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몰?루 avatar
몰?루
몰?루 avatar
몰?루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기술적 분석으로 보는 주식시장 avatar
기술적 분석으로 보는 주식시장
08.05.202509:33
장기보유자는 이미 세금이 없습니다. 금투세를 일단 메기고, 일부에 한해 혜택을 준다는 얘기죠.

즉, 금투세 한다는 얘기입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4953
से पुनः पोस्ट किया:
F
FS리서치
내일 상장하는 오각노이드사이언스입니다.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5/9일 상장)

▶️ 공모개요
- 공모가 21,000원
- 공모가 기준 시총 1,366억원
- 주주구성 : 최대주주등 27.67%, 유통가능물량 27.59%, 1개월 락업 27.45%

▶️ 오가노이드란?
- 체외에서 배양한 미니장기를 말함
- 인간 수준의 크기는 아니고 수mm에서 수cm 정도의 크기
- 장 오가노이드를 예로 들면, 장세포를 채취하고, 3차원 배양을 하게 됨, 1주일정도 지나면 오가노이드가 만들어짐
- 오가노이드는 크게 2가지로 활용 가능
- 손상된 장기나 조직에 이식해서 치료를 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또는 신약이 장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때 사용
- 동사는 2가지 사업 모두 영위를 하고 있음

▶️ 사업영역
1.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 오가노이드가 손상된장기에 생착되어 분화에 의해 직접 조직을 재생시키는게 주요 기전
- ATORM-C 라는 파이프라인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임
- 염증성 장질환환자의 40~60%가 염증을 줄여도 치료가 안되는데 이유는 과도한 조직손상때문, ATORM-C는 이렇게 손상된 조직을 손상시켜줌
- 장에서 정상조직을 채취하고 배양해서 오가노이드 생산, 이를 다시 내시경으로 확인하여 손상된 부위에 접착제와 오가노이드를 투약하면 손상된 부위에서 오가노이드가 생착함
- 오가노이드 주입도구까지 직접 생산, 접착제 성분도 최적화
- 인간의 장과 유사한 돼지를 통해서 재생효과 확인
- 2023년 7월에는 임상 첫 환자 등록 -> 6개월간 추적관찰 후에 2명의 환자결과를 봤음, 올해 1월에도 2명 투약
- 첨생법이 2월에 시행되면서 임상연구를 마치면 중증, 희귀, 난치질환에 사용할 수 있게 됨
- 2026년까지 임상을 하고 2027년에 국내 출시, 2028년까지 독일과, 미국에서 임상2상을 진행할 계획

2. ODISEI 사업
-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도 오가노이드로 신약 시험을 하는 사업
- 항바이러스제, 마이크로바이옴, 피부 오가노이드 등 다양한 시험이 가능
- 사례를 살펴보면 이중항체에 대한 ODISEI 적용한 예가 있음
- 종양환자로부터 종양오가노이드와 면역세포를 가지고 시험을 했고 잘 마무리가 되어 임상을 진행하고 있음
- 코스맥스와 탈모모델 개발에도 오가노이드로 시험을 함

▶️ 시장상황
- 식약처에서 5년짜리 오가노이드 표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성장전략
- 해외 자회사를 통해 해외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7년 오가노이드 치료제 출시, 28년 오가노이드 치료제 기술이전 통해 성장 지속

https://www.youtube.com/watch?v=pUijfyGfpsA
08.05.202503:44
https://m.dcinside.com/board/war/4317698?recommend=1

걍 J-10C / PL-15문제가 아닌거 같지만

세상은 관심이없지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늘- 봄처럼 따뜻한 투자 이야기 avatar
늘- 봄처럼 따뜻한 투자 이야기
07.05.202507:54
당뇨병 소모품 재공급: CGM 기회를 잡아라 / GEMCO Medical의 CEO, Matt Edwards 인터뷰 중 일부

Q. HME(가정 의료기기) 제공업체들이 지금 연속혈당측정기(CGM) 재공급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당뇨병은 3,7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상태를 관리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혈당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HME 제공업체들에게는 성장 가능성이 높고 영향력 있는 헬스케어 분야에 진입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CGM에 대한 보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고, 환자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진들도 점점 더 CGM을 포괄적인 당뇨병 관리 계획의 일부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CPAP, 상처 관리, 비뇨기 또는 장루용품 등 재공급 기반 제품 라인을 관리하고 있는 HME 제공업체라면, CGM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것은 논리적인 다음 단계

CGM은 일반적으로 30~90일마다 소모품을 배송하는 반복적인 수익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 주기는 다른 재공급 사업과 유사하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 흐름에 기여합니다. 또한 CGM 사용 환자의 순응도가 높아, 꾸준한 재공급을 지원할 뿐 아니라 HME 제공업체가 처방 의사 및 병원 시스템의 소중한 파트너로 자리매김
07.05.202506:50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한화 엔터/레저/운송 박수영 avatar
한화 엔터/레저/운송 박수영
07.05.202506:13
에스엠 1Q25 실적 컨콜_한화증권 박수영

#요약
연결매출 2314억원, 영업이익 326억원
일회성 매출 포함 음원 및 콘서트 증가 영향으로 매출 호조.
연결 영업이익은 매출 믹스 변화 및 음원 매출 증가 영향으로 이익도 개선.
연결당기순이익 디어유 지분 인수 영향 반영

#별도
매출 1655억원, 영업이익 413억원
음원 및 콘서트 매출 증가 주효
음반/원: 신보 판매량 전년동비 감소 but 일회성 음원 매출 증가. 678억원 기록. 신보 총 92만장 등
콘서트: 글로벌 공연 규모 확대에 따라 전년동비 58% 증가. 127 네번째 월드투어 미국 캐나다 인니 태국 등 18회 진행. 에스파 월드투어 미국 및 유럽 총 16회 전석 매진 기록. 동방신기 일본 데뷔 20주년 투어 오사카 후쿠오카 등 전역 10회 진행. 예성 민호 태연 웨이브이 등 솔로 및 그룹 활동도 주효
엠디 라이선싱: 다양한 브랜드 협업 등으로 호조
영업이익: 콘서트 및 엠디라이센싱 매출 증가 및 일회성 음원 매출 반영 등으로 이익 개선

#종속법인
C&C: 광고 매출 지속 감소. 적자폭 확대
SMC: 일본 공연 규모 축소 영향으로 매출 감소. 적자 전환
키이스트: 드라마 방영 편수 감소로 매출 감소. 적자 전환
SMBM: 엠디 및 앨범 판매 감소로 매출 감소. 전년동비 유사한 수준의 적자 기록
SMDM: 에셈타운라이브 등 공연 규모 확대로 전년 동비 대비 매출액 큰 폭 증가. 영업이익 13억 기록
기타법인: 전년동비 매출 증가. 적자 32억원 감소

#라인업 앨범
4월: 마크 정규, 위시 미니, 카이 미니
2Q: 라이즈 정규, 아이린슬기유닛 미니, 에스파 싱글앨범, 하츠투하츠 싱글앨범, 도영 정규, 텐 미니, 샤이니 싱글앨범
3Q: 드림 정규, 에스파 미니, 위시 미니, 하츠투하츠 미니 등

#라인업 공연
2Q: 위시 아시아 투어 10회, 127 투어 6회, 태연 솔로콘 8회, 동방신기 3회, 에셈타운 멕시코 미국 영국 총 3회, 샤이니 단독콘 3회
3Q: 아이린 슬기 유닛 9회, 라이즈 월드투어 19회, 유타, 카이 등의 공연도 있음

#CEO 메세지
하츠투하츠 데뷔 성과: 데뷔 초동 40.8만장, 데뷔 초동 1위. 15일만에 음방 1위. 인니 등 글로벌 스트리밍 차트 상위권 안착. 스포티파이 누적 3천만회, 415만명의 글로벌 sns 팔로워 구축. 코어팬덤 및 글로벌 대중성 확보. 인니/미국/일본/한국/필리핀 등 전통적인 케이팝 강세 지역 중심으로 리스닝 고르게 분포.

☆SMTR25: 데뷔 전임에도 높은 화제성 빠른 팬덤 성장 속도 확인 중. SM타운 공연으로 첫 공개 이후 트레이닝 멤버 관심 증가. 선공개 멤버들은 팬커뮤 중심 인지도 확보 중. 현재까지 다양한 국적 개성 가진 11인 멤버 공개. 콘텐츠 제작 및 사전 프로모션 진행 중. 26년 정식 데뷔 목표. 이전까지 콘텐츠 공개는 지속될 것

☆디어유 연결 편입: 2분기부터 연결 종속 회사로 편입. 연결 실적 개선효과 및 디어유 지분 가치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상승 기대. 텐센트와의 전략적 제휴 체결. 중국 내 버블 서비스 곧 출시할 것. 라이즈 위시 등도 버블 입점. ai펫버블 신규 서비스 론칭. 아티스트 ip 기반의 콘텐츠 구독형 모델로 발전할 것. md, 굿즈 연계 서비스 등 ip 활용 신규 수익 모델 지속 확장할 것. 디지털 ip 사업 모델 견고해질 것

☆엠디 및 라이센싱: 2차 ip 사업 고도화 적극 추진 중. 20-24년 연평균성장률 40% 기록. 신성장 동력. 20년 1분기 93억원 엠디라이센싱매출 24년 4분기 기준 512억원 기록. 팬덤 브랜드 기반 지속적인 외형 성장 달성.
-브랜딩 및 팬 경험 강화: 팝업스토어, 전시, 브랜드협업 등 팬덤 기반 소비 확대시키고, 소프트팬덤 유입 긍정적 영향
-글로벌 유통 수출 확대: 마크 중국 팝업 스토어 개최 등. 중국 최대 음원 플랫폼 큐큐 뮤직과의 협업으로 진행. 앨범 콘셉 전시, 포토존, 팬메세지 공간 등 체험 요소 제공. 단순 상품 판매 넘어 아티스트 아이피 중심 글로벌 팬 경험 확장, 브랜드 가치 제고 긍정적 영향
-프로젝트 다각화: 아티스트 맞춤형 브랜드와의 협업. 미디어 콘텐츠 연계 등
-IP 기반 사업 확장: 캐릭터 ip 개발 및 파트너사 협업 등. 하츠투할츠-하츄핑 콜라보 등
-구체 사례1: 4월초 라이즈 캐릭터 팝업스토어 we little riize 테마카프 콘셉 17일간 1.2만명 방문객 기록
-구체 사례2: 키 - 헬로키티 콜라보. 더현대 서울 2주간 진행. FINCA 협업 및 콜라보 제품 출시. 이후 일본 팝업스토어 확장 계획

QnA
Q. 음반/원 매출 break down. 일회성 음원 매출 규모 및 사유
A. 음반 166억원, 음원 512억원. 일회성 음원 매출은 계약 관계상 세부 내용 공유 어려움

Q. 자회사 손익 개선 관련, 드림메이커 공연 매출 증가 불구 수익성은 낮아졌는데.. 전략은?
A. 전년 대비 공연 횟수 많아짐. 이익이 매출 증가 못 따라온 부분은, sm town 공연 제작비 많이 들어가는 공연. 이런 쪽에서 매출은 관객 동원 비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익은 좀 못 미침. 그래도 전년 대비로는 개선될 것. 다른 자회사도 비핵심 자산으로 분류된 것들은 이미 정리가 완료된 곳들도 있고, 본업과의 관련성 높은 자회사들은 지속적인 체질 개선 작업 중. 전년 대비 자회사 개선 볼 수 있을 것.

Q. JYP도 4분기 텐센트 관련 회계적으로 일시 인식했는데 유사한 내용인지
A. ㅇㅇ. 매 분기 음원 매출은 성장 중

Q.매출 증가 대비 판관비 통제 너무 잘 됐는데 인건비 얼마나 축소됐는지
A. 인건비에서의 감소라기 보다는, 앨범에 대한 제작비 중 판관비로 분류되는 것들 있음. 1분기 전년 동비 앨범 제작 회차가 적었음. 이에 따라 판관비도 감소한 것

Q. 디어유 영업외 회계적 이익 얼마나 반영됐는지
A. 정확하게 말하기 어려움

Q. 1분기 중화권 매출 증가
A. 음원의 일회성 매출 관련해 중화권 매출 증가

Q. 텐센트 실적 내용 중 음원 재계약 이야기가 있던데, 매니지먼트까지 확장인지 등 중국 전략
A. 마크 팝업 큐큐 협업 한정.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나 팝업 관련해 별도의 계약을 맺은 상황은 아님. 텐센트 뮤직과는 전반적으로 좋은 프로젝트 있다면 협력 강화해나가는 추세, 방향성
08.05.202508:42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5/08/news-intel-18a-reportedly-lands-major-deal-with-microsoft-google-and-nvidia-said-to-be-in-talks/

NVIDIA가 게임용 GPU에 Intel의 18A 프로세스 사용을 모색하고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제 18A 노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 비즈는마이크로소프트가 18A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인텔과 대규모 파운드리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구글과의 협상도 진행 중이라고 한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avatar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08.05.202507:29
미츠비시상사, 미츠비시식품을 1376억엔에 공개매수 함으로 완전 자회사로 전환할 예정

한국은 분할하고 일본은 합치고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알파카 주식 목장 avatar
알파카 주식 목장
07.05.202507:16
부자TV에서 실적 상승이 가능한 기업을 순한맛 인카금융서비스와 매운맛 코나아이로 이야기했었는데요.

우연하게도(ㅋㅋㅋ) 인카는 천천히 올라가고 있고, 코나아이는 빠르게 상한가를 기록하는 모습입니다.

왜 두 기업이 실적 상승의 가능성이 높은지, 주목해야 하는 기업으로 말했는지를 아래 유튜브에서 이야기해보았습니다..!

https://youtu.be/SplG2Vzl9xg
07.05.202506:50
내가 본 주식하는 사람들은 6개월안에 돈 되는거 아니면 관심도 없는데 주주환원 얘기하는 놈은 온세상에 있음 ㄹㅇ
से पुनः पोस्ट किया:
Brain and Body Research avatar
Brain and Body Research
07.05.202506:07
젠슨 황, 美 AI 반도체 규제에 쓴소리…“화웨이가 70조원 시장 독점”

“화웨이는 무서운 기업, 엔비디아 떠난 자리 차지”


황 CEO는 6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밀컨 콘퍼런스 2025’에서 “(미 정부가) 경제적인 이유나 국가안보 이유로 기술 접근을 제한하는 것도 논리가 있지만 그들은 이미 가진 컴퓨팅 자원을 통해 (AI 반도체를) 확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가 (중국)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지 않고 완전히 떠난다면 다른 누군가가 그 자리를 차지한다”며 “예를 들어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무서운(formidable) 기술 기업 중 하나이고, 그들은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또 “우리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이 제한된 사이에 중국 시장은 몇 년 후 아마도 약 500억달러(약 69조원) 규모가 될 것”이라며 “우리가 놓친 시장은 엄청나게 거대하다”고 말했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5/07/KIEZU5KTVRC5HJD434PE4OG2GU/?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고투메 avatar
고투메
08.05.202508:37
💡💡💡
인텔 18A, 마이크로소프트와 대형 계약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구글·엔비디아와도 협상 중

Intel 18A reportedly lands major deal with Microsoft; Google, Nvidia in talks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6:54
2025.05.08 11:29:37
기업명: LIG넥스원(시가총액: 7조 8,87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9,076억(예상치 : 8,122억+/ 12%)
영업익 : 1,136억(예상치 : 654억/ +74%)
순이익 : 842억(예상치 : 565억+/ 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9,076억/ 1,136억/ 842억
2024.4Q 11,678억/ 617억/ 697억
2024.3Q 7,403억/ 519억/ 407억
2024.2Q 6,047억/ 491억/ 457억
2024.1Q 7,635억/ 670억/ 60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955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BacurasHouse avatar
BacurasHouse
07.05.202508:08
[美 군용기 정비, 한국에 맡긴다?]
– 한미 방산·관세협상의 숨은 카드, ‘MRO 허브 코리아’ 부상

https://m.sedaily.com/NewsView/2GSPD4XS9Q#cb

1️⃣ 미국, 한국에 ‘군용기 MRO’ 맡기나?
미 국방부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KAI·대한항공 등 한국 방산기업을 직접 방문해 군용기 유지·보수·정비(MRO) 역량을 검토함.
이미 조선 부문(MRO)에서 한화오션, HD현대 등이 미 해군 함정 정비를 수주한 데 이어, 항공 분야로 확장하려는 움직임.

2️⃣ 왜 한국인가?
• 미국은 ‘지역거점운영유지체계(RSF)’를 통해 동맹국에 군 정비를 위탁해 전투 효율을 높이는 전략 구상
• 기존 미 본토 정비는 비효율·비용↑
• 아태 지역 MRO 거점 후보: 한국, 일본, 호주, 필리핀
→ 한국은 부품·엔진 정비 등 기술력 선두권

3️⃣ K항공 3인방 역량 요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GE·P&W·롤스로이스와 엔진 라이선스 생산
• 누적 1만 대 이상 엔진 생산, 5700대 정비
• 창원1사업장에 엔진 공장 증설 중 (월 생산 2배↑)
• 미국 내 부품공장 4곳 운영

(대한항공)
• F-16 전투기 수명 연장 정비 경험
• 1978년부터 미군 MRO 경험 (총 3700대)
• 인천 영종도에 연간 360대 규모 엔진 정비공장 건설 중 (5780억 원 규모)

(KAI)
• FA-50 수출 후 성과기반 군수지원(PBL) 수행
• 정부 인증 MRO 사업자, KAEMS 자회사 운영
• 경남 사천에 대형 MRO 단지 확장 중 (총 2481억 원 규모)

4️⃣ 시장의 크기와 전략적 의미
• 2025년 세계 군용기 MRO 시장: 약 57조 원
• 2030년까지 65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 미국 수주 성공 시 기술력 인증 + 동맹국 진출 발판
관세 협상 지렛대로 활용 가능 (항공+조선+LNG 등 포트폴리오 구축)

5️⃣ 조선 부문은 이미 성과 중
• 한화오션: 월리 쉬라호, 유콘호 등 미 함정 정비
• 한국 조선업체, 미 해군 함정 7~9건 수주 목표
• 트럼프, 조선업 부활 위해 K조선과 협력 시사

6️⃣ 정부·업계 전략 포인트
• 아태 경쟁국 대비 설비·기술력 우위 확보
MRO 허브 지정 시, 안보 파트너 + 산업 보완제 역할
• 미국 제조업 약화된 틈새에 한국이 ‘보조 뇌’로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7.05.202506:07
2025.05.07 13:41:55
기업명: 에스엠(시가총액: 2조 9,992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655억(예상치 : 2,222억/ -26%)
영업익 : 413억(예상치 : 188억/ +120%)
순이익 : 322억(예상치 : 105억+/ 207%)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655억/ 413억/ 322억
2024.4Q 2,736억/ 337억/ -237억
2024.3Q 2,422억/ 133억/ 37억
2024.2Q 2,539억/ 247억/ 84억
2024.1Q 2,201억/ 155억/ 12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25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151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무팍’s Robo-gate. ver.2 avatar
무팍’s Robo-gate. ver.2
08.05.202508:34
사우르스 코리아가 맛탱이가 가고는 있지만

살기는 매우 좋은 나라 입니다


쓸모없는 기사 내용이네요



해외 나가서

어설픈 영어 씨부리다가

인종 차별 한번 당해보고



총기 사고를 겪어 봐야

사우르스 코리아가 무릉도원이었구나를

깨닫게 될 것 입니다



사우르스 코리아 사람들 스스로가

어설픈 비교질에 빠져서

스스로의 삶을 가혹하게 만들뿐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7060800009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교보 음식료/화장품 권우정 avatar
교보 음식료/화장품 권우정
08.05.202506:51
에이피알 퀵 업데이트 드립니다. 2분기 톤도 자신감 있으시네요 😊 맛점하세요!

⚡️에이피알 1Q25 Re 컨퍼런스콜

[연결 기준]
매출액 2,660억원 (YoY +78.6%)
영업이익 546억원 (YoY +96.5%)
OPM 20.5%(YoY 1.9%p)

성수기 4분기 매출을 넘어서 압도적 실적 성장세
브랜드 인지도 상승하며 글로벌 성장에서 성장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액 1,650억원 (YoY +152.3%)

메디큐브 화장품 매출은 YoY 203% 폭발적인 성장

[뷰티 디바이스 부문]
매출액 909억원 (YoY +36.2%)

부스터프로 미니 미국, 일본 글로벌 런칭

[지역별 매출]
해외 전체 1,893억원 (YoY 186%)
한국: 매출액 767억원 (YoY -7.3%)
미국: 매출액 709억원 (YoY +186.5%)
일본: 매출액 293억원 (YoY +198.3%)
중화권: 매출액 284억원 (YoY +39.4%)
기타: 매출액 607억원 (YoY +441.9%)

해외 비중은1Q24 44% -> 1Q25 71%

한국은 뷰티 시장이 성숙해 안정적인 사업이 유지되고 있으며, 패션 부문은 역성장 중임.
미국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경신했으며, 진출 이후 제품 효과가 입증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자발적 바이럴이 확산되고 있음.
일본은 3월 메가와리 기간 중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함.
중화권은 중국, 홍콩, 대만 전 지역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기타 지역은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라 고성장세를 지속 중이며, 전년 대비 442%의 폭발적인 성장 기록

#QnA
Q. 패션 부문 손실 금액 / 뷰티와 디바이스 각각 수익성
패션 부문에서는 약 30억 원 중반대 손실이 발생함.
올해부터는 발주량과 스타일 수를 줄이고 있어, 앞으로 패션 부문 매출은 감소하겠지만 손실액도 전체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뷰티와 디바이스의 상세 수익성은 잠정 공시 기준이어서 별도로 준비되어 있지 않음.

Q. 마케팅비 및 운반비 비중. 미국 & 일본 상세 비용
전사 기준 마케팅비는 매출의 18%, 운반비는 9%를 차지함. 마케팅비는 전년 대비 2%p 감소했고, 운반비는 전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
미국 및 일본의 상세 비중은 공유가 어려움.

Q. 기타 내 유럽 / B2B 성장 비중
기타 부문 내 B2B 비중은 90% 이상임.
유럽향 B2B 매출은 증가 중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 전망

Q. 미국) 월별 1/2/3월 매출 트렌드 및 관세 앞두고 사재기 트렌드 여부
월별 수치는 제공이 어렵지만, 미국 트렌드는 관세 발표 전후 모두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음.
1분기 기준으로는 3월이 프로모션 영향으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함.
관세로 인한 사재기 효과는 아님. 2분기 역시 견조한 매출 흐름이 이어지고 있음.

Q. 일본) 오프라인 3천 개 입점 목표 중 달성 정도
정확한 수치는 어렵지만, 일본 오프라인 입점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로, 현재 목표 대비 1천 개 미만 매장에 입점된 상태임. 2분기부터 B2B 오프라인 입점을 시도 중임.
매장 수가 늘지 않는 이유는 일본 전략이 느려서가 아니라, 글로벌 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해 SKU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매장 입점 수는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임.

Q. B2B 매출 셀스루 데이터 업데이트
현재 셀스루 데이터는 별도로 준비된 것이 없음.
다만, B2B 매출은 글로벌 전역에서 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00개국 이상 다양한 오프라인 및 홀세일 채널에서 매출이 증가 중임.

Q. 물류비 감소 원인 – 물류 효율화인지, 선제적 출하 때문인지?
1분기 물류비는 기존 9.5%에서 9.0%로 소폭 감소했으나, 유의미한 개선으로 보기는 어려움.
매출이 많이 올라가는 만큼 해외에 대량 선적 보내는 중
에어 비용은 1분기에는 많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 중

Q. B2B) 마케팅 비중 감소에 영향 주었는지? 2분기 마케팅 비용 계획
전체 판관비가 레버리지 효과로 감소하면서 마케팅 비중도 낮아진 것으로 보임.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광고 집행을 지속하고 있음. 마케팅비 비중은 유사하거나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

Q. B2B) 4~5월 매출 추이
1분기와 유사하게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B2B 외 다른 부문들도 대부분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Q. 달러 노출도 및 금융수익 증가의 달러 영향 여부
미국 매출은 전체의 약 27%를 차지함.
지역별 매출은 대부분 현지 통화 기준으로 발생하며, 환효과는 미국 손익 기준 0.5% 미만으로 추산됨.
매출원가는 한국 기준이지만, 기타 비용은 대부분 달러로 집행되기 때문에 환율에 연동되는 구조임.기타 국가들은 현지 통화로 인식. 금융수익은 환효과 보다는 다양한 금융상품 운용에 따른 금리 수익이며, 1분기 기타 금융수익은 약 40억 원 발생함.

Q. 연간 가이던스 OPM 17~18%에서 상향 계획

이전 컨콜에서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700~1,800억 원 수준의 가이던스를 제시함.
현재 시점에서 공식적인 변경은 없지만, 하반기 사업 계획을 감안하면 초과 달성 가능성이 높음.
내부적으로는 더 높은 목표를 추진 중임.

Q. 디바이스 판매량 지역별 브레이크다운 및 2분기 전망

1Q25 디바이스 판매량은 59만 대로 분기 기준 최대치 기록.
지역별 상세 판매 데이터는 현재 컨콜에서 제공 어려움.
화장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 상승이 디바이스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
하반기에는 디바이스 신제품 출시 예정이며, 신제품 중심으로 마케팅 진행 예정.

Q. 주요국 일본/미국/한국 전반적인 2분기 전망
2분기 및 3분기는 일반적으로 비수기이지만, 월별 매출 흐름이 양호해 2분기 전망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

Q. 중화권) 매출 성장 배경 및 도우인 샵 메디큐브 판매 관련 소비 트렌드 변화 여부

중국 전역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고, 소비 트렌드도 개선 중임.
다만, 중화권에서 미국·일본처럼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좀 더 추이를 지켜볼 필요 있음.
से पुनः पोस्ट किया: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avatar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07.05.202507:56
[속보] 체코전력공사 "한수원과 10년간 원자력연료 공급 받기로 계약"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07000857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거대병아리 자아실현 Story avatar
거대병아리 자아실현 Story
07.05.202507:04
4자리 찍고 천상계에 계신 스승님께서

한국장은 ATM이다.
놀면서 종목 리스트업하다가 지수 개폭락하고 피가 낭자할때 돈 땡겨서 들어가라.

1년에 2~3번만 매매해라.

라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네요.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변두매니저 avatar
변두매니저
07.05.202506:26
이창용 "환율 급락은 美와 환율협상 영향…지속할지는 미지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4430

그는 "미국이 환율에 대해서 어떤 걸 요구하고 있고 어떻게 앞으로 움직일지, 아시아 국가에 공통으로 무엇을 요구할지, 아니면 개별 국가에 따로따로 요구할지 등이 아직도 불분명하다"면서 "기획재정부가 실무 접촉을 하고 있으니, 몇 주 지나면 더 명확해질 것 같지만, 아직은 확실히 미국이 원하는 게 뭔지 정확하게 파악을 못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이 정말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도 아직 잘 모르겠다"면서 "이런 부분을 우리가 좀 더 파악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다만 "이런 논의가 된다는 것 자체가 시장의 기대에 굉장한 영향을 미친다"면서 "최근 환율이 움직이는 걸 보면 갑자기 아시아의 수출이 변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투자가 변해서 그런 건 아니고 그냥 미국하고 얘기한다는 것 자체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스턴다이나믹스 SPOT

유니버셜 스튜디오 취직

움직임이 경이롭다
दिखाया गया 1 - 24 का 1 115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