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avatar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전략 김대준, 시황 박기훈입니다.
동 채널을 통해 아래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매일 오후 - 일일 시황 정리
2) 수시 - 시장 급변 요인
문의사항은 언제든 개별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Jul 03, 2018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Nov 01, 2024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한투증권 박기훈] 알래스카 프로젝트 설명해줘!

일반투자자에게 직관적인 투자정보 제공을 위해 주기적으로 인포그래픽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번 인포그래픽으로 대미 관세 협상의 핵심 이슈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패권 회복을 주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지난 1기에 이어 2기에 들어서도 LNG와 같은 화석에너지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미국 내 최종 투자결정을 앞둔 LNG 프로젝트만 11개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알래스카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트럼프가 이를 단순한 자원 개발이 아닌 아시아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알래스카는 아시아 시장 확보에 있어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아세안 지역에 집중된 상호관세 협상의 카드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 경제성을 이유로 수차례 좌절된 경험이 있기에 성급한 투자결정을 내리기보다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관련 수혜 종목 선별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

- 대미 협상의 키 포인트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주목

- 에너지 패권을 되찾으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

-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밸류체인 내 국내 관련 종목에 관심

보고서 링크: https://bit.ly/4ioqCpx

------------------------------
기술적 분석을 맹신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필요도 없습니다.

현재 달러인덱스는 코로나 이후 형성된 고점과 저점 간격 중 38.2%에 위치합니다.

어떤 변화가 나오든 위 아래 변동이 커질 수 있는 시점입니다.
[한투 전략 김대준] 기축의 떨림, 시장의 파동

달러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을 떠받치는 달러가 흔들리면 증시도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주 미국채 입찰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달러 약세는 반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대와 다른 흐름도 나올 수 있기에 방어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 현재 수익성에 문제가 없는 방산과 유틸리티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 달러인덱스는 한때 98p를 하회. 미국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것이란 우려 심화

- 달러 약세가 강세로 전환되어야 투자심리 안정될 것. 향후 미국채 입찰을 주목

- 당분간 시장 불확실성이 유지될 것. 수익성이 확보된 방산, 유틸리티 등에 관심

보고서 링크: https://bit.ly/3Y96WyT

------------------------------
https://naver.me/x4FrPffq
https://naver.me/GBFiwjoN
https://naver.me/56Ru0EVu
[2025년 4월 21일 시장 정리]

■ KOSPI 2,488.42p (+0.20%), KOSDAQ 715.45p (-0.32%)

■ 코스피는 강세 마감. 한미 관세 협상을 앞두고 변동 폭 제한.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전 관망 심리도 영향. 바이오, 은행 등 내수주 상승

■ 코스닥은 약세 마감. 2차전지 소재 등 시총 상위 대형주를 중심으로 낙폭 확대. 실적 모멘텀이 견조한 일부 기업과 대권 주자 테마주만 강세

* 한미 관세 협상: 현지시간 24~25일 양국 재무/통상 장관 동시 참여 통상 협의 예정. 안건으로 조선 협력, LNG 프로젝트, 방위비 협상 등 거론

■ 코스피: 외국인 -2,887억원, 개인 +1,865억원, 기관 +234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전기가스(+3.45%), 비금속(+2.94%), 증권(+2.86%) 등 강세. 운송창고(-1.71%), 일반서비스(-0.88%), 운송장비부품(-0.53%) 등 약세

■ 특징주: 한국전력(+4.12%)은 실적 개선에 따른 배당 확대 기대에 신고가. 에너지 가격 및 환율 하락과 지난해 10월 요금 인상 효과가 긍정적

■ 원/달러 환율: 1,419.1원 (-4.2원), 국고채 3년물: 2.331% (-3.1bp)
https://naver.me/GgW4ZU9M
https://naver.me/x0UDpsMN
https://naver.me/xwmQv2iG
https://naver.me/GBFiD5BZ
[2025년 4월 17일 시장 정리]

■ KOSPI 2,470.41p (+0.94%), KOSDAQ 711.75p (+1.81%)

■ 코스피는 강세 마감. 파월 풋 부재에도 전일 조정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 장 후반 TSMC 호실적도 긍정적. 금통위 금리 동결 영향은 제한

■ 코스닥은 강세 마감. 로봇, 반도체 소부장, 중국 소비, 바이오 등 대다수 업종이 고루 상승. 대선 예비후보 행보에 정치 테마주 변동성도 확대

* 파월 풋: 파월 연준의장은 관세가 물가와 고용 목표 달성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주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준 대응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강조

■ 코스피: 외국인 -3,519억원, 개인 -871억원, 기관 +3,458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기계장비(+3.07%), 의료정밀기기(+2.42%), 제약(+2.06%) 등 대부분 강세. 운송창고(-0.10%), 전기가스(-0.10%), 유통(-0.07%) 등 약세

■ 특징주: 한미반도체(+5.10%)는 SK하이닉스향 TC본더 가격 인상을 통보. 무상 수리 서비스도 유상으로 전환. 삼성전자에 TC본더 납품 협의 진행

■ 원/달러 환율: 1,418.9원 (-7.8원), 국고채 3년물: 2.385% (+3.4bp)

Рекорды

11.04.202523:59
7.6KПодписчиков
06.02.202523:59
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08.04.202505:02
3.8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11.04.202516:27
934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02.04.202514:39
1.81%ER
08.04.202505:03
51.03%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MAR '25APR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21.04.202523:22
기술적 분석을 맹신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필요도 없습니다.

현재 달러인덱스는 코로나 이후 형성된 고점과 저점 간격 중 38.2%에 위치합니다.

어떤 변화가 나오든 위 아래 변동이 커질 수 있는 시점입니다.
안녕하세요 한투 김대준입니다.

금일 코스피가 5.6% 하락했습니다. 그나마 일본, 대만, 홍콩 대비 낙폭은 제한됐습니다.

12개월 선행 PER 기준으로 금일 레벨은 8배입니다. 평균-2표준편차인 7.8배가 목전입니다.

지수 급락으로 밸류 매력은 높아졌습니다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EPS 하향 조정에 따른 PER 변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국 상호관세가 결국 EPS 전망도 건들지 않겠냐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믿기 힘드실 수도 있는데 12MF EPS는 1월말부터 상향 조정되고 있습니다.

물론 올해 1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가이던스가 달라져 EPS 전망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관세 불확실성이 악화된다는 전망만 가득할 뿐 협상 타결 예상은 없다는 것입니다.

모두가 어두운 부분에 매몰되어 있을 때, 의외 호재가 나온다면 EPS 상향 조정은 중단되지 않을 것이고, 밸류 매력도 다시 부각될 수 있습니다.

과거 PER 밴드를 보면 2018년 미중 1차 무역분쟁, 2020년 코로나19 확산기, 2024년 엔케리 청산 시기 모두 -2표준편차를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코스피 레벨로는 당사 연간 전망 하단인 2,300p에 근접한 2,270p입니다. 동 지점이 절대적 하방 지지선은 아니겠지만, 반복적으로 저점에 근접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둡니다.

지금은 투자하기 매우 어려운 환경이 입니다. 지수 반등도 생각보다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에도 지수 반등이 안 나타났던 적은 없습니다.

전세계 투자심리가 극단적으로 위축된 환경입니다. 호재 한 가지만 나온다면 분위기가 급변할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시장 모니터링에 집중하겠습니다. 힘내시길 바랍니다.
28.03.202505:14
[한투 시황/전략 박기훈/김대준] 코스피 하락 코멘트

- 코스피는 전일대비 1.8% 하락한 2,559p, 코스닥은 1.9% 내린 694p로 확인(13시 30분 기준)

- 미국 상호관세 부과 우려에 위험자산 선호심리 위축. 엔비디아 등 빅테크 부진도 악재

- 공매도 재개 부담에 거래는 비활성화. 코스피 거래대금은 약 4.7조 원(3월 평균 11.2조 원)

- 금일 코스피 상장사 중 85%가량 하락. 반도체, 자동차 등 대형주 중심으로 매도물량 출회

- 단기적으로 시장 반등을 유도할 재료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방어적 대응이 필요한 단계

- 코스피는 12MF PER 10년 평균의 -1표준편차인 2,600p 내외에서 등락을 반복할 수 있음

- 지수 방향이 모호해 당분간 업종과 종목 대응에 집중. 대차잔고가 늘어난 업종은 회피

- 고평가 종목보다 주주환원율이 높은 종목에 관심을 둘 것. 금융, 통신, 유틸 등이 대표적

- 공매도 충격은 1~2주 정도 지속될 전망. 가격 조정이 끝난 후 주도주 저가 매수를 다시 고려
23.03.202522:43
[한투증권 김대준] 공매도, 준비된 자는 흔들리지 않는다

3월 31일부터 공매도가 재개됩니다. 18개월가량 이어진 시장 규제가 해제되면 단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 거래가 늘어나고 가격이 공정가치를 향해 움직이는 등 긍정적 변화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편 투자자들은 일차적으로 보유종목 대응에 관심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공매도 재개 전에는 대차잔액이 급증한 종목을 매도, 공매도 재개 후에는 장기 성장 동력을 보유한 종목 위주로 저가 매수가 필요해 보입니다.

------------------------------

- 공매도 금지는 18개월 만에 해제. 3월 31일부터 자유로운 공매도가 진행

- 공매도 시행을 앞두고 대차잔고와 주가 사이에 정(+)의 방향성이 다수 확인

- 공매도 전후로 주가 변동성 확대. 성장 동력이 있는 기업은 비중 확대 필요

보고서 링크: https://bit.ly/4hyZiog

------------------------------
22.04.202500:55
[한투증권 박기훈] 알래스카 프로젝트 설명해줘!

일반투자자에게 직관적인 투자정보 제공을 위해 주기적으로 인포그래픽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번 인포그래픽으로 대미 관세 협상의 핵심 이슈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패권 회복을 주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지난 1기에 이어 2기에 들어서도 LNG와 같은 화석에너지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미국 내 최종 투자결정을 앞둔 LNG 프로젝트만 11개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알래스카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트럼프가 이를 단순한 자원 개발이 아닌 아시아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알래스카는 아시아 시장 확보에 있어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아세안 지역에 집중된 상호관세 협상의 카드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 경제성을 이유로 수차례 좌절된 경험이 있기에 성급한 투자결정을 내리기보다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관련 수혜 종목 선별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

- 대미 협상의 키 포인트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주목

- 에너지 패권을 되찾으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

-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밸류체인 내 국내 관련 종목에 관심

보고서 링크: https://bit.ly/4ioqCpx

------------------------------
중국 관세보다 이게 더 충격입니다.
온스당 3,300달러 돌파!
금이 최고의 투자자산이 됐군요...
분위기 좋습니다.
13.04.202523:27
[한투증권 김대준] 바람이 오기 전에 닻을 푼다

미국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주식뿐만 아니라 상품, 외환, 채권 모두에서 비정상적 흐름이 포착됩니다. 이에 미국 정부는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IT 품목에 상호관세를 면제한 게 대표적입니다. 아직 품목관세 불확실성이 남았지만 그동안 주가를 억눌렀던 악재가 일부 해소됐다는 측면에서 IT 업종에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입니다. 가격이 저렴해진 IT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

- 미국 시장 변동성 확대. 금 강세, 달러 약세, 금리 상승 등 비정상 흐름 포착

- 미국 정부는 지난 주말 IT 관세 면제를 발표. 컴퓨터, 스마트폰, 반도체가 해당

- 품목관세 공개 전이지만 상호관세 부담이 해소됐다는 점에서 IT에 관심 필요

보고서 링크: https://bit.ly/4ift6Xh

------------------------------
30.03.202522:52
[한투증권 김대준] 4월 전략: 소박히 채우자

4월 코스피 밴드로 2,450~2,650p를 제시합니다. 분기 초 주식시장은 횡보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낮아진 금리는 긍정적이나 미국이 주도하는 통상 규제로 실적 전망이 악화된 게 증시에 불리합니다. 공매도가 재개되어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점도 부담입니다. 4월 한 달은 짧게 보수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규제에 노출된 수출주보다 내수주 비중을 약간 올릴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은 소나기를 피하면서 다음을 고민할 때입니다.

------------------------------

- 코스피 예상 밴드는 2,450~2,650p. 4월 증시는 단기 횡보세를 나타낼 전망

- 수출보다 내수에 관심. 규제에 노출된 수출주보다 안정적인 내수주 선호

- 공매도 재개로 변동성 확대 가능. 대차잔고 급증한 종목은 경계할 필요

보고서 링크: https://bit.ly/3FIjo2e

------------------------------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