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5.202523:47
First Take on Apple’s 2Q25 Results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애플 실적 발표후 시간외 주가가 4% 하락합니다. 저희의 첫인상을 공유합니다.
1. 중국 실적이 저조합니다. 이미 중국 내에서 시장 점유율은 의미 있게 하락중입니다. 이번 분기 중국 매출은 2.3% y-y 감소했으며, 시장 컨센서스(Bloomberg)를 5% 하회했습니다. 해결을 위해선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할텐데요. 1)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이미 카메라 등 하드웨어의 품질 격차는 줄었고, 승부는 AI 기능으로 봐야 하는데, 알리바바와는 이제 협력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2) 중국 내수 시장 회복입니다. 저희는 여전히 애플 브랜드가 무너졌다고 보지 않습니다. 단지 중국 내수시장에서 100만원 이상의 스마트폰을 예전만큼 많이 소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두 해결책 모두 아직은 먼 이야기입니다.
2. 관세 문제가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팀쿡 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이번분기 9억달러의 비용 증가를 가이드했습니다. 이것은 중국과의 관세 20%를 적용했을 것이라 추측합니다. 아이폰 성수기도 오지 않았고, 반도체 품목별 관세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저희가 관세에 대응하는 방향성은 관세 발표 이전에 주가의 바닥은 없다, 대신 관세 발표 이후엔 불확실성 해소가 우선 반영된다입니다. 애플 사례에도 적용된다 생각합니다.
3. 불확실성으로 인해 공식 가이던스는 없습니다. 이번 불확실성은 걱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아이폰 가격 인상에 대한 질문에도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앱스토어 판매수수료 패소 이후의 서비스 수익성도 모호합니다. 컨퍼런스콜에서 애플의 차분기 매출을 low single ~ mid single 증가로 언급했습니다. 컨센서스는 5% 증가입니다. 주가는 연초 이후 이미 12% 하락하며 나스닥(-8%)을 언더퍼폼하고 있습니다. 반등의 트리거는 언제,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아직은 구체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4. 완벽해 보이던 애플 주가에 악재가 한 번에 몰려들고 있습니다. 중국 점유율 하락, 스마트폰 시장 정체, 관세와 반독점 규제, AI 전환의 지연, 자율주행차와 로봇 분야의 부진, 반도체 원가 상승입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위기는 언제나 한 번에 찾아옵니다. 기술 기업은 제자리에 머무르는 것 자체가 위험 요소입니다. 항상 다음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합니다. 점프의 타이밍을 놓치면 현재 밟고 있는 땅은 금세 사라집니다.
* 애플 2Q25(10-12월분기) 실적 결과 (Bloomberg)
결과 전년동기 컨센대비
매출 $95.4b $94.6b BEAT
GPM 47.1% 47.1% In-line
OP $29.6b $29.4b BEAT
Opex $15.3b $15.2b BEAT
EPS $1.65 $1.62 BEAT
* 매출 breakdown
결과 컨센서스 y-y 판단
아이폰 $46.8b $45.9b +1.9% BEAT
맥북 $7.9b $7.8b +6.7% BEAT
아이패드 $6.4b $6.1b +15.2% BEAT
웨어러블 $7.5b $8.0b -4.6% Miss
서비스 $26.6b $26.7b +11.7% Miss
China $16.0b $16.8b -2.3% Miss
* Margins
결과 q-q y-y
Service GPM 75.8% +0.8%p +1.1%p
Product GPM 35.9% -3.4%p -0.6%p
(2025/05/02 공표자료)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애플 실적 발표후 시간외 주가가 4% 하락합니다. 저희의 첫인상을 공유합니다.
1. 중국 실적이 저조합니다. 이미 중국 내에서 시장 점유율은 의미 있게 하락중입니다. 이번 분기 중국 매출은 2.3% y-y 감소했으며, 시장 컨센서스(Bloomberg)를 5% 하회했습니다. 해결을 위해선 두 가지 접근이 필요할텐데요. 1)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이미 카메라 등 하드웨어의 품질 격차는 줄었고, 승부는 AI 기능으로 봐야 하는데, 알리바바와는 이제 협력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2) 중국 내수 시장 회복입니다. 저희는 여전히 애플 브랜드가 무너졌다고 보지 않습니다. 단지 중국 내수시장에서 100만원 이상의 스마트폰을 예전만큼 많이 소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두 해결책 모두 아직은 먼 이야기입니다.
2. 관세 문제가 구체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팀쿡 CEO는 컨퍼런스콜에서 이번분기 9억달러의 비용 증가를 가이드했습니다. 이것은 중국과의 관세 20%를 적용했을 것이라 추측합니다. 아이폰 성수기도 오지 않았고, 반도체 품목별 관세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저희가 관세에 대응하는 방향성은 관세 발표 이전에 주가의 바닥은 없다, 대신 관세 발표 이후엔 불확실성 해소가 우선 반영된다입니다. 애플 사례에도 적용된다 생각합니다.
3. 불확실성으로 인해 공식 가이던스는 없습니다. 이번 불확실성은 걱정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아이폰 가격 인상에 대한 질문에도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앱스토어 판매수수료 패소 이후의 서비스 수익성도 모호합니다. 컨퍼런스콜에서 애플의 차분기 매출을 low single ~ mid single 증가로 언급했습니다. 컨센서스는 5% 증가입니다. 주가는 연초 이후 이미 12% 하락하며 나스닥(-8%)을 언더퍼폼하고 있습니다. 반등의 트리거는 언제,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요? 아직은 구체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4. 완벽해 보이던 애플 주가에 악재가 한 번에 몰려들고 있습니다. 중국 점유율 하락, 스마트폰 시장 정체, 관세와 반독점 규제, AI 전환의 지연, 자율주행차와 로봇 분야의 부진, 반도체 원가 상승입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위기는 언제나 한 번에 찾아옵니다. 기술 기업은 제자리에 머무르는 것 자체가 위험 요소입니다. 항상 다음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해야 합니다. 점프의 타이밍을 놓치면 현재 밟고 있는 땅은 금세 사라집니다.
* 애플 2Q25(10-12월분기) 실적 결과 (Bloomberg)
결과 전년동기 컨센대비
매출 $95.4b $94.6b BEAT
GPM 47.1% 47.1% In-line
OP $29.6b $29.4b BEAT
Opex $15.3b $15.2b BEAT
EPS $1.65 $1.62 BEAT
* 매출 breakdown
결과 컨센서스 y-y 판단
아이폰 $46.8b $45.9b +1.9% BEAT
맥북 $7.9b $7.8b +6.7% BEAT
아이패드 $6.4b $6.1b +15.2% BEAT
웨어러블 $7.5b $8.0b -4.6% Miss
서비스 $26.6b $26.7b +11.7% Miss
China $16.0b $16.8b -2.3% Miss
* Margins
결과 q-q y-y
Service GPM 75.8% +0.8%p +1.1%p
Product GPM 35.9% -3.4%p -0.6%p
(2025/05/02 공표자료)


29.04.202501:32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bd6ca29-6f55-4acb-8f11-a6739e723d0d.jpg%3Fw%3D24%26h%3D24&w=48&q=75)
24.04.202520:38
[삼성 문준호의 반.전] 인텔 실적/가이던스 요약
■ FY 1Q25 실적
- 매출액 126.7억 달러
: -0.4% y-y, -11.2% q-q
: 컨센서스 123.0억 달러 상회
- Intel Products 매출액 117.6억 달러
: -2.9% y-y, -9.8% q-q
: 컨센서스 112.3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25.0%
- Data Center 매출액 41.3억 달러
: +7.8% y-y, +22.0% q-q
: 컨센서스 29.4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13.9%
- Client (PC) 매출액 76.3억 달러
: -7.8% y-y, -4.8% q-q
: 컨센서스 68.1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30.9%
- Intel Foundry 매출액 46.7억 달러
: +7.1% y-y, +3.7% q-q
: 컨센서스 44.5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49.7%
- Non-GAAP 매출총이익률 39.2%
: 컨센서스 35.7% 상회
- Non-GAAP EPS 0.13달러
: -27.8% y-y, flat q-q
: 컨센서스 0.01달러 상회
■ FY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112~124억 달러
: 중간값 기준, -8.0% y-y, -6.8% q-q
: 컨센서스 128.4억 달러 하회
- Non-GAAP 매출총이익률 36.5%
: 컨센서스 36.7% 하회
- Non-GAAP EPS 0.00 달러
: 컨센서스 0.07 달러 하회
감사합니다.
■ FY 1Q25 실적
- 매출액 126.7억 달러
: -0.4% y-y, -11.2% q-q
: 컨센서스 123.0억 달러 상회
- Intel Products 매출액 117.6억 달러
: -2.9% y-y, -9.8% q-q
: 컨센서스 112.3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25.0%
- Data Center 매출액 41.3억 달러
: +7.8% y-y, +22.0% q-q
: 컨센서스 29.4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13.9%
- Client (PC) 매출액 76.3억 달러
: -7.8% y-y, -4.8% q-q
: 컨센서스 68.1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30.9%
- Intel Foundry 매출액 46.7억 달러
: +7.1% y-y, +3.7% q-q
: 컨센서스 44.5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률 -49.7%
- Non-GAAP 매출총이익률 39.2%
: 컨센서스 35.7% 상회
- Non-GAAP EPS 0.13달러
: -27.8% y-y, flat q-q
: 컨센서스 0.01달러 상회
■ FY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112~124억 달러
: 중간값 기준, -8.0% y-y, -6.8% q-q
: 컨센서스 128.4억 달러 하회
- Non-GAAP 매출총이익률 36.5%
: 컨센서스 36.7% 하회
- Non-GAAP EPS 0.00 달러
: 컨센서스 0.07 달러 하회
감사합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bd6ca29-6f55-4acb-8f11-a6739e723d0d.jpg%3Fw%3D24%26h%3D24&w=48&q=75)
16.04.202508:30
[반.전] 엔비디아, H20 수출 규제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시장 기대와 달리, 그리고 미국 내 생산 발표에도 불구, 결국 H20도 규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4월 9일, 미 정부는 H20 수출에 대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통보했고, 이는 4월 14일부터 무기한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엔비디아 측은 1분기 실적에 55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 가이던스 430억 달러의 12.8%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해당 소식에 시간 외 6% 급락 중인데요,
물론 이전부터 overhang으로 작용해 왔지만 컨센서스가 하향조정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매출 단에서는 rush order 수혜가 있었을 지언정, 손실은 재고에 대해 별도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난무하는 악재 속, 이익 가시성만큼은 가장 우수하다는 믿음이 훼손될 수 있는 것이죠.
결국 5월 말 실적 발표에야 알 수 있겠지만, 단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내일 있을 TSMC 실적에서 CoWoS 관련 톤 - CoWoS는 AI칩 생산의 proxy이기에, CoWoS 수급과 증설에 대한 '톤'이 중요
2) 빅테크 업체들의 CAPEX 기조 - 관세와 이로 인한 매크로 불확실성과 AI 투자 축소 우려 부각
계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4/16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시장 기대와 달리, 그리고 미국 내 생산 발표에도 불구, 결국 H20도 규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4월 9일, 미 정부는 H20 수출에 대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통보했고, 이는 4월 14일부터 무기한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엔비디아 측은 1분기 실적에 55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 가이던스 430억 달러의 12.8%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해당 소식에 시간 외 6% 급락 중인데요,
물론 이전부터 overhang으로 작용해 왔지만 컨센서스가 하향조정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매출 단에서는 rush order 수혜가 있었을 지언정, 손실은 재고에 대해 별도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난무하는 악재 속, 이익 가시성만큼은 가장 우수하다는 믿음이 훼손될 수 있는 것이죠.
결국 5월 말 실적 발표에야 알 수 있겠지만, 단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내일 있을 TSMC 실적에서 CoWoS 관련 톤 - CoWoS는 AI칩 생산의 proxy이기에, CoWoS 수급과 증설에 대한 '톤'이 중요
2) 빅테크 업체들의 CAPEX 기조 - 관세와 이로 인한 매크로 불확실성과 AI 투자 축소 우려 부각
계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4/16 공표자료)


07.04.202523:01
24.03.202501:58
4월 2일 관세 부과 관련 기사입니다.
- 반도체 등 산업별 관세는 보류 가능성
- 국가별 상호관세에 초점
https://www.wsj.com/politics/policy/trump-tariff-reciprocal-deadline-industrial-delay-97508838
- 반도체 등 산업별 관세는 보류 가능성
- 국가별 상호관세에 초점
https://www.wsj.com/politics/policy/trump-tariff-reciprocal-deadline-industrial-delay-97508838
01.05.202523:19
삼성전자 1Q25 review: 시련의 끝 vs 회복 기대감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삼성전자의 1Q25 실적이 끝났습니다.
이익의 바닥은 확인했다고 생각합니다.
- Foward P/B 0.9배의 현재 주가에서 하방 경직성이 커지고 있다는데 공감하지만 추가적인 주가 상승은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와 실적회복이 동반 해야 합니다.
- 범용 디램 가격의 상승 트렌드는 장기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시나 수요 보다는 공급 조절 때문입니다.
- HBM은 이제 로드맵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제 HBM으로 인한 구체적인 이익 개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자료: https://bit.ly/4j22CsV
감사합니다.
(2025/05/02 공표자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삼성전자의 1Q25 실적이 끝났습니다.
이익의 바닥은 확인했다고 생각합니다.
- Foward P/B 0.9배의 현재 주가에서 하방 경직성이 커지고 있다는데 공감하지만 추가적인 주가 상승은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와 실적회복이 동반 해야 합니다.
- 범용 디램 가격의 상승 트렌드는 장기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역시나 수요 보다는 공급 조절 때문입니다.
- HBM은 이제 로드맵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들은 이제 HBM으로 인한 구체적인 이익 개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 참조 부탁드립니다.
자료: https://bit.ly/4j22CsV
감사합니다.
(2025/05/02 공표자료)
24.04.202523:04
LG전자 1Q: 관세가 주가를 설명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LG전자 1분기 실적은 전장과 공조의 호실적, TV의 부진으로 요약됩니다. 가전 사업은 이제 신뢰의 영역에 진입했습니다.
P/E 6배의 현 주가에서 투자자들의 고민은 아직 관세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라 생각합니다. 회사의 대응 전략과 투자자의 판단이 모두 관세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한가지 위안이 되는 것은 관세 우려는 이미 충분히 반영된 주가라는 점입니다.
AI 테마에서 LG전자가 선호주가 되기는 힘들수 있어도, 관세 불확실성 회복이라는 테마 하나만 놓고 보면, LG전자의 업사이드도 의미 있는 수준입니다. 목표주가 95,000원과 BUY 의견을 유지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s://bit.ly/4jqfKcb
(2025/04/25 공표자료)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LG전자 1분기 실적은 전장과 공조의 호실적, TV의 부진으로 요약됩니다. 가전 사업은 이제 신뢰의 영역에 진입했습니다.
P/E 6배의 현 주가에서 투자자들의 고민은 아직 관세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점이라 생각합니다. 회사의 대응 전략과 투자자의 판단이 모두 관세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한가지 위안이 되는 것은 관세 우려는 이미 충분히 반영된 주가라는 점입니다.
AI 테마에서 LG전자가 선호주가 되기는 힘들수 있어도, 관세 불확실성 회복이라는 테마 하나만 놓고 보면, LG전자의 업사이드도 의미 있는 수준입니다. 목표주가 95,000원과 BUY 의견을 유지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s://bit.ly/4jqfKcb
(2025/04/25 공표자료)
23.04.202522:46
LG이노텍: 새로운 성장동력 찾기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LG이노텍의 1Q25 실적은 꽤 잘 나온 편입니다. 1,251억원을 연초만 해도 상상할 수가 없었습니다. 사업부의 회복과 관세로 인한 재고 축적, 환율까지 대내외 환경이 조화가 되었습니다. 2Q25는 1Q만큼 낙관적인 상황은 아닙니다. 기업의 최비수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모든 투자자가 1Q의 호실적을 계기로 LG이노텍의 주가가 더이상 분기 실적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점입니다. 지금은 LG이노텍이 두 개의 골짜기를 잘 지날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기존 사업의 이익보다 더 중요합니다.
1) 고객사가 관세 문제를 잘 피할 수 있을까요? 미국 고객사가 대표적으로 중국 생산 비중이 편인데요. 반도체 관세 문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기 전까지 우리는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합니다. 최근에는 우려감이 해소되고 있지만 끝날때까지 끝난 것이 아닙니다.
2)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을까요? 관세보다 더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저희는 26년말부터 AR글래스의 성장과 폴더블 등 스마트폰 모델수 증가로 성장으로 넘어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보다 시점을 당길 수 있는 동력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가는 역사적으로 30%이상 할인된 밸류에이션입니다. 그러나 상황도 지난 10년과는 다릅니다. 두 가지의 숙제의 달성 여부에 주목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bit.ly/42En90k
(2025/04/24 공표자료)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LG이노텍의 1Q25 실적은 꽤 잘 나온 편입니다. 1,251억원을 연초만 해도 상상할 수가 없었습니다. 사업부의 회복과 관세로 인한 재고 축적, 환율까지 대내외 환경이 조화가 되었습니다. 2Q25는 1Q만큼 낙관적인 상황은 아닙니다. 기업의 최비수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모든 투자자가 1Q의 호실적을 계기로 LG이노텍의 주가가 더이상 분기 실적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점입니다. 지금은 LG이노텍이 두 개의 골짜기를 잘 지날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기존 사업의 이익보다 더 중요합니다.
1) 고객사가 관세 문제를 잘 피할 수 있을까요? 미국 고객사가 대표적으로 중국 생산 비중이 편인데요. 반도체 관세 문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기 전까지 우리는 리스크를 안고 가야 합니다. 최근에는 우려감이 해소되고 있지만 끝날때까지 끝난 것이 아닙니다.
2) 성장 동력을 찾을 수 있을까요? 관세보다 더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저희는 26년말부터 AR글래스의 성장과 폴더블 등 스마트폰 모델수 증가로 성장으로 넘어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것보다 시점을 당길 수 있는 동력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가는 역사적으로 30%이상 할인된 밸류에이션입니다. 그러나 상황도 지난 10년과는 다릅니다. 두 가지의 숙제의 달성 여부에 주목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bit.ly/42En90k
(2025/04/24 공표자료)
13.04.202523:59
참고로, 세트 관세가 사라지고 반도체 관세만 남는 것이 IT 수요에는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틀전만 해도 우리는 아이폰 도매가 800달러 x 145%관세로 미국 사람들이 1,100달러를 더 내고 아이폰을 사야할까봐 걱정이었습니다. 그래서 300만원 아이폰 이야기가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러트닉 상무장관의 뉘앙스를 보면 세트 관세는 반도체 관세정책에 연동됩니다. 즉 아이폰 반도체 부품가 200달러 x 예상25%로 계산시 아이폰 소비자가 50달러만 더 내면 됩니다. 극단적으로 세트 업체들이 흡수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틀전만 해도 우리는 아이폰 도매가 800달러 x 145%관세로 미국 사람들이 1,100달러를 더 내고 아이폰을 사야할까봐 걱정이었습니다. 그래서 300만원 아이폰 이야기가 나온 것입니다.
그런데 러트닉 상무장관의 뉘앙스를 보면 세트 관세는 반도체 관세정책에 연동됩니다. 즉 아이폰 반도체 부품가 200달러 x 예상25%로 계산시 아이폰 소비자가 50달러만 더 내면 됩니다. 극단적으로 세트 업체들이 흡수할 수도 있습니다.


07.04.202505:23
24.03.202501:09
마이크론 주가, 왜 빠졌을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마이크론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8% 하락했습니다.
1. 왜 빠졌을까?
직접적으로는 수익성 실망(GPM 가이던스의 컨센서스 하회)과 낸드 공급과잉 우려 때문입니다.
그러나 투자자 걱정의 근본에는
- HBM 시장의 추가 성장에 대한 의심
- 수요 회복에 대한 의심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수요 우려 vs 공급 조절
HBM은 이제 상수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올해 공급 물량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좋은 쪽이든 안 좋은 쪽이든) 당분간 HBM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낮아졌습니다.
커머디티 가격 상승의 본질은 공급 조절입니다. 기대 이상의 수요 회복이 없다는 것은 아쉽지만, 공급 조절은 애초에 비관적 수요를 전제한 전략입니다.
마이크론의 GPM이 35%인지, 37%인지보다 중요한 것은 GPM이 35%나 됨에도 불구하고 디램 케펙스를 줄이고 낸드 가동률을 줄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3. 의심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
가격이 수요가 아닌 공급에서 결정된다면 이익의 가시성이 짧아지면서 주가에 선반영되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멀티플이 기대감을 반영하지 않았다면 이익 상향 조정이 주가에 지속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요보다는 이익을 볼 때입니다.
아직 2Q 커머디티 가격 상승은 이익 전망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국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멀티플의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3/24 공표자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마이크론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8% 하락했습니다.
1. 왜 빠졌을까?
직접적으로는 수익성 실망(GPM 가이던스의 컨센서스 하회)과 낸드 공급과잉 우려 때문입니다.
그러나 투자자 걱정의 근본에는
- HBM 시장의 추가 성장에 대한 의심
- 수요 회복에 대한 의심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수요 우려 vs 공급 조절
HBM은 이제 상수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올해 공급 물량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좋은 쪽이든 안 좋은 쪽이든) 당분간 HBM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낮아졌습니다.
커머디티 가격 상승의 본질은 공급 조절입니다. 기대 이상의 수요 회복이 없다는 것은 아쉽지만, 공급 조절은 애초에 비관적 수요를 전제한 전략입니다.
마이크론의 GPM이 35%인지, 37%인지보다 중요한 것은 GPM이 35%나 됨에도 불구하고 디램 케펙스를 줄이고 낸드 가동률을 줄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3. 의심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
가격이 수요가 아닌 공급에서 결정된다면 이익의 가시성이 짧아지면서 주가에 선반영되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멀티플이 기대감을 반영하지 않았다면 이익 상향 조정이 주가에 지속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요보다는 이익을 볼 때입니다.
아직 2Q 커머디티 가격 상승은 이익 전망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국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멀티플의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3/24 공표자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bd6ca29-6f55-4acb-8f11-a6739e723d0d.jpg%3Fw%3D24%26h%3D24&w=48&q=75)
01.05.202522:21
[삼성 문준호의 반.전] 애플 실적 요약
■ FY 2Q25 실적
- 매출액 953.6억 달러(+5% y-y) vs 컨센서스 941.9억 달러
: iPhone 468.4억 달러(+2% y-y) vs 컨센서스 456.2억 달러
: Mac 79.5억 달러(+7% y-y) vs 컨센서스 77.8억 달러
: iPad 64.0억 달러(+15% y-y) vs 컨센서스 62.3억 달러
: 웨어러블/액세서리 75.2억 달러(-5% y-y) vs 컨센서스 79.8억 달러
: 서비스 266.5억 달러(+12% y-y) vs 컨센서스 267.1억 달러
- 매출총이익률 47.1% vs 컨센서스 47.1%
- EPS 1.65 달러(+8% y-y) vs 컨센서스 1.62 달러
감사합니다.
■ FY 2Q25 실적
- 매출액 953.6억 달러(+5% y-y) vs 컨센서스 941.9억 달러
: iPhone 468.4억 달러(+2% y-y) vs 컨센서스 456.2억 달러
: Mac 79.5억 달러(+7% y-y) vs 컨센서스 77.8억 달러
: iPad 64.0억 달러(+15% y-y) vs 컨센서스 62.3억 달러
: 웨어러블/액세서리 75.2억 달러(-5% y-y) vs 컨센서스 79.8억 달러
: 서비스 266.5억 달러(+12% y-y) vs 컨센서스 267.1억 달러
- 매출총이익률 47.1% vs 컨센서스 47.1%
- EPS 1.65 달러(+8% y-y) vs 컨센서스 1.62 달러
감사합니다.
24.04.202522:49
SK하이닉스: 기술과 원가 우위를 증명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SK하이닉스의 실적을 어떻게 감상하셨나요
저희는 세 가지의 생각을 했습니다
1. SK하이닉스의 1Q 호실적과 주가 반응은 투자자들에게 두 가지를 각인시켰다고 생각합니다.
- SK하이닉스의 메모리 경쟁력은 매우 견고했다.
- 그러므로 SK하이닉스의 주가 부진은 Bottom-up(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까봐 걱정) 때문이 아니라 Top-down(AI 산업이 꺾일까봐 걱정) 때문이다.
위 관점에서 보면, AI 성장에 대한 의심이 걷히고 나면 빠른 속도로 메모리 경쟁력이 주가에 반영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이제 문제는 AI 성장에 대한 의심이 언제 어떻게 지워질까입니다.
아마 3Q가 되면서 내년 AI 투자가 구체화되고, 관세 우려 해소된다면 의구심이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미 악재를 충분히 반영한 동사의 주가는 투자 기간의 리스크만 남았습니다.
3. 물론 AI 성장 정체를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결정적 증거를 잡기에는 너무 이릅니다.
지금과 같은 비관이 압도하는 시기에는 불확실성 해소 만으로도 주가 회복이 먼저입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s://bit.ly/4jiK1cO
(2025/04/25 공표자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SK하이닉스의 실적을 어떻게 감상하셨나요
저희는 세 가지의 생각을 했습니다
1. SK하이닉스의 1Q 호실적과 주가 반응은 투자자들에게 두 가지를 각인시켰다고 생각합니다.
- SK하이닉스의 메모리 경쟁력은 매우 견고했다.
- 그러므로 SK하이닉스의 주가 부진은 Bottom-up(경쟁력 격차가 줄어들까봐 걱정) 때문이 아니라 Top-down(AI 산업이 꺾일까봐 걱정) 때문이다.
위 관점에서 보면, AI 성장에 대한 의심이 걷히고 나면 빠른 속도로 메모리 경쟁력이 주가에 반영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2. 이제 문제는 AI 성장에 대한 의심이 언제 어떻게 지워질까입니다.
아마 3Q가 되면서 내년 AI 투자가 구체화되고, 관세 우려 해소된다면 의구심이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미 악재를 충분히 반영한 동사의 주가는 투자 기간의 리스크만 남았습니다.
3. 물론 AI 성장 정체를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결정적 증거를 잡기에는 너무 이릅니다.
지금과 같은 비관이 압도하는 시기에는 불확실성 해소 만으로도 주가 회복이 먼저입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https://bit.ly/4jiK1cO
(2025/04/25 공표자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bd6ca29-6f55-4acb-8f11-a6739e723d0d.jpg%3Fw%3D24%26h%3D24&w=48&q=75)
17.04.202508:10
[반.전] TSMC: 건재한 AI 수요로 연간 가이던스 유지 - 1Q25 review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TSMC 1분기 실적은 기대를 소폭 상회했고, 2분기 가이던스도 시장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사실 가장 걱정되었던 건 연간 전망이었죠. 관세 유예 기간 종료되면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거니까요.
다행히 연 매출 가이던스와 CAPEX 계획을 모두 유지하였습니다. AI 수요의 하드 캐리가 지속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며칠 사이 대중 수출 규제 우려가 다시 부각되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AI 투자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는 입장입니다.
올해 AI 가속기 관련 매출이 2배로 증가한다는 전망과 CoWoS capacity를 2배 이상으로 증설하겠다는 계획도 유효했습니다.
4월 들어 관세 불확실성 영향으로 반도체 주식들의 주가가 크게 underperform하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만 보면 바닥 같은데, 아직 컨센서스에 관세 영향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 했을 테니, 이를 믿을 수 없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하지만 동사가 여전히 섹터 내 할인 거래 중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동사의 가격 협상력(=상대적 내성)은 더욱 큰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이 점은 기억하고 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bit.ly/4lEeTWY
(2025/04/17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TSMC 1분기 실적은 기대를 소폭 상회했고, 2분기 가이던스도 시장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사실 가장 걱정되었던 건 연간 전망이었죠. 관세 유예 기간 종료되면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거니까요.
다행히 연 매출 가이던스와 CAPEX 계획을 모두 유지하였습니다. AI 수요의 하드 캐리가 지속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며칠 사이 대중 수출 규제 우려가 다시 부각되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AI 투자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는 입장입니다.
올해 AI 가속기 관련 매출이 2배로 증가한다는 전망과 CoWoS capacity를 2배 이상으로 증설하겠다는 계획도 유효했습니다.
4월 들어 관세 불확실성 영향으로 반도체 주식들의 주가가 크게 underperform하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만 보면 바닥 같은데, 아직 컨센서스에 관세 영향이 온전히 반영되지 못 했을 테니, 이를 믿을 수 없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하지만 동사가 여전히 섹터 내 할인 거래 중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동사의 가격 협상력(=상대적 내성)은 더욱 큰 차별화 포인트입니다.
이 점은 기억하고 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bit.ly/4lEeTWY
(2025/04/17 공표자료)
13.04.202523:39
스마트폰 / 반도체 관세 정책 극적 반전
(삼성증권 IT/이종욱)
● 4월 11일 미국 정부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PC, 서버,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에 반영되는 상호관세 면제 가이던스를 공시했습니다. CPU, GPU, 디램과 낸드의 상호관세 면제를 포함하며 중국 관세 20%는 유지됩니다.
● 반도체 관세 우려가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닙니다. 반도체 품목별 관세가 곧 부과될 것입니다. 반도체 관세 정책 발표 전에는 주가 바닥을 언급하기 힘듭니다. 다만, 1) 반도체 관세 부과 전까지 면세를 유지한건 미국이 수요가 같이 고려한다는 점, 2) 정책 발표 후에는 협상 과정과 동반하여 주가 회복이 예상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4월 2일 직후에 벌어진 IT 수요 위축 우려는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 반도체 관세는 미국내 생산시설 유치와 중국 반도체 견제의 두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한 정책이 될 것이라 봅니다. 1) 생산지 변경을 촉진하기 위해 반도체의 감가상각비 비중 수준( 15~30%)을 바탕으로, 2) 세트는 미국/중국 반도체 비중과 미국기술의 부가가치 기여도에 따른 차등적용, 3) 중국산 반도체의 고관세 부과, 4) 미국내 AI 투자를 장려하는 면세 등을 미리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세트가 아닌 반도체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면 완제품 기준 판가 인상 수준이 크게 줄어듭니다. 기업들은 사업 지속성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의도에 맞춰 생산지 변경을 시도할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시장에서 생각했던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생각합니다.
● 어차피 반도체에는 관세가 부가될텐데 주가에 좋을 것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투자자들도 계실 것입니다. 물론 영원히 무관세만큼 좋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반도체 관세 정책 발표가 '주가의 이정표'를 만든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정책 발표를 기점으로 주가의 방향성이 우려에서 해소로 바뀌고, 2) 관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줄어들면 투자들은 다시 반도체 본연의 사이클 (AI와 커머디티)에 집중할 것입니다.
관련 자료: https://bit.ly/3EoyhGv
감사합니다.
(2025/4/14 공표자료)
(삼성증권 IT/이종욱)
● 4월 11일 미국 정부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PC, 서버, 반도체와 반도체 장비에 반영되는 상호관세 면제 가이던스를 공시했습니다. CPU, GPU, 디램과 낸드의 상호관세 면제를 포함하며 중국 관세 20%는 유지됩니다.
● 반도체 관세 우려가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닙니다. 반도체 품목별 관세가 곧 부과될 것입니다. 반도체 관세 정책 발표 전에는 주가 바닥을 언급하기 힘듭니다. 다만, 1) 반도체 관세 부과 전까지 면세를 유지한건 미국이 수요가 같이 고려한다는 점, 2) 정책 발표 후에는 협상 과정과 동반하여 주가 회복이 예상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4월 2일 직후에 벌어진 IT 수요 위축 우려는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 반도체 관세는 미국내 생산시설 유치와 중국 반도체 견제의 두 가지 목적 달성을 위한 정책이 될 것이라 봅니다. 1) 생산지 변경을 촉진하기 위해 반도체의 감가상각비 비중 수준( 15~30%)을 바탕으로, 2) 세트는 미국/중국 반도체 비중과 미국기술의 부가가치 기여도에 따른 차등적용, 3) 중국산 반도체의 고관세 부과, 4) 미국내 AI 투자를 장려하는 면세 등을 미리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세트가 아닌 반도체 기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면 완제품 기준 판가 인상 수준이 크게 줄어듭니다. 기업들은 사업 지속성을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의도에 맞춰 생산지 변경을 시도할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주식시장에서 생각했던 수준으로 돌아왔다고 생각합니다.
● 어차피 반도체에는 관세가 부가될텐데 주가에 좋을 것이 없다고 생각하시는 투자자들도 계실 것입니다. 물론 영원히 무관세만큼 좋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반도체 관세 정책 발표가 '주가의 이정표'를 만든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 정책 발표를 기점으로 주가의 방향성이 우려에서 해소로 바뀌고, 2) 관세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줄어들면 투자들은 다시 반도체 본연의 사이클 (AI와 커머디티)에 집중할 것입니다.
관련 자료: https://bit.ly/3EoyhGv
감사합니다.
(2025/4/14 공표자료)
03.04.202500:46
새로운 관세 시대: 스마트폰 편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4월 2일 트럼프 정부에서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반도체는 품목별 관세 항목으로 구분되어 당장의 관세 정책에서는 제외되었지만
스마트폰은 상호 관세 정책의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1. 생산 지역에 따른 영향
24년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1억 600만 대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8.5%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의 22%, 삼성의 12%, 구글의 40%, 레노버의 21%, TCL의 61%가 미국에서 판매됩니다.
애플은 아이폰의 95%가 중국에서 생산되며, 인도로 생산 기지를 확대하려고 합니다.
중국 관세는 20%에서 54%로, 인도 관세는 0%에서 26%로 상승하였습니다.
애플은 이 외에도 아이패드 (중국, 베트남), Mac(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애플워치(중국, 베트남)에서도 아시아발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전체 매출의 75%가 관세 인상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국 판매 비중은 12%로 글로벌 점유율(18%)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갤럭시S시리즈는 주로 베트남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은 주로 한국에서 생산됩니다. 관세가 각각 46%, 25%로 상승했습니다. 전사 매출의 6%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구글은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며 19년 베트남, 24년 인도로 확장했습니다. 레노보와 TCL은 중국 기업인 만큼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두 회사 모두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지만, 브라질 공장에서 중남미를 대응하기도 합니다.
2. 소비자 가격에는 얼마나 전가될 것인가
모든 세트 공급업체들이 관세에 노출된 만큼,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18년 미국이 세탁기에 20% 관세 부과 시 상승분의 60%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ING). 미국 소비자가전협회(CTA)에서는 중국 관세 60% 기준 소비자 가격 26% 상승을 전망했습니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합니다. 아이폰과 같은 브랜드 제품은 가격 전가 가능성이 높고, TCL, 레노보와 같은 중저가 제품은 가격 전가 대신 마진 감소를 감당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3. 수요는 얼마나 빠질 것인가
제품 1% 가격 증가시 수요는 0.2%~3.8%까지 다양하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ITIF, 2014). 주로 고가 플래그십들은 가격 탄력성이 낮고, 저가 브랜드는 가격 탄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관세 인상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습니다.
4. 투자 전략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에 Tech 섹터가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발표 이전에는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컸다면, 관세 발표 이후 국가 간 협상 시작되면 업사이드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관세의 영향은 센티멘트상 최악의 순간을 지나가고 있다는 것이 위안거립니다. 향후 반도체 산업의 관세 발표는 모든 악재가 공개됨을 의미합니다.
미국 노출도 측면에서 미국 기기 비중은 10% 내외로 높지 않고, 그중에서도 애플과 중국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불리하고 삼성 스마트폰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2025/04/02 공표자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4월 2일 트럼프 정부에서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반도체는 품목별 관세 항목으로 구분되어 당장의 관세 정책에서는 제외되었지만
스마트폰은 상호 관세 정책의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1. 생산 지역에 따른 영향
24년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1억 600만 대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8.5%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의 22%, 삼성의 12%, 구글의 40%, 레노버의 21%, TCL의 61%가 미국에서 판매됩니다.
애플은 아이폰의 95%가 중국에서 생산되며, 인도로 생산 기지를 확대하려고 합니다.
중국 관세는 20%에서 54%로, 인도 관세는 0%에서 26%로 상승하였습니다.
애플은 이 외에도 아이패드 (중국, 베트남), Mac(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애플워치(중국, 베트남)에서도 아시아발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전체 매출의 75%가 관세 인상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국 판매 비중은 12%로 글로벌 점유율(18%)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갤럭시S시리즈는 주로 베트남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은 주로 한국에서 생산됩니다. 관세가 각각 46%, 25%로 상승했습니다. 전사 매출의 6%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구글은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며 19년 베트남, 24년 인도로 확장했습니다. 레노보와 TCL은 중국 기업인 만큼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두 회사 모두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지만, 브라질 공장에서 중남미를 대응하기도 합니다.
2. 소비자 가격에는 얼마나 전가될 것인가
모든 세트 공급업체들이 관세에 노출된 만큼,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18년 미국이 세탁기에 20% 관세 부과 시 상승분의 60%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ING). 미국 소비자가전협회(CTA)에서는 중국 관세 60% 기준 소비자 가격 26% 상승을 전망했습니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합니다. 아이폰과 같은 브랜드 제품은 가격 전가 가능성이 높고, TCL, 레노보와 같은 중저가 제품은 가격 전가 대신 마진 감소를 감당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3. 수요는 얼마나 빠질 것인가
제품 1% 가격 증가시 수요는 0.2%~3.8%까지 다양하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ITIF, 2014). 주로 고가 플래그십들은 가격 탄력성이 낮고, 저가 브랜드는 가격 탄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관세 인상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습니다.
4. 투자 전략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에 Tech 섹터가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발표 이전에는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컸다면, 관세 발표 이후 국가 간 협상 시작되면 업사이드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관세의 영향은 센티멘트상 최악의 순간을 지나가고 있다는 것이 위안거립니다. 향후 반도체 산업의 관세 발표는 모든 악재가 공개됨을 의미합니다.
미국 노출도 측면에서 미국 기기 비중은 10% 내외로 높지 않고, 그중에서도 애플과 중국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불리하고 삼성 스마트폰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2025/04/02 공표자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51fa97c9-3682-4cdf-9f7c-7cdf043bf7a1.jpg%3Fw%3D24%26h%3D24&w=48&q=75)
20.03.202500:30
텐센트 실적 컨콜에서 언급된 AI 및 클라우드 관련 내용
사용자에게 최고의 AI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 모델 전략 채택. AI 모델은 각기 다른 능력, 성능 지표, 사용 사례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여러 모델을 결합하면 단일 모델보다 복잡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
2024년 AI 클라우드 매출 전년 대비 약 두 배 증가. 처음 광고 활용 및 모델 학습을 위해 GPU를 내부 사용 사례에 많이 할당. 최근에는 Yuanbao와 Weixin의 AI 추론 사용에 따라 외부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GPU 제한. 이로 인해 클라우드 서비스 수익 성장에 제약.
외부 워크로드는 고부가가치 사용 사례 및 고객에게 가용 GPU 우선 배정. 4Q부터 GPU 구매를 강화. GPU 배포에 따라 전체 클라우드 서비스 수익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2024년 CapEx 107억 달러로 세 배 이상 증가. 매출 대비 약 12%. 2025년 CapEx를 추가로 늘릴 계획이며, 매출 대비 두 자릿수 초반 비율 예상
IaaS 수요는 실제로 매우 강력. 그러나 공급이 제한적. 4Q CapEx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추론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GPU에 대한 러쉬 오더가 있었기 때문
GPU를 데이터센터에 설치한 후에야 IaaS 서비스 수요의 증가분 캡처 가능.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GPU 도입 및 설치가 진행됨에 따라 상당한 부분을 캡처 기대
일반적으로 중국 기술 기업들은 서구의 동종 기업들보다 매출 대비 CapEx 비율이 낮음. 이는 중국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GPU 서버의 효율적인 활용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 이러한 점이 기술 개발의 궁극적인 효과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 DeepSeek의 성공은 바로 이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증명했다고 생각
29.04.202523:21
AI와 전기차로 체질 개선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삼성전기 1Q25 실적 어떻게 보셨나요?
저희는 3가지 문답으로 답변을 대체해보고자 합니다.
1) 성장 동력이 무엇인가요?
중국 전기차와 AI 서버입니다. 특히 1Q 호실적은 차량용 MLCC 때문이었습니다.
- MLCC에서 차량 매출 비중이 26%까지 증가했다고 추정합니다. 올해중에 분기 30%까지 확대 전망합니다.
- 기판에서 25년 AI서버향 매출 비중이(가속기/네트워크) 40%를 넘어설 것이라 생각합니다.
2) 관세 회피와 이구환신 때문에 수요는 일시적인 것이 아닐까요?
일시적 재고 수요가 포함되어 있겠지만 크지 않아 보입니다.
- 2Q에도 MLCC 출하량이 증가합니다.
- 중국 이구환신의 영향은 모바일보다 자동차 쪽에서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익률 차이를 감안하면 이익에서 더 심합니다.
3) 주가 정체는 해소될까요?
- P/B 1배(12.4만원)가 일종의 바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동사 주가의 동력은 물량 레버리지입니다. 전기차/AI의 비중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볼때 방향이 아닌 시간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2025/04/30 공표자료)
[삼성증권 IT, 반도체/이종욱]
삼성전기 1Q25 실적 어떻게 보셨나요?
저희는 3가지 문답으로 답변을 대체해보고자 합니다.
1) 성장 동력이 무엇인가요?
중국 전기차와 AI 서버입니다. 특히 1Q 호실적은 차량용 MLCC 때문이었습니다.
- MLCC에서 차량 매출 비중이 26%까지 증가했다고 추정합니다. 올해중에 분기 30%까지 확대 전망합니다.
- 기판에서 25년 AI서버향 매출 비중이(가속기/네트워크) 40%를 넘어설 것이라 생각합니다.
2) 관세 회피와 이구환신 때문에 수요는 일시적인 것이 아닐까요?
일시적 재고 수요가 포함되어 있겠지만 크지 않아 보입니다.
- 2Q에도 MLCC 출하량이 증가합니다.
- 중국 이구환신의 영향은 모바일보다 자동차 쪽에서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익률 차이를 감안하면 이익에서 더 심합니다.
3) 주가 정체는 해소될까요?
- P/B 1배(12.4만원)가 일종의 바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동사 주가의 동력은 물량 레버리지입니다. 전기차/AI의 비중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볼때 방향이 아닌 시간의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2025/04/30 공표자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전종규] 차이나는 투자전략
![[삼성 전종규] 차이나는 투자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b2984a92-859d-41da-ab24-9a4714f734f3.jpg%3Fw%3D24%26h%3D24&w=48&q=75)
24.04.202522:42
중국 외교부, 미중분쟁에 대해 답변
협상은 시작되었다
중국 외교부가 오늘 미중 분쟁에 대해서 매우 짧고 의미있는 공식답변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물밑 대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좋은 성과를 기대한다는 발언에 대한 중국의 공식 답변으로 주목 받았습니다.
결론은
미중 실무회담은 시작되었고 초기 밀당의 화법이 오가는 것입니다. 미국은 탑다운 방식을 중국은 실무적인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우선 요구한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중국은 관세전쟁에 대해서 "싸우고 싶지 않지만 두렵지도 않다."는 냉랭한 초기반응을 유지합니다.
미중 협상, 18개월을 끌었던 지난했던 지난 2018년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공식답변>
中方早就指出,关税战、贸易战没有赢家,保护主义没有出路,脱钩断链只会孤立自己。对于美国发动的关税战,中方的态度很明确,我们不愿打,也不怕打。打,奉陪到底;谈,大门敞开。如果美方真的想通过对话谈判解决问题,就应该停止威胁讹诈,在平等、尊重、互惠的基础上同中方对话。一边说要同中方达成协议,一边不断搞极限施压,这不是同中方打交道的正确方式,也是行不通的。
<번역>
중국 측은 오래전부터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에서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는 출구가 없으며, 디커플링과 단절은 자신들을 고립시킬 뿐이라고 지적해 왔습니다.
미국이 시작한 관세 전쟁에 대해 중국 측의 태도는 매우 명확하며, 우리는 싸우고 싶지도 않고 두렵지도 않습니다. 싸워라, 끝까지 함께하리라, 이야기하라, 문은 열어라.
미국이 정말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고 평등하고 존중하며 상호 이익을 바탕으로 중국과 대화해야 합니다.
한편으로는 중국 측과 합의에 도달하겠다고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계속해서 극한 압박을 가하는 것은 중국 측과 거래하는 올바른 방식이 아니며, 통하지도 않습니다.
t.me/jkc123
협상은 시작되었다
중국 외교부가 오늘 미중 분쟁에 대해서 매우 짧고 의미있는 공식답변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물밑 대화가 이미 시작되었고 좋은 성과를 기대한다는 발언에 대한 중국의 공식 답변으로 주목 받았습니다.
결론은
미중 실무회담은 시작되었고 초기 밀당의 화법이 오가는 것입니다. 미국은 탑다운 방식을 중국은 실무적인 결과물에 대한 접근을 우선 요구한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중국은 관세전쟁에 대해서 "싸우고 싶지 않지만 두렵지도 않다."는 냉랭한 초기반응을 유지합니다.
미중 협상, 18개월을 끌었던 지난했던 지난 2018년보다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공식답변>
中方早就指出,关税战、贸易战没有赢家,保护主义没有出路,脱钩断链只会孤立自己。对于美国发动的关税战,中方的态度很明确,我们不愿打,也不怕打。打,奉陪到底;谈,大门敞开。如果美方真的想通过对话谈判解决问题,就应该停止威胁讹诈,在平等、尊重、互惠的基础上同中方对话。一边说要同中方达成协议,一边不断搞极限施压,这不是同中方打交道的正确方式,也是行不通的。
<번역>
중국 측은 오래전부터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에서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는 출구가 없으며, 디커플링과 단절은 자신들을 고립시킬 뿐이라고 지적해 왔습니다.
미국이 시작한 관세 전쟁에 대해 중국 측의 태도는 매우 명확하며, 우리는 싸우고 싶지도 않고 두렵지도 않습니다. 싸워라, 끝까지 함께하리라, 이야기하라, 문은 열어라.
미국이 정말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고 평등하고 존중하며 상호 이익을 바탕으로 중국과 대화해야 합니다.
한편으로는 중국 측과 합의에 도달하겠다고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계속해서 극한 압박을 가하는 것은 중국 측과 거래하는 올바른 방식이 아니며, 통하지도 않습니다.
t.me/jkc123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삼성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bd6ca29-6f55-4acb-8f11-a6739e723d0d.jpg%3Fw%3D24%26h%3D24&w=48&q=75)
16.04.202508:30
[반.전] ASML: 1Q25 실적 발표 - Quick review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ASML이 오늘 밤 10시 컨퍼런스콜을 앞두고, 실적 자료를 먼저 공개했습니다. 1분기 실적은 기대를 상회했으며,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연간 가이던스는 유지되었는데요.
그러나 1분기 수주가 기대를 큰 폭 하회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숫자만 전달 드리자면,
■ 1Q25 실적 (컨센서스: FactSet)
- 매출액 77.42억 유로 (+46% y-y, -16% q-q)
: 컨센서스 76.87억 유로 상회
: 중국향 장비 매출액 -19% q-q
- 매출총이익률 54.0% vs 전분기 51.7%
: 컨센서스 52.2% 상회
- 신규 수주 39.36억 유로 (+9% y-y, -44% q-q)
: Bloomberg 컨센서스 48.22억 유로 하회
: EUV 수주 12억 유로 (+83% y-y, -60% q-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72~77억 유로
: 컨센서스 77.59억 유로 하회
: 중간값 기준, +19% y-y, -4% q-q
-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 50~53%
: 컨센서스 52.2% 부합
■ 연간 가이던스
- 관세라는 불확실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기존 매출액과 수익성 전망을 유지
- 연간 매출 전망 300~350억 유로
: 컨센서스 324.8억 유로 부합
- 연간 매출총이익률 전망 51~53%
: 컨센서스 51.9% 부합
감사합니다.
(2025/4/16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ASML이 오늘 밤 10시 컨퍼런스콜을 앞두고, 실적 자료를 먼저 공개했습니다. 1분기 실적은 기대를 상회했으며,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연간 가이던스는 유지되었는데요.
그러나 1분기 수주가 기대를 큰 폭 하회했습니다.
주요 내용과 숫자만 전달 드리자면,
■ 1Q25 실적 (컨센서스: FactSet)
- 매출액 77.42억 유로 (+46% y-y, -16% q-q)
: 컨센서스 76.87억 유로 상회
: 중국향 장비 매출액 -19% q-q
- 매출총이익률 54.0% vs 전분기 51.7%
: 컨센서스 52.2% 상회
- 신규 수주 39.36억 유로 (+9% y-y, -44% q-q)
: Bloomberg 컨센서스 48.22억 유로 하회
: EUV 수주 12억 유로 (+83% y-y, -60% q-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72~77억 유로
: 컨센서스 77.59억 유로 하회
: 중간값 기준, +19% y-y, -4% q-q
- 매출총이익률 가이던스 50~53%
: 컨센서스 52.2% 부합
■ 연간 가이던스
- 관세라는 불확실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기존 매출액과 수익성 전망을 유지
- 연간 매출 전망 300~350억 유로
: 컨센서스 324.8억 유로 부합
- 연간 매출총이익률 전망 51~53%
: 컨센서스 51.9% 부합
감사합니다.
(2025/4/16 공표자료)
12.04.202514:56
스마트폰·반도체 '美 상호관세' 면제
(중국과 베트남 스마트폰, 메모리모듈, SSD 포함)
https://naver.me/FSwfU9ES
(중국과 베트남 스마트폰, 메모리모듈, SSD 포함)
https://naver.me/FSwfU9ES


03.04.202500:46
2024년 미국 스마트폰 점유율
17.03.202504:53
삼성전자 주가가 오른다 (아시아 마케팅 후기)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지난주 홍콩/싱가폴 투자자들을 뵙고 왔습니다. 커머디티 메모리 가격 상승과 AI 투자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왔습니다. 많이 이야기되었던 주요 논의 사항 세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왜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주가에는 커머디티 가격 인상이 반영되지 않는가?
이미 올해 들어 키옥시아(+80%), 난야테크(+50%)의 주가가 반등했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주가 수익률은 부진합니다. 메모리 모듈 가격 위주로 가격 상승이 나타나서 모듈향 출하 비중이 높은 순으로 주가가 상승했다고 생각됩니다. 2분기부터는 메모리 가격 전체로 확산되고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기대합니다.
2. 왜 수요가 부진한데 메모리 가격이 반등하는가?
공급이 공격적으로 조절되고 수요가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재고의 방향이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수요 반등보다 재고 축적 때문입니다. 그래서 메모리모듈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반등이 응용처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그 이유는 1) 공급사들이 당분간 공급 조절을 멈출 생각이 없고, 2) 클라우드를 제외한 고객사들의 재고수준이 최근 6개월간 감소했으며 3) 딥시크와 중국 정책이 변화하여 알리바바, 샤오미, BYD 등 공격적인 고객사들이 생겼습니다. 관세 위협은 촉매입니다. 특히 서버쪽에서 재고를 풀링하여 수요의 속도를 가속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왜 삼성전자를 선호하는가?
당사가 아시아 지역에서 느낀 것은 삼성전자에 대한 불신의 벽이었습니다. 이 벽이 주가의 불균형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SK하이닉스가 더 유리했던 AI 테마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둘 다 잘하는 커머디티 테마로 변화한다면 반등의 폭은 삼성전자가 더 클 수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일종의 언와인딩 전략입니다. AI테마의 업사이드가 제한적일수록 메모리 가격 반등 테마는 더욱 강하게 작동되리라 믿습니다. 이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이익 컨센서스가 가격 인상을 반영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3/17 공표자료)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지난주 홍콩/싱가폴 투자자들을 뵙고 왔습니다. 커머디티 메모리 가격 상승과 AI 투자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왔습니다. 많이 이야기되었던 주요 논의 사항 세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왜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주가에는 커머디티 가격 인상이 반영되지 않는가?
이미 올해 들어 키옥시아(+80%), 난야테크(+50%)의 주가가 반등했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주가 수익률은 부진합니다. 메모리 모듈 가격 위주로 가격 상승이 나타나서 모듈향 출하 비중이 높은 순으로 주가가 상승했다고 생각됩니다. 2분기부터는 메모리 가격 전체로 확산되고 있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기대합니다.
2. 왜 수요가 부진한데 메모리 가격이 반등하는가?
공급이 공격적으로 조절되고 수요가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재고의 방향이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지금은 수요 반등보다 재고 축적 때문입니다. 그래서 메모리모듈 위주로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반등이 응용처 전반으로 확산되는 분위기입니다. 그 이유는 1) 공급사들이 당분간 공급 조절을 멈출 생각이 없고, 2) 클라우드를 제외한 고객사들의 재고수준이 최근 6개월간 감소했으며 3) 딥시크와 중국 정책이 변화하여 알리바바, 샤오미, BYD 등 공격적인 고객사들이 생겼습니다. 관세 위협은 촉매입니다. 특히 서버쪽에서 재고를 풀링하여 수요의 속도를 가속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왜 삼성전자를 선호하는가?
당사가 아시아 지역에서 느낀 것은 삼성전자에 대한 불신의 벽이었습니다. 이 벽이 주가의 불균형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SK하이닉스가 더 유리했던 AI 테마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둘 다 잘하는 커머디티 테마로 변화한다면 반등의 폭은 삼성전자가 더 클 수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일종의 언와인딩 전략입니다. AI테마의 업사이드가 제한적일수록 메모리 가격 반등 테마는 더욱 강하게 작동되리라 믿습니다. 이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이익 컨센서스가 가격 인상을 반영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3/17 공표자료)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107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