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2.202509:20
멀티탭을 산 자 위너s
이래서 사명이 중요합니다.
이래서 사명이 중요합니다.


24.02.202506:01
[금일 피부미용장비기업 근황 - 모노RF의 시대?]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모노RF 비중이 타기업대비 높은 원텍(올리지오, 올리지오X), 아스테라시스(쿨페이즈) 기업이 강세입니다.
제이시스메디칼(덴서티)과 루트로닉(세르프)도 만약 자진상폐가 안되었다면 작년에 덴서티와 세르프가 원체 핫했고 오늘같은날 같이 많이 올랐을텐데 투자를 못한다는게 많이 아쉽습니다.
+
근데 진짜 괜찮은 피부미용 기업들이 점점 M&A되거나 인수되거나 공개매수 후 자진상폐되거나 전자증권이 폐지되는등 투자의 폭이 줄어드는게 개인적으로 너무너무 아쉽습니다.
(비상장 피부미용기업중 투자자로써 정말 매력적인 기업이 3개 있는데 인맥동원하고 수소문해도 3기업다 현재는 투자가 불가능해서 더 아쉬울 뿐입니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모노RF 비중이 타기업대비 높은 원텍(올리지오, 올리지오X), 아스테라시스(쿨페이즈) 기업이 강세입니다.
제이시스메디칼(덴서티)과 루트로닉(세르프)도 만약 자진상폐가 안되었다면 작년에 덴서티와 세르프가 원체 핫했고 오늘같은날 같이 많이 올랐을텐데 투자를 못한다는게 많이 아쉽습니다.
+
근데 진짜 괜찮은 피부미용 기업들이 점점 M&A되거나 인수되거나 공개매수 후 자진상폐되거나 전자증권이 폐지되는등 투자의 폭이 줄어드는게 개인적으로 너무너무 아쉽습니다.
(비상장 피부미용기업중 투자자로써 정말 매력적인 기업이 3개 있는데 인맥동원하고 수소문해도 3기업다 현재는 투자가 불가능해서 더 아쉬울 뿐입니다.)


24.02.202500:44
[엘라비에 리투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강남에서 피부과하시는 지인분이 보내주신 엘라비에 리투오 실물사진
(지인분에게 공유 허락맡고 올립니다.)
유통은 휴메딕스가 담당하고 있으며 상기기사에서 처럼 제조는 엘앤씨바이오입니다.
일단 기존 스킨부스터 시장에서 완전 새로운 방식이고 피부과 시술중 고가시술인데 작년 11월 출시 후 초기단계라서 분위기 잘 살펴보겠습니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강남에서 피부과하시는 지인분이 보내주신 엘라비에 리투오 실물사진
(지인분에게 공유 허락맡고 올립니다.)
유통은 휴메딕스가 담당하고 있으며 상기기사에서 처럼 제조는 엘앤씨바이오입니다.
일단 기존 스킨부스터 시장에서 완전 새로운 방식이고 피부과 시술중 고가시술인데 작년 11월 출시 후 초기단계라서 분위기 잘 살펴보겠습니다.
18.02.202506:59
[제오민 - 국내물량 일부 품절 대란]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내성 없는 보톡스 오리지날인 멀츠사의 제오민이 현재 품절이 된 상황이라고 합니다.
(다만, 일반 보톡스는 국내 제품들이 정말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품절될 가능성은 0.0001%정도...?)
피부과에서 물량을 요청해도 신청한 모든 피부과가 다 받을 수 가 없는 상황
⭕️ 보톡스는 피부과 시술중 가장 기본중의 기본인 시술인데 제오민이 품절될 정도면 의대증원 + 외국인관광객수요로 인한 내수쪽 수요 증가의 반증이라고 보여집니다.
저 같은 경우도 보톡스는 내성 발생확률 자체가 높진 않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는 우려때문에 몇년간 무조건 6개월 주기로 제오민만 시술받아왔는데... 다음에 시술 받을 때 제가가는 피부과에 제오민 재고가 없을까봐 살짝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내성 없는 보톡스관련해선 과거 제가 채널에 남긴글을 공유드립니다.
⭕️ [내성 없는 보톡스의 필수성]
보톡스 내성은
1. 짧은 주기의 반복적인 시술
2. 고용량의 시술 상기의 두 가지 경우에 생기는데 바비보톡스는 40대의 고용량 시술이라 내성 걱정이 없는 제오민(멀츠), 코어톡스(메디톡스)의 필수성이 지속적으로 부각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내성 없는 보톡스 오리지날인 멀츠사의 제오민이 현재 품절이 된 상황이라고 합니다.
(다만, 일반 보톡스는 국내 제품들이 정말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품절될 가능성은 0.0001%정도...?)
피부과에서 물량을 요청해도 신청한 모든 피부과가 다 받을 수 가 없는 상황
⭕️ 보톡스는 피부과 시술중 가장 기본중의 기본인 시술인데 제오민이 품절될 정도면 의대증원 + 외국인관광객수요로 인한 내수쪽 수요 증가의 반증이라고 보여집니다.
저 같은 경우도 보톡스는 내성 발생확률 자체가 높진 않지만 그래도 혹시나 하는 우려때문에 몇년간 무조건 6개월 주기로 제오민만 시술받아왔는데... 다음에 시술 받을 때 제가가는 피부과에 제오민 재고가 없을까봐 살짝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내성 없는 보톡스관련해선 과거 제가 채널에 남긴글을 공유드립니다.
⭕️ [내성 없는 보톡스의 필수성]
보톡스 내성은
1. 짧은 주기의 반복적인 시술
2. 고용량의 시술 상기의 두 가지 경우에 생기는데 바비보톡스는 40대의 고용량 시술이라 내성 걱정이 없는 제오민(멀츠), 코어톡스(메디톡스)의 필수성이 지속적으로 부각
16.02.202522:04
["우린 불황 몰라"…클래시스·원텍, 실적·판매량 새로 썼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4_0003065516
#클래시스, #원텍, #CLASSYS, #WONTECH
국내 미용 의료기기 기업들이 의정갈등 여파를 비켜가는 모양새다. 제약, 바이오, 병원 등이 의정갈등으로 매출, 판매량 등에서 직격탄을 맞은 것과 대비되는 모습니다.
⭕️ 클래시스는 올해 매출 전망에 자신감을 적극 반영했다. 클래시스는 2025년 매출 전망치를 3500억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44% 증가한 수치로, 2000억원 돌파 후 단 1년 만에 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 원텍은 태국 시장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원텍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태국 방콕 두짓 타니 호텔에서 열린 '1st WON Prestige Gala Night' 행사에서 원텍은 2024년 태국 시장에서 목표했던 150대의 두 배를 넘는 300대 이상의 올리지오(Oligio)를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김정현 대표는 이번 행사에서 "태국 시장에서의 성과는 단순한 판매 증가가 아니라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 신뢰도를 확보한 결과”라며 “태국을 시작으로 동남아 전역과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보다 공격적인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가 호실적을 기록한 것은 국내외 상황이 모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품군 자체는 상향평준화 된 시장에서 K-드라마, K-팝 등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국내 제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졌다"라며
⭕️ "국내에서도 의정갈등 등으로 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미용 중심의 개원 증가가 일정부분 수요를 가져갔다"라고 말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4_0003065516
#클래시스, #원텍, #CLASSYS, #WONTECH
국내 미용 의료기기 기업들이 의정갈등 여파를 비켜가는 모양새다. 제약, 바이오, 병원 등이 의정갈등으로 매출, 판매량 등에서 직격탄을 맞은 것과 대비되는 모습니다.
⭕️ 클래시스는 올해 매출 전망에 자신감을 적극 반영했다. 클래시스는 2025년 매출 전망치를 3500억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44% 증가한 수치로, 2000억원 돌파 후 단 1년 만에 3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 원텍은 태국 시장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원텍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태국 방콕 두짓 타니 호텔에서 열린 '1st WON Prestige Gala Night' 행사에서 원텍은 2024년 태국 시장에서 목표했던 150대의 두 배를 넘는 300대 이상의 올리지오(Oligio)를 판매했다고 발표했다.
김정현 대표는 이번 행사에서 "태국 시장에서의 성과는 단순한 판매 증가가 아니라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 신뢰도를 확보한 결과”라며 “태국을 시작으로 동남아 전역과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보다 공격적인 전략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가 호실적을 기록한 것은 국내외 상황이 모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품군 자체는 상향평준화 된 시장에서 K-드라마, K-팝 등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국내 제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졌다"라며
⭕️ "국내에서도 의정갈등 등으로 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의 미용 중심의 개원 증가가 일정부분 수요를 가져갔다"라고 말했다.
14.02.202514:18
[원텍 -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변동 공시가 올라오지 않기를(?) 기원하며🙏🏻]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 글을 읽기전 하기의 아이디어는 앞으로 원텍의 30% 변동공시가 올라오지 않아야만 유효하므로 이를 반드시 감안하여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업보고서보다 30%변동공시가 먼저 올라오기에 이를 통해 4Q실적을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30%변동공시는 연간누적으로 매출이나 손익이 YoY +30% or -30% 변동이 되었을 때 공시의무 대상입니다.
원텍의 경우는 1Q24부터 어닝쇼크가 났고 2Q, 3Q또한 실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 현재의 상황에서 +30%변동공시가 나오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30% 변동공시가 나오냐 나오지 않냐에 따라서 네이버 컨센을 비트하냐 비트하지 못하냐가 결정되게 됩니다.
현재 원텍의 2024년 네이버컨센은 매출액 1,102억(E), OP 313억(E), NP 388억(E)입니다.
만약 -30%변동공시가 앞으로 올라오지 않는다면 상기 엑셀표에서 계산되는거처럼 최소한 2024년 매출액은 809억, OP 322억, NP 272억 이상이 나오게 됩니다.
4Q만 따로 빼서 계산을 해보면 매출액 24억, OP 113억, NP 121억이 됩니다.
매출액이 24억이 나올 가능성은 거의 0%라 보면되고, 사업보고서가 나오기전까지 -30%변동공시가 나오지않는다면 4Q24 네이버 컨센인 OP 103억, NP90억 대비 어닝서프가 나오게됩니다.
4Q실적이 컨센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정말 있을까? 고민을 해보면
⭕️ 1. 4Q에 생각보다 내수 매출이 좋았을 가능성
이는 시술가 하락으로 인한 국내 수요 증가와 외국관광객들의 피부과결제금액 증가분을 봤을 때 유추해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실제 클래시스도 4Q24 내수매출이 YoY 29.4%증가하였고 수출은 오히려 이보다 낮은 23.3%증가하였음)
⭕️ 2. 기존에 쌓아두었던 태국 대손상각비용 환입
대손상각비용의 경우 제가 작년 05월14일에 채널에 작성한 "판관비에서 QoQ대비 갑자기 늘어난 대손상각비 13.7억 또한 해외법인에서 재고로 가지고 있다가 팔리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해 잡은걸로 보였는데 회사 IR팀에 확인결과 해외법인의 재고가 판매되지 않을경우를 대비한 대손상각비용이라고 합니다."부분인데 태국의 경우 본사 -> 해외 대리점 직납구조에서 본사 -> 설립한 아시아법인 -> 해외 대리점 납품구조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금일 기사를 보면 태국 분위기가 좋은걸로 보여지고 그럼 앞분기들에 잡혔던 대손충당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3. 작년 9월 중국과 맺은 기술이전료
작년 9월 중국과 기술이전 대가로 4천만 위완(약 75억원)을 받을 예정입니다.
당시에는 기사가 나와도 원텍실적이 망가지던 시점이라 주가는 되려 그이후로 계속 하락하였습니다.
이 기술이전료가 언제 잡힐지는 모르나 아마도 일정금액씩 나눠서 분기에 들어올걸로 보여집니다.
정말 빠르면 4Q24부터 일부금액들이 들어올 가능성도 있고 느리면 올해부터 계약조건에 따라 천천히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회사에서 이부분 관련해여 수익 인식시기나 얼마씩 나눠서 들어올지는 노코멘트를 하고 있기때문에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
30% 변동공시기한이 언제인지가 중요하므로 자료를 좀 찾아봤습니다.
일단 상법에서는 재무제표등의 제출을 하기와 같이 법으로 정해놓고 있습니다.
⭕️ 제447조의3(재무제표등의 제출) 이사는 정기총회회일의 6주간전에 제447조 및 제447조의2의 서류를 감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공시의 경우 결산이 있어야 하고 결산은 주총 6주전(개별기준), 주총 4주전(연결기준 상법+외감법)에 공시를 하여야 합니다.
다만 2025년 공시담당자분들 실무글을 보면 2주간 전도하여 주총 2주전에 한 케이스도 있고 이와관련하여 상법을 위반해도 패널티가 없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과거 원텍의 주총날짜를 보면
2021년 3월 23일 (화) 9시
2022년 3월 24일(목요일) 오전 9시
2023년 03월28일(화요일) 오전9시
2024년 03월 28일(목) 오전 10시
입니다.
최근 2년간 원텍의 주총 날짜는 03월 28일이고(앞에 2년은 이보다 몇일 빠른 3월 23일, 3월24일) 기한이라고 할 수 있는 개별기준으로 6주전 날짜는 02월14일인 금일입니다.
다만 위에 제가 자료를 찾아봤듯이 2주간 전도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고 상법을 위반하여도 딱히 패널티가 없다는 실무자분의 얘기가 있어 금일 이후로도 30% 변동공시는 올라올 수가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과거 원텍의 30%변동공시 날짜를 보면
2021년 02월08일(이사회결정일 02월08일)
2022년 03월 08일(이사회 결정일 02월09일)
2023년 02월 10일(03월15일 기재정정)
2024년 02월 08일(03월07일 기재정정)
입니다.
이사회결정은 2월중순전에 다 결정이 났으며 공시의 경우는 2022년을 제외하고는 이사회 결정일날 공시가 올라왔습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글 내용중 틀린 내용이 있거나 30%변동공시기한에 대해서 실무적으로 정확하게 알고계신 해당업무담당자 분이나 상장사의 공시담당자 분이 계신다면 블로그나 오픈톡을 통해서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 글을 읽기전 하기의 아이디어는 앞으로 원텍의 30% 변동공시가 올라오지 않아야만 유효하므로 이를 반드시 감안하여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업보고서보다 30%변동공시가 먼저 올라오기에 이를 통해 4Q실적을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30%변동공시는 연간누적으로 매출이나 손익이 YoY +30% or -30% 변동이 되었을 때 공시의무 대상입니다.
원텍의 경우는 1Q24부터 어닝쇼크가 났고 2Q, 3Q또한 실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 현재의 상황에서 +30%변동공시가 나오는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30% 변동공시가 나오냐 나오지 않냐에 따라서 네이버 컨센을 비트하냐 비트하지 못하냐가 결정되게 됩니다.
현재 원텍의 2024년 네이버컨센은 매출액 1,102억(E), OP 313억(E), NP 388억(E)입니다.
만약 -30%변동공시가 앞으로 올라오지 않는다면 상기 엑셀표에서 계산되는거처럼 최소한 2024년 매출액은 809억, OP 322억, NP 272억 이상이 나오게 됩니다.
4Q만 따로 빼서 계산을 해보면 매출액 24억, OP 113억, NP 121억이 됩니다.
매출액이 24억이 나올 가능성은 거의 0%라 보면되고, 사업보고서가 나오기전까지 -30%변동공시가 나오지않는다면 4Q24 네이버 컨센인 OP 103억, NP90억 대비 어닝서프가 나오게됩니다.
4Q실적이 컨센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정말 있을까? 고민을 해보면
⭕️ 1. 4Q에 생각보다 내수 매출이 좋았을 가능성
이는 시술가 하락으로 인한 국내 수요 증가와 외국관광객들의 피부과결제금액 증가분을 봤을 때 유추해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실제 클래시스도 4Q24 내수매출이 YoY 29.4%증가하였고 수출은 오히려 이보다 낮은 23.3%증가하였음)
⭕️ 2. 기존에 쌓아두었던 태국 대손상각비용 환입
대손상각비용의 경우 제가 작년 05월14일에 채널에 작성한 "판관비에서 QoQ대비 갑자기 늘어난 대손상각비 13.7억 또한 해외법인에서 재고로 가지고 있다가 팔리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해 잡은걸로 보였는데 회사 IR팀에 확인결과 해외법인의 재고가 판매되지 않을경우를 대비한 대손상각비용이라고 합니다."부분인데 태국의 경우 본사 -> 해외 대리점 직납구조에서 본사 -> 설립한 아시아법인 -> 해외 대리점 납품구조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금일 기사를 보면 태국 분위기가 좋은걸로 보여지고 그럼 앞분기들에 잡혔던 대손충당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 3. 작년 9월 중국과 맺은 기술이전료
작년 9월 중국과 기술이전 대가로 4천만 위완(약 75억원)을 받을 예정입니다.
당시에는 기사가 나와도 원텍실적이 망가지던 시점이라 주가는 되려 그이후로 계속 하락하였습니다.
이 기술이전료가 언제 잡힐지는 모르나 아마도 일정금액씩 나눠서 분기에 들어올걸로 보여집니다.
정말 빠르면 4Q24부터 일부금액들이 들어올 가능성도 있고 느리면 올해부터 계약조건에 따라 천천히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회사에서 이부분 관련해여 수익 인식시기나 얼마씩 나눠서 들어올지는 노코멘트를 하고 있기때문에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
30% 변동공시기한이 언제인지가 중요하므로 자료를 좀 찾아봤습니다.
일단 상법에서는 재무제표등의 제출을 하기와 같이 법으로 정해놓고 있습니다.
⭕️ 제447조의3(재무제표등의 제출) 이사는 정기총회회일의 6주간전에 제447조 및 제447조의2의 서류를 감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공시의 경우 결산이 있어야 하고 결산은 주총 6주전(개별기준), 주총 4주전(연결기준 상법+외감법)에 공시를 하여야 합니다.
다만 2025년 공시담당자분들 실무글을 보면 2주간 전도하여 주총 2주전에 한 케이스도 있고 이와관련하여 상법을 위반해도 패널티가 없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과거 원텍의 주총날짜를 보면
2021년 3월 23일 (화) 9시
2022년 3월 24일(목요일) 오전 9시
2023년 03월28일(화요일) 오전9시
2024년 03월 28일(목) 오전 10시
입니다.
최근 2년간 원텍의 주총 날짜는 03월 28일이고(앞에 2년은 이보다 몇일 빠른 3월 23일, 3월24일) 기한이라고 할 수 있는 개별기준으로 6주전 날짜는 02월14일인 금일입니다.
다만 위에 제가 자료를 찾아봤듯이 2주간 전도할 수 있다는 얘기가 있고 상법을 위반하여도 딱히 패널티가 없다는 실무자분의 얘기가 있어 금일 이후로도 30% 변동공시는 올라올 수가 있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과거 원텍의 30%변동공시 날짜를 보면
2021년 02월08일(이사회결정일 02월08일)
2022년 03월 08일(이사회 결정일 02월09일)
2023년 02월 10일(03월15일 기재정정)
2024년 02월 08일(03월07일 기재정정)
입니다.
이사회결정은 2월중순전에 다 결정이 났으며 공시의 경우는 2022년을 제외하고는 이사회 결정일날 공시가 올라왔습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글 내용중 틀린 내용이 있거나 30%변동공시기한에 대해서 실무적으로 정확하게 알고계신 해당업무담당자 분이나 상장사의 공시담당자 분이 계신다면 블로그나 오픈톡을 통해서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4.02.202505:07
[아스테라시스 상승vi🔥]
24.02.202500:33
[엘앤씨바이오, ‘ECM’ 특장점 기반 차세대 재생 스킨부스터 시장 선점]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2432
엘앤씨바이오(대표 이환철)는 지난 20일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엘라비에 리투오(Elravie Re2O) 런칭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진행했다.
엘라비에 리투오는 hADM(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무세포동종진피)를 미분화한 파우더형 제품으로, 콜라겐 뿐만 아니라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포함 GAG 등 실제 피부를 이루는 ECM(Extra Cellular Dermal Matrix, 세포외기질) 성분으로 구성됐다.
hADM는 기증 받은 피부에서 표피 및 지방을 제거한 진피로 무세포화 과정을 통해 순수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과 같은 ECM 형태의 인체 유래 피부 대체재이다. 조직 3차원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조직 내 세포 및 면역거부 반응 원인 인자를 제거하는 엘앤씨바이오 고유의 기술을 적용했다.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2432
엘앤씨바이오(대표 이환철)는 지난 20일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엘라비에 리투오(Elravie Re2O) 런칭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진행했다.
엘라비에 리투오는 hADM(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무세포동종진피)를 미분화한 파우더형 제품으로, 콜라겐 뿐만 아니라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포함 GAG 등 실제 피부를 이루는 ECM(Extra Cellular Dermal Matrix, 세포외기질) 성분으로 구성됐다.
hADM는 기증 받은 피부에서 표피 및 지방을 제거한 진피로 무세포화 과정을 통해 순수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과 같은 ECM 형태의 인체 유래 피부 대체재이다. 조직 3차원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조직 내 세포 및 면역거부 반응 원인 인자를 제거하는 엘앤씨바이오 고유의 기술을 적용했다.


18.02.202503:23
[에이피알 상승vi🔥]
외국계 IR 기간인데 외국인 형님들이 보시기에 좋아보이신듯?
아무튼 화이또!
외국계 IR 기간인데 외국인 형님들이 보시기에 좋아보이신듯?
아무튼 화이또!
16.02.202508:40
[부스터프로 - 신세계 면세점 전체 랭킹 1위🔥]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해외출장이 많은 지인분이 기내면세점만 이용하시다가 금일 미리 인터넷으로 예약하다 전해주신 소식 공유허락받고 올립니다.
저도 사실 확인차 신세계 면세점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뷰티카테고리가 아닌
⭕️ 카테고리 전체 랭킹에서 부스터프로가 당당하게 1위를 하고 있습니다.
신세계면세점의 경우 할인 기준 $193.8이고 대한한공 면세의 경우 할인기준 $175라서 더 비싸지만 대한한공면세에서 랭킹 1위는 불멸의 조니워커 블루라벨이고 2,3,4,5위까지도 주류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스터프로 가격이 더 비싼데도 왜 신세계면세에선 전체카테고리에서 1위이고 가격이 더 싼 대한한공 면세에선 랭킹이 뒤쪽일까? 고민을 해보면
⭕️ 1. 신세계면세점은 LCC 탑승을 하여도 모든 출국 승객이 이용할 수 있다.
⭕️ 2. LCC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비율이 아무래도 댄공이나 아시아나를 이용하는 연령대 보다 낮을 확률이 있고 소비자의 경제능력을 고려했을 때 대한한공보다는 좀 더 평균적이고 전체적인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더 잘 반영해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반증으로 대한한공 면세의 경우 고가의 주류순위가 압도적으로 높음)
⭕️ 3. 기존에는 주류나, 고가의 화장품이 면세 단골 품목이었으나 최근에는 중저가 화장품과 뷰티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 결론 : LCC로 인한 해외여행 비용 감소로인한 여행객들의 증가와 평균 연령대 감소 + 최근 사람들의 피부미용,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 + 모든 출국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신세계면세점 순위에서 이러한 효과가 보여지고 있다.
#에이피알, #APR, #부스터프로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해외출장이 많은 지인분이 기내면세점만 이용하시다가 금일 미리 인터넷으로 예약하다 전해주신 소식 공유허락받고 올립니다.
저도 사실 확인차 신세계 면세점 사이트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뷰티카테고리가 아닌
⭕️ 카테고리 전체 랭킹에서 부스터프로가 당당하게 1위를 하고 있습니다.
신세계면세점의 경우 할인 기준 $193.8이고 대한한공 면세의 경우 할인기준 $175라서 더 비싸지만 대한한공면세에서 랭킹 1위는 불멸의 조니워커 블루라벨이고 2,3,4,5위까지도 주류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스터프로 가격이 더 비싼데도 왜 신세계면세에선 전체카테고리에서 1위이고 가격이 더 싼 대한한공 면세에선 랭킹이 뒤쪽일까? 고민을 해보면
⭕️ 1. 신세계면세점은 LCC 탑승을 하여도 모든 출국 승객이 이용할 수 있다.
⭕️ 2. LCC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비율이 아무래도 댄공이나 아시아나를 이용하는 연령대 보다 낮을 확률이 있고 소비자의 경제능력을 고려했을 때 대한한공보다는 좀 더 평균적이고 전체적인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더 잘 반영해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한 반증으로 대한한공 면세의 경우 고가의 주류순위가 압도적으로 높음)
⭕️ 3. 기존에는 주류나, 고가의 화장품이 면세 단골 품목이었으나 최근에는 중저가 화장품과 뷰티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 결론 : LCC로 인한 해외여행 비용 감소로인한 여행객들의 증가와 평균 연령대 감소 + 최근 사람들의 피부미용, 화장품에 대한 관심도 증가 + 모든 출국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신세계면세점 순위에서 이러한 효과가 보여지고 있다.
#에이피알, #APR, #부스터프로


14.02.202514:18


24.02.202509:08
[금일장 요약]
피부미용 투자자가 본 금일장 요약
피부미용 투자자가 본 금일장 요약


24.02.202505:01
[아스테라시스]
1개월 락업해제물량 받아먹고 양전🔥
1개월 락업해제물량 받아먹고 양전🔥
23.02.202523:57
리마인드 금일은 아스테라시스 1개월 락업 해제일입니다.
17.02.202514:23
[미국 달걀🥚, 닭🐔 근황]
지난번 CPI에 영향을 준 달걀 값 상승
약 1천만 가구가 뒤뜰서 닭을 키우고
미국 인기 반려동물 3위가 되었다고...
다만 지난번 미국의 종류별 고기소비량 변화그래프를 보면 소고기, 돼지고기는 과거 대비 많이 줄었고 닭고기의 비율이 엄청나게 늘었는데 만약 달걀값이 다시 떨어지면 반려동물이었던 닭들의 운명은......
지난번 CPI에 영향을 준 달걀 값 상승
약 1천만 가구가 뒤뜰서 닭을 키우고
미국 인기 반려동물 3위가 되었다고...
다만 지난번 미국의 종류별 고기소비량 변화그래프를 보면 소고기, 돼지고기는 과거 대비 많이 줄었고 닭고기의 비율이 엄청나게 늘었는데 만약 달걀값이 다시 떨어지면 반려동물이었던 닭들의 운명은......
15.02.202502:30
원텍의 30%변동 공시가 올라오지 않기를(?) 간절히 염원하며🙏🏻 짤 하나 추가해봤읍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riller_research&logNo=223761051812&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riller_research&logNo=223761051812&proxyReferer=&noTrackingCode=true


14.02.202507:00
[250214 금일장 요약]
주가 오르던 말던 초콜릿🍫 받은사람이 위너
+
상술에 넘어가지 맙시다.
초콜릿 그거 혈당 스파이크에 건강에도 안 좋읍니다.
주가 오르던 말던 초콜릿🍫 받은사람이 위너
+
상술에 넘어가지 맙시다.
초콜릿 그거 혈당 스파이크에 건강에도 안 좋읍니다.
24.02.202507:21
[승모근·종아리에도 보툴리눔 톡신 시술…내성 적은 제품 품귀까지]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6331?sid=101
지난주 18일에 공유드렸던 제오민 품절 사태가 드디어 기사로도 나왔습니다!😁
⭕️ 내성 없는 보톡스 오리지날인 멀츠사의 제오민이 현재 품절이 된 상황
24일 의료계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부 피부과 의원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오민’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제오민은 독일 제약사 멀츠의 제품이다.
⭕️ 한국 법인인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는 “제오민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량이 부족해진 상태”라며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런 내성 우려 때문에 제오민 수요가 증가했다고 본다. 멀츠는 제오민이 복합단백질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순도를 높여 내성이 생길 가능성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복합단백질은 신경독소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
⭕️ 작년 하반기와 최근 피부미용 시술 수요가 의대증원 + 네트웍 병원 수요증가 -> 시술가 P감소 Q증가(피부미용기업은 P는 대부분 그대로 Q만 증가하며 P감소분은 대부분 피부과끼리의 마진 싸움) + 외국인관광객 피부과 수요 증가 등 복합적으로 내수쪽이 턴하고 있는걸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6331?sid=101
지난주 18일에 공유드렸던 제오민 품절 사태가 드디어 기사로도 나왔습니다!😁
⭕️ 내성 없는 보톡스 오리지날인 멀츠사의 제오민이 현재 품절이 된 상황
24일 의료계와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부 피부과 의원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오민’을 구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제오민은 독일 제약사 멀츠의 제품이다.
⭕️ 한국 법인인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는 “제오민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면서 물량이 부족해진 상태”라며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공급을 늘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런 내성 우려 때문에 제오민 수요가 증가했다고 본다. 멀츠는 제오민이 복합단백질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순도를 높여 내성이 생길 가능성을 낮췄다고 설명했다. 복합단백질은 신경독소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이다.
+
⭕️ 작년 하반기와 최근 피부미용 시술 수요가 의대증원 + 네트웍 병원 수요증가 -> 시술가 P감소 Q증가(피부미용기업은 P는 대부분 그대로 Q만 증가하며 P감소분은 대부분 피부과끼리의 마진 싸움) + 외국인관광객 피부과 수요 증가 등 복합적으로 내수쪽이 턴하고 있는걸 보여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24.02.202503:19
[울쎄라 팁값 상승 - 국내 HIFU 가성비 장비들 수혜 가능성]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추가적으로 최근 커뮤에서 3월부터 울쎼라 팁값이 올라서 전국적으로 시술가가 올라갈 예정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 강남에서 피부과를 운영하시는 지인분의 경우 2월 중순에 이미 울쎄라 팁값 상승을 고지받았고 다른 병원도 아마 비슷한 상황으로 보여지며 기존 재고가 소진되는 시기인 3~4월 부터 본격적으로 울쎄라 시술가격이 다 올라 갈걸로 보여집니다.
정확한 팁값 상승률은 병원마다 계약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실제로 울쎄라 장비가격도 각 피부과마다 공급받는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팁값 상승률을 적으면 문제가 될 부분이 있어보여 기입하지 않겠습니다.
울쎄라2 승인이되면서 기존 울쎄라팁값 상승은 예상된 수순이였는데 생각보다 빨리 팁값을 올렸습니다.
⭕️ 추가적으로 울쎄라피 프라임(울쎄라2)의 경우 기존 울쎄라1 팁과 호환이 가능하며 로딩속도는 빨라졌지만 시술속도는 차이가 없습니다.
울세라피 프라임의 경우 예약이 꽉차서 지금 장비를 예약 주문해도 받으려면 한참 걸리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울쎄라2가 나온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까지 나온 써마지와 달리 울쎄라는 15년 넘게 장비를 바꾸지 않고 롱런한 아주 특이한(?) 장비인데 그만큼 멀츠 브랜드의 힘이 강력하다는 반증이고 기존 울쎄라 관련 특허가 정말 많은데 기존 특허들이 1~2개씩 만료가 시작되는 시점이라서 멀츠측에서도 울쎄라2의 출시시기를 현재로 정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울쎼라는 오리지널리티가 있는 고가시술중 하나이고 울쎄라의 팁값이 오르면서 시술가도 팁값상승률 이상으로 오를가능성이 높은데 이렇게 되면 국내 HIFU 장비 기업들의 가성비가 더더욱 올라가게되어서 수혜를 볼 수 도 있을거 같습니다.
⭕️ 국내에서 HIFU장비를 가장 많이 하는곳은 클래시스이며 이외에도 HIFU장비를 가진 회사와 대표장비를 각각 나열하면 하기와 같습니다.
클래시스 - 슈링크, 슈링크유니버스
원텍 - 타이탄, 소나타(RF , HIFU 복합장비)
제이시스메디칼(자징상폐) - 리니어지
비올 - 듀오타이트
아스테라시스 - 리프테라1, 리프테라2
하이로닉 - 더블로, 브이로(RF, HIFU 복합장비)
이루다 - 하이저미
텐텍(비상장) - 텐쎄라
+
엄밀하게 얘기하면 써마지,울쎄라, 티타늄같은 오리지널리티 고가시술을 받는 수요층은 저처럼 가성비 시술로 꾸리는 수요랑은 조금 결이 다르긴 합니다만 그래도 국내 장비들의 가성비가 올라가는 부분을 언급드리고자 코멘트하였습니다.
#멀츠, #Merz, #울쎄라, #울쎄라2, #울쎄라피프라임, #Ulthera, #HIFU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추가적으로 최근 커뮤에서 3월부터 울쎼라 팁값이 올라서 전국적으로 시술가가 올라갈 예정이라는 글이 있습니다.
⭕️ 강남에서 피부과를 운영하시는 지인분의 경우 2월 중순에 이미 울쎄라 팁값 상승을 고지받았고 다른 병원도 아마 비슷한 상황으로 보여지며 기존 재고가 소진되는 시기인 3~4월 부터 본격적으로 울쎄라 시술가격이 다 올라 갈걸로 보여집니다.
정확한 팁값 상승률은 병원마다 계약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실제로 울쎄라 장비가격도 각 피부과마다 공급받는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정확한 팁값 상승률을 적으면 문제가 될 부분이 있어보여 기입하지 않겠습니다.
울쎄라2 승인이되면서 기존 울쎄라팁값 상승은 예상된 수순이였는데 생각보다 빨리 팁값을 올렸습니다.
⭕️ 추가적으로 울쎄라피 프라임(울쎄라2)의 경우 기존 울쎄라1 팁과 호환이 가능하며 로딩속도는 빨라졌지만 시술속도는 차이가 없습니다.
울세라피 프라임의 경우 예약이 꽉차서 지금 장비를 예약 주문해도 받으려면 한참 걸리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울쎄라2가 나온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1세대 2세대 3세대 4세대 까지 나온 써마지와 달리 울쎄라는 15년 넘게 장비를 바꾸지 않고 롱런한 아주 특이한(?) 장비인데 그만큼 멀츠 브랜드의 힘이 강력하다는 반증이고 기존 울쎄라 관련 특허가 정말 많은데 기존 특허들이 1~2개씩 만료가 시작되는 시점이라서 멀츠측에서도 울쎄라2의 출시시기를 현재로 정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울쎼라는 오리지널리티가 있는 고가시술중 하나이고 울쎄라의 팁값이 오르면서 시술가도 팁값상승률 이상으로 오를가능성이 높은데 이렇게 되면 국내 HIFU 장비 기업들의 가성비가 더더욱 올라가게되어서 수혜를 볼 수 도 있을거 같습니다.
⭕️ 국내에서 HIFU장비를 가장 많이 하는곳은 클래시스이며 이외에도 HIFU장비를 가진 회사와 대표장비를 각각 나열하면 하기와 같습니다.
클래시스 - 슈링크, 슈링크유니버스
원텍 - 타이탄, 소나타(RF , HIFU 복합장비)
제이시스메디칼(자징상폐) - 리니어지
비올 - 듀오타이트
아스테라시스 - 리프테라1, 리프테라2
하이로닉 - 더블로, 브이로(RF, HIFU 복합장비)
이루다 - 하이저미
텐텍(비상장) - 텐쎄라
+
엄밀하게 얘기하면 써마지,울쎄라, 티타늄같은 오리지널리티 고가시술을 받는 수요층은 저처럼 가성비 시술로 꾸리는 수요랑은 조금 결이 다르긴 합니다만 그래도 국내 장비들의 가성비가 올라가는 부분을 언급드리고자 코멘트하였습니다.
#멀츠, #Merz, #울쎄라, #울쎄라2, #울쎄라피프라임, #Ulthera, #HIFU
Переслал из: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23.02.202523:56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실리콘투 투자 유치 관련 코멘트
- 2/21 실리콘투는 글렌우드크레딧으로 부터 1.4천억원의 투자 유치 공시
- 방식은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상환전환우선주, 6.72% 지분율
- 총 투자금 1.4천억원 중 500억원은 채무 상환, 운영자금 940억원 예정
- 글렌우드크레딧은 2조 밸류로 투자 진행, 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기업가치 수준으로 판단
- 과거 글렌우드는 올리브영에 21년 4천억원 투자, 24년 7.8천억원에 매각한바 있음
- 동사는 3분기 말 기준 차입금 1.4천억원 보유, 500억원 채무 상환, 이자 비용 축소로 1% 수준의 희석 상쇄 가능
- 그외 투자 자금으로 지사화 사업 지속, 브랜드 투자 등에 사용될 것으로 밝히고 있음
- 실리콘투는 다양한 투자사로 부터 지속적으로 FI형태의 투자 제안을 많이 받은 바 있음. 비즈니스 모델 상 사업 규모가 커지기 위해서는 보유 현금 또한 필수적으로 커져야
- 금번 딜을 통해서 확보한 투자금으로 유동성 확보 측면이나, 또한 주요 국가(미국)의 큰 투자는 일단락 됨에 따라 사업 확장을 위한 인수나, 여유 자금으로 활용될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 판단함
***
실리콘투 투자 유치 관련 코멘트
- 2/21 실리콘투는 글렌우드크레딧으로 부터 1.4천억원의 투자 유치 공시
- 방식은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상환전환우선주, 6.72% 지분율
- 총 투자금 1.4천억원 중 500억원은 채무 상환, 운영자금 940억원 예정
- 글렌우드크레딧은 2조 밸류로 투자 진행, 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기업가치 수준으로 판단
- 과거 글렌우드는 올리브영에 21년 4천억원 투자, 24년 7.8천억원에 매각한바 있음
- 동사는 3분기 말 기준 차입금 1.4천억원 보유, 500억원 채무 상환, 이자 비용 축소로 1% 수준의 희석 상쇄 가능
- 그외 투자 자금으로 지사화 사업 지속, 브랜드 투자 등에 사용될 것으로 밝히고 있음
- 실리콘투는 다양한 투자사로 부터 지속적으로 FI형태의 투자 제안을 많이 받은 바 있음. 비즈니스 모델 상 사업 규모가 커지기 위해서는 보유 현금 또한 필수적으로 커져야
- 금번 딜을 통해서 확보한 투자금으로 유동성 확보 측면이나, 또한 주요 국가(미국)의 큰 투자는 일단락 됨에 따라 사업 확장을 위한 인수나, 여유 자금으로 활용될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 판단함
***


17.02.202500:54
[모노RF 장비를 가진 기업들 금일 근황]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의대정원으로 피부과의 경쟁은 치열해지지만 피부미용기업들은 오히려 Q가 늘어나면서 좋아진 상황입니다.
여기에 외국인들의 피부과 결제금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내수 매출이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일 상기 2가지 요소로 모노폴라RF 비중이 있는 애들 멀티플이 상향되는 모습입니다.
각 회사의 대표적인 모노RF를 나열하면 하기와 같습니다.
[상장사]
클래시스 - 볼뉴머
원텍 - 올리지오, 올리지오X
아스테라시스 - 쿨페이즈
[비상장사]
루트로닉(자진상폐) - 세르프
제이시스메디칼(자진상폐) - 덴서티
텐텍(비상장) - 텐써마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의대정원으로 피부과의 경쟁은 치열해지지만 피부미용기업들은 오히려 Q가 늘어나면서 좋아진 상황입니다.
여기에 외국인들의 피부과 결제금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내수 매출이 점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일 상기 2가지 요소로 모노폴라RF 비중이 있는 애들 멀티플이 상향되는 모습입니다.
각 회사의 대표적인 모노RF를 나열하면 하기와 같습니다.
[상장사]
클래시스 - 볼뉴머
원텍 - 올리지오, 올리지오X
아스테라시스 - 쿨페이즈
[비상장사]
루트로닉(자진상폐) - 세르프
제이시스메디칼(자진상폐) - 덴서티
텐텍(비상장) - 텐써마
14.02.202514:58
추가로 원텍은 10월, 11월, 12월 수출데이터 역시도 매우 좋았습니다.
(특히 opm이랑 연관이 높은 팁 수출이 11월,12월 좋았음)
다만 이 금액을 그대로 계산하여 매출을 추정하면 안되는게 수출데이터와 실제 매출의 괴리가 늘 있고(과거기준 5~10%수준) 특히 태국수출의 경우 작년 1Q 때 본사 -> 해외 대리점 직납구조에서 본사 -> 아시아법인 -> 해외대리점 납품 구조로 바뀌면서 수출 금액은 이연될 수 있습니다.
(결국 현지 아시아법인에 올리지오 장비와 팁이 수출되어 재고로 들어가고 얼마나 빨리 해외대리점으로 판매가 되는지 유무가 중요)
(특히 opm이랑 연관이 높은 팁 수출이 11월,12월 좋았음)
다만 이 금액을 그대로 계산하여 매출을 추정하면 안되는게 수출데이터와 실제 매출의 괴리가 늘 있고(과거기준 5~10%수준) 특히 태국수출의 경우 작년 1Q 때 본사 -> 해외 대리점 직납구조에서 본사 -> 아시아법인 -> 해외대리점 납품 구조로 바뀌면서 수출 금액은 이연될 수 있습니다.
(결국 현지 아시아법인에 올리지오 장비와 팁이 수출되어 재고로 들어가고 얼마나 빨리 해외대리점으로 판매가 되는지 유무가 중요)
14.02.202505:30
[원텍 - 모노RF 국내 F/U]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태국 기사보고 국내는 어떤가 싶어 퀵하게 정리
작년 원텍IR팀장님이 퇴사하시고 바뀐 후로 소통이 잘 안되는게 단점이지만 IR자료나 최근 원텍몰에서 작년 연말부터 올리지오팁, 올리지오X팁 주문폭증이 2월까지도 지속되고 있어(원텍몰에 들어가서 직접 확인하시면 되고 지금 확인해도 두가지 팁 모두 주문 폭증공지가 있음) 4Q실적과 올해 1,2월 분위기 자체는 나쁘지 않을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국내 올리지오 누적판매대수
(상기 스샷 참조)
1Q24 - 60대, 2Q24- 125대, 3Q24 - 258대
원텍 IR자료에 나온건 누적 데이터이므로 분기별 판매대수를 계산해보면
1Q24 - 60대
2Q24 - 65대
3Q24 - 133대
⭕️ 작년 모노RF에서 가장 트렌드하게 치고 올라온건 덴서티고 하반기에 현업에서 인정받고 올라온 장비는 루트로닉의 세르프입니다.
때문에 올리지오자체는 두 경쟁사로 인해 국내는 많이 꺽였을거라 생각했는데 제 생각과 다르게 3Q24 국내 올리지오 판매대수가 2Q 대비 2배가량 늘어났습니다.
피부과에서는 비용처리를 위해서 연말에 장비를 구매하는 경향이 많은데 4Q 실적과 IR자료가 올라오면 확인되겠지만 4Q국내 올리지오 판매대수도 3Q랑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지 않았을까 예상이 됩니다.
3Q 올리지오 판매증가, 연말부터 현재까지 팁 주문폭증인 이유가 뭘까? 고민해보면 하반기프로모션이 있었을거고
피부과전체로는
⭕️ 1. 모노RF 전체수요가 늘어나면서 현재 현업에서 호평을 받고있는 덴서티, 세르프 장비뿐만아니라 원텍의 올리지오 시리즈도 낙수수혜를 받는듯 함
⭕️ 2. 작년 의대정원 이슈로 인해 GP분들이나 타과전문의분들이 대거 피부과 시장으로 진출을 하였고 이로인해 피부과 페이닥터 급여가 반토막이상 수준으로 된곳이 많으며 이로인해 시술가가 저렴해지면서 피부과 수요자체가 많이 늘었다.
⭕️ 3. 얼마전 공유드린 외국인 결제 내역을 보면 하반기 피부과 비중이 압도적으로 늘었다.
by BRILLER(t.me/BRILLER_Research)
태국 기사보고 국내는 어떤가 싶어 퀵하게 정리
작년 원텍IR팀장님이 퇴사하시고 바뀐 후로 소통이 잘 안되는게 단점이지만 IR자료나 최근 원텍몰에서 작년 연말부터 올리지오팁, 올리지오X팁 주문폭증이 2월까지도 지속되고 있어(원텍몰에 들어가서 직접 확인하시면 되고 지금 확인해도 두가지 팁 모두 주문 폭증공지가 있음) 4Q실적과 올해 1,2월 분위기 자체는 나쁘지 않을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국내 올리지오 누적판매대수
(상기 스샷 참조)
1Q24 - 60대, 2Q24- 125대, 3Q24 - 258대
원텍 IR자료에 나온건 누적 데이터이므로 분기별 판매대수를 계산해보면
1Q24 - 60대
2Q24 - 65대
3Q24 - 133대
⭕️ 작년 모노RF에서 가장 트렌드하게 치고 올라온건 덴서티고 하반기에 현업에서 인정받고 올라온 장비는 루트로닉의 세르프입니다.
때문에 올리지오자체는 두 경쟁사로 인해 국내는 많이 꺽였을거라 생각했는데 제 생각과 다르게 3Q24 국내 올리지오 판매대수가 2Q 대비 2배가량 늘어났습니다.
피부과에서는 비용처리를 위해서 연말에 장비를 구매하는 경향이 많은데 4Q 실적과 IR자료가 올라오면 확인되겠지만 4Q국내 올리지오 판매대수도 3Q랑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지 않았을까 예상이 됩니다.
3Q 올리지오 판매증가, 연말부터 현재까지 팁 주문폭증인 이유가 뭘까? 고민해보면 하반기프로모션이 있었을거고
피부과전체로는
⭕️ 1. 모노RF 전체수요가 늘어나면서 현재 현업에서 호평을 받고있는 덴서티, 세르프 장비뿐만아니라 원텍의 올리지오 시리즈도 낙수수혜를 받는듯 함
⭕️ 2. 작년 의대정원 이슈로 인해 GP분들이나 타과전문의분들이 대거 피부과 시장으로 진출을 하였고 이로인해 피부과 페이닥터 급여가 반토막이상 수준으로 된곳이 많으며 이로인해 시술가가 저렴해지면서 피부과 수요자체가 많이 늘었다.
⭕️ 3. 얼마전 공유드린 외국인 결제 내역을 보면 하반기 피부과 비중이 압도적으로 늘었다.
Показано 1 - 24 из 402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