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삼성 Mobility 임은영]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자동차 섹터 뉴스와 코멘트입니다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Mar 25, 2019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Sep 13, 2024Катталгандар
6 296
24 саат00%Жума
40.1%Ай
64811.5%
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0
Эскерүүлөр0Каналдарда бөлүштү0Каналдарда эскерүүлөр0
1 посттун орточо көрүүлөрү
880
12 саат880
92%24 саат880
92%48 саат10 9870%
Катышуу (ER)
0.73%
Кайра посттошту4Комментарийлер0Реакциялар4
Көрүүлөр боюнча катышуу (ERR)
174.51%
24 саат0%Жума0%Ай
69%
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орточо көрүүлөрү
880
1 саат56964.66%1 – 4 саат27831.59%4 - 24 саат70.8%
Акыркы 24 саатта бардык посттор
2
Динамика
1
"[삼성 Mobility 임은영]" тобундагы акыркы жазуулар
23.04.202504:12
[테슬라 1Q25 Review: 일론 복귀, 중국의 추격을 따돌릴 것인가]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 2019년 3분기 흑자 전환(OPM 4.1%) 이후 최악의 실적. 주가는 일론 머스크 복귀 코멘트로 시간외 포함 9.19% 상승.
- 2025년 6월 오스틴 지역에서 로보택시 상용화와 저가 모델 출시가 기대 모멘텀.
- 테슬라는 Physical AI 부분에서 글로벌 최고 기업이지만, 중국 업체의 추격 속도가 무서운 상황. 중국에서 시장 장악력 회복이 주가 회복 속도를 결정할 전망.
* 리포트 링크
https://bit.ly/42QVols
(2025/4/23 공표자료)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 2019년 3분기 흑자 전환(OPM 4.1%) 이후 최악의 실적. 주가는 일론 머스크 복귀 코멘트로 시간외 포함 9.19% 상승.
- 2025년 6월 오스틴 지역에서 로보택시 상용화와 저가 모델 출시가 기대 모멘텀.
- 테슬라는 Physical AI 부분에서 글로벌 최고 기업이지만, 중국 업체의 추격 속도가 무서운 상황. 중국에서 시장 장악력 회복이 주가 회복 속도를 결정할 전망.
* 리포트 링크
https://bit.ly/42QVols
(2025/4/23 공표자료)
22.04.202523:55
[테슬라 1Q25실적 Quick Review: 그가 돌아온다]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크레딧 매출이 아니었으면, 적자가 날 뻔했던 최악의 실적입니다.
주가는 반등을 했는데요, 일론머스크가 5월부터 테슬라에 더 집중하겠다고 코멘트한 것과 저가모델인 모델Q가 올해 출시된다고 코멘트 한 것이 투자 심리 회복을 이끌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돌아오는 만큼 주가는 최악의 국면을 지나 회복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가 돌아와서 해결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엄청난 속도로 추격해오는 중국 전기차를 어떻게 따돌릴수 있을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중국 시장에서 모델Y 쥬니퍼는 출시된 지 2달 만에 5년 무이자 할부에 돌입했습니다.
테슬라는 여전히 AI 부문의 최고 회사이지만, 소비자는 눈에 보이는 예쁜 차도 원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1분기 실적
- 매출 193억 달러(-24.8%QoQ/-9.2%YoY)로, 컨센서스(블룸버그)대비 -9.5% 하회
- 영업이익 3.9억 달러(-74.8%QoQ/-65.9%YoY)로, 컨센서스 대비 64.8% 하회.
영업이익률 2.1% 기록으로, 2019년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가장 낮은 수익성 기록.
크레딧 매출 5.95억 달러(-14%QoQ/+34.6%YoY)로, 연결 매출의 3% 비중
- 조정 EPS는 0.27달러(-63%QoQ/-40%YoY)로, 컨센서스 대비 -37.8% 하회
■ 사업부별 실적
- 자동차: 매출 139억 달러(-29.5%QoQ/-19.6%YoY) 및 매출총이익률 16.2%(-2.3%pQoQ/-0.4%pYoY)
- 에너지: 매출 27억 달러(-10.8%QoQ/ +67%YoY) 및 매출총이익률 28.8%(+3.5%pQoQ/+4.1%pYoY)
- 서비스: 매출 26억 달러(-7.4%QoQ/+15.3%YoY) 및 매출총이익률 3.8%(-0.3%pQoQ/+0.3%pYoY)
(2025/4월/23일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크레딧 매출이 아니었으면, 적자가 날 뻔했던 최악의 실적입니다.
주가는 반등을 했는데요, 일론머스크가 5월부터 테슬라에 더 집중하겠다고 코멘트한 것과 저가모델인 모델Q가 올해 출시된다고 코멘트 한 것이 투자 심리 회복을 이끌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돌아오는 만큼 주가는 최악의 국면을 지나 회복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가 돌아와서 해결해야 할 일들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엄청난 속도로 추격해오는 중국 전기차를 어떻게 따돌릴수 있을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중국 시장에서 모델Y 쥬니퍼는 출시된 지 2달 만에 5년 무이자 할부에 돌입했습니다.
테슬라는 여전히 AI 부문의 최고 회사이지만, 소비자는 눈에 보이는 예쁜 차도 원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를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1분기 실적
- 매출 193억 달러(-24.8%QoQ/-9.2%YoY)로, 컨센서스(블룸버그)대비 -9.5% 하회
- 영업이익 3.9억 달러(-74.8%QoQ/-65.9%YoY)로, 컨센서스 대비 64.8% 하회.
영업이익률 2.1% 기록으로, 2019년 3분기 흑자 전환 이후 가장 낮은 수익성 기록.
크레딧 매출 5.95억 달러(-14%QoQ/+34.6%YoY)로, 연결 매출의 3% 비중
- 조정 EPS는 0.27달러(-63%QoQ/-40%YoY)로, 컨센서스 대비 -37.8% 하회
■ 사업부별 실적
- 자동차: 매출 139억 달러(-29.5%QoQ/-19.6%YoY) 및 매출총이익률 16.2%(-2.3%pQoQ/-0.4%pYoY)
- 에너지: 매출 27억 달러(-10.8%QoQ/ +67%YoY) 및 매출총이익률 28.8%(+3.5%pQoQ/+4.1%pYoY)
- 서비스: 매출 26억 달러(-7.4%QoQ/+15.3%YoY) 및 매출총이익률 3.8%(-0.3%pQoQ/+0.3%pYoY)
(2025/4월/23일 공표자료)
21.04.202522:47
"中전기차 말고 이 車 탈래요"…가성비로 불티난 한국차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FZ20HrS3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FZ20HrS3
21.04.202500:16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미국 공급망 위기, 소비자가 먼저 움직인다]
- 미국 신차 재고 일수는 3월 초 91일에서, 4월 중순에 70일로 급감. 중고차 재고는 43일에서 39일로 감소.
- 3년 전 칩 부족 시기에 신차 가격은 25%, 중고차 가격은 2배 상승. 이를 경험했던 소비자는 6월 가격 인상 전 자동차 구매를 서두르고 있음
- 2분기 완성차업체 중심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 자동차 관세는 미국 업체 피해가 더 크고, 물가 부담으로 조정 가능성 높음. 자동차 업종에 관심이 필요한 시점.
*리포트 링크
is.gd/pNXCYz
(2025/4/21일 공표자료)
[Web발신]
[미국 공급망 위기, 소비자가 먼저 움직인다]
- 미국 신차 재고 일수는 3월 초 91일에서, 4월 중순에 70일로 급감. 중고차 재고는 43일에서 39일로 감소.
- 3년 전 칩 부족 시기에 신차 가격은 25%, 중고차 가격은 2배 상승. 이를 경험했던 소비자는 6월 가격 인상 전 자동차 구매를 서두르고 있음
- 2분기 완성차업체 중심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 자동차 관세는 미국 업체 피해가 더 크고, 물가 부담으로 조정 가능성 높음. 자동차 업종에 관심이 필요한 시점.
*리포트 링크
is.gd/pNXCYz
(2025/4/21일 공표자료)
14.04.202523:57
[자동차 미국 관세 유예 가능성: 최악을 통과중인 자동차 업종]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공포의 일주일이 지나면서, 유연한 조치도 발표되고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의 필수품인 핸드폰, 전자 제품에 대해 상호 관세에서 제외한 후, 향후 품목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대해서도 제조 공장을 옮기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며, 관세 유예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 코멘트로 GM과 포드의 주가는 각각 3.46% 및 4.07% 상승했습니다.
신차와 중고차는 미국 소비자 물가의 8~10%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3년 전 반도체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신차 가격은 25%, 중고차 지수는 2배 상승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 25% 관세는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든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제조업 리쇼어링을 독려하기 위해서, 인센티브도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며, 내년에는 중간선거가 있습니다. 관세라는 채찍 만으로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자동차 업종이 최악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 현대차 그룹 3사, 팬데믹 초기보다 더 낮아진 Valuation
- 현대차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3.3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5.8배
- 기아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3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4.6배
- 현대모비스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5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5.6배
(2025/4/15일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공포의 일주일이 지나면서, 유연한 조치도 발표되고 있습니다.
미국 소비자의 필수품인 핸드폰, 전자 제품에 대해 상호 관세에서 제외한 후, 향후 품목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대해서도 제조 공장을 옮기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며, 관세 유예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 코멘트로 GM과 포드의 주가는 각각 3.46% 및 4.07% 상승했습니다.
신차와 중고차는 미국 소비자 물가의 8~10%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3년 전 반도체 부족 사태를 겪으면서 신차 가격은 25%, 중고차 지수는 2배 상승한 바 있습니다.
자동차 25% 관세는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든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제조업 리쇼어링을 독려하기 위해서, 인센티브도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며, 내년에는 중간선거가 있습니다. 관세라는 채찍 만으로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자동차 업종이 최악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 현대차 그룹 3사, 팬데믹 초기보다 더 낮아진 Valuation
- 현대차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3.3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5.8배
- 기아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3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4.6배
- 현대모비스 주가는 12개월 Trailing 기준으로 P/E 5배: 2020년 2월 팬데믹 초기에 P/E 5.6배
(2025/4/15일 공표자료)
09.04.202523:48
[테슬라 주가, 변동성 폭발: 이번 사이클의 저점은 220달러일 가능성]
정말 눈을 뗄 수 없는 매일매일입니다.
테슬라 주가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로, +22.6% 상승하였습니다.
우연인지 3월 저점인 220달러를 깰 위기에서 이런 발표가 났네요. 이번 사이클의 저점은 220달러(12개월 Forward P/E 76배, Bloomberg)일 가능성이 보입니다.
중국에 대한 관세는 비현실적인 125%이기 때문에, 내용상 테슬라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M7중에 가장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그동안 낙폭이 가장 컸던 점에 더해, 전 세계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식임이 다시 한번 증명되네요.
이제 한시름 놓고 중국과의 협상을 지켜볼 시간입니다.
■ 테슬라, 중국 배터리 수입 비중
- 자동차 부문: 모델 3 RWD트림으로, 연결 매출의 5% 비중
- 에너지사업부: 연결 매출의 10%
■ 테슬라, 3월 중국 및 유럽 판매
- 78,828대로 -11.5% YoY: 중국 내수 74,127대(+18.8%YoY) / 수출 4,701대(-82.37%YoY)
- 모델Y 주니퍼를 중국에 집중 공급하면서 수출 실적 부진.
- 3월 유럽 판매: -30%YoY수준으로, 1~2월의 -40%YoY 대비 감소 폭은 축소. 산업 수요가 +25%YoY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부진.
4월 이후 모델Y 주니퍼 공급에 따른 판매 회복세가 관전 포인트
(2025/4/10 공표자료)
정말 눈을 뗄 수 없는 매일매일입니다.
테슬라 주가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로, +22.6% 상승하였습니다.
우연인지 3월 저점인 220달러를 깰 위기에서 이런 발표가 났네요. 이번 사이클의 저점은 220달러(12개월 Forward P/E 76배, Bloomberg)일 가능성이 보입니다.
중국에 대한 관세는 비현실적인 125%이기 때문에, 내용상 테슬라는 불리합니다. 그럼에도 M7중에 가장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그동안 낙폭이 가장 컸던 점에 더해, 전 세계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주식임이 다시 한번 증명되네요.
이제 한시름 놓고 중국과의 협상을 지켜볼 시간입니다.
■ 테슬라, 중국 배터리 수입 비중
- 자동차 부문: 모델 3 RWD트림으로, 연결 매출의 5% 비중
- 에너지사업부: 연결 매출의 10%
■ 테슬라, 3월 중국 및 유럽 판매
- 78,828대로 -11.5% YoY: 중국 내수 74,127대(+18.8%YoY) / 수출 4,701대(-82.37%YoY)
- 모델Y 주니퍼를 중국에 집중 공급하면서 수출 실적 부진.
- 3월 유럽 판매: -30%YoY수준으로, 1~2월의 -40%YoY 대비 감소 폭은 축소. 산업 수요가 +25%YoY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에 비해 부진.
4월 이후 모델Y 주니퍼 공급에 따른 판매 회복세가 관전 포인트
(2025/4/10 공표자료)
07.04.202507:03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자동차 1Q25Preview: 관세, 미국에 집중될 두번째 공급망 쇼크]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공급망 쇼크의 결과로 이어질 전망. 첫 번째 공급망 쇼크는 칩 쇼티지, 두 번째 공급망 쇼크는 배터리 가격 상승이 두드러질 전망.
- 자동차 관세 정책의 타격은 2024년 영업이익 대비 닛산 > 스텔란티스> 미국 업체 순. 테슬라는 100% 미국 생산에도 배터리 원가 상승으로 실적 타격 예상
-현대차/기아는 신차 사이클과 경쟁사 위축으로 미국에서 Top3로 성장 예상. Value Chain은 A/S 시장에서 가격 전가 가능 업체, 미국 동반 진출, 로봇 관련주에 관심.
*리포트 링크
https://is.gd/d01RiH
(2025/4/7일 공표자료)
[Web발신]
[자동차 1Q25Preview: 관세, 미국에 집중될 두번째 공급망 쇼크]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공급망 쇼크의 결과로 이어질 전망. 첫 번째 공급망 쇼크는 칩 쇼티지, 두 번째 공급망 쇼크는 배터리 가격 상승이 두드러질 전망.
- 자동차 관세 정책의 타격은 2024년 영업이익 대비 닛산 > 스텔란티스> 미국 업체 순. 테슬라는 100% 미국 생산에도 배터리 원가 상승으로 실적 타격 예상
-현대차/기아는 신차 사이클과 경쟁사 위축으로 미국에서 Top3로 성장 예상. Value Chain은 A/S 시장에서 가격 전가 가능 업체, 미국 동반 진출, 로봇 관련주에 관심.
*리포트 링크
https://is.gd/d01RiH
(2025/4/7일 공표자료)
07.04.202506:47
[테슬라, 2차 공급망쇼크를 극복할 수 있을까?: 구해줘, 일론]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미국의 상계관세 부과가 이틀앞으로 다가오면서, 테슬라 주가가 프리마켓에서 9.7% 하락중입니다.
3월 말 테슬라의 정치행동에 반대시위가 극에 달하면서 기록한 주가 220달러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테슬라 정서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의 상계관세는 테슬라 실적에 매우 부정적입니다.
테슬라의 모델3 하위트림에는 중국CATL의 LFP배터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또다른 성장동력인 에너지사업부의 배터리는 100%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중국제품에는 34%의 상계관세 부과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업체가 LFP배터리를 미국에서 생산한다고 해도, 배터리 5대 소재와 제련을 중국이 70~90%의 독과점 M/S를 차지하고 있어, 배터리 원가 상승은 불가피합니다.
미국은 전기차를 포기하는 것일까요?
전기차는 자율주행 뿐 아니라, AI로봇으로 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제조업 리쇼어링을 위한 관세 정책인데,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2차 공급망 쇼크를 맞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중국, 배터리 Value Chain 글로벌 독과점
- 중국 배터리 5대 소재 글로벌 점유율: 양극재 65%/ 음극재 87%/ 전해액 72%/ 분리막 64%/ 동박 60%
- 중국 배터리 광물 제련 글로벌 점유율: 흑연 100% / 코발트 73%/ 리튬 68%/ 니켈 76%/ 망간 92%
■ 테슬라, 중국산 배터리 채용현황
- 모델3 RWD: 2024년 미국 생산 66만대 중 11.2만대. 연결매출의 5%
- 에너지 사업부: 2024년 연결매출의 10%.
- 모두 CATL의 LFP배터리 적용 중으로, 관세 34% 부과시, 테슬라 영업이익 35% 감소.
- 한국업체가 LFP를 미국에서 생산해도, 소재 수입에 따른 관세 영향으로 원가 부담은 여전
■ Valuation으로 바닥잡기 어려운 상황
- 2025년 12개월 Forward P/E로 81배. 12개월 Trailing P/E로 109배.(Bloomberg)
- Valuation 저점은 금리인상+전기차 가격경쟁+트위터인수로 테슬라 주식 매각이 겹친 2022년 말~2023년 초로, Forward P/E 20배, Trailing P/E 30배
- 로보택시 시작전, 기대할 수 있는 모멘텀은 일론머스크의 테슬라 복귀
(2025/4/7일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미국의 상계관세 부과가 이틀앞으로 다가오면서, 테슬라 주가가 프리마켓에서 9.7% 하락중입니다.
3월 말 테슬라의 정치행동에 반대시위가 극에 달하면서 기록한 주가 220달러를 하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테슬라 정서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의 상계관세는 테슬라 실적에 매우 부정적입니다.
테슬라의 모델3 하위트림에는 중국CATL의 LFP배터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또다른 성장동력인 에너지사업부의 배터리는 100%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습니다.
중국제품에는 34%의 상계관세 부과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업체가 LFP배터리를 미국에서 생산한다고 해도, 배터리 5대 소재와 제련을 중국이 70~90%의 독과점 M/S를 차지하고 있어, 배터리 원가 상승은 불가피합니다.
미국은 전기차를 포기하는 것일까요?
전기차는 자율주행 뿐 아니라, AI로봇으로 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제조업 리쇼어링을 위한 관세 정책인데, 제조업의 꽃인 자동차 산업은 2차 공급망 쇼크를 맞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중국, 배터리 Value Chain 글로벌 독과점
- 중국 배터리 5대 소재 글로벌 점유율: 양극재 65%/ 음극재 87%/ 전해액 72%/ 분리막 64%/ 동박 60%
- 중국 배터리 광물 제련 글로벌 점유율: 흑연 100% / 코발트 73%/ 리튬 68%/ 니켈 76%/ 망간 92%
■ 테슬라, 중국산 배터리 채용현황
- 모델3 RWD: 2024년 미국 생산 66만대 중 11.2만대. 연결매출의 5%
- 에너지 사업부: 2024년 연결매출의 10%.
- 모두 CATL의 LFP배터리 적용 중으로, 관세 34% 부과시, 테슬라 영업이익 35% 감소.
- 한국업체가 LFP를 미국에서 생산해도, 소재 수입에 따른 관세 영향으로 원가 부담은 여전
■ Valuation으로 바닥잡기 어려운 상황
- 2025년 12개월 Forward P/E로 81배. 12개월 Trailing P/E로 109배.(Bloomberg)
- Valuation 저점은 금리인상+전기차 가격경쟁+트위터인수로 테슬라 주식 매각이 겹친 2022년 말~2023년 초로, Forward P/E 20배, Trailing P/E 30배
- 로보택시 시작전, 기대할 수 있는 모멘텀은 일론머스크의 테슬라 복귀
(2025/4/7일 공표자료)
04.04.202507:42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전종규, 임은영, 이종욱입니다.
<차이나 테크, 투자의 정석>은 지난 2월 말 발간했던 <차이나 테크의 봄은 오는가?>에 이은 두 번째 시리즈입니다. 본 보고서는 차이나 기술주의 상승 동력인 1) DeepSeek 모멘트, 2) 시진핑 정책 전환, 3) 세 번째 제조 패러다임 시프트, 더불어 중국의 위험 요인과 기회 요인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차이나 테크 대표기업에 대해서 깊이 있게 분석하였습니다. 중국 자율주행 시스템의 대표기업은 ‘BYD’와 ‘샤오미’ 입니다.
차이나 AI 빅테크는 ‘알리바바’와 ‘SMIC’를 대표기업으로 제시해 드립니다.
차이나 테크 대표주는 2분기 중에 상승 동력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월 2일 트럼프 상호 관세 부과를 기점으로 미중 분쟁이 정점을 향해 나가고 있기에 중국 정부는 적극적인 경기 부양과 함께 미중 협상에 나서게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전략으로 홍콩 증시와 차이나 테크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리포트 링크
https://is.gd/TtiW2r
(2025/04/04일 공표자료)
[Web발신]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전종규, 임은영, 이종욱입니다.
<차이나 테크, 투자의 정석>은 지난 2월 말 발간했던 <차이나 테크의 봄은 오는가?>에 이은 두 번째 시리즈입니다. 본 보고서는 차이나 기술주의 상승 동력인 1) DeepSeek 모멘트, 2) 시진핑 정책 전환, 3) 세 번째 제조 패러다임 시프트, 더불어 중국의 위험 요인과 기회 요인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차이나 테크 대표기업에 대해서 깊이 있게 분석하였습니다. 중국 자율주행 시스템의 대표기업은 ‘BYD’와 ‘샤오미’ 입니다.
차이나 AI 빅테크는 ‘알리바바’와 ‘SMIC’를 대표기업으로 제시해 드립니다.
차이나 테크 대표주는 2분기 중에 상승 동력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월 2일 트럼프 상호 관세 부과를 기점으로 미중 분쟁이 정점을 향해 나가고 있기에 중국 정부는 적극적인 경기 부양과 함께 미중 협상에 나서게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전략으로 홍콩 증시와 차이나 테크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리포트 링크
https://is.gd/TtiW2r
(2025/04/04일 공표자료)
03.04.202508:06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테슬라 1Q25Preview: 일론 머스크 복귀가 시급]
- 4월 3일에 4분기 생산 및 판매 대수 발표. 모델 노후화 현상과 불매운동이 겹치며 컨센서스(블룸버그 기준 39만대 판매)를 -13.8%하회.
-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로 돌아온다는 소식과 함께, 주가는 +5.3% 상승 마감했으나, 가짜 뉴스라고 일축.
- 일론 머스크의 복귀는 5월 말이 예상되며, 복귀 이전까지 모멘텀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
*리포트 링크
is.gd/BLqF3b
(2025/4/3일 공표자료)
[Web발신]
[테슬라 1Q25Preview: 일론 머스크 복귀가 시급]
- 4월 3일에 4분기 생산 및 판매 대수 발표. 모델 노후화 현상과 불매운동이 겹치며 컨센서스(블룸버그 기준 39만대 판매)를 -13.8%하회.
-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로 돌아온다는 소식과 함께, 주가는 +5.3% 상승 마감했으나, 가짜 뉴스라고 일축.
- 일론 머스크의 복귀는 5월 말이 예상되며, 복귀 이전까지 모멘텀 찾기는 쉽지 않은 상황.
*리포트 링크
is.gd/BLqF3b
(2025/4/3일 공표자료)
31.03.202500:19
[분신술을 쓰는 일론머스크: xAI의 X 인수 효과]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일론머스크는 마치 분신술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2주 전에는 직원 대상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하였고, 지난주 금요일에는 xAI의 X 인수를 성사시켰습니다. 6개의 회사를 운영하는 동시에 정부효율위원회 수장을 맡으며 주의 분산을 우려하는 시각이 높지만, 큰 프로젝트를 동시에 해내는 능력이 정말 놀랍습니다.
xAI의 X 인수는 자율주행과 휴머노이드 로봇을 고도화시키기 위한 Value Chain 통합 작업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차/자율주행의 완결형 생태계를 갖추어 가고 있는 중국에 대응할 수 있는, 미국의 운명을 짊어진 회사임을 다시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
이제 4월 2일에 1분기 판매 대수 발표가 주가 하락의 마지막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 xAI의 X 인수 개요
- xAI가 X를 인수: xAI의 가치는 800억 달러, X의 가치는 330억 달러.
- X, 2022년 인수: 440억달러에 일론머스크가 인수 후 상장폐지. 120억 달러 부채
- 인수 효과, 인간 중심의 AI 설계: X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6억 명의 활성 사용자)를 xAI 모델에 통합하여, AI 훈련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 확보. Open AI와 구글 제미나이와 경쟁 심화
사용자 인터페이스(콘텐츠 추천, 맞춤형 광고) 설계.
- 자율주행과 시너지 효과: 1) LLM기반 환경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최적의 주행 경로 제안 및 결정 과정 설명, 2) 복잡한 상황에서 안전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3) 운전자와 인간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
4) 자율주행 AI 훈련 과정에서 가상 시나리오
- 옵티머스와 시너지 효과: X는 막대한 인간 상호 작용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모방하는 데 필요한 학습 자원이 됨.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실시간 피드백 루브 제공.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능을 개선하는 데 기여.
xAI의 Grok 모델은 멀티모달 처리(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와 고급 추론 능력을 가주고 있어 휴머노이드 로봇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과 작업 수행을 지원할 수 있음.
(2025/3/31일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 모빌리티 임은영입니다.
일론머스크는 마치 분신술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2주 전에는 직원 대상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하였고, 지난주 금요일에는 xAI의 X 인수를 성사시켰습니다. 6개의 회사를 운영하는 동시에 정부효율위원회 수장을 맡으며 주의 분산을 우려하는 시각이 높지만, 큰 프로젝트를 동시에 해내는 능력이 정말 놀랍습니다.
xAI의 X 인수는 자율주행과 휴머노이드 로봇을 고도화시키기 위한 Value Chain 통합 작업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차/자율주행의 완결형 생태계를 갖추어 가고 있는 중국에 대응할 수 있는, 미국의 운명을 짊어진 회사임을 다시 확인시켜주고 있습니다.
이제 4월 2일에 1분기 판매 대수 발표가 주가 하락의 마지막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 xAI의 X 인수 개요
- xAI가 X를 인수: xAI의 가치는 800억 달러, X의 가치는 330억 달러.
- X, 2022년 인수: 440억달러에 일론머스크가 인수 후 상장폐지. 120억 달러 부채
- 인수 효과, 인간 중심의 AI 설계: X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6억 명의 활성 사용자)를 xAI 모델에 통합하여, AI 훈련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 확보. Open AI와 구글 제미나이와 경쟁 심화
사용자 인터페이스(콘텐츠 추천, 맞춤형 광고) 설계.
- 자율주행과 시너지 효과: 1) LLM기반 환경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최적의 주행 경로 제안 및 결정 과정 설명, 2) 복잡한 상황에서 안전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3) 운전자와 인간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
4) 자율주행 AI 훈련 과정에서 가상 시나리오
- 옵티머스와 시너지 효과: X는 막대한 인간 상호 작용 데이터를 실시간 제공.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모방하는 데 필요한 학습 자원이 됨.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실시간 피드백 루브 제공. 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성능을 개선하는 데 기여.
xAI의 Grok 모델은 멀티모달 처리(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등)와 고급 추론 능력을 가주고 있어 휴머노이드 로봇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과 작업 수행을 지원할 수 있음.
(2025/3/31일 공표자료)
30.03.202523:32
https://youtu.be/O37-ttev1SI?si=MzVjtDO777iiloJD
이제 공중제비도 돌고, 공장말고 새로운 직업도 찾았네요.
이제 공중제비도 돌고, 공장말고 새로운 직업도 찾았네요.
28.03.202501:08
27.03.202507:58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한국타이어: 유럽과 전기차 조합의 정답지]
- 유럽은 금리 인하, 독일의 강력한 재정정책, 전기차 중심의 신차 출시로 전기차 수요 고성장 구간 진입.
- 한국타이어는 유럽 매출 비중 41%로 업종 내 가장 높음. 전기차 타이어 브랜드 마케팅과 가격 정책으로, 유럽 전기차 수요 고성장기에 최대 수혜주가 될 전망.
- 1분기에 한온시스템과 연결 재무제표 발표 후, 주주 환원 정책 발표 예상.
*리포트 링크
is.gd/m3excl
(2025/3/27일 공표자료)
[Web발신]
[한국타이어: 유럽과 전기차 조합의 정답지]
- 유럽은 금리 인하, 독일의 강력한 재정정책, 전기차 중심의 신차 출시로 전기차 수요 고성장 구간 진입.
- 한국타이어는 유럽 매출 비중 41%로 업종 내 가장 높음. 전기차 타이어 브랜드 마케팅과 가격 정책으로, 유럽 전기차 수요 고성장기에 최대 수혜주가 될 전망.
- 1분기에 한온시스템과 연결 재무제표 발표 후, 주주 환원 정책 발표 예상.
*리포트 링크
is.gd/m3excl
(2025/3/27일 공표자료)
27.03.202507:54
제목 [삼성증권]
[Web발신]
[자동차 관세, 대응력 격차에 주목]
- 3월 27일 아침에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일괄적으로 25% 관세 부과 명령. 수입 자동차 부품도 프로세스를 거쳐 25% 관세 부과 예정.
- 미국 사업이 적자인 닛산, 스텔란티스에는 치명적. GM/포드도 부품 관세까지 감안 시, 적자 전환 불가피. 테슬라도 부품 비용과 해외 시장에서 소비자 반감 부담.
- 현대차/기아는 메타플랜트로 제네시스 등 이전 생산을 서두를 전망이며, 대규모 투자에 따른 반대 급부 기대. 한편, 관세는 로보택시 확산과 AI 로봇 공장 투입의 트리거.
*리포트 링크
is.gd/UxalP2
(2025/3/27일 공표자료)
[Web발신]
[자동차 관세, 대응력 격차에 주목]
- 3월 27일 아침에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산 자동차에 대해 일괄적으로 25% 관세 부과 명령. 수입 자동차 부품도 프로세스를 거쳐 25% 관세 부과 예정.
- 미국 사업이 적자인 닛산, 스텔란티스에는 치명적. GM/포드도 부품 관세까지 감안 시, 적자 전환 불가피. 테슬라도 부품 비용과 해외 시장에서 소비자 반감 부담.
- 현대차/기아는 메타플랜트로 제네시스 등 이전 생산을 서두를 전망이며, 대규모 투자에 따른 반대 급부 기대. 한편, 관세는 로보택시 확산과 AI 로봇 공장 투입의 트리거.
*리포트 링크
is.gd/UxalP2
(2025/3/27일 공표자료)
Рекорддор
22.04.202523:59
6.3KКатталгандар06.09.202423:59
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27.11.202423:59
26.9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26.03.202523:59
11.9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11.12.202423:59
4.14%ER31.10.202423:59
295.02%ERR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