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솔바이오사이언스
1. 엔솔 p2k는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로 개발된 신약물질
2. p2k를 유한양행이 사감
3. 임상 2b까지 진행하였으나 임상디자인 설계 오류로 위약(가짜약)대비 데이터 유효성 입증 못함.
4. 미국의 스파인바이오파마가 데이터 분석 후 이거 우리가 사가서 임상할게 하고 p2k 사감
5. 임상디자인 재설계후 임상 2상 건너뛰고 FDA로부터 sb-01 임상 3상 진입 승인 받음.(p2k=sb-01)
6. 24년 9월 환자모집과 투약 마무리 되었고 이는 예상한 시기보다 빨리 마무리 됐음.
7. 400명 모집에 7만명 넘게 지원
8. 현재 임상 3상 데이터 정리 중. 스파인바이오파마 대표 마크는 5월중 데이터 발표할거 같다고 말함.
9. 기존엔 7월1일날 탑라인 발표한다고 했었음.
10. 늦어도 7월엔 발표할 것으로 추정
11. 임상 3상 데이터 유효성 입증 후 FDA 승인 신청후 26년 판매 예상
12. 유한양행과 엔솔이 마일스톤과 로열티를 수취하는 구조. 엔솔의 로열티 1.75%
13. 임상성공 후 판매시 연간 수천억원의 로열티 수취 가능
14. 자 그럼 지금 제일 중요한것은 임상3상 결과인데 최근의 스토리를 보면 성공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음
15. Sb-01 임상3상 진행 중 24년 7월4일 스파인바이오파마 엔솔바이오에 적응증 확대 계약 체결. 골관절염,섬유증,종양 등 다양한 질환 치료제로 개발될 예정.
16. 임상3상중 추가계약을 엔솔과 다이렉트로 했다는건 임상데이터가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해석가능.
17. 어느정도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추측 가능.
18. 24년9월 임상종료 후 마크(스파인 대표)는 각종 학회에 참여하여 투자자 미팅도 진행하는등 의미있는 행보를 보임.
19. 특히 최근 학회에서 ‘we are excited about our data’ 라는 발언을 함.
20. 최근 26일 엔솔 주총에서 대표님은 임상이 실패할 가능성이 아예 없다고 함. 5가지 이유가 있는데 자세한건 5월에 있을 ir에서 말한다고 함.
21. P2k 성공시 3개의 셰계최초 타이틀이 생긴다고 함. ‘세계최초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 ‘세계최초 TGF-B 타켓 약물 치료제’ ‘세계최초 made in korea 블록버스터‘
22. 3월26일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행사가격 25,150(보통 큰일 앞두고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하는 경우들이 있음)
23. 최근 기술평가 탈락으로 코스닥 상장실패. 고점 부근에서 쩜하 3번 맞음. 3번째 쩜하 18,450에 형인우 30억 추가매수
24. 형인우 지분율 15%
25. 유한양행 6% 80만주 정도 들고 있음.
26. 임상 실패시 리스크 있지만 p2k외에 파이프라인 다양함. P2k 이후 가장 앞서있는게 H1k 국내 임상3상 준비중.
27. 임상 실패해도 다른 파이프 라인 가치로 2천억 정도는 받을만하지 않나?? - 개인적인 판단
28. 임상 성공시 상방은 어마어마하게 열릴 수 있음.
29. 하반기 코스닥 상장 다시 도전
30. 임상3상 데이터 좋으면 이번에는 통과 가능성 높음.
31. 알테오젠의 끼가 보이는 종목.
32. 다른 파이프라인은 생략했지만 e1k, h1k, c1k 모두 포텐셜있음.
33. P2k, e1k는 펩타이드 물질이라 타 경쟁사 줄기세포, 연골세포 대비 강점이 많음.
34. 자세한 내용은 꼭 직접 확인해보세요
35. 위에 기재된 내용은 사실과 다르거나 오류가 있을수 있음. 주관적인 판단의 오류가 있을수 있음
리스크
1. P2k 임상 3상 실패 리스크.
2. 코넥스 상장기업이라 매매가 쉽지 않음
3. 임상실패시 코스닥 상장 지연 가능성
4. 현재 시총 3천억. 임상 3상 파이프라이 보유한 기업치고는 저평가라 생각하지만 차트로는 바닥에서 10배 정도 올랐음. 임상 실패시 최소 반토막에서 1/3토막은 각오해야함.
5. 더 큰 문제는 코넥스 특성상 악재 발생시 빠져나오는게 쉽지 않음. 거래량이 너무 적음.
6. 스파인바이오파마는 빅팜이 아닌 비상장 기업이고 이번 임상 3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스닥 상장 도전 예정.
7. 사실상 임상실패 리스크가 가장 큰 리스크 이고 그게 회사의 운명을 가를수 있는 단기적 빅이슈.
8. 개인적 의문은 임상이 성공하면 시총1조 이상 받아도 이상할게 없는데 코넥스에서 그것이 가능한 것인가? 코넥스에서 시총 1조를 넘었던 사례가 있나?시총 5천억도 넘었던 사례도 없었던거 같은데(엔솔바이오가 최근 시총 4500억까지 갔었음) 코넥스와는 상관없이 기업가치 평가가 가능한건가??
8번의 개인적인 의문을 찾아보니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면 코스닥으로 이전상장을 유도하는 제도가 있다고 합니다. 시가총액,매출,영업이익 등의 기준을 충족한 기업은 코스닥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함.
리스크를 상쇄할만한 것은 역시 갓인우님이 투자했다는 사실. 형인우님이 왜 투자를 결정했는지 블로그를 통해 확인 가능.
단기 바닥은 형인우님이 18,250으로 잡아주신거 같고 임상성공 가정하에 주식매수선택권 발행가격 부근은 매력적인 찬스로 보이나 문제는 역시 임상결과는 아무도 장담 못함. 실패시 바닥은 안보임.
매수를 떠나서 공부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기업이다. 지금 당장이 아니더라도 코스닥에 상장했을때 추후 관심을 가져볼만한 기업.
엔솔바이오의 성장을 지켜봐야 할 듯.
매수추천 아닙니다!!!
공부한 내용 기록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