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ablbio_official avatar
ablbio_official
ablbio_official avatar
ablbio_official
24.04.202503:53
BBB 셔틀 도입이 점점 더 활발해지고 있는 글로벌 동향이 느껴지네요
23.04.202501:41
글로벌 제약사 GSK가 퇴행성 뇌질환 분야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가 되기 위한 마지막 퍼즐로,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do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를 도입하게된 배경에 대해 상세히 다룬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주요내용]

백신과 감염질환에서 두각을 보이던 GSK는 2020년 리간드 파마슈티컬스와의 뇌질환 치료제 저분자 화합물 개발 협력을 시작으로 퇴행성 뇌질환 관련 파이프라인 및 플랫폼을 도입하기 시작함

1. 타깃 확보
- 알렉터(Alector) : 퇴행성 뇌질환 타깃 단일항체 도입 (2021년)
- 사이뉴로(SciNeuro) : 알츠하이머 치료 등을 위한 Lp-PLA2 억제제 도입 (2022년)
- 베살리우스(Vesalius) : 파킨슨병 등 복수 치료 타깃 도입 (2024년)
- 무나(Muna) : Novel 타깃 검증 플랫폼 도입 (2024년)
2. 모달리티 확보
- 웨이브(Wave) :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eucleotide) 및 8개 물질 (2022년)
3. BBB 셔틀 확보
- 에이비엘바이오(ABL Bio) : IGF1R 기반 BBB 셔틀 도입 (2025년)

차별화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적극적 투자를 통해
다양한 타깃과 모달리티를 확보하며 철저한 검증 및 준비를 마친 GSK가
BBB 셔틀 도입에 있어 기존의 TfR 기반이 아닌 IGF1R 기반의 Grabody-B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글로벌 무대에서 Grabody-B의 위상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링크 :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84176?sid=101
09.04.202523:28
07.04.202523:36
메리츠 증권에서 GSK의 개발 전략에 대한 전망과 함께
에이비엘바이오를 바이오텍 Top-pick으로 유지해 주셨습니다.
06.04.202522:50
금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GSK(시가총액 약 108조원)와의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기술이전 소식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01.04.202522:23
전일 컴퍼스의 주가는 18% 상승으로 마감하며 성공적인 임상데이터가 반영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1. ABL001의 2차 치료제 승인은 표준 치료요법 대비 압도적인 효능 덕분에 원활히 진행될 것입니다.

2. 2024년 4월에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았으며, 컴퍼스는 이번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속승인 여부를 포함한 허가 경로를 FDA와 즉시 논의할 예정입니다.

3. 2025년 4분기에 OS, PFS 등이 포함된 전체 데이터가 공개되면 내년 2차 치료제 가속 승인 절차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4. 뿐만 아니라, 컴퍼스는 1차 치료제로의 확장도 목표하고 있습니다.
하반기 확인될 전체 데이터와 함께
현재 1차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중인 IST 임상(by MD Anderson)에서 확인되는 힌트를 더해 임상 전략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24.04.202503:52
중추신경계(CNS)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의 발걸음이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으로 모아지고 있습니다. 다국적 제약사 로슈가 BBB 셔틀을 활용해 ‘트론티네맙’의 긍정적인 임상 결과를 내놓은 가운데, 이달에만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일라이릴리가 BBB 셔틀 애셋을 도입하는데 각각 4조원·2조원을 투입하며 BBB 셔틀을 활용한 개발 대열에 합류하며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CNS 질환 치료제 개발에 BBB 셔틀을 부착시키는 것을 ‘기본 공식화’하며 인수합병(M&A)과 기술 도입(L/I)을 통해 해당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7일 최대 4조1000억원(21억4010만파운드) 규모로 자사의 BBB 셔틀 플랫폼인 ‘그랩바디-B(Grabody-B)’를 GSK에 기술수출했습니다. 일라이릴리는 이달 최대 14억1800만달러(약 2조1000억원)를 투자해 미국 상가모테라퓨틱스로부터 이 회사의 BBB 플랫폼인 ‘STAC-BBB’를 활용한 5개 애셋을 도입했습니다.

사노피는 지난 1월 미국 알로이테라퓨틱스(Alloy Therapeutics)와 최대 4억2750만달러(약 624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리보핵산(RNA) 기반의 BBB 통과 CNS 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는 지난해 12월 스웨덴 바이오아틱(BioArctic)으로부터 알츠하이머병 신약 후보물질인 ‘BAN1503’·‘BAN2803’을 최대 13억5000만달러(약 1조9600억원)에 도입했습니다. BAN2803에는 ‘TfR(트랜스페린 수용체)’ 기반의 ‘브레인트랜스포터(BrainTransporter)’ 기술이 적용돼 있습니다.

애브비도 지난해 10월 미국 BBB 셔틀 기업인 알리아다테라퓨틱스(Aliada Therapeutics)를 약 14억달러(약 1조9000억원)에 인수하며 ‘TfR·CD98hc’ 기반의 ‘MODEL’ 플랫폼을 확보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570
23.04.202500:54
담도암 1차 치료제로서 토베시미그(Tovecimig, 이하 ABL001)의 임상 1/2상 첫 투약이 미국 현지시간 21일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임상은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Investigator Sponsored Trial, IST)으로 글로벌 1위 암전문 병원 MD 앤더슨 암센터(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에서 약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며,
기존에 널리 쓰이고 있는 담도암 표준 1차 치료요법(PD-1 타깃 면역항암제 Durvalumab + 2개의 화학치료제 Gemcitabine & Cisplatin 삼중 병용요법)과 함께 투여된 사중 병용요법으로서의 효능을 평가하게 됩니다.

*컴퍼스 보도자료 링크 : https://investors.compasstherapeutics.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compass-therapeutics-announces-first-patient-dosed-investigator
*국내 기사 링크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308444821961

또한, MD 앤더슨을 통한 1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평가와 더불어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 이하 컴퍼스)는 지난 4월 초 ABL001의 담도암 2차 치료제 승인을 위한 임상 2/3상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한 Top-line 데이터(ABL001 + Paclitaxel 병용요법이 기존 표준 2차 치료요법 FOLFOX 및 Paclitaxel 단독 대비 3배 이상의 ORR을 나타냄)를 발표했습니다.

또한, 발표 직후 컴퍼스는 '확보된 데이터로 FDA와 승인을 위한 논의를 개시하였으며 부차적 평가변수 PFS, OS 등(올해 4분기 발표 예상)이 확보되는대로 추가하여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미충족 수요가 높은 담도암 치료 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ABL001의 승인 과정에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09.04.202523:28
전일 IR행사 후 발간된 애널리스트 리포트 5건을 공유드립니다.

플랫폼 기술이전의 가치 및 모달리티 & 타깃(에피톱 단위)을 통한 무한한 확장력의 성장 잠재력을 반영하여 작성해 주셨습니다.

유안타증권
기존 60,000원에서 80,000원으로 상향

다올투자증권
기존 52,000원에서 80,000원으로 상향

유진투자증권
기존 50,000원에서 80,000원으로 상향

메리츠증권
기존 53,000원에서 63,000원으로 상향

키움증권
Not Rated
07.04.202523:36
04.04.202509:27
다음주 수요일 진행 예정인 IR 행사 관련 안내 말씀드립니다.


1. 일시 : 2025년 4월 9일 수요일
- Youtube IR : 오전 9시 ~ 오전 10시
- 제약&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 오전 11시 ~ 오후 12시 30분
- 기관 투자자 & 언론사 기업설명회 : 오후 2시 ~ 오후 3시 30분

2. 주제 :
- 2025년 1분기 성과 및 2025년 사업 계획
- 연구개발 현황 설명 및 Q&A

3. 발표자 : 에이비엘바이오 대표이사 이상훈

더욱 자세한 내용은 행사를 통해 확인 부탁드리며,
많은 응원과 시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01.04.202515:26
24.04.202500:03
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가 적용된 ABL103(B7H4x4-1BB)의 병용요법 임상 1b/2상 미국 FDA 승인이 완료되었습니다.

해당 임상은 미국, 한국, 호주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ABL103과 키트루다 (PD-1) 또는 taxane 계열 항암제와 병용 투여하는 병용 요법입니다.
임상에서는 안전성 평가를 통해 유효 용량을 확인한 뒤 선정된 암종에 대한 유효성 평가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와 더불어 올해 7월로 예정되어 있는 ESMO GI(유럽종양학회 소화기암학회)에서는 ABL111(CLDN18.2x4-1BB)의 옵디보(PD-1) & 화학치료제 삼중 병용요법의 중간데이터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Grabody-T 적용 파이프라인 최초의
병용데이터인 동시에,
글로벌 위암 시장에서 Best-in-Class CLDN18.2 타깃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인 만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900006
21.04.202505:13
치료 타깃에 따른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가
항체뿐만 아니라 siRNA와 같은 모달리티(Modality)의 확장도 가능하다는 내용을 다룬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

1. siRNA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등 퇴행성 뇌질환을 일으키는 단백질 생산에 관여해 플라크(응집체)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siRNA를 활용한 CNS 질환 초기 신약 개발도 이뤄지고 있음

2. 하지만, CNS 질환에 siRNA를 활용하려면 BBB 투과를 시키는 동시에 뇌보다는 간이나 신장으로 전달되는 오프타깃(off target) 문제를 해결해야 함

3. Grabody-B를 통해 siRNA의 BBB 투과도를 높여 뇌를 집중적으로 타깃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러한 잠재력과 더불어 현재

GSK는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를 자신들의 신규(Novel) 타깃 및 siRNA 등의 모달리티에 접목시켜 새로운 파이프라인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에이비엘바이오 역시 4개 이상의 승인된 RNA 기반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사 아이오니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뇌질환 치료 분야에서 siRNA와 Grabody-B의 시너지에 관한 논문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링크 :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7808
08.04.202501:33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Sanofi)가 4월 1일 개최된 AD/PD(알츠하이머/파킨슨병) 학회에서 직접 비임상 데이터에 대한 구두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ABL301(a-syn x IGF1R)은 IGF1R의 자연적인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며,
알파-시뉴클레인 응집체의 미세아교세포 제거를 촉진해 뉴런(Neuron)의 손실이나 행동 결함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원숭이 실험 결과, ABL301은 단일항체 대비 약물의 뇌 조직 및 뇌척수액 검출양이 많은 것도 확인되엇습니다.

임상 1상 결과가 나오기전 시점임에도 학회 활동을 통해 ABL301의 우수성을 알리는 사노피의 행보를 통해
ABL301의 임상 또한 순항 중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인 것 같습니다.

1. IGF1R 기반 BBB 셔틀 Grabody-B가 적용된 ABL301의 임상이 꾸준히 진척되며 성과를 내고 있는 점

2. GSK와의 플랫폼 딜 성과 및 앞으로 GSK 역시 Grabody-B를 통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할 것이라는 점 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Grabody-B의 위상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3. 다양한 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의 무한한 조합을 통해 지속적인 기술이전을 만들어 냄으로써

Grabody-B의 가치 극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 https://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08473
07.04.202523:22
신한증권에서 디날리와 비교해서 리포트 작성해주셨네요.
내일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더욱 다양한 내용을 공유드릴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02.04.202509:39
금일 주가하락에 따라 전날 발표된 ABL001 임상 데이터 관련 오해 및 일부 악의적인 해석 등이 있어
이를 바로잡고자 주요 내용들에 대한 Q&A를 작성하여 공유드립니다.

무엇보다도 강조드리고 싶은 점은

1. ABL001 상용화를 위한 일정 및 진행상황은 변동 없으며
2. 발표된 임상 데이터는 1차 Endpoint를 달성한 성공적인 결과라는 점

입니다.

이후에도 추가적인 궁금증 또는 불필요한 루머 등이 재확산될 경우
언제든 정확한 사실에 기반한 대응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파이프라인들의 가치를 기업 가치에 온전히 반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ABL001 관련 QnA]

Q1> ORR 17.1%는 기대 이하인 것 아닌지? 2026년 가속승인 가능한지?
# 1차 Endpoint 달성
-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 확인 완료
- “ABL001 + 파클리탁셀” vs “파클리탁셀” 비교 임상의 결과로, 파클리탁셀이 아닌 ABL001 효과라는 것도 입증 완료
# 2026년 가속승인 문제 없음
- 2차 표준 치료요법 FOLFOX의 ORR 4.9% 대비 압도적인 결과 확인
- FDA와 Endpoint를 충족한 ORR로 절차 시작
- 2025년까지 OS, PFS, DoR 등 추가 데이터 제출
- 2025년 초 시작한 1차 치료요법 목적 연구자 임상 데이터로 support

Q2> OS, PFS, DoR 수치는?
# 20% 정도 환자가 On-going 상태이기 때문에 산정 불가능
# 2차 표준 치료요법 대비 차별성 있는 데이터가 나올 것으로 전망
- 집중 환자 등록 기간은 2023년 7월 ~ 2024년 8월
- 추적관찰중앙값(median Follow-up Duration)은 13개월 이상
- 2차 표준 치료요법 FOLFOX의 PFS 4.0개월, OS 6.2개월

Q3> Safety 데이터?
# 20% 정도 환자가 On-going 상태이기 때문에 산정 불가능
# DLL4 타깃 관련 낮은 이상반응 발생율 확인
# 이미 널리 사용되는 파클리탁셀 or VEGF 타깃 치료제의 예상치 못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 낮음

Q4> 한국 2상 결과(2차 63.6%, 3차 15.4%, 전체 37.5%)에 비해 차이가 큰 이유?
# 사전 치료 타입, BTC의 하부 타입 등 정확한 환자 Profile이 아직 공개되지 않아 분석 불가
- 담도암의 조직학적 차이, 표준 치료요법 차이 등 background 정보를 기반으로 추가 분석 필요
- 환자 수 차이에 따른 결과 차이도 감안 필요

Q5> 발표된 데이터 중 “NE : Not Evaluable”의 의미는?
(ABL001 + 파클리탁셀 14.4% vs 파클리탁셀 15.8%)
# 동의 철회, 개인사정 등 어떤 이유로든 8주차에 CT를 찍지 못한 인원이 분류된 것

Q6> FDA 인력 감축이 미치는 영향은 없는지?
# 현재까지 영향 없음
- 임상 심사 부서는 대상이 아니었으나, 장기화ㆍ대규모화 될 경우의 영향은 예측할 수 없음
# ABL001은 2024년 4월 패스트트랙을 지정 받아, FDA와의 논의에 유리한 위치에 있음
01.04.202515:26
23.04.202505:21
GSK만의 독특한 신약개발 철학에 집중하여 이번 4.1조원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의 의미를 잘 설명해주는 기사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

GSK가 에이비엘바이오의 BBB 셔틀을 적용함에 있어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등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가장 활발히 개발되고 있고 상업성이 큰 타깃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은 매우 독특함

여기에는 GSK의 R&D 철학이 반영되었는데

1. 2017년 엠마 월슬리 현 GSK 대표가 취임하면서 유전학 기반으로 신약 R&D(연구개발) 전략을 재편하여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전에 먼저 유전학적으로 검증된 타깃인지 확인하는 전략을 세움

2. 이에 따라 GSK는 뇌신경질환 분야에서 경쟁사들과 달리 신약후보물질을 바로 도입하기보다 신규 타깃을 발굴하는 데 몰두하여
신규 타깃 발굴&검증 및 모달리티 확장(RNA 등)을 위해 베살리우스 테라퓨틱스, 무나 테라퓨틱스, 웨이브 라이프사이언스 등과 기술도입 및 연구협력 계약을 진행함

3. GSK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발굴한 뇌질환 타깃을 공략하기 위해 RNA 치료제에 특히 주목했으며,
간에서 주로 작용하는 RNA의 한계를 극복하고 뇌혈관장벽(BBB)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BBB 셔틀에 대한 검토를 마친 끝에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do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를 선택함

자신들의 확고한 R&D 철학이 있는 GSK가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를 선택함으로써 Grabody-B 위상이 높아졌고
연구 개발을 통해 지속적으로 플랫폼이 검증될 것이며,
GSK와 맺은 독점 계약 타깃에는 아밀로이드 베타, 타우 등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타깃이 포함돼 있지 않아
다른 빅파마와 시장성이 높은 타깃들을 대상으로 추가 기술이전을 기대할 수 있음


*기사 링크 : https://v.daum.net/v/20250423081003810
18.04.202501:23
글로벌 제약사 GSK에 4.1조원 규모로 기술이전된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기술이전 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확장 잠재력을 다룬 기사를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

1. GSK 기술이전에 퇴행성 뇌질환 분야 핵심 타깃인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는 제외 되었기 때문에
해당 타깃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을 포함하여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기술이전을 논의 중임

2.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타깃 등 뇌질환 타깃들은 뇌안에서 효소에의해 절단 & 변형되는데 이에 따라 무수한 타깃이 만들어짐

3. 또한, 각각의 타깃들은 항체와 항원이 결합하는 에피톱(Epitope) 부위에 따라 다시 한 번 세분화됨.


예를들어, 기존에 승인된 아밀로이드 베타 타깃 치료제 아두카누맙, 레카네맙, 도나네맙의 경우
아래와 같이 타깃하는 발병원인 및 결합부위가 달라 각각의 기술이전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아두카누맙 : 절단 & 변형 없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3-7 에피톱을 타깃
- 레카네맙 : 절단 & 변형 없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1-16 및 21-29 에피톱을 타깃
- 도나네맙 : 에피톱 1-2 절단 & 피로글루탐산 변형된 아밀로이드 베타의 3-13 에피톱을 타깃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사 링크 : 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08992
08.04.202500:52
NH투자증권에서 전일 발표한 GSK와의 4조원 규모 기술이전과 더불어 ABL301 모멘텀에도 주목하여 리포트를 작성해 주셨습니다.
07.04.202523:22
『에이비엘바이오(298380.KQ) - GSK와 뇌투과 플랫폼 4조원 규모 기술이전』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GSK와 L/O 체결로 검증된 플랫폼의 가치
이번 GSK와의 기술이전 계약은 사노피에 L/O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 임상 1상 성공의 근거이자 Grabody-B 플랫폼이 빅파마에 검증되었다는 점에서 의미있음. 뇌투과 플랫폼 피어그룹 드날리(Denali)는 지속된 임상 중단에도 시가총액 약 2.5조원으로 피어그룹 대비 동사 저평가

▶️ 드날리 주가를 살펴보자. 자세한 내용은 수요일에 공개
GSK와 뇌투과플랫폼 Grabody-B에 대해 4.1조원 계약 체결하며 계약금및 단기 마일스톤 합산 약 1,480억원 수령 예정. GSK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라토지네맙 임상 3상 진행 중으로 해당 물질에 뇌투과 플랫폼(Grabody-B) 적용해 신규 임상 진행할 계획인지를 4월 9일(수요일) 예정된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통해 확인 필요

글로벌 뇌투과 플랫폼 피어그룹 드날리는 과거 ‘18년 다케다와 2.4억달러, ‘18년 10월 사노피와 12.2억달러, ‘20년 10월 바이오젠과 16.8억달러 규모 L/O 체결하고 당시 환율 1,095원 기준 시가총액 10조원까지 상승

그러나 바이오젠과 ‘24년 7월에 TV 플랫폼 ATV:Abeta 임상 및 라이선스계약 중단, 사노피와 ‘25년 2월 DNL788 개발 중단, 다케다와 ATV:TREM2 전임상 개발 중단. 최근 주가 지속 하락으로 시가총액 2.5조원까지 하락했으나 여전히 동사 대비 높은 시가총액 유지 중

▶️ Valuation & Risk
아밀로이드-베타 또는 타우를 타깃하는 신규 L/O 계약도 새로운 빅파마와 추가 논의 중으로 기대감 지속. 에이비엘바이오 Grabody-B 관련 L/O 총 계약규모는 5.4조원으로 드날리의 5.2조원을 넘어섰으며 드날리는 대부분 개발이 중단되었으나 시가총액 2.5조원 수준이므로 동사 저평가 판단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308

위 내용은 2025년 4월 8일 07시 29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2.04.202502:26
『에이비엘바이오(298380.KQ) - 담도암 임상 2/3상 긍정적 임상결과 발표』
기업분석부 엄민용 ☎️02-3772-1546


▶️
신한생각: 파트너사 발표 후 18% 상승, 긍정적 추가 발표 기대
현지 시간 4월 1일, 담도암 임상 2/3상 주요 지표 충족 및 통계적 유의성 확보 발표. 국내 2상보다 낮은 수치 발표되어 파트너사 컴패스 주가 단기 하락했으나 생존 데이터에 대한 기대감으로 +17.89% 상승 마감

▶️ 생존 데이터 기존 치료제 대비 우위 기대
파트너사 컴패스는 1차 지표인 객관적 반응률(ORR) 17.1% vs. 대조군 5.3%, 3배 이상 우위 및 통계적 유의성 확보 발표 및 완전관해(CR) 환자 1명 관찰 긍정적 데이터 판단. 국내 2상 3차 치료제 ORR 15.4%와 유사해 임상 2/3상이 3차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추정

2차 지표인 전체 생존(OS), 무진행생존(PFS)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조건인 ‘전체 환자의 80%에서 특정 사건(event), 예를 들어 사망 또는 암의 진행이 발생되어야 2차 지표에 대한 분석을 개시’하는 시점이 3분기로 밝힘

이번 컨콜은 구체적 설명은 부족했으나 임상 2/3상은 ‘23년 1월 9일 환자 모집이 시작되었고 바로 투약이 개시되었다고 가정하면 2년 이상의 생존 환자 있을 가능성. 기존 담도암 표준 치료제 임핀지+젬시스 병용요법 24개월 생존율 23.6% 밖에 되지 않으므로 무진행 생존 중앙값(mPFS), 전체생존(OS)같은 생존기간 개선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

▶️ Valuation & Risk
2분기 FDA와 가속승인 신청 논의할 것으로 밝혀 FDA 승인 기대감 유지. 생존기간 개선 기대감이 ORR 수치보다 긍정적 수치로 판단되어 파트너사 컴패스와 같이 4분기 발표될 데이터 기대감이 동사 주가에 반영될 것. 2-3분기 중 발표될 사노피 긍정적 1상 결과 토대 뇌투과 플랫폼 추가 계약 논의도 순항 중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158

위 내용은 2025년 4월 2일 07시 41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01.04.202515:26
4월 1일 저녁 9시(미국 현지시간 기준 4월 1일 오전 8시)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 이하 컴퍼스)가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

ABL001 + Paclitaxel 병용요법의 ORR은 17.1%(19/111)로, Paclitexl 단독요법 ORR의 5.3%(3/57)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이번 탑라인 발표를 통해 아래 두 가지 포인트가 확인됐습니다.

1. ABL001 병용요법의 효능은 ABL001이 이끈 결과이며,
2. 기존 2차 치료제 표준요법인 FOLFOX(ORR 4.9%) 대비 3배 이상의 우월한 ORR로, 해당 시장 내 Best-in-Class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에이비엘바이오는 ABL001 병용요법이 담도암 2차 치료제로 신약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컴퍼스는 올해 4분기 OS, PFS, DoR을 포함한 전체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며, 현재 FDA와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약 승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컴퍼스의 보도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링크 : https://investors.compasstherapeutics.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tovecimig-ctx-009-meets-primary-endpoint-ongoing-randomized
Показано 1 - 24 из 68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