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DS Tech 이수림, 김진형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입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Jan 03, 2024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Oct 24, 2024Рекорды
23.04.202523:59
1.1KПодписчиков29.03.202523:59
40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18.01.202523:59
8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11.03.202523:56
3.7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24.01.202515:13
10.73%ER18.01.202523:59
1066.09%ERR01.04.202501:05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3월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21.1억달러
(+25% MoM, +0% QoQ, +29% YoY)
DRAM 모듈 21.2억달러
(+95% MoM, -10% QoQ, +26% YoY)
NAND 5.3억달러
(+79% MoM, -14% QoQ, -36% YoY)
MCP 36.6억달러
(+60% MoM, -15% QoQ, +34% YoY)
SSD 10.0억달러
(+61% MoM, -20% QoQ, +44% YoY)
3월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21.1억달러
(+25% MoM, +0% QoQ, +29% YoY)
DRAM 모듈 21.2억달러
(+95% MoM, -10% QoQ, +26% YoY)
NAND 5.3억달러
(+79% MoM, -14% QoQ, -36% YoY)
MCP 36.6억달러
(+60% MoM, -15% QoQ, +34% YoY)
SSD 10.0억달러
(+61% MoM, -20% QoQ, +44% YoY)
31.03.202500:54
삼성전자 2025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일은 4/8(화) 입니다. 업무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08.04.202513:08
마이크론, 미국 고객들에게 4월 9일부터 메모리 모듈 및 SSD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할 것
- 반도체는 상호관세가 면제되었지만 모듈, SSD는 대상
- 마이크론은 대부분의 해외 생산시설이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에 위치
- 미국 고객에게 관세 부담을 전가할 예정이며, 아시아의 다른 NAND 업체도 유사한 입장을 취하고 있음
- 미국은 4월 6일부터 일괄 10% 관세를 시작했고, 4월 10일부터 국가별 11~50% 상호 관세가 적용됨
https://www.reuters.com/technology/micron-impose-tariff-related-surcharge-some-products-april-9-sources-say-2025-04-08/
- 반도체는 상호관세가 면제되었지만 모듈, SSD는 대상
- 마이크론은 대부분의 해외 생산시설이 중국,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에 위치
- 미국 고객에게 관세 부담을 전가할 예정이며, 아시아의 다른 NAND 업체도 유사한 입장을 취하고 있음
- 미국은 4월 6일부터 일괄 10% 관세를 시작했고, 4월 10일부터 국가별 11~50% 상호 관세가 적용됨
https://www.reuters.com/technology/micron-impose-tariff-related-surcharge-some-products-april-9-sources-say-2025-04-08/
28.03.202501:33
금일 하이닉스 HBM 투자 뉴스 관련 코멘트 드립니다.
SK하이닉스 측에서 투자 축소 관련 의견이나 언급이 없었습니다. 현재 HBM 투자는 계속해서 “확보된 물량”에 맞춰서 보수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6년 물량은 아직 고객사와 협의중인 단계로 기사와 같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64559
SK하이닉스 측에서 투자 축소 관련 의견이나 언급이 없었습니다. 현재 HBM 투자는 계속해서 “확보된 물량”에 맞춰서 보수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6년 물량은 아직 고객사와 협의중인 단계로 기사와 같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64559
15.04.202523:47
추가 코멘트 드립니다.
- H20 집적회로와 관련 제품을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로 수출하기 위해 미 정부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이 조치는 무기한 적용
- H20 칩 매출은 CY2024 120~150억 달러로 추정
- 분기 손실 55억 달러는 수출 규제로 인한 구매 계약 및 재고 충당금
- FY2025 기준 NVIDIA 지역별 매출비중 상 중국(13%)은 네번째로 큰 시장. 싱가포르 18%, 대만 15% 다음
- H20에는 기존 HBM3 8hi 96GB가 주로 탑재되었고(24년 4분기 삼성전자 공급), 올해 3월 HBM3E 8hi 144GB로 채택하고 SK하이닉스에 공급 요청을 했다는 보도 있었음. 규모와 공급기간 상 HBM 매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파악
- H20 집적회로와 관련 제품을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로 수출하기 위해 미 정부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이 조치는 무기한 적용
- H20 칩 매출은 CY2024 120~150억 달러로 추정
- 분기 손실 55억 달러는 수출 규제로 인한 구매 계약 및 재고 충당금
- FY2025 기준 NVIDIA 지역별 매출비중 상 중국(13%)은 네번째로 큰 시장. 싱가포르 18%, 대만 15% 다음
- H20에는 기존 HBM3 8hi 96GB가 주로 탑재되었고(24년 4분기 삼성전자 공급), 올해 3월 HBM3E 8hi 144GB로 채택하고 SK하이닉스에 공급 요청을 했다는 보도 있었음. 규모와 공급기간 상 HBM 매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파악
post.reposted:
DS투자증권 리서치

26.03.202500:12
[DS 글로벌전략/시황 우지연] 우글스(Woogles) 03/26(수)
■ 미 증시 Upside risk 헷징이 필요한 이유
- 최근 의미심장한 미국 파생시장 움직임
- 대형 기술주 중심의 기술적 반등이 예상보다 강하게 전개될 가능성을 시사. M7 쏠림 현상 재현될 가능성 부각
- 1Q 호실적 기대 등 중기적 요인들을 고려해도 적절한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
- 결론적으로 Upside risk 헷징 측면에서 지금부터 미 대형주 포지션 늘려가는 것이 합리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 미 증시 Upside risk 헷징이 필요한 이유
- 최근 의미심장한 미국 파생시장 움직임
- 대형 기술주 중심의 기술적 반등이 예상보다 강하게 전개될 가능성을 시사. M7 쏠림 현상 재현될 가능성 부각
- 1Q 호실적 기대 등 중기적 요인들을 고려해도 적절한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
- 결론적으로 Upside risk 헷징 측면에서 지금부터 미 대형주 포지션 늘려가는 것이 합리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31.03.202506:12
NVIDIA’s GB300 Rumored to Faces Delays
- GB300은 당초 2분기 시험 생산, 3분기 양산 계획
- 공급망 제약으로 인해 고객 테스트가 연말로 지연될 수 있다는 대만 Commercial Times 보도
- 이로 인해 2025년 내 양산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고 전함
- 지연 원인은 복잡한 GB200 서버 랙 조립 때문
- TrendForce는 2025년 글로벌 AI 서버 출하량 전년 대비 약 28% 증가 전망하나 GB200/GB300 지연이 사실이라면 CSP들이 HGX, MGX 또는 자체 ASIC 기반 인프라를 선호할 것으로 전망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3/31/news-nvidias-gb300-rumored-to-faces-delays-with-customer-testing-reportedly-pushed-off-to-q4/
- GB300은 당초 2분기 시험 생산, 3분기 양산 계획
- 공급망 제약으로 인해 고객 테스트가 연말로 지연될 수 있다는 대만 Commercial Times 보도
- 이로 인해 2025년 내 양산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고 전함
- 지연 원인은 복잡한 GB200 서버 랙 조립 때문
- TrendForce는 2025년 글로벌 AI 서버 출하량 전년 대비 약 28% 증가 전망하나 GB200/GB300 지연이 사실이라면 CSP들이 HGX, MGX 또는 자체 ASIC 기반 인프라를 선호할 것으로 전망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3/31/news-nvidias-gb300-rumored-to-faces-delays-with-customer-testing-reportedly-pushed-off-to-q4/


08.04.202504:33
삼성전자 1분기 실적 관련 당사 세부 추정치 공유드립니다. 업무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01.04.202505:03
SK하이닉스, M10F의 기존 D램 패키징 라인을 HBM 패키징으로 변경. 규모는 10K 수준
- SK하이닉스는 HBM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이천 M10F, 청주 M8 전환투자와 청주 M15F 신규 팹 투자를 추진해왔으며 M10F가 가장 먼저 완료
- 4분기 M15X 가동 시작, 내년 상반기 M8 가동
- 당사는 올해 SK하이닉스 HBM Capa를 155K~165K 수준으로 추정
https://www.etnews.com/20250401000270
- SK하이닉스는 HBM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이천 M10F, 청주 M8 전환투자와 청주 M15F 신규 팹 투자를 추진해왔으며 M10F가 가장 먼저 완료
- 4분기 M15X 가동 시작, 내년 상반기 M8 가동
- 당사는 올해 SK하이닉스 HBM Capa를 155K~165K 수준으로 추정
https://www.etnews.com/20250401000270
15.04.202522:16
Nvidia says it will record $5.5 billion charge tied to H20 processors exported to China
- NVIDIA는 화요일 중국 및 기타 지역으로의 H20 GPU 수출과 관련해 약 55억 달러 규모의 분기 손실을 반영할 것이라고 밝힘
- 기존의 수출 제한 외에도 바이든 행정부의 ‘AI 확산 규제(AI diffusion rules)’에 따라 5월부터 새로운 수출 제한을 적용받게 됨
- 이 소식에 따라 NVIDIA 주가는 장외 거래에서 약 5% 하락
- 1분기 실적발표는 5월 28일 예정
https://www.cnbc.com/amp/2025/04/15/nvidia-says-it-will-record-5point5-billion-quarterly-charge-tied-to-h20-processors-exported-to-china.html
- NVIDIA는 화요일 중국 및 기타 지역으로의 H20 GPU 수출과 관련해 약 55억 달러 규모의 분기 손실을 반영할 것이라고 밝힘
- 기존의 수출 제한 외에도 바이든 행정부의 ‘AI 확산 규제(AI diffusion rules)’에 따라 5월부터 새로운 수출 제한을 적용받게 됨
- 이 소식에 따라 NVIDIA 주가는 장외 거래에서 약 5% 하락
- 1분기 실적발표는 5월 28일 예정
https://www.cnbc.com/amp/2025/04/15/nvidia-says-it-will-record-5point5-billion-quarterly-charge-tied-to-h20-processors-exported-to-china.html
30.03.202522:1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테스 - 25년 영업이익 35% 증가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8,000원(신규)
현재주가 : 21,700원(03/28)
Upside : 29.0%
1. NAND 중심에서 DRAM으로의 확대
- 2023년까지 장비 매출 60% 이상이 NAND향으로 발생했으나 HBM으로 인한 DRAM 증설 및 전환으로 2024년 DRAM향 매출이 전체 77%까지 증가
- 2025년 전체 매출 내 DRAM 비중은 60% 수준을 전망
2. 상반기는 전환투자, 하반기는 신규투자가 매출 성장에 기여
- 2025년 PECVD 장비 성장에 힘입어 동사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 증가할 전망
- 1H25는 국내 메모리 업체들의 DRAM 1b 공정 전환과 NAND 300단 전환투자, 2H25는 1c 전환 및 신규 투자가 예상
- DRAM 1a에서 1b, 1c 공정으로 가면서 스텝 수가 50%, 20% 추가 증가하며 장비 적용 영역 확대
3. 고객사 다변화되며 마진율 개선
- 2024년 기준 기존 최대 고객사의 매출비중은 39%까지 떨어졌으며 신규 해외 고객사향 매출이 14%까지 증가
- 해외 고객사는 국내 고객사 대비 단가가 높아 매출 증가가 마진율 개선으로 이어짐
4.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8,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2025년 영업이익은 520억원(+35% YoY, OPM 17.3%)으로 추정하며 이를 반영한 2025F P/E는 현재 8.4배 수준
- 지난 5개년간 평균 12M Fwd P/E가 10.8배임을 감안하면 최근의 주가상승에도 불구, 여전히 저평가라는 판단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테스 - 25년 영업이익 35% 증가 전망
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28,000원(신규)
현재주가 : 21,700원(03/28)
Upside : 29.0%
1. NAND 중심에서 DRAM으로의 확대
- 2023년까지 장비 매출 60% 이상이 NAND향으로 발생했으나 HBM으로 인한 DRAM 증설 및 전환으로 2024년 DRAM향 매출이 전체 77%까지 증가
- 2025년 전체 매출 내 DRAM 비중은 60% 수준을 전망
2. 상반기는 전환투자, 하반기는 신규투자가 매출 성장에 기여
- 2025년 PECVD 장비 성장에 힘입어 동사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 증가할 전망
- 1H25는 국내 메모리 업체들의 DRAM 1b 공정 전환과 NAND 300단 전환투자, 2H25는 1c 전환 및 신규 투자가 예상
- DRAM 1a에서 1b, 1c 공정으로 가면서 스텝 수가 50%, 20% 추가 증가하며 장비 적용 영역 확대
3. 고객사 다변화되며 마진율 개선
- 2024년 기준 기존 최대 고객사의 매출비중은 39%까지 떨어졌으며 신규 해외 고객사향 매출이 14%까지 증가
- 해외 고객사는 국내 고객사 대비 단가가 높아 매출 증가가 마진율 개선으로 이어짐
4.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8,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2025년 영업이익은 520억원(+35% YoY, OPM 17.3%)으로 추정하며 이를 반영한 2025F P/E는 현재 8.4배 수준
- 지난 5개년간 평균 12M Fwd P/E가 10.8배임을 감안하면 최근의 주가상승에도 불구, 여전히 저평가라는 판단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3.04.202523:17
Trump says tariffs on semiconductors will start 'very soon'
1. 트럼프, 중국(34%), 대만(32%), 한국(25%)에 고율 관세 부과
- 모든 수입품에도 기본 10% 관세 적용
2. 전자제품(데이터 센터 장비 포함)은 미국의 주요 수입 품목
- 2024년 데이터 처리 장비 수입만 2,000억 달러 규모
3.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 차질 우려
- Oracle, SoftBank 등 대규모 투자 계획 차질 가능성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은 이미 신중한 기조로 전환 중
4. 자본 지출 방향 전환 예상
- ‘확장’에서 ‘조달 리스크 대응’과 ‘공급망 이전’으로 초점 이동
5. 반도체는 현재 관세 대상 아님
- 그러나 향후 칩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 있음 ("The chips are starting very soon," he said according to a White House pool report.)
6. 주요 반도체·빅테크 기업 주가 하락
- Nvidia, AMD, Broadcom 7~10% 하락
- TSMC 미국 상장 주식도 7.6% 하락
- Intel은 TSMC와의 JV 소식으로 2.1% 상승
7. 데이터 센터 비용 상승 불가피
- 장비 가격 인상 우려
- AI 하드웨어의 수입 분류 방식이 향후 관세 영향의 핵심 변수
https://www.reuters.com/technology/trump-tariffs-could-stymie-big-techs-us-data-center-spending-spree-2025-04-03/
https://m-en.yna.co.kr/view/AEN20250404000700315
1. 트럼프, 중국(34%), 대만(32%), 한국(25%)에 고율 관세 부과
- 모든 수입품에도 기본 10% 관세 적용
2. 전자제품(데이터 센터 장비 포함)은 미국의 주요 수입 품목
- 2024년 데이터 처리 장비 수입만 2,000억 달러 규모
3. 빅테크의 AI 인프라 투자 차질 우려
- Oracle, SoftBank 등 대규모 투자 계획 차질 가능성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은 이미 신중한 기조로 전환 중
4. 자본 지출 방향 전환 예상
- ‘확장’에서 ‘조달 리스크 대응’과 ‘공급망 이전’으로 초점 이동
5. 반도체는 현재 관세 대상 아님
- 그러나 향후 칩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 있음 ("The chips are starting very soon," he said according to a White House pool report.)
6. 주요 반도체·빅테크 기업 주가 하락
- Nvidia, AMD, Broadcom 7~10% 하락
- TSMC 미국 상장 주식도 7.6% 하락
- Intel은 TSMC와의 JV 소식으로 2.1% 상승
7. 데이터 센터 비용 상승 불가피
- 장비 가격 인상 우려
- AI 하드웨어의 수입 분류 방식이 향후 관세 영향의 핵심 변수
https://www.reuters.com/technology/trump-tariffs-could-stymie-big-techs-us-data-center-spending-spree-2025-04-03/
https://m-en.yna.co.kr/view/AEN20250404000700315
06.04.202522:01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관세 폭풍 속 Silver-lining 찾기
1. 반도체 직접 관세는 피했지만 최종 제품인 IT 기기는 관세 적용
- 결국 IT 기기 수요 측면에서는 타격이 불가피
- 중간재인 메모리 반도체는 관세로 인한 IT 기기 수요 감소 시 가격 하락 압박이 나타날 수 있음
- 미국 정부 향후 특정 칩에 대한 관세 부과 역시 계획 중
2. IT 기기에 대한 높은 관세는 중국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
- 관세 부담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의 글로벌 수요 위축 가능성
- 특히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약화가 수출 감소로 이어지고 내수 소비심리 위축을 야기할 것
- 미국 역시 IT 기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존재하나 서버 비중이 높고 가격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3.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비용 증가로 AI Capex 지연에 대한 우려도 제기
- AI 하드웨어 및 IT 기기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빅테크 기업들의 인프라 구축 비용 역시 증가 전망
- 영향 범위는 불확실하지만 특히 데이터센터 장비 가격 상승 전망
- 빅테크의 AI Capex 축소 시 AI 하드웨어 밸류체인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
4. 고성능만이 살길,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견조할 것
- SK하이닉스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서버 DRAM과 eSSD의 판매비중 역시 높아지는 중
- HBM은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전망
- 2024년 기준 미국향 매출 비중 SK하이닉스 63%, 삼성전자 반도체 29% 미만으로 추정. 중국향 매출 비중은 SK하이닉스 23%, 삼성전자 반도체 31% 이상으로 추정. 중국 IT 기기 수요에는 삼성전자가 상대적으로 더 민감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관세 폭풍 속 Silver-lining 찾기
1. 반도체 직접 관세는 피했지만 최종 제품인 IT 기기는 관세 적용
- 결국 IT 기기 수요 측면에서는 타격이 불가피
- 중간재인 메모리 반도체는 관세로 인한 IT 기기 수요 감소 시 가격 하락 압박이 나타날 수 있음
- 미국 정부 향후 특정 칩에 대한 관세 부과 역시 계획 중
2. IT 기기에 대한 높은 관세는 중국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
- 관세 부담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의 글로벌 수요 위축 가능성
- 특히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약화가 수출 감소로 이어지고 내수 소비심리 위축을 야기할 것
- 미국 역시 IT 기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영향이 존재하나 서버 비중이 높고 가격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3.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비용 증가로 AI Capex 지연에 대한 우려도 제기
- AI 하드웨어 및 IT 기기에 대한 관세 부과로 인해 빅테크 기업들의 인프라 구축 비용 역시 증가 전망
- 영향 범위는 불확실하지만 특히 데이터센터 장비 가격 상승 전망
- 빅테크의 AI Capex 축소 시 AI 하드웨어 밸류체인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
4. 고성능만이 살길,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견조할 것
- SK하이닉스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서버 DRAM과 eSSD의 판매비중 역시 높아지는 중
- HBM은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전망
- 2024년 기준 미국향 매출 비중 SK하이닉스 63%, 삼성전자 반도체 29% 미만으로 추정. 중국향 매출 비중은 SK하이닉스 23%, 삼성전자 반도체 31% 이상으로 추정. 중국 IT 기기 수요에는 삼성전자가 상대적으로 더 민감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3.04.202510:24
Microsoft Pulls Back on Data Centers From Chicago to Jakarta
- 마이크로소프트가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있음
-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함
-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 미국의 일부 지역(일리노이, 노스다코타, 위스콘신)에서 프로젝트 중단 또는 지연
- 구체적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투자 전략 재조정의 일환으로 해석됨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03/microsoft-pulls-back-on-data-centers-from-chicago-to-jakarta
- 마이크로소프트가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있음
-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함
-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 미국의 일부 지역(일리노이, 노스다코타, 위스콘신)에서 프로젝트 중단 또는 지연
- 구체적인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투자 전략 재조정의 일환으로 해석됨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03/microsoft-pulls-back-on-data-centers-from-chicago-to-jakarta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