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5.202508:27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월 1주차 해외주식 관심종목
아메리칸 타워(AMT): 글로벌 최대 통신 인프라 REITs 주식
우라늄 글로벌엑스 (URA): 원자력발전 자원 우라늄과 원자력발전 부품기업에 투자하는 ETF
태피스트리 (TPR): 글로벌 패션 브랜드사. 여성 핸드백, 의류, 액세서리 판매사 주식
각 종목별 자세한 투자포인트는 아래 유튜브 숏츠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bS4NMHqXxPE?si=m5afvfZFSfrEkhSf
더 많은 해외주식 관심종목을 보고싶다면 "영웅문S#>해외주식>리서치>리서치관심" 탭에서 확인하세요!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5월 1주차 해외주식 관심종목
아메리칸 타워(AMT): 글로벌 최대 통신 인프라 REITs 주식
우라늄 글로벌엑스 (URA): 원자력발전 자원 우라늄과 원자력발전 부품기업에 투자하는 ETF
태피스트리 (TPR): 글로벌 패션 브랜드사. 여성 핸드백, 의류, 액세서리 판매사 주식
각 종목별 자세한 투자포인트는 아래 유튜브 숏츠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youtube.com/shorts/bS4NMHqXxPE?si=m5afvfZFSfrEkhSf
더 많은 해외주식 관심종목을 보고싶다면 "영웅문S#>해외주식>리서치>리서치관심" 탭에서 확인하세요!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07.05.202523:33
[키움 글로벌ETF 김진영]
25년 5월 ETF Monthly: 변곡점에서
▶ 4월 미국 ETF 시장 리뷰
- 4월 미국 ETF 시장으로 $578억 유입. 주식형 ETF로는 약 $312억 유입.
- 관세 관련 불확실성 완화에 미국 대형주 중심 자금유입 재개
- 채권 ETF 시장으로는 약 $130억 유입. 초단기채, 국채 중심의 자금유입 이어진 반면, 기타 크레딧/HY채 등으로는 유입세 미미
▶ 4월 신규 상장 ETF
- 미국: 단일종목 레버리지 전략 및 암호화폐 관련 전략을 비롯한 81개 종목 신규 상장. 암호화폐에도 옵션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이나 버퍼형 상품 7종도 신규 상장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활용한 ETF 출시 이어짐
- 국내: 4월 한달 간 14개 ETF가 추가되면서 전체 ETF 상품 수는 973개로 확대. 성장 테마 ETF가 다수 출시. 단일종목 채권 혼합, 커버드콜 전략 결합 상품 등 출시
▶ 5월 ETF 투자 아이디어
- 4월 관세 발 폭락을 겪었던 미국 증시는 트럼프 진화 발언, 미-중 대화 시도 등에 리스크 정점을 통과 중
- 경기침체 우려 및 관세 비용을 반영한 하드데이터 확인 등 우려 요인들 남아있지만, 트럼프의 감세 및 미-중 협상(트럼프 풋), 연준 금리정책(파월 풋) 등 시장 변동성을 완화시켜줄 트리거 공존
- 정책 여력과 시장 유동성 관점에서 증시 반등과 비중 확대 요인 상존. 경기 방어주 및 금, 채권 ETF 등에 대한 분산으로 리스크 헤지 필요한 동시, 반등 시 상승탄력이 큰 성장주 ETF 투자 이어가야한다는 의견 유지
- ETF Picks: QGRO(퀄리티), SHLD(방산), EUFN(유럽 금융), IGV(소프트웨어), PAVE(인프라), OND(온디맨드), GLD(금), IEF(채권)
▶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TP63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25년 5월 ETF Monthly: 변곡점에서
▶ 4월 미국 ETF 시장 리뷰
- 4월 미국 ETF 시장으로 $578억 유입. 주식형 ETF로는 약 $312억 유입.
- 관세 관련 불확실성 완화에 미국 대형주 중심 자금유입 재개
- 채권 ETF 시장으로는 약 $130억 유입. 초단기채, 국채 중심의 자금유입 이어진 반면, 기타 크레딧/HY채 등으로는 유입세 미미
▶ 4월 신규 상장 ETF
- 미국: 단일종목 레버리지 전략 및 암호화폐 관련 전략을 비롯한 81개 종목 신규 상장. 암호화폐에도 옵션 전략을 활용한 커버드콜이나 버퍼형 상품 7종도 신규 상장하는 등 다양한 옵션을 활용한 ETF 출시 이어짐
- 국내: 4월 한달 간 14개 ETF가 추가되면서 전체 ETF 상품 수는 973개로 확대. 성장 테마 ETF가 다수 출시. 단일종목 채권 혼합, 커버드콜 전략 결합 상품 등 출시
▶ 5월 ETF 투자 아이디어
- 4월 관세 발 폭락을 겪었던 미국 증시는 트럼프 진화 발언, 미-중 대화 시도 등에 리스크 정점을 통과 중
- 경기침체 우려 및 관세 비용을 반영한 하드데이터 확인 등 우려 요인들 남아있지만, 트럼프의 감세 및 미-중 협상(트럼프 풋), 연준 금리정책(파월 풋) 등 시장 변동성을 완화시켜줄 트리거 공존
- 정책 여력과 시장 유동성 관점에서 증시 반등과 비중 확대 요인 상존. 경기 방어주 및 금, 채권 ETF 등에 대한 분산으로 리스크 헤지 필요한 동시, 반등 시 상승탄력이 큰 성장주 ETF 투자 이어가야한다는 의견 유지
- ETF Picks: QGRO(퀄리티), SHLD(방산), EUFN(유럽 금융), IGV(소프트웨어), PAVE(인프라), OND(온디맨드), GLD(금), IEF(채권)
▶ 자료링크: https://bbn.kiwoom.com/rfTP631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07.05.202522:52
★ [키움 허혜민] ★ 제약바이오 인싸이트 – 리쇼어링, FDA 인사 논란, 약가 정책 삼중고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행정명령과 관세 및 메디케어 약가 책정 계획 발표 예고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리쇼어링과 제조 투자 확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게다가, FDA 인사 교체와 규제 강화 기조는 신약 개발 속도 저하 우려를 키우고 있음.
이에 따라, 빅파마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외부 기술에 더 의존할 수 있음.
다만, 당분간 정책 관망 필요. 이미 승인 받은 약물 또는 모멘텀을 보유한 승인 타겟/약물의 제형 변경 개발 바이오텍 등 안전지대로 판단.
K-BIO는 이러한 시기를 기회 삼아 R&D 투자 확대,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모색 필요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1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행정명령과 관세 및 메디케어 약가 책정 계획 발표 예고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리쇼어링과 제조 투자 확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게다가, FDA 인사 교체와 규제 강화 기조는 신약 개발 속도 저하 우려를 키우고 있음.
이에 따라, 빅파마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외부 기술에 더 의존할 수 있음.
다만, 당분간 정책 관망 필요. 이미 승인 받은 약물 또는 모멘텀을 보유한 승인 타겟/약물의 제형 변경 개발 바이오텍 등 안전지대로 판단.
K-BIO는 이러한 시기를 기회 삼아 R&D 투자 확대,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모색 필요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1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07.05.202522:35
[5/8 장 시작 전 생각: 시간 좀, 키움 한지영]
- 다우 +0.7%, S&P500 +0.4%, 나스닥 +0.3%
- 알파벳 -7.5%, 엔비디아 +3.1%, 애플 -1.2%, 팔란티어 +1.5%
- 미 10년물 금리 4.27%, 달러 인덱스 99.7pt, 달러/원 1,398원
1.
어제 미국 증시는 반등에 성공하면서 나쁘지 않은 하루를 보냈습니다.
알파벳(-7.5%, 애플 브라우저에서 구글 검색수 감소)이 급락하기는 했는데,
미중 고위급 실무 회담 소식, 트럼프 정부의 바이든 정권 때 시행하고 있었던 AI 반도체 수출 통제정책 페지 추진 소식 등이 증시에 힘을 부여했네요.
그리고 5월 FOMC는 상방이든, 하방이든 양쪽 측면에서 별다른 재료를 주지 못했습니다.
연준도 트럼프 관세의 영향을 더 셈법을 하는데 시간 좀 달라는 분위기였습니다.
2.
일단 경기 측면에서는 침체에 대한 시장의 불안을 달래줬는데,
1분기 역성장이나 소비심리지수, 기업심리지수 등 심리지표들이 모두 약화되기는 했지만,
실물 데이터 상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식의 평가를 내렸네요.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에 연준은 정치적인 압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면서 선을 긋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관세 정책이 연준의 금리인하 경로에 어느정도 영향을 가하고 있는지 였으며, 이에 대해 연준은 가시적인 신호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금리인하 시점 컨센서스가 6월에서 7월로 밀리긴 했는데, Fed Watch 상 올해 연말까지 금리인하 횟수가 3~4회 사이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문제는 인하의 성격으로서, 만약 하반기에 3~4회 인하가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인하의 성격이라면 올 하반기 증시는 그리 재밌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경기 침체에 선제적인 대응 혹은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하고 인하를 하는 것이라면 하반기 증시 방향성은 상방으로 보는 것이 맞겠네요.
3.
결국 이를 결정하는 것은 관세 정책이 경기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두 달 동안 발표되는 데이터의 중요도는 높을 수가 있는데, 관세 여파가 5월 하순 이후부터 지표나 물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 실적도 비슷합니다.
1분기 실적시즌을 선방하면서코스피의 25년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3월말 68.3조원 -> 5월 현재 69.6조원)는 상향되고 있지만,
3분기(78.5조원 -> 78.0조원)와 4분기(73.4조원 – 71.6조원) 영업이익은 하향조정 되는 기현상이 출현했네요.
아마도 관세의 본격적인 부작용이 올 하반기부터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되고 있는 듯 합니다.
4.
결국 증시의 추가 모멘텀 확보는 5~6월 중 미국과 중국, 여타 국가들의 협상을 통해 관세 수위를 낮춰가는 과정에서 수요 공백 불안 완화, 이익 전망 가시성이 얼마나 회복되는 지에 달려 있을 것이고,
개인적으로는 2분기가 지나면 그 가시성이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업종 순환매 플레이는 계속해야 할 듯 하네요.
어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5위에 등극했듯이,
조선, 방산 등 주도주들이 지난 폭락장 이후 반등 탄력이 가장 컸으며 5월 이후에는 잇따른 신고가를 경신해버린 상태입니다.
물론 주가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은 있겠으나,
외국인 수급 여건, 여타 경기 민감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익 가시성 등을 고려 시,
박스권에 갇혀있는 한 이들 주도주에 대한 비중 축소는 지양하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
아직 아침저녁으로는 일교차가 꽤 있는 편입니다.
이런 때일수록 방심하다가 감기 걸릴 확률이 높은데, 다들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키움 한지영
- 다우 +0.7%, S&P500 +0.4%, 나스닥 +0.3%
- 알파벳 -7.5%, 엔비디아 +3.1%, 애플 -1.2%, 팔란티어 +1.5%
- 미 10년물 금리 4.27%, 달러 인덱스 99.7pt, 달러/원 1,398원
1.
어제 미국 증시는 반등에 성공하면서 나쁘지 않은 하루를 보냈습니다.
알파벳(-7.5%, 애플 브라우저에서 구글 검색수 감소)이 급락하기는 했는데,
미중 고위급 실무 회담 소식, 트럼프 정부의 바이든 정권 때 시행하고 있었던 AI 반도체 수출 통제정책 페지 추진 소식 등이 증시에 힘을 부여했네요.
그리고 5월 FOMC는 상방이든, 하방이든 양쪽 측면에서 별다른 재료를 주지 못했습니다.
연준도 트럼프 관세의 영향을 더 셈법을 하는데 시간 좀 달라는 분위기였습니다.
2.
일단 경기 측면에서는 침체에 대한 시장의 불안을 달래줬는데,
1분기 역성장이나 소비심리지수, 기업심리지수 등 심리지표들이 모두 약화되기는 했지만,
실물 데이터 상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식의 평가를 내렸네요.
트럼프의 금리인하 압박에 연준은 정치적인 압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면서 선을 긋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관세 정책이 연준의 금리인하 경로에 어느정도 영향을 가하고 있는지 였으며, 이에 대해 연준은 가시적인 신호를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금리인하 시점 컨센서스가 6월에서 7월로 밀리긴 했는데, Fed Watch 상 올해 연말까지 금리인하 횟수가 3~4회 사이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문제는 인하의 성격으로서, 만약 하반기에 3~4회 인하가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인하의 성격이라면 올 하반기 증시는 그리 재밌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경기 침체에 선제적인 대응 혹은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하고 인하를 하는 것이라면 하반기 증시 방향성은 상방으로 보는 것이 맞겠네요.
3.
결국 이를 결정하는 것은 관세 정책이 경기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두 달 동안 발표되는 데이터의 중요도는 높을 수가 있는데, 관세 여파가 5월 하순 이후부터 지표나 물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 실적도 비슷합니다.
1분기 실적시즌을 선방하면서코스피의 25년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3월말 68.3조원 -> 5월 현재 69.6조원)는 상향되고 있지만,
3분기(78.5조원 -> 78.0조원)와 4분기(73.4조원 – 71.6조원) 영업이익은 하향조정 되는 기현상이 출현했네요.
아마도 관세의 본격적인 부작용이 올 하반기부터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되고 있는 듯 합니다.
4.
결국 증시의 추가 모멘텀 확보는 5~6월 중 미국과 중국, 여타 국가들의 협상을 통해 관세 수위를 낮춰가는 과정에서 수요 공백 불안 완화, 이익 전망 가시성이 얼마나 회복되는 지에 달려 있을 것이고,
개인적으로는 2분기가 지나면 그 가시성이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업종 순환매 플레이는 계속해야 할 듯 하네요.
어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5위에 등극했듯이,
조선, 방산 등 주도주들이 지난 폭락장 이후 반등 탄력이 가장 컸으며 5월 이후에는 잇따른 신고가를 경신해버린 상태입니다.
물론 주가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단기 조정 가능성은 있겠으나,
외국인 수급 여건, 여타 경기 민감 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익 가시성 등을 고려 시,
박스권에 갇혀있는 한 이들 주도주에 대한 비중 축소는 지양하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
아직 아침저녁으로는 일교차가 꽤 있는 편입니다.
이런 때일수록 방심하다가 감기 걸릴 확률이 높은데, 다들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키움 한지영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07.05.202522:18
[5/8, 이슈 분석 : 5월 FOMC 코멘트, 키움 한지영]
(요약)
- 5월 FOMC는 상방 혹은 하방 쪽에서 별다른 재료를 제공하지 못한 이벤트로 종료
- 파월 의장은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지만, 향후 관세 정책이 데이터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사후적으로 확인해가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
- 이번 상호관세 여파가 발현되기 시작되는 시점은 5월 하순 이후인 만큼, 시장 입장에서도 금리인하 시점으로 예상되는 7월 FOMC 전까지의 두 달간 데이터를 셈법 하는 과정이 수반될 것
- 기업 실적도 마찬가지, 1분기 실적 시즌 선방 이후 2분기 추정치는 상향되고 있으나, 3~4분기 추정치 하향이라는 기현상 발생. 이 같은 엇갈린 추정치 흐름은 당분간 증시 상단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증시 박스권으로 상정한 채, 기존 주도주인 조선, 방산 비중은 유지, 국내 대선 정책 모멘텀이 있는 저 PBR주, AI관련주, 중국 부양 기대감이 재생성 중인 중국 소비 관련주 등에 주목할 필요.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179
(요약)
- 5월 FOMC는 상방 혹은 하방 쪽에서 별다른 재료를 제공하지 못한 이벤트로 종료
- 파월 의장은 경기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지만, 향후 관세 정책이 데이터와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은 사후적으로 확인해가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
- 이번 상호관세 여파가 발현되기 시작되는 시점은 5월 하순 이후인 만큼, 시장 입장에서도 금리인하 시점으로 예상되는 7월 FOMC 전까지의 두 달간 데이터를 셈법 하는 과정이 수반될 것
- 기업 실적도 마찬가지, 1분기 실적 시즌 선방 이후 2분기 추정치는 상향되고 있으나, 3~4분기 추정치 하향이라는 기현상 발생. 이 같은 엇갈린 추정치 흐름은 당분간 증시 상단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 증시 박스권으로 상정한 채, 기존 주도주인 조선, 방산 비중은 유지, 국내 대선 정책 모멘텀이 있는 저 PBR주, AI관련주, 중국 부양 기대감이 재생성 중인 중국 소비 관련주 등에 주목할 필요.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179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07.05.202508:20
★ 도어대시 (DASH US): 견고한 성장 vs 매크로 우려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1) 1Q25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대체로 부합한 수준
- 1분기 GOV(거래액)과 조정 EBITDA는 시장 기대치에 부합. 그러나 순매출액은 시장 컨센서스를 2% 하회
- 전반적인 수요 성장 흐름은 견고하였으나,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상품 카테고리 mix 변화로 순매출액 마진 개선세가 기대보다 약했음
- 구조적인 경쟁 심화를 걱정하지는 않지만, 최근 미국 소비심리 둔화에 따른 우려가 실적발표 당일 주가 흐름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
2) 관세 이슈에 따른 美 소비심리 둔화는 우려 요인
- 1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영국과 프랑스 배달앱 시장 점유율 2위 업체인 Deliveroo와 미국의 레스토랑 예약 업체 SevenRooms의 인수를 발표
- 단기적으로 전사 실적에 대한 기여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사업 지역 및 영역 확대 측면에서 시너지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판단
- 이번 인수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사업 지역을 40개국 이상으로 확대하고, 미국에서 소비자 대상 예약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한편 2분기 가이던스로 GOV 23.3~23.7 십억달러(+18~20%YoY), 조정 EBITDA 600~650 백만달러를 제시
- 동사는 관세 이슈에 따른 소비심리 둔화 우려 요인은 가이던스에 반영되어 있지 않고, 일부 지역의 소비가 예상보다 악화될 리스크가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힘
3) 변함 없는 중장기 투자포인트
- 단기적으로 미국 소비 심리 둔화로 거래액 성장 속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
- 다만, 동사가 보유한 미국 시장 점유율(67%) 대비 회사와 시장의 수익성 기대치는 여전히 낮은 수준
- 매크로 우려가 완화된다면, 중장기 실적 추정치 상향 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6
감사합니다.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1) 1Q25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대체로 부합한 수준
- 1분기 GOV(거래액)과 조정 EBITDA는 시장 기대치에 부합. 그러나 순매출액은 시장 컨센서스를 2% 하회
- 전반적인 수요 성장 흐름은 견고하였으나,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상품 카테고리 mix 변화로 순매출액 마진 개선세가 기대보다 약했음
- 구조적인 경쟁 심화를 걱정하지는 않지만, 최근 미국 소비심리 둔화에 따른 우려가 실적발표 당일 주가 흐름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
2) 관세 이슈에 따른 美 소비심리 둔화는 우려 요인
- 1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영국과 프랑스 배달앱 시장 점유율 2위 업체인 Deliveroo와 미국의 레스토랑 예약 업체 SevenRooms의 인수를 발표
- 단기적으로 전사 실적에 대한 기여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사업 지역 및 영역 확대 측면에서 시너지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판단
- 이번 인수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사업 지역을 40개국 이상으로 확대하고, 미국에서 소비자 대상 예약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한편 2분기 가이던스로 GOV 23.3~23.7 십억달러(+18~20%YoY), 조정 EBITDA 600~650 백만달러를 제시
- 동사는 관세 이슈에 따른 소비심리 둔화 우려 요인은 가이던스에 반영되어 있지 않고, 일부 지역의 소비가 예상보다 악화될 리스크가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힘
3) 변함 없는 중장기 투자포인트
- 단기적으로 미국 소비 심리 둔화로 거래액 성장 속도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
- 다만, 동사가 보유한 미국 시장 점유율(67%) 대비 회사와 시장의 수익성 기대치는 여전히 낮은 수준
- 매크로 우려가 완화된다면, 중장기 실적 추정치 상향 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6
감사합니다.
08.05.202508:18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액손 엔터프라이즈 (AXON.US) : AI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락인 효과 + 마진 확대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6.0억 달러(YoY +31.0%, QoQ +5.0%, 컨센서스 대비 +2.9%), EBITDA 1.6억 달러(YoY +42.5%, QoQ +9.6%, 컨센서스 대비 +12.9%), EBITDA 마진 25.7%(YoY +2.1%p, QoQ +1.1%p, 컨센서스 대비 +2.1%p), 순이익1.2억 달러(YoY +29.4%, QoQ -31.7%, 컨센서스 대비 +10.6%), EPS 1.41달러(YoY +22.6%, QoQ -32.2%, 컨센서스 대비 +0.3%)
- 독보적인 사업 모델과 높은 진입 장벽, 그리고 소프트웨어 고성장을 바탕으로 5분기 연속 30%+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해외 매출도 기록
- FY2025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강한 실적 자신감을 보였고, MAGA 트렌드·AI 통합 락인 효과·해외·민간 수요 확대를 감안할 때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
▶ AI+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솔루션으로 락인 효과 지속
- TASER 10과 Axon Body 4의 교체 및 카트리지 판매 증가 효과, 드론·VR 도입 증가 영향으로 하드웨어 부문 매출은 YoY +26.3%, QoQ +3.3% 성장
-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은 프리미엄 구독 모델 확대와 Draft One(AI 기능 탑재) 이용 고객 증가로 YoY +39.2%, QoQ +7.3% 성장
- AI 기반 실시간 분석·정찰 기능과 하드웨어 통합을 통한 강력한 락인 효과로 반복 수익 구조 고도화 및 마진 확대 가능성 확보
- 연간 반복 매출(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YoY +34% 증가한 11억달러, 순이익 유지율(Net Revenue Retention, NRR)은 123%, 미래 계약 예약(Future contracted bookings)도 99억달러(YoY +41%)로 증가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증명
- 매크로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내 생산과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했으며, 국내외 및 민간 수요도 여전히 견조하다”고 언급
▶ 지속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혁신과 민간, 해외 확장 기회 유효
- 이미 방위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한 상황에서도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추가 성장 여력 존재
- FY1Q25 기준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 분기치를 기록했으나, 미국 비중이 여전히 88%에 달하므로 높은 신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미 정부의 예산 우선순위가 폭력범죄 대응·마약 확산 방지·첨단 국경 보안 기술 도입에 있다는 점 역시 수혜 요인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액손 엔터프라이즈 (AXON.US) : AI +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 = 락인 효과 + 마진 확대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6.0억 달러(YoY +31.0%, QoQ +5.0%, 컨센서스 대비 +2.9%), EBITDA 1.6억 달러(YoY +42.5%, QoQ +9.6%, 컨센서스 대비 +12.9%), EBITDA 마진 25.7%(YoY +2.1%p, QoQ +1.1%p, 컨센서스 대비 +2.1%p), 순이익1.2억 달러(YoY +29.4%, QoQ -31.7%, 컨센서스 대비 +10.6%), EPS 1.41달러(YoY +22.6%, QoQ -32.2%, 컨센서스 대비 +0.3%)
- 독보적인 사업 모델과 높은 진입 장벽, 그리고 소프트웨어 고성장을 바탕으로 5분기 연속 30%+ 매출 성장을 달성하며 역대 최대 해외 매출도 기록
- FY2025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강한 실적 자신감을 보였고, MAGA 트렌드·AI 통합 락인 효과·해외·민간 수요 확대를 감안할 때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
▶ AI+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 솔루션으로 락인 효과 지속
- TASER 10과 Axon Body 4의 교체 및 카트리지 판매 증가 효과, 드론·VR 도입 증가 영향으로 하드웨어 부문 매출은 YoY +26.3%, QoQ +3.3% 성장
-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부문은 프리미엄 구독 모델 확대와 Draft One(AI 기능 탑재) 이용 고객 증가로 YoY +39.2%, QoQ +7.3% 성장
- AI 기반 실시간 분석·정찰 기능과 하드웨어 통합을 통한 강력한 락인 효과로 반복 수익 구조 고도화 및 마진 확대 가능성 확보
- 연간 반복 매출(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YoY +34% 증가한 11억달러, 순이익 유지율(Net Revenue Retention, NRR)은 123%, 미래 계약 예약(Future contracted bookings)도 99억달러(YoY +41%)로 증가하면서 견고한 성장세를 증명
- 매크로 우려에 대해서는 “미국 내 생산과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했으며, 국내외 및 민간 수요도 여전히 견조하다”고 언급
▶ 지속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혁신과 민간, 해외 확장 기회 유효
- 이미 방위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한 상황에서도 포트폴리오 고도화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추가 성장 여력 존재
- FY1Q25 기준 해외 매출은 사상 최대 분기치를 기록했으나, 미국 비중이 여전히 88%에 달하므로 높은 신규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 미 정부의 예산 우선순위가 폭력범죄 대응·마약 확산 방지·첨단 국경 보안 기술 도입에 있다는 점 역시 수혜 요인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4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07.05.202522:54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5/8)
(5/7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39%, SPY 0.42%, DIA 0.69%, IWM 0.33%
*미국 상승 업종 : XLK 1.00%, XLY 0.78%, XLV 0.77%, XLF 0.59%
*미국 하락 업종 : XLB -0.55%, XLC -0.18%, XLRE -0.07%
*1M Highs : DISO 7.03%(DIS 옵션), LAYS 4.84%(NVDA·AMD), URNM 2.60%(우라늄 채굴), PTF 2.46%(美 기술주 모멘텀)
*1M Lows : DIPS -2.60%(NVDA 숏 옵션), MRNY -2.53%(MRNA 커버드콜), CANE -2.01%(설탕), TUR -1.46%(터키 주식)
(Daily News)
▶ Invesco Launches 3 Active ETFs Leveraging In-House Expertise
- Invesco, 7일(현지시간) 고품질 액티브 ETF 3종 'Invesco QQQ Hedged Advantage ETF(QQHG)','Invesco Comstock Contrarian Equity ETF(CTSK)','Invesco Managed Futures Strategy ETF(IMF)' 출시
- QQHG는 나스닥 100 지수 성과를 추종하는 주식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며 옵션 전략을 활용, CTSK는 주가와 기업 가치 간 괴리를 이용한 역발상 투자 전략 통해 수익 창출
- IMF는 글로벌 시장 전반에서 선물 상품에 롱/숏 포지션을 취하며, 전통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은 전략으로 장기 분산 수익 추구
https://buly.kr/9MQMmeF
▶ Bitwise Seeks SEC Approval to Launch Spot NEAR ETF
- Bitwise, 7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NEAR 프로토콜 기반 현물 ETF(Spot ETF) 출범을 위한 S-1 등록 서류를 제출
- Coinbase가 수탁사 역할을 수행하며 파생상품은 사용하지 않고, 펀드 운영 비용을 제외한 NEAR의 실제 가격을 추종
- ETF 승인 시 가격 상승은 보장되지 않으며, 출시 직후 매도세 유입 가능성 등 투자 유의 필요
https://buly.kr/6tbl3EF
▶ 2025 ETF Inflows Are Recognition Of The Golden Bull
- 금 ETF는 팬데믹 이후 자금 유출이 지속되었으나, 2025년 들어 기관투자자 유입이 급증하며 금 강세장 강화 흐름
- BRICS·신흥국 중심의 중앙은행 금 매입, 금 리패트리이션, 탈달러화 흐름이 실물 금 수요를 뒷받침하며, 미국 경제·통화 정책에 대한 신뢰 약화 반영
- ETF는 금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진정한 안전 자산은 실물 금이라는 인식이 확대되며, 현물 보유 중심의 장기 분산 전략 부각 중
https://buly.kr/EI3aFgQ
🌏글로벌 ETF Daily (5/8)
(5/7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39%, SPY 0.42%, DIA 0.69%, IWM 0.33%
*미국 상승 업종 : XLK 1.00%, XLY 0.78%, XLV 0.77%, XLF 0.59%
*미국 하락 업종 : XLB -0.55%, XLC -0.18%, XLRE -0.07%
*1M Highs : DISO 7.03%(DIS 옵션), LAYS 4.84%(NVDA·AMD), URNM 2.60%(우라늄 채굴), PTF 2.46%(美 기술주 모멘텀)
*1M Lows : DIPS -2.60%(NVDA 숏 옵션), MRNY -2.53%(MRNA 커버드콜), CANE -2.01%(설탕), TUR -1.46%(터키 주식)
(Daily News)
▶ Invesco Launches 3 Active ETFs Leveraging In-House Expertise
- Invesco, 7일(현지시간) 고품질 액티브 ETF 3종 'Invesco QQQ Hedged Advantage ETF(QQHG)','Invesco Comstock Contrarian Equity ETF(CTSK)','Invesco Managed Futures Strategy ETF(IMF)' 출시
- QQHG는 나스닥 100 지수 성과를 추종하는 주식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며 옵션 전략을 활용, CTSK는 주가와 기업 가치 간 괴리를 이용한 역발상 투자 전략 통해 수익 창출
- IMF는 글로벌 시장 전반에서 선물 상품에 롱/숏 포지션을 취하며, 전통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은 전략으로 장기 분산 수익 추구
https://buly.kr/9MQMmeF
▶ Bitwise Seeks SEC Approval to Launch Spot NEAR ETF
- Bitwise, 7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NEAR 프로토콜 기반 현물 ETF(Spot ETF) 출범을 위한 S-1 등록 서류를 제출
- Coinbase가 수탁사 역할을 수행하며 파생상품은 사용하지 않고, 펀드 운영 비용을 제외한 NEAR의 실제 가격을 추종
- ETF 승인 시 가격 상승은 보장되지 않으며, 출시 직후 매도세 유입 가능성 등 투자 유의 필요
https://buly.kr/6tbl3EF
▶ 2025 ETF Inflows Are Recognition Of The Golden Bull
- 금 ETF는 팬데믹 이후 자금 유출이 지속되었으나, 2025년 들어 기관투자자 유입이 급증하며 금 강세장 강화 흐름
- BRICS·신흥국 중심의 중앙은행 금 매입, 금 리패트리이션, 탈달러화 흐름이 실물 금 수요를 뒷받침하며, 미국 경제·통화 정책에 대한 신뢰 약화 반영
- ETF는 금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진정한 안전 자산은 실물 금이라는 인식이 확대되며, 현물 보유 중심의 장기 분산 전략 부각 중
https://buly.kr/EI3aFgQ
07.05.202522:49
[05/08 데일리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키움 시황/ESG 이성훈]
------
7일(수) 미 증시는 5월 FOMC에서 미 연준이 시장의 예상 대로 금리 동결을 결정한 가운데 파월 연준 의장의 혼재된 발언에 변동성 장세 연출. 다만, 장 막판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에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반등(다우 +0.70%, S&P500 +0.43%, 나스닥 +0.27%).
-------
시장의 예상대로 5월 FOMC에서 미 연준은 지난 3월에 이어 4.25~4.50%로 기준 금리를 동결. 금번 5월 FOMC 성명서 내용이나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준은 데이터 후행적으로 대응(Wait and See)하겠다는 스탠스를 지속적으로 견지. 관세 정책 등으로 실업률 확대, 인플레이션 재상승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나, 미국 경제는 아직까지는 견조하고 1분기 역성장했던 GDP도 향후 상향 조정될 수 있다고 발언.
최근 연준위원들 사이에서도 의견 불일치가 심화되고 파월 연준의장도 명확한 통화정책 경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이는 결국 연준이 실업률 상승 위험과 인플레이션 재점화 사이 정책 딜레마를 겪고 있다는 점을 방증. 이러한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Fed Watch 상 6월 FOMC에서의 25bp 금리 인하 확률도 전일 30.5% → 현재 19.8%로 낮아진 상태. 다만, 역설적으로 하드데이터를 중심으로 경기지표의 침체 시그널이 나타날 경우 연준은 언제든지 빠르게 보험성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 따라서, 관세 정책의 영향이 반영되는 5월 경기 지표에 대한 증시 민감도는 한층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최근 미 증시의 기술적 반등을 이끌었던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은 현재 진행형인 모습. 금주 후반 스위스에서 미중 양국 간 무역 협상과 관련한 고위급 회담이 진행될 예정. 물론, 미국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는 중국 측 발언과 중국에 대한 관세를 철폐할 생각이 없다는 트럼프의 강경한 발언을 토대로 봤을 때 금번 회담을 통해 극적인 무역 협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다만, 미중 협상 기대감을 자극할 뉴스플로우가 지속된다는 점은 긍정적.
한편, 이 날 장 막판 미 증시를 끌어 올린 요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AI 칩 수출 통제 정책 철회 발표. 오는 15일 발효 예정이었던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 철폐 소식에 엔비디아(+3.1%), 브로드컴(+2.4%)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1.7%) 상승. 반도체 칩 수출 통제 철회는 금일 개장 초 아시아 증시 내 AI 관련 주에 훈풍으로 작용할 전망.
-------
전일 국내 증시는 5월 FOMC 경계감,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장 중반까지 흔들리는 장세가 연출되었으나, 미중 협상 관련 고위금회담에 대한 기대감, 중국 지준율 인하 소식에 위험 자산 선호 심리 강화되며 후반부 양 지수는 상승 마감(코스피 +0.55%, 코스닥 +0.13%).
금일 국내 증시는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한 5월 FOMC 결과와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에 힘입어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상승 출발할 것으로 전망. 한편, 4월 이후 외국인의 코스피에 대한 순매수 자금은 2거래일 연속 유입되지 않았음. 이에 따라, 전일 외국인이 코스피에 대해 3,400억원 순매수한 데 이어 금일에도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지에 주목해볼 필요.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601
------
7일(수) 미 증시는 5월 FOMC에서 미 연준이 시장의 예상 대로 금리 동결을 결정한 가운데 파월 연준 의장의 혼재된 발언에 변동성 장세 연출. 다만, 장 막판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에 반도체주를 중심으로 반등(다우 +0.70%, S&P500 +0.43%, 나스닥 +0.27%).
-------
시장의 예상대로 5월 FOMC에서 미 연준은 지난 3월에 이어 4.25~4.50%로 기준 금리를 동결. 금번 5월 FOMC 성명서 내용이나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준은 데이터 후행적으로 대응(Wait and See)하겠다는 스탠스를 지속적으로 견지. 관세 정책 등으로 실업률 확대, 인플레이션 재상승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나, 미국 경제는 아직까지는 견조하고 1분기 역성장했던 GDP도 향후 상향 조정될 수 있다고 발언.
최근 연준위원들 사이에서도 의견 불일치가 심화되고 파월 연준의장도 명확한 통화정책 경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이는 결국 연준이 실업률 상승 위험과 인플레이션 재점화 사이 정책 딜레마를 겪고 있다는 점을 방증. 이러한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Fed Watch 상 6월 FOMC에서의 25bp 금리 인하 확률도 전일 30.5% → 현재 19.8%로 낮아진 상태. 다만, 역설적으로 하드데이터를 중심으로 경기지표의 침체 시그널이 나타날 경우 연준은 언제든지 빠르게 보험성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 따라서, 관세 정책의 영향이 반영되는 5월 경기 지표에 대한 증시 민감도는 한층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최근 미 증시의 기술적 반등을 이끌었던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은 현재 진행형인 모습. 금주 후반 스위스에서 미중 양국 간 무역 협상과 관련한 고위급 회담이 진행될 예정. 물론, 미국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는 중국 측 발언과 중국에 대한 관세를 철폐할 생각이 없다는 트럼프의 강경한 발언을 토대로 봤을 때 금번 회담을 통해 극적인 무역 협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다만, 미중 협상 기대감을 자극할 뉴스플로우가 지속된다는 점은 긍정적.
한편, 이 날 장 막판 미 증시를 끌어 올린 요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AI 칩 수출 통제 정책 철회 발표. 오는 15일 발효 예정이었던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 철폐 소식에 엔비디아(+3.1%), 브로드컴(+2.4%)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1.7%) 상승. 반도체 칩 수출 통제 철회는 금일 개장 초 아시아 증시 내 AI 관련 주에 훈풍으로 작용할 전망.
-------
전일 국내 증시는 5월 FOMC 경계감,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장 중반까지 흔들리는 장세가 연출되었으나, 미중 협상 관련 고위금회담에 대한 기대감, 중국 지준율 인하 소식에 위험 자산 선호 심리 강화되며 후반부 양 지수는 상승 마감(코스피 +0.55%, 코스닥 +0.13%).
금일 국내 증시는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한 5월 FOMC 결과와 트럼프 행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에 힘입어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상승 출발할 것으로 전망. 한편, 4월 이후 외국인의 코스피에 대한 순매수 자금은 2거래일 연속 유입되지 않았음. 이에 따라, 전일 외국인이 코스피에 대해 3,400억원 순매수한 데 이어 금일에도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지에 주목해볼 필요.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601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07.05.202522:31
★ 롯데칠성(005300): 2~3분기 국내 수요 회복 강도가 중요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1) 1분기 영업이익 25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하회
- 내수 소비경기 부진, 원부재료 투입단가 상승, 필리핀/미얀마 제품 공급 차질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 시장 기대치 하회
- 다만, 필리핀 공장 이전이 마무리되고(5월), 미얀마 원액 수입 통관 지연 이슈가 해소(3월 중순)되면서, 2Q부터 필리핀/미얀마 제품 공급은 정상화될 전망
- 별도 매출은 YoY -7% 감소. 음료(-5% YoY)는 제로탄산과 에너지음료를 제외한 전 카테고리 판매량이 감소하였고, 주류(-10% YoY)는 새로를 제외한 주요 브랜드 판매량 감소와 클라우드 生 드래프트 단종 영향으로 매출 감소
- 별도 OPM(4.5%)은 판매량 부진, 원부재료 투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YoY -1.2%p 하락
2) 2~3분기 국내 수요 회복 강도가 중요
- 글로벌 사업은 필리핀/미얀마 실적 반등으로 2분기에 YoY 증익이 무난할 전망. 특히, 미얀마는 4월부터 매출이 YoY 두 배 가까이 성장 중
- 중기적으로는 국내 판매량 회복 강도가 관건. 작년 6~7월 가격 인상 이후 음료 판매량이 계속 부진하고, 주류는 음주 문화의 다양화 영향이 겹치며 출고가 부진한 상황.
- 다만, 최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로 소비심리 하락이 멈추었고, 2~3분기 성수기 시즌에 진입하기 때문에, 시장의 전반적인 수요는 1분기를 저점으로 무난하게 반등할 전망
3)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 유지
- 글로벌 사업은 과거 대비 호전된 모습이나, 전반적인 원가 상승 부담 및 국내 수요 부진으로 실적 개선 지연
- 2분기까지는 기저효과로 YoY 증익이 쉽지 않으나, 주가는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점차 하방 경직성이 높아질 전망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48
★ 키움 음식료/유통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jpark_sobi
감사합니다.
[키움 음식료/유통 박상준]
1) 1분기 영업이익 250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하회
- 내수 소비경기 부진, 원부재료 투입단가 상승, 필리핀/미얀마 제품 공급 차질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 시장 기대치 하회
- 다만, 필리핀 공장 이전이 마무리되고(5월), 미얀마 원액 수입 통관 지연 이슈가 해소(3월 중순)되면서, 2Q부터 필리핀/미얀마 제품 공급은 정상화될 전망
- 별도 매출은 YoY -7% 감소. 음료(-5% YoY)는 제로탄산과 에너지음료를 제외한 전 카테고리 판매량이 감소하였고, 주류(-10% YoY)는 새로를 제외한 주요 브랜드 판매량 감소와 클라우드 生 드래프트 단종 영향으로 매출 감소
- 별도 OPM(4.5%)은 판매량 부진, 원부재료 투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YoY -1.2%p 하락
2) 2~3분기 국내 수요 회복 강도가 중요
- 글로벌 사업은 필리핀/미얀마 실적 반등으로 2분기에 YoY 증익이 무난할 전망. 특히, 미얀마는 4월부터 매출이 YoY 두 배 가까이 성장 중
- 중기적으로는 국내 판매량 회복 강도가 관건. 작년 6~7월 가격 인상 이후 음료 판매량이 계속 부진하고, 주류는 음주 문화의 다양화 영향이 겹치며 출고가 부진한 상황.
- 다만, 최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로 소비심리 하락이 멈추었고, 2~3분기 성수기 시즌에 진입하기 때문에, 시장의 전반적인 수요는 1분기를 저점으로 무난하게 반등할 전망
3)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 유지
- 글로벌 사업은 과거 대비 호전된 모습이나, 전반적인 원가 상승 부담 및 국내 수요 부진으로 실적 개선 지연
- 2분기까지는 기저효과로 YoY 증익이 쉽지 않으나, 주가는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점차 하방 경직성이 높아질 전망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48
★ 키움 음식료/유통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jpark_sobi
감사합니다.
07.05.202522:16
[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5.08
● 엔터
SM엔터, 1분기 영업이익 109.6% 급증…글로벌 콘서트·음원 매출 상승(뉴스로드)
https://tinyurl.com/26p57cgo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이투데이)
https://tinyurl.com/2yge53g8
위너, 7월 콘서트 개최…'부실 복무 의혹' 송민호 제외(JTBC)
https://tinyurl.com/2dg554aa
● 미디어
"과도한 스타 출연료 조정 등 요구할 것" ... 드라마 창작자 연대 창립(조선일보)
https://tinyurl.com/2d2orood
잇따른 韓日 합작 드라마… 협력 늘리는 K제작사들(국민일보)
https://tinyurl.com/2ytxyvq7
[윤교원의 중국 미디어 썰(说)] 중국 OTT 산업의 대변혁(미디어피아)
https://tinyurl.com/25rkms2n
● 레저
실적 날개 단 강원랜드…“매출총량제·비카지노 둔화는 고민”(브릿지경제)
https://tinyurl.com/2ag6krrl
롯데관광개발, 역대급 월매출...카지노 호황·외국인 관광객 증가 영향(한국경제TV)
https://tinyurl.com/238krcur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이 돌아왔다”… 5월 연휴 26만명 제주 방문(ksp뉴스)
https://tinyurl.com/2d96umon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5.08
● 엔터
SM엔터, 1분기 영업이익 109.6% 급증…글로벌 콘서트·음원 매출 상승(뉴스로드)
https://tinyurl.com/26p57cgo
9년 만에 출국 준비…K팝, '금기의 중국 무대' 다시 노린다 [엔터로그](이투데이)
https://tinyurl.com/2yge53g8
위너, 7월 콘서트 개최…'부실 복무 의혹' 송민호 제외(JTBC)
https://tinyurl.com/2dg554aa
● 미디어
"과도한 스타 출연료 조정 등 요구할 것" ... 드라마 창작자 연대 창립(조선일보)
https://tinyurl.com/2d2orood
잇따른 韓日 합작 드라마… 협력 늘리는 K제작사들(국민일보)
https://tinyurl.com/2ytxyvq7
[윤교원의 중국 미디어 썰(说)] 중국 OTT 산업의 대변혁(미디어피아)
https://tinyurl.com/25rkms2n
● 레저
실적 날개 단 강원랜드…“매출총량제·비카지노 둔화는 고민”(브릿지경제)
https://tinyurl.com/2ag6krrl
롯데관광개발, 역대급 월매출...카지노 호황·외국인 관광객 증가 영향(한국경제TV)
https://tinyurl.com/238krcur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이 돌아왔다”… 5월 연휴 26만명 제주 방문(ksp뉴스)
https://tinyurl.com/2d96umon
07.05.202507:32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 레모네이드(LMND.US) - LA 산불에도 성장에는 지장 없음
◆ 1Q25 영업수익 27% (YoY) 증가, 시장 기대치 상회
- 1Q25 영업수익은 27% (YoY) 증가한 1.51억달러
- 순손실은 전년동기대비 적자폭이 확대된 -0.62억달러(vs. 1Q24 -0.47억달러) 기록, 기대치 상회
◆ 외형 성장세 이어졌으나 LA 산불 등의 영향으로 이익 훼손
- 두자릿수 이상의 높은 외형 성장 지속됐으나, LA 산불 영향으로 손해율 상승
- 1Q25 고객수 255만명,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 1Q 영업수익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1.51억달러, 경과보험료 24% 증가/출재수수료 28% 증가 영향
- 손해율 전년동기대비 1%p 하락한 78%(자연재해 제외 시 59%), 주택보험/펫보험/자동차보험 각각 82%/68%/88%
- 영업비용 29% (YoY) 증가한 2.13억달러, 손해액과 마케팅비용 증가 때문
- LA 산불의 이익 훼손 영향은 기존 예상대로 0.2억달러
◆ 산불 영향 및 자동차 관세 우려에도 연간 가이던스 상향
- 산불과 향후 자동차 관세 부과 시 손해액 증가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연간 영업수익 가이던스 1% 상향, 이익 가이던스 유지
- 기 구축한 AI 인프라로 외형 성장 시 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빠른 수익성 개선 기대
- 중장기적으로는 집약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른 수익원 확보에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47
채널: https://t.me/yj_financial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 레모네이드(LMND.US) - LA 산불에도 성장에는 지장 없음
◆ 1Q25 영업수익 27% (YoY) 증가, 시장 기대치 상회
- 1Q25 영업수익은 27% (YoY) 증가한 1.51억달러
- 순손실은 전년동기대비 적자폭이 확대된 -0.62억달러(vs. 1Q24 -0.47억달러) 기록, 기대치 상회
◆ 외형 성장세 이어졌으나 LA 산불 등의 영향으로 이익 훼손
- 두자릿수 이상의 높은 외형 성장 지속됐으나, LA 산불 영향으로 손해율 상승
- 1Q25 고객수 255만명, 전년동기대비 21% 증가
- 1Q 영업수익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1.51억달러, 경과보험료 24% 증가/출재수수료 28% 증가 영향
- 손해율 전년동기대비 1%p 하락한 78%(자연재해 제외 시 59%), 주택보험/펫보험/자동차보험 각각 82%/68%/88%
- 영업비용 29% (YoY) 증가한 2.13억달러, 손해액과 마케팅비용 증가 때문
- LA 산불의 이익 훼손 영향은 기존 예상대로 0.2억달러
◆ 산불 영향 및 자동차 관세 우려에도 연간 가이던스 상향
- 산불과 향후 자동차 관세 부과 시 손해액 증가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연간 영업수익 가이던스 1% 상향, 이익 가이던스 유지
- 기 구축한 AI 인프라로 외형 성장 시 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빠른 수익성 개선 기대
- 중장기적으로는 집약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른 수익원 확보에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47
채널: https://t.me/yj_financial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08.05.202504:55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7.05.202522:54
[키움 혁신성장리서치/스몰캡 오현진]
▶️ 엠디바이스(226590)
: 숫자로 증명할 구조적 성장
◎ 기업용 SSD 전문 업체
- 소비자용 SSD 부터 BGA SSD, 기업용 SSD 등의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24년 매출액 기준 97%가 기업용 SSD
- 기업용 SSD 시장은 용량 및 제품 신뢰성 등의 이유로 글로벌 IDM 외 소수의 제한된 업체만이 진출
- 동사는 PCIe 4세대 기업용 SSD 상용화 성공, 5세대 SSD도 개발 완료
- 데이터센터 투자로 인한 SSD 수요 증가에도 공급이 제한적인 중화권 서버 제조업체향 중심으로 납품 확대 중
◎ 차별화된 성장 이끄는 동수서산 프로젝트
- 중국은 서부 지역에 데이터센터와 AI 연산 인프라를 대규모로 투자. 중국 로컬 데이터센터 및 서버 업체의 투자 기조는 견조
- 동사의 중국 주요 고객사향 SSD 공급량도 꾸준히 증가 추세. 중국 서버 시장 내 핵심 공급사를 주요 고객사로 확보
- 고객사 다변화도 진행 중. 상반기 내 신규 고객사향 추가 공급 계약 예상
- 기업용 SSD는 초기 진입 난이도가 높은 반면, 고객사들이 시스템 안정성 등의 이유로 단일 제품군 선호.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한 장기 공급 계약으로 향후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 주목
- 25년 매출액 940억원(YoY +95%), 영업이익 155억원(YoY +212%) 전망
- 시장 내 입지와 차세대 제품 개발을 통한 중장기 성장성 감안 시, 현재 주가(25년 기준 PER 9.5배)는 현저한 저평가 국면으로 판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349
▶️ 엠디바이스(226590)
: 숫자로 증명할 구조적 성장
◎ 기업용 SSD 전문 업체
- 소비자용 SSD 부터 BGA SSD, 기업용 SSD 등의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24년 매출액 기준 97%가 기업용 SSD
- 기업용 SSD 시장은 용량 및 제품 신뢰성 등의 이유로 글로벌 IDM 외 소수의 제한된 업체만이 진출
- 동사는 PCIe 4세대 기업용 SSD 상용화 성공, 5세대 SSD도 개발 완료
- 데이터센터 투자로 인한 SSD 수요 증가에도 공급이 제한적인 중화권 서버 제조업체향 중심으로 납품 확대 중
◎ 차별화된 성장 이끄는 동수서산 프로젝트
- 중국은 서부 지역에 데이터센터와 AI 연산 인프라를 대규모로 투자. 중국 로컬 데이터센터 및 서버 업체의 투자 기조는 견조
- 동사의 중국 주요 고객사향 SSD 공급량도 꾸준히 증가 추세. 중국 서버 시장 내 핵심 공급사를 주요 고객사로 확보
- 고객사 다변화도 진행 중. 상반기 내 신규 고객사향 추가 공급 계약 예상
- 기업용 SSD는 초기 진입 난이도가 높은 반면, 고객사들이 시스템 안정성 등의 이유로 단일 제품군 선호.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한 장기 공급 계약으로 향후 안정적인 성장 가능성 주목
- 25년 매출액 940억원(YoY +95%), 영업이익 155억원(YoY +212%) 전망
- 시장 내 입지와 차세대 제품 개발을 통한 중장기 성장성 감안 시, 현재 주가(25년 기준 PER 9.5배)는 현저한 저평가 국면으로 판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349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07.05.202522:42
★ Recursion Pharmaceuticals(RXRX.US): 파이프라인 구조조정, 허리띠 졸라매기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AI를 통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여 임상을 진행하는 Recursion Pharmaceuticals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매출액은 파트너십 계약으로부터 마일스톤 금액을 지급 받으며 YoY +9.6% 성장하였으나, 이익 부분에서는 합병 비용 등으로 비용이 커지며 여전히 적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금성 자산은 약 7,000억 원을 보유하고 있고, 매 분기마다 1,500억 원 정도 사용한다는 기조를 유지하여 `27년 중순까지 회사 운영이 원활할 예정입니다.
한편 10개 이상의 R&D 파이프라인을 6개로 구조조정하며 선택과 집중을 선언했습니다.
특히 가장 앞선 단계에서 2상 개발을 진행 중이었던 REC-994, REC-2282를 사실상 개발 중단하며 시장의 아쉬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16.5% 하락하였고, 이에 대한 시가총액 회복은 2H25의 임상 데이터 발표까지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48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AI를 통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여 임상을 진행하는 Recursion Pharmaceuticals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매출액은 파트너십 계약으로부터 마일스톤 금액을 지급 받으며 YoY +9.6% 성장하였으나, 이익 부분에서는 합병 비용 등으로 비용이 커지며 여전히 적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금성 자산은 약 7,000억 원을 보유하고 있고, 매 분기마다 1,500억 원 정도 사용한다는 기조를 유지하여 `27년 중순까지 회사 운영이 원활할 예정입니다.
한편 10개 이상의 R&D 파이프라인을 6개로 구조조정하며 선택과 집중을 선언했습니다.
특히 가장 앞선 단계에서 2상 개발을 진행 중이었던 REC-994, REC-2282를 사실상 개발 중단하며 시장의 아쉬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16.5% 하락하였고, 이에 대한 시가총액 회복은 2H25의 임상 데이터 발표까지 시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키움증권 신민수 의료기기 기록보관소 → https://t.me/sms_archive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48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07.05.202522:29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매크로 김유미]
매크로 따라잡기 : 5월 FOMC, 불확실성과 관망
▶ 5월 FOMC는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함. 3월 회의와 비교할 때 성명서에서는 특별히 큰 변화는 없었음. 다만,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모두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표현이 추가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키움. 연준의장 기자회견은 중립적이었지만 비둘기 발언을 기대했던 시장에서 바라보면 다소 매파적일 수 있다고 판단.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지적하며 이로 인한 물가 및 경제 영향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강조. 노동시장의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이를 확인할 시간이 더 필요짐. 연준의 금리 인하는 6월보다 7월 가능성이 높아 보임. 미 달러화는 6 월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었지만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미국의 성장 둔화를 감안 시 약세 국면에 당분간 머물 것으로 예상.
https://bbn.kiwoom.com/rfSI1180
매크로 따라잡기 : 5월 FOMC, 불확실성과 관망
▶ 5월 FOMC는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함. 3월 회의와 비교할 때 성명서에서는 특별히 큰 변화는 없었음. 다만,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모두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표현이 추가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키움. 연준의장 기자회견은 중립적이었지만 비둘기 발언을 기대했던 시장에서 바라보면 다소 매파적일 수 있다고 판단.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지적하며 이로 인한 물가 및 경제 영향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강조. 노동시장의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이를 확인할 시간이 더 필요짐. 연준의 금리 인하는 6월보다 7월 가능성이 높아 보임. 미 달러화는 6 월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었지만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미국의 성장 둔화를 감안 시 약세 국면에 당분간 머물 것으로 예상.
https://bbn.kiwoom.com/rfSI1180
07.05.202521:53
[키움 채권 안예하]
◆채권 Daily 코멘트(25.05.08.)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장기물 중심으로 하락. 커브 플래트닝. 미 연준 5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 결정한 가운데, 파월 연준 의장이 향후 인하 시그널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를 하지 않으면서 단기물 금리가 소폭 반등하며 보합권 마감. 6월 인하 기대가 크게 축소되었고 7월 인하 가능성이 높게 평가. 신중한 미 연준의 태도를 감안 인하 시점이 뒤로 미뤄질 것으로 평가.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미국)FOMC: 4.50%, 4.50%, 4.50%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영국)BOE 통화정책회의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31K, 241K
(미국)30년물 국채 입찰
◆ 미국 증시
- DOW: 41113.97p (+284.97p, +0.70%)
- S&P500: 5631.28p (+24.37p, +0.43%)
- NASDAQ: 17738.16p (+48.5p, +0.27%)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395.93원, 전일 대비 약 1원 상승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99.814 (+0.576, +0.58%)
- 유로/달러: 1.1301 (-0.0069, -0.61%)
- 달러/엔: 143.83 (+1.38, +0.97%)
- 파운드/달러: 1.3292 (-0.0077, -0.58%)
◆ 미 채권시장
- 2년물: 3.7765% (-0.6bp)
- 5년물: 3.8626% (-3.0bp)
- 10년물: 4.2694% (-2.5bp)
- 30년물: 4.7688% (-2.8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72.4bp
- 10Y-2Y: 49.3bp
- 30Y-10Y: 49.9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252% (-3.0bp)
- 5년물: 2.375% (-2.0bp)
- 10년물: 2.602% (+0.7bp)
- 30년물: 2.492% (+1.5bp)
(스프레드)
- 5Y-3Y: 12.3bp
- 10Y-3Y: 35.0bp
- 30Y-10Y: -11.0bp
(국채선물)
- 3년 KTB 107.90 (+10)
- 10년 KTB 120.96 (-9)
◆ 상품시장 (달러)
- WTI: 58.07 (-1.02, -1.73%)
- 브렌트유: 61.12 (-1.03, -1.66%)
- 금: 3391.9 (-30.9, -0.90%)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채권 Daily 코멘트(25.05.08.)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장기물 중심으로 하락. 커브 플래트닝. 미 연준 5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동결 결정한 가운데, 파월 연준 의장이 향후 인하 시그널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를 하지 않으면서 단기물 금리가 소폭 반등하며 보합권 마감. 6월 인하 기대가 크게 축소되었고 7월 인하 가능성이 높게 평가. 신중한 미 연준의 태도를 감안 인하 시점이 뒤로 미뤄질 것으로 평가.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미국)FOMC: 4.50%, 4.50%, 4.50%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영국)BOE 통화정책회의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31K, 241K
(미국)30년물 국채 입찰
◆ 미국 증시
- DOW: 41113.97p (+284.97p, +0.70%)
- S&P500: 5631.28p (+24.37p, +0.43%)
- NASDAQ: 17738.16p (+48.5p, +0.27%)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395.93원, 전일 대비 약 1원 상승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99.814 (+0.576, +0.58%)
- 유로/달러: 1.1301 (-0.0069, -0.61%)
- 달러/엔: 143.83 (+1.38, +0.97%)
- 파운드/달러: 1.3292 (-0.0077, -0.58%)
◆ 미 채권시장
- 2년물: 3.7765% (-0.6bp)
- 5년물: 3.8626% (-3.0bp)
- 10년물: 4.2694% (-2.5bp)
- 30년물: 4.7688% (-2.8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72.4bp
- 10Y-2Y: 49.3bp
- 30Y-10Y: 49.9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252% (-3.0bp)
- 5년물: 2.375% (-2.0bp)
- 10년물: 2.602% (+0.7bp)
- 30년물: 2.492% (+1.5bp)
(스프레드)
- 5Y-3Y: 12.3bp
- 10Y-3Y: 35.0bp
- 30Y-10Y: -11.0bp
(국채선물)
- 3년 KTB 107.90 (+10)
- 10년 KTB 120.96 (-9)
◆ 상품시장 (달러)
- WTI: 58.07 (-1.02, -1.73%)
- 브렌트유: 61.12 (-1.03, -1.66%)
- 금: 3391.9 (-30.9, -0.90%)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07.05.202507:28
[키움 중국 박주영]
중국은 지금 - 2025년 노동절 연휴 소비는?
- 국내여행: 견조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1인당 소비금액 ‘19년 수준 하회
- 해외여행: 예상치 및 ‘19년 수준 상회, 높은 해외여행 수요 지속
- 해남도 면세: 면세점 이용자수 감소하며 부진 지속
- 마카오 카지노: ‘19년 수준 상회, 방문객수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H421
중국은 지금 - 2025년 노동절 연휴 소비는?
- 국내여행: 견조한 수요에도 불구하고 1인당 소비금액 ‘19년 수준 하회
- 해외여행: 예상치 및 ‘19년 수준 상회, 높은 해외여행 수요 지속
- 해남도 면세: 면세점 이용자수 감소하며 부진 지속
- 마카오 카지노: ‘19년 수준 상회, 방문객수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H421
08.05.202500:00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7.05.202522:53
[키움 혁신성장리서치/스몰캡]
키움 스몰캡 전략노트 5
◎ 학준's Pick
- 시장 내 점유율 확대로 성장 가능한 기업 선정
- 로봇 분야에선 휴머노이드 트렌드에서 가장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액츄에이터 관련 업체 선정
- Top Pick: 로보티즈(108490)
- 로보티즈: AI워커와 AI메뉴플레이터 등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로 성장성 부각 기대
- 에스엠씨지: 전기용해로에서 나온 유리용기와 색유리 가공, 플라스틱 사출까지 토털 패키지 서비스 제공
- 우신시스템: 내년 세이프티 매출 확대와 더불어 이익률 개선 및 자동화라인 수주가 지속될 전망
◎ 현진's Pick
- 미용기기로 확장 성공한 한방 의료기기 업체로 해외 성과를 통한 성장이 주목되는 ‘동방메디컬’ 주목
- AI 솔루션 G-MATRIX 외에도 추가 포트폴리오 확대 및 해외 진출 기대되는 ‘비아이매트릭스’ 관심
-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진공 로봇 업체로, 중화권 중심 해외 부문 성과가 주목되는 ‘라온테크’ 관심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I5310
*컴플라이언스 검필
키움 스몰캡 전략노트 5
◎ 학준's Pick
- 시장 내 점유율 확대로 성장 가능한 기업 선정
- 로봇 분야에선 휴머노이드 트렌드에서 가장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액츄에이터 관련 업체 선정
- Top Pick: 로보티즈(108490)
- 로보티즈: AI워커와 AI메뉴플레이터 등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로 성장성 부각 기대
- 에스엠씨지: 전기용해로에서 나온 유리용기와 색유리 가공, 플라스틱 사출까지 토털 패키지 서비스 제공
- 우신시스템: 내년 세이프티 매출 확대와 더불어 이익률 개선 및 자동화라인 수주가 지속될 전망
◎ 현진's Pick
- 미용기기로 확장 성공한 한방 의료기기 업체로 해외 성과를 통한 성장이 주목되는 ‘동방메디컬’ 주목
- AI 솔루션 G-MATRIX 외에도 추가 포트폴리오 확대 및 해외 진출 기대되는 ‘비아이매트릭스’ 관심
-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진공 로봇 업체로, 중화권 중심 해외 부문 성과가 주목되는 ‘라온테크’ 관심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I5310
*컴플라이언스 검필
07.05.202522:36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5/8)
(5/7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631.28 / 0.43%
NASDAQ 종합 17,738.16 / 0.27%
다우산업 41,113.97 / 0.70%
러셀2000 1,989.66 / 0.33%
필라델피아 반도체 4,386.36 / 1.7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2.75%), 내구소비재/의류 (1.68%), 유통 (1.44%)
Low 3: 엔터/미디어 (-2.01%), 하드웨어 (-0.78%), 통신 (-0.54%)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2.75%
내구소비재/의류 1.68%
유통 1.44%
헬스케어 0.91%
금융 0.86%
상업 및 전문서비스 0.83%
제약 0.73%
자본재 0.59%
소프트웨어 0.46%
음식료 및 담배 0.46%
보험 0.45%
호텔/레저 0.36%
유틸리티 0.29%
자동차 및 부품 0.23%
은행 0.13%
에너지 0.08%
식료품 0.04%
가정용품 -0.05%
부동산 -0.09%
운송 -0.12%
소재 -0.50%
통신 -0.54%
하드웨어 -0.78%
- 종목별 수익률
High 3: CRL (18.68%), ROK (11.90%), DIS (10.76%)
Low 3: GOOG (-7.51%), GOOGL (-7.26%), IFF (-7.08%)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99%
Growth 0.33%
Quality 0.99%
High Dividend 0.15%
Low Votality 0.58%
Enhanced value 0.37%
Value 0.55%
High Beta 0.99%
- 주요 뉴스
▶ Trump administration to rescind and replace Biden-era global AI chip export curbs
https://www.reuters.com/business/trump-administration-will-rescind-biden-era-ai-chip-export-curbs-bloomberg-news-2025-05-07/
▶ Trump to sign order on drug prices as early as next week, Politico report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sign-order-drug-prices-early-next-week-politico-reports-2025-05-07/
▶ US pushes nations facing tariffs to approve Musk's Starlink, Washington Post reports
https://www.reuters.com/world/us/us-pushes-nations-facing-tariffs-approve-musks-starlink-washington-post-reports-2025-05-07/
▶ US, China to hold ice-breaker trade talks in Geneva on Saturday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says-china-wants-negotiate-meet-right-time-2025-05-06/
▶ Low-cost carriers hit hardest by US travel demand slump
https://www.reuters.com/world/us/low-cost-carriers-hit-hardest-by-us-travel-demand-slump-2025-05-07/
▶ US judge sides with FDA's removal of Lilly's weight loss drug from shortage list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us-judge-sides-with-fdas-removal-lillys-weight-loss-drug-shortage-list-2025-05-07/
▶ Microsoft wins appeal in FTC challenge to $69 bln Activision Blizzard deal
https://www.reuters.com/legal/microsoft-wins-ftc-appeal-challenging-69-bln-activision-blizzard-deal-2025-05-07/
▶ Fed sees rising risks to economy as it leaves rates unchanged
https://www.reuters.com/business/fed-likely-leave-rates-unchanged-it-hunts-clarity-economy-2025-05-07/
🌏US Daily (5/8)
(5/7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631.28 / 0.43%
NASDAQ 종합 17,738.16 / 0.27%
다우산업 41,113.97 / 0.70%
러셀2000 1,989.66 / 0.33%
필라델피아 반도체 4,386.36 / 1.7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2.75%), 내구소비재/의류 (1.68%), 유통 (1.44%)
Low 3: 엔터/미디어 (-2.01%), 하드웨어 (-0.78%), 통신 (-0.54%)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2.75%
내구소비재/의류 1.68%
유통 1.44%
헬스케어 0.91%
금융 0.86%
상업 및 전문서비스 0.83%
제약 0.73%
자본재 0.59%
소프트웨어 0.46%
음식료 및 담배 0.46%
보험 0.45%
호텔/레저 0.36%
유틸리티 0.29%
자동차 및 부품 0.23%
은행 0.13%
에너지 0.08%
식료품 0.04%
가정용품 -0.05%
부동산 -0.09%
운송 -0.12%
소재 -0.50%
통신 -0.54%
하드웨어 -0.78%
- 종목별 수익률
High 3: CRL (18.68%), ROK (11.90%), DIS (10.76%)
Low 3: GOOG (-7.51%), GOOGL (-7.26%), IFF (-7.08%)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99%
Growth 0.33%
Quality 0.99%
High Dividend 0.15%
Low Votality 0.58%
Enhanced value 0.37%
Value 0.55%
High Beta 0.99%
- 주요 뉴스
▶ Trump administration to rescind and replace Biden-era global AI chip export curbs
https://www.reuters.com/business/trump-administration-will-rescind-biden-era-ai-chip-export-curbs-bloomberg-news-2025-05-07/
▶ Trump to sign order on drug prices as early as next week, Politico report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sign-order-drug-prices-early-next-week-politico-reports-2025-05-07/
▶ US pushes nations facing tariffs to approve Musk's Starlink, Washington Post reports
https://www.reuters.com/world/us/us-pushes-nations-facing-tariffs-approve-musks-starlink-washington-post-reports-2025-05-07/
▶ US, China to hold ice-breaker trade talks in Geneva on Saturday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says-china-wants-negotiate-meet-right-time-2025-05-06/
▶ Low-cost carriers hit hardest by US travel demand slump
https://www.reuters.com/world/us/low-cost-carriers-hit-hardest-by-us-travel-demand-slump-2025-05-07/
▶ US judge sides with FDA's removal of Lilly's weight loss drug from shortage list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us-judge-sides-with-fdas-removal-lillys-weight-loss-drug-shortage-list-2025-05-07/
▶ Microsoft wins appeal in FTC challenge to $69 bln Activision Blizzard deal
https://www.reuters.com/legal/microsoft-wins-ftc-appeal-challenging-69-bln-activision-blizzard-deal-2025-05-07/
▶ Fed sees rising risks to economy as it leaves rates unchanged
https://www.reuters.com/business/fed-likely-leave-rates-unchanged-it-hunts-clarity-economy-2025-05-07/
07.05.202522:24
[키움 채권 안예하]
Kiwoom Fixed Income Issue
★5월 FOMC Review: Wait and See
•미 연준 5월 FOMC는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 결정. 물가 상방, 고용 위축 리스크 모두 상향 조정되었다는 평가 외에 성명서 문구는 크게 변화가 없었음. 리스크 증대에 따라 섣불리 움직이지 못한다는 입장을 확인.
•고용 등 실물 경기가 아직까지 견조하다는 점을 고려, 미 연준의 인하 재개 시점은 6월이 아닌 7월로 전망 변경. 심리 지표 부진 등을 감안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며 3분기 중 7, 9월 2회 인하 예상.
•5월 FOMC는 여전히 관망하겠다는 입장이었다는 점을 감안,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당분간 4.0~4.4%의 레인지에서 등락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 경기의 급격한 위축과 물가 상승 리스크가 없다면 시장금리도 큰 변화 없이 등락을 이어나갈 전망. 하반기 QT 중단에 대한 기대 등은 미국채 금리의 점진적 하락 경로를 지지하는 요인이나, 관세정책 불확실성 완화 기대 등은 경기 부진 우려를 약화시켜 금리 하방 경직성을 높일 요인.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IA815.pdf
Kiwoom Fixed Income Issue
★5월 FOMC Review: Wait and See
•미 연준 5월 FOMC는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 결정. 물가 상방, 고용 위축 리스크 모두 상향 조정되었다는 평가 외에 성명서 문구는 크게 변화가 없었음. 리스크 증대에 따라 섣불리 움직이지 못한다는 입장을 확인.
•고용 등 실물 경기가 아직까지 견조하다는 점을 고려, 미 연준의 인하 재개 시점은 6월이 아닌 7월로 전망 변경. 심리 지표 부진 등을 감안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며 3분기 중 7, 9월 2회 인하 예상.
•5월 FOMC는 여전히 관망하겠다는 입장이었다는 점을 감안,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당분간 4.0~4.4%의 레인지에서 등락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 경기의 급격한 위축과 물가 상승 리스크가 없다면 시장금리도 큰 변화 없이 등락을 이어나갈 전망. 하반기 QT 중단에 대한 기대 등은 미국채 금리의 점진적 하락 경로를 지지하는 요인이나, 관세정책 불확실성 완화 기대 등은 경기 부진 우려를 약화시켜 금리 하방 경직성을 높일 요인.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IA815.pdf
07.05.202521:41
◈ 5월 8일(목) 전일 철강금속 지표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3% (-0.2%), ArcelorMittal -0.4% (-0.4%), US Steel -4.1% (-4.5%), Nippon Steel 0.3% (0.0%), Baoshan 0.9% (0.1%), Angang(HK) -0.7% (-0.8%), Albemarle -2.5% (-2.9%)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9 ($1.4, 0.3%), 철근 $470 ($2.5, 0.5%), 냉연 $534 ($-0.9, -0.2%), 열연선물(AC) 0.7%, 철근선물(AC) 0.7%, 철근선물 시간 외 -0.1%
▶ 철광석: 현물 $97 (1.6%), SGX 선물 $98 (0.8%), DCE 선물(AC) 0.5%, DCE 시간 외 -0.4%
▶ 강점탄: 호주 현물 $191 (0.0%), SGX 선물 $186 (-0.1%), DCE 선물 -0.4%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420 (-1.2%), 아연 $2,617 (-0.6%), 납 $1,958 (1.8%), 니켈 $15,548 (-1.0%), 금 $3,365 (-2.0%), 은 $32.5 (-2.3%)
▶ 탄산리튬: 중국 현물 $9,104 (-1.3%), GFEX 선물 64,160위안 (-1.7%)
- 중국 철강선물 상승 / 중국 철광석 선물 상승 / 호주 강점탄 현물 보합
- LME 비철은 달러강세에 하락 / 귀금속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파월 발언에 하락
- 중국 탄산리튬 선물 신저가 약세 지속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3% (-0.2%), ArcelorMittal -0.4% (-0.4%), US Steel -4.1% (-4.5%), Nippon Steel 0.3% (0.0%), Baoshan 0.9% (0.1%), Angang(HK) -0.7% (-0.8%), Albemarle -2.5% (-2.9%)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9 ($1.4, 0.3%), 철근 $470 ($2.5, 0.5%), 냉연 $534 ($-0.9, -0.2%), 열연선물(AC) 0.7%, 철근선물(AC) 0.7%, 철근선물 시간 외 -0.1%
▶ 철광석: 현물 $97 (1.6%), SGX 선물 $98 (0.8%), DCE 선물(AC) 0.5%, DCE 시간 외 -0.4%
▶ 강점탄: 호주 현물 $191 (0.0%), SGX 선물 $186 (-0.1%), DCE 선물 -0.4%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420 (-1.2%), 아연 $2,617 (-0.6%), 납 $1,958 (1.8%), 니켈 $15,548 (-1.0%), 금 $3,365 (-2.0%), 은 $32.5 (-2.3%)
▶ 탄산리튬: 중국 현물 $9,104 (-1.3%), GFEX 선물 64,160위안 (-1.7%)
- 중국 철강선물 상승 / 중국 철광석 선물 상승 / 호주 강점탄 현물 보합
- LME 비철은 달러강세에 하락 / 귀금속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파월 발언에 하락
- 중국 탄산리튬 선물 신저가 약세 지속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07.05.202504:29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8(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피아이이'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DPTn43P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842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