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2.202503:31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21 중국 오전장: 알리바바의 귀환]
(12:30분 기준)
상해종합 +0.77% 과창50 +5.16%
홍콩H +3.03%, 항셍테크 +4.52%
===============
-알리바바가 향후 3년 클라우드와 AI 인프라투자에 지난 10년 투자액보다 더 많이 투자할 것이란 CEO 발언에 본토와 홍콩증시 급등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로 통신장비, 반도체, 서버 등 IT 인프라주 일제히 급등. 캠브리콘 +14%, 하이곤 +13.8%, 화홍반도체 +10%, SMIC +7%, 레노보 +9.7%. 반도체 급등에 과창50지수 +4.5% 상승
-알리바바 IDC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소프트업체들도 급등했고, 이틀 급등 후 장 초반 조정받았던 로봇주들도 재반등
-왕의 귀환답게 알리바바는 중국과 홍콩장에 새로운 동력 부여. 중국 기술주 재평가 흐름 지속
[2/21 중국 오전장: 알리바바의 귀환]
(12:30분 기준)
상해종합 +0.77% 과창50 +5.16%
홍콩H +3.03%, 항셍테크 +4.52%
===============
-알리바바가 향후 3년 클라우드와 AI 인프라투자에 지난 10년 투자액보다 더 많이 투자할 것이란 CEO 발언에 본토와 홍콩증시 급등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로 통신장비, 반도체, 서버 등 IT 인프라주 일제히 급등. 캠브리콘 +14%, 하이곤 +13.8%, 화홍반도체 +10%, SMIC +7%, 레노보 +9.7%. 반도체 급등에 과창50지수 +4.5% 상승
-알리바바 IDC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소프트업체들도 급등했고, 이틀 급등 후 장 초반 조정받았던 로봇주들도 재반등
-왕의 귀환답게 알리바바는 중국과 홍콩장에 새로운 동력 부여. 중국 기술주 재평가 흐름 지속


17.02.202522:50
[샤오미 두번째 모델: YU7]
주행거리 최대 820km, 96.3kwh(LFP)와 101.7kwh(MCN) 용량의 배터리 탑재.
상반기 중 출시 예정이나, 아직 구체 일정은 미공개
주행거리는 직전 모델 능가. 현지 반응은 이게 말이돼? 입니다.
주행거리 최대 820km, 96.3kwh(LFP)와 101.7kwh(MCN) 용량의 배터리 탑재.
상반기 중 출시 예정이나, 아직 구체 일정은 미공개
주행거리는 직전 모델 능가. 현지 반응은 이게 말이돼? 입니다.
16.02.202522:40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최설화의 Real China, 2025.2.17(월)
<중국판 M7은 누구일까?>
- 딥시크가 중국 매크로에 준 변화: 1) AI 응용 확산, 2) 청년들의 자신감 회복, 3) 미중 협상 여력
- MSCI CHINA 추가 상승여력 존재 홍콩증시 밸류는 +1 표준편차까지 상승해 단기 과열에 경계
- 중국판 M7 선정 - 텐센트, 알리바바, 샤오미, 비야디, 메이퇀, SMIC, 레노보
(보고서) https://tinyurl.com/423a6byt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최설화의 Real China, 2025.2.17(월)
<중국판 M7은 누구일까?>
- 딥시크가 중국 매크로에 준 변화: 1) AI 응용 확산, 2) 청년들의 자신감 회복, 3) 미중 협상 여력
- MSCI CHINA 추가 상승여력 존재 홍콩증시 밸류는 +1 표준편차까지 상승해 단기 과열에 경계
- 중국판 M7 선정 - 텐센트, 알리바바, 샤오미, 비야디, 메이퇀, SMIC, 레노보
(보고서) https://tinyurl.com/423a6byt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4.02.202503:19
[애플, ‘25년 상반기에 중국에서 AI 탑재된 아이폰 출시 예정]
중국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2025년 상반기에 중국에서 AI가 탑재된 iPhone 출시 계획
市场消息:苹果计划在2025年中期将人工智能功能引入到中国的iPhone上。
중국 현지언론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2025년 상반기에 중국에서 AI가 탑재된 iPhone 출시 계획
市场消息:苹果计划在2025年中期将人工智能功能引入到中国的iPhone上。
12.02.202503:39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12 중국 오전장: 역V자 흐름]
(12:37분 기준)
상해종합 -0.01% 과창50 +0.08%
홍콩H +1.5%, 항셍테크 +1.1%
=========
-하루 만에 중국증시는 다시 상승 전환. 단 장 마감 직전 부분 차익 출회로 상승폭 축소
-딥시크 부상에 이어, 비야디가 초저가 ADAS 출시, 알리바바와 애플의 AI 협력, 화웨이와 상해자동차 협력, 이구환신 정책에 의한 SMIC의 1분기 양호한 매출 가이던스 등 호재 폭발
-어제 발표된 SMIC 4분기 실적은 예상 상회. 특히 GPM이 22%로 3분기대비 +2.2%p 개선. 회사는 올해 1분기 이구환신 정책에 힘입어 회사는 매출이 QoQ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
-알리바바(+6.8%), 비야디(+5.6%), 샤오미(+4.1%), SMIC(+4.6%) 등 중국의 IT 대표기업들이 일제히 급등하며 홍콩증시는 2%대 상승. 항셍테크지수는 최근 20일간 23% 폭등
-또한 AI 응용 확산 기대에 휴머노이드 로봇 대표기업인 유비텍(+3.0%), 리드 드라이브(+0.3%) 등도 재반등
-2월 중국은 주요 실물경제지표 발표가 없는데다, 미중 통상마찰도 예상보다 온건한 전개. 이에 시장은 매크로 우려보다 기술 부상에 따른 테마 투자에 더 집중. 양회 직전까지 이런 알파장세가 지속될 전망
[2/12 중국 오전장: 역V자 흐름]
(12:37분 기준)
상해종합 -0.01% 과창50 +0.08%
홍콩H +1.5%, 항셍테크 +1.1%
=========
-하루 만에 중국증시는 다시 상승 전환. 단 장 마감 직전 부분 차익 출회로 상승폭 축소
-딥시크 부상에 이어, 비야디가 초저가 ADAS 출시, 알리바바와 애플의 AI 협력, 화웨이와 상해자동차 협력, 이구환신 정책에 의한 SMIC의 1분기 양호한 매출 가이던스 등 호재 폭발
-어제 발표된 SMIC 4분기 실적은 예상 상회. 특히 GPM이 22%로 3분기대비 +2.2%p 개선. 회사는 올해 1분기 이구환신 정책에 힘입어 회사는 매출이 QoQ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
-알리바바(+6.8%), 비야디(+5.6%), 샤오미(+4.1%), SMIC(+4.6%) 등 중국의 IT 대표기업들이 일제히 급등하며 홍콩증시는 2%대 상승. 항셍테크지수는 최근 20일간 23% 폭등
-또한 AI 응용 확산 기대에 휴머노이드 로봇 대표기업인 유비텍(+3.0%), 리드 드라이브(+0.3%) 등도 재반등
-2월 중국은 주요 실물경제지표 발표가 없는데다, 미중 통상마찰도 예상보다 온건한 전개. 이에 시장은 매크로 우려보다 기술 부상에 따른 테마 투자에 더 집중. 양회 직전까지 이런 알파장세가 지속될 전망
10.02.202522:42
[BYD, God's Eye 시스템으로 자율주행 기술 '민주화' 목표]
BYD는 2월 10일 인텔리전스 전략 행사를 개최하고
"모두를 위한 지능형 운전" 이니셔티브를 소개
BYD는 차량 지능화 전략의 일환으로
God's Eye 기술 매트릭스를 개발하여
모든 모델에 스마트 주행 기능을 탑재
God's Eye C 버전은 7만 위안에서 20만 위안까지 가격대에 걸쳐
21개 차량 모델에 데뷔할 예정이며, 저렴한 Seagull도 포함
BYD 왕촨푸 회장은 '올해 자율주행의 원년'이고,
앞으로 2~3년 첨단 스마트 주행은 필수템이라고 강조
https://autonews.gasgoo.com/m/70035917.html
BYD는 2월 10일 인텔리전스 전략 행사를 개최하고
"모두를 위한 지능형 운전" 이니셔티브를 소개
BYD는 차량 지능화 전략의 일환으로
God's Eye 기술 매트릭스를 개발하여
모든 모델에 스마트 주행 기능을 탑재
God's Eye C 버전은 7만 위안에서 20만 위안까지 가격대에 걸쳐
21개 차량 모델에 데뷔할 예정이며, 저렴한 Seagull도 포함
BYD 왕촨푸 회장은 '올해 자율주행의 원년'이고,
앞으로 2~3년 첨단 스마트 주행은 필수템이라고 강조
https://autonews.gasgoo.com/m/70035917.html


20.02.202512:33
[알리바바, 프리마켓 +9.42%]
오랫만에 알리바바가 실적 서프를 냈습니다.
특히 AI로 클라우드 사업의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했고, 이에 회사는 전분기대비 capex 80% 늘리기로 했습니다. 기타 빅테크의 AI 확대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
알리바바의 실적 요약:
- 매출: 2,801.5억 위안(예상치 2,773.7억 위안), 전년 대비 8% 증가
- 순이익: 464.34억 위안, 전년 대비 333% 증가. 이는 실적 회복 및 투자가치 상승 때문
- 영업이익: 412.05억 위안, 전년 대비 83% 증가. 무형자산 손상 차손 감소 및 조정 EBITA 증가 영향
- 조정 후 ADS당 순이익: 21.39위안, 전년 대비 13% 증가
- 자유 현금 흐름: 390.20억 위안, 전년 대비 31% 감소. 이는 주로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증가 영향
- 설비 투자: 318억 위안, 전 분기 대비 80% 급증
오랫만에 알리바바가 실적 서프를 냈습니다.
특히 AI로 클라우드 사업의 두자릿수 증가를 기록했고, 이에 회사는 전분기대비 capex 80% 늘리기로 했습니다. 기타 빅테크의 AI 확대가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
알리바바의 실적 요약:
- 매출: 2,801.5억 위안(예상치 2,773.7억 위안), 전년 대비 8% 증가
- 순이익: 464.34억 위안, 전년 대비 333% 증가. 이는 실적 회복 및 투자가치 상승 때문
- 영업이익: 412.05억 위안, 전년 대비 83% 증가. 무형자산 손상 차손 감소 및 조정 EBITA 증가 영향
- 조정 후 ADS당 순이익: 21.39위안, 전년 대비 13% 증가
- 자유 현금 흐름: 390.20억 위안, 전년 대비 31% 감소. 이는 주로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증가 영향
- 설비 투자: 318억 위안, 전 분기 대비 80% 급증
17.02.202506:47
[시진핑 주석 주재 민영기업 간담회 참석 기업]
-CATL, 알리바바, 유니트리(로봇), 화웨이, 비야디, 윌세미, 샤오미, 텐센트, 치안신(네트워크보안)
- 바이두 수장 참석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BAT 중 유일하게 금일 7% 넘게 급락
-CATL, 알리바바, 유니트리(로봇), 화웨이, 비야디, 윌세미, 샤오미, 텐센트, 치안신(네트워크보안)
- 바이두 수장 참석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BAT 중 유일하게 금일 7% 넘게 급락
16.02.202521:56
다만 로이터는 앞서 2022년에도 미 국무부가 대만 독립과 관련한 문구를 삭제했다가 한 달 뒤 되살린 바 있다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4924?sid=104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4924?sid=104
14.02.202501:31
[중국 휴대폰, 6000위안 이상 보조금]
-중국의 양판점 쑤닝에서 6,000위안 (120만원)이상의 고가 제품에 250-1000위안(5-20만원) 보조금을 주기로 결정
-이구환신처럼 중앙정부 정책이 아닌, 기업 정책인만큼 효과는 약할 것이나, 고가폰 재고 소진에 유리
쑤닝 할인 웹페이지:
https://cuxiao.m.suning.com/scms/shoujiguobu.html?utm_source=yd-xlwb&utm_medium=kol-zy5&utm_campaign=&native_From_iOS_HomePage=1&adTypeCode=1002&adId=
-중국의 양판점 쑤닝에서 6,000위안 (120만원)이상의 고가 제품에 250-1000위안(5-20만원) 보조금을 주기로 결정
-이구환신처럼 중앙정부 정책이 아닌, 기업 정책인만큼 효과는 약할 것이나, 고가폰 재고 소진에 유리
쑤닝 할인 웹페이지:
https://cuxiao.m.suning.com/scms/shoujiguobu.html?utm_source=yd-xlwb&utm_medium=kol-zy5&utm_campaign=&native_From_iOS_HomePage=1&adTypeCode=1002&adId=


12.02.202502:22
(위) 알리바바 주봉, 직전 고점 근접
알리바바와 애플의 AI분야 협력 소식에 알리바바 주가가 7.1% 급등 중
LLM 모델 Qwen2.5 출시 및 클라우드 매출 성장 기대, 애플과의 협력 등 다양한 호재들이 응집되며 주봉 기준으로 직전 고점을 돌파하기 직전입니다.
알리바바와 애플의 AI분야 협력 소식에 알리바바 주가가 7.1% 급등 중
LLM 모델 Qwen2.5 출시 및 클라우드 매출 성장 기대, 애플과의 협력 등 다양한 호재들이 응집되며 주봉 기준으로 직전 고점을 돌파하기 직전입니다.
10.02.202522:41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2.11(화)
- 미중 2차 통상마찰: 중국의 전술적 대응 변화로 아직은 통제 가능 수준
- 딥시크의 부상: 중국 국산 AI 생태계 가속화의 촉매제
- 미중 기술격차 축소 기대 → 미중 기술주 Gap 축소의 계기, 현시점 S/W > H/W
https://tinyurl.com/y7c7b23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미중 2차 통상마찰: 중국의 전술적 대응 변화로 아직은 통제 가능 수준
- 딥시크의 부상: 중국 국산 AI 생태계 가속화의 촉매제
- 미중 기술격차 축소 기대 → 미중 기술주 Gap 축소의 계기, 현시점 S/W > H/W
https://tinyurl.com/y7c7b23z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9.02.202504:40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19 중국 오전장: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기대]
상해종합 +0.54% 과창50 +1.46%
홍콩H -0.22%, 항셍테크 +0.37%
=========
-본토와 홍콩 차별화 양상 지속. 전일 홍콩이 강했으나, 오늘은 본토증시가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가 급등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견인. 이에 홍콩도 장중 낙폭 축소
-유니트리 회장인 왕싱싱이 올해 연말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이 전년대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양상 기대감 부각
-또한 앤트그룹에서도 최근 체내화된 AI(Embodied AI) 로봇 채용 공지를 내면서 앤트그룹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참여할 것이란 현지 언론 보도 존재
-따라서 금일 중국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주 급등. 본토의 주요 부품주들은 일제히 상한가에 근접할 수준으로 급등했고, 이 열기가 홍콩에 전달되며 UB tech +12.7%, Robosense +12.1%, 샤오펑 +5.4% 상승
-한편 파운더리 기업인 화홍반도체(+17.7%)이 급등. 계열사인 선단 로직 반도체를 생산하는 HLMC가 화홍반도체에 자산 편입이 되기 때문
-중국증시는 최근 급등에 따른 가격 조정을 받으면서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지만,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등 테마들이 부각되면서 추세적 상승을 견인하는 중. 3월 양회 직전까지 경제지표 부재, 대외 불확실성 요인도 제한적이어서 테마별 로테이션 지속될 전망
[2/19 중국 오전장: 휴머노이드 로봇 양산 기대]
상해종합 +0.54% 과창50 +1.46%
홍콩H -0.22%, 항셍테크 +0.37%
=========
-본토와 홍콩 차별화 양상 지속. 전일 홍콩이 강했으나, 오늘은 본토증시가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가 급등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견인. 이에 홍콩도 장중 낙폭 축소
-유니트리 회장인 왕싱싱이 올해 연말 중국 내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이 전년대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양상 기대감 부각
-또한 앤트그룹에서도 최근 체내화된 AI(Embodied AI) 로봇 채용 공지를 내면서 앤트그룹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참여할 것이란 현지 언론 보도 존재
-따라서 금일 중국장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주 급등. 본토의 주요 부품주들은 일제히 상한가에 근접할 수준으로 급등했고, 이 열기가 홍콩에 전달되며 UB tech +12.7%, Robosense +12.1%, 샤오펑 +5.4% 상승
-한편 파운더리 기업인 화홍반도체(+17.7%)이 급등. 계열사인 선단 로직 반도체를 생산하는 HLMC가 화홍반도체에 자산 편입이 되기 때문
-중국증시는 최근 급등에 따른 가격 조정을 받으면서 변동성을 확대하고 있지만, 자율주행, 휴머노이드 등 테마들이 부각되면서 추세적 상승을 견인하는 중. 3월 양회 직전까지 경제지표 부재, 대외 불확실성 요인도 제한적이어서 테마별 로테이션 지속될 전망
17.02.202504:18
[2/17 중국 오전장: SW에서 HW로]
상해종합 +0.06% 과창50 +1.04%
홍콩H +0.06%, 항셍테크 -0.11%
=========
-본토와 홍콩증시는 차별화 흐름. 최근 조정 받았던 H/W 업종이 반등하며 과창50 상승을 주도.
-다만 홍콩은 최근 급등에 밸류에이션이 지난 5년간 +1 표준편차까지 오른데다, 박스권 상단 돌파를 앞두고 투자자 손바뀜이 나오며 변동성 확대, 플러스로 오전장 마감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재하는 민영기업 좌담회 진행. 세부 내용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 생산성 향상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
-최근 중국 금융시장 내 유의미한 변화는 채권 금리의 상승. 딥시크발 AI 응용 확대, 기술 혁신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로 10년물 국채금리가 7일째 상승 추세. 그동안 한방향으로의 하락세가 멈추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이 고무적
-Wechat에 딥시크 탑재 소식에 텐센트 주가가 장중 7% 이상 올랐다가 4.3% 상승으로 마감. 또한 빅테크 컴퓨팅 투자 확대 기대와 함께 화홍반도체(+5.5%), SMIC(+3.3%) 상승. 반면 바이두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대비 특별한 모멘텀 부재하며 금일 주가 7% 하락
-본토 장에서도 컴퓨팅 인프라와 관련된 칩, 파운더리, PCB, CPO 등 HW 대장주 일제히 반등했고, 휴머노이드 로봇주들도 최근 조정 후 상승. 반면 금가격 하락에 귀금속(-3.6%) 약세였고, 자동차(-1.2%), 가전(-0.6%)도 동반 하락
-기술주를 둘러싼 Risk on 지속. 금일 시진핑 주석의 민영기업 간담회 내용에 따라 홍콩 증시 박스권 돌파 여부 결정될 전망
상해종합 +0.06% 과창50 +1.04%
홍콩H +0.06%, 항셍테크 -0.11%
=========
-본토와 홍콩증시는 차별화 흐름. 최근 조정 받았던 H/W 업종이 반등하며 과창50 상승을 주도.
-다만 홍콩은 최근 급등에 밸류에이션이 지난 5년간 +1 표준편차까지 오른데다, 박스권 상단 돌파를 앞두고 투자자 손바뀜이 나오며 변동성 확대, 플러스로 오전장 마감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재하는 민영기업 좌담회 진행. 세부 내용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 생산성 향상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
-최근 중국 금융시장 내 유의미한 변화는 채권 금리의 상승. 딥시크발 AI 응용 확대, 기술 혁신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로 10년물 국채금리가 7일째 상승 추세. 그동안 한방향으로의 하락세가 멈추었다는 점에서 주식시장이 고무적
-Wechat에 딥시크 탑재 소식에 텐센트 주가가 장중 7% 이상 올랐다가 4.3% 상승으로 마감. 또한 빅테크 컴퓨팅 투자 확대 기대와 함께 화홍반도체(+5.5%), SMIC(+3.3%) 상승. 반면 바이두는 알리바바와 텐센트 대비 특별한 모멘텀 부재하며 금일 주가 7% 하락
-본토 장에서도 컴퓨팅 인프라와 관련된 칩, 파운더리, PCB, CPO 등 HW 대장주 일제히 반등했고, 휴머노이드 로봇주들도 최근 조정 후 상승. 반면 금가격 하락에 귀금속(-3.6%) 약세였고, 자동차(-1.2%), 가전(-0.6%)도 동반 하락
-기술주를 둘러싼 Risk on 지속. 금일 시진핑 주석의 민영기업 간담회 내용에 따라 홍콩 증시 박스권 돌파 여부 결정될 전망


14.02.202512:16
[중국 빅테크 살리기?]
다음주 월요일에 중국은 민영기업 투자 격려를 위한 심포지엄이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오랫동안 대중 앞에 나타나지 않았던 마윈이 참석하고, 텐센트의 마화텅과 화웨이 임원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다른 기사에는 딥시크 회장도 참석하는걸로 보도되었습니다.
마윈 때리기로 21년 2월부터 하락한 중국 빅테크, 재개도 여기서부터 시작되나는 기대를 안겨줍니다.
오늘 막판 항셍테크는 5% 이상 급등으로 마감한 이유입니다.
로이터 기사 원문: Xi to chair symposium attended by Jack Ma and other Chinese business leaders, sources say - https://www.reuters.com/world/china/xi-chair-symposium-attended-by-jack-ma-other-chinese-business-leaders-sources-2025-02-14/
다음주 월요일에 중국은 민영기업 투자 격려를 위한 심포지엄이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소식통이 전했습니다.
오랫동안 대중 앞에 나타나지 않았던 마윈이 참석하고, 텐센트의 마화텅과 화웨이 임원도 참석할 예정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다른 기사에는 딥시크 회장도 참석하는걸로 보도되었습니다.
마윈 때리기로 21년 2월부터 하락한 중국 빅테크, 재개도 여기서부터 시작되나는 기대를 안겨줍니다.
오늘 막판 항셍테크는 5% 이상 급등으로 마감한 이유입니다.
로이터 기사 원문: Xi to chair symposium attended by Jack Ma and other Chinese business leaders, sources say - https://www.reuters.com/world/china/xi-chair-symposium-attended-by-jack-ma-other-chinese-business-leaders-sources-2025-02-14/


12.02.202507:16
(위) 오늘 막판 부동산 강세 이유
중국정부, 68억달러 펀드로 부동산 디벨로퍼 방케(Vanke) 부채 상환할 것이란 블룸버그 기사
결국 정부가 부동산 막아줄 것이란 믿음에 장 막판 중국 부동산주 일제히 급등
중국정부, 68억달러 펀드로 부동산 디벨로퍼 방케(Vanke) 부채 상환할 것이란 블룸버그 기사
결국 정부가 부동산 막아줄 것이란 믿음에 장 막판 중국 부동산주 일제히 급등
12.02.202502:18
[1월 중국 스마트폰 활성화량 랭킹]
현지 언론에서 연구기관 통계를 인용하여 1월 중국 내 스마트폰 활성화량(Activation Volume)을 정리했습니다.
로컬 브랜드가 탑3를 휩쓸었습니다.
1) 화웨이: 634.81만 대(시장 점유율 19.3%)
2) 샤오미: 570.53만 대(시장 점유율 17.34%)
3) Vivo: 548.17만 대(시장 점유율 16.66%)
4위는 OPPO, 5위는 애플
특히 샤오미는 전년 대비 42.49% 성장하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애플은 이례적인 마이너스 성장 기록
기사 원문: http://finance.sina.com.cn/focus/app/7x24_share.shtml?id=4025365
현지 언론에서 연구기관 통계를 인용하여 1월 중국 내 스마트폰 활성화량(Activation Volume)을 정리했습니다.
로컬 브랜드가 탑3를 휩쓸었습니다.
1) 화웨이: 634.81만 대(시장 점유율 19.3%)
2) 샤오미: 570.53만 대(시장 점유율 17.34%)
3) Vivo: 548.17만 대(시장 점유율 16.66%)
4위는 OPPO, 5위는 애플
특히 샤오미는 전년 대비 42.49% 성장하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애플은 이례적인 마이너스 성장 기록
기사 원문: http://finance.sina.com.cn/focus/app/7x24_share.shtml?id=4025365
10.02.202503:42
[가전+휴대폰: 이구환신 매출 견인]
-중국 발전개혁위원회(NDRC) 발표에 따르면, 춘절 연휴기간(1/28-2/4) 이구환신 매출액 총 310억 위안
-품목 판매량은 가전(+166% YoY), 휴대폰(+182% YoY)
- 특히 휴대폰의 판매량은 전체의 45% 차지할 정도로 인기. 휴대폰+가전의 총 판매액은 전체 매출의 70% 차지
기사 원문(중): https://wallstreetcn.com/livenews/2860466?ivk=1#from=ios
-중국 발전개혁위원회(NDRC) 발표에 따르면, 춘절 연휴기간(1/28-2/4) 이구환신 매출액 총 310억 위안
-품목 판매량은 가전(+166% YoY), 휴대폰(+182% YoY)
- 특히 휴대폰의 판매량은 전체의 45% 차지할 정도로 인기. 휴대폰+가전의 총 판매액은 전체 매출의 70% 차지
기사 원문(중): https://wallstreetcn.com/livenews/2860466?ivk=1#from=ios
19.02.202501:46
【유니트리 회장, ‘25년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출하량 작년대비 크게 늘어날 것】
-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벤처기업인 유니트리(unitree)의 회장인 왕싱싱이 어제 인터뷰에서
- ”올해 말쯤 되면 중국의 휴머노이드 출하량이 작년 대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밝히면서, 최근 AI 구동에 의한 기술 진보가 본인 예상을 초월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왕싱싱은 90년생이고, 최근 시진핑 국가주석 주최 간담회에 참석했죠.
- 왕싱싱의 긍정적인 전망에 금일 중국장에서 로봇 및 부품주들이 급등 중입니다.
기사 원문: https://ml.mbd.baidu.com/r/1ycS8sWOs00?f=cp&rs=895345601&ruk=OTmKeOHuo6HtzO35T5TFOw&u=ecc5c2a36b6028dc&urlext=%7B%22cuid%22%3A%220PvuugiAvu_s8vuZ_avealuXHulxav8408HA8jOQHagzu28r_u2L8_85Hu5dtWPe9y-mA%22%7D
-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벤처기업인 유니트리(unitree)의 회장인 왕싱싱이 어제 인터뷰에서
- ”올해 말쯤 되면 중국의 휴머노이드 출하량이 작년 대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밝히면서, 최근 AI 구동에 의한 기술 진보가 본인 예상을 초월한다‘고 설명했습니다.
- 왕싱싱은 90년생이고, 최근 시진핑 국가주석 주최 간담회에 참석했죠.
- 왕싱싱의 긍정적인 전망에 금일 중국장에서 로봇 및 부품주들이 급등 중입니다.
기사 원문: https://ml.mbd.baidu.com/r/1ycS8sWOs00?f=cp&rs=895345601&ruk=OTmKeOHuo6HtzO35T5TFOw&u=ecc5c2a36b6028dc&urlext=%7B%22cuid%22%3A%220PvuugiAvu_s8vuZ_avealuXHulxav8408HA8jOQHagzu28r_u2L8_85Hu5dtWPe9y-mA%22%7D


17.02.202502:59
[중국, 10년물 국채금리 반등세]
최근 중국증시 강세 외, 유의미한 금융시장 변화는 10년물 채권금리 입니다.
오늘 채권 금리는 1.69%로 전일대비 +1.47% 올랐고, 7거래일 연속 반등 중입니다.
추가 관찰이 필요하지만, 딥시크로 인해 중장기 성장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증시 강세 외, 유의미한 금융시장 변화는 10년물 채권금리 입니다.
오늘 채권 금리는 1.69%로 전일대비 +1.47% 올랐고, 7거래일 연속 반등 중입니다.
추가 관찰이 필요하지만, 딥시크로 인해 중장기 성장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14.02.202503:37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14 중국 오전장: AI 응용 분야 온기 확산]
(12:36 기준)
상해종합 +0.25% 과창50 +0.37%
홍콩H +2.6%, 항셍테크 +3.3%
=========
-중국증시는 전일 약세에서 또 하루 만에 강세로 전환. 홍콩증시가 AI 응용 확산 기대와 전일 막판 낙폭 확대에 따른 저가매수세로 본토대비 강세
-금일 시장은 여전히 AI의 응용 분야에 집중. 자율주행, 헬스케어 및 금융이 대표적
-자율주행: 며칠전 발표된 비야디의 ‘갓스아이(God’s eye)‘ 출시에 대한 기대감 재부각. 비야디에 매수세 몰리며 장중 5% 이상 급등했고, 사상 신고가 경신
-헬스케어: 온라인 진료 등에서의 AI 응용 기대감 확산. 최근 알리바바 주가 급등까지 힘입어 금일 알리헬스도 +14% 상승
-금융 부분에서는 해외대비 기술 경쟁력을 가진 보험 분야의 수혜가 기대됐고, 대표기업인 중안보험도 +8.0% 주가 상승
-한편 본토에서는 중국정부가 새로운 중앙국영기업(SOE)인 ‘국가데이터그룹‘을 설립 중이고, 에너지/교통/금융/헬스케어/제조업의 핵심 산업 내 데이터를 통합하고 시장화 하겠다고 밝힘. 이에 화웨이 클라우드 밸류체인 기업과 3대 통신사 주가 급등
-최근 기술주 급등으로 주가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술주를 향한 투자자들의 Risk-on 심리 확산 추세이고, 투자방향은 H/W에서 S/W로 이전 양상
[2/14 중국 오전장: AI 응용 분야 온기 확산]
(12:36 기준)
상해종합 +0.25% 과창50 +0.37%
홍콩H +2.6%, 항셍테크 +3.3%
=========
-중국증시는 전일 약세에서 또 하루 만에 강세로 전환. 홍콩증시가 AI 응용 확산 기대와 전일 막판 낙폭 확대에 따른 저가매수세로 본토대비 강세
-금일 시장은 여전히 AI의 응용 분야에 집중. 자율주행, 헬스케어 및 금융이 대표적
-자율주행: 며칠전 발표된 비야디의 ‘갓스아이(God’s eye)‘ 출시에 대한 기대감 재부각. 비야디에 매수세 몰리며 장중 5% 이상 급등했고, 사상 신고가 경신
-헬스케어: 온라인 진료 등에서의 AI 응용 기대감 확산. 최근 알리바바 주가 급등까지 힘입어 금일 알리헬스도 +14% 상승
-금융 부분에서는 해외대비 기술 경쟁력을 가진 보험 분야의 수혜가 기대됐고, 대표기업인 중안보험도 +8.0% 주가 상승
-한편 본토에서는 중국정부가 새로운 중앙국영기업(SOE)인 ‘국가데이터그룹‘을 설립 중이고, 에너지/교통/금융/헬스케어/제조업의 핵심 산업 내 데이터를 통합하고 시장화 하겠다고 밝힘. 이에 화웨이 클라우드 밸류체인 기업과 3대 통신사 주가 급등
-최근 기술주 급등으로 주가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술주를 향한 투자자들의 Risk-on 심리 확산 추세이고, 투자방향은 H/W에서 S/W로 이전 양상
12.02.202505:51
중국 AI 백가쟁명 시대
https://cnb.cx/4hWexbA
https://cnb.cx/4hWexbA
11.02.202504:38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10 중국 오전장: 비야디로 홍콩 자동차 하락]
상해종합 -0.16% 과창50 -0.76%
홍콩H -0.59%, 항셍테크 -1.55%
============
-4거래일 만에 중국 본토와 홍콩증시는 모두 차익매물 출회하며 약세 전환
-비야디(BYD)가 지능형 주행이 탑재한 21개 모델을 7~21만원(약 1,400~4,200만원) 가격대에서 출시 공표
-핀둬둬, 딥시크처럼 가성비 스마트 주행 ‘민주화’를 발표하며 산업 내 지각변동 예상
-경쟁력 약화 우려에 지리(-10.1%), 창청(-6.3%), 샤오펑(-7.2%), 리오토(-5.5%) 등 기타 경쟁 OEM 기업 일제히 급락했고, 홍콩증시 약세 견인
-이에 화웨이 자동차 사업부 회장은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대충 쓸 수 있는 것”과 “안전하게 잘 쓸 수 있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지적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칩, 제약에도 상호 관세 부과할 것이란 발언 및 단기 밸류 부담으로 H/W 업종 차익매물 출회
-한편 금 가격 신고가 쥬얼리 업종이 2.2%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본토증시에서 오랫만에 고배당 컨셉인 통신, 은행주 상승
[2/10 중국 오전장: 비야디로 홍콩 자동차 하락]
상해종합 -0.16% 과창50 -0.76%
홍콩H -0.59%, 항셍테크 -1.55%
============
-4거래일 만에 중국 본토와 홍콩증시는 모두 차익매물 출회하며 약세 전환
-비야디(BYD)가 지능형 주행이 탑재한 21개 모델을 7~21만원(약 1,400~4,200만원) 가격대에서 출시 공표
-핀둬둬, 딥시크처럼 가성비 스마트 주행 ‘민주화’를 발표하며 산업 내 지각변동 예상
-경쟁력 약화 우려에 지리(-10.1%), 창청(-6.3%), 샤오펑(-7.2%), 리오토(-5.5%) 등 기타 경쟁 OEM 기업 일제히 급락했고, 홍콩증시 약세 견인
-이에 화웨이 자동차 사업부 회장은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대충 쓸 수 있는 것”과 “안전하게 잘 쓸 수 있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지적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칩, 제약에도 상호 관세 부과할 것이란 발언 및 단기 밸류 부담으로 H/W 업종 차익매물 출회
-한편 금 가격 신고가 쥬얼리 업종이 2.2%로 가장 많이 상승했고, 본토증시에서 오랫만에 고배당 컨셉인 통신, 은행주 상승
10.02.202503:37
📮[메리츠증권 중국 최설화]
[2/10 중국 오전장: 딥시크 없었으면 어쩔뻔]
상해종합 +0.27% 과창50 +0.61%
홍콩H +1.51%, 항셍테크 +1.91%
============
-중국증시는 상승 출발해 장중 상승폭 확대. 특히 홍콩이 3거래일 연속 상승, 항셍테크지수는 연초대비 17% 오르며 기술적 강세장 진입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발표가 있었지만 중국에 대한 충격은 제한적.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중국의 대미국 관세보다 높기 때문. 오히려 기타 국가에 대한 미국의 상호 관세는 중국에 부분 반사이익 가능
-Risk on 모드 지속되며 딥시크 모멘텀 지속. 1) 중국 3대 통신사(텔레콤/유니콤/모바일)가 딥시크 모델 연결로 향후 클라우드 매출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 부각. 또한 2) 딥시크가 45일 무료 이벤트 이후 가격 정상화로 산업 내 출혈 경쟁 완화에 대한 안도 랠리
-H/W 대비 S/W 강세. 알리바바(+4.1%), 바이두(+3.1%) 상승했고, 본토에선 U-Cloud(+20%),Cloudwalk(+20%) 등 기업이 상한가
-반면 H/W에서는 AI 칩 주가 양호하나 휴머노이드 로봇, 통신장비 등 업종에는 일부 차익매물 출회
-BYD는 금일 저녁 19:30(현지시간)에 자율주행 및 스마트카 기술 공개 행사 예정. 이는 길리자동차 등 기타 자동차 기업들의 사업전략 변화로 연결되면서 결국 AI 산업 확장으로 연결 가능. 단 지난주 기대감을 선반영했다는 점에서 본토 -0.8%, 홍콩 -1.1% 하락 중
- 딥시크 부상에 중국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강한 응용분야부터 돌파구 마련할 것이며, 미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혀나아갈 것. 이에 중국 기술주 디스카운트 해소 국면은 이어질 것이나, 단기 급등과 쏠림에 대한 경계 필요
[2/10 중국 오전장: 딥시크 없었으면 어쩔뻔]
상해종합 +0.27% 과창50 +0.61%
홍콩H +1.51%, 항셍테크 +1.91%
============
-중국증시는 상승 출발해 장중 상승폭 확대. 특히 홍콩이 3거래일 연속 상승, 항셍테크지수는 연초대비 17% 오르며 기술적 강세장 진입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 발표가 있었지만 중국에 대한 충격은 제한적. 미국의 대중국 관세가 중국의 대미국 관세보다 높기 때문. 오히려 기타 국가에 대한 미국의 상호 관세는 중국에 부분 반사이익 가능
-Risk on 모드 지속되며 딥시크 모멘텀 지속. 1) 중국 3대 통신사(텔레콤/유니콤/모바일)가 딥시크 모델 연결로 향후 클라우드 매출 증가에 따른 수혜 기대 부각. 또한 2) 딥시크가 45일 무료 이벤트 이후 가격 정상화로 산업 내 출혈 경쟁 완화에 대한 안도 랠리
-H/W 대비 S/W 강세. 알리바바(+4.1%), 바이두(+3.1%) 상승했고, 본토에선 U-Cloud(+20%),Cloudwalk(+20%) 등 기업이 상한가
-반면 H/W에서는 AI 칩 주가 양호하나 휴머노이드 로봇, 통신장비 등 업종에는 일부 차익매물 출회
-BYD는 금일 저녁 19:30(현지시간)에 자율주행 및 스마트카 기술 공개 행사 예정. 이는 길리자동차 등 기타 자동차 기업들의 사업전략 변화로 연결되면서 결국 AI 산업 확장으로 연결 가능. 단 지난주 기대감을 선반영했다는 점에서 본토 -0.8%, 홍콩 -1.1% 하락 중
- 딥시크 부상에 중국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강한 응용분야부터 돌파구 마련할 것이며, 미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혀나아갈 것. 이에 중국 기술주 디스카운트 해소 국면은 이어질 것이나, 단기 급등과 쏠림에 대한 경계 필요
दिखाया गया 1 - 24 का 188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