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5:24
2025.05.08 13:56:29
기업명: 동진쎄미켐(시가총액: 1조 5,68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681억(예상치 : -)
영업익 : 585억(예상치 : -)
순이익 : 37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681억/ 585억/ 375억
2024.4Q 3,603억/ 493억/ 305억
2024.3Q 3,594억/ 619억/ 333억
2024.2Q 3,554억/ 500억/ 432억
2024.1Q 3,330억/ 471억/ 36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9002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290
기업명: 동진쎄미켐(시가총액: 1조 5,68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681억(예상치 : -)
영업익 : 585억(예상치 : -)
순이익 : 37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681억/ 585억/ 375억
2024.4Q 3,603억/ 493억/ 305억
2024.3Q 3,594억/ 619억/ 333억
2024.2Q 3,554억/ 500억/ 432억
2024.1Q 3,330억/ 471억/ 36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90024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290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쟁곳간 2Q25



08.05.202502:27
메타바이오메드 축하드립니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메타바이오메드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메타바이오메드
08.05.202501:29
올해 1,2분기에도 대량 선적 기대
07.05.202522:55
https://www.news1.kr/world/asia-australia/5774868
2019년 2월 핵전쟁 직전 미국이 개입하였던 상황.
전쟁 상황은 가슴 아프고 하루빨리 평화가 오길 바라나 방산섹터 TP UP
2019년 2월 핵전쟁 직전 미국이 개입하였던 상황.
전쟁 상황은 가슴 아프고 하루빨리 평화가 오길 바라나 방산섹터 TP UP
07.05.202522:09


07.05.202508:44
🌎 [빅테크] Amazon FY1Q25 실적발표 "이커머스, AWS 둘 다 굿"
1. 실적요약 (단위 : 백만USD)
- 매출액 155,667 (YoY 9%)
- 총이익 78,691 (YoY 11%, GPM 51%)
- 영업익 18,405 (YoY 20%, OPM 12%)
- 순이익 17,127 (YoY 63%, NPM 11%)
- EPS 1.59 USD (컨센서스 1.36 USD)
2. CEO 앤드류 제시
(1) 이커머스 부문 : ① 북미 매출 $928억 (YoY +8%), 국제 매출 $335억 (YoY +5%), ② 아마존 가치 재강조 - 제품 선택 폭, 가경쟁격 력, 배송 속도, ③ 1분기 일상 필수품 카테고리가 전체 사업 성장률의 2배 이상, 미국 내 아마존 판매 물량 TOP 3, 24년 판매액 $1천억 초과, ④ Amazon 광고 매출 $139억 (YoY +19%), 미국 내 평균 2.75만명 광고주
(2) AWS 부문 : ① 매출 $292억 (YoY +17%), ② 여전히 전세계 IT 지출 85% 이상이 온프레미스 환경, 향후 10~20년 내 클라우드로 역전될 것, ③ Trainium 2가 대규모로 배치되었고, GPU 기반 인스턴스 대비 30~40% 향상된 가격대비성능, ④ 최근 Anthropic의 Claude 3.7 Sonnet 모델, Meta의 Llama 4 모델, DeepSeek R1, Mistral AI의 Pixtral Large 등 다양한 모델을 추가, ⑤ 자체 개발 모델 Amazon Nova 최신 프리미어 모델 출시 (웹 브라우저 내 복잡한 작업을 명령 단위로 처리하는 에이전트 AI 모델, 다단계 작업 정확도를 30~60%에서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 ⑥ Amazon Q가 새로운 코딩 환경을 제공, 코드 리뷰, 유닛 테스트, 기능 개발, 자바 버전 업그레이드 등 다단계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 가능
(3) Alexa+ : ① 1분기 Alexa+ 도입, ② 프라임 회원에게 무료, 비회원에게는 월 $99, ③ 미국부터 출시, 올해 더 많은 국가로 확대 예정
3. CFO 브라이언 올사브스키
(1) 이커머스 부문 : ① 북미 부문 매출 $929억 (YoY +8%), 영업이익 $57억 (OPM 6.3%), ② 국제 부문 $335억 (YoY +8%), 영업이익 $10억 (OPM 3.0%) 전세계 판매건수 YoY +8%, ③ 비용 구조 개선 이니셔티브 — 입고 네트워크 정밀 조정, 당일 배송 거점 구축, 농촌 배송망 확장, 자동화 및 로보틱스 설비 도입 등, ④ Amazon 광고 매출 $139억 (YoY +19%)
(2) AWS 부문 : ① AWS 매출 $293억 (YoY +17%), 연환산 매출 $1170억 초과, 영업이익 $115억 (OPM 39%), ② 생성AI 와 비생성AI 모두 지속적인 성장 확인
(3) CapEx 및 기타수익: ① 1분기 $243억, 대부분 기술 인프라향, 주로 AWS 관련 투자, ② 1분기 Anthropic 투자 평가이익 $33억
(4) 2분기 가이던스 : ① 순매출 $1590~1640억, 영업이익 $130~175억
4. QnA 하이라이트
(1) 1분기와 2분기 초까지 AI 워크로드 관련 수요와 공급 불균형은 어떠한가? — ① 현재 Nvidia의 P5 인스턴스와 Trainium 2 인스턴스를 빠르게 확충중, ② AWS AI 사업은 연간 수십억달러 규모로 성장중이며, 전년대비 세자릿수 성장률, ③ 우리가 투입한 인프라 용량은 거의 실시간으로 소비되고 있어, 만약 더 많은 용량이 있었다면 더 많은 고객을 도울 수 있었을 것, ④ 올해가 진행되면서 공급망 문제는 점차 완화될 것
(2) 향후 글로벌 무역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회사의 전략적 우선순위는? — ① 결국 핵심은 가장 넓은 선택지와 가장 낮은 가격 제공
(3) AWS 매출이 들쭉날쭉한 경향은 왜 그러한가? — ① 기업 고객의 전환 주기와 예측 불가능성 때문, ② 기업 고객이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여러 단계가 필요한데, 전환 후 갑자기 수요가 커지는 경우도 많음, ③ 최근 AI 수요가 폭증하면서 코딩 에이전트, 대규모 모델 훈련, 비용 절감형 AI 사용 사례 등 새로운 트렌드들이 계속 등장
(4) 향후 AWS의 정상 영업이익률은 어느 정도인가? — ① AWS 마진 향상은 강력한 매출 성장과 기술 혁신 때문, ② 향후 AI 서비스 비중이 커지고 인프라 투자가 늘어나면 마진은 다시 변동할 수 있음
(5) Alexa+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 ① Alexa+는 훨씬 더 지능적이고 실제 행동이 가능한 에이전트, ② “Alexa, 저녁 손님 올 예정이야. 블라인드 열고, 현관 조명 켜고, 온도 5도 올리고, 저녁에 어울릴 음악 틀어줘.” → Alexa가 실행합니다. ③ 현재 10만명 이상이 베타 사용중, 반응 매우 긍정적
(6) AWS 백로그 숫자를 공유해줄 수 있는가? — ① 1분기 백로그는 $1890억 (YoY +20%), 평균계약기간 4.1년, ② 우리는 기존 온프레미스의 클라우드 전환도 하면서 AI도 실험하는 중, ③ 많은 기업들이 아직 AI에 충분히 진입하지 못한 상태
#미국주식 #실적발표 #아마존 #AMZN
1. 실적요약 (단위 : 백만USD)
- 매출액 155,667 (YoY 9%)
- 총이익 78,691 (YoY 11%, GPM 51%)
- 영업익 18,405 (YoY 20%, OPM 12%)
- 순이익 17,127 (YoY 63%, NPM 11%)
- EPS 1.59 USD (컨센서스 1.36 USD)
2. CEO 앤드류 제시
(1) 이커머스 부문 : ① 북미 매출 $928억 (YoY +8%), 국제 매출 $335억 (YoY +5%), ② 아마존 가치 재강조 - 제품 선택 폭, 가경쟁격 력, 배송 속도, ③ 1분기 일상 필수품 카테고리가 전체 사업 성장률의 2배 이상, 미국 내 아마존 판매 물량 TOP 3, 24년 판매액 $1천억 초과, ④ Amazon 광고 매출 $139억 (YoY +19%), 미국 내 평균 2.75만명 광고주
(2) AWS 부문 : ① 매출 $292억 (YoY +17%), ② 여전히 전세계 IT 지출 85% 이상이 온프레미스 환경, 향후 10~20년 내 클라우드로 역전될 것, ③ Trainium 2가 대규모로 배치되었고, GPU 기반 인스턴스 대비 30~40% 향상된 가격대비성능, ④ 최근 Anthropic의 Claude 3.7 Sonnet 모델, Meta의 Llama 4 모델, DeepSeek R1, Mistral AI의 Pixtral Large 등 다양한 모델을 추가, ⑤ 자체 개발 모델 Amazon Nova 최신 프리미어 모델 출시 (웹 브라우저 내 복잡한 작업을 명령 단위로 처리하는 에이전트 AI 모델, 다단계 작업 정확도를 30~60%에서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 ⑥ Amazon Q가 새로운 코딩 환경을 제공, 코드 리뷰, 유닛 테스트, 기능 개발, 자바 버전 업그레이드 등 다단계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 가능
(3) Alexa+ : ① 1분기 Alexa+ 도입, ② 프라임 회원에게 무료, 비회원에게는 월 $99, ③ 미국부터 출시, 올해 더 많은 국가로 확대 예정
3. CFO 브라이언 올사브스키
(1) 이커머스 부문 : ① 북미 부문 매출 $929억 (YoY +8%), 영업이익 $57억 (OPM 6.3%), ② 국제 부문 $335억 (YoY +8%), 영업이익 $10억 (OPM 3.0%) 전세계 판매건수 YoY +8%, ③ 비용 구조 개선 이니셔티브 — 입고 네트워크 정밀 조정, 당일 배송 거점 구축, 농촌 배송망 확장, 자동화 및 로보틱스 설비 도입 등, ④ Amazon 광고 매출 $139억 (YoY +19%)
(2) AWS 부문 : ① AWS 매출 $293억 (YoY +17%), 연환산 매출 $1170억 초과, 영업이익 $115억 (OPM 39%), ② 생성AI 와 비생성AI 모두 지속적인 성장 확인
(3) CapEx 및 기타수익: ① 1분기 $243억, 대부분 기술 인프라향, 주로 AWS 관련 투자, ② 1분기 Anthropic 투자 평가이익 $33억
(4) 2분기 가이던스 : ① 순매출 $1590~1640억, 영업이익 $130~175억
4. QnA 하이라이트
(1) 1분기와 2분기 초까지 AI 워크로드 관련 수요와 공급 불균형은 어떠한가? — ① 현재 Nvidia의 P5 인스턴스와 Trainium 2 인스턴스를 빠르게 확충중, ② AWS AI 사업은 연간 수십억달러 규모로 성장중이며, 전년대비 세자릿수 성장률, ③ 우리가 투입한 인프라 용량은 거의 실시간으로 소비되고 있어, 만약 더 많은 용량이 있었다면 더 많은 고객을 도울 수 있었을 것, ④ 올해가 진행되면서 공급망 문제는 점차 완화될 것
(2) 향후 글로벌 무역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회사의 전략적 우선순위는? — ① 결국 핵심은 가장 넓은 선택지와 가장 낮은 가격 제공
(3) AWS 매출이 들쭉날쭉한 경향은 왜 그러한가? — ① 기업 고객의 전환 주기와 예측 불가능성 때문, ② 기업 고객이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데 여러 단계가 필요한데, 전환 후 갑자기 수요가 커지는 경우도 많음, ③ 최근 AI 수요가 폭증하면서 코딩 에이전트, 대규모 모델 훈련, 비용 절감형 AI 사용 사례 등 새로운 트렌드들이 계속 등장
(4) 향후 AWS의 정상 영업이익률은 어느 정도인가? — ① AWS 마진 향상은 강력한 매출 성장과 기술 혁신 때문, ② 향후 AI 서비스 비중이 커지고 인프라 투자가 늘어나면 마진은 다시 변동할 수 있음
(5) Alexa+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 ① Alexa+는 훨씬 더 지능적이고 실제 행동이 가능한 에이전트, ② “Alexa, 저녁 손님 올 예정이야. 블라인드 열고, 현관 조명 켜고, 온도 5도 올리고, 저녁에 어울릴 음악 틀어줘.” → Alexa가 실행합니다. ③ 현재 10만명 이상이 베타 사용중, 반응 매우 긍정적
(6) AWS 백로그 숫자를 공유해줄 수 있는가? — ① 1분기 백로그는 $1890억 (YoY +20%), 평균계약기간 4.1년, ② 우리는 기존 온프레미스의 클라우드 전환도 하면서 AI도 실험하는 중, ③ 많은 기업들이 아직 AI에 충분히 진입하지 못한 상태
#미국주식 #실적발표 #아마존 #AMZN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08.05.202504:52
뉴욕 거주하고 미국인들에게 글로우한 피부 비결로 K-뷰티를 미국에 소개하여 유명해진 뷰티 인플루언서 에바(@glowwithava)가 이번에 엄마와 한국에 방문해서 클래시스의 볼류머 시술 영상을 올렸네요 ㅎ
-
(아래는 그녀 코멘트)
광고 아님. 우리가 시도해 본 새로운 피부 시술에 대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한국에서는 ‘볼뉴머(Volnewmer)’라고 불리고, 미국에서는 ‘Everesse’라고 합니다. 같은 시술인데 한국에서 하면 가격이 훨씬 저렴해요. 한국에 올 수 없다면 미국에서도 이 시술을 받아볼 수 있어요. 우리는 일주일도 안 돼서 효과를 봤습니다..
-
(아래는 그녀 코멘트)
광고 아님. 우리가 시도해 본 새로운 피부 시술에 대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한국에서는 ‘볼뉴머(Volnewmer)’라고 불리고, 미국에서는 ‘Everesse’라고 합니다. 같은 시술인데 한국에서 하면 가격이 훨씬 저렴해요. 한국에 올 수 없다면 미국에서도 이 시술을 받아볼 수 있어요. 우리는 일주일도 안 돼서 효과를 봤습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쟁곳간 2Q25



08.05.202502:27
파크시스템스 축하드립니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파크시스템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파크시스템스
08.05.202501:09
07.05.202522:30
https://www.inews24.com/view/1840882
美서 급성장 에이피알 3위 자리 노려
오늘 오전 10시 실적발표
美서 급성장 에이피알 3위 자리 노려
오늘 오전 10시 실적발표


07.05.202514:44
✅ 해외음원 특이사항
👉2일차부터 차트반영 주간 (금요일)
👉Billboard HOT 100 차트인 각 나옴
👉현지화팀 최초 기록, KPOP 레벨 업
HYBE😻KATSEYE - Gnarly Spotify
1일차🌐차트인실패🇺🇸356K(156위)
2일차🌐1,636K(91위)🇺🇸484K(77위)
3일차🌐1,567K(93위)🇺🇸436K(85위)
4일차🌐1,567K(74위)🇺🇸415K(76위)
5일차🌐1,836K(63위)🇺🇸472K(67위)
6일차🌐2,137K(45위)🇺🇸505K(54위)
#엔터 #하이브 #SM #YG #JYP
#DATA #빌보드 #해외음원
👉2일차부터 차트반영 주간 (금요일)
👉Billboard HOT 100 차트인 각 나옴
👉현지화팀 최초 기록, KPOP 레벨 업
HYBE😻KATSEYE - Gnarly Spotify
1일차🌐차트인실패🇺🇸356K(156위)
2일차🌐1,636K(91위)🇺🇸484K(77위)
3일차🌐1,567K(93위)🇺🇸436K(85위)
4일차🌐1,567K(74위)🇺🇸415K(76위)
5일차🌐1,836K(63위)🇺🇸472K(67위)
6일차🌐2,137K(45위)🇺🇸505K(54위)
#엔터 #하이브 #SM #YG #JYP
#DATA #빌보드 #해외음원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7.05.202504:42
2025.05.07 13:41:47
기업명: 에스엠(시가총액: 2조 9,99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314억(예상치 : 2,247억+/ 3%)
영업익 : 326억(예상치 : 190억/ +72%)
순이익 : 2,384억(예상치 : 106억+/ 21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314억/ 326억/ 2,384억
2024.4Q 2,736억/ 337억/ -237억
2024.3Q 2,422억/ 133억/ 37억
2024.2Q 2,539억/ 247억/ 84억
2024.1Q 2,201억/ 155억/ 12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25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1510
기업명: 에스엠(시가총액: 2조 9,99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314억(예상치 : 2,247억+/ 3%)
영업익 : 326억(예상치 : 190억/ +72%)
순이익 : 2,384억(예상치 : 106억+/ 21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314억/ 326억/ 2,384억
2024.4Q 2,736억/ 337억/ -237억
2024.3Q 2,422억/ 133억/ 37억
2024.2Q 2,539억/ 247억/ 84억
2024.1Q 2,201억/ 155억/ 12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25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1510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3:47
2025.05.08 11:29:37
기업명: LIG넥스원(시가총액: 7조 8,87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9,076억(예상치 : 8,122억+/ 12%)
영업익 : 1,136억(예상치 : 654억/ +74%)
순이익 : 842억(예상치 : 565억+/ 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9,076억/ 1,136억/ 842억
2024.4Q 11,678억/ 617억/ 697억
2024.3Q 7,403억/ 519억/ 407억
2024.2Q 6,047억/ 491억/ 457억
2024.1Q 7,635억/ 670억/ 60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9550
기업명: LIG넥스원(시가총액: 7조 8,87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9,076억(예상치 : 8,122억+/ 12%)
영업익 : 1,136억(예상치 : 654억/ +74%)
순이익 : 842억(예상치 : 565억+/ 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9,076억/ 1,136억/ 842억
2024.4Q 11,678억/ 617억/ 697억
2024.3Q 7,403억/ 519억/ 407억
2024.2Q 6,047억/ 491억/ 457억
2024.1Q 7,635억/ 670억/ 60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9550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쟁곳간 2Q25



08.05.202502:27
에이피알 축하드립니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에이피알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에이피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0:55
2025.05.08 09:53:30
기업명: 에이피알(시가총액: 2조 9,23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660억(예상치 : 2,265억+/ 17%)
영업익 : 546억(예상치 : 416억/ +31%)
순이익 : 499억(예상치 : 330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660억/ 546억/ 499억
2024.4Q 2,442억/ 397억/ 434억
2024.3Q 1,741억/ 272억/ 160억
2024.2Q 1,555억/ 280억/ 241억
2024.1Q 1,489억/ 278억/ 24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8470
기업명: 에이피알(시가총액: 2조 9,23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660억(예상치 : 2,265억+/ 17%)
영업익 : 546억(예상치 : 416억/ +31%)
순이익 : 499억(예상치 : 330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660억/ 546억/ 499억
2024.4Q 2,442억/ 397억/ 434억
2024.3Q 1,741억/ 272억/ 160억
2024.2Q 1,555억/ 280억/ 241억
2024.1Q 1,489억/ 278억/ 24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8470
07.05.202522:26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775705
결론 : 6월 금리 인하는 물 건너감
결론 : 6월 금리 인하는 물 건너감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쟁곳간 2Q25



07.05.202510:4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축하드립니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축하드립니다는 저희가 커버한 이래 주가가 올라와 있으면서 당일 8%이상 주가가 상승할 때 말씀드립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07.05.202501:18
* 금융수장 브리핑: 돈 풉니다
• 지준율 50bp 인하. 1조위안 규모 유동성 공급 효과
• 과학기술혁신/엄그레이드 재대출 3000억위안 증액
• 5000억위안 규모 소비/양로 재대출 신설
• 공적금대출금리 25bp 인하. 생애첫주택대출 (5년) 금리 2.85%에서 2.60%으로 인하
5月7日,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在参加国新办新闻发布会时表示,降低存款准备金率0.5个百分点,预计向市场提供长期流动性约1万亿。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5月7日在国新办发布会上说,增加3000亿元科技创新和技术改造再贷款。(新华财经)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5月7日在国新办举行的新闻发布会上宣布,中国人民银行将设立5000亿元服务消费与养老再贷款,加大消费重点领域低成本资金支持。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7日在参加国新办新闻发布会时表示,降低个人住房公积金贷款利率0.25个百分点,5年期以上首套房利率由2.85%降至2.6%,其他期限的利率同步调整。
• 지준율 50bp 인하. 1조위안 규모 유동성 공급 효과
• 과학기술혁신/엄그레이드 재대출 3000억위안 증액
• 5000억위안 규모 소비/양로 재대출 신설
• 공적금대출금리 25bp 인하. 생애첫주택대출 (5년) 금리 2.85%에서 2.60%으로 인하
5月7日,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在参加国新办新闻发布会时表示,降低存款准备金率0.5个百分点,预计向市场提供长期流动性约1万亿。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5月7日在国新办发布会上说,增加3000亿元科技创新和技术改造再贷款。(新华财经)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5月7日在国新办举行的新闻发布会上宣布,中国人民银行将设立5000亿元服务消费与养老再贷款,加大消费重点领域低成本资金支持。中国人民银行行长潘功胜7日在参加国新办新闻发布会时表示,降低个人住房公积金贷款利率0.25个百分点,5年期以上首套房利率由2.85%降至2.6%,其他期限的利率同步调整。
08.05.202502:28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교보 음식료/화장품 권우정

08.05.202502:12
에이피알 퀵 업데이트 드립니다. 2분기 톤도 자신감 있으시네요 😊 맛점하세요!
⚡️에이피알 1Q25 Re 컨퍼런스콜
[연결 기준]
매출액 2,660억원 (YoY +78.6%)
영업이익 546억원 (YoY +96.5%)
OPM 20.5%(YoY 1.9%p)
성수기 4분기 매출을 넘어서 압도적 실적 성장세
브랜드 인지도 상승하며 글로벌 성장에서 성장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액 1,650억원 (YoY +152.3%)
메디큐브 화장품 매출은 YoY 203% 폭발적인 성장
[뷰티 디바이스 부문]
매출액 909억원 (YoY +36.2%)
부스터프로 미니 미국, 일본 글로벌 런칭
[지역별 매출]
해외 전체 1,893억원 (YoY 186%)
한국: 매출액 767억원 (YoY -7.3%)
미국: 매출액 709억원 (YoY +186.5%)
일본: 매출액 293억원 (YoY +198.3%)
중화권: 매출액 284억원 (YoY +39.4%)
기타: 매출액 607억원 (YoY +441.9%)
해외 비중은1Q24 44% -> 1Q25 71%
한국은 뷰티 시장이 성숙해 안정적인 사업이 유지되고 있으며, 패션 부문은 역성장 중임.
미국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으며, 진출 이후 제품 효과가 입증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자발적 바이럴이 확산되고 있음.
일본은 3월 메가와리 기간 중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함.
중화권은 중국, 홍콩, 대만 전 지역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지역은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라 고성장세를 지속 중이며, 전년 대비 442%의 폭발적인 성장 기록
#QnA
Q. 패션 부문 손실 금액 / 뷰티와 디바이스 각각 수익성
패션 부문에서는 약 30억 원 중반대 손실이 발생함.
올해부터는 발주량과 스타일 수를 줄이고 있어, 앞으로 패션 부문 매출은 감소하겠지만 손실액도 전체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뷰티와 디바이스의 상세 수익성은 잠정 공시 기준이어서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 않음.
Q. 마케팅비 및 운반비 비중. 미국 & 일본 상세 비용
전사 기준 마케팅비는 매출의 18%, 운반비는 9%를 차지함. 마케팅비는 전년 대비 2%p 감소했고, 운반비는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미국 및 일본의 상세 비중은 공유가 어려움.
Q. 기타 내 유럽 / B2B 성장 비중
기타 부문 내 B2B 비중은 90% 이상임.
유럽향 B2B 매출은 증가 중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Q. 미국) 월별 1/2/3월 매출 트렌드 및 관세 앞두고 사재기 트렌드 여부
월별 수치는 제공이 어렵지만, 미국 트렌드는 관세 발표 전후 모두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
1분기 기준으로는 3월이 프로모션 영향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함.
관세로 인한 사재기 효과는 아님. 2분기 역시 견조한 매출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Q. 일본) 오프라인 3천 개 입점 목표 중 달성 정도
정확한 수치는 어렵지만, 일본 오프라인 입점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로, 현재 목표 대비 1천 개 미만 매장에 입점된 상태임. 2분기부터 B2B 오프라인 입점을 시도 중임.
매장 수가 늘지 않는 이유는 일본 전략이 느려서가 아니라, 글로벌 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해 SKU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매장 입점 수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임.
Q. B2B 매출 셀스루 데이터 업데이트
현재 셀스루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된 것이 없음.
다만, B2B 매출은 글로벌 전역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00개국 이상 다양한 오프라인 및 홀세일 채널에서 매출이 증가 중임.
Q. 물류비 감소 원인 – 물류 효율화인지, 선제적 출하 때문인지?
1분기 물류비는 기존 9.5%에서 9.0%로 소폭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개선으로 보기는 어려움.
매출이 많이 올라가는 만큼 해외에 대량 선적 보내는 중
에어 비용은 1분기에는 많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 중
Q. B2B) 마케팅 비중 감소에 영향 주었는지? 2분기 마케팅 비용 계획
전체 판관비가 레버리지 효과로 감소하면서 마케팅 비중도 낮아진 것으로 보임.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 집행을 지속하고 있음. 마케팅비 비중은 유사하거나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Q. B2B) 4~5월 매출 추이
1분기와 유사하게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B2B 외 다른 부문들도 대부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Q. 달러 노출도 및 금융수익 증가의 달러 영향 여부
미국 매출은 전체의 약 27%를 차지함.
지역별 매출은 대부분 현지 통화 기준으로 발생하며, 환효과는 미국 손익 기준 0.5% 미만으로 추산됨.
매출원가는 한국 기준이지만, 기타 비용은 대부분 달러로 집행되기 때문에 환율에 연동되는 구조임.기타 국가들은 현지 통화로 인식. 금융수익은 환효과 보다는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에 따른 금리 수익이며, 1분기 기타 금융수익은 약 40억 원 발생함.
Q. 연간 가이던스 OPM 17~18%에서 상향 계획
이전 컨콜에서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700~1,800억 원 수준의 가이던스를 제시함.
현재 시점에서 공식적인 변경은 없지만, 하반기 사업 계획을 감안하면 초과 달성 가능성이 높음.
내부적으로는 더 높은 목표를 추진 중임.
Q. 디바이스 판매량 지역별 브레이크다운 및 2분기 전망
1Q25 디바이스 판매량은 59만 대로 분기 기준 최대치 기록.
지역별 상세 판매 데이터는 현재 컨콜에서 제공 어려움.
화장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디바이스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
하반기에는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 예정이며, 신제품 중심으로 마케팅 진행 예정.
Q. 주요국 일본/미국/한국 전반적인 2분기 전망
2분기 및 3분기는 일반적으로 비수기이지만, 월별 매출 흐름이 양호해 2분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중화권) 매출 성장 배경 및 도우인 샵 메디큐브 판매 관련 소비 트렌드 변화 여부
중국 전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고, 소비 트렌드도 개선 중임.
다만, 중화권에서 미국·일본처럼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 있음.
⚡️에이피알 1Q25 Re 컨퍼런스콜
[연결 기준]
매출액 2,660억원 (YoY +78.6%)
영업이익 546억원 (YoY +96.5%)
OPM 20.5%(YoY 1.9%p)
성수기 4분기 매출을 넘어서 압도적 실적 성장세
브랜드 인지도 상승하며 글로벌 성장에서 성장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액 1,650억원 (YoY +152.3%)
메디큐브 화장품 매출은 YoY 203% 폭발적인 성장
[뷰티 디바이스 부문]
매출액 909억원 (YoY +36.2%)
부스터프로 미니 미국, 일본 글로벌 런칭
[지역별 매출]
해외 전체 1,893억원 (YoY 186%)
한국: 매출액 767억원 (YoY -7.3%)
미국: 매출액 709억원 (YoY +186.5%)
일본: 매출액 293억원 (YoY +198.3%)
중화권: 매출액 284억원 (YoY +39.4%)
기타: 매출액 607억원 (YoY +441.9%)
해외 비중은1Q24 44% -> 1Q25 71%
한국은 뷰티 시장이 성숙해 안정적인 사업이 유지되고 있으며, 패션 부문은 역성장 중임.
미국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으며, 진출 이후 제품 효과가 입증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자발적 바이럴이 확산되고 있음.
일본은 3월 메가와리 기간 중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함.
중화권은 중국, 홍콩, 대만 전 지역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지역은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라 고성장세를 지속 중이며, 전년 대비 442%의 폭발적인 성장 기록
#QnA
Q. 패션 부문 손실 금액 / 뷰티와 디바이스 각각 수익성
패션 부문에서는 약 30억 원 중반대 손실이 발생함.
올해부터는 발주량과 스타일 수를 줄이고 있어, 앞으로 패션 부문 매출은 감소하겠지만 손실액도 전체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뷰티와 디바이스의 상세 수익성은 잠정 공시 기준이어서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 않음.
Q. 마케팅비 및 운반비 비중. 미국 & 일본 상세 비용
전사 기준 마케팅비는 매출의 18%, 운반비는 9%를 차지함. 마케팅비는 전년 대비 2%p 감소했고, 운반비는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미국 및 일본의 상세 비중은 공유가 어려움.
Q. 기타 내 유럽 / B2B 성장 비중
기타 부문 내 B2B 비중은 90% 이상임.
유럽향 B2B 매출은 증가 중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Q. 미국) 월별 1/2/3월 매출 트렌드 및 관세 앞두고 사재기 트렌드 여부
월별 수치는 제공이 어렵지만, 미국 트렌드는 관세 발표 전후 모두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
1분기 기준으로는 3월이 프로모션 영향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함.
관세로 인한 사재기 효과는 아님. 2분기 역시 견조한 매출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Q. 일본) 오프라인 3천 개 입점 목표 중 달성 정도
정확한 수치는 어렵지만, 일본 오프라인 입점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로, 현재 목표 대비 1천 개 미만 매장에 입점된 상태임. 2분기부터 B2B 오프라인 입점을 시도 중임.
매장 수가 늘지 않는 이유는 일본 전략이 느려서가 아니라, 글로벌 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해 SKU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매장 입점 수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임.
Q. B2B 매출 셀스루 데이터 업데이트
현재 셀스루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된 것이 없음.
다만, B2B 매출은 글로벌 전역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00개국 이상 다양한 오프라인 및 홀세일 채널에서 매출이 증가 중임.
Q. 물류비 감소 원인 – 물류 효율화인지, 선제적 출하 때문인지?
1분기 물류비는 기존 9.5%에서 9.0%로 소폭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개선으로 보기는 어려움.
매출이 많이 올라가는 만큼 해외에 대량 선적 보내는 중
에어 비용은 1분기에는 많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 중
Q. B2B) 마케팅 비중 감소에 영향 주었는지? 2분기 마케팅 비용 계획
전체 판관비가 레버리지 효과로 감소하면서 마케팅 비중도 낮아진 것으로 보임.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 집행을 지속하고 있음. 마케팅비 비중은 유사하거나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Q. B2B) 4~5월 매출 추이
1분기와 유사하게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B2B 외 다른 부문들도 대부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Q. 달러 노출도 및 금융수익 증가의 달러 영향 여부
미국 매출은 전체의 약 27%를 차지함.
지역별 매출은 대부분 현지 통화 기준으로 발생하며, 환효과는 미국 손익 기준 0.5% 미만으로 추산됨.
매출원가는 한국 기준이지만, 기타 비용은 대부분 달러로 집행되기 때문에 환율에 연동되는 구조임.기타 국가들은 현지 통화로 인식. 금융수익은 환효과 보다는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에 따른 금리 수익이며, 1분기 기타 금융수익은 약 40억 원 발생함.
Q. 연간 가이던스 OPM 17~18%에서 상향 계획
이전 컨콜에서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700~1,800억 원 수준의 가이던스를 제시함.
현재 시점에서 공식적인 변경은 없지만, 하반기 사업 계획을 감안하면 초과 달성 가능성이 높음.
내부적으로는 더 높은 목표를 추진 중임.
Q. 디바이스 판매량 지역별 브레이크다운 및 2분기 전망
1Q25 디바이스 판매량은 59만 대로 분기 기준 최대치 기록.
지역별 상세 판매 데이터는 현재 컨콜에서 제공 어려움.
화장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디바이스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
하반기에는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 예정이며, 신제품 중심으로 마케팅 진행 예정.
Q. 주요국 일본/미국/한국 전반적인 2분기 전망
2분기 및 3분기는 일반적으로 비수기이지만, 월별 매출 흐름이 양호해 2분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중화권) 매출 성장 배경 및 도우인 샵 메디큐브 판매 관련 소비 트렌드 변화 여부
중국 전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고, 소비 트렌드도 개선 중임.
다만, 중화권에서 미국·일본처럼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 있음.
08.05.202500:46
07.05.202522:17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7.05.202510:40
2025.05.07 16:21:28
기업명: 파크시스템스(시가총액: 1조 4,15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9억(예상치 : 381억+/ 34%)
영업익 : 132억(예상치 : 59억/ +124%)
순이익 : -(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9억/ 132억/ -
2024.4Q 633억/ 166억/ 203억
2024.3Q 414억/ 87억/ 63억
2024.2Q 447억/ 127억/ 134억
2024.1Q 257억/ 5억/ 2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5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0860
기업명: 파크시스템스(시가총액: 1조 4,15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9억(예상치 : 381억+/ 34%)
영업익 : 132억(예상치 : 59억/ +124%)
순이익 : -(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9억/ 132억/ -
2024.4Q 633억/ 166억/ 203억
2024.3Q 414억/ 87억/ 63억
2024.2Q 447억/ 127억/ 134억
2024.1Q 257억/ 5억/ 2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5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0860
07.05.202501:16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8127?sid=101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 관세 정책이 하루만에 번복됐다
외국에서 제작된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 관세 정책이 하루만에 번복됐다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1 539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