등을 고려할 때 동사의 실적 회복 속도는 기대보다 완만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럼에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 CASK, 우주항공용 특수합금 사업 등 신사업의 장기 성장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특히 국내 한빛, 한울, 고리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추가 저장 용량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 및 입찰은 하반기부터 내년 사이에 진행될 것으로 추측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1GJNwNJ 👈
16.04.202500:30
[상상인 리서치 Report 4/16(수)]
💡 기업분석
✅ 포스코퓨처엠(003670)/HOLD(유지)/143,000원(유지)/기대치 부합, 관세 영향 지켜볼 필요/[모빌리티/배터리 유민기]
https://iii.ad/e5ebe9
- 1Q25 매출액 8,512억원 (-25.2% YoY), 영업이익 151억 원(-60.1% YoY)으로 컨센서스(Fnguide 4/4기준 영업이익 16억 원) 소폭 상회 예상
- 2025년 예상되는 양극재 출하량은 7만톤으로 2024년 양극재 출하량 5.6만톤 대비 +30% YoY 증가에 대한 기존 전망을 유지
- 연중 완만한 이익회복 기대되나, 美 품목 관세에 따른 고객사 영향 불확실
✅ 오리온(271560)/BUY(유지)/140,000원(유지)/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소비재 김혜미]
https://iii.ad/c08a79
- 1Q25 주요 법인 단순 합산 매출액은 8,060억원(yoy +7.9%), 영업이익 1,324억원(yoy +5.6%)으로 집계
- 전 법인에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 시현했으나, 전반적인 원가 압박 및 환율 상승 등이 이익 성장 폭 제한
- CEO 간담회, 주요 전략은 (1)한국과 중국 등 주요 법인에서 가성비 제품 중심의 신제품 라인업 확대 및 (2) 인근 국가 수출 확대
🔎 투자전략
✅[한상자:채권전략] 4월 금통위 프리뷰: 금리 인하 전 숨 고르기/[채권/부동산 신얼]
https://iii.ad/c54466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 동결 전망, 적절한 금리 인하 시점을 찾기 위한 숨 고르기 차원의 동결이 유력
- 외환시장의 불안 심리 지속, 금리 인하 기대감과 엮인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불안감이 금리 동결 전망의 이유
- 금융안정 신호를 기다린 후 물가와 경기에 의한 금리 인하 단행하는 패턴으로,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25년 5월 추가 인하 및 '25년말 2.25% 기존 전망 유지
✅[한상자:시황&ETF] 무역 정책 리스크 완화, 그럼에도 미-중간 리스크 상존/[시황&ETF/ 황준호]
https://iii.ad/3cc54a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1.60%를 기록하며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상상인 Macro Daily 4/16(수)/[투자전략팀]
https://iii.ad/5587dc
💡 기업분석
✅ 포스코퓨처엠(003670)/HOLD(유지)/143,000원(유지)/기대치 부합, 관세 영향 지켜볼 필요/[모빌리티/배터리 유민기]
https://iii.ad/e5ebe9
- 1Q25 매출액 8,512억원 (-25.2% YoY), 영업이익 151억 원(-60.1% YoY)으로 컨센서스(Fnguide 4/4기준 영업이익 16억 원) 소폭 상회 예상
- 2025년 예상되는 양극재 출하량은 7만톤으로 2024년 양극재 출하량 5.6만톤 대비 +30% YoY 증가에 대한 기존 전망을 유지
- 연중 완만한 이익회복 기대되나, 美 품목 관세에 따른 고객사 영향 불확실
✅ 오리온(271560)/BUY(유지)/140,000원(유지)/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소비재 김혜미]
https://iii.ad/c08a79
- 1Q25 주요 법인 단순 합산 매출액은 8,060억원(yoy +7.9%), 영업이익 1,324억원(yoy +5.6%)으로 집계
- 전 법인에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 시현했으나, 전반적인 원가 압박 및 환율 상승 등이 이익 성장 폭 제한
- CEO 간담회, 주요 전략은 (1)한국과 중국 등 주요 법인에서 가성비 제품 중심의 신제품 라인업 확대 및 (2) 인근 국가 수출 확대
🔎 투자전략
✅[한상자:채권전략] 4월 금통위 프리뷰: 금리 인하 전 숨 고르기/[채권/부동산 신얼]
https://iii.ad/c54466
- 4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 동결 전망, 적절한 금리 인하 시점을 찾기 위한 숨 고르기 차원의 동결이 유력
- 외환시장의 불안 심리 지속, 금리 인하 기대감과 엮인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불안감이 금리 동결 전망의 이유
- 금융안정 신호를 기다린 후 물가와 경기에 의한 금리 인하 단행하는 패턴으로, 한국은행 금통위 기준금리 '25년 5월 추가 인하 및 '25년말 2.25% 기존 전망 유지
✅[한상자:시황&ETF] 무역 정책 리스크 완화, 그럼에도 미-중간 리스크 상존/[시황&ETF/ 황준호]
https://iii.ad/3cc54a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1.60%를 기록하며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상상인 Macro Daily 4/16(수)/[투자전략팀]
https://iii.ad/5587dc
17.04.202522:35
★상상인 FICC Brief 4월 18일 (금)★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11%(+3.4bp)
5년물: 3.946%(+4.2bp)
10년물: 4.330%(+5.2bp)
30년물: 4.806%(+6.6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8.9bp(+3.4)
2년/10년: 51.9bp(+1.8)
10년/30년: 47.6bp(+1.3)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468%(-4.1bp)
미국: 4.330%(+5.2bp)
영국: 4.565%(-3.8bp)
프랑스: 3.228%(-3.3bp)
그리스: 3.340%(-7.7bp)
이탈리아: 3.645%(-4.3bp)
스페인: 3.168%(-4.0bp)
일본: 1.307%(+1.5bp)
호주: 4.234%(-5.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85%(+5.3bp)
5년물: 2.487%(+3.5bp)
10년물: 2.647%(+2.7bp)
30년물: 2.492%(+3.7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6.5bp(+5.3)
3년/10년: 26.2bp(-2.6)
10년/30년: -15.5bp(+1.0)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9pt(-0.13)
10년 KTB: 120.52pt(-0.29)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9.5bp(+1.6)
3년: 25.4bp(-0.2)
5년: 22.6bp(-0.5)
AAA 은행채
1년: 19.1bp(+1.3)
3년: 28.2bp(-1.0)
5년: 30.5bp(-0.5)
AA+ 회사채
1년: 38.4bp(+1.7)
3년: 49.4bp(-1.0)
5년: 49.6bp(+0.2)
AA+ 카드채
1년: 32.3bp(+1.5)
3년: 44.3bp(-0.2)
5년: 44bp(par)
AA- 캐피탈
1년: 40.3bp(+1.4)
3년: 59.1bp(-0.2)
5년: 74.1bp(par)
A+ 캐피탈
1년: 104bp(+1.5)
3년: 143.6bp(-0.5)
5년: 187.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6.3원/전일 대비 0.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99.41pt(+0.14pt, +0.14%)
달러/유로: 1.1370달러(-0.003, -0.26%)
엔/달러: 142.44엔(+0.55, +0.39%)
달러/파운드: 1.3266달러(+0.003, +0.20%)
위안/달러: 7.300위안(-0.007pt, -0.09%)
◆ 상품시장 ($)
WTI: $64.7(+2.2, +3.4%)
브렌트: $68.0(+2.1, +3.1%)
천연가스(HH): $3.25(-0.0, -0.1%)
금: $3380.7(+18.4, +0.5%)
구리: $9203.5(+39.5, +0.4%)
옥수수: $482.3(-2.0, -0.4%)
◆ 미국 증시
DOW: 39142.2pt(-1.3%)
S&P500: 5282.7pt(+0.1%)
NASDAQ: 16286.5pt(-0.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5,000.0USD(+969.6, +1.1%)
이더리움(Binance): 1,589.9USD(+12.8, +0.8%)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11%(+3.4bp)
5년물: 3.946%(+4.2bp)
10년물: 4.330%(+5.2bp)
30년물: 4.806%(+6.6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8.9bp(+3.4)
2년/10년: 51.9bp(+1.8)
10년/30년: 47.6bp(+1.3)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468%(-4.1bp)
미국: 4.330%(+5.2bp)
영국: 4.565%(-3.8bp)
프랑스: 3.228%(-3.3bp)
그리스: 3.340%(-7.7bp)
이탈리아: 3.645%(-4.3bp)
스페인: 3.168%(-4.0bp)
일본: 1.307%(+1.5bp)
호주: 4.234%(-5.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85%(+5.3bp)
5년물: 2.487%(+3.5bp)
10년물: 2.647%(+2.7bp)
30년물: 2.492%(+3.7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6.5bp(+5.3)
3년/10년: 26.2bp(-2.6)
10년/30년: -15.5bp(+1.0)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9pt(-0.13)
10년 KTB: 120.52pt(-0.29)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9.5bp(+1.6)
3년: 25.4bp(-0.2)
5년: 22.6bp(-0.5)
AAA 은행채
1년: 19.1bp(+1.3)
3년: 28.2bp(-1.0)
5년: 30.5bp(-0.5)
AA+ 회사채
1년: 38.4bp(+1.7)
3년: 49.4bp(-1.0)
5년: 49.6bp(+0.2)
AA+ 카드채
1년: 32.3bp(+1.5)
3년: 44.3bp(-0.2)
5년: 44bp(par)
AA- 캐피탈
1년: 40.3bp(+1.4)
3년: 59.1bp(-0.2)
5년: 74.1bp(par)
A+ 캐피탈
1년: 104bp(+1.5)
3년: 143.6bp(-0.5)
5년: 187.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6.3원/전일 대비 0.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99.41pt(+0.14pt, +0.14%)
달러/유로: 1.1370달러(-0.003, -0.26%)
엔/달러: 142.44엔(+0.55, +0.39%)
달러/파운드: 1.3266달러(+0.003, +0.20%)
위안/달러: 7.300위안(-0.007pt, -0.09%)
◆ 상품시장 ($)
WTI: $64.7(+2.2, +3.4%)
브렌트: $68.0(+2.1, +3.1%)
천연가스(HH): $3.25(-0.0, -0.1%)
금: $3380.7(+18.4, +0.5%)
구리: $9203.5(+39.5, +0.4%)
옥수수: $482.3(-2.0, -0.4%)
◆ 미국 증시
DOW: 39142.2pt(-1.3%)
S&P500: 5282.7pt(+0.1%)
NASDAQ: 16286.5pt(-0.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5,000.0USD(+969.6, +1.1%)
이더리움(Binance): 1,589.9USD(+12.8, +0.8%)


17.04.202521:53
[ 상상인 반도체/IT 정민규 ]
👨💻 4.18(금) - 오늘도 6시 54분 3, 2, 1
▶️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조선비즈)
https://vo.la/qRhwEi
▶️ 구형GPU·관세쇼크에 MS 데이터센터 축소…머스크만 가속페달(뉴스1)
https://vo.la/vPLHCi
▶️ 美 `딥시크 쇼크`에 칩 잠그고 차단…중국은 “활용에서 앞선다”(디지털타임스)
https://vo.la/TpruZl
▶️ 美, AMD·인텔 AI 칩도 '대중 봉쇄'(조선일보)
https://vo.la/rDKafb
▶️ TSMC, 트럼프 관세에도 실적 자신감 유지…인텔 인수설은 부인(블로터)
https://vo.la/mGeKQe
▶️ ASML: China Sales Could Top 25% in 2025, but Homegrown EUV Still Years Off(Trendforce)
ASML은 2025년 중국 매출 비중이 2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며 수요가 예상보다 견조함. 중국은 자국산 EUV 장비 개발이 임박했다고 주장하지만, ASML CEO는 실제 상용화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 판단함. 미국 수출 규제 속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기존 DUV 장비를 집중 구매하며 매출을 견인 중이며, 중국의 EUV 개발은 아직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임
https://vo.la/fQytZj
▶️ Nvidia H20 export restrictions: local AI chips in China see opening(Digitimes)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 내 AI용 고성능 컴퓨팅 칩 시장에 국산 솔루션의 기회가 열림. 클라우드 업체들은 동남아나 중동 등을 활용한 우회적 모델 학습을 병행 중이나, 추론 중심 수요에 맞춘 로컬 칩 도입이 증가하고 있음. 다만 학습용 ASIC 성능 격차는 여전히 크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추가 규제로 중국 내 자립 생태계 강화를 통한 내순환 구조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음
https://vo.la/FcjlpS
✈️채널: https://t.me/nudgetech
👨💻 4.18(금) - 오늘도 6시 54분 3, 2, 1
▶️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조선비즈)
https://vo.la/qRhwEi
▶️ 구형GPU·관세쇼크에 MS 데이터센터 축소…머스크만 가속페달(뉴스1)
https://vo.la/vPLHCi
▶️ 美 `딥시크 쇼크`에 칩 잠그고 차단…중국은 “활용에서 앞선다”(디지털타임스)
https://vo.la/TpruZl
▶️ 美, AMD·인텔 AI 칩도 '대중 봉쇄'(조선일보)
https://vo.la/rDKafb
▶️ TSMC, 트럼프 관세에도 실적 자신감 유지…인텔 인수설은 부인(블로터)
https://vo.la/mGeKQe
▶️ ASML: China Sales Could Top 25% in 2025, but Homegrown EUV Still Years Off(Trendforce)
ASML은 2025년 중국 매출 비중이 2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며 수요가 예상보다 견조함. 중국은 자국산 EUV 장비 개발이 임박했다고 주장하지만, ASML CEO는 실제 상용화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 판단함. 미국 수출 규제 속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기존 DUV 장비를 집중 구매하며 매출을 견인 중이며, 중국의 EUV 개발은 아직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임
https://vo.la/fQytZj
▶️ Nvidia H20 export restrictions: local AI chips in China see opening(Digitimes)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 내 AI용 고성능 컴퓨팅 칩 시장에 국산 솔루션의 기회가 열림. 클라우드 업체들은 동남아나 중동 등을 활용한 우회적 모델 학습을 병행 중이나, 추론 중심 수요에 맞춘 로컬 칩 도입이 증가하고 있음. 다만 학습용 ASIC 성능 격차는 여전히 크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추가 규제로 중국 내 자립 생태계 강화를 통한 내순환 구조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음
https://vo.la/FcjlpS
✈️채널: https://t.me/nudgetech
16.04.202523:28
[상상인 리서치 Report 4/17(목)]
💡 기업분석
✅ 유니드(014830)/BUY(신규)/117,000원(신규)/1Q25 Preview: 구조적 수익성 회복의 신호탄/[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79c9d6
- 1Q25 매출액 3,295억원 (+19.6%QoQ, +29.4%YoY), 영업이익 215억원 (+72.0%QoQ, -21.8%YoY) 전망
- 가성칼륨 스프레드, 2월에는 전월 대비 51.2% 급등한 $333/ton 기록하며 저점 통과
- 2분기에만 최소 30만 톤 이상의 공급 감소 예상, 이에 더해 선제적 계약 조기 소진 및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로 가성칼륨 스프레드의 구조적 상승 예상
✅ 세아제강(306200)/BUY(유지)/215,000원(상향)/1Q25 Preview: 유가는 불안, 미국향 수익성은 좋음/[철강/비철금속 김진범]
https://iii.ad/4a7d63
- 연결 실적은 매출액 4,271억원(-6.3% YoY), 영업이익 310억원(-2.3% YoY) 기록하며 전망치 하회할 것으로 판단
- 미국향 강관 수출 물량은 기존 쿼터 수준에서 유지, 에너지 강관의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확인
- 유가 하락은 OCTG 수요에 부담. 단기 불확실성 해소 시 BEP 확보 가능성 존재한다고 판단
✅ 세아베스틸지주(001430)/BUY(유지)/26,000원(하향)/개선의 폭은 제한, 신사업 기대는 지속/[철강/비철금속 김진범]
https://iii.ad/877b01
- 1Q25 실적은 매출액 8,696억원(-8.7% YoY, +4.8% QoQ), 영업이익 178억원(-16.5% YoY, +131.1%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8,7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에 부합할 전망
- 니켈, 수요와 공급에 대한 우려는 상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 연내 실적 회복 가능성은 제한. 신사업 모멘텀은 하반기부터 이어질 가능성
✅ 대한해운(005880)/BUY(유지)/2,100원(하향)/시황 불확실성 속 보수적 영업 중/[운송/조선 이서연]
https://iii.ad/7178e0
-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3,601억원 (yoy -30.1%), 영업이익 637억원 (yoy -49.8%, OPM 17.7%)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동사는 시황 약세에도 장기 계약으로 수익성을 유지 중이며, 현재 12M FWD PBR 0.24배의 주가 수준으로 이익 대비 저평가
- 의미있는 밸류에이션 상승을 위해서는 본업인 벌크, 탱커 업황 회복 및 동사의 중장기 투자 의지 및 성장성 확인이 필요하다 판단
🔎 투자전략
✅상상인 Macro Daily 4/17(목)/[투자전략팀]
https://iii.ad/db19e1
💡 기업분석
✅ 유니드(014830)/BUY(신규)/117,000원(신규)/1Q25 Preview: 구조적 수익성 회복의 신호탄/[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79c9d6
- 1Q25 매출액 3,295억원 (+19.6%QoQ, +29.4%YoY), 영업이익 215억원 (+72.0%QoQ, -21.8%YoY) 전망
- 가성칼륨 스프레드, 2월에는 전월 대비 51.2% 급등한 $333/ton 기록하며 저점 통과
- 2분기에만 최소 30만 톤 이상의 공급 감소 예상, 이에 더해 선제적 계약 조기 소진 및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로 가성칼륨 스프레드의 구조적 상승 예상
✅ 세아제강(306200)/BUY(유지)/215,000원(상향)/1Q25 Preview: 유가는 불안, 미국향 수익성은 좋음/[철강/비철금속 김진범]
https://iii.ad/4a7d63
- 연결 실적은 매출액 4,271억원(-6.3% YoY), 영업이익 310억원(-2.3% YoY) 기록하며 전망치 하회할 것으로 판단
- 미국향 강관 수출 물량은 기존 쿼터 수준에서 유지, 에너지 강관의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확인
- 유가 하락은 OCTG 수요에 부담. 단기 불확실성 해소 시 BEP 확보 가능성 존재한다고 판단
✅ 세아베스틸지주(001430)/BUY(유지)/26,000원(하향)/개선의 폭은 제한, 신사업 기대는 지속/[철강/비철금속 김진범]
https://iii.ad/877b01
- 1Q25 실적은 매출액 8,696억원(-8.7% YoY, +4.8% QoQ), 영업이익 178억원(-16.5% YoY, +131.1%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8,7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에 부합할 전망
- 니켈, 수요와 공급에 대한 우려는 상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 연내 실적 회복 가능성은 제한. 신사업 모멘텀은 하반기부터 이어질 가능성
✅ 대한해운(005880)/BUY(유지)/2,100원(하향)/시황 불확실성 속 보수적 영업 중/[운송/조선 이서연]
https://iii.ad/7178e0
-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3,601억원 (yoy -30.1%), 영업이익 637억원 (yoy -49.8%, OPM 17.7%)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
- 동사는 시황 약세에도 장기 계약으로 수익성을 유지 중이며, 현재 12M FWD PBR 0.24배의 주가 수준으로 이익 대비 저평가
- 의미있는 밸류에이션 상승을 위해서는 본업인 벌크, 탱커 업황 회복 및 동사의 중장기 투자 의지 및 성장성 확인이 필요하다 판단
🔎 투자전략
✅상상인 Macro Daily 4/17(목)/[투자전략팀]
https://iii.ad/db19e1
16.04.202522:43
[상상인 Macro Daily 4/17(목)]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21% 하락한 2,447.43pt에 마감.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증시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경기 방어적 성격의 섹터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하락세 시현
- S&P 500은 전일대비 2.24% 하락한 5,275.70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에 반도체, AI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파월 연준의장의 관세발 인플레이션 경고 발언에 낙폭을 확대하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2bp 하락한 2.620%에 마감. 내일 예정된 4월 한국은행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매 분기마다 25bp씩 인하하여 최종 기준금리 2%에 대한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5.6bp 하락한 4.277%에 마감.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 발표에 상승 출발했으나 관세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에 하방압력이 작용, 파월 의장의 경고성 발언을 소화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1.40원 하락한 달러당 1,415.8원에 마감. 달러화 약세 흐름 속 금통위를 앞두고 중국의 무역 협상 가능성에 위안화 상승에 연동되어 원화 가치도 절상,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84pt 하락한 99.38pt에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하며 타국가 통화 대비 약세 흐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와 스위스 프랑이 상승한 가운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3.35% 상승한 온스당 3,345.0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 및 국채 금리 하락에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경고가 관세발 불확실성이 증대시키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1.86% 상승한 배럴당 62.73달러에 마감. 미국이 이란 석유를 수입하던 중국 정유사를 제재했다는 소식에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며 상승, 최근 하락세에 따른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상승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6BwbW0M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21% 하락한 2,447.43pt에 마감.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증시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경기 방어적 성격의 섹터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하락세 시현
- S&P 500은 전일대비 2.24% 하락한 5,275.70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에 반도체, AI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파월 연준의장의 관세발 인플레이션 경고 발언에 낙폭을 확대하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2bp 하락한 2.620%에 마감. 내일 예정된 4월 한국은행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매 분기마다 25bp씩 인하하여 최종 기준금리 2%에 대한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5.6bp 하락한 4.277%에 마감.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 발표에 상승 출발했으나 관세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에 하방압력이 작용, 파월 의장의 경고성 발언을 소화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1.40원 하락한 달러당 1,415.8원에 마감. 달러화 약세 흐름 속 금통위를 앞두고 중국의 무역 협상 가능성에 위안화 상승에 연동되어 원화 가치도 절상,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84pt 하락한 99.38pt에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하며 타국가 통화 대비 약세 흐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와 스위스 프랑이 상승한 가운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3.35% 상승한 온스당 3,345.0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 및 국채 금리 하락에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경고가 관세발 불확실성이 증대시키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1.86% 상승한 배럴당 62.73달러에 마감. 미국이 이란 석유를 수입하던 중국 정유사를 제재했다는 소식에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며 상승, 최근 하락세에 따른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상승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6BwbW0M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6.04.202515:38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세아제강 1Q25 Preview: 유가는 불안, 미국향 수익성은 좋음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15,000원 유지
▶ 1Q25 Preview: 내수 부진 심화 및 일부 물량 선적 지연
세아제강의 1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4,271억원(-6.3% YoY), 영업이익 310억원(-2.3% YoY) 기록하며, 기존 전망치(매출액 4,708억원, 영업이익 336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판단한다. 외형 축소의 가장 큰 원인은 국내 건설 및 플랜트 수요 부진에 따른 내수 판매량이 축소와 일부 수출물량의 선적 지연이다. 미국향 강관 수출 물량은 기존 쿼터 수준에서 유지되는 중이며, 현지 가격 상승분이 관세 부과 영향을 상쇄하는 만큼, 에너지 강관의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현지 OCTG업계의 반발을 고려하면, 국내 강관업계는 당분간 수출물량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유가 하락은 OCTG 수요에 부담. 단기 불확실성 해소 시 BEP 확보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WTI 원유 선물가격은 배럴당 58~62달러 수준까지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 1분기 Dallas Fed에서 조사한 미국 현지 시추 BEP(평균 65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유정 개발의 수익성 저하 우려로, 지난 주 미국 원유 리그 수는 전주 대비 9개 감소한 480개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유정 투자 확대를 위해서 개발업체들의 이익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1) 경기침체 우려 및 불확실성 해소, 2) 이란·베네수엘라 원유 제재 등이 향후 유가와 리그 수 향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Secondary tariff 적용 확대 및 개별 국가의 관세 협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점차 해소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미국 OCTG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유지하며, 투자의견(BUY)과 목표주가(215,000원)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7QLuGu5 👈
# 세아제강 1Q25 Preview: 유가는 불안, 미국향 수익성은 좋음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15,000원 유지
▶ 1Q25 Preview: 내수 부진 심화 및 일부 물량 선적 지연
세아제강의 1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4,271억원(-6.3% YoY), 영업이익 310억원(-2.3% YoY) 기록하며, 기존 전망치(매출액 4,708억원, 영업이익 336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판단한다. 외형 축소의 가장 큰 원인은 국내 건설 및 플랜트 수요 부진에 따른 내수 판매량이 축소와 일부 수출물량의 선적 지연이다. 미국향 강관 수출 물량은 기존 쿼터 수준에서 유지되는 중이며, 현지 가격 상승분이 관세 부과 영향을 상쇄하는 만큼, 에너지 강관의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현지 OCTG업계의 반발을 고려하면, 국내 강관업계는 당분간 수출물량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유가 하락은 OCTG 수요에 부담. 단기 불확실성 해소 시 BEP 확보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WTI 원유 선물가격은 배럴당 58~62달러 수준까지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 1분기 Dallas Fed에서 조사한 미국 현지 시추 BEP(평균 65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유정 개발의 수익성 저하 우려로, 지난 주 미국 원유 리그 수는 전주 대비 9개 감소한 480개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유정 투자 확대를 위해서 개발업체들의 이익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1) 경기침체 우려 및 불확실성 해소, 2) 이란·베네수엘라 원유 제재 등이 향후 유가와 리그 수 향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Secondary tariff 적용 확대 및 개별 국가의 관세 협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점차 해소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미국 OCTG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유지하며, 투자의견(BUY)과 목표주가(215,000원)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7QLuGu5 👈
15.04.202522:39
상상인 소비재 뉴스 (04/16)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오리온 “글로벌 확장에 8300억원 투자… 매출 5조 목표” (국민일보)
ㅁ 오리온이 향후 3년간 국내외 생산시설에 8300억원을 투자, 그 중 진천 통합센터 건립에 4600억원 투자
ㅁ 진천 생산공장이 완공 시 국내 생산능력은 최대 2조3000억원 수준까지 확대
빙그레, 66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주주가치 제고" (뉴시스)
ㅁ 빙그레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66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소각. 소각 예정일은 30일
ㅁ 1주당 가액은 5000원, 소각 규모는 보통주 29만5538주로 발행주식 총수 기준 3%에 해당
'담뱃값 인상' 포문 연 JTI코리아…KT&G·필립모리스·BAT는? (뉴스1)
ㅁ 다음달 1일부터 JTI코리아는 메비우스·카멜 등 9종의 담배 제품 가격 최대 200원 인상
ㅁ 2015년 정부의 담뱃세 인상에 따라 주요 담배 업체들이 일괄적으로 인상 후 담배 가격은 사실상 4500원으로 고정. 아직까지 KT&G, 필립모리스, BAT로스만스 등에서는 가격 인상 여부에는 계획 없다는 반응이나 비용 부담으로 인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라 전해
BBQ, 위메프 실사 착수…푸드테크 연계 M&A 본격화 (EBN)
ㅁ 제너시스BBQ는 최근 위메프에 법적 구속력이 없는 논바인딩(non-binding) 형태의 LOI를 제출하고 기업실사(Due Diligence)를 진행 중
ㅁ 사업 다각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위메프를 겨냥한 구체적 행보에 나섰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인수의향서(LOI) 제출'과 '검토 초기'라는 공식 발표와 달리 실무 차원의 인수 협상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있어
▶️유통
백화점 업계, 최악의 불황에도 '명품' 집중하는 까닭 (더팩트)
ㅁ 백화점 업계가 소비 여력이 있는 고객층을 잡기 위해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해 고가 명품 브랜드를 유치하거나 VIP 맞춤형 서비스 확대.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VIP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50%
ㅁ 신세계백화점은 '더 헤리티지' 개관. 더현대서울은 전년부터 명품 브랜드 유치에 공들여, 올해 셀린느 매장 신규 오픈 준비 중. 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해 7월부터 서울 명품관 리뉴얼 작업을 진행 중
▶️화장품
아모레퍼시픽 "향후 3~5년 美생산시설에 투자" (이데일리)
ㅁ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향후 3~5년 안에 미국 내 물류 및 모듈 생산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
ㅁ 실제 생산 시설 가동까지는 5~10년 정도를 생각하고 있지만 변화 추세를 고려해서 속도를 앞당길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도 언급
6000억 제안한 조선미녀, 독도토너 품나…매각 협상 재개 (서울경제)
ㅁ 칼립스캐피탈-메리츠증권과 구다이글로벌-컴퍼니케이 컨소시엄은 서린컴퍼니 매각을 위한 단독 협상 재개
ㅁ 칼립스캐피탈-메리츠증권 컨소시엄은 서린컴퍼니 매각가로 8000억 원을 기대했지만 구다이글로벌은 6000억 원 이하를 고집하고 있어 최종 매각가에 업계 관심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오리온 “글로벌 확장에 8300억원 투자… 매출 5조 목표” (국민일보)
ㅁ 오리온이 향후 3년간 국내외 생산시설에 8300억원을 투자, 그 중 진천 통합센터 건립에 4600억원 투자
ㅁ 진천 생산공장이 완공 시 국내 생산능력은 최대 2조3000억원 수준까지 확대
빙그레, 66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주주가치 제고" (뉴시스)
ㅁ 빙그레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66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소각. 소각 예정일은 30일
ㅁ 1주당 가액은 5000원, 소각 규모는 보통주 29만5538주로 발행주식 총수 기준 3%에 해당
'담뱃값 인상' 포문 연 JTI코리아…KT&G·필립모리스·BAT는? (뉴스1)
ㅁ 다음달 1일부터 JTI코리아는 메비우스·카멜 등 9종의 담배 제품 가격 최대 200원 인상
ㅁ 2015년 정부의 담뱃세 인상에 따라 주요 담배 업체들이 일괄적으로 인상 후 담배 가격은 사실상 4500원으로 고정. 아직까지 KT&G, 필립모리스, BAT로스만스 등에서는 가격 인상 여부에는 계획 없다는 반응이나 비용 부담으로 인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라 전해
BBQ, 위메프 실사 착수…푸드테크 연계 M&A 본격화 (EBN)
ㅁ 제너시스BBQ는 최근 위메프에 법적 구속력이 없는 논바인딩(non-binding) 형태의 LOI를 제출하고 기업실사(Due Diligence)를 진행 중
ㅁ 사업 다각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위메프를 겨냥한 구체적 행보에 나섰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인수의향서(LOI) 제출'과 '검토 초기'라는 공식 발표와 달리 실무 차원의 인수 협상 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있어
▶️유통
백화점 업계, 최악의 불황에도 '명품' 집중하는 까닭 (더팩트)
ㅁ 백화점 업계가 소비 여력이 있는 고객층을 잡기 위해 주요 점포 리뉴얼을 통해 고가 명품 브랜드를 유치하거나 VIP 맞춤형 서비스 확대.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VIP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0~50%
ㅁ 신세계백화점은 '더 헤리티지' 개관. 더현대서울은 전년부터 명품 브랜드 유치에 공들여, 올해 셀린느 매장 신규 오픈 준비 중. 갤러리아백화점은 지난해 7월부터 서울 명품관 리뉴얼 작업을 진행 중
▶️화장품
아모레퍼시픽 "향후 3~5년 美생산시설에 투자" (이데일리)
ㅁ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향후 3~5년 안에 미국 내 물류 및 모듈 생산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 밝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
ㅁ 실제 생산 시설 가동까지는 5~10년 정도를 생각하고 있지만 변화 추세를 고려해서 속도를 앞당길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도 언급
6000억 제안한 조선미녀, 독도토너 품나…매각 협상 재개 (서울경제)
ㅁ 칼립스캐피탈-메리츠증권과 구다이글로벌-컴퍼니케이 컨소시엄은 서린컴퍼니 매각을 위한 단독 협상 재개
ㅁ 칼립스캐피탈-메리츠증권 컨소시엄은 서린컴퍼니 매각가로 8000억 원을 기대했지만 구다이글로벌은 6000억 원 이하를 고집하고 있어 최종 매각가에 업계 관심
17.04.202522:30
17.04.202506:07
[원자재]
高 리스크 국면, 금 만한 자산이 없다
최예찬 원자재/FX 02-3779-3519
- 금 가격, 관세 혼란 속에서도 최고치 경신 랠리
- 미 국채 보유량을 줄여가는 중국,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긍정적인 금
- 금은 시장을 지배 중인 거의 모든 리스크를 헤지 가능
- ① 정책 불확실성, ②경기 침체, ③인플레이션, ④스태그플레이션, ⑤미 달러화 약세 5가지 국면에서 모두 주식과 채권 수익률 상회
- 다만, 최근 금 가격 급등한 만큼 기술적 조정 가능성은 상존
- 매크로 환경 변화가 아닌, 단기적인 가격 조정은 금의 강한 리스크 헤지 능력을 고려할 때 오히려 비중 확대를 위한 매수 기회
- 금 가격의 하단은 인민은행의 최근(’24.11~) 금 매수 구간에서의 평균 단가인 2,750달러/t.oz 판단.
- ‘25년 3월 평균 $3,000/t.oz의 가격에서도 인민은행이 금 매수를 2.8톤가량 지속했던 점을 고려, 온스당 3,000달러 하회하는 구간에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 올해 금 가격은 4분기 3,550달러/t.oz로 제시, 침체 및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현실화될 시 추가 상승도 가능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1GJOA6X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高 리스크 국면, 금 만한 자산이 없다
최예찬 원자재/FX 02-3779-3519
- 금 가격, 관세 혼란 속에서도 최고치 경신 랠리
- 미 국채 보유량을 줄여가는 중국,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긍정적인 금
- 금은 시장을 지배 중인 거의 모든 리스크를 헤지 가능
- ① 정책 불확실성, ②경기 침체, ③인플레이션, ④스태그플레이션, ⑤미 달러화 약세 5가지 국면에서 모두 주식과 채권 수익률 상회
- 다만, 최근 금 가격 급등한 만큼 기술적 조정 가능성은 상존
- 매크로 환경 변화가 아닌, 단기적인 가격 조정은 금의 강한 리스크 헤지 능력을 고려할 때 오히려 비중 확대를 위한 매수 기회
- 금 가격의 하단은 인민은행의 최근(’24.11~) 금 매수 구간에서의 평균 단가인 2,750달러/t.oz 판단.
- ‘25년 3월 평균 $3,000/t.oz의 가격에서도 인민은행이 금 매수를 2.8톤가량 지속했던 점을 고려, 온스당 3,000달러 하회하는 구간에서 분할 매수 전략 유효
- 올해 금 가격은 4분기 3,550달러/t.oz로 제시, 침체 및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현실화될 시 추가 상승도 가능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1GJOA6X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6.04.202522:50
상상인 소비재 뉴스 (04/17)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중국, 5.4% 깜짝 성장했지만… 2분기부터 ‘무역전쟁 쇼크’ 비상 (서울신문)
ㅁ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1분기 GDP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 로이터통신(5.1%)과 블룸버그통신(5.2%)의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
ㅁ 당국의 소비 유도 정책 덕분에 올해 1분기 중국 소매 판매는 4.6% 증가. 특히 3월은 5.9% 증가해 1~2월(4%)보다 크게 높아져
김밥 한 줄 3600원…서울 비빔밥 등 외식물가 또 올라 (동아일보)
ㅁ 1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서울에서 김밥 한 줄의 평균 가격은 2월 3538원 → 3월 3600원으로 전월 대비 62원 올라. 비빔밥 가격도 지난 2월 11308원 → 3월 11,385원으로 77원 올라
ㅁ 주요 외식 품목 8개 가운데 서울에서 1만 원 안으로 먹을 수 있는 메뉴는 김밥, 자장면, 칼국수, 김치찌개 백반 등 4개뿐
10조달러 글로벌 공략 발판 세운다…K-푸드, 2.6兆 투자 (아시아경제)
ㅁ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오리온, 대상, 삼양식품, 농심,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기업 6곳은 국내외 생산시설 신·증설에 총 2조6158억원을 투자 중
ㅁ 오리온은 국내외 capa 확대에 총 8300억원, CJ제일제당은 미국과 유럽 생산거점 구축에 총 8000억원, 대상은 아산 신공장과 폴란드 생산시설에 총 872억, 삼양식품은 밀양 제2공장과 중국 현지 공장 설립에 총 3838억원, 농심은 수출 전용 라면 공장에 1918억원, 롯데웰푸드는 국내외 빙과 및 제과 생산설비 확장에 총 3230억원 투입.
▶️유통
유통법 손보는 정부, SSM 가맹점 '의무휴업' 제외할 듯 (머니투데이)
ㅁ 정부가 가맹점 형태로 운영 중인 SSM에 대한 규제완화 추진.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출점규제 등이 검토 대상
ㅁ 산업부 관계자는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SSM 점포까지 대기업 자본과 같은 규제를 받는 것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정부는 가맹점주의 지분율에 따라 규제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
올리브영‧다이소몰, 3월 앱 사용자 수 역대 최대 (글로벌이코노믹)
ㅁ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3월 올리브영의 앱 사용자 수 880만명, 전년 동월 37% 증가. 다이소몰 앱 사용자 수는 405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
ㅁ 올리브영의 작년 매출은 4조78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 같은 기간 다이소 매출은 3조9689억원으로 14.7% 증가
▶️화장품
미국 세포라 1분기 '스킨케어 Top10'에 닥터자르트·라네즈
ㅁ K-뷰티 브랜드 닥터자르트와 라네즈가 미국 세포라의 1분기 ‘스킨케어 베스트셀러 브랜드 10’에 안착
ㅁ 국내 브랜드의 1분기 세포라의 스킨케어 카테고리 매출 점유율은 닥터자르트(DR. JART+) 2.9%, 라네즈(LANEIGE) 2.6% 기록
더마팩토리,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 입점 (뉴스1)
ㅁ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더마팩토리'가 올리브영 주요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 기존에는 네이버와 쿠팡 등 온라인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해온 것으로 알려져
ㅁ 대표제품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세럼'과 'PDRN 4% 앰플'로 2024년 하반기 네이버 스킨케어 랭킹 1위를 기록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중국, 5.4% 깜짝 성장했지만… 2분기부터 ‘무역전쟁 쇼크’ 비상 (서울신문)
ㅁ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1분기 GDP가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 로이터통신(5.1%)과 블룸버그통신(5.2%)의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수치
ㅁ 당국의 소비 유도 정책 덕분에 올해 1분기 중국 소매 판매는 4.6% 증가. 특히 3월은 5.9% 증가해 1~2월(4%)보다 크게 높아져
김밥 한 줄 3600원…서울 비빔밥 등 외식물가 또 올라 (동아일보)
ㅁ 1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서울에서 김밥 한 줄의 평균 가격은 2월 3538원 → 3월 3600원으로 전월 대비 62원 올라. 비빔밥 가격도 지난 2월 11308원 → 3월 11,385원으로 77원 올라
ㅁ 주요 외식 품목 8개 가운데 서울에서 1만 원 안으로 먹을 수 있는 메뉴는 김밥, 자장면, 칼국수, 김치찌개 백반 등 4개뿐
10조달러 글로벌 공략 발판 세운다…K-푸드, 2.6兆 투자 (아시아경제)
ㅁ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오리온, 대상, 삼양식품, 농심,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기업 6곳은 국내외 생산시설 신·증설에 총 2조6158억원을 투자 중
ㅁ 오리온은 국내외 capa 확대에 총 8300억원, CJ제일제당은 미국과 유럽 생산거점 구축에 총 8000억원, 대상은 아산 신공장과 폴란드 생산시설에 총 872억, 삼양식품은 밀양 제2공장과 중국 현지 공장 설립에 총 3838억원, 농심은 수출 전용 라면 공장에 1918억원, 롯데웰푸드는 국내외 빙과 및 제과 생산설비 확장에 총 3230억원 투입.
▶️유통
유통법 손보는 정부, SSM 가맹점 '의무휴업' 제외할 듯 (머니투데이)
ㅁ 정부가 가맹점 형태로 운영 중인 SSM에 대한 규제완화 추진. 의무휴업과 영업시간, 출점규제 등이 검토 대상
ㅁ 산업부 관계자는 "자영업자가 운영하는 SSM 점포까지 대기업 자본과 같은 규제를 받는 것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정부는 가맹점주의 지분율에 따라 규제 적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
올리브영‧다이소몰, 3월 앱 사용자 수 역대 최대 (글로벌이코노믹)
ㅁ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3월 올리브영의 앱 사용자 수 880만명, 전년 동월 37% 증가. 다이소몰 앱 사용자 수는 405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9% 증가
ㅁ 올리브영의 작년 매출은 4조78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 같은 기간 다이소 매출은 3조9689억원으로 14.7% 증가
▶️화장품
미국 세포라 1분기 '스킨케어 Top10'에 닥터자르트·라네즈
ㅁ K-뷰티 브랜드 닥터자르트와 라네즈가 미국 세포라의 1분기 ‘스킨케어 베스트셀러 브랜드 10’에 안착
ㅁ 국내 브랜드의 1분기 세포라의 스킨케어 카테고리 매출 점유율은 닥터자르트(DR. JART+) 2.9%, 라네즈(LANEIGE) 2.6% 기록
더마팩토리,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 입점 (뉴스1)
ㅁ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더마팩토리'가 올리브영 주요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 기존에는 네이버와 쿠팡 등 온라인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해온 것으로 알려져
ㅁ 대표제품은 '나이아신아마이드 20% 세럼'과 'PDRN 4% 앰플'로 2024년 하반기 네이버 스킨케어 랭킹 1위를 기록
16.04.202521:57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7 (목)
● Top News
- 오늘 한은 금통위,
https://naver.me/FRLtP2KZ
● Economy
- 트럼프 관세 리스크…WTO, 세계 무역성장률 -0.2%로 대폭 낮춰
https://naver.me/FW6aVfY9
- "관세 낮춰라"…韓경제·통상 사령탑 '조선·LNG·무역균형' 들고 방미
https://naver.me/G1wurXXU
● Stock Market
- 반도체 수출제한 강화·파월 관세 우려에 뉴욕증시 '동반 급락'
https://naver.me/GhbxnN5O
- 韓안방까지 들어오는 中 배터리…ESS 시장 노린다
https://naver.me/54LWSIwn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금통위 하루 앞두고 일제히 하락…3년물 2.351%
https://naver.me/xOxLlw4O
- 부자 10명 중 7명 "올해 시장 관망"…'경기악화'에 예금·금·채권 '선호'
https://naver.me/5wWBLbe2
● Currency
- 달러-원, 위안화 강세 속 낙폭 확대…1,415.80원 마감
https://naver.me/FCA9I4kG
- 스위스 프랑의 가치 상승
https://naver.me/F3T5vONv
● Commodity
- 금값이 진짜 금값…또 사상 최고가
https://naver.me/F2ZMBt5i
- 지분투자·구매협약…美 알래스카 투자 고심하는 기업들
https://naver.me/F9NqMzc7
● Real Estate
- 대선 앞두고 세종 또 꿈틀…전문가들 "조정 가능성" 경고
https://naver.me/G38rWft0
- “여보, 우리집 곧 40억 뚫을 거 같아”…또 신고가 찍은 잠실5단지
https://naver.me/x67VQOMx
● ESG
- 친환경 설비 신설… 발전소 유해물질 저감
https://naver.me/5r9aAZ4t
● ETC
- "가진 건 집 한 채가 전부인데"…중산층 세금 된 상속세, 75년 만에 대수술
https://naver.me/xIeGquez
- 韓 손놓은 새 … 매달 12조원 빨아들이는 '달러 코인'
https://naver.me/GrmuvJT1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25. 04. 17 (목)
● Top News
- 오늘 한은 금통위,
동결 전망
다수…인하 시그널 건넬까https://naver.me/FRLtP2KZ
● Economy
- 트럼프 관세 리스크…WTO, 세계 무역성장률 -0.2%로 대폭 낮춰
https://naver.me/FW6aVfY9
- "관세 낮춰라"…韓경제·통상 사령탑 '조선·LNG·무역균형' 들고 방미
https://naver.me/G1wurXXU
● Stock Market
- 반도체 수출제한 강화·파월 관세 우려에 뉴욕증시 '동반 급락'
https://naver.me/GhbxnN5O
- 韓안방까지 들어오는 中 배터리…ESS 시장 노린다
https://naver.me/54LWSIwn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금통위 하루 앞두고 일제히 하락…3년물 2.351%
https://naver.me/xOxLlw4O
- 부자 10명 중 7명 "올해 시장 관망"…'경기악화'에 예금·금·채권 '선호'
https://naver.me/5wWBLbe2
● Currency
- 달러-원, 위안화 강세 속 낙폭 확대…1,415.80원 마감
https://naver.me/FCA9I4kG
- 스위스 프랑의 가치 상승
https://naver.me/F3T5vONv
● Commodity
- 금값이 진짜 금값…또 사상 최고가
https://naver.me/F2ZMBt5i
- 지분투자·구매협약…美 알래스카 투자 고심하는 기업들
https://naver.me/F9NqMzc7
● Real Estate
- 대선 앞두고 세종 또 꿈틀…전문가들 "조정 가능성" 경고
https://naver.me/G38rWft0
- “여보, 우리집 곧 40억 뚫을 거 같아”…또 신고가 찍은 잠실5단지
https://naver.me/x67VQOMx
● ESG
- 친환경 설비 신설… 발전소 유해물질 저감
https://naver.me/5r9aAZ4t
● ETC
- "가진 건 집 한 채가 전부인데"…중산층 세금 된 상속세, 75년 만에 대수술
https://naver.me/xIeGquez
- 韓 손놓은 새 … 매달 12조원 빨아들이는 '달러 코인'
https://naver.me/GrmuvJT1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16.04.202508:52
💡 유니드
: 1Q25 Preview: 구조적 수익성 회복의 신호탄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 백영찬]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7,000원, 커버리지 개시
- P/B-ROE 모델을 적용, Cost of Equity 8.2%와 1년 Forward ROE 6.8%를 통해 Target P/B 0.74배 도출
▶️ 1Q25 Preview: 수익성 향상의 시작점
- 매출액 3,295억원 (+19.6%QoQ, +29.4%YoY), 영업이익 215억원 (+72.0%QoQ, -21.8%YoY) 전망
- 작년 말 완공된 호북성 공장의 가동률 상승이 1분기 실적호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 가성칼륨 스프레드 저점 통과 확인, 구조적 확장 국면 진입
- 2월 가성칼륨 2M Spread는 전월 대비 51.2% 급등한 $333/ton을 기록하여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
- Uralkali는 3개 광산의 정비에 들어가며, 2분기에만 최소 30만 톤 이상의 염화칼륨 공급 감소 예상
- 장기적으로 CCUS 및 수전해 향 가성칼륨 신규 수요는 여전히 유효
* 리포트 주소: https://iii.ad/028cbc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1Q25 Preview: 구조적 수익성 회복의 신호탄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 백영찬]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7,000원, 커버리지 개시
- P/B-ROE 모델을 적용, Cost of Equity 8.2%와 1년 Forward ROE 6.8%를 통해 Target P/B 0.74배 도출
▶️ 1Q25 Preview: 수익성 향상의 시작점
- 매출액 3,295억원 (+19.6%QoQ, +29.4%YoY), 영업이익 215억원 (+72.0%QoQ, -21.8%YoY) 전망
- 작년 말 완공된 호북성 공장의 가동률 상승이 1분기 실적호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 가성칼륨 스프레드 저점 통과 확인, 구조적 확장 국면 진입
- 2월 가성칼륨 2M Spread는 전월 대비 51.2% 급등한 $333/ton을 기록하여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
- Uralkali는 3개 광산의 정비에 들어가며, 2분기에만 최소 30만 톤 이상의 염화칼륨 공급 감소 예상
- 장기적으로 CCUS 및 수전해 향 가성칼륨 신규 수요는 여전히 유효
* 리포트 주소: https://iii.ad/028cbc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5.04.202522:38
[상상인증권 음식료/유통/화장품 김혜미]
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
오리온(271560)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140,000원(유지)
▶️ 1Q25 주요 법인 단순 합산 매출액 yoy +7.9%%, 영업이익 yoy +5.6% 기록
- 오리온 주요 법인 1Q25 단순 합산 기준 매출액 8,060억원, 영업이익 1,324억원으로 집계
- 전 법인에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 시현했으나, 전반적인 원가 압박 및 환율 상승 등이 이익 성장 폭 제한
1) 한국: 매출액 yoy +4%, 영업이익 yoy +6%를 기록
2) 중국: 매출액 yoy +7%, 영업이익 yoy +3%를 기록
3) 베트남: 매출액 yoy +9%, 영업이익 yoy +9% 성장
4) 러시아: 매출액 yoy +33%, 영업이익 yoy +10%를 기록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4만원 유지
- 오리온은 지난 4월 10일 CEO 간담회에서 올해 주요 전략 소개: 경기 침체 분위기를 고려해 가성비 제품 중심의 신제품 라인업 확대 및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통한 성장 도모
- 전일 27년까지의 국내 진천 공장 투자 계획 공시, 올해 하반기 예정된 러시아 공장 증설과 함께 본업 성장 기틀을 마련할 전망
* 리포트 주소: https://iii.ad/140b0b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안정적이고 꾸준한 성장
오리온(271560)
투자의견: BUY(유지)
목표주가: 140,000원(유지)
▶️ 1Q25 주요 법인 단순 합산 매출액 yoy +7.9%%, 영업이익 yoy +5.6% 기록
- 오리온 주요 법인 1Q25 단순 합산 기준 매출액 8,060억원, 영업이익 1,324억원으로 집계
- 전 법인에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 시현했으나, 전반적인 원가 압박 및 환율 상승 등이 이익 성장 폭 제한
1) 한국: 매출액 yoy +4%, 영업이익 yoy +6%를 기록
2) 중국: 매출액 yoy +7%, 영업이익 yoy +3%를 기록
3) 베트남: 매출액 yoy +9%, 영업이익 yoy +9% 성장
4) 러시아: 매출액 yoy +33%, 영업이익 yoy +10%를 기록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4만원 유지
- 오리온은 지난 4월 10일 CEO 간담회에서 올해 주요 전략 소개: 경기 침체 분위기를 고려해 가성비 제품 중심의 신제품 라인업 확대 및 적극적인 수출 확대 전략을 통한 성장 도모
- 전일 27년까지의 국내 진천 공장 투자 계획 공시, 올해 하반기 예정된 러시아 공장 증설과 함께 본업 성장 기틀을 마련할 전망
* 리포트 주소: https://iii.ad/140b0b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7.04.202522:29
[상상인 Macro Daily 4/18(금)]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3j808qo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3j808qo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7.04.202504:24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7 (목)
● Top News
- 美관세충격에도 '롤러코스터' 환율에 발목…한은, 기준금리 '동결'
https://naver.me/GNWitqMR
● Economy
- 이복현 "경제하방 압력 커져…금융불안 고도의 경계감 가져야"
https://naver.me/5gF2yfDL
- 금통위 “올해 성장률 1.5% 하회…가계부채·환율 우려”
https://naver.me/5neWfZHH
● Stock Market
- 코스피, 기관 매수세에 강보합... 코스닥 1.13%↑
https://naver.me/5tJm8xKt
- 관세전쟁 중심에 美·中 AI 패권 경쟁…'패닉' 반도체주
https://naver.me/FA2ywCYO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대체로 상승…3년물 장중 연 2.356%
https://naver.me/G1wGjktL
- 관세쇼크 반영 안됐는데…기업신용평가 '부정적' 1년새 2배로
https://naver.me/5iTrUfzg
● Currency
- 이창용 "환율 변동성, 美 관세정책 제일 중요…韓 정치 영향도"
https://naver.me/G9rlc3t0
- 달러 약세+위안화 강세…환율, 10원 이상 급락한 1416원 출발
https://naver.me/5Jp6ANZK
● Commodity
- '희토류 부국' 카자흐, 걸프국들에 희토류 공동개발 제안
https://naver.me/FgHVJ0Rk
- '희토류 무기화' 중국에 미국 속수무책…“15년간 안일한 대응 결과”
https://naver.me/G2EGpnLl
● Real Estate
- 안전진단, 6월부터 ‘재건축 진단’으로
https://naver.me/xIeGPiCf
- DL이앤씨, 한남5구역에 ‘아크로 한남’ 제안
https://naver.me/5VmIgGwg
● ESG
- 트럼프 ‘안티 ESG’ 기조에 반발 확산
https://naver.me/F42uaOHh
● ETC
- '가두리 펌핑'…금융당국, 코인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송치
https://naver.me/FUhINJbD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25. 04. 17 (목)
● Top News
- 美관세충격에도 '롤러코스터' 환율에 발목…한은, 기준금리 '동결'
https://naver.me/GNWitqMR
● Economy
- 이복현 "경제하방 압력 커져…금융불안 고도의 경계감 가져야"
https://naver.me/5gF2yfDL
- 금통위 “올해 성장률 1.5% 하회…가계부채·환율 우려”
https://naver.me/5neWfZHH
● Stock Market
- 코스피, 기관 매수세에 강보합... 코스닥 1.13%↑
https://naver.me/5tJm8xKt
- 관세전쟁 중심에 美·中 AI 패권 경쟁…'패닉' 반도체주
https://naver.me/FA2ywCYO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대체로 상승…3년물 장중 연 2.356%
https://naver.me/G1wGjktL
- 관세쇼크 반영 안됐는데…기업신용평가 '부정적' 1년새 2배로
https://naver.me/5iTrUfzg
● Currency
- 이창용 "환율 변동성, 美 관세정책 제일 중요…韓 정치 영향도"
https://naver.me/G9rlc3t0
- 달러 약세+위안화 강세…환율, 10원 이상 급락한 1416원 출발
https://naver.me/5Jp6ANZK
● Commodity
- '희토류 부국' 카자흐, 걸프국들에 희토류 공동개발 제안
https://naver.me/FgHVJ0Rk
- '희토류 무기화' 중국에 미국 속수무책…“15년간 안일한 대응 결과”
https://naver.me/G2EGpnLl
● Real Estate
- 안전진단, 6월부터 ‘재건축 진단’으로
https://naver.me/xIeGPiCf
- DL이앤씨, 한남5구역에 ‘아크로 한남’ 제안
https://naver.me/5VmIgGwg
● ESG
- 트럼프 ‘안티 ESG’ 기조에 반발 확산
https://naver.me/F42uaOHh
● ETC
- '가두리 펌핑'…금융당국, 코인 시세조종 혐의자 검찰 송치
https://naver.me/FUhINJbD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16.04.202522:47
★상상인 FICC Brief 4월 17일 (목)★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2bp 하락한 2.620%에 마감. 내일 예정된 4월 한국은행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매 분기마다 25bp씩 인하하여 최종 기준금리 2%에 대한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5.6bp 하락한 4.277%에 마감.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 발표에 상승 출발했으나 관세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에 하방압력이 작용, 파월 의장의 경고성 발언을 소화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1.40원 하락한 달러당 1,415.8원에 마감. 달러화 약세 흐름 속 금통위를 앞두고 중국의 무역 협상 가능성에 위안화 상승에 연동되어 원화 가치도 절상,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84pt 하락한 99.38pt에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하며 타국가 통화 대비 약세 흐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와 스위스 프랑이 상승한 가운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3.35% 상승한 온스당 3,345.0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 및 국채 금리 하락에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경고가 관세발 불확실성이 증대시키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1.86% 상승한 배럴당 62.73달러에 마감. 미국이 이란 석유를 수입하던 중국 정유사를 제재했다는 소식에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며 상승, 최근 하락세에 따른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21% 하락한 2,447.43pt에 마감.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증시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경기 방어적 성격의 섹터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하락세 시현
- S&P 500은 전일대비 2.24% 하락한 5,275.70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에 반도체, AI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파월 연준의장의 관세발 인플레이션 경고 발언에 낙폭을 확대하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777%(-7.1bp)
5년물: 3.905%(-8.2bp)
10년물: 4.278%(-5.8bp)
30년물: 4.741%(-3.9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72.3bp(-7.1)
2년/10년: 50.1bp(+1.3)
10년/30년: 46.3bp(+1.9)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09%(-2.2bp)
미국: 4.278%(-5.8bp)
영국: 4.604%(-5.0bp)
프랑스: 3.261%(-3.6bp)
그리스: 3.417%(-0.5bp)
이탈리아: 3.688%(-3.5bp)
스페인: 3.208%(-3.0bp)
일본: 1.293%(-7.8bp)
호주: 4.292%(-0.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32%(-6.5bp)
5년물: 2.452%(-5.0bp)
10년물: 2.620%(-4.2bp)
30년물: 2.455%(-4.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41.8bp(-6.5)
3년/10년: 28.8bp(+2.3)
10년/30년: -16.5bp(+0.2)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62pt(+0.17)
10년 KTB: 120.81pt(+0.4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7.9bp(+1.3)
3년: 25.6bp(+0.2)
5년: 23.1bp(-0.2)
AAA 은행채
1년: 17.8bp(+1.6)
3년: 29.2bp(+0.6)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6.7bp(+1.6)
3년: 50.4bp(+1.0)
5년: 49.4bp(+0.5)
AA+ 카드채
1년: 30.8bp(+1.3)
3년: 44.5bp(+0.9)
5년: 44bp(+0.4)
AA- 캐피탈
1년: 38.9bp(+1.3)
3년: 59.3bp(+0.9)
5년: 74.1bp(+0.1)
A+ 캐피탈
1년: 102.5bp(+1.3)
3년: 144.1bp(+1.0)
5년: 187.9bp(+0.1)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3.3원/전일 대비 -9.9원 하락 출발
달러인덱스: 99.27pt(-0.89pt, -0.89%)
달러/유로: 1.1399달러(+0.012, +1.04%)
엔/달러: 141.88엔(-1.34, -0.94%)
달러/파운드: 1.3240달러(+0.001, +0.07%)
위안/달러: 7.306위안(-0.010pt, -0.13%)
◆ 상품시장 ($)
WTI: $62.7(+1.4, +1.9%)
브렌트: $64.7(-0.2, -0.3%)
천연가스(HH): $3.33(+0.0, +0.1%)
금: $3345.0(+18.4, +3.4%)
구리: $9187.0(+32.5, +0.4%)
옥수수: $481.3(-3.8, -0.8%)
◆ 미국 증시
DOW: 39669.4pt(-1.7%)
S&P500: 5275.7pt(-2.2%)
NASDAQ: 16307.2pt(-3.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4,437.2USD(+793.2, +0.9%)
이더리움(Binance): 1,590.4USD(+1.6, +0.1%)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2bp 하락한 2.620%에 마감. 내일 예정된 4월 한국은행 금통위를 앞두고 대기 심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매 분기마다 25bp씩 인하하여 최종 기준금리 2%에 대한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5.6bp 하락한 4.277%에 마감. 견조한 소매판매 지표 발표에 상승 출발했으나 관세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에 하방압력이 작용, 파월 의장의 경고성 발언을 소화하며 미국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11.40원 하락한 달러당 1,415.8원에 마감. 달러화 약세 흐름 속 금통위를 앞두고 중국의 무역 협상 가능성에 위안화 상승에 연동되어 원화 가치도 절상, 원/달러 환율은 하락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84pt 하락한 99.38pt에 마감.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둔화를 우려하며 타국가 통화 대비 약세 흐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엔화와 스위스 프랑이 상승한 가운데 달러 인덱스는 하락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3.35% 상승한 온스당 3,345.0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 및 국채 금리 하락에 파월 의장의 인플레이션 경고가 관세발 불확실성이 증대시키며 상승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1.86% 상승한 배럴당 62.73달러에 마감. 미국이 이란 석유를 수입하던 중국 정유사를 제재했다는 소식에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며 상승, 최근 하락세에 따른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1.21% 하락한 2,447.43pt에 마감.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인해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증시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경기 방어적 성격의 섹터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하락세 시현
- S&P 500은 전일대비 2.24% 하락한 5,275.70pt에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규제 강화에 반도체, AI 기술주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파월 연준의장의 관세발 인플레이션 경고 발언에 낙폭을 확대하며 미 증시는 하락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777%(-7.1bp)
5년물: 3.905%(-8.2bp)
10년물: 4.278%(-5.8bp)
30년물: 4.741%(-3.9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72.3bp(-7.1)
2년/10년: 50.1bp(+1.3)
10년/30년: 46.3bp(+1.9)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09%(-2.2bp)
미국: 4.278%(-5.8bp)
영국: 4.604%(-5.0bp)
프랑스: 3.261%(-3.6bp)
그리스: 3.417%(-0.5bp)
이탈리아: 3.688%(-3.5bp)
스페인: 3.208%(-3.0bp)
일본: 1.293%(-7.8bp)
호주: 4.292%(-0.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32%(-6.5bp)
5년물: 2.452%(-5.0bp)
10년물: 2.620%(-4.2bp)
30년물: 2.455%(-4.0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41.8bp(-6.5)
3년/10년: 28.8bp(+2.3)
10년/30년: -16.5bp(+0.2)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62pt(+0.17)
10년 KTB: 120.81pt(+0.45)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7.9bp(+1.3)
3년: 25.6bp(+0.2)
5년: 23.1bp(-0.2)
AAA 은행채
1년: 17.8bp(+1.6)
3년: 29.2bp(+0.6)
5년: 31bp(par)
AA+ 회사채
1년: 36.7bp(+1.6)
3년: 50.4bp(+1.0)
5년: 49.4bp(+0.5)
AA+ 카드채
1년: 30.8bp(+1.3)
3년: 44.5bp(+0.9)
5년: 44bp(+0.4)
AA- 캐피탈
1년: 38.9bp(+1.3)
3년: 59.3bp(+0.9)
5년: 74.1bp(+0.1)
A+ 캐피탈
1년: 102.5bp(+1.3)
3년: 144.1bp(+1.0)
5년: 187.9bp(+0.1)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3.3원/전일 대비 -9.9원 하락 출발
달러인덱스: 99.27pt(-0.89pt, -0.89%)
달러/유로: 1.1399달러(+0.012, +1.04%)
엔/달러: 141.88엔(-1.34, -0.94%)
달러/파운드: 1.3240달러(+0.001, +0.07%)
위안/달러: 7.306위안(-0.010pt, -0.13%)
◆ 상품시장 ($)
WTI: $62.7(+1.4, +1.9%)
브렌트: $64.7(-0.2, -0.3%)
천연가스(HH): $3.33(+0.0, +0.1%)
금: $3345.0(+18.4, +3.4%)
구리: $9187.0(+32.5, +0.4%)
옥수수: $481.3(-3.8, -0.8%)
◆ 미국 증시
DOW: 39669.4pt(-1.7%)
S&P500: 5275.7pt(-2.2%)
NASDAQ: 16307.2pt(-3.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4,437.2USD(+793.2, +0.9%)
이더리움(Binance): 1,590.4USD(+1.6, +0.1%)


16.04.202521:53
[ 상상인 반도체/IT 정민규 ]
👨💻 4.17(목) - 오늘도 6시 54분 3, 2, 1
▶️ AI 로봇 청소기 두뇌는 '중국 천하'(조선일보)
https://vo.la/aFpQlj
▶️ ASML "관세 불확실성 커졌다"…1분기 수주실적 악화(블로터)
https://vo.la/XsLdwa
▶️ “美 관세 전쟁에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역성장 우려”(매일경제)
https://vo.la/xIUFeG
▶️ 애플, '폴더블 아이폰' 지각 출시할까… 세부 정보 속속 유출(파이낸셜뉴스)
https://vo.la/MTneYj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동아사이언스)
https://vo.la/GOsrUr
▶️ TSMC hikes 4nm pricing; US clients scramble under tariff pressure(Digitimes)
트럼프발 관세 압박에 따라 애플, AMD, 엔비디아가 TSMC의 미국 애리조나 팹에 긴급 주문을 확대하며 4nm 생산 슬롯 확보 경쟁이 가속화됨. 이에 TSMC는 가격을 최대 30% 인상하며 손익을 전가했고, 한정된 월 2~3만장의 생산능력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AI 인프라 수요 급증으로 2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약 10% 증가할 전망임. 다만 이러한 선제 수요가 하반기 수요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과 TSMC의 연간 25% 달러 기준 매출 성장 가이던스 하향 조정 우려도 존재함
https://vo.la/LEcnWl
▶️ Memory Spot Price Update: DRAM Market Cautious, Though 90-Day Tariff Pause Boosts Confidence(Trendforce)
트럼프 정부의 관세 발표 이후 DRAM 스팟 시장은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관망세로 전환됐으나, 90일 유예 조치 발표로 일부 수요가 회복됨. DDR4 1Gx8 3200MT/s 기준 DRAM 가격은 전주 대비 1.58% 상승한 $1.673로 집계됐음. 반면, NAND는 하반기 수요 불확실성과 이전 감산에 따른 가격 반영으로 512Gb TLC 웨이퍼 가격이 0.36% 하락한 $2.765로 나타났으며, 거래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임
https://vo.la/uDgKsH
✈️채널: https://t.me/nudgetech
👨💻 4.17(목) - 오늘도 6시 54분 3, 2, 1
▶️ AI 로봇 청소기 두뇌는 '중국 천하'(조선일보)
https://vo.la/aFpQlj
▶️ ASML "관세 불확실성 커졌다"…1분기 수주실적 악화(블로터)
https://vo.la/XsLdwa
▶️ “美 관세 전쟁에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역성장 우려”(매일경제)
https://vo.la/xIUFeG
▶️ 애플, '폴더블 아이폰' 지각 출시할까… 세부 정보 속속 유출(파이낸셜뉴스)
https://vo.la/MTneYj
▶️ 뇌처럼 생각하고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동아사이언스)
https://vo.la/GOsrUr
▶️ TSMC hikes 4nm pricing; US clients scramble under tariff pressure(Digitimes)
트럼프발 관세 압박에 따라 애플, AMD, 엔비디아가 TSMC의 미국 애리조나 팹에 긴급 주문을 확대하며 4nm 생산 슬롯 확보 경쟁이 가속화됨. 이에 TSMC는 가격을 최대 30% 인상하며 손익을 전가했고, 한정된 월 2~3만장의 생산능력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AI 인프라 수요 급증으로 2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약 10% 증가할 전망임. 다만 이러한 선제 수요가 하반기 수요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과 TSMC의 연간 25% 달러 기준 매출 성장 가이던스 하향 조정 우려도 존재함
https://vo.la/LEcnWl
▶️ Memory Spot Price Update: DRAM Market Cautious, Though 90-Day Tariff Pause Boosts Confidence(Trendforce)
트럼프 정부의 관세 발표 이후 DRAM 스팟 시장은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관망세로 전환됐으나, 90일 유예 조치 발표로 일부 수요가 회복됨. DDR4 1Gx8 3200MT/s 기준 DRAM 가격은 전주 대비 1.58% 상승한 $1.673로 집계됐음. 반면, NAND는 하반기 수요 불확실성과 이전 감산에 따른 가격 반영으로 512Gb TLC 웨이퍼 가격이 0.36% 하락한 $2.765로 나타났으며, 거래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임
https://vo.la/uDgKsH
✈️채널: https://t.me/nudgetech
16.04.202503:54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6 (수)
● Top News
- 최상목·안덕근 '경제·통상 사령탑' 방미…관세 협상 탄력
https://naver.me/FeXbLQyn
● Economy
- 바이든, 퇴임 후 첫 공개 연설 "트럼프, 사회보장에 도끼질"
https://naver.me/xnhkVa28
- "트럼프, 한중일 공동전선 방치…'미친짓'" 1기 참모 비판
https://naver.me/FV7x20MB
● Stock Market
- 엔비디아 ‘중국용 칩’ 수출 막혔다…1분기만 8조원 타격 예상
https://naver.me/xq3MkSs8
-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30조원 현금배당…평균 시가배당률 3.05%
https://naver.me/58NbckYJ
● Fixed Income
- 국고채, 2bp 내외 하락 출발…외인 국채선물 ‘사자’ 랠리
https://naver.me/5ZJVLwDi
- '금통위 D-1' 금리 동결 우세…"관세 불확실성 여전"
https://naver.me/xQeB9mmx
● Currency
- 미국채 하락에 달러화 반등…환율 상승 출발 1430원대 진입
https://naver.me/xTTctrlL
- 엔화, 美 장기금리 하락에 1달러=143엔대 전반 상승 출발
https://naver.me/5A3DsJgF
● Commodity
- 트럼프, 희토류 수입 안보 조사 지시…‘수출 제한’ 中에 맞불
https://naver.me/52R3eqQ3
- 인니 장관 "美 원유·LPG 수입 100억 달러 증액 제안 계획"
https://naver.me/GL8oXjCw
● Real Estate
- 눈치싸움 끝? 강남서 움직인 돈 1.5조…서울·세종 아파트 거래 폭발
https://naver.me/xRhx9Gm3
- SH공사 "구룡마을 분양권·입주권 매매 불가, 재산 피해 주의"
https://naver.me/5iTSunW9
● ESG
- 은행연합 넷제로 전략 피봇...'전환' 방점
https://naver.me/x8t62TXr
- 기아, 美 주간지 시상식서 지속가능경영 수상…ESG경영 박차
https://naver.me/FnmKgLfM
● ETC
- “돈 벌기 참 쉽네?”…친트럼프 의원, 관세유예 발표직전 수십만 달러 주식 매수
https://naver.me/FtTqBASx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25. 04. 16 (수)
● Top News
- 최상목·안덕근 '경제·통상 사령탑' 방미…관세 협상 탄력
https://naver.me/FeXbLQyn
● Economy
- 바이든, 퇴임 후 첫 공개 연설 "트럼프, 사회보장에 도끼질"
https://naver.me/xnhkVa28
- "트럼프, 한중일 공동전선 방치…'미친짓'" 1기 참모 비판
https://naver.me/FV7x20MB
● Stock Market
- 엔비디아 ‘중국용 칩’ 수출 막혔다…1분기만 8조원 타격 예상
https://naver.me/xq3MkSs8
- 코스피 상장사 지난해 30조원 현금배당…평균 시가배당률 3.05%
https://naver.me/58NbckYJ
● Fixed Income
- 국고채, 2bp 내외 하락 출발…외인 국채선물 ‘사자’ 랠리
https://naver.me/5ZJVLwDi
- '금통위 D-1' 금리 동결 우세…"관세 불확실성 여전"
https://naver.me/xQeB9mmx
● Currency
- 미국채 하락에 달러화 반등…환율 상승 출발 1430원대 진입
https://naver.me/xTTctrlL
- 엔화, 美 장기금리 하락에 1달러=143엔대 전반 상승 출발
https://naver.me/5A3DsJgF
● Commodity
- 트럼프, 희토류 수입 안보 조사 지시…‘수출 제한’ 中에 맞불
https://naver.me/52R3eqQ3
- 인니 장관 "美 원유·LPG 수입 100억 달러 증액 제안 계획"
https://naver.me/GL8oXjCw
● Real Estate
- 눈치싸움 끝? 강남서 움직인 돈 1.5조…서울·세종 아파트 거래 폭발
https://naver.me/xRhx9Gm3
- SH공사 "구룡마을 분양권·입주권 매매 불가, 재산 피해 주의"
https://naver.me/5iTSunW9
● ESG
- 은행연합 넷제로 전략 피봇...'전환' 방점
https://naver.me/x8t62TXr
- 기아, 美 주간지 시상식서 지속가능경영 수상…ESG경영 박차
https://naver.me/FnmKgLfM
● ETC
- “돈 벌기 참 쉽네?”…친트럼프 의원, 관세유예 발표직전 수십만 달러 주식 매수
https://naver.me/FtTqBASx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post.reposted: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신얼/황준호/김경태/최예찬

15.04.202522:29
[한 눈에 보는 상상인 자산전략: 시황&ETF] 무역 정책 리스크 완화, 그럼에도 미-중간 리스크 상존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uTriot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시황&ETF/ 황준호 02-3779-3186
- 트럼프발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진정된 KOSPI, 반등세 시현
- 3개월 수익률 기준 상상인 테마 지수의 KOSPI 대비 아웃퍼폼
- 어느 정도 진정된 미국발 관세 정책, 위험자산 전반의 상승세 야기
- 미국채를 대체하기 시작하는 중국, 금에 대한 수요로 이어지며 상승세 지속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uTriot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Показано 1 - 24 из 266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