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ITM. IDEATOMONEY avatar

ITM. IDEATOMONEY

■ Disclaimer
본 채널의 게시물은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작성된 것이며, 특정 종목의 매매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게시물은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개인의 독립적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정확성과 완전성을 포함하여 어떠한 보증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채널의 게시물은 어떠한 법적 근거로도 활용될 수 없습니다. 개인의 투자정보 Archive 입니다.
TGlist рейтингі
0
0
ТүріҚоғамдық
Растау
Расталмаған
Сенімділік
Сенімсіз
Орналасқан жері
ТілБасқа
Канал құрылған күніЛип 02, 2024
TGlist-ке қосылған күні
Бер 14, 2025

Рекордтар

16.05.202523:59
930Жазылушылар
06.12.202423:59
0Дәйексөз индексі
15.03.202523:59
8371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10.04.202523:59
316Жарнамалық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14.03.202502:52
23.81%ER
21.02.202502:51
180.27%ERR
Жазылушылар
Цитата индексі
1 хабарламаның қаралымы
Жарнамалық хабарлама қаралымы
ER
ERR
СІЧ '25ЛЮТ '25БЕР '25КВІТ '25ТРАВ '25

ITM. IDEATOMONEY танымал жазбалары

13.05.202507:00
엄민용 연구위원 세미나
2025 0509

ㅁㅁ 시장이슈 ㅁㅁ
ㅡ 트럼프 약가 인하
제조시설투자는 신제품 위주
중국 인도 아일랜드 기존시설 미국 이전 수십년 소요
ㅡ 의약품 관세
국민인당 1백달러 정도 부담으로 시장에 큰부담은 아니다
ㅡ 악재 확정되는 5월 3주차까지 수급 얇다.
ㅡ 선조정 받았고 종목별로 asco 기대감은 있음
ㅡ 알테오젠 에이비엘 리가 등 전반적으로 시총이 무거워져서 거의 무조건적인 셀온과 공매도 집중됨
ㅡ 디앤디 인벤 등 1조 미만 개발사로 수급이 집중

ㅁㅁ 종목별 이슈 ㅁㅁ


1. 올릭스
ㅡ 로레알 탈모 화장품 공동개발 예정 주사제 별도 토너형태
ㅡ 릴리 기술 계약은 호주 임상 기반으로 체중 빠지고 간수치 개선됨
ㅡ 내년 하반기 탈모 화장품 토너 출시 목표
ㅡ 황반변성 머크하고 협상중
2상 결과 하반기 나오고 2026년 계약 예상
ㅡ 본격적 상승은 릴리 내년 글로벌 임상 시작되면 시작 될수도 있음 메쉬 업체중 시총 가장 저평가


2. 알테오젠
6월 7일 특허청 발표 예정
출시 일정 지연이 노이즈
ㅡ 분기별 계약 목표
1 길리어드 사이언스
2 사노피 본계약
3 할로자임 기존계약자 료슈 존스앤존스
ㅡ 키트루다 중국 경쟁사 서밋 임상 유효성 증명 실패
주가 36프로 폭락 키트루다 및 차세대 면역치료제 경쟁력은 확보
ㅡ 차세대 면역치료제 pd1 이중항체 개발사 추가계약 가능성 높음


3. 에이비엘바이오
ㅡ Gsk 계약 셀온 나오고 회사들이 계약 진행 내용 공유 안하겠다고 입장선회
ㅡ bbb 네트워크 플랫폼 경쟁사 드날리 10조 갔다가 바이오젠 사노피 다케다 임상 3개 무너지고 시총 2조는 유지
ㅡ 사노피 파킨슨 3분기 1상 임상 발표되면 임상으로 증명된 최초 bbb 네트워크 개발사
ㅡ 추가계약 하반기 기대


4-1. 팹트론
한마디로 릴리가 포기할수가 없다.
ㅡ 최초 개발 가루형태에서 보관제형으로 변경되었음
ㅡ 가루 형태 스케일 아웃에시 제형 스케일 업으로
ㅡ 보관제형 대량 생산 체제 개발중
ㅡ 고도비만 환자들은 주사제 위주,
ㅡ 오랄 경구제는 유지요법으로
ㅡ 1주일 제형은 경쟁력 상실하며, 1개월 제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ㅡ 1개월 제형 원가 감소는
주사기 개당 1만원, 4분의 1 수준으로 년간 2조까지 원가 감소
ㅡ효율 좋아지며 윈재료비도 80%수준으로 펩테이드 비용 감소
ㅡ 주사제는 릴리 노보 앞서 있어서 후발 빅팜은 경구제로 갈수도 있음


4-2 디앤디파마텍
ㅡ 멧세라 디앤디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빅팜 인수 가능성 높음
ㅡ 화이자 등 빅팜이 원하는 데이타 확보가 관건
ㅡ 6월 메쉬 그리고 비만치료제 임상으로 증명하고
ㅡ 멧세라 공동개발하는 다중 비만치료제 진행 속도에 따라 빅팜 계약없이 보로노이 시총 2조 수준 까지 기대


4-3 인벤티지랩
ㅡ 경구 기술은 증명할것이 너무나 많다.
ㅡ 경구 고용량 부작용은 피할수 있을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어럽다고 예상한다
ㅡ 기술적으로는 가장 앞서 있지만 반대로 가장 증명되지 못했다.
ㅡ 펩테이드 기술은 빅팜은 기술적인 한계를 느끼고 포기했지만 우리나라 업체는 특유의 뚝심으로 견디고 역량을 확보했다.
ㅡ 펩트론 디앤디 기술 대비 확인이 필요하다
ㅡ 베링거 지투지 후속 계약으로 경구제로 선회한 가능성도 높다


5. 지아이이노베이션
ㅡ 301 아토피 유한양행 공동 개발 진행중이며 년내 기술수출이 목표
ㅡ 102는 asco 학회에서 빅팜 마지막 조율하고 3분기 계약 기대
ㅡ 에이비엘 수준 3조 시총까지 업사이드 있음
ㅡ 임상데이터는 경쟁내 가장 좋고 시장 성장싱 포텐 놓음
ㅡ 1조 미만 바이오텍에서 가장 저평가됨


6. 한올
ㅡ 1402 개발일정이 미루어져서 모멘텀 부재
ㅡ 류마티스관절염 임상기간이 4개월 3개월 총 7개월인데
임상 발표 일정이 내년으로 되어있다 너무 늦다 이해가 안간다. 주가부양 의지기 없다.
ㅡ 신약 런칭 비용이 3-4천억인데 후발업자로 안히겠다는것은 합리적이고 신규 파이프 개발이 우선이지만 시장은 이것도 셀온
ㅡ 적용증 2개로 분기 매출 1조 달성하며 아제넥스 시총 50조 달성하였는데
ㅡ 동반성장이 확실한 이뮤노반트 시총 5조 말이 안되는 저평가이다
ㅡ 한마디로 수급없고 셀온 한국주주 영향이 큼


7. 유한양행
ㅡ 가치대비 주가 메리트
ㅡ 지아이이노베이션 아토피 딜까지 이슈공백
ㅡ 타그리소 케모 병용 대비 얼마나 좋을까? 관건임
ㅡ 항암은 대체효과가 높을수 밖에 없고 기대매출 계속 상승 가능하다
ㅡ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 대비 기대생존율 높았음


8. 리가
ㅡ 3분기 빅팜 추가 계약 기대
ㅡ 신규 빅팜 계약 금액 5조까지 기대


9. 퓨쳐캠
ㅡ 당장 모멘텀 부재
ㅡ 현재 2임상 데이타 정리하고 영문 번역중


ㅁㅁ 엄 포트 우선순위 ㅁㅁ

1. 알테오젠 리가
상반기 기술 수출 기대감

2. 에이비엘
리가 시총 추월가능

3. 올릭스
상반기 기술수출 가능성 높고
내년 본격 상승 기대감

4. 팹트론 디앤디
시장이 가장 크고
다수 빅팜과 계약가능

5. 지아이 유한양행
가치 대비 가장 저평가

6. 한올 퓨쳐캠
임상검증으로는 검증되었으나
이슈는 내년에
28.04.202522:53
라인메탈 1분기 영업이익 +49% - 시장 기대 상회

It also posted a 49% rise in group operating profit, which came in at 199 million euros, again beating market expectations for 165.8 million euros.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rheinmetall-first-quarter-sales-jump-boosted-by-defence-business-2025-04-28/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07.05.202523:56
할로자임 Enhanze 계약 이력은 2021년이 마지막입니다. 빅파마들은 더이상 할로자임을 선택하고 있지 않고 4년째 신규 계약이 없죠.

[할로자임 계약 이력]
06년 12월 Roche
14년 12월 J&J
17년 09월 BMS
17년 12월 Alexion(AZ자회사) > 반환
19년 02월 Argenx
20년 10월 Argenx > 계약 확대
20년 11월 Horizon
21년 06월 ViiV healthcare

할로자임이 이번 실적 발표에서도 특허 무효 심판이나 소송에 대해서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지만 그들의 주장과 계약이력은 큰 괴리를 보입니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인 알렉시온은 할로자임과 계약을 파기하고 알테오젠과 계약했던 점도 중요하죠.

[알테오젠 계약 이력]
19년 12월 사노피(추정)
20년 06월 머크(비독점)
21년 01월 인타스
22년 12월 산도즈
24년 02월 머크(독점 변경)
24년 07월 산도즈(계약 확대)
24년 11월 다이이찌 산쿄
25년 03월 아스트라제네카

알테오젠은 할로자임의 마지막 계약 2021년 이후로 최근까지 꾸준히 신규 계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올해 신규 계약 2건 이상 목표 중입니다.

할로자임의 주가 상승 큰데 이는 호실적 때문이지 머크와 특허 이슈가 할로자임에게 긍정적 방향으로 흘러갈 것으로 보기 때문은 아니라는 점을 코멘트 드립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投資, 아레테 avatar
投資, 아레테
15.05.202505:44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방산 대형4사의 실적발표가 모두 마무리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두 우수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으며, 미달한 기업의 경우에도 향후 개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실적 컨콜, 실적발표 후 대면/비대면 업데이트 내용 중 주요 내용 간략히 공유드립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지상방산 매출액이 무난하게 나와줬고 마진으 소폭 상회하면서 생산성 개선에 따른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
- 지상방산 25년 인도 가이던스가 25년 초 K9 70문, 천무 50대 이상>1Q25 K70문 이상, 천무 K9 이상으로 상향 가능하다고 소통. 자세한 부분은 2Q25 실적발표 즈음에 공유할 것.
- 25년 역시 1Q25를 바닥으로 QoQ로 실적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연간 가이던스는 3조원인 것을 보여줌.

#LIG넥스원
- 1Q25 실적을 통해 1) 양산 사업이 본격적으로 성장 궤도에 올라왔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얘기하고, 2) 가이던스 유지는 비용 측면에서 보수적으로 유지했지만 상반기 변동이 있으면 소통하겠다고 했고, 3) 향후 천궁 사업의 성장 프로세스 등을 공유했다는 점 긍정적.
- 내수 양산 사업의 성장궤도가 회사 안내 대비 빠르게 다가와서 수출 물량이 늘어나고 있고 UAE 천궁이 유의미하게 찍히고 있음. 내수 물량은 후속양산과 함께 차세대 초기 양산 시작되면서 무난한 상승 롤링 기대.

#한국항공우주
- 수출 주요 폴란드/말레이 사업 정상적으로 납품 진행 중. 하반기로 갈수록 더욱 인식이 확대될 것. 다만, 미래사업을 위한 무인기, AAM, AI 파일럿 등의 투자가 지속되면서 비용적인 요인은 연간으로 어느정도 계속 증가할 듯.
- 실적 자체는 1H25는 비어보일 수 있으나 2H25를 기대하고 있음. 실제 완제기 등의 매출도 4Q에 몰릴 것.
- 필리핀 FA-50 12대 추가 도입 사업의 경우 막바지 단계에 들어간 만큼 조만간 계약 체결이 되도록 노력할 것. 해당 수주는 현재 전사 마진보다 높은 OPM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
- KF-21 UAE 장선 탑승은 이례적인 사항. 성능 및 신뢰를 방증한다고 생각하고 홍보 열심히 하고 있음.
- 페루 사업은 탈락 뉴스는 오보. 일시적으로 제외되었던 것은 맞지만 이후 열심히 마케팅 및 영업활동 추진하고 있음.

#현대로템
- 동사의 레일솔루션 소폭 흑자 및 에코플랜드 기존 수익성을 고려할 때 디펜스 솔루션 OPM은 20% 중후반이 합리적으로 생각됨.
- 디펜스 솔루션 1Q 휴일이 많아서 일시적인 매출 감소 발생. 2Q부터는 회복될 것이고 연말까지 일정 이상 유지될 것으로 전망.
- 레일솔루션 비용 대부분 처리해서 플러스. 향후에도 플러스일 것으로 전망.
- 폴란드 관련 계약 지연 요인은 해소됨. 매출에 대한 공백은 없을 것. 폴란드 외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페루, 중동, 아시아 등에서 K2 및 장갑차 관련 협상 진행 중.
- 향후 수주 상황에 따라 증설도 고려해봐야 할 듯. 현재 열심히 공장 돌리고 있고 생산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avatar
우주방산AI로봇 아카이브
08.05.202503:32
**방산...특히 전투기와 전차 같이 제조 기간이 긴 제품들은 회계방식이 진행률 기준 방식이라 1분기가 비교적 낮고, 4분기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구조라 1분기 실적 낮다고 큰 의미 둘건 아닌 듯 싶은데도 다들 잘 나오고 있네요.

오늘 실적 발표한 LIG넥스원의 주력 제품인 '천궁2'의 경우도 진행률 회계 방식인데, 올 1분기부터 의미있는 숫자를 보여줬다는 것에 의미가 있어 보이네요.

2분기, 3분기, 4분기...시간이 흐를 수록 천궁2의 매출은 더 늘어날 여지가 높아지니까요.

참고로 제조 기간이 짧은 자주포나 다연장포는 납기일 기준 방식이라 분기별 실적 변동성은 어쩔 수 없이 발생합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投資, 아레테 avatar
投資, 아레테
08.05.202506:26
#LIG넥스원
- 매출 증가는 내수의 개발 및 양산 모두 성장하면서 매출 증가. 양산사업 전방위적 수행.
- (실질적)수출 비중 20%. UAE천궁, 폴란드 K2 구성품 비공개 수출사업 등이 있음.
- 국내 양산 증가와 함께 인니 사업이 제거되면서 마진이 양호하게 변화.
- 인니 영향, 경상개발비 이연, 일회성 등을 고려해 가이던스 현재 변화는 크게 없음.
- 전반적으로 1Q 숫자를 듣고 놀란 상황이나 여러 복합적인 이유라고 소통하고 있으며 일회성 및 비용 이연 등에 대한 부분은 언급하고 있음.
12.05.202522:58
안녕하세요 실리콘투/코스메카 리뷰 자료 발간했습니다. 내용 공유 드립니다. 오늘 기분 좋은 하루 시작하십쇼! (금일 코스맥스, 브이티 실적 발표 있습니다)



실리콘투: 컨센서스 상회. 유럽, 중동 성장 가팔라

- 영업이익 477억원(YoY+62%) vs 컨센서스 391억원
- 매출은 2.5천억원(YoY+64%, QoQ+42%)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 및 이익 기록, 매출 서프 희귀

- 최대 실적 기록 배경
1) K뷰티의 글로벌 수요 확산
2) 동사의 선제적 판로 개척
3) 운영 능력 우위 등에 있음

- 이번 분기 주목할 만한 변화는
1) 미국 최대 매출(3Q24 599억원)을 유럽(1Q25 약 700억원)이 처음 넘어선 점
2) UAE(1Q25 163억원)가 전년동기비 매출 약 4배 증가
3) 미국과 UAE 포함한 미국 외 매출이 전년동기비 2배 이상 증가한 점
4) 선수층이 두터워진 점: 주력 브랜드가 조선미녀, 아누아 등에서 메디큐브, 바이오던스, 닥터에시아 까지 확장
5) 당분기 재고자산 1.8천억원(+356억원)으로 창사 이래 재고 증가 규모 가장 큼 → 재고는 향후 매출 방향성, 향후 실적에 대한 자신감으로 해석

- 투자의견 BUY 유지, 실적 추정치 상향에 기인 TP 5만원으로 상향



코스메카: 컨센서스 하회. 바닥은 지나
- 영업이익 123억원(YoY-10%) vs 컨센서스 151억원

- 컨센서스 하회 요인 → 1) 주력 고객사의 핵심 제품군 변경 되며, 1분기 동사의 납품 물량 축소로 별도 성장세 둔화, 2) 미주 고객사의 재고 조정 지속

- 다만 실적 저점은 통과 → 1) 수출 고객사 확대되며 고객 기반 다변화(별도 기준 QoQ 성장세 예상), 2) 미국법인 기저 구간 진입, 미주 고객사의 재고 조정 일단락(2Q 신제품 추가), 3) K뷰티의 OTC 프로젝트 증가로 하반기 물량 확대 기대

- 법인별 1Q25 특이사항:
1) 한국법인: 매출 +8%, 영업이익 +8%, 상위 5개 고객사 비중 26.8%(-6%p), 기초/색조/선케어 각각 +3%/+49%/-28% 기록
2) 미국법인: 매출 -19%, 영업이익 -31%, OTC 품목 늘어나는 토토와 회복세 → 2분기 부터 기저 편안해짐
3) 중국법인: 매출 -28%, 영업손실 6억원, 여전히 부진

- 2분기 미국법인 성장 전환 → 하반기 별도 성장 전환 예상

- 투자의견 BUY 유지, 실적 추정치 하향에 기인 TP 6.5만원으로 하향



***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하나증권/에너지화학/윤재성 avatar
하나증권/에너지화학/윤재성
14.05.202508:37
[하나증권/에너지화학/윤재성] 한화솔루션: 목표주가 상향의 근거

▶ 보고서: https://bit.ly/4mho3c8


▶ 세제 개편 시 중국 모듈 업체의 AMPC 수취 제한될 전망

- 세제 개편안 초안 공개. AMPC 일몰은 2033년에서 2032년으로, PTC/ITC 일몰은 2035년에서 2032년으로 앞당겨

- 주목할 점은, 1) 태양광/발전사업 PTC/ITC에 대한 FEOC 규정이 신규로 제정(2년 후 시행)되었고 2) AMPC에서의 FEOC 규정이 태양광 관련 제품에도 적용된다는 점

- 이미 AD/CVD로 중국 물량의 유입이 막혀있는 상황에서 미국 내 M/S 40%를 차지하는 중국 모듈 업체의 AMPC 수취까지 제한된다면, 미국 내 모듈 시장은 빠른 공급과잉 해소와 가격 반등이 나타날 수 있어

- 미국 내 태양광 제조 밸류체인을 보유한 First Solar와 한화큐셀의 Valuation Multiple 또한 기존 대비 상향될 필요


▶ 태양광 수요가 성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가스발전소의 병목 때문

- 미국 신규 가스발전소 건설에 병목 발생 중. 건설 비용 kW당 820$에서 2,400$로 3배 가량 급증, 가스터빈 부품 병목으로 납기 일정도 가속화 되기 힘들어

- 가장 빠르고 현실적인 대안으로 태양광+ESS가 각광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 특히, 최근 모듈 가격 하락으로 여타 발전원 대비 LCOE 더욱 낮아져


▶ TP 상향. 케미칼 턴어라운드 가능성까지 감안할 필요

- BUY 유지, TP를 3.4만원에서 5만원으로 상향

- 세제 개편안의 상하원 통과 가능성을 대전제로 삼고, 태양광 가치 상향(만약, 통과 실패 시 재차 TP 조정 불가피)

- 태양광 사업 EV/EBITDA Multiple을 8배에서 10배로 조정. Target Multiple 10배는 미국 시장에서 기대하는 First Solar에 대한 Target Multiple. 이번 FEOC 규정으로 한화솔루션도 First Solar와 동일한 가치 부여가 가능

- 영업이익 2024년 -3천억원 → 2025년 7.5천억원(YoY +1조원) → 2026년 1.1조원(YoY +51%)으로 드라마틱한 개선 전망. 향후 모듈 반등 속도에 따라 추가적인 상향 조정 가능

- 미-중 관세 전쟁 완화와 미국 천연가스 강세-유가 약세 가능성 등을 감안 시 케미칼과 YNCC의 턴어라운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 강력한 태양광 수요와 정책 모멘텀에 따라 주가가 어닝에 선행해 움직일 가능성 높은 국면. 확인하고 나면 늦을 것



** 하나증권/에너지화학/윤재성

https://t.me/energy_youn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8.04.202523:10
화이자의 PD-1 억제제 피하주사 제형 사산리맙, 표준치료와 병용시 질병 위험 32% 감소 입증했으나 주요 2차 평가지표에선 실패

알테오젠 할로자임 없이는 화이자도 쉽지않은 피하주사 개발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fizer-ties-pd-1-drug-32-bladder-cancer-risk-reduction-phase-3-misses-secondaries
10.05.202512:50
테슬라 변압기 미친듯이 사재기 진행중

변압기 장비 앞면에 4,800 킬로볼트암페어 (kVA)

📌변압기 성능
고압 측: 34,500V
저압 측: 480/277V

이 조합은 보통 산업용 또는 데이터센터, 대형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변압기임.

테슬라 텍사스에 있는 Cortex2 구축 시작될것으로 보임.

테슬라 로보택시 / FSD 발전을 위한 Cortex2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27.04.202513:01
이 채널은 주식리딩방이 아닙니다.
투자에 대한 판단, 매수/매도의 판단은 각자의 개인에게 있습니다.
올려드리는 내용은 절대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절대 따라하지마시고,
절대 책임지지 않으니 본인이 공부하고 스스로 판단하세요.
모든 투자의 결과는 투자자 자신에게 귀속됩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소개하는 기업은 보유 중일 수 있으며,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습니다.

워낙 정리들을 잘해주셔서, 간단하게 핵심만 코멘트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AACR에서 발표된 1a 데이터가, 제가 생각했던 모든 것을 증명해준 데이터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로 게임이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보로노이가 지금까지 VRN11에 대해 주장해 온 높은 선택성과 뇌전이에 대한 효과를 확실히 보여주었습니다.
선택성은 Grade 2이상의 부작용이 전무한 것으로 보여주었고, 뇌전이는 뇌병변에 대한 완전관해로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VRN 11이 전임상 데이터를 통해서 보여주었던 내용을 그대로 휴먼데이터를 통해서 보여준 결과고, 이것만으로도 C797S 환자와 뇌전이 환자에 대한 2차 시장은 확실하게 먹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ORR과 T790M에 대해서 얘기를 많이들 하는데, 애초에 10mg과 20mg의 데이터는 내약성 평가를 위해서 거친 용량인데, 이게 포함됨으로써 ORR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마지막 치료라고 생각할 수 있을정도의 환자들, 온갖 항암치료를 사전에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되면서, 이 환자들은 종양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였고,
이것을 안정병변 상태로만 유지하는 것으로도 충분히 항암 효과를 증명하는 거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안에서도, 실제로는 의미있는 용량인 40mg 이상을 투여한 8명의 환자 중에서는, 강한 항암 효과를 통해서 2건의 PR을 보여주었고, 그 8명 모두가 안정병변 이상의 상태를 보여주었습니다.
마지막 160mg 환자 2명은 약효를 확인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인 1 cycle만이 지났음에도, 안정병변 상태를 보여준거고, 이후 cycle이 진행되면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높은 ORR을 보여주는 타임상의 환자군들은 EGFR TKI를 한번도 받지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는데, 보로노이가 이와 같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였다면,
압도적으로 높은 ORR와 긴 PFS를 보여주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이미 부작용은 압도적으로 적은 걸 보여주었구요.

T790M에 대해서는,
어제 간단히 설명하였는데,
애초에 대부분의 EGFR mutations가 Del19와 L858R변이에서 시작되는데, 이 변이들을 확실하게 치료한다면, T790M 자체가 생기는 빈도가 확 줄어들게됩니다.
이건 여노래 위원님 레포트에도 비슷하게 설명되어있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본게임인 Del19와 L858R을 잘 잡으면 당연히 1차치료제가 되는거고, VRN11로 1차 치료를 한 이후에 T790M이 발생한다면, 해당 변이에 효과가 있는 다른 약물을 2차치료로 해도 됩니다.
게다가, 부작용이 없다고 보면 될 정도라, T790M 변이에 효과가 있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투여를 해도됩니다.
메인 종목을 잘 하는데, 번외 경기를 못 한다고 1차 치료제가 될 수 없다는 논리는, 그냥 안티를 위한 안티로밖에 보이지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뭐 이래저래 말들이 많은데, 이미 데이터가 보여준 효과만으로도, 보로노이가 1차로 타깃으로 하는 2차치료제 시장은 다 먹을 수 있습니다.
C797S와 뇌전이는 현재 치료제가 없습니다.
다른거 다 됐고, 이 시장만 가져온다고 생각해도 5조는 되는 시장인데,
C797S는 단 한명밖에 없었음에도 바로 저용량에서도 PR이 나왔고,
뇌전이도 85.7%의 DCR을 보여주면서, 8명의 환자 중에서 7명의 환자에서 충분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면 보수적인 점유율을 가정해서, 2조 매출만 한다고해도, 신약 마진율이 보통 70%가 넘으니, 1.4조의 이익이 기대됩니다.
뇌전이까지도 됐고, C797S만 인정한다고해도, C797S의 시장만 연간 1조원 수준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연간 7,000억의 이익이 기대됩니다.

다음 데이터 공개때는 더 많은 C797S 환자들과 뇌전이 환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줄텐데, 이때는 더 이상 부정할 수 없는 데이터를 보여줄거라 생각합니다.

애초에 차, 포 다 떼줄 필요도 없는데, 다 떼주고 생각해봐도, 연간 7,000억 이익은 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번 데이터로도 충분히 증명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개인적으로 미니멈 시총을 5조라고 생각한다고 했는데, 이번 결과로 최소 시총을 10조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개인적인 생각, 수많은 가정과, 기대치가 반영된 숫자니,
제 글은 절대 투자에는 참조하지마시고,
각자 숫자도, 시장도, 효능도, 경쟁 약물도 모두 직접 스터디 해보시고, 판단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티를 위해 또 안티를 하고싶으시면, 그냥 그 생각이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제가 분석하고 판단한 저의 생각이니까요.
세일즈요? 세일즈 할 생각도 없고, 하고싶은 생각도 없습니다.
애초에 추천이 아니라고 따라하지말라고도 계속 해왔고, 3배가 넘게 올라있는데, 지금 제 탓을 하시는 분들은 무슨 생각이신지 잘 모르겠네요.
보로노이는 시총 7,000억때부터 설명을 해서, 지금까지, 힘들때도 좋을때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해왔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시총은 한참 남았습니다.


한번 더 강조드립니다. 제 생각 참고도 하지마시고, 그냥 이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는구나, 정도로만 보시고, 100% 온전히 스스로 스터디 후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2.05.202501:04
2025.05.12 10:03:41
기업명: 실리콘투(시가총액: 2조 5,906억)
보고서명: 분기보고서 (2025.03)

잠정실적 : N

매출액 : 2,456억(예상치 : 1,941억/ +27%)
영업익 : 477억(예상치 : 387억/ +23%)
순이익 : 387억(예상치 : 313억/ +24%)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456억/ 477억/ 387억
2024.4Q 1,736억/ 266억/ 320억
2024.3Q 1,867억/ 426억/ 299억
2024.2Q 1,814억/ 389억/ 333억
2024.1Q 1,499억/ 294억/ 25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2000093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서초동 투자머신 avatar
서초동 투자머신
10.05.202505:20
#알테오젠

특허 청구항 포기중인 할로자임
기능성 청구항 전부 포기중
구조 위주의 청구만 방어하겠다는 전략.

머크의 입장 - 할로자임 쫄리면 뒤지시던가 모드로 압박중

PGR개시 및 머크의 승소가 상식적인 판단으로 보여짐.

https://m.blog.naver.com/biotech_kdi/223860982388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avatar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12.05.202521:11
유럽 의약품 판매는 텐더(입찰) 방식으로 진행. 각 유럽 내 국가들이 공급 입찰을 내고, 이에 참여한 제약사 중 공급사를 결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럽은 가격 경쟁이 일어남

이번 트럼프 인터뷰에서 다른 국가의 의약품이 저렴하게 미국에 들어오게끔 규제를 풀어 미국 내부에서도 의약품의 가격 경쟁 구도를 유도하겠다고 발표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롣다리🚦 avatar
롣다리🚦
12.05.202504:51
1. 더불어민주당 주요 공약 요약

정책 1: 경제 강국 실현

* 신산업 집중육성(AI, 콘텐츠, 방산, 첨단전략산업, R\&D)
* AI 예산 증액, 민간투자 확대, GPU·데이터센터 확보
* 문화산업 수출 50조 목표, K-방산 수출 전략 추진
* 국민펀드·세제혜택 통한 전략산업 투자
* 이행: 2025년 6월 이후 법안, 2025 추경 및 2026 예산 반영

정책 2: 민주주의 회복

* 계엄권 통제, 국민소환제, 군 인사청문회 도입
* 검찰개혁 완성, 재판제도 개선, 인권 제도 정비
* 방송·통신 독립성 강화 및 플랫폼 규제

정책 3: 가계·소상공인 지원

* 채무조정, 금융부담 완화, 소비촉진 정책
* 사회안전망 확대, 공정경제 강화
* 자영업·소상공인 지원 확대 및 규제 개선

정책 4: 실용 외교안보

* 무역·산업구조 대응, 한미동맹 기반 군사력 확보
* 북핵 단계 축소, 비핵화 및 평화체제 추진

정책 5: 안전 및 의료 개혁

* 범죄·재난 대응, 의료 붕괴 해소 및 공공의료 강화

정책 6: 국토균형발전

* 세종 행정수도, 5극 3특 추진, 지역전략산업 육성
* 자치분권 강화, 지역투자 촉진

정책 7: 노동권 보장

* 포괄임금제 금지, 단체교섭 활성화, 노동시간 감축
* 산재보험 확대, 여성 고용 평등 강화

정책 8: 생활안정 강화

* 아동수당 상향, 생활비 절감, 교통비 지원
* 청년·고령층·1인가구 복지 확대

정책 9: 저출생·고령화 대응

* 육아지원 확대, 장애인 돌봄, 노후소득 보장

정책 10: 기후위기 대응

* 재생에너지 확대, 산업 탈탄소화, 전기차 보급
* 농업 탄소 저감, 플라스틱 감축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