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0.02.202522:1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21 2025)

● Daily News Clipping


▶ 미국에서 반도체 팹을 구축하는데 대만 대비 두 배의 비용과 시간이 소요 (Trendforce) < https://vo.la/JewafU >

▶ 엔비디아, 파운드리로 출하 전 HBM 스택의 전면 테스트를 요구하는 정책 업데이트 발표 (Trendforce) < https://vo.la/UzDNgx >

▶ DeepSeek R1 출시 이후 중국 내 엔비디아 H 시리즈 GPU 수요 급증 (Digitimes) < https://vo.la/bRirYz >

▶ DeepSeek의 등장으로 윈본드의 커스텀 AI 메모리에 대한 수요 증가 (Digitimes) < https://vo.la/uSfIry >

▶ 램리서치, 신소재 적용한 증착장비 최초 상용화… “마이크론 등에 공급” (조선비즈) < https://vo.la/vygQJW >

▶ AI 국가대표 뽑는다…"월드베스트 LLM 개발" (머니투데이) < https://vo.la/bSuyyG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TSMC 1월 매출: 293,288NTD mn
(+5.4%MoM, +35.9%YoY)
09.02.202522:1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10 2025)

● Daily News Clipping


▶ TSMC, 승인된 OSAT으로 패키징되지 않는 한 중국 IC 기업에 14/16nm 칩 출하 중단 (Trendforce) < https://vo.la/sMuZAm >

▶ 미디어텍 CEO, AI ASIC 칩 부문 매출이 2026년부터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 (Digitimes) < https://vo.la/QAJdRt >

▶ 인텔 구조조정 지속. 2년간 23,000개의 일자리 감축 진행 (Trendforce) < https://vo.la/WARuJB >

▶ 디램 재고 문제가 지속되며 대만 메모리 업체들은 1월 부진에 직면 (Digitimes) < https://vo.la/rgOrNd >

▶ OpenAI의 알트먼, 유럽을 대상으로 한 스타게이트와 유사한 프로그램 구상 (Reuters) < https://vo.la/WsrzGF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6.02.202522:04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퀄컴(QCOM US): 잠재된 다운사이드를 고려할 수밖에


● 실적은 가이던스 상단과 컨센서스를 상회
- F1Q25 실적은 매출액 116.7억달러(13.9% QoQ, 17.5% YoY), EPS 3.41달러(26.8% QoQ, 24.0% YoY)로 EPS 컨센서스 2.97달러를 15% 상회
- 매출과 EPS 모두 기 제시한 가이던스 상단 수준. 칩셋 부문(QCT) 매출액은 101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
- 이 중 핸드셋 매출은 76억달러로 전분기대비 24.2%, 전년동기대비 13.3% 성장. 다음 분기 가이던스는 매출액 102억달러~110억달러, EPS 2.70달러~2.90달러를 제시

● 계절성 요인 제거하면 실적 내용은 복붙
- 1분기는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을 출시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동사의 분기 실적이 높아짐
- 스마트폰 칩셋에 AI 등 추가되는 기능이 증가하면서 ASP가 상승하고, 삼성전자 내 점유율이 확대돼 출하량이 증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요소
- 그러나 이는 플래그십 출시 분기가 지난 뒤의 매출 감소를 상쇄할 만큼은 아님
- 결국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라는 계절성을 제외하면 추가적인 업사이드는 제한적일 것
- 중국 내 하이엔드 스마트폰 수요 확대 트렌드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며, 동사 실적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언급
- 다만 중국 정부의 보조금 정책 효과는 아직 초기이기 때문에 다음 분기에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 PC용 SoC 관련 2029년까지 윈도우PC 매출 40억달러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만, 24년 실적이나 25년 가이던스는 미제공
- 이 역시 동사 실적의 업사이드를 계산하거나 기대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일 것

● 성수기를 지나 다시 비수기 진입 예정
- 동사의 주력 사업은 스마트폰향 SoC판매이고, 신성장동력은 PC 및 오토모티브향 SoC 판매
- 그러나 스마트폰과 PC는 이미 성숙한 시장이며, 오토모티브는 시장 TAM 확장이 단기적으로 정체된 상태
- 아직까지는 스마트폰 계절성에 따른 분기별 실적의 증감만 있을 뿐, 신성장동력의 실적 기여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추정
- 스마트폰 계절적 비수기를 앞둔 상태에서 동사 주가의 상승 여력은 제한적일 것. 보수적 접근 추천


리포트: https://vo.la/ElqoFr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5.02.202507:4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AMD(AMD US): 애매합니다

● 4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 매출액 76.6억달러(12.3% QoQ, 24.2% YoY), EPS 1.09 달러(18.5% QoQ, 41.6% YoY)로 EPS는 컨센서스 1.09달러에 부합
- 매출총이익률은 3분기와 유사한 54.1%로 역시 컨센서스에 부합
- 데이터센터 매출은 38.6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9.1% 증가했지만, 컨센서스 41억달러에는 미치지 못했음
- 3분기 122%의 YoY 성장률과 비교해 성장률 기울기도 낮아진 모습. 25년 1분기 가이던스는 중간값 기준 매출액 71억달러와 매출총이익률 54.0% 제시

● 50억달러에서는 더 못 올라간 AI 매출
- 3분기 실적발표 당시 24년 연간 AI 매출액이 50억달러를 ‘초과’할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최종 50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 24년 AI 매출 관련, 연초 20억달러에서 7월 45억달러로, 10월에는 50억 달러 초과로 지속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으나 추가 상향이 없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시장 기대치를 하회한 것
- 고객사들이 AI 투자에 집중함에 따라 데이터센터 CPU 시장은 제한적으로 성장
- 동사의 데이터센터 CPU 점유율은 20년~21년 사이 크게 증가한 후 24% 수준에서 점유율 확장이 정체되고 있음
- AI 가속기 시장에서 GPU 매출을 늘려가며 엔비디아와 강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것이 실적과 주가 측면에서의 상승 요건인데, 이런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음
- AI 가속기 매출은 25년에도 성장할 것이라고 언급했으나, 상반기보다는 MI350 시리즈가 본격 양산되는 25년 하반기 성장이 더 클 것이라고 밝힘

● 애매한 포지션, 보수적인 시각 유지
- 데이터센터 매출 비중이 전체의 50%로 증가했지만, 이는 데이터센터 부문의 성장에만 기인한다기보다는 PC와 임베디드, 게이밍 등 다른 부문의 매출이 줄어든 영향
-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로 시장 환경이 좋지 않고, AI 가속기 매출은 하반기까지 기다려야 할 것
- 단기적으로는 호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시점. AMD에 대해 보수적인 시각을 유지


본문: https://vo.la/vjIzUZ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4.02.202522:1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5 2025)

● Daily News Clipping


▶ AMD, 매출 및 순이익 예상치 상회. 다만,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예상치 하회 (CNBC) < https://vo.la/rPFWTu >

▶ 최태원·샘 올트먼, 전방위 AI 협력 논의…회동 소감은 “원더풀” (전자신문) < https://vo.la/FgnHbk >

▶ 삼성-소뱅-오픈AI '스타게이트' 논의 촉각…SK 등 재계에 전방위 협력 요청 (전자신문) < https://vo.la/ksfQKD >

▶ 딥시크가 증명한 ‘가성비 AI’…글로벌 업계 판도 바꿀까 (Techworld) < https://vo.la/fRTyFV >

▶ 로봇·양자컴 … 신사업 구상 밝힌 오픈AI (매일경제) < https://vo.la/YSDDLS >

▶ Arm, 처음으로 칩렛 시스템 아키텍처 공개 사양 발표 (디일렉) < https://vo.la/UQNvja >

▶ 애플, 스마트폰 출하량 삼성 또 제쳐…2년 연속 세계 1위 (뉴시스) < https://vo.la/oddBnQ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6.02.202522:51
[한투증권 채민숙/이동연/박상현/정호윤] IT/Tech In-depth: DeepSeek에 대한 Deep한 고찰

● DeepSeek 연구는 AI의 발전을 촉진
- DeepSeek 모델의 출시는 제2의 ChatGPT 순간이라고 감히 명명할 수 있을 것
- 최초 공개 당시의 우려와 달리, 우리는 DeepSeek의 연구가 AI 발전 가속화와 서비스 확장,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AI 모델 자체보다는 이를 활용하는 영역으로 무게추가 이동하면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플랫폼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될 것
- API 가격의 하락으로 더 많은 사용자가 AI 생태계에 유입되고 서비스가 확장돼 AI 인프라를 제공하는 빅테크 기업들에게 지속 수혜가 이어질 것

● AI 모델의 민주화
- 가장 주목할 점은 DeepSeek가 기존 AI 모델 중 선두에 있는 ChatGPT에 필적할만한 강력한 모델을 저렴한 비용으로, 그리고 오픈소스로 제공했다는 것
- 이는 AI 모델을 중심으로 형성되어온 기술 주도권이 ‘모델 활용 기술’로 급격히 이동할 것임을 시사
- 모델 자체의 독점적 우위보다는 데이터와 하드웨어 인프라 등 후방 생태계 전반을 구축하는 것이 미래 경쟁력의 관건이 될 것
-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AI 모델의 민주화가 가속화될수록 하드웨어, 클라우드, 데이터 마켓 등 후방 산업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 하드웨어 사용량은 오히려 증가
- DeepSeek 모델의 학습 비용이 빅테크들의 1/1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하드웨어 인프라 투자 축소가 불거졌음
- 그러나 우리는 AI가 스스로 사고하는 Agentic AI로 발전함에 따라 추론의 연산량이 늘어나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수요는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전망
- AI가 AGI(일반인공지능)으로 발전해 가면서 음성, 이미지, 사진 등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DeepSeek의 연구는 폭증하는 데이터에 비해 아직도 제한적인 하드웨어 리소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해 필요한 곳에 할당할 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 것
- 하드웨어의 연비를 개선하면 주행 거리는 오히려 늘어남. AI의 적용 영역이 크게 확장되면서 AI 하드웨어의 중요도는 지속 상승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

본문: https://vo.la/SmwNGu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10.02.202523:16
[한투증권 박상현/채민숙/홍예림/황준태]
IT H/W – 2월 대만 IT: 업종별 차별화

● AI 서버 수요는 여전히 견조
- 대만 기업의 1월 매출액 실적에서도 IT 노출도가 큰 기업보다 AI/데이터센터 관련 기업의 성장이 돋보임
- Aspeed, Wywinn 등 AI 서버 기업의 1월 매출액은 각각 93.4%, 99.6% YoY 성장하는 좋은 흐름을 이어감
- Foxconn의 1월 매출액은 3.2% YoY 성장하며 외형적으로는 둔화된 모습이나, AI 서버 수요만큼은 여전히 강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고 기업은 설명
- Elite Material과 Union Tech의 1월 매출액은 각각 55.8%, 35.0% YoY 성장. GPU와 고대역폭 스위치 수요 확대에 따른 M7, M8 등 고부가가치 CCL 매출 비중 증가가 주요 원인일 것
- Kinsus 1월 매출액은 10.5% YoY 증가로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이 감소했고, Unimicron은 2.9% YoY 증가에 그침. 그러나 매출액이 매달 평균 두자릿수의 YoY 성장했던 작년에도 1월 매출액만큼은 부진했었던만큼 이번 실적만으로 FC-BGA 수요 둔화를 논하기는 시기상조

● 반도체: 계절성을 극복한 AI서버 매출
- 대만 주요 ODM 4개사의 1월 합산 매출액은 3,345억대만달러(+34.7% YoY, -12.1% MoM). PC의 계절적 비수기를 감안하면 호실적으로 판단. 21년 팬데믹으로 인한 PC 수요 증가로 매출이 성장한 이후 최대 성장률
-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AI 서버 매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Quanta는 PC 비수기에도 MoM, YoY 모두 매출이 성장한 반면, PC 위주의 매출 구조를 유지한 Compal은 11월 이후 MoM, YoY 매출이 감소
- 서버 밸류체인으로 분류되는 Aspeed와 Wiwynn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93.4%, 99.6% 매출이 성장했지만 전월대비로는 각각 4.9%, 12.3% 감소해 계절적 요인을 완전히 피하지는 못함
- 다만 2025년에는 주요 CSP 기업 및 서버 OEM 내에서도 AI 서버 비중이 확대되면서 서버 밸류체인의 높은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은 지속될 것

● 전기전자: 천차만별
- 스마트폰, PC 등 전통적인 IT 응용처의 노출이 큰 기업보다 AI 데이터센터 관련 기업이 돋보임. 다만, AI 데이터센터 관련 기업 중에서도 업종별 매출 실적 흐름은 상이
- Kinsus의 월매출액은 10.5% YoY 성장했지만 지난 달과 비교해서는 13.2% 감소. Unimicron은 MoM, YoY 모두 성장하는 흐름을 보여줬지만 그 수준은 각각 1.9%, 2.9%에 불과
- Elite Material과 Union Tech의 1월 매출액은 각각 55.8%, 35.0% YoY 성장. M7, M8 등 고부가가치 CCL의 견조한 수요 덕분으로 해석
- MLCC 업종에는 큰 변화 없는 온전한 매출액이 지속 시현되는 중. Yageo의 1월 매출액은 2.3% YoY 성장, Walsin은 -2.7% YoY 역성장
- 애플 벨류체인에서는 카메라 렌즈 공급사 Largan과 GSEO의 1월 매출액은 각각 10.8%, 4.6% YoY 늘었지만, PCB 공급사인 Compeq manufacturing, Career technology 등은 8.7%, 36.6% YoY 감소


본문: https://alie.kr/AEzeWCS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07.02.202522:5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AMD 4Q24 실적 요약


▶ 4Q24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76.6억달러 (+12.3% QoQ / +24.2% YoY)
[vs. 컨센서스 75.4억달러]

※ GPM: 54.1% (+0.1%p QoQ / +3.1%p YoY)
[vs. 컨센서스 54.0%]

※ 영업이익: 20.3억달러 (+18.1% QoQ / +43.5% YoY)
[vs. 컨센서스 20.2억달러], OPM 26.5%

※ EPS: 1.09달러 (+18.5% QoQ / +41.6% YoY)
[vs. 컨센서스 1.09달러]


▶ 부문별 매출
※ Data Center: 38.6억달러 (+8.7% QoQ / +69.1% YoY)
[vs. 컨센서스 41.0억달러]

※ Client: 23.1억달러 (+23.0% QoQ / +58.3% YoY)
[vs. 컨센서스 19.9억달러]

※ Gaming: 5.6억달러 (+21.9% QoQ / -58.8% YoY)
[vs. 컨센서스 4.9억달러]

※ Embedded: 9.2억달러 (-0.4% QoQ / -12.7% YoY)
[vs. 컨센서스 9.6억달러]


▶ 1Q25 가이던스
※ 매출액: 71억달러±3억달러 (vs. 컨센서스 70.4억달러)
※ GPM: 54% (vs. 컨센서스 54.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6.02.202521: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7 2025)

● Daily News Clipping


▶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전자신문) < https://vo.la/zDEifm >

▶ 'HBM 검사 속도 5배 UP' SK하이닉스, 코비스와 신장비 적용 (전자신문) < https://vo.la/OJyLfN >

▶ 인텔과 AMD가 신규 노트북 프로세서 공개. 성능을 위한 실제 테스트는 2월 중순~하순에 미디어를 통해 리뷰될 것이며, 더 우수한 성능과 전력효율을 제공하는 기업이 노트북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 (Trendforce) < https://vo.la/iEoJfc >

▶ 애플, 1월부터 M5 양산 시작. TSMC N3P 공정을 활용. 패키징은 대만의 ASE, 미국의 Amkor, 중국의 JCET가 담당 (Trendforce) < https://vo.la/ynOwNz >

▶ 구글, 中 딥시크 겨냥 초경량 AI모델 공개했다 (파이낸셜뉴스) < https://vo.la/jbFOuc >

▶ 구글 "5년 내 양자컴퓨팅 앱 내놓을 것" (디지털타임스) < https://vo.la/AYvCLo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5.02.202503:23
원문은 아래 참고 부탁 드립니다.

Q - Vivek Arya

Thank you, Lisa. And for my follow-up, I would love your perspective on the news from DeepSeek recently, right? And there are kind of two parts to that. One is, once you heard the news, do you think that should make us more confident or more conservative about the semiconductor opportunity going forward? Like is there something so disruptive in what they have done that reduces the overall market opportunity?

And then within that, have your views about GPU versus ASIC? How that share develops over the next few years? Have those evolved in any way at all? Thank you.

A - Lisa Su

Yeah, great. Thanks for the question, Vivek. Yeah, I think it’s been a pretty exciting first few weeks of the year. I think the DeepSeek announcements, Allen Institute, as well as some of the Stargate announcements, talk about just how much the rate and pace of innovation is happening in the AI world.

So specifically relative to DeepSeek, look, we think that innovation on the models and the algorithms is good for AI adoption. The fact that there are new ways to bring about training and inference capabilities with less infrastructure actually is a good thing because it allows us to continue to deploy AI compute in a broader application space and drive more adoption.

I think from our standpoint, we also very much like the fact that we’re big believers in open source. And from that standpoint, having open source models and looking at the rate and pace of adoption there is pretty amazing. That is how we expect things to go.

So to the overall question of how we should feel about it? I mean, we feel bullish about the overall cycle. Similarly, some of the infrastructure investments that were announced with OpenAI and Stargate, and the efforts to build massive infrastructure for next-generation AI, all indicate that AI is certainly on the very steep part of the curve. As a result, we should expect a lot more innovation.

And then on the ASIC point, let me address that because I think that is also a place where there’s a good amount of discussion. I have always been a believer that you need the right compute for the right workload. With AI, given the diversity of workloads—large models, media models, small models, training, inference—whether you’re talking about broad foundational models or very specific models, you’re going to need all types of compute. That includes CPUs, GPUs, ASICs, and FPGAs.

Relative to our $500 billion-plus TAM in the long term, we’ve always considered ASICs as a part of that market. But my belief is that, given how much change is still happening in AI algorithms, ASICs will remain a smaller part of that TAM because they are more workload-optimized for specific tasks. In contrast, GPUs will enable significant programmability and adjustments to all of these evolving algorithm changes.

When I look at the AMD portfolio, it really covers all of these areas—CPUs, GPUs—and we’re also involved in a number of ASIC conversations as well, as customers want a comprehensive compute partner.
04.02.202521:17
12.02.202521: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13 2025)

● Daily News Clipping


▶ TSMC 이사회, Capa 확장을 위한 179억달러 규모의 투자 승인 (Trendforce) < https://vo.la/cHfkgQ >

▶ 구글 CEO, DeepSeek가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평가. 구글이 AI 분야의 선두주자가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타 기업도 AI 분야에 진출할 것이라 언급 (Reuters) < https://vo.la/aNDasJ >

▶ 바이두, 올해 하반기 차세대 인공지능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언급 (Reuters) < https://vo.la/tUonbr >

▶ 中 CXMT, 연내 15나노 D램 개발 노린다…삼성·SK 추격 속도 (Zdnet) < https://vo.la/bteWvb >

▶ AMD, 프랑스 CEA와 차세대 AI 컴퓨팅 개발 협력 (Zdnet) < https://vo.la/IZsqMR >

▶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엔비디아 블랙웰 GPU 출하 지연으로 2025년 전망치 하향 조정. 2026년까지 400억달러 매출 목표 설정 (Digitimes) < https://vo.la/wYULMj >

▶ 켐트로닉스,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시동…“인수한 제이쓰리와 시너지 창출” (전자신문) < https://vo.la/VtuQIU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머스크를 포함한 투자자 그룹이 오픈AI를 974억에 인수하겠다고 제안 > 이는 소뱅이 오픈AI에 200억달러를 투자하며 형성된 밸류에이션 2,400억달러 대비 매우 할인된 수준 > 샘 알트만 거절 + 우리가 X를 97.4억달러에 인수하겠다는 코멘트 남김
07.02.202522:50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Qualcomm FY1Q25 실적 요약

▶ FY1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116.7억달러 (+13.9% QoQ / +17.5% YoY)
[vs. 컨센서스 109.3억달러]

※ EBT: 44.3억달러 (+26.8% QoQ / +23.5% YoY)
[vs. 컨센서스 39.0억달러]

※ EPS: 3.41달러 (+26.8% QoQ / +24.0% YoY)
[vs. 컨센서스 2.97달러]


▶ 사업부별 실적
※ QCT: 100.8억달러 (+16.2% QoQ / +19.7% YoY)
[vs. 컨센서스 93.4억달러]

- Handsets: 75.7억달러 (+24.2% QoQ / +13.3% YoY)
[vs. 컨센서스 70.1억달러]

- Automotive: 9.6억달러 (+6.9% QoQ / +60.7% YoY)
[vs. 컨센서스 9.0억달러]

- IoT: 15.5억달러 (-8.0% QoQ / +36.1% YoY)
[vs. 컨센서스 13.9억달러]

※ QTL: 15.4억달러 (+0.9% QoQ / +5.1% YoY)
[vs. 컨센서스 15.5억달러]


▶ FY2Q25 가이던스
※ 매출액: 102~110억달러 (vs. 컨센서스 103.5억달러)
- QCT: 89~95억달러 (vs. 컨센서스 89.2억달러)
- QTL: 12.5~14.5억달러 (vs. 컨센서스 14.0억달러)
※ EPS: 2.70~2.90달러 (vs. 컨센서스 2.69달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5.02.202522:31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5 2025)

● Daily News Clipping


▶ 퀄컴, 스마트폰 수요 강세에 힘입어 FY1Q25(CY4Q24) 분기 실적 매출 예상치 상회 (CNBC) < https://vo.la/AYuYWB >

▶ ARM 예상치를 상회하는 분기 매출 실적 기록. 다만, 연간 매출/EPS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 (Reuters) < https://vo.la/VWigtf >

▶ 딥시크가 AI 훈련 비용을 절감한 가운데, 데이터센터 상호 현결의 핵심 구성 요소인 광 트랜시버가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수혜를 입을 것 (Trendforce) < https://vo.la/jbPeua >

▶ 딥시크, 화웨이의 Ascend 910C가 엔비디아 H100의 추론 성능의 60%에 도달했다 언급 (Trendforce) < https://vo.la/QakDXA >

▶ DDR4 현물 가격은 CXMT의 대량 공급으로 인해 하락세. 소비자 수요 역시 약세인 상황. 낸드플래시의 경우, 공급업체의 감산 효과가 아직 시장에 반영되지 않고 있음 (Trendforce) < https://vo.la/NOVkqR >

▶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2024년 22%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예상. 이러한 성장은 데이터센터와 엣지 컴퓨팅에서 AI 어플리케이션이 빠르게 채택되며 첨단 노드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 (Digitimes) < https://vo.la/FNmqyI >

▶ 인피니언,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1Q25 전망 상향 조정. AI를 통해 도전 과제 해결 (Digitimes) < https://vo.la/xEMbWC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5.02.202503:10
https://www.digitimes.com.tw/tech/dt/n/shwnws.asp?CnlID=1&Cat=40&id=0000713495_SF431CR7LRNSOW4UQE7MG&wpidx=4

영문판으로는 찾을 수가 없어 원문으로 올립니다.

대만 디지타임스 보도인데요, 글로벌 정치, 경제 불안 속에서도 TSMC CoWoS capa 계획은 큰 수정 없다는 내용입니다.

최근 일부 생산 조정 소식이 있었으나, 이는 H200 및 블랙웰 믹스에 따른 CoWoS-S 및 CoWoS-L 사이의 일정 조정이며, 전체적인 생산 계획에는 변동 없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CoWoS capa는 24년 월 평균 35ksls 수준에서 25년 말 75~80ksls까지 증가하며 28년에는 월 평균 150ksls로 확장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 4Q24 실적 리뷰>
* 매출액: 1,083억원(-26.4% QoQ, 10.2% YoY / 컨센 1.4% 상회)
* 영업이익: -20억원(적자전환% QoQ, 적자전환% YoY / 컨센 하회)
* OPM: -1.8% (-37.2%p QoQ, -22%p YoY / 컨센 하회)
11.02.202523:41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6733?sid=104

한국에서 이런 스타트업들이 더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10.02.202521:56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Feb 11 2025)

● Daily News Clipping


▶ 총 20개의 글로벌 테크 기업이 공식적으로 DeepSeek 모델 서비스 지원을 발표. 20개 기업에는 엔비디아, AMD, 마이크로, AWS, 인텔 등이 포함 (Trendforce) < https://vo.la/mMylfk >

▶ 퀄컴과 미디어텍, 중국 이구환신 정책으로 인해 25년 초까지 시장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며 향후 몇 달 동안의 스마트폰 판매 실적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 (Digitimes) < https://vo.la/ZwhLOv >

▶ TSMC, 지진으로 인한 영향으로 다수 웨이퍼가 폐기되어 1Q25 매출이 가이던스 하단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 (Trendforce) < https://vo.la/PIKGDO >

▶ 바이두, 3세대 쿤룬 AI 칩 클러스터 출시하여 중국 최초로 자국 내에서 개발한 대규모 AI 컴퓨팅 구축 (Digitimes) < https://vo.la/TnfKLG >

▶ 올트먼 “AI 이용료, 매년 10배씩 줄어들 것… 곧 범용AI 나온다” (조선비즈) < https://vo.la/chruts >

▶ 글로벌 빅3, 올해도 AI로 간다…투자 규모만 2000억달러 이상 (Techworld) < https://vo.la/uNXzrW >

▶ 딥시크 R1, AI 모델 중 '탈옥' 위험 가장 높다 (Zdnet) < https://vo.la/LoSEx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07.02.202507:59
금일 AMD 실적발표 Q&A에서도 흥미로운 내용이 있었습니다.

물론 AI가속기를 GPU형태로 제공하는 AMD CEO(Lisa Su)의 답변이라는 점은 감안해야 할 것 같습니다.

Q. DeekSeek 발표 이후 반도체 시장 전망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보수적으로 보아야 하는지? DeepSeek이 발표한 내용이 시장의 전체적인 성장을 줄일만큼 파괴적인(disruptive)한 기술이라고 보시는지?
A. (전략)...DeepSeek 관련, 모델과 알고리즘 혁신이 AI 도입을 촉진하는 데 매우 긍정적이라고 판단. 더 적은 인프라로 AI 훈련과 추론을 구현하는 새로운 방식이 등장하는 것은 오히려 좋은 일. (중략)...전체적인 AI 시장 흐름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향후 몇 년 간 GPU와 ASIC의 점유율 전망은? 이에 대한 견해가 이전과 달라진 부분이 있는지?
A. 우리가 예상하는 28년까지 AI 가속기 시장(TAM) 5,000억 달러 규모 중 ASIC은 항상 일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ASIC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음. 그러나 AI 알고리즘이 지속 변화하는 상황에서 ASIC은 여전히 시장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음. ASIC은 특정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반면, GPU는 높은 프로그래머빌리티(Programmability)를 제공하며, AI 알고리즘이 변화할 때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
05.02.202521:22
04.02.202522:52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089030): 본업 회복 확인

● 4분기 실적 발표, 30% 이상 변동 공시
- 4분기 연결 잠정실적은 매출액 477억원(+2% QoQ, +16% YoY), 영업이익 42억원(-32% QoQ, +38% YoY)을 기록
- 재고자산 연말평가로 인한 4분기 재고자산평가충당금 설정으로 영업이익이 감소
- 2024년 연간 매출액은 1,855억원(+39% YoY), 영업이익 231억원(+631% YoY)을 기록
- 메모리 업황 회복에 메모리 핸들러향 매출액은 전년대비 31% 증가

● Cube Prober, 계획대로 진행 중
- 지난 1월 8일 고객사로부터 HBM 테스트 장비 Cube Prober에 대한 첫 PO를 수령했다고 밝혀
- 1분기 실적부터 Cube Probe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두번째 고객사와의 퀄 테스트는 다음주 진입 예정. 결과는 1달 내외로 소요될 것. 세번째 고객사와도 4월 퀄 테스트 진행 예정
- 3월에는 두번째 고객사, 5~6월에는 세번째 고객사까지 퀄 테스트를 마무리 짓고 PO를 받을 것으로 전망
- 2025년 연간 Cube Prober 판매대수는 135대로 기존 추정치를 유지

● 실적 성장은 지금부터. 긍정적인 의견 유지
- 당사는 Cube Prober가 2025년 메모리 3사에 모두 납품할 것으로 전망
- 적용제품으로 첫번째 고객사는 HBM3E 12단, 두번째와 세번째 고객사는 HBM4 제품으로 예상
- 상반기 실적에는 Cube Prober 납품 대수가 적지만,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전망
- 테크윙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유지

본문: https://vo.la/FSsyVp

★ 위 내용은 내부검수인의 결재가 완료된 것 입니다.
주성엔지니어링 24년 연간 실적입니다!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277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