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KD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Лип 25, 2018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Вер 11, 2024

Статистика Телеграм-канала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Подписчиков

3 740

24 часа
5
0.1%Неделя
21
0.6%Месяц
70
1.9%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0

Упоминаний0Репостов на каналах0Упоминаний на каналах0

Среднее 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317

12 часов3170%24 часа3170%48 часов3480%

Вовлеченность (ER)

0.32%

Репостов1Комментариев0Реакций0

Вовлеченность по охвату (ERR)

8.49%

24 часа0%Неделя
13.61%
Месяц
12.05%

Охват одного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460

1 час460100%1 – 4 часа11925.87%4 - 24 часа598130%
Подключите нашего бота к каналу и узнайте пол аудитории этого канала.
Всего постов за 24 часа
8
Динамика
7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UPDATE]KR Defence: MNC Solution (484870) at new high ahead of 1Q25 earnings

MNC Solution (484870, +5.1%) at new high ahead of 1Q25 earnings release on Apr 28 (Mon). No quarterly earnings consensus or YoY comparable base, but a local broker sees sales/OP of W91.9bn/W11.5bn(12.6% OPM).

=> Earlier at our spot call, Co gave a conservative FY25 guidance of W400.8bn sales (+42% YoY) with 13~14% OPM. Given 1Q is typically a slow season for the defence industry, the local broker's estimate above seems reasonable. Also, eyes on rising indirect export weight - through Hanwha Aerospace (012450) and Hyundai Rotem (064350) - which rose to 53% in FY24.
[KIS] 모닝브리프: 전략 - 달러약세, 보험 분석재개, 1Q25 Review - 한화엔진

1Q25 EARNINGS TODAY: HD HYUNDAI ELEC (
14:00)

▶️전략 : 기축의 떨림, 시장의 파동 (Analyst 김대준)

• 부활절 휴일도 달러 약세를 막지 못함. 현지시간 21일 달러인덱스는 잠시나마 98p선을 하회하며 연중 최저치를 갱신. 연초부터 빠르게 약해진 달러는 많은 변화를 시사
o 달러는 미국의 정체성. 즉, 달러가 흔들리면 미국을 보는 시선도 달라질 수밖에 없음. 나라 전체가 변동성에 노출되면 금융시장도 영향을 받게 됨. 결국 최대한 빨리 달러 가치를 살리는 게 시장을 달래는 최선책. 기술적 관점에서 98p를 지켜야 추가 하락을 막을 수 있음
o 달러 약세를 바꾸기 위해서는 금융시장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요구됨. 특히 금주 미국채 입찰이 중요. 22일부터 24일까지 미국채 2년물, 5년물, 7년물이 발행. 4월 9일과 10일에 있었던 장기물 입찰처럼 국채 수요가 늘면 시장은 다시금 미국에 신뢰의 시선을 보낼 수 있을 것
o 미국채 입찰이 원활하게 종료된다면 달러 약세로 위축됐던 심리도 회복되면서 주가 역시 반등할 것. 이 과정에서 미국 증시가 살아나면 한국 증시도 순차적으로 회복될 수 있음
• 향후 나타날 수 있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달러 가치가 빠르게 반등하는 것. 그러나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규제가 분위기 전환을 막으면서 달러 약세로 주식시장이 불안한 흐름을 유지하는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함.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의지할 수 있는 것은 방산, 유틸리티 등 수익성이 양호한 업종
• 리포트 링크: https://vo.la/yjHwdI

▶️보험 | 투자의견: 비중확대(분석재개) : 하나 들고 가세요 (Analyst 홍예란)
• 보험 업종에 대해 ‘비중확대’로 분석을 재개. 최근 업황 둔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커버리지 기업 위주의 시장 재편에 주목하자는 의견
o 수익성으로의 전략 변화에 따라 이익 계약이 대형 보험사로 흡수되며 질적 성장이 예상. 보험계약마진(Contractual Service Margin, 이하 CSM)을 확보하기에 용이한 보장성보험 초회보험료 내 커버리지 기업의 비중이 40%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상승한 점이 이러한 변화를 증명
• 성장, 자본비율, 주주환원 모두 대형사 위주로 양호
o 주주환원 역시 자본 여력이 충분한 커버리지 기업을 중심으로 확대될 것. 주주환원정책의 실질적인 이행 여부가 중요하고 이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자본비율. 규제 완화와 신계약 CSM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따라 커버리지 기업 위주로 현 수준의 자본비율 방어가 가능할 것. 차별화된 K-ICS 비율은 그 자체로 투자포인트. 성장, 자본비율, 주주환원이 상호 연결된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환경
• 목표주가 산출에는 전통적인 금융주 가치평가 방법인 ROE-PBR 관계에 기초한 1단계 잔여이익모형(RIM)을 활용. 이를 통해 산출한 보험 유니버스의 지속가능 ROE는 10.3%고 적정주가는 PBR 0.72배
o 2025년 예상 PBR 0.51배는 업종 전체의 성장성 둔화 우려만을 반영한 것으로 커버리지 기업의 질적 성장과 주주환원 확대는 온전히 평가받지 못하고 있음. 연중 예상대비 견조한 이익체력, 자본비율 방어력과 이에 따른 추가 주주환원 정책 발표를 반영하며 리레이팅이 예상
• 업종별 선호도는 손해보험, 생명보험 순. 손해보험사가 비교 우위를 보이는 보험상품 개발과 언더라이팅 단계에서 누적된 경험 차이를 생명보험사가 단기간 내 해소하기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
o 업종 탑픽으로는 삼성화재를 제시(TP: 480,000원). 유일하게 자사주 정책을 포함한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발표했는데 250%를 상회하는 높은 K-ICS 비율 감안 시 정책 이행의 가시성이 매우 높음. 자사주 소각액을 포함한 2025년 예상 총 주주환원 수익률은 8.7%에 달함
• 리포트 링크: https://vo.la/iAlyPV

▶️한화엔진 (082740): 매수(유지) | TP: 30,000원(유지) : 1Q25 Review: 선박엔진 순항, 친환경 개조 사업까지 진출 (Analyst 강경태)
• 1분기 매출액은 3,182억원(+8.5% YoY, -2.5% QoQ), 영업이익은 223억원(+14.8% YoY, +22.6% QoQ, OPM +7.0%)을 기록. 컨센서스와 비교해 매출액은 부합, 영업이익은 7.7% 상회
o 사업 부문별 실적: 1분기 매출액은 선박엔진 2,731억원(+9.6% YoY, -2.3% QoQ), 비선박엔진 451억원(+1.9% YoY, -3.8% QoQ)으로 구성. 1분기 영업이익률은 선박엔진 4.9%, 비선박엔진 20.0%로 추정. 호실적은 두 가지에 기인
o 첫째, 선박엔진 가격 효과 발현. 1분기에 인도한 엔진 수량은 총 30대이며, 인도한 엔진의 평균 가격은 1대당 91억원(+16.9% YoY, +4.3% QoQ)으로 추정. 월 평균 속도(10~11대)에 비해 부족한 인도 수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선가에 연동해서 2022년 하반기에 수주한 엔진들이 1분기에 인도되면서 매출 유지. 매출 mix 개선 효과로 선박엔진 영업이익률 4.9%(+1.7%p QoQ) 기록
o 둘째, 회사 계획 대비 초과 성장한 엔진 AM(After Market) 매출. 1분기 AM 매출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14.4% 증가했으며, 정비 예산 집행이 많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도 1.0% 증가. 회사에서 내다본 2025년 성장폭(10% YoY)을 넘어섰는데, 1분기에 서비스한 부품들의 단가가 상승한 영향일 것
• 수익성 좋은 AM 매출은 2025년부터 본격적인 성장기에 진입. PAN OCEAN 등 주요 선사들과 맺은 장기유지보수계약(LTSA) 잔고가 늘어나고 있으며, MSC와 맺은 엔진 부분 부하 최적화(EPLO, 터보 차저 업그레이드 등) 서비스계약을 시작으로 친환경 개조 매출 또한 발생할 것이기 때문
o 메탄올 D/F 엔진 인도 효과(분기 평균 2대)에 힘입어 2분기 이후에도 ASP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 선박엔진 수주잔고 4.0조원의 83%가 D/F 엔진인 점을 감안하면, ASP 상승세는 2028년까지 지속
• 기자재 최선호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30,000원(2027년 목표 P/B 3.3배, ROE 23.3%, COE 7.1%)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vo.la/mvuhoo
KOSPI to open soft after US markets drop; safe haven asset gold hit record high while USD corrected. TECH may be pressured by SOX -2.1%/NVIDIA -4.5%. Eyes on if foreign turn to net buyers of KOSPI/KOSDAQ amid potential rotation into non-US assets.

* HANWHA ENGINE (082740) 1Q OP slight beat/NP beat.
* 1Q TODAY: HD HYUNDAI ELEC (14:00). Note, LS ELEC y'day missed OP.
* ELEC POWER: Amazon has reportedly delayed some data lease commitments.
* LG H&H (051900) has unveiled new low-cost cosmetics lineup and to sell the products via E-MART (139480)'s stores.
* KT&G (033780) seeks to sell its Courtyard Marriott Hotel in Seoul (c.$140mn) to secure liquidity via non-core asset sale.
* WEMADE (112040) has requested gov't aid in pursuing its W840bn ($590mn) worth claim for unpaid game IP royalties against Chinese game co, Shengqu Games.
* DB INSUR (005830) has acquired 9.73% stake in local broker, DAOL I&S (030210) at 6.4% premium, becoming the 2nd largest shareholder.
(Bloomberg) -- US stock-index futures declined after President Donald Trump racheted up his attack on the Fed chair, with his top economist saying on Friday that the president is studying whether he’s able to oust Jerome Powell.

Here are some of the biggest US movers today:

Magnificent Seven stocks are down on Monday premarket trading as the dollar weakened with traders assessing to the possibility Trump will seek to challenge the Fed’s political independence
Tesla -3%, Meta -1%, Amazon -1% and Microsoft -0.9%, Alphabet -1.2%, Apple -1.5%, Nvidia -2%

Netflix (NFLX US) shares rose about 3% after the streaming giant forecast revenue for the second quarter that beat the average analyst estimate when it reported Thursday after markets closed. Analysts see the company’s business as resilient amid a tougher macro environment.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New York-traded ADRs drop as much as 1.8% after the company’s Arizona subsidiary posted a loss of NT$14.3 billion last year. Weakness continued after company listed challenges of ensuring export control compliance.

Tesla (TSLA US) shares fall after Wedbush Securities analyst and a Tesla bull Dan Ives warns of a “code red” moment ahead of first-quarter earnings.
★★KR Shipbuilding: Hanwha Engine (082740) 1Q25 Beat First Take

Hanwha Engine (082740) disclosed 1Q25 earnings after market today with OP +8%/+18% vs consensus/KISe as OPM hit 7.0% for the first time driven by leverage from higher margin ship engine sales. Quick summary below. Korean IR material attached for more details.

- Sales W318.2bn (+8.5% YoY, -2.5% QoQ), inline
- OP W22.3bn (+14.9% YoY, +22.6% QoQ, OPM 7.0%), +8% vs W20.7bn consensus, +18% vs W18.9bn KISe
- NP W19.4bn (+30.5% YoY, -50.7% QoQ), +31% vs W14.8bn consensus


- 1Q25 engine sales +9.6% YoY to W273.1bn driven by rising KR/CN bound shipment (over 30 units per quarter since 4Q23). Non-engine sales +1.8% YoY to W45.1bn (AM sales +14.4% YoY)
- Quarterly OPM hitting 7% level for the first time (+0.4%pt YoY) driven by improved COGS ratio as normalised-margin engine shipments start in earnest
- 1Q25 new engine order of W1.05tn with DF engine weight at 88% mostly bound for containerships. Order backlog stands at W4.1tn (97% engine, 3% SCR etc). Weight by customer; Samsung Heavy 29%, Hanwha Ocean 21%, Chinese 49%. Weight by ship type; Tanker 12%, Container 47%, LNGC 40%
Japan Equity Movers: Can Do, Oji HDS, Suzuki Motor, Mazda, HIS

Topix closes 1.2% lower, weighed down by electronics makers and banks; Nikkei 225 -1.3%.

ADVANCERS
• Menicon (7780) +12%; Plans to hike contact lens prices from June
• YAKUODO Holdings (7679) +9.4%, Okuwa (8217) +9.1%, Can Do (2698) +7.2%, Daikokuten (2791) +5.7%, HIS (9603) +3.9%; Shares of importers/domestic retailers rose on hopes of boost from stronger yen
• Mitsui Construct (1821) +7%; Reported 200% year-on-year increase in full-year OP forecast
• Oji HDS (3861) +6.7%; Outlined mid-term plan, including 50% dividend payout ratio target and extra ¥50 billion in share buybacks through FY2027

DECLINERS
• Mazda (7261) -5%, Subaru (7270) -3.8%, Toyota (7203) -2.9%, Canon (7751) -2.9%; Exporters fell after yen strengthened past a seven-month high against the dollar
• Suzuki (7269) -3.9%; Retail investors who bought shares at a discount from underwriters were able to sell them from Monday
★★KR:Daily Local Color(KISIPO:ImmuneOncia,PhrmRsrch,HDElec,SamyangFoods,ESG)

[KIS IPO] ImmuneOncia (424870):
ImmuneOncia, Yuhan Corp's subsidiary, specialises in antibody-based immunotherapy cancer drug development; its basic biz model is to develop new drug candidates based on antibodies and generate revenue through L/O in the early clinical stage. Investment points include significant earnings growth along with the growth of immunotherapy market and entry into the dual antibody market, which is emerging as a next-gen growth engine. IPO px (band: W3~3.6k) is calculated by giving 32.1~43.4%% discount on W5,301 derived by applying the avg P/E of 19.2x (based on FY24 earnings) of domestic peers to Co's FY28e earnings. Free-float ratio would be slightly burdensome at 29.4% of the total # of the shrs.

PharmaResearch (214450): Raise TP to W410k on solid sales of Conjuran and entry into Eastern and Northern Europe scheduled in 2H25 along with the offline expansion of Rejuran cosmetics in SEA in 2025. 1Q preview: sales W106.3bn (+3.6% QoQ, +42.3% YoY), to slightly beat on strong domestic sales and export growth of Rejuran. OP W41.1bn (+22.0% QoQ, +54.2% YoY) on end of one off marketing costs in 4Q24. 2Q sales W110.6bn (+4.0% QoQ, +33.0% YoY), OP W42.1bn (+2.5% QoQ, +36.9% YoY) on rising # of foreign patients.

HD Hyundai Electric (267260): Cut TP to W470k by slashing EE to reflect tariff impact and increase in COE; however, maintain BUY, as there is still an upside potential of 42.2%, while valuation attractiveness is expanding with relatively limited impact of tariffs. Considering that the robust demand in the US market is centered on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nd replacement of aging facilities rather than data centers, increase in orders and sales will continue even if data center investment is somewhat delayed. 1Q preview: sales W986.5bn (+23.2% YoY, +20.9% QoQ), OP W208.6bn (+62.0% YoY, +25.4% QoQ).

Samyang Foods (003230): Raise TP to W1.1m and maintain as sector top pick by reflecting EE upgrade from improvement in regional mix and strong USD. In the long term, accelerated top-line growth is expected as the China plant go online in Jan 2027. 1Q preview: sales W500.7bn (+29.8% YoY), OP W106.7bn (+33.1% YoY); to be inline thx to YoY increase in export sales, regional mix, and improved input cost. Export expansion to Europe and SEA is +IVE while the penetration rate into the US mainstream channel remains largely unchanged. Improved GPM on rising utilization rate of Miryang plant is also +IVE. In the long term, accelerated top-line growth is expected as the China plant go online in Jan 2027.

ESG: The defense industry was typically excluded from ESG investment due to its nature of manufacturing weapons. However, ESG investors’ perception of the defense industry began to change due to the expansion of geopolitical risks. Particularly, major European countries emphasize the strategic value of the defense industry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and this trend is now spreading globally, incl. Asia. India is pursuing domestic production and technological independence in the defense industry, and shr px of DPSU listed companies recently surged along with the changes in global EGS investment perspectives. These changes will have an impact on ESG assessment and investment frameworks, as well as investment practices in general.
Japan Equity Movers: Chugai Pharma, Broadcasters, Ships, Disco

Topix closes 1.1% higher led by gains in the pharmaceutical and marine transportation sectors. Nikkei 225 +1%.

ADVANCERS
• Chugai Pharma (4519) +18%: after a study showed Eli Lilly’s experimental pill helped patients shed weight and control blood sugar about as well as Ozempic
• TV Asahi (9409) +10%, TBS (9401) +7.3%, Nippon Television (9404) +6.7%, TV Tokyo (9413) +4.3%, Fuji Media (4676) +3.6%: on expectations for the sector after Fuji Media said it received a shareholder proposal from Nippon Active Value Fund and would be “seriously considering the voices of our stakeholders as well as shareholders”
• Osaka Steel (5449) +6.7%: after Strategic Capital letter
• Kawasaki Kisen (9107) +3.7%, Mitsui OSK Lines (9104) +2.8%: after the US proposed fees on Chinese ships docking at US ports
• Disco (6146) +0.9%: chip gear maker’s fourth-quarter earnings beat estimates and its guidance pointed to a rise in shipments. Analysts remain wary of the impact of Donald Trump’s tariffs, however

DECLINERS
• Misumi (9962) -3.5%: Fictiv acquisition negative, Citi says
USTR의 중국산 선박 제재안 발표

두 단계에 걸쳐서 시행할 것

@ 0단계: 처음 180일 동안은 0달러

@ 1단계: 180일 후부터 적용

- 부과 대상: 중국산 선박 운용 선주, 중국 선주

- 부과 기준: 미국 항차 당 순톤수 기준(net tonnage)

- 인센티브: 미국산 PCC

- 부과 수수료는 향후 점증

@ 2단계: 3년 간 유예

- 미국산 LNG 운반선 건조 장려 목적

- 외국산 선박이 미국산 LNG 운반할 경우

- 입항료는 22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

@ 코멘트

- 1단계 조치가 우선 잠정안과 시장 기대에 비해 약합니다.

- 2단계 조치가 의외인데, 미국에서 LNG 운반선을 건조하고 싶어하는 거 같습니다.
KOSPI to open muted amid Easter holiday; US markets mixed (S&P +0.1%, Nasdaq -0.1%). Eyes still on if US-Japan/US-China tariff talks could nudge the market sentiment. IT SERVICE/CONTENTS likely to out-perform after NETFLIX (+2.7% at A/H) report record quarterly profit, beating estimates, while TECH may be pressured by NVIDIA -2.9% drop.

* ECO: Fitch revised down S.Korea's 2025 growth from 1.3% to 1.0%.
* HANMI SEMI (042700) 50 TC bonder order from Micron at 30~40% higher px vs. SK HYNIX.
* HMC (005380) to halt some EV production between Apr 24~30 due to weak orders in Apr.
* HMM (011200) KDB and Korea Ocean Business Corp (KOBC) to convert W720bn worth CBs into ordinary shares equivalent to 16.34% stake. Listing May 13, conversion px W5k/shr.
* SK SQUARE (402340)'s sub 'Tmap Mobility' has sold its airport limousine biz to local PEF, STIC INVEST (026890) for c.W60bn.
* PROPERTY: Seoul apartment price +0.1% WoW, gained for 11 weeks.
한화에어로, 금감원 유증 2차 정정요구에 "성실히 대응"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36068?sid=101
美 "조선 재건 韓이 최선책"…HD현대重·한화오션 제시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1702109951607001
US stocks are poised for a fresh pullback on Wednesday as new restrictions on Nvidia Corp.’s chip exports to China stoked fresh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an escalating trade war. Here are some of the biggest US movers today:

Nvidia is the biggest drag for Magnificent Seven stocks in premarket trading Wednesday after President Donald Trump’s administration banned the chip giant from selling its H20 chip in China.
Nvidia (NVDA US) shares drop 5.9% after the firm warned it will report about $5.5 billion in writedowns during the current quarter, tied to inventory and commitments for the chip
Tesla -2.2%, Meta -1.2%, Apple -1%, Amazon -1%, Alphabet -2.0% and Microsoft -0.6%

Semiconductor stocks are weighed down after ASML reported quarterly bookings well below estimates.
AMD (AMD US) -6.6%, Broadcom (AVGO US) -3.9%, Micron (MU US) -3.9%, Marvell Technology (MRVL US) -3.4%, ASML ADRs (ASML US) -4.6%

United Airlines (UAL US) shares rise 6.6% after the company posted first quarter earnings per share that beat analysts’ estimates. For the forecast, the carrier took the unusual step of offering not one but two possible earnings scenarios — a regular one, and one in case the US economy enters a recession.
Peers rise: Delta Air Lines (DAL US) +3.5%, Southwest Airlines (LUV US) +0.8%, American Airlines (AAL US) +2.8%
post.reposted:
Market News Feed avatar
Market News Feed
$NVDA - NVIDIA KEPT SOME CHINA CUSTOMERS IN THE DARK ABOUT NEW US CHIP CLAMPDOWN, SOURCES SAY

NVIDIA DID NOT WARN AT LEAST SOME MAJOR CUSTOMERS IN ADVANCE ABOUT NEW U.S. EXPORT RULES IT WAS TOLD ABOUT A WEEK AGO REQUIRING IT TO OBTAIN LICENSES TO SELL ITS CHINA-FOCUSED ARTIFICIAL INTELLIGENCE CHIP, ACCORDING TO TWO SOURCES FAMILIAR WITH THE MATTER.

THE U.S. CHIPMAKER DISCLOSED ON TUESDAY THAT AMERICAN OFFICIALS HAD INFORMED THE COMPANY ON APRIL 9 THAT ITS H20 CHIP WOULD REQUIRE AN EXPORT LICENSE FOR SALES TO CHINA. ...

Рекорды

22.04.202523:59
3.7KПодписчиков
22.03.202523:59
5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29.11.202423:59
10.4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20.03.202502:08
7.2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22.01.202523:59
11.29%ER
29.11.202423:59
327.62%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17.04.202523:26
USTR의 중국산 선박 제재안 발표

두 단계에 걸쳐서 시행할 것

@ 0단계: 처음 180일 동안은 0달러

@ 1단계: 180일 후부터 적용

- 부과 대상: 중국산 선박 운용 선주, 중국 선주

- 부과 기준: 미국 항차 당 순톤수 기준(net tonnage)

- 인센티브: 미국산 PCC

- 부과 수수료는 향후 점증

@ 2단계: 3년 간 유예

- 미국산 LNG 운반선 건조 장려 목적

- 외국산 선박이 미국산 LNG 운반할 경우

- 입항료는 22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

@ 코멘트

- 1단계 조치가 우선 잠정안과 시장 기대에 비해 약합니다.

- 2단계 조치가 의외인데, 미국에서 LNG 운반선을 건조하고 싶어하는 거 같습니다.
Tradewinds 인용

미국 LNG 터미널 개발 및 운영사
Venture Global이
2분기 내로
LNG 운반선을 발주할
예정입니다.

발주 예정인 LNG 운반선의 크기는
174K~180K cbm로 검토 중이며

발주 수량은 총 12척입니다.
slot 4척을 먼저 잡고,
옵션으로 8척을 더 확보하게 됩니다.

선가는
250~260백만달러에서
결정될 것 같습니다.

기사에서는
Venture Global이
한국 조선사들 하고만
발주 협상을 진행한다고
언급합니다.

중국 조선사와 일해 본 적이 있지만,
미국의 중국산 선박 제재를 앞두고
중국 야드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곧,
미국 발 LNG 운반선 발주가
시작됩니다.
07.04.202520:59
Huntington Ingall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sign MOU for shipbuilding collaboration

U.S. military shipbuilder Huntington Ingalls (HII.N), opens new tab and South Korea'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329180.KS), opens new tab have signed an agreement to explore opportunities to increase production in commercial and defense projects, the companies said on Monday.

The companie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 look into areas of innovation and maximize production efficiency using their combined resources.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huntington-ingalls-hd-hyundai-heavy-industries-sign-mou-shipbuilding-2025-04-07/
07.04.202523:23
[속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 3.6조서 2.3조로 축소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6281?sid=101
05.04.202522:49
노르웨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7684억 원 규모 추가 계약…기존 전력의 두 배 육박

https://m.g-enews.com/view.php?ud=202504050521119970fbbec65dfb_1
07.04.202523:40
[KIS] 모닝브리프: 1Q25 Preview - 현대로템/휴젤/카카오, 1Q25 Review - LG에너지솔루션/LG전자

Travelling Mon~Wed this week. Please contact via BBG for anything urgent.

▶️현대로템 (064350): 매수(유지) | TP: 118,000원(유지) : 1Q25 Preview: 월드클래스로 진화 중 (Analyst 장남현)

• 1Q25 연결 매출액은 1조 2,230억원(+63.5% YoY), 영업이익은 2,086억원(+366.8% YoY, OPM 17.1%)을 기록할 것. 컨센서스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11.3% 상회하는 것
o 폴란드 K2 전차 26대를 인도하면서, 납품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이에 따른 디펜스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7,657억원으로 추정하며, 폴란드 매출의 높은 수익성을 반영한 부문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25.5%
o 2024년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충당금 1,400억원을 선제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향후 해당 부문에서 2~3%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
• 수출 시장 확대 국면. 비유럽 지역에서는 중동 전차 수출이 늘어날 것
o 지난 2월 IDEX 2025에서 사막 기후에 맞춰 개량된 K2 전차를 전시하며 마케팅 활동을 늘리고 있음. 유럽 경쟁 업체들의 공급이 유럽 내부에 더욱 집중될 것이기 때문에, 경쟁 강도가 완화된 상황에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음.
o 유럽 시장 내 점유율 역시 확대될 것. 폴란드와 K2 전차 180대 규모의 2차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루마니아 수출을 위한 협상이 이어질 것. 또한 2차 계약 체결 후 폴란드 현지 생산 거점이 마련되면, 주변국으로의 추가 수출 역시 가능함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18,000원을 유지.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높음. 4월 7일 종가 기준 2025년 선행 PER 14.2배로, 유럽 peer 평균 27.1배 대비 낮음
o 과거 디스카운트 주요 원인은 폴란드 1차 계약 이후 수출 파이프라인 부재. 그러나 2차 계약 가시성이 높아졌고, 중동과 유럽을 중심으로 수출 시장이 확장되었음
o 폴란드 매출의 높은 이익률을 기반으로 2025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87.1% 증가하며, 업종 내 가장 높은 수준의 이익 성장을 이어갈 것. 넓어진 수출 파이프라인과 높은 수익성을 고려했을 때 더 이상 저평가 받을 이유가 없는 기업.
• 리포트 링크: https://vo.la/qaqXoP

▶️휴젤 (145020): 매수(유지) | TP: 400,000원(유지) : 1Q25 Preview: 변동성 이겨낼 실적 (Analyst 위해주)
• 1Q25 매출 929억원(+25.0% YoY, 이하 모두 YoY), 영업이익 411억원(+71.7%, OPM 44.3%)을 전망.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
o 톡신 매출 474억원(+38.1%) 중 수출은 294억원(+72.1%)을 전망. 전년대비 중국과 유럽향 수출 데이터가 좋음. 다만 당사가 공격적으로 반영했던 미국 선적은 없었던 것으로 보여 추정치에서 제외
o 필러 매출 339억원(+15.9%), 수출은 269억원(+17.5%)을 전망. 계절적으로 인건비가 높은 분기임에도 전년동기 대비 법무비 부담이 감소해 판관비는 6.8%p 감소할 것
• FY25 매출은 4,570억원(+22.5%) 영업이익은 2,275억원(+36.8%, OPM 49.8%)을 전망. EBITDA 35% 성장 가이던스를 달성할 것
o 톡신의 주요국 수출 성장 가시성이 높음. 중국 톡신 침투율 높아지는 가운데 휴젤 톡신 선호 기조 이어지고 있고, 베네브의 미국 상용화는 지난 3월 초 이미 시작
o 미국 톡신 매출은 378억원(+73.1%)으로 이전 전망을 유지. 3월 7~11일에 개최된 AAD(미국피부과학회)에서 홍보를 시작으로 소프트 론칭을 완료했으며 베네브의 기존 고객들 대상으로도 주문을 받는 것으로 추정. 3Q24 선적 물량이 소진되고 있어 2분기 미국 출하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
• 미국 진출하기 오히려 좋은 상황. 관세는 파트너사 부담이라 휴젤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o 의약품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톡신이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가격 인상 리스크는 닥시파이(레방스)를 제외한 모든 제품(애브비의 보톡스는 아일랜드, 갈더마의 디스포트는 영국에서 생산 등)에 해당되기 때문에 보톡스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
o 경기 침체 우려로 소비 심리 악화한다면 오히려 가격 경쟁력 있는 톡신을 선호하는 기조가 강해질 수 있음
• 리포트 링크: https://vo.la/AsVeiv

▶️카카오 (035720): 매수(유지) | TP: 49,000원(유지) : 1Q25 Preview: AI가 다가온다 (Analyst 정호윤)
•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4조원(-2.7% YoY, -1.1% QoQ)과 965억원(-19.7% YoY, +28.0% QoQ)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1,088억원)를 하회할 전망
o 톡비즈 매출액은 5,422억원(+3.8% YoY, -3.7% QoQ); 광고가 비수기이며 DA 광고의 부진이 1분기에도 이어질 전망. 콘텐츠 매출액은 8,840억원(-14.5% YoY, -2.8% QoQ); 1분기에도 모든 콘텐츠 사업부가 전년대비 역성장을 이어갈 것. 영업비용은 1.84조원(-1.6% YoY, -2.3% QoQ)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
• 2025년 실적 개선 폭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AI와 관련된 현명한 행보가 올해의 Key
o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콘텐츠 사업부가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는 특별한 해결책이 나오기 힘듬. 하반기부터 성과가 확인될 카카오톡 개편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 인벤토리 확대 효과는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만큼 큰 폭의 실적 증가는 어려움
o 그러나 상반기 중 카나나를 시작으로 OpenAI와의 협력을 통한 모바일 AI Agent의 개발 등 AI의 서비스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부족한 기술력을 OpenAI를 통해 메꾸는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실제로 다양한 효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성과를 기대할 만함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49,000원을 유지. 카카오톡 개편 및 AI 활용에 대한 비전 제시 등이 중요
o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은 5,009억원(+8.8% YoY)으로 시장의 기대치를 다소 하회할 것
o 그러나 AI와 관련된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으며 성과 또한 기대할 만하다는 점이 2025년의 핵심 투자포인트. 시장의 관심이 점차 AI의 서비스화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기업을 찾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AI와 관련된 결과물이 출시되면서 주가가 상승할 수 있을 것이
• 리포트 링크: https://vo.la/sLAZrS
15.04.202503:08
코스닥 상장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혜 기대

오가노이드 기반 차세대 재생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내달 코스닥 상장을 앞둔 가운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동물실험 폐지 정책에 대한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미국 FDA는 단일클론항체 및 기타 약물에 대한 동물실험 요건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의약품 개발 실험에 활용됐던 동물실험은 인공지능(AI) 기반 계산 모델과 실험실에서 만든 인체 장기 모사체(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테스트를 이용해 개선되거나 대체될 것이란 설명이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415500251
04.04.202508:45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주 주가 하락 코멘트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국내 반도체주 주가 하락,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낙폭 확대

▶ 삼성전자 -2.95%, SK하이닉스 -8.12%, 유진테크 -10.98%, 주성엔지니어링 -7.98% 등 커버리지 주가 큰 폭 하락 중

▶ 반도체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면제, 그러나 HS Code 기준 디램, 낸드 단품 및 웨이퍼는 면제 대상이며 디램 모듈 및 낸드 SSD는 면제 대상이 아님

▶ 반도체 소비처인 IT 하드웨어 수요 하락으로 반도체 수요 역시 감소할 가능성을 시장이 반영하고 있음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관세 관련 협상을 진행할 결정권자의 부재가 한국 반도체주의 추가적인 약점으로 작용

▶ 다만 이같은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 기업의 실적과 주가를 압박하고 미국을 공급망 내에서 고립시킬 가능성이 높음

▶ 특히 올해 수요는 AI 데이터센터가 주도. 서버 및 AI 하드웨어 밸류체인은 대만,중국,한국 등 아시아 위주로 구성

▶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AI 응용분야에서는 오히려 중국이 미국보다 앞서 있다고 볼 수 있음. 이같은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를 위축시키고 AI 경쟁에서 뒤쳐지게 만들 것

▶ 지정학적 리스크와 한국의 정치 리스크가 함께 발생해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반도체 글로벌 역학 관계 고려 시 관세 정책은 추후 조정될 것

▶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방어적 대응은 필요하나 현재 반도체 섹터에 대한 공포는 과도하다고 판단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1.04.202501:56
★★KR Shipbuilding: Samsung Heavy (010140) - Mozambique FLNG momentum

Samsung Heavy (010140, +3.1%) is expected to disclose $2.5bn Offshore biz new order for Eni's Mozambique Coral Norte FLNG project, which is finally approved by the Mozambique gvnt. The project's total estimated investment amounts to $7.2bn, of which SHI is likely to win $2.5bn worth Offshore biz order. Note, out of SHI's $4bn Offshore biz new order target, the $2.5bn Mozambique FLNG order is already included. Once the FID is completed, Eni will sign the top side contract with the EPC consortium, and SHI will disclose the new order.

=> The news was out on Wed, but got completely buried during market crash. Mozambique FID delay was one of the big concern last yr... The approval is +IVE for SHI's Offshore earnings outlook.

모잠비크, 코랄 노스 가스전 '72억 달러' 투자 승인…삼성중공업 FLNG 수주 초읽기
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5666
17.04.202502:49
美 "조선 재건 韓이 최선책"…HD현대重·한화오션 제시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1702109951607001
16.04.202502:11
그 동안 파마리서치 대비 소외 받았던 클래시스도 최근 외국인 매수 지속

클래시스 (214150): 매수(유지) | TP: 73,000원(상향) : 1Q25 Preview: 분기마다 축적될 성장성 (Analyst 강시온)


• 1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746억원(+48.1% YoY, 이하 YoY), 영업이익 365억원(+37.8%, OPM 49.0%)으로 컨센서스(368억원)에 부합할 전망. 장비와 소모품 매출액은 각각 289억원(+39.1%), 315억원(+18.9%)으로 추정
o 통상 1분기는 유통사의 예산 및 정책 수립 영향으로 주문이 가장 더딘 시기로, 전 분기와 유사한 실적 흐름을 전망. 연초 이후 주문은 점차 활성화되는 패턴을 보이는데, 실제 관세청 수출 데이터 또한 1~3월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냄. 전분기 대비로는 +7.0% 성장했으며, 특히 주력 수출국인 브라질/태국/일본에서 각각 +21%/65%/-1% +QoQ의 우상향 흐름을 보임
o 미국향 볼뉴머 수주는 3월 중 진행된 것으로 파악됨. 영업이익률은 이루다 합병 관련 지급수수료 반영 종료로, 전분기 대비 +0.9%p 개선된 49.0%로 추정

• 1분기를 기점으로 클래시스와 이루다 모두 매 분기 계단식 실적 상승을 전망하며, 하반기에는 유럽 매출이 더해지며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 유럽 내 HIFU 및 RF 장비에 대한 CE MDR 허가는 2분기 중으로 예상되며, 3분기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전망
o 한편 이루다의 미국 유통사 Cutera가 지난 3월 파산 보호를 신청함에 따라, 이루다의 올해 매출액을 기존 대비 9% 하향한 535억원으로 조정. 다만 당초 이루다의 미국 매출을 보수적으로 가정했던 만큼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기존의 분기별 우상향 실적 흐름은 유지될 전망

• 목표주가를 기존 67,000원에서 73,000원으로 9.0% 상향(12MF EPS 2,235원에 Target PER 33배 적용). 밸류에이션 적용 시점 변경 및 ‘25년, ‘26년 EPS 전망치를 각각 4.8%, 2.8% 상향 조정
o ‘25년 미국/유럽 진출 본격화, ‘26년 중국 진출, ‘27년 HIFU 신제품 출시 등 성장 로드맵이 순차적으로 전개될 전망. 한편 미국 매출 비중이 낮아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며, 환율 환경도 긍정적

• 리포트 링크: https://vo.la/uEEJKu
06.04.202513:51
대만 공매도 제한 조치로 한국 IT주들 공매도 부담 가중될수도

Taiwan’s financial regulator has announced tighter short-selling controls to stabilize the market amid Donald Trump’s aggressive tariffs.

The new measures, effective April 7, will limit the volume of intraday securities lending orders to 3% of the average daily trading volume over the previous 30 days,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said in a statement on Sunday. That is reduced from 30% previously.

It will also raise the minimum margin requirement for short-selling activities from 90% to 130%, the statement says. The changes will be effective from April 7 to April 11.
01.04.202523:47
한화에어로, 루마니아 공장 건설…현지 생산으로 유럽 견제 뚫는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루마니아 담보비타에 공장을 건설한다. 공장은 이르면 올해 말, 또는 내년 초에 착공할 예정이다. 준공까지 2년이 걸려 2027년 하반기 또는 2028년이면 루마니아 공장은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역대 최대 규모인 3조6000억 원 유상증가를 발표하면서 조달 금액 중 1조6000억 원을 현지 공장 설립 등 해외 지상방산 거점 투자와 방산협력을 위한 지분 투자에 활용한다고 밝혔다.

루마니아 공장은 유럽 내 무기 생산과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하는 '허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루마니아에 공급할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차 생산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루마니아와 K9 자주포 54문, K10 탄약운반차 36대 등을 납품하는 1조40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르면 무기는 오는 2027년부터 약 10년간 납품된다. 1차 계약분은 한국에서 생산해 루마니아에 공급하고 이후 생산물량은 루마니아 현지 생산을 통해 조달할 전망이다.

당장 루마니아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 루마니아는 30억 유로(4조7000억 원) 규모의 장갑차 구매를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의 K21 레드백 차량은 강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한화는 현지 생산 등 루마니아와 협업을 무기로 입찰에 나설 전망이다.

https://www.news1.kr/industry/general-industry/5739302
28.03.202501:04
[한투증권 강경태] 삼성중공업(010140)

텔레그램: http://t.me/enc210406
보고서 링크: https://vo.la/iehioG

거제조선소 탐방 후기: 빼곡한 야드, 효율적인 시스템

■ 글로벌 FLNG 1등 사업자가 구축한 효율적인 야드 레이아웃 확인

- 이번 투어의 핵심은 두 가지. 첫째, PFLNG TIGA를 직접 보고 PM으로부터 야드 위치별로 공정 진행 과정에 대해 교육받는 것

- 거제조선소 내 FLNG와 관련된 시설은 Floating 도크 2개, K안벽, 7안벽. 2023년 1월, Petronas로부터 수주한 PFLNG TIGA는 2025년 2월에 7안벽 부근 Floating 도크에서 진수 작업을 마쳤고, 현재 귤도 인근 K안벽에 계류 중

- 해상에서 액화한 천연가스는 Hull-side 화물창에 저장하는데, K안벽에서 1,000여명의 인력들이 화물창 보냉 작업을 진행 중. 보냉 작업과 동시에 3도크 부근에 위치한 7안벽에서 Top-side 모듈을 제작하고 있었는데, 올해 8월부터 완성된 모듈을 탑재하기 시작

■ 초대형 LNG 운반선 연 20척 생산체제를 갖춘 3도크 확인

- 둘째, 3도크 가동 현황을 직접 보는 것. 거제조선소 내 LNG 운반선과 관련된시설은 3도크와 1안벽. 3도크는 거제조선소에서 가장 큰 도크로, 범용(174K cbm) LNG 운반선 2척을 병렬로 얹어서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시설

- 삼성중공업은 2024년부터 3도크에서 LNG 운반선을 연간 20척 진수할 수 있는 생산 체재로 돌입. 2.5개월마다 완성선 2척을 진수하는 동시에 반선 2척을 도크 전면부에서 조립해 가는 속도

■ 목표주가 18% 상향, 투어로 학습한 FLNG 공정을 추정치에 반영

-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20,000원으로 17.6% 상향. 2024년 결산기에 조정된 순자산 규모와 해양 부문 실적 추정치를 조정한 결과

- 투어에서 학습한 PFLNG TIGA의 공정률을 기준 삼아 3개년치 해양 부문 매출액을 조정했고, 원활한 공정 속도를 감안해 영업이익률 추정치 또한 기존 대비 3%p 상향

- FLNG 독점 사업자로서 해양 부문 수주, 실적 전망이 가장 밝은 삼성중공업을 적극 매수할 때
22.04.202502:07
★★[UPDATE]KR Defence: MNC Solution (484870) at new high ahead of 1Q25 earnings

MNC Solution (484870, +5.1%) at new high ahead of 1Q25 earnings release on Apr 28 (Mon). No quarterly earnings consensus or YoY comparable base, but a local broker sees sales/OP of W91.9bn/W11.5bn(12.6% OPM).

=> Earlier at our spot call, Co gave a conservative FY25 guidance of W400.8bn sales (+42% YoY) with 13~14% OPM. Given 1Q is typically a slow season for the defence industry, the local broker's estimate above seems reasonable. Also, eyes on rising indirect export weight - through Hanwha Aerospace (012450) and Hyundai Rotem (064350) - which rose to 53% in FY24.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