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202507:23
2025년 4월 25일 중앙정치국 회의 요약
* 경제 상황 진단
경제는 회복세와 안정세를 동반
사회 신뢰 회복, 고품질 발전 착실히 추진
다만, 내부 기초는 미약, 외부 충격 리스크 증가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사고방식을 강화하고 충분한 예비 계획 준비 필요.
* 거시경제 정책
적극적 재정정책, 완화적 통화정책 최대한 활용
지방정부 전용채·초장기 국채 발행 가속
지준율·금리 인하 적시 추진
유동성 확보 및 실물경제 지원 강화
구조적 통화정책 도구·정책성 금융수단 신설 → 과학기술, 소비, 수출 지원
* 소비 진작 정책
중·저소득층 소득 제고, 서비스 소비 확대
소비 제한 조치 철폐, 서비스·요양 재대출 신설
이구환신(两新) 정책 확대,
주요 인프라/도시(两重) 건설 강화
* 산업 정책
내외무역 통합 가속화
신품질 생산력 육성, 신흥 산업 육성
핵심 기술 자립화,
채권시장 ‘과창판' 도입
‘AI+’ 행동 계획 전개
중점 산업 고도화, 표준 선도·경쟁 질서 정비
* 개혁·개방
기업 대상 법집행 정비
서비스업 개방 시범 확대, 기업 해외진출 지원
다자주의 수호, 일방주의·패권주의 반대
* 부동산 정책
도시 갱신 가속, 노후 주택 개조 추진
부동산 발전 신모델 구축
고품질 주택 공급 확대, 기존 주택 매입정책 최적화
시장 안정세 유지
* 자본시장
자본시장 안정 + 활력 제고 지속 추진
* 민생 보장
관세 피해 기업에 실업보험 환급 비율 상향
사회구조를 세분화하고 체계적 시스템 개선
농산물 가격 안정, 농업 생산 강화
빈곤퇴치 성과 → 농촌진흥 연결
안전생산 및 재해예방 체계 강화
* 경제 상황 진단
경제는 회복세와 안정세를 동반
사회 신뢰 회복, 고품질 발전 착실히 추진
다만, 내부 기초는 미약, 외부 충격 리스크 증가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사고방식을 강화하고 충분한 예비 계획 준비 필요.
* 거시경제 정책
적극적 재정정책, 완화적 통화정책 최대한 활용
지방정부 전용채·초장기 국채 발행 가속
지준율·금리 인하 적시 추진
유동성 확보 및 실물경제 지원 강화
구조적 통화정책 도구·정책성 금융수단 신설 → 과학기술, 소비, 수출 지원
* 소비 진작 정책
중·저소득층 소득 제고, 서비스 소비 확대
소비 제한 조치 철폐, 서비스·요양 재대출 신설
이구환신(两新) 정책 확대,
주요 인프라/도시(两重) 건설 강화
* 산업 정책
내외무역 통합 가속화
신품질 생산력 육성, 신흥 산업 육성
핵심 기술 자립화,
채권시장 ‘과창판' 도입
‘AI+’ 행동 계획 전개
중점 산업 고도화, 표준 선도·경쟁 질서 정비
* 개혁·개방
기업 대상 법집행 정비
서비스업 개방 시범 확대, 기업 해외진출 지원
다자주의 수호, 일방주의·패권주의 반대
* 부동산 정책
도시 갱신 가속, 노후 주택 개조 추진
부동산 발전 신모델 구축
고품질 주택 공급 확대, 기존 주택 매입정책 최적화
시장 안정세 유지
* 자본시장
자본시장 안정 + 활력 제고 지속 추진
* 민생 보장
관세 피해 기업에 실업보험 환급 비율 상향
사회구조를 세분화하고 체계적 시스템 개선
농산물 가격 안정, 농업 생산 강화
빈곤퇴치 성과 → 농촌진흥 연결
안전생산 및 재해예방 체계 강화
21.04.202501:01
2025년 4월 중국 LPR 금리 동결
1년물 3.1%
5년물 3.6%
1년물 3.1%
5년물 3.6%
17.04.202502:27
[중국/홍콩 증시 휴장 안내]
4월 18일(금)~4월 21일(월)
: 홍콩 증시 휴장
(Good Friday/Easter Monday)
중국 본토 증시는 개장하지만 외국인 거래가 중단됩니다.
업무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4월 18일(금)~4월 21일(월)
: 홍콩 증시 휴장
(Good Friday/Easter Monday)
중국 본토 증시는 개장하지만 외국인 거래가 중단됩니다.
업무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6.04.202500:06
12.04.202514:43
11.04.202508:07
25.04.202505:48
4월 중앙정치국회의 개최
주요 내용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14:43:46中共中央政治局召开会议,会议指出,要持续用力防范化解重点领域风险。继续实施地方政府一揽子化债政策,加快解决地方政府拖欠企业账款问题。加力实施城市更新行动,有力有序推进城中村和危旧房改造。加快构建房地产发展新模式,加大高品质住房供给,优化存量商品房收购政策,持续巩固房地产市场稳定态势。持续稳定和活跃资本市场。(来自财联社APP)
주요 내용 업데이트드리겠습니다.
14:43:46中共中央政治局召开会议,会议指出,要持续用力防范化解重点领域风险。继续实施地方政府一揽子化债政策,加快解决地方政府拖欠企业账款问题。加力实施城市更新行动,有力有序推进城中村和危旧房改造。加快构建房地产发展新模式,加大高品质住房供给,优化存量商品房收购政策,持续巩固房地产市场稳定态势。持续稳定和活跃资本市场。(来自财联社APP)


19.04.202501:47
베이징 이좡 지역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하프마라톤 대회
20개 기업이 참가했고, 베이징휴머노이드 혁신센터의 '천궁'이 선두
CCTV에서 생방송으로 중계 중
20개 기업이 참가했고, 베이징휴머노이드 혁신센터의 '천궁'이 선두
CCTV에서 생방송으로 중계 중


16.04.202506:56
중국 증시, 장 마감 10분앞두고 CSI300지수 ETF에 자금 유입 확대.(국가대표자금 투입?!)
상해종합지수 및 CSI300지수 등 상승 전환
(그림은 중국 증시에서 AUM이 가장 큰 Huatai CSI300 ETF 상품입니다)
상해종합지수 및 CSI300지수 등 상승 전환
(그림은 중국 증시에서 AUM이 가장 큰 Huatai CSI300 ETF 상품입니다)
14.04.202514:13
중국기업의 미국 상폐 위협은 새로운 리스크도 아니죠..
미국 상장기업뿐만 아니라 중국 A주의 대표 종목들도 올해 줄줄이 홍콩 상장 대기 중
http://m.g-enews.com/view.php?ud=2025041216583748210c8c1c064d_1
미국 상장기업뿐만 아니라 중국 A주의 대표 종목들도 올해 줄줄이 홍콩 상장 대기 중
http://m.g-enews.com/view.php?ud=2025041216583748210c8c1c064d_1
12.04.202509:47
11.04.202505:58
중국산으로 트집잡을 명분 제거 중
중국 반도체주 강세 견인
---------------------
중국 반도체산업협회, 중국 반도체 제품의 '웨이퍼 원산지 기준'으로 하는 긴급 규정 발표
기존에는 반도체의 웨이퍼 공정이 미국, 한국,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지고 패키징(封装)을 중국에서 진행한 경우에 반도체 제품 제조국이 패키징 또는 재가공지역 중심으로 유연하게 신고되던 사례가 대부분이었음.
중국 반도체산업협회는 해관총서 규정에 따라 “집적회로 제품의 원산지는 패키징 여부와 무관하게 ‘웨이퍼 가공지(流片地)’로 간주한다”는 긴급 통지를 발표
중국 내에서 패키징된 외국산 웨이퍼가 '중국산'으로 우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산지 규정 강화'라는 제도 정비에 나선 것으로 해석.
기존: 패키징 국가 기준 혼용, 기업별로 유연한 신고 가능
변경 후 : 웨이퍼 생산 국가로 통일하고 정확한 추적 필수, 위반시 중국 해관의 제재 가능성, 수출입 서류 필요
예) TSMC에서 웨이퍼 가공 → 중국에서 패키징 → 원산지는 대만으로 신고
패키징 국가가 중국이어도, 중국산으로 간주되지 않음.
이번 제도 개편이
중국 반도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1) 중국의 반도체 국산화 가속화.
중국 내 외국 반도체 의존 실태 파악, 해외 협력보다 웨이퍼 공정까지 중국 내 유치/육성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될 것
2) 관세 전쟁 속에서 원산지 투명화를 통한 리스크 축소 목적
+ 중국과 반도체 패키징을 협력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원산지 신고 방식 재정비가 필요하고 계약구조 변경가능성도 언급
중국 반도체주 강세 견인
---------------------
중국 반도체산업협회, 중국 반도체 제품의 '웨이퍼 원산지 기준'으로 하는 긴급 규정 발표
기존에는 반도체의 웨이퍼 공정이 미국, 한국,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지고 패키징(封装)을 중국에서 진행한 경우에 반도체 제품 제조국이 패키징 또는 재가공지역 중심으로 유연하게 신고되던 사례가 대부분이었음.
중국 반도체산업협회는 해관총서 규정에 따라 “집적회로 제품의 원산지는 패키징 여부와 무관하게 ‘웨이퍼 가공지(流片地)’로 간주한다”는 긴급 통지를 발표
중국 내에서 패키징된 외국산 웨이퍼가 '중국산'으로 우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원산지 규정 강화'라는 제도 정비에 나선 것으로 해석.
기존: 패키징 국가 기준 혼용, 기업별로 유연한 신고 가능
변경 후 : 웨이퍼 생산 국가로 통일하고 정확한 추적 필수, 위반시 중국 해관의 제재 가능성, 수출입 서류 필요
예) TSMC에서 웨이퍼 가공 → 중국에서 패키징 → 원산지는 대만으로 신고
패키징 국가가 중국이어도, 중국산으로 간주되지 않음.
이번 제도 개편이
중국 반도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1) 중국의 반도체 국산화 가속화.
중국 내 외국 반도체 의존 실태 파악, 해외 협력보다 웨이퍼 공정까지 중국 내 유치/육성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될 것
2) 관세 전쟁 속에서 원산지 투명화를 통한 리스크 축소 목적
+ 중국과 반도체 패키징을 협력하는 글로벌 기업들은 원산지 신고 방식 재정비가 필요하고 계약구조 변경가능성도 언급
22.04.202506:29
'상하이모터쇼' 4월 23일 개막
중국 증시와 각 전기차 브랜드별 영향 주목
https://naver.me/5T4bFG09
중국 증시와 각 전기차 브랜드별 영향 주목
https://naver.me/5T4bFG09
17.04.202511:10
3개월만에 다시 중국 방문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7141152083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7141152083
16.04.202502:13
2025년 3월& 1분기 실물지표 발표
서프라이즈. (특히 소비, 생산 중심)
고용지표도 소폭 개선.
지표가 개선되었어도 여전히 외부압력 부담에 따라 4월 정치국회의의 부양정책 주목
1분기 GDP : 5.4%
(예상 5.2% / 전분기 5.4%)
[3월]
- 소매판매 : +5.9%
(예상 4.3% / 1-2월 4.0% )
- 산업생산 : +7.7%
(예상 +5.8% / 1-2월 +5.9%)
- 실업률 5.2%
(예상 5.3% /전월 5.4%)
[분기기준]
- 소매판매 : +4.6% (전분기 4%)
- 산업생산 : 6.5% (전분기 5.9%)
* 주요 품목 생산 증가율 (YoY) :
전기차 45.4%, 3D프린터설비 44.9%, 산업용로봇 26%
- 1-3월고정자산투자 :
+4.2% (예상 +4.0% / 1-2월 +4.1%)
부동산개발투자
-9.9% ( 1-2월 9.8% )
- 실업률: 5.3%
서프라이즈. (특히 소비, 생산 중심)
고용지표도 소폭 개선.
지표가 개선되었어도 여전히 외부압력 부담에 따라 4월 정치국회의의 부양정책 주목
1분기 GDP : 5.4%
(예상 5.2% / 전분기 5.4%)
[3월]
- 소매판매 : +5.9%
(예상 4.3% / 1-2월 4.0% )
- 산업생산 : +7.7%
(예상 +5.8% / 1-2월 +5.9%)
- 실업률 5.2%
(예상 5.3% /전월 5.4%)
[분기기준]
- 소매판매 : +4.6% (전분기 4%)
- 산업생산 : 6.5% (전분기 5.9%)
* 주요 품목 생산 증가율 (YoY) :
전기차 45.4%, 3D프린터설비 44.9%, 산업용로봇 26%
- 1-3월고정자산투자 :
+4.2% (예상 +4.0% / 1-2월 +4.1%)
부동산개발투자
-9.9% ( 1-2월 9.8% )
- 실업률: 5.3%
14.04.202506:12
2025년 3월 중국 무역지표 (달러기준)
* 3월 월간기준
수출: +12.4% YoY
(전월 -3.0%)
수입: -4.3% YoY
(전월 +1.5%)
무역수지 1026.4억 달러
(전월 317.2억 달러)
* 1Q25 기준
수출 +5.8%
수입 -7.0%
무역수지 2729.7억 달러
무역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밀어내기, 선수요 반영되며 수출 서프라이즈
4월 지표부터 관세 부과관련 직접적인 여파 반영 예상.
수입 하락은 소비회복 지연 및 철광석, 석탄, 대두 등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원인
* 중국 해관총서, 1분기 수출입 관련 기자브리핑 주요 내용
- 미국의 “关税霸凌行为(관세 폭력)” 강력 비판
- 수출 환경이 어렵지만 ‘하늘이 무너지진 않는다(天塌不下来)’
중국은 시장 다변화, 공급망 협력, 내수 기반을 통해 무역 안정성과 회복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
-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교역 국가 다변화. 특히 일대일로 국가와의 교역 비중 대폭 확대
- 글로벌 수요 회복 : 글로벌 제조업 PMI 평균이 49.9%로 전분기, 작년 동기대비 개선세
- 조선, 해양공정 장비, 풍력발전기, 리튬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두자릿수 증가
- 전통 제조 산업의 소량, 고속, 유행 전략 도입 : 소량주문, 빠른 납품
예) 의류, 완구 등의 업종 납품 기간을 1개월에서 1주일로 단축.
유럽향 스포츠용품, 동남아향 화장품 수출 두자릿수 증가
- 내수시장 14억 인구 + 4억 중산층 보유 → 수입·소비 여력 여전
“고수준 개방”을 계속 추진, 단방향 개방도 병행
- 16년 연속 세계 2위 수입국, 연평균 수입 +5.4%, 글로벌 수입 점유율 10.5%
* 3월 월간기준
수출: +12.4% YoY
(전월 -3.0%)
수입: -4.3% YoY
(전월 +1.5%)
무역수지 1026.4억 달러
(전월 317.2억 달러)
* 1Q25 기준
수출 +5.8%
수입 -7.0%
무역수지 2729.7억 달러
무역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밀어내기, 선수요 반영되며 수출 서프라이즈
4월 지표부터 관세 부과관련 직접적인 여파 반영 예상.
수입 하락은 소비회복 지연 및 철광석, 석탄, 대두 등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원인
* 중국 해관총서, 1분기 수출입 관련 기자브리핑 주요 내용
- 미국의 “关税霸凌行为(관세 폭력)” 강력 비판
- 수출 환경이 어렵지만 ‘하늘이 무너지진 않는다(天塌不下来)’
중국은 시장 다변화, 공급망 협력, 내수 기반을 통해 무역 안정성과 회복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
-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교역 국가 다변화. 특히 일대일로 국가와의 교역 비중 대폭 확대
- 글로벌 수요 회복 : 글로벌 제조업 PMI 평균이 49.9%로 전분기, 작년 동기대비 개선세
- 조선, 해양공정 장비, 풍력발전기, 리튬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 두자릿수 증가
- 전통 제조 산업의 소량, 고속, 유행 전략 도입 : 소량주문, 빠른 납품
예) 의류, 완구 등의 업종 납품 기간을 1개월에서 1주일로 단축.
유럽향 스포츠용품, 동남아향 화장품 수출 두자릿수 증가
- 내수시장 14억 인구 + 4억 중산층 보유 → 수입·소비 여력 여전
“고수준 개방”을 계속 추진, 단방향 개방도 병행
- 16년 연속 세계 2위 수입국, 연평균 수입 +5.4%, 글로벌 수입 점유율 10.5%
11.04.202514:11
중국 증시안정 조치 추가..
주요 헤지펀드와 대형 개인투자자 대상 매도 규모 제한
https://www.reuters.com/markets/asia/chinese-exchanges-restrict-daily-stock-sales-trade-war-with-us-escalates-sources-2025-04-11/
주요 헤지펀드와 대형 개인투자자 대상 매도 규모 제한
https://www.reuters.com/markets/asia/chinese-exchanges-restrict-daily-stock-sales-trade-war-with-us-escalates-sources-2025-04-11/
10.04.202506:32
22.04.202506:05
17.04.202504:32
16.04.202501:59
징동닷컴 Vs 메이투안
외식배달사업 경쟁 심화
징동닷컴(京东)의 창립자 류창둥(刘强东)은 자사 외식 배달 서비스의 순이익률을 5% 이하로 제한하겠다고 발표. 이는 외식 업계의 과도한 수수료 구조로 인한 품질 저하 방지 의도라고 밝힘.
또한 5만명 이상의 전일제 배달 인력 채용을 확대하고 사회보험을 제공, 1년간 100억 위안 규모의 보조금 지원해 소비자 혜택 확대, '품질 외식'을 강조하며, 입점하는 음식점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실시하겠다고 발표.
이러한 결정은 경쟁사인 Meituan(美团)의 새로운 스핀오프 브랜드 'Meituan Flash Buy(美团闪购)' 출시와 관련된 마케팅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것 해석
메이투안 또한 3년간 외식배달 서비스에 1000억 위안을 투자해 소비자 보조금, 우수 상인 지원, '오픈 키친' 프로젝트 확대 계획을 발표하는 등 외식배달업계 경쟁 심화
외식배달사업 경쟁 심화
징동닷컴(京东)의 창립자 류창둥(刘强东)은 자사 외식 배달 서비스의 순이익률을 5% 이하로 제한하겠다고 발표. 이는 외식 업계의 과도한 수수료 구조로 인한 품질 저하 방지 의도라고 밝힘.
또한 5만명 이상의 전일제 배달 인력 채용을 확대하고 사회보험을 제공, 1년간 100억 위안 규모의 보조금 지원해 소비자 혜택 확대, '품질 외식'을 강조하며, 입점하는 음식점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실시하겠다고 발표.
이러한 결정은 경쟁사인 Meituan(美团)의 새로운 스핀오프 브랜드 'Meituan Flash Buy(美团闪购)' 출시와 관련된 마케팅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것 해석
메이투안 또한 3년간 외식배달 서비스에 1000억 위안을 투자해 소비자 보조금, 우수 상인 지원, '오픈 키친' 프로젝트 확대 계획을 발표하는 등 외식배달업계 경쟁 심화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14.04.202504:38
중국이 미국 국채를 팔고 있다?
▶️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 미국 재무부가 매월 발간하는 TIC(국제 자본 거래 통계)에 따르면, 25년 1월 기준 미 국채를 보유한 해외 국가 순위를 살펴보면,
1) 일본 1조 790억 달러
2) 중국 7,608억 달러
3) 영국 7,400억 달러
4) 룩셈부르크 4,100억 달러
5) 케이맨 제도 4,045억 달러
6) 벨기에 3,777억 달러
7) 캐나다 3,508억 달러
순임.
- 이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 중순을 정점(1조 2천억 달러)으로 미 국채 보유 비중을 낮춘 것으로 파악됨. 그러나 TIC 자료는 미국 자산의 보유 현황을 '지리적 거래처 기준'으로 분류한다는 특성이 있음.
- 즉, 최종 투자자의 국적이 아닌, 직접 보유·거래가 이뤄진 지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국적이 왜곡될 수 있음.
▶️ 벨기에, 룩셈부르크도 '중국 지역'으로 분류
- 그렇기 때문에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에서 보유한 국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함.
- 이를 반영한 '중국 지역(중국+벨기에+룩셈부르크)'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23년 10월 1조 4000억 달러를 저점으로 현재(25년 1월) 1조 5480억 달러로 증가하였음.
▶️ 왜 🇧🇪, 🇱🇺인가?
- 벨기에(🇧🇪)와 룩셈부르크(🇱🇺)까지 포함한 이유는 이들 국가(지역)의 금융 인프라 특성과 국제 자본 흐름의 특징에서 기인.
- 벨기에 브뤼셀에는 Euroclear라는 세계 최대의 증권 결제 기관이 있음. 중국 중앙은행(PBOC)이나 국부펀드(SAFE) 등은 Euroclear를 통해 미국 국채를 보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음. ➡️ 이 경우, 중국이 보유한 국채도 벨기에 보유분으로 집계됨.
- 룩셈부르크는 다국적 펀드, 국부펀드, 금융기관들이 세금·규제상 유리한 구조를 만들어 자산을 간접 보유할 때 자주 쓰는 '글로벌 자산관리 허브'임.
- 위 두 국가가 케이맨제도, 버뮤다보다 '구조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음.
▶️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 미국 재무부가 매월 발간하는 TIC(국제 자본 거래 통계)에 따르면, 25년 1월 기준 미 국채를 보유한 해외 국가 순위를 살펴보면,
1) 일본 1조 790억 달러
2) 중국 7,608억 달러
3) 영국 7,400억 달러
4) 룩셈부르크 4,100억 달러
5) 케이맨 제도 4,045억 달러
6) 벨기에 3,777억 달러
7) 캐나다 3,508억 달러
순임.
- 이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 중순을 정점(1조 2천억 달러)으로 미 국채 보유 비중을 낮춘 것으로 파악됨. 그러나 TIC 자료는 미국 자산의 보유 현황을 '지리적 거래처 기준'으로 분류한다는 특성이 있음.
- 즉, 최종 투자자의 국적이 아닌, 직접 보유·거래가 이뤄진 지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국적이 왜곡될 수 있음.
▶️ 벨기에, 룩셈부르크도 '중국 지역'으로 분류
- 그렇기 때문에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에서 보유한 국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함.
- 이를 반영한 '중국 지역(중국+벨기에+룩셈부르크)'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23년 10월 1조 4000억 달러를 저점으로 현재(25년 1월) 1조 5480억 달러로 증가하였음.
▶️ 왜 🇧🇪, 🇱🇺인가?
- 벨기에(🇧🇪)와 룩셈부르크(🇱🇺)까지 포함한 이유는 이들 국가(지역)의 금융 인프라 특성과 국제 자본 흐름의 특징에서 기인.
- 벨기에 브뤼셀에는 Euroclear라는 세계 최대의 증권 결제 기관이 있음. 중국 중앙은행(PBOC)이나 국부펀드(SAFE) 등은 Euroclear를 통해 미국 국채를 보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음. ➡️ 이 경우, 중국이 보유한 국채도 벨기에 보유분으로 집계됨.
- 룩셈부르크는 다국적 펀드, 국부펀드, 금융기관들이 세금·규제상 유리한 구조를 만들어 자산을 간접 보유할 때 자주 쓰는 '글로벌 자산관리 허브'임.
- 위 두 국가가 케이맨제도, 버뮤다보다 '구조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060db44-5d2b-4632-942a-6e2877370fde.jpg%3Fw%3D24%26h%3D24&w=48&q=75)
11.04.202509:06
<트럼프 2기 미국-중국 무역 분쟁 정리>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Bloomberg)84%에서 125%로의 관세율 인상에 대해 중국 재무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율 인상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며 더 이상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 표명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Bloomberg)84%에서 125%로의 관세율 인상에 대해 중국 재무부는 미국의 추가 관세율 인상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며 더 이상 반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 표명
10.04.202504:14
최근 홍콩 증시 주요 수급주체 중에서 강구통(중국 본토투자자의 홍콩투자)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홍콩 증시 또한 침체된 4~5년의 기간동안 나름의 체질개선이 있었고 올해 굵직한 중국기업들의 IPO도 대기중이라는 점도 주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국이 시국이니만큼
4월에 개최될 정치국회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부양 정책 기대감이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
관련한 내용을 <보이는 차이나>에서 준비해봤습니다.
많.관.부❤️
https://youtu.be/fYh4Ze_dfoQ?si=l0pGt4PqTBrJgsiG
홍콩 증시 또한 침체된 4~5년의 기간동안 나름의 체질개선이 있었고 올해 굵직한 중국기업들의 IPO도 대기중이라는 점도 주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시국이 시국이니만큼
4월에 개최될 정치국회의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부양 정책 기대감이 한층 더 높아졌습니다.
관련한 내용을 <보이는 차이나>에서 준비해봤습니다.
많.관.부❤️
https://youtu.be/fYh4Ze_dfoQ?si=l0pGt4PqTBrJgsiG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297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