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avatar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한양증권 리서치센터 입니다.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
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
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Mar 22, 2023
TGlist में जोड़ा गया
Sep 25, 2024

रिकॉर्ड

19.04.202523:59
1.3Kसदस्य
22.03.202523:59
400उद्धरण सूचकांक
17.12.202423:59
2.5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17.12.202423:59
2.5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31.01.202518:19
7.29%ER
20.02.202523:59
153.21%ERR

विकास

सदस्य
उद्धरण सूचकांक
एक पोस्ट का औसत दृश्य
एक विज्ञापन पोस्ट का औसत दृश्य
ER
ERR
OCT '24JAN '25APR '25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के लोकप्रिय पोस्ट

11.04.202500:09
🔜 바이오플러스, 중국 하이난 의료관광특구 내 공장 GMP 승인 완료

바이오플러스(099430, 대표이사 정현규)가 중국 하이난 의료관광특구 내 위치한 현지 공장에 대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이하 GMP)’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앞서 바이오플러스는 중국 보건당국으로부터 하이난 현지 공장에 대해 의료기기 2등급 GMP 현장 실사를 진행했으며, 지난 3월 최종 인증을 완료했다. 이번 하이난 공장 GMP 인증 획득을 통해 바이오플러스는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국 전역에 공급할 계획이다.

출처 : 팜뉴스(https://www.pharmnews.com)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9357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avatar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10.04.202512:13
🔷 [단독]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생산, 체크포인트

https://t.me/aris1031

삼성전자 MX사업부에는 5월부터
경북 구미와 베트남 공장 등에서 새로운 폴더블 스마트폰 시리즈를 양산할 예정.

이번에 생산되는 모델은 총 3가지 인 것으로 확인

📌 생산 일정 및 물량 (2분기 기준)
① 폴드7: 약 16만 대 생산 예정
② 플립7: 약 24만 대 생산 예정
③ 플립7 FE (보급형): 약 17만 대 생산 예정

신형 폴더블 제품 출시에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공급망이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가 최대 화두


엑시노스 2500 AP가 Z플립7 모델에 탑재될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은 경기상황 등을 고려해서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다소 우세함.

삼성전자도 2025년 폴더블폰 생산 목표를 대폭 하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짐
당초 820만 대의 생산을 계획했으나, 이를 500만 대로 축소한 상황.

평균적으로 연간 1,000만대 이상은 판매해 왔던 삼성전자가 올해는
목표치를 대거 하향 조정한 상태

하지만 2026년에는 애플이 폴더블 IT제품을 출시하면서 빠르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



📌 체크포인트

1) 총 4가지 버전의 폴더블 제품 출시
올해 삼성전자는 폴더블 스마트폰 모델을
총 4가지 버전으로 출시할 것으로 예상.

폴드, 플립 제품과 FE(보급형), 트리폴드(2번 접는 형태)
4가지 버전 출시가 유력함



2) 애플 폴더블 스마트폰 협력사 확정
4월말~ 5월초에 있을 것으로 예상.



💊폴더블 스마트폰 관련주

① 파인엠텍: 내장힌지(플레이트)제품 공급

② 구미 생산기지: 인탑스(위탁제조업체)

③ KH바텍 : 외장힌지 제품 등 공급

④ 세경하이테크: 특수보호필름 공급사

⑤ 삼성디스플레이: OLED폴더블 디스플레이
14.04.202508:40
🔜 동성화인텍 "세계 LNG선 보냉재 40% 석권"

“세계 곳곳에서 밀려드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로 2027년까지 생산 가능한 보냉재 예약 주문량이 꽉 찼습니다.”

최용석 동성화인텍 대표는 14일 경기 안성시 미양면 안성 1공장에서 “중국이 자국 운송을 위해 LNG 운반선 건조 물량을 늘리고 있지만 전 세계 LNG 선주는 여전히 한국 조선소와 한국산 보냉재를 선호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407381
26.03.202502:09
🔜 TSMC 미국 반도체 파운드리 단가 상승 "10% 미만" 분석, 인건비 비중 낮아

TSMC가 미국 애리조나 파운드리 공장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비용이 대만 공장과 비교해 10% 미만으로 상승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인건비 부담이 반도체 가격 인상을 이끌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전체 생산 단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IT전문지 WCCF테크는 25일 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 분석을 인용해 “TSMC의 미국 투자 확대가 파운드리 단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8578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7.04.202522:49
2025.04.08 07:41:49
기업명 : 삼성전자(시가총액: 314조 9,247억)
보고서명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90,000억(예상치 : 772,200억+/ 3%)
영업익 : 66,000억(예상치 : 51,100억/ +24%)
순이익 : -(예상치 : 77,001억)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790,000억/ 66,000억/ -/
2024.4Q 757,883억/ 64,927억/ - /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8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01.04.202500:01
🔜 SK하이닉스·카카오 등 43개 종목, 오늘 하루 공매도 금지

코스피 상장사 중에서는 총 14개사가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됐다. SK하이닉스, 롯데지주, 한샘, SKC, 롯데쇼핑, SK, 디아이씨, 일진하이솔루스, 카카오, 한미반도체, CJ제일제당, HD현대일렉트릭, 동원시스템즈, 엔씨소프트다.

코스닥 상장 29개사 역시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됐다. 삼천당제약, 네이처셀, 제주반도체, 테크윙, LS마린솔루션, 엔켐, 폴라리스오피스, 제닉, 에스와이 등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0117786
07.04.202523:55
🔜 제이엘케이, 의료AI 4곳과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

의료AI MOU
(제이엘케이 - 셀바스AI·메디아나 - 뷰노)

제이엘케이는 서울 강남구 제이엘케이타워에서 셀바스AI·메디아나, 뷰노 등과 함께 ‘메디컬 AI 얼라이언스(MASA) 출범식을 개최하고 AI 의료 기술 공동 연구 및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37969
25.03.202507:40
🔜 아이센스 연속혈당측정기 '케어센스 에어' 치료 목적 승인

아이센스는 연속혈당측정기(CGM) ‘케어센스 에어’의 유럽 CE 허가 변경 승인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CE 허가 변경은 지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변경에 이어 ‘케어센스 에어’의 글로벌 확장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는 설명이다.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며, 초기 안정화 시간이 기존 2시간에서 30분으로 단축된다.

또한, 이번 변경에는 케어센스 에어를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중요 변경도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끝 채혈 혈당값이 아닌 케어센스 에어로부터 측정된 연속혈당 측정값을 기반으로 인슐린을 주입하거나 혈당 관리 결정을 하는 등 치료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32515331842111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avatar
기업탐방 독립리서치 A.R.I.S
14.04.202505:24
🔷 더블유에스아이, ‘이재명 AI 투자 공약’에 강세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주가 상승 배경
① 더블유에스아이(299170)는 2025년 4월 14일 오후 1시 45분 기준, 전일 대비 4.99% 상승한 1662원에 거래됨.
② 장중 한때 10.04% 급등한 1742원까지 오르기도 함.



📌 이재명 후보의 AI 공약 영향
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공약 발표.
② SNS를 통해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증액하겠다고 언급.
③ 해당 발언이 AI 관련 종목에 투자 기대감을 불러일으킴.



📌 더블유에스아이의 AI 관련성
① AI 기술을 접목한 의료 로봇 개발에 주력.
② 자회사 ‘이지메디봇’은 **로봇 자궁 거상기 ‘유봇’**의 연내 상용화를 목표로 함.
③ 최근 중국 ‘카본 메디칼’과 지능형 의료로봇 공동개발 MOU 체결.



📌 관련주 동반 상승
① 고영 +2.01%
② 큐렉소 +3.12%
→ 의료 AI 융합 산업에 대한 기대감 반영.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97846642136120&mediaCodeNo=257&OutLnkChk=Y
24.03.202523:14
🔜 '폴더블 아이폰' 윤곽 나오나…화면 주름·배터리 강점될 듯

이르면 내년 출시될 애플의 첫 '폴더블 아이폰'이 다른 경쟁 폴더블폰 제품 대비 화면 주름, 내구성, 배터리 등에서 강점을 가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5일 폰아레나 등 외신에 따르면 폴더블 아이폰은 올 연말 본격 양산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 말께 출시될 전망이다. 특히 첫 폴더블 아이폰은 플립형 모델이 아닌 책처럼 접는 폴드형으로 등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그간 폴더블 아이폰에 대해서는 출시 시점, 제품 크기 등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정보가 알려지지 않았으나 비교적 구체적 정보가 새롭게 공개됐다. 폴더블폰의 화면을 접는 부분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인 '힌지'에 보다 특수한 기술을 접목할 것으로 기대된다. 애플은 타사 폴더블폰이 출시되고 시장에 안착할 때 폴더블폰 폼팩터의 화면 주름, 내구성 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집중 연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전문가로 알려진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폴더블 아이폰에 '액체 금속 힌지'를 사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통해 내구성과 화면 주름 개선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액체 금속 힌지 기술이 적용되면 기기를 펼쳤을 때 내부의 메인 디스플레이가 평평하게 펴져 주름 자국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애플은 유심 트레이용 이젝터 핀과 같은 소형 부품에 액체 금속 기술을 활용한 바 있다. 또 배터리 수명에서도 폴더블 아이폰이 여타 폴더블폰보다 우위에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애플이 전력 소비 및 발열 줄일 수 있는 개선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를 탑재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폴더블 아이폰에는 올해 출시될 애플의 초박형 제품 '아이폰17 에어'의 기술이 다수 접목될 가능성도 있다. 아이폰17 에어는 기기 본체 두께가 5.5㎜(카메라 범프 포함 시 9.5㎜)로 예상되는 역대 가장 얇은 아이폰이다. 폴더블폰의 또다른 핵심 과제 중 하나가 기기 두께를 줄이는 것인 만큼 아이폰17 에어에서 활용한 두께 감축 기술이 폴더블 아이폰에도 그대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 아이폰17 에어는 두께를 줄이기 위해 스피커, 카메라 등에서 부품을 최대한 들어내고 공간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아이폰17 에어가 얇은 기기에 최대한 많은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게 해 향후 폴더블 아이폰을 개발하는 데 있어 일종의 지침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업계의 관측대로 폴더블 아이폰 출시 일정이 이뤄진다면 내년 출시될 아이폰18 시리즈에 폴더블 아이폰이 신규 라인업으로 포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폴더블 아이폰은 기기를 펼쳤을 때 아이패드 미니와 비슷한 7.8인치의 메인 디스플레이와 아이폰13 미니와 비슷한 5.5인치의 커버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시 가격은 2000~2500달러(약 293만~367만원) 수준으로 점쳐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39322
09.04.202523:07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인텔리안테크] 스타링크 너머, 재도약의 시기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4/09): 31,050원
Upside : -

2024년 Review
동사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제품 시장에서 세계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위성통신 안테나 전문 기업으로 2016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2024년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액 2,577.7억원(-15.5%, YoY), 영업적자 194.4억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사업 부분별 매출은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1,507억원(58.48%), 지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973억원(37.76%), 기타 97억원(3.76%)으로 구성되었다. 전년 대비 매출 감소의 주요 원인은 해상 고객의 위성통신 체계 전환기 진입에 따른 해상 부문 수요 공백과, 유텔샛원웹의 글로벌 인증 지연으로 인한 지상용 발주 부재가 중첩된 결과다. 반면, 미국 A사로부터 수주한 1,554억 원 규모의 게이트웨이 안테나 프로젝트 중 270억 원이 신규 매출로 발생했으며, 해당 수주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동사는 SES, Telesat 등 신규 고객사와의 공급 계약도 확대 중이며, 게이트웨이 안테나는 향후 중장기 매출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타링크(Starlink)의 유일한 대안 유텔샛원웹(Eutelsat OneWeb)
글로벌 위성통신 산업은 저궤도 위성을 중심으로 급성장 중이며, 시장은 현재 스타링크가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스타링크의 정치적 민감성과 독점 구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대안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텔샛원웹’이 실질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원웹은 약 650기의 저궤도 위성으로 구성된 통신망을 기반으로 B2B 중심의 위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커버리지를 위한 인허가 확대가 진행 중이다. 동사는 원웹에 파라볼릭 안테나를 독점 공급했으며, 평판형 안테나는 동사를 포함한 3개 사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파라볼릭 안테나의 초기 독점 공급은 글로벌 레퍼런스 확보에 기여했으며, 향후 서비스 확장에 따라 평판형 안테나 부문에서도 수혜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구조적 성장 기회를 확보한 동사는 유텔샛원웹을 통한 위성 통신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다.

2025년 실적 전망, 세 가지 성장 동력 확인
동사의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562억 원(+38.2%, YoY), 영업이익 186.9억 원(흑자전환)으로 전망된다.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부문은 기존 GEO 중심에서 LEO를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체계로의 전환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매출 정상화 흐름이 확인되고 있다. 동시에, 유텔샛원웹의 글로벌 서비스 개시가 가시화되면서 지상용 안테나 수요도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2023년부터 수주한 총 1,554억 원 규모의 게이트웨이 안테나 공급 물량이 올해 본격적으로 매출로 인식될 예정이며, 이는 수익성 개선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1) 해상용 매출의 정상화, 2) 유텔샛원웹의 글로벌 서비스 확대, 3) 신규 게이트웨이의 본격 실적 반영이라는 세 가지 성장 동력이 동사의 외형 성장과 이익 턴어라운드를 견인할 핵심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jkerLm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오병용 avatar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오병용
30.03.202523:03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오병용

[에이치이엠파마] 없어서 못 파는 슬픔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3/28): 22,650원
Upside : -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동사의 대표 제품은 크게 2가지다. (1)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서비스인 ‘마이랩’과 검사결과에 따른 맞춤형 유산균 ‘마이랩솔루션’, 그리고 (2)고기능성 유산균인 ‘파이토바이옴제품군(엔자임바이오, 바디키 등)’이다. 모두 글로벌 다단계 1위 기업 ‘암웨이’가 독점 판매 중이다. 지난해 동사 매출액 150억원 중 마이랩+마이랩솔루션의 매출비중은 42.2%, 파이토바이옴제품군(엔자임바이오, 바디키 등) 이 42.5%, 기타(CDO용역 등) 15.3%이었다. 특히 ‘엔자임바이오’나 ‘바디키’는 암웨이 내에서도 히트상품이 되어 계속해서 품절 사태를 겪고 있다. 현재 동사의 광교 공장과 외부 위탁생산 공장들이 풀가동 되고 있는 상황이나, 생산물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이제는 해외 매출도 시작된다. 홍콩/베트남 암웨이에 서 ‘파이토바이옴’ 출시가 확정되어 3월부터 선적이 시작됐고, 하반기에는 일본 암웨이의 ‘마이랩’ 출시가 확정됐다. 그야말로 생산하면 즉시 매출인, 없어서 못 파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암웨이와 추가 공급계약 논의 중
동사는 공급난 해소를 위해 작년부터 세종시에 신공장을 건설 중이며, 올해 5월 완공된다. 그러나 세종공장이 가동되어도 공급난 해소는 어려워 보인다. 현재 암웨이와의 추가 공급계약이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추가 계약이 확정되면 세종공장은 해당 생산 건만으로도 풀가동이 확정된다. 따라서 공급난 해소를 위해 벌써부터 추가 공장 증설이 논의되고 있다. 동사의 IPO 투자설명서상 매출액 예상치가 ‘25년 267억원 ‘26년 557억원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추가계약이 확정되면 예상 매출액을 훨씬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마이크로바이옴 기업들과 비교 불가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현재 글로벌 암웨이는 광범위한 판매망 중에서 오직 한국에서만 동사 제품을 팔고 있으나 그것도 품절사태가 벌어지는 상황이다. 판매 국가가 전세계로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성장 잠재력이 굉장하다고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마이랩’ 검사를 통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가 동사에 축적되고 있다. 과거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도 ‘인간마이크로바이옴프로젝트’를 진행해 10년간 약 3.2만개의 데이터를 모은 적이 있으나, 동사는 통상 한달에 6천개 이상의 인간 데이터를 모으고 있다. 글로벌 기준에서도 압도적인 1위다. 따라서 마이크로바이옴으로 할 수 있는 질병예측 연구 등을 동사보다 잘할 수 있는 곳은 없다. 경쟁사와 비교 불가한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이 되고 있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jbh1mX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채널: https://t.me/bdragon0808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25.03.202522:57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엑시콘] CXL의 아이콘, 엑시콘

투자의견: N.R
목표주가 : -
현재주가(03/25): 12,440원
Upside : -

Overview, 2025년은 턴어라운드의 해
동사는 메모리 테스터, 번인 테스터, SSD 테스터, SoC 테스터 등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으로, 2015년 10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다. 2024년 기준 매출 비중은 메모리 테스터 38.3%, SSD 테스터 51.4%, SoC 테스터 10.3%로 구성된다. 2024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316.1억 원(-61.6%, YoY), 영업적자 -159억 원(적자전환, YoY)을 기록하였다. 이는 동사의 주요 고객사의 HBM 투자 집중으로 DDR5 메모리 테스터 수요가 급감하고, 신규 장비 투자(Capex) 집행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 여기에 차세대 테스트 장비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R&D) 비용 증가가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2025년부터는 고객사의 메모리 테스터 장비 교체 수요 증가와 신규 투자 재개가 예상되어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 특히, 신규 개발한 CLT(Chambered Low Frequency Memory Tester)의 본격적인 공급이 예정되어 있어 실적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대되는 CLT, 신성장 축으로 부상
동사가 새롭게 개발한 CLT는 기존 메모리 테스터의 공간·속도 한계를 개선한 차세대 고효율 테스트 장비로, DRAM 공정 강화 및 품질 확보를 위한 핵심 설비로 평가받고 있다. CLT는 -20℃부터 150℃까지 극한 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며, 최대 11,520 para(동시 처리 채널)를 지원해 대용량 고성능 테스트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어드반테스트 장비로 DDR5 테스트까지 진행해 왔으나, 고객사는 최근 DRAM 공정 고도화와 생산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신규 장비 교체 투자를 추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2분기부터 DRAM 및 NAND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이 예상되며, 고객사의 투자 방향 역시 HBM 중심에서 메모리 반도체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동사는 작년 하반기 고객사 퀄 테스트를 통과해 최종 단독 벤더로 선정되었으며, 노후화된 기존 장비의 교체 수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장비당 40~50억 원 수준의 고가 장비로 2분기 첫 납품을 시작해 하반기부터 실적 반등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CXL 모멘텀 지속
동사는 CXL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CXL은 CPU와 외부 메모리 및 가속기 등을 고속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PCIe 기반에서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HBM은 비용과 용량 한계로 대규모 확장이 어려워, 서버·AI·클라우드 환경에서 CXL의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2026년 CXL 3.1 DRAM 양산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CXL과 HBM 기술이 고도화될수록 테스트 난이도도 증가하고 있다. CXL은 CPU가 외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기 때문에 기존 DRAM 테스터로는 한계가 있다. 다만 CXL 테스트는 PCIe 기반 서버용 SSD 테스터와 기술적 유사성이 크다. 동사는 삼성전자 향 PCIe 5.0 기반 SSD Gen5 테스터 대량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PCIe 6.0 기반 SSD Gen6 테스터를 개발 중이다. 이에 따라 향후 CXL 3.1 테스트 장비 시장 확대 시 동사의 기술력과 사업 경험이 직접적인 수혜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hNIOsm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