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avatar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avatar
매시 트레이딩 - 매크로, 시황으로 드리블
11.04.202502:26
🎯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악화되었고, 투자자들은 어닝시즌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 :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상당히 악화되었다. 컨센서스를 넘는 가이던스와 미달하는 가이던스의 비율이 3개월 0.4로 떨어졌는데, 이는 2020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고 역사적 평균인 1.0보다 훨씬 낮다. 기업들은 불확실성 속에서 실적 가이던스를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 모건스탠리자산운용 :
관세 부과 여파는 소비자에게는 가격 상승 형태로, 기업에는 마진 하락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거의 모든 시나리오에서 기업 수익성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S&P500 기업의 2025년 주당순이익(EPS) 추정치가 기존 270달러에서 255~260달러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 인해 지수는 5100~5900 사이의 범위에서 거래될 가능성이 크다.
🎯 최근 약세장의 배경과 원인
현재의 약세장은 미중 무역관세와 같은 이벤트 기반으로 시작되었지만, 거시경제 지표 악화와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위험이 있습니다.

🎯 약세장 내의 일시적 상승(Bear Market Rally)
약세장 기간 중에도 일시적인 상승(베어마켓 랠리)이 자주 발생합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약세장 랠리의 평균 기간은 약 44일이며, 평균적으로 주가가 10~15%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경기민감주(Cyclicals)가 방어주(Defensives) 대비 평균적으로 4% 가량 더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 향후 전망
최근 약세장이 경기순환적 성격을 갖고 있고, 장기적으로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줄 주요 구조적 변화들이 있습니다.
- 글로벌화 둔화 및 무역 제약 증가
-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자본 비용(높아진 장기 금리 수준)
-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한 재정 적자 확대
- 기업의 이익률 하락 압력
이러한 변화들은 과거 30년간 주식 시장의 수익률을 끌어올렸던 여러 요소들의 반전(inflection)을 의미하며, 향후 장기적 투자 수익률을 제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론
이벤트 기반 약세장에서 경기순환적 약세장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시점입니다.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은 위험조정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질적 성장 기업(Quality Growth)과 지속적 배당을 제공하는 가치 기업(Quality Value)에 집중하고, 국제적으로 분산된 투자를 고려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09.04.202522:26
🎯 [중국, 미국 제품에 25% 관세 부과]
중국이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아몬드, 오렌지 주스, 가금류, 대두, 철강, 알루미늄, 담배 보트 등 다양한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승인했습니다.
09.04.202510:11
🇯🇵 일본은행(BOJ) 우에다 총재 연설

🎯 일본 경제·물가 현황 및 금융정책 방향
- 일본 경제는 일부 부진한 모습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 중.
- 현재 물가 상승률은 비용 상승 요인을 제외하면 아직 2% 미만이나, 임금 상승 지속에 따라 점차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음.
- 최근 세계 주요국의 통상정책 변화(특히 미국 관세정책 등)로 인해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주의 필요.

🎯 금융정책 운영 방침
- 향후 일본의 경기 개선과 기존 전망 실현이 계속된다면, 이에 맞추어 정책금리 인상 및 금융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
- 매번 금융정책 결정 회의에서 편견 없이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상황을 꼼꼼히 점검하며 신중히 결정할 예정.

🎯 신탁업계에 대한 기대
- 일본의 저출산·고령화 가속화로 신탁 서비스의 역할 확대가 예상됨.
- 가계 부문에서는 젊은 세대부터의 자산 형성, 자산의 원활한 세대 이전 및 치매 대비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
- 기업 부문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업승계 지원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
- 작년 개정된 공익신탁법을 통해 교육·복지 등 사회공익 분야에서도 민간의 역할 확대 전망.

[ 시사점 ]
🎯 BOJ가 일본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와 물가상승 압력을 인지하고 향후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함.
🎯 일본의 금리 정상화 움직임은 글로벌 자금 흐름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미 국채에 대한 일본계 투자자의 수요 감소를 불러와 미 국채금리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존재.
08.04.202505:14
[증시전망]
🎯 증시 전망이 줄줄이 하향되면서 비관론이 커지고 있음.
🗣 뱅크오브아메리카 :
S&P500 지수 연말 전망치를 5600으로 낮췄다. 올해 S&P500 기업들의 이익이 지난해와 비슷한 250달러에 그치고, 2026년 이익 추정치도 257달러에 그칠 것이다. 관세와 보복으로 인해 2025년 S&P500 기업의 이익이 약 10% 감소할 수 있다. S&P500 지수가 최악의 경우 4000까지 떨어질 수 있다. 미국의 관세, 중국 보복만으로도 이익이 약 9%까지 타격을 입을 수 있으며, 캐나다의 보복이 약 1%를 추가할 수 있다. EU도 보복을 계획하고 있다.
🗣 JP모건 :
올해 연말 S&P500 지수를 기존 6500에서 5200으로 하향 조정했다. 관세가 일부 감면되면서 주가수익비율(P/E) 18.5배, 2026년 주당순이익(EPS) 280달러 가정에 기반한 것이다. 나쁜 사례에서는 4000(관세 감면 없음, PE 16배, 2026년 EPS 250달러)가 가능하며, 좋은 사례에서는 5800(PE 20배, 2026년 EPS 29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최고투자책임자(CIO) :
4700까지 떨어질 수 있다. 높은 관세율이 유지되고, 협상이 몇 달 동안 장기화하고, 주요 무역국의 추가 조치가 취해지면, 경기침체 위험이 더 많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 시티의 스튜어트 카이저 전략가 :
우리는 매우 신중하다. 관세 영향이 EPS와 성장 예측이 미치는 영향이 예상을 훨씬 넘어섰기 때문에 밸류에이션과 포지셔닝 개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S&P 4000대 중반의 시나리오도 비합리적이지 않다.
🗣 펀드스트랫의 톰 리 설립자 :
관세 '해방의 날'에 발표된 내용이 예상보다 훨씬 더 나빴기 때문에 사과드리고 싶다. 결과적으로 시장이 격노한 것은 무역 전쟁에 대한 반응 때문이 아니라, 백악관이 자본주의의 핵심 규약, 즉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규제 환경을 깨뜨렸다는 사실 때문이다. 주식은 너무 크게 하락했고, 경기침체 위험은 지나치게 가격이 책정되어 있다. 빌 애커먼 등이 상호관세를 연기하자고 공개적으로 밝혔고, 여러 국가가 백악관에 양보를 제안했으며, 트럼프가 시장 매도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은 긴장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오펜하이머의 존 스톨츠푸스 전략가 :
목표주가와 EPS 예상치를 낮추는 것은 주식에 대한 강세 전망을 포기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난주 발표된 관세 제도와 관련된 불확실성의 정도로 인해 합리적 기대치를 설정해야 한다는 의미다. 무역 협상에서 냉정한 판단이 우세해지면 목표를 다시 한번 높이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05.04.202505:13
🎯 다음주 (기술적으로라도) 반등 가능성.
🗣 빌 그로스 :
미국 금융시장은 레버리지가 매우 높고, 레버리지는 풀릴 때는 밸류에이션에 대한 고려 없이 풀려버린다. ETF가 매도하면 모든 것을 팔게 된다. 아직도 '떨어지는 칼'이 바닥에 닿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 다음주에 기회가 찾아올 수 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마이클 하넷 전략가 :
S&P500 지수 5000선을 트럼프의 '해방의 날'이 '화해의 날'로 전환될 수 있는 수준으로 본다. S&P500 지수가 5100~5200에서는 관세 정책 전환을 기대하면서 미국=중·소형주, 소매, 주택건설업체 주식, 유럽=경기순환주, 아시아=기술주를 살만하다. 그러나 경기 침체 위험이 커질 경우 S&P500 지수는 더 떨어질 수 있으니 4800~5000까지 하락하기를 기다렸다가 트럼프의 지지율이 40~45% 수준으로 내려가고 실업이 증가하면 '트럼프 풋'이 나올 가능성이 큰 만큼 위험자산 매수에 나서라.
🗣 스트레티가스 :
S&P500 지수가 더 떨어진다면 4800이 기존 상승 폭의 50% 되돌림 수준인 만큼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발생하면 4500까지 하락할 수 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이 지지선들이 모두 깨지면, 전체 경제가 심각한 공황에 빠질 수 있다. 증시에 투자하지 않은 사람들까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 골드만삭스의 션 튜테하 변동성 트레이딩 헤드 :
관세가 유지될 경우 연간 GDP 성장률이 1.5~2% 감소하고, 이는 기업의 향후 이익에 5~7% 타격을 줄 수 있다. 보복관세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시장에는 부정적 요소가 많다. 게다가 증시는 지난 4~5년간 강한 상승세를 보여온 만큼 고평가 상태다. 특히 관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가능성이 있어서 Fed가 금리를 쉽게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긍정적인 점은 투자자들은 이미 위험을 많이 줄였다는 것, 그리고 관세 상한이 정해졌다는 점이다. 현시점에서는 관세 정책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파악해야 하며 증시는 새 고점을 돌파하기 어렵다. 투자자들은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시장 반등 시 익절하고, 조정 시 우량주 중심으로 매수하는 전략이 적절하다.
10.04.202513:29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헤드라인 요약
- 신규 실업수당 청구(계절조정 기준)는 223K로 전주 대비 +4K 증가
- 4주 이동평균은 223K로 변동 없음
- 계속 청구건수는 1.85M로 전주 대비 -43K 감소
- 계속 청구자 수 기준 실업률은 1.2% (변동 없음)

🎯 세부 동향 분석
- 계절조정되지 않은 실업수당 신규청구는 215,392건, 전주 대비 +15,307건(+7.7%)
- 예상 증가폭(6.1%)보다 높은 증가폭 기록 → 계절효과 외의 실질 증가 가능성
- 전년 동기(215,265건)와 유사, 전년 대비 큰 변화 없음

🤔 시사점
- 고용시장 안정적이나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신호
- 신규청구 수의 증가에도 전체 청구자 수는 감소세, 실업률도 1.2%로 낮은 수준 유지
- 계절조정되지 않은 수치 기준으로는 상승폭이 커 주의 요망
- 고용시장 둔화가 본격화되기 전의 변곡점 가능성 모니터링 필요
09.04.202523:12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해 기업 실적과 소비자 심리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
🗣 클리어노믹스의 린지 벨 :
시장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의향이 있다는 안도감에 따른 것이다.
🗣 델타항공의 에드 바스티안 CEO :
전반적인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성장이 크게 정체되고 있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토스텐 슬록 :
이제 관세가 기업 매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다.

🎯 JP모건이 금요일에 대손충당금을 늘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 JP모건의 다이먼 CEO :
채무불이행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09.04.202522:24
🎯 [트럼프 대통령, 관세 90일 연기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무역 파트너에 대한 높은 상호 관세를 90일 연기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자정 이후 수십 개의 무역 파트너에 영향을 미칠 예정이었습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하여 해당 국가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
우리는 몇몇 국가에 대해 관세를 90일 연기할 것입니다.
09.04.202504:02
🎯 주요 지수 모두 상대강도지수(RSI)가 25 아래로 떨어짐. RSI 30 아래는 과매도로 간주되며 많은 투자자가 주식에 대한 좋은 진입점으로 생각.
🗣 찰스슈왑 :
문제는 이 시점에서 '위험자산 반등'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란 확신이 없다는 것.
🗣 바이탈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 :
반등 대부분은 기술적이었다. 지난 며칠 동안의 폭력적 하락 속도는 매일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그 과정에서 반등은 생기기 마련.
🗣 펀드스트랫의 리 설립자 :
많은 기업이 2018년 중국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 때문에 공급망을 옮겼으나, 상호관세 때문에 다시 수조 달러의 돈을 써야 할 상황. 백악관의 메시지가 '협상 없음'에서 '협상을 위한 최대 레버리지를 확보했다'로 바뀌었으나, 시장이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


🎯 블랙록은 향후 3개월 동안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등급을 '중립'으로 낮춤. 현재 매우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매수를 주저하고 있음.
🗣 블랙록의 웨이 리 글로벌 전략가 :
일반적으로 20% 시장 하락은 투자자들이 매수를 위해 전면적으로 뛰어들 때이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 지금 보고 있는 것은 매우 높은 불확실성. 움직이는 부분이 많고 아주 가까운 시기를 넘어서는 명확성을 갖는 것은 불가능.
08.04.202505:13
[경제전망]
🎯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이 미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경기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자본지출을 중단하고 관망 중이다.
🗣 골드만삭스 :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하향 조정하고, 경기침체 발생 확률을 45%로 상향 조정합니다. 이는 금융 여건의 급격한 긴축, 외국 소비자의 보이콧, 그리고 정책 불확실성 급증으로 인한 기업 자본지출의 위축 가능성 등에 따른 것입니다.
🗣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 :
최근 관세로 인플레이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수입품뿐 아니라 투입 비용도 상승에 따라 미국산 제품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많은 사람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더 크게 고려하고 있다. 관세가 경기침체를 일으킬지는 여전히 의문이지만, 성장은 둔화할 것이다.
🗣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 :
얘기를 나눈 대부분 CEO는 우리가 지금 아마도 경기침체에 빠져 있다고 말하고 있다. 지금 당장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경제가 약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세가 예상보다 더 큰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
🗣 로젠버그리서치의 데이비드 로젠버그 설립자 :
만약 핑크가 말한 대로 침체가 이미 시작되었다는 게 맞는다면 주식에서 회사채, 원자재까지 모든 시장이 이제 침체를 가격에 반영하는 중간 점 정도를 지났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 뉴욕연방은행의 빌 더들리 전 총재 :
스태그플레이션은 낙관적 시나리오다. 더 가능성이 큰 것은 미국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동반한 완전한 경기침체에 빠지리라는 것.
05.04.202505:11
[통화정책]
🎯 파월 의장은 고용이 여전히 탄탄하기 때문에 서둘 필요가 없고 시간이 있는 것 같다고 반복.
🗣 파월 의장 :
관세 인상이 예상보다 상당히 클 것이라는 점이 이제 분명해지고 있다. 경제적 효과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크며, 여기에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가 포함될 것이다. 그런 효과의 규모, 기간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관세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높지만, 효과가 더 지속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는 들어오는 데이터, 변화하는 전망, 위험의 균형을 계속해서 주의 깊게 볼 것이다. 우리는 정책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입장에 있다. 통화 정책에 대한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우리의 의무는 장기적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잘 고정하고 일회성 상승이 지속적 인플레이션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정치적 사이클과 같은 것은 보지 않으며, 사람들이 Fed에 기대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임기를 온전히 마칠 것이다.

🎯 닉 티미라오스 기자는 파월의 '서둘 필요가 없다'라는 발언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한 뒤 나왔다고 설명.
🗣 월스트리트저널의 닉 티미라오스 기자 :
파월의 '서둘 필요가 없다'라는 발언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한 뒤 나왔다. 5월에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 말라는 의미다.

🎯 파월의 발언이 나온 뒤 채권 시장에서는 금리가 큰 폭으로 반등.
🗣 한 채권 트레이더 :
3월 고용이 그리 나쁘지 않았고, 파월 의장이 계속 기다리겠다고 고집부린 게 금리가 다시 올라간 이유다.
🗽 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

🎯 주요 항목별 동향
- 에너지 물가가 2.4% 하락하며 전체 CPI 하락을 주도 (특히 가솔린 가격 -6.3%)
- 식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 (계란 가격 급등 +5.9%)
- 근원 CPI(식품 및 에너지 제외)는 전월 대비 0.1% 소폭 상승, 전년 대비 2.8% 상승으로 최근 4년 내 최저치 기록

🎯 세부 품목 주요 변동
- 항공 운임(-5.3%), 중고차(-0.7%), 차량보험료(-0.8%), 여가(-0.1%) 등 소비경기 민감 항목에서 하락세
- 개인 관리 서비스(+1.0%), 의료 서비스(+0.5%), 교육(+0.4%), 의류(+0.4%)는 상승세 유지
- 주거비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으나, 전년 대비 증가율(4.0%)은 2021년 이후 최저 수준

🤔 시사점
- 서비스 부문 중심의 끈적한 상승세는 지속
- 경기 민감 품목 하락은 소비 수요의 점진적인 약화를 시사
-> 서비스 물가는 상승 지속, 경기는 둔화
09.04.202523:11
🎯 골드만삭스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로 경기 침체가 더 이상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고 발표.
🗣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
우리는 경기 침체 수준의 관세 인상에서 성장에 매우 부정적인 수준으로 이동했다.
🗣 캐피털이코노믹스의 폴 애시워스 :
트럼프 대통령의 90일 관세 유예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09.04.202514:25
🎯 EU, 미국에 보복관세 단행
4월 15일부터 단계적 발효 (5/16, 12/1 2차례 추가 부과 예정)

🇪🇺 EU 발표 내용
1. 美 철강·알루미늄·자동차 관세에 대한 맞대응
- 미국이 EU산 철강(25%), 알루미늄(10%), 자동차(25%)에 고율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보복
- EU 27개 회원국, 집행위 제안한 보복조치 승인 예정

2. 주요 관세 대상 품목
- 미국산 오토바이, 가금류, 과일, 목재, 의류 등 → 최대 25% 추가 관세
- 대상 수입 규모: 약 210억 유로 (23조 원)

3. 향후 추가 대응 가능성
- 자동차 및 기타 품목에 대한 보복 확대 검토 중
- 유제품·주류는 제외되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로 주류 관련 추가 갈등 가능성 상존

4. 절차적 확정
- 회원국 인구 기준 65% 이상 반대 없을 시 자동 승인
- 대부분 국가들이 이미 강한 지지 표명



🤔 시사점
- 글로벌 무역전쟁 리스크 본격 확산 중
- 미국 vs 중국 → 미국 vs EU까지 전선 확대
- 소비재·산업재 가격 압력↑ → 인플레이션 우려 재점화
- 자동차·기계·명품·음료 등 글로벌 공급망 타격 우려
- 글로벌 자산시장 내 리스크오프 정서 확대 주의 요망
08.04.202505:15
[무역협상]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EU와 베트남 등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임.
🗣 트럼프 대통령 :
내일까지 34%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9일부터 중국에 추가 50%를 매기겠다. (관세 관련) 회의를 요청한 다른 국가와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다. 많은 나라가 우리와 협상하기 위해 오고 있다. 우리는 엄청난 진전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공정한 계약이 될 것이며 많은 경우 그들은 상당한 관세를 낼 것이다.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
🗣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장 :
관세에 대해 몇몇 국가가 좋은 거래를 하고 있다. 트럼프는 다른 나라가 정말 좋은 거래를 제안하면 경청하고 거래가 충분히 좋은지 결정할 것이다. (애커먼의) 핵겨울이 올 것이라는 생각은 완전히 무책임한 발언이다.
🗣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
일본과 무역 협상을 시작할 것이다.
🗣 EU :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에 대한 상호 무관세(zero-for-zero tariffs)를 미국에 제안했다. 이번 주 확정 예정인 철강 관세 보복 계획도 애초보다 축소하기로 했다.
🗣 트럼프 대통령 :
베트남의 토람 공산당 서기장과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나누었다. 그는 미국과 합의할 수 있다면 관세를 0%로 낮추고 싶다고 했다.
🗣 파이퍼샌들러 :
베트남의 관세율이 낮아질지 주목하라. 그게 트럼프가 협상을 통해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 고문 :
베트남이 관세를 0으로 인하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진짜 초점은 비관세 장벽에 맞춰져 있다.
🗣 베트남 정부 :
비관세 장벽에 대한 미국 우려에 대응하겠다.
07.04.202514:37
🎯 [Tesla와 주요 항공사 주식 평가 하향 조정]
월가에서 Tesla에 대한 신뢰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항공사 주식에 대한 평가 하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Delta는 수요일에 실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 Dan Ives (Wedbush, Global Head of Technology Research) :
Tesla의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하고 Elon Musk에게 회사에 집중할 것을 촉구합니다.
🗣 UBS :
United Airlines의 등급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 주가도 낮췄습니다. 또한 Delta Airlines에 대한 평가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합니다.
05.04.202505:10
[트럼프 정책]
🎯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을 고수하며, 고용보고서 발표 후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
🗣 트럼프 대통령 :
훌륭한 고용 수치, 예상보다 훨씬 더 좋다. 나의 계획은 이미 작동하고 있다. 우리는 질 수 없다.
🗣 JP모건 :
약 22%포인트의 관세 인상은 1968년 이후 가장 큰 세금 인상이 될 것이다. 상대국의 보복 조치, 공급망 붕괴, 시장 심리 위축으로 인해 관세 충격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
🗣 UBS :
단기적으로 관세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3~6개월 동안 관세를 낮추기 위한 적극적 조치를 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의미 있는 경기 침체와 주가 하락이라는 하방 시나리오로 기울 가능성이 크다.

🎯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시장을 박살 내고 있다는 동영상을 퍼트림.
🗣 르네상스매크로의 닐 두타 이코노미스트 :
트럼프가 하는 건 체스가 아니라 러시안룰렛이다.
🗣 버크셔해서웨이 :
동영상에서 워런 버핏이 '트럼프가 하는 건 지난 50년간 목격한 것 중 최고'라고 말했다는 것은 거짓이다.

🎯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과의 통화에서 관세를 0%로 낮출 수 있다고 밝힘.

🎯 월가는 4월 9일까지 일부 관세가 인하될 가능성을 전망.
🗣 바이탈날리지의 애덤 크리사펄리 설립자 :
많은 나라가 백악관에 연락하고 있고 앞으로 며칠 동안 그런 헤드라인이 계속 나올 것 같다.

🎯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요구하며, 파월 의장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고집.
10.04.202505:48
🎯 [Goldman Sachs, 미국 경기 침체 예측 철회]
Goldman Sachs는 미국 경기 침체 예측을 철회했습니다.
하지만 연준 관계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의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합니다.
09.04.202522:59
🎯 상호관세가 발효되면서 미 국채 금리가 급등. 10년물 수익률은 한때 4.5%까지 치솟았고, 30년물과 20년물 수익률은 모두 5% 초과.
🗣 JP모건자산운용의 프리야 미스라 포트폴리오 매니저 :
무역 전쟁, 불확실성, 이제 더 높은 금리라는 세 가지 고통이 경제에 닥치고 있다.
🗣 도이치뱅크 :
미 국채 시장의 혼란이 계속된다면 Fed가 국채를 긴급 매수하여 시장을 안정시키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 아폴로매니지먼트의 마크 로완 CEO :
팬데믹 때 Fed는 하루 1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매입했다. 경제를 지탱하는 자본 시장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된다면 Fed가 개입하여 안정화 조치를 취하는 것도 놀랍지 않을 것.
09.04.202513:38
🎯 미국 재무장관, 채권시장 디레버리징 언급 및 지나국 환율 조작 경고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현재 시장은 디레버리징 중이다. 특히 레버리지가 과도했던 투자자들이 손실을 보고 있는 중이다. 이번 국채 매도는 시스템 리스크는 아니며, 정상적인 디레버리징 현상으로 본다. 과거 헤지펀드 시절에도 이런 현상을 많이 봤다. 지나국이 위안화를 절하하면 전 세계에 세금을 부과하는 행위와 같다. 다른 국가는 이를 상쇄하기 위해 관세를 인상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지나국은 환율 조작 대신 협상 테이블에 나와야 한다.

🎯 미국의 지나국 대상 금융 제재 가능성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미 증권거래소에서 지나국 주식 전면 퇴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 지나국은 국제무역 시스템 내에서 가장 악질적인 범죄자이다.


🎯 지나국, 전면적 보복관세 단행
🗣 지나국 국무원
미국산 수입품 대상 관세율 84%로 인상하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나국산 제품에 총 104% 관세 부과한 데 대한 맞불 조치이다. 미국의 조치는 지나국의 정당한 권익 침해이며, 다자무역 질서에 대한 훼손이며, 지나국은 무역전쟁을 원하진 않지만, 결코 수세에 머물지 않겠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다. 지나국은 일방적으로 무역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 양국 간 무역은 장기적 균형구조. 최근 미국의 일방주의·보호주의가 교란 초래한 것이다. 미국이 계속 압박할 경우, 계속해서 대응 조치 나설 것이다.
08.04.202505:15
[금리]
🎯 뉴욕 채권시장에서 장기 금리가 20bp 이상 치솟았으며, 이는 경기 둔화 속에서 경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음.
🗣 SGH매크로의 팀 듀이 이코노미스트 :
수익률이 더 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 블룸버그이코노믹스의 애나 웡 이코노미스트 :
Fed는 6월 회의까지도 명확성을 갖지 못할 것이다. 회사들이 재고를 몇 달 치 갖고 있으므로 관세 영향이 그때까지 명확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찰스슈왑의 캐시 존스 채권 전략가 :
채권 수익률 급등은 시장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유동성 확보를 위한 경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투자자는 그들이 팔 수 있을 것을 다 팔고 있을 수 있다.
🗣 아이파이AI의 론 인사나 CEO :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미국 국채를 팔고 있을 수 있다.
06.04.202506:01
🎯 헤지펀드들이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의 마진콜을 받고 있으며, 일부 대형 은행들도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추가 증거금을 요구 중입니다. 자금 확보를 위해 금 매도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JP모건 등 주요 증권사들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JP모건은 관세 부과 이후 침체 확률을 60%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빌 에크먼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시간을 벌기 위해 관세 부과 연기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만약 관세가 철회되면 증시가 급반등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 추가 하락 위험도 존재합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으로 인도, 베트남, 이스라엘 등 여러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피하고 미국과 협상 중입니다.
05.04.202505:10
[고용보고서]
🎯 미국 노동부는 3월 비농업 신규고용이 22만8000개 증가했다고 발표, 실업률은 4.2%로 소폭 상승.

🎯 3월 고용 데이터는 긍정적이었으나 관세 충격으로 향후 데이터 악화 가능성.
🗣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전략가 :
3월 고용은 견실했지만, 미 경제는 트럼프 관세로 유발된 성장 하향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으므로 큰 의미가 없다.
🗣 RSM의 조셉 브루셀라스 이코노미스트 :
고용이 많이 증가했는데 이는 단순히 지난 1, 2월 악천후로 인한 약세에서 회복된 것이다.
🗣 인플레이션인사이트의 오마 샤리프 분석가 :
3월 고용이 늘어난 것을 보니 경기 침체가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누군가가 잊었던 것 같다.
Показано 1 - 24 из 58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