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avatar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avatar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अवधि
दृश्य की संख्या

उद्धरण

पोस्ट
रिपोस्ट छिपाएं
250225_Anthropic’s New AI Model Lets Users Decide How Much It Reasons

https://www.anthropic.com/news/claude-3-7-sonnet

(1) Anthropic이 질문의 복잡성에 따라 AI가 답변을 계산하는 '시간'까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AI 모델 'Claude 3.7 Sonnet'을 출시

(2) 해당 모델은 1) 빠른 답변을 선택할지, 2) 더 자세한 답변을 선택할 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시간을 들여 계산할 경우 AI가 생각하는 사고 과정[Chain-of-Thought]까지 상세하게 보여줌

(3) 이는 경쟁이 치열한 AI 시장에서 Anthropic이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

(4) 또한 Anthropic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Agent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코딩 작업을 자동화 하는 Claude Code라는 새로운 AI Agent를 선보일 예정

(5) 한편 Anthropic은 블로그 게시글을 통해 해당 모델이 월요일부터 무료 및 유료 사용자에게 제공된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무료 사용자가 추가 연산 능력에는 엑세스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임
*또한 코딩에는 Extended Thinking은 아직 없음

(6) AI가 Cloud의 비즈니스 모델을 정확하게 따라가는 것으로 보임. 컴퓨팅 사용량 대비 과금 구조. 그리고 치열한 경쟁과 이에 따른 전반적인 서비스 가격의 하락. 그리고 나타날 다양한 산업 지형의 변화까지

■ 가격: 인풋 1mn에 $3, 아웃풋 1mn에 $15 수준
*In both standard and extended thinking modes, Claude 3.7 Sonnet has the same price as its predecessors: $3 per million input tokens and $15 per million output tokens—which includes thinking tokens
250224_Samsung Considers Shifting Smartphone Production Away from China Amid U.S. Tariff Pressure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2/21/news-samsung-considers-shifting-smartphone-production-away-from-china-amid-u-s-tariff-pressure/

(1) 중국 ijiwei 보고서가 인도 Pune News를 인용해 삼성전자의 공급망 변화를 분석. 해당 공급망은 삼성전자의 중국 스마트폰 제조라인을 중국에서 중국 이외의 지역으로 옮기는 것에 관한 것

(2) 삼성전자가 중국 외부에서 새로운 공동 설계 제조(JDM, Joint Design Manufacturing) 파트너를 현재 적극적으로 찾고 있으며, 아직은 초기단계라고 언급

(3) 보고서는 특히 베트남이 전통적으로 중국을 대체하는 제조 라인의 중심지였으나, 베트남 또한 세금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인도'가 삼성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에 더 실현 가능한 옵션이라고 강조

(4) JDM은 계약 제조의 협력적 형태로, 주문한 회사와 제조업체가 제품 개발에 함께 참여하는 방식

(5) 현재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사업부에서 갤럭시 S 시리즈 및 폴더블 스마트폰과 같은 플래그쉽은 자체 생산을 하고 있으며, 중저가 라인업은 JDM과의 협력을 통해 이머징 향으로 포지셔닝

(6) 현재 삼성전자의 경우 전체 스마트폰 생산의 약 *20%가 JDM을 통해 제조되고 있으며, 해당 규모는 꽤 의미 있는 규모가 될 것이라고 코멘트.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Wingtech, Huaqin, Longcheer 등과 협력하고 있음
*4,480만대 = 2억 2,400만대*2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0.02.202504:48
2025.02.20 13:45:47
기업명: 디아이(시가총액: 5,108억)
보고서명: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종속회사의주요경영사항)

종속회사 : 디지털프론티어
제목 : SK하이닉스 向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 체결

* 주요 내용
1. 판매 및 공급계약 구분:


-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

(HBM / DDR5용 WAFER TESTER)

(DDR5용 PKG BURN IN TESTER)


2. 계약내역:


- 계약금액: 86,986,900,000원


- 최근매출액: 214,541,934,868원


- 매출액대비: 40.5%


3. 계약상대: SK하이닉스(주) (SK hynix Inc.)

4. 공급지역: 대한민국

5. 계약기간: 2025-02-19 ~ 2025-08-31

6. 계약(수주)일: 2025-02-19

* 기타 사항 :
- 본 공시는 당사 주요종속회사인 (주)디지털프론티어의의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과

관련한 공시임. - 상기 계약금액은 부가가치세(VAT) 포함 금액임. - 상기 최근매출액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된

2023년 연결재무제표상의 매출액 기준임. - 상기 계약(수주)일은 당사 P/O 접수일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080020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3160
19.02.202522:38
250220_Apple Debuts $599 iPhone 16e With AI, In-House Cellular Chip

(1) Apple이 AI 및 *자체 모뎀 칩[C1]을 탑재한 $599 가격의 iPhone 16e를 공개
*Qualcomm을 대체하는 자체 셀룰러 모뎀 칩을 탑재. 향후 '26년에는 Pro 모델에 2세대 자체 칩을 적용할 계획

(2) 해당 모델은 기존의 iPhone SE[$429]를 '3년'만에 대체하는 세그먼트이며, 가격은 시장 생각보다 조금 더 비싼 느낌

(3) iPhone 16과 동일한 A18을 탑재했으며 1) 6.1인치 화면, 2) Face ID, 3) 4,800만 화소 카메라, 4) USB-C 타입 충전 포트 등이 주요 특징
*Dynamic Island 인터페이스, MagSafe 무선 충전 기능, 고속 주사율(ProMotion) 디스플레이, 듀얼 후면 카메라 및 카메라 컨트롤 버튼이 포함되지 않았음(그런데 $170을 올렸음)

(4) 해당 모델은 올해 예정된 여러가지 디자인 변경 중 첫 번째 제품이며, 향후 Apple은 더 얇은 모델도 계획 중

(5) 사전 주문은 2월 21일부터 시작이며 28일에 공식 출시

(6) 한편 iPhone 16e는 Apple Intelligence가 적용

(7) 향후 관전 포인트로는 1) Apple Intelligence의 지역적 확장, 2) 작년 부진[특히 중국]했던 M/S를 해당 세그먼트[저가형 모델]로 회복할 수 있을지, 3) iPhone 17의 ASP 상승이 예상되는 가운데 M/S 및 마케팅 전략을 어떻게 가져갈 지 등
250218_Europe Defense Spending Lifts Stocks, Hurts Bonds: Markets Wrap

(1) 전일 유럽 장에서 방위 산업 관련주가 방위비 지출 확대 가능성으로 인해 크게 급등

(2) 미국 국방장관 피트 헤그세스는 지난 주말간 유럽 국가들을 겨냥해 방위비 지출을 더 많이 집행하라고 거듭 요구한 바 있음
https://m.yna.co.kr/amp/view/AKR20250214160000088

(3) 지난 14일, 폴란드 바르샤바를 찾아가 폴란드 아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 국방장관과 회담한 뒤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유럽 국가들은 지금 당장 국방에 투자해야 한다. 우리의 메시지는 분명하다"고 언급

(4) 헤그세스 장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의 4.7%를 국방비로 쓴 폴란드를 '모범적인 동맹국'이라고 추켜세우면서 "미국의 유럽 내 존재가 영원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는 없다"고 덧붙임

(5) 해당 분위기 속에서, 유럽 각국의 지도자들은 지난 밤(유럽 현지시각 월요일) 우크라이나와 지역의 안보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 회동을 단행

(6) 시장은 유럽의 지도자들이 1)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대규모 방위 패키지를 검토, 2) 향후 종전이 되더라도 재무장을 위한 방위비 규모의 구조적 증가라는 두 가지 사안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

(7) 신규 패키지 및 무기 리스타킹(재무장)이라는 요소 두 가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조속한 종식을 요구하면서 해당 계획은 더욱 더 '탄력'을 받는 상황(종전 → 리스타킹 수요 증가 → 방위 산업 업체 실적 증대라는 지난 100년간의 로직을 동일하게 반영)

(8) 한편 해당 대규모 패키지는 '2월 23일' 독일 조기 총선 이후 발표될 예정이며, 이는 투표 이전에 정책을 컨펌해서 지지율 논란을 일으키지 않기 위함으로 해석

(9) 이에 따라 유럽 방위 산업체들의 주가는 급등
*Rheinmetall[€40bn, 45x] +14%, BAE[£40bn, 20x] +9%, Saab[$14bn, 28x] +16%, Hensoldt[€5bn, 30x] +14%, Leonardo[€20bn, 22x] +8%

(10) 한편 이번 긴급 회동은 프랑스 파리에서 진행할 예정이며, 향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협상에서 미국이 EU를 배제할 것이라는 우려 또한 커지고 있음

(11) 그러나, 유럽에서의 지도자들은 유럽이 '자력'으로 나라를 지켜야 한다라는 것에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 -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지난 주 단독 통화 이후 더욱 더 심해지고 있는 상황

(12) 유럽에는 뛰어난 방산 기업이 다수 포진하고 있긴 함. 그러나 그들이 오롯이 혼자 할 수 있을까? K-방산에게 손을 더 뻗어 볼 수 있을 개연성이 충분하지 않을까?

(13) 또한 최근 국내 방산 업체들은 중동쪽으로도 새로운 수주 모멘텀이 열리고 있는 듯 함

(14) 가파른 주가의 상승을 시현했으나, 추가적인 모멘텀 또한 풍부한 상황이라고 판단
250224_China Developers Buy Land at 20% Premium in Bet on Market Bottom

(1) 최근 중국 국영 디벨로퍼들의 토지 매입이 다시 활황을 띄기 시작

(2) 이는 최근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조치 이후 발생하고 있는 현상으로 풀이 됨

(3) 완화 조치는 크게 1) 주택 구매 제한 완화[외지인의 구매 제한 완화], 2) 계약금 비율 완화[1주택자: 30% → 20%, 2주택자 40% → 30%], 3) 주담대 금리 인하, 4) 부동산 구매 시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것들임

(4) 실제로 지난해 11월, 베이징에서는 주거용 토지를 경매할 때 주택 가격 상한선을 설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3년 만에 다시 변경

(5) 국영 부동산 개발업체 China Overseas Land & Investment는 해당 토지를 매입하는 데 CNY¥11bn($1.5bn)을 투입한 바 있음

(6) 해당 흐름에 따라, 올해 매매된 토지 중 디벨로퍼가 토지를 '20% 이상' 웃돈을 주고 거래된 비율은 전체 매매의 약 37%에 육박하게 됨
■ '23(A) 4.6% → '24(A) 14.0% → '25(F) 37.0% By 중국지수연구원(China Index Academy)

(7) 현재 지방정부는 최근 몇 년 동안 감소한 토지 판매로 인한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

(8) 중국 지방 정부는 그동안 경기 부양을 위해 부동산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고, 토지 판매는 지방 정부 수입의 약 40%를 차지하여 부동산 개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크기 때문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55536&board_id=4&mid=a20200000000&utm_source=chatgpt.com

(9) 한편, 올해 10건의 대형 토지 거래 중 7건은 국영 기업이 주도

(10) 여기에는 China Resources Land, China Overseas Land & Investment, Poly Developments and Holdings Group, Greentown China Holdings 등이 대표적

(11) 한편, Bloomberg는 1) 소비자 신뢰지수 약세, 2) 주택 매매량 감소, 3) 주택 가격 하락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나, 4) 프리미엄 매매 비중 증가 현상은 중국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고 있다는 시그널이라고 해석

(12) China Real Estate Information 애널리스트 셰양춘(Xie Yangchun)은 "토지 시장이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니지만, 일부 도시에서는 특정 부지에 대한 뜨거운 입찰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고 코멘트

(13) 특히 상하이 및 인근 항저우와 같은 경제 중심지에서 우량 토지를 확보하려는 개발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강조

(14) 물론, CNY¥1bn($138mn) 이상의 토지 거래 건수는 여전히 부동산 침체 이전 수준을 밑돌고 있으며, China Real Estate Information의 자료를 구체적으로 보면, 거래된 토지 대부분은 규모가 작은 필지로 확인됨

(15) 아직까지 중국 전체 내수 소비의 확실한 소비 턴 어라운드로 보기에 해당 이슈는 *대표성을 띄기 어려우나, 가뭄의 단비 같은 데이터가 될 수도 있음
*1) 일부 1선 도시에 국한(2선의 경우에도 대도시 일부)되어 있으며, 2) 거래 단위 규모가 $138mn 이상인 대규모 거래이기 때문

(16) 규제 완화의 끝이 어디까지 펼쳐질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최근 중국의 AI 중심 Tech 산업의 부각과 함께 중국 내수 소비 또한 지속적인 Follow-Up을 해야될 것으로 보임

(17) 직관적으로 중국 부동산 디벨로퍼 턴어라운드에 직결 되는 현대건설기계/인프라코어 등 건설기계 업체의 현재 중국 매출 믹스는 약 HSD 수준. 따라서 손익에 가져올 임팩트는 크지 않음

(18) 시계열을 더 길게, 그리고 Top-Down 관점에서 중국향 매출 믹스가 높은 몇몇 국내 산업 및 기업에게 중기적으로는 우호적인 업황, 단기적으로는 우호적인 내러티브를 형성할 수 있는 개연성을 살펴 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 듯(소비재 중심 + 일부 엔터/미디어까지도..)
23.02.202509:45
브라질, XRP 현물 ETF 승인…美서도 출시 기대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333131
250221_Lenovo’s Profit Beats Estimates as AI Fuels PC Recovery Hopes

(1) Lenovo Group이 전일 FY3Q25 실적 발표에서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5.1%, 영업이익 +4.1%을 기록

(2) 경영진은 '25년이 AI 기능이 탑재된 PC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로 강한 수혜를 얻을 것이라고 언급

(3) DeepSeek 등의 등장으로 전반적인 소비자들의 AI P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구환신의 효과에 대해서도 내수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PC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이번 분기 24.3%로 2위와의 격차를 5%p까지 벌림

(4) 특히 DeepSeek의 AI을 우리의 제품에 향후 적용할 것이며, 향후 AI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 할 것이라는 입장

(5) 또한 DeepSeek 모먼트로 인해 향후 AI GPU Server 수요도 향후 고성이 기대된다고 덧붙임
*ISG(Infrastructure Solutions Group): 컨센서스 대비 탑 라인 +10% 상회했으며, 매출 믹스는 약 21% 수준

(6) 따라서, 향후 Dell, HPE처럼 엔터프라이즈 AI를 온프레미스/프라이빗으로 구축하는 사업을 기대

(7) 다만 1)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2) 여전히 부진한 경기, 3) AI PC의 침투율 불확실성 등에 대해서도 열어 놓는 신중한 균형 맞추기가 후반부에 진행

(8) 주가는 1월 28일부터 전전일까지 +35% 급등한 영향[이구환신 및 중국 AI/테크 강세]으로 실적 발표 이후 일부 차익 실현 매물 출회가 나온 것으로 보임[-6%]
20.02.202503:35
덴마크 "무기 사들여라, 무조건 빨리"…한국 방산에 기회되나 / 연합뉴스 (Yonhapnews)

https://www.youtube.com/watch?v=zj3m6iqZUYk&t=76s

대대적 재무장을 예고한 덴마크가 19일(현지시간) 국방예산 추가 편성과 함께 군 당국에 '조속한' 무기 조달을 지시했습니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이날 코펜하겐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와 내년 국방비를 500억 크로네(약 10조원) 추가 편성한다고 공식 발표했는데요.

전날 의회에서 안보상황이 "냉전 시절보다 더 엄중하다"면서 "대대적 재무장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한 후속 조처입니다.

덴마크는 이미 지난해 국방비를 10년간 총 1천900억 크로네(약 38조원)를 증액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요.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특히 "국방장관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단 하나다. (무기를) 사고, 사고, 또 사라(Buy, buy, buy)"라며 "중요한 건 오직 스피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최상의 무기를 구매할 수 없다면, 차선책을 사야 한다. 만약 우리가 원하는 무기를 구매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면, 보다 신속히 인도될 수 있는 다른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무기 조달 입찰에 소요되는 기간도 대폭 단축하겠다고 예고했는데요.

이런 발언을 고려하면 한국 방산업계에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 확대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러시아의 위협을 꼽았습니다.

3년 가까이 우크라이나를 적극적으로 지원한 탓에 무기가 고갈되는 등 현실적 이유도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편입하겠다는 의사를 노골화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됩니다.
17.02.202507:19
250217_Micron Technology: Sun Breaking Through The Clouds In DRAM - CITI

(1) CITI가 지난 한 달간 DDR5 Spot 가격의 안정적인 흐름 및 최근 소폭의 업턴 전환 등을 토대로 메모리 업계가 '덜 암울해지고 있다(A little less glommy)'라고 평가하며 Micron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

(2) YTD 기준 DDR5 Spot 가격은 +2% 상승했으며, 한 달 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 특히 가격 상승은 '24년 초가을 이후 처음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

(3) 이러한 한 달 간의 가격 안정세는 매출 믹스의 약 25%를 차지하는 스마트폰/PC 시장이 곧 2Q25부터 개선될 것이라는 우리의 기존 전망을 강화하는 요소라고 평가

(4) 한편 HBM 시장에서의 여전히 높은 성장 가능성 그리고 삼성전자의 NVIDIA 퀄 테스트 지연 등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올해 연말까지 HBM 시장 M/S '20%'에 도달 할 것으로 전망하며 Micron에 대한 긍정적인 뷰를 강조

(5) HBM의 GPM은 최소 70% 이상이며, 수율이 개선됨에 따라 수익성의 개선폭도 빠르게 올라올 것이기 때문

(6) 이에 따라 차분기는 매출액은 QoQ -9% 수준 역성장 하겠으나, GPM은 -1%p 수준을 전망하며 비수기 영향에도 불구하고, HBM 믹스 개선 효과에 대해 강조

(7) 한편 CITI는 올해 Micron의 HBM 매출액을 $7.6bn[약 11조, YoY +624%]으로 전망
*CY2025: HBM TAM $40.2bn / Micron M/S 19%
**CY2026: HBM TAM $58.5bn / Micron M/S 22%
***(사견) TAM 및 MU M/S 모두 다소 공격적인 듯

(8) 한편 NVIDIA향 HBM 퀄 테스트 지연으로 난항을 겪고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삼성전자의 전체 손익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치게 되는 시기는 이르면 '26년, 제품군 기준으로는 HBM4 출시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

(9) Valuation의 경우, '26년 EPS에 12x를 적용해 도출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avatar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24.02.202500:58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발 노이즈 - 캐파 과잉인가 전략적 단기 조정인가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글로벌 SW 담당 이영진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이터센터 임대 취소 관련 노이즈가 시장을 어둡게 덮고 있습니다.

채널 조사 결과 미국 내 수백 MW의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을 취소했으며, 임대 전환 축소/지연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외사 보고서가 나왔고,

페널티를 지불하고 위스콘신 Kenosha와 조지아 Atlanta 데이터센터 및 전력 공급 계약을 파기하고 있다는 루머도 대두되었습니다.

여기에 오픈AI가 2030년까지 AI 모델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컴퓨팅 파워의 75%를 스타게이트 향으로 전환한다는 보도가 나왔고,

샤티아 나델라 CEO가 드와르케시의 팟캐스트에서 과잉 공급을 언급했다는 내용이 자극적으로 기사화 되었습니다.

헤드라인만 놓고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캐파가 과잉 공급 상태이고, 향후 Capex를 줄이는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가 대두될 수 있습니다.

우선 지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발표부터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AI의 학습 관련 대규모 클러스터 구축에는 발을 빼고 추론용 케파 구축으로 선회하는 것은 예상된 흐름입니다.

오픈AI의 컴퓨팅 파워 전환 보도도 이를 재확인하는 내용에 불과합니다. 또한 해당 기사에도 전환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항후 몇 년 간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 향 지출도 지속 증가할 것이라고 언급되어있습니다.

샤티아 나델라 CEO가 과잉 공급을 언급한 것도 AI 수요 둔화를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업과 국가 단위의 공격적 투자에 따른 반대 급부이고,

데이터센터를 직접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임대하는 입장에서 '27년 및 '28년에 낮은 가격에 많은 용량을 임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맥락입니다.

추론 매출(수요) 확인을 언급한 것도 수요와 공급의 동행을 강조한 것이지 전망이 비관적으로 변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같은 팟캐스트에서 AI는 전세계 컴퓨팅 인프라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며, 하이퍼스케일러들에게 큰 기회라는 코멘트를 남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임대 계약 취소 배경으로 시설 및 전력 공급 지연이 꼽혔는데요. 당장 모델 학습을 위한 막대한 규모 케파가 필요없어진 상황에서 무리하게 계약을 끌고가는 것 보다 수요를 확인하며 대응하는 전략은 당연해 보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추론용 캐파입니다. 1월 초 보도된 위스콘신 주 Mount Pleasant 지역 33억 달러 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일시 중단도 이런 단기 케파 조정의 연장선입니다. 

사람들은 딥시크 이슈 이후 Capex 계획 변화를 우려했지만, 오히려 추론 비용 하락은 더 많은 API 소비와 서비스/앱 증가 가능성과 연계되며, 마이크로소프트도 공격적 Capex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언급된 해외 투자를 국내로 전환한 것도 강력한 추론 수요의 기대감이니까요. 마이크로소프트의 AI의 연 환산 매출은 지난 분기 130억 달러로 기존 전망치 100억 달러를 크게 뛰어 넘는 성과를 냈습니다.

결국 이전부터 확인된 오픈AI의 관계 변화에 따른 단기 캐파 조정 과정에 발생하는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2025/2/24 공표자료)
250223_Weekly

(1) OpenAI가 본격적으로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AI Agent인 'Operator'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https://techcrunch.com/2025/02/21/openai-rolls-out-its-ai-agent-operator-in-several-countries/
*해당 기능은 현재 EU를 제외한 호주, 브라질, 캐나다, 인도, 일본, 싱가포르, 한국, 영국 등에서 ChatGPT Pro 구독자에 한해 사용 가능

(2) 미국 FDA가 Wegovy, Ozempic의 공급 숏티지 부족 문제가 '안정화(Stabilize)'되기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https://www.fda.gov/drugs/drug-safety-and-availability/fda-clarifies-policies-compounders-national-glp-1-supply-begins-stabilize
*이에 따라 FDA는 급증하는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약물을 분류해 특별 관리하는 '공급 부족 목록(Drug Shortage Lists)'에서도 'Semaglutide'를 제외
**Hims & Hers는 해당 여파로 전 거래일 -26% 하락 마감. 반면 Novo Nordisk는 +6% 상승 마감

(3) xAI가 기존 모델 대비 연산 능력을 10배 향상시킨 AI 챗봇 Grok 3을 공개했습니다.
https://x.ai/blog/grok-3

(4) Meta가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브라질 등을 연결하는 50,000km 규모의 해저 케이블 시스템 'Project Waterworth' 구축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https://www.tomshardware.com/tech-industry/meta-plans-50-000-km-undersea-cable-to-connect-the-u-s-brazil-africa-india-and-australia

(5) 미국 반도체지원법(CHIPS Act)에 따른 지원금 재협상을 계획하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관련 지원금 지원이 지연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2/21/news-trumps-moves-could-delay-chips-act-funding-distribution-as-nist-plans-major-staff-cuts/

(6)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 청문회에서 중국이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무선 주파수를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전파 정책 현대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scmp.com/news/china/science/article/3299365/us-must-update-its-wavelength-policies-or-be-left-behind-china-congress-hears?module=top_story&pgtype=section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주파수 파이프라인 법안(Spectrum Pipeline Act)을 통해 8년 내 2,500MHz 연방 통제 주파수 대역을 경매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

(7) 미국 무역 대표부(USTR)가 중국 선사의 상선이 미국을 입항 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mn 또는 톤 당 $1K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2-22/trump-proposes-new-ship-fees-to-challenge-china-s-maritime-might

(8) 미국 SEC가 사상 최초로 이자 지급이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YLDS'를 승인했습니다.
https://cryptobriefing.com/yield-bearing-stablecoin-sec-approval/
*YLDS는 보유자에게 연 3.85%의 이자를 제공
20.02.202522:25
250221_4Q25 Walmart [In-line, $781bn, 32x]

(1)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부합, 영업이익 +2% 소폭 상회했으나, FY2026 가이던스가 시장 기대치를 미달(특히 수익성)하며 After -7%

(2) FY2026(F) Guidance
■ Net Sales +3~4% vs. +4.01%
■ Adj. EPS $2.5~2.6 vs. $2.77

(3) FY1Q26(F) Guidance
■ Net Sales +3~4% vs. +3.53%
■ Adj. EPS $0.57~0.58 vs. $0.64

(4) 경영진은 FY2026 가이던스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이 포함되지 않았으며, 향후 1) 공급 업체와의 협력 강화, 2) 자체 브랜드를 강화하면서 가격을 안정화 시키는 전략을 올해 펼칠 것이라고 언급

(5) 관세 영향을 가이던스에 보수적으로 잡지 않은 것은 워낙 변동성이 큰 사안이기 때문이라고 일단락 지었으며, 현재 Walmart는 1) 멕시코에서는 식료품을, 2) 중국에서는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 제품 등 머천트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고 설명

(6) 한편, Walmart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전략과 다소 높은 퀄리티를 중심으로 *중상위 소득 계층을 타겟으로 M/S를 확장하며 CY24년 좋은 실적 개선 및 주가 퍼포먼스를 기록했음
*연간 소득 $100K 이상

(7) CFO는 현재 소비자들의 구매 여력이 안정적인 상태라고 평가했지만, '지출이 완연한 회복세'에 이르지는 않았다고 코멘트

(8) 머천트 상품 판매가 개선되고 있으며, 연말 쇼핑의 경우도 회사의 기대치에 부합했으며 가장 중요한 식료품 가격의 경우 +LSD을 기록. 머천트의 경우에는 YoY 역성장
*식류품에서의 경우 조류독감으로 인한 계란 가격 급등(공급 부족)에 대해 언급

(9) 1월 한 달간의 매출의 경우 가장 강력한 성장을 기록했다고 경영진은 덧붙임

(10) 관세 등의 영향을 제거하더라도 가이던스 하단치에 근접 ~ 미달하는 실적에 오랜만에 큰 폭으로 하락

(11) 미국 양극화 소비 트렌드 및 고소득 계층에서의 Walmart 유입이라는 트렌드는 현재 지속되는 흐름(Walmart/CostCo > 중소형/저가 리테일러 및 백화점)

(12) Walmart의 주가가 아닌, '실적'이 꺾이는 시점이 미국 소비 여력의 변곡점 시그널이 될 것으로 여전히 판단하며, 향후 Fed의 통화정책 방향성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도~
20.02.202503:17
덴마크 "당장 무기 사들여라"…한국 방산에도 기회되나

https://m.yna.co.kr/view/AKR20250220000700098
19.02.202506:08
250219_‘Pokémon Go’ Maker Nears $3.5 Billion Deal to Sell Games Unit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2-19/-pokemon-go-maker-nears-3-5-billion-deal-to-sell-games-unit

(1) 'Pokémon Go' 제작사 Niantic이 비디오 게임 사업부 매각건[$3.5bn]에 대해 'Scorpely'와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2) 이번 거래에는 Pokémon 타이틀을 포함해 기타 모바일 게임 등이 포함될 예정

(3) Scopely의 경우 미국에 본사를 둔 모바일/비디오 게임 개발&퍼블리싱 회사. 모회사는 'Savvy Games Group'
*https://savvygames.com/

(4) 모회사 Savvy Games Group의 대주주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이며, '23년 7월에 Scopely를 $4.9bn 규모에 인수한 바 있음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2090

(5) Niantic의 경우 Pokémon Go의 성공 이후 한 동안 새로운 흥행 IP를 만드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

(6) 이에 따라 1) 직원 감축, 2) 일부 IP 개발 중단, 3) Harry Potter: Wizards Unite 등 일부 게임 서비스 종료까지 단행한 상황

(7) 한편, Niantic은 '15년, Alphabet(Google)에서 분사한 기업

(8) Niantic의 창립자이자 현 CEO인 John Hanke의 경우 과거 Google Map 등 위성 지도 제작 관련 연구를 하면서 Geo Product 헤드를 엮임 한 바 있음

(9)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Pokémon Go'를 런칭했고. 게임 플레이어들은 포켓몬을 찾기 위해 지도를 활용하고 이곳 저곳 돌아다니는 등 기존 게임과는 다소 차별적이고, 새로운 UX를 제공하며 글로벌리 히트를 치게 됨

(10) Niantic은 게임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를 진짜로 캡쳐하고 공유할 수 있는 도구(어플)를 포함해 유사한 AR 제품/서비스를 제작하고 있음

(11) Niantic은 '24년 11월, 자사 어플리케이션(포켓몬고 등)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로 "Large Geospatial Model(대규모 지리 공간 모델)"을 만들었다고 발표한 바 있음
https://nianticlabs.com/news/largegeospatialmodel?hl=en&utm_source=www.garbageday.email&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right-wing-social-networks-don-t-work

(11) 회사는 이를 'Neural Mapping'이라고 명명하고 있음. 그리고 이는 우리의 VPS(Visual Positioning System) 사업 일환
https://www.youtube.com/watch?v=2mx_x9cMOaY

(12) 지금까지 우리는 5,000만개 이상의 신경망 어텐션을 트레이닝 시켰으며, 150조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사용해 100만 개 이상의 장소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축

(13) Niantic이 가고자 하는 방향은 아래와 같음

(14) LGM(지리 공간 모델)이 멀티 모달 기반의 LLM과 상호 작용해, 1) AR Glass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보편화를 서포트하고, 2) 함께 '공간 컴퓨팅(Spatial Computing)'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15) '해당 접근'은 단일 파운데이션 모델 1개로는 쉽게 달성할 수 없는 방식. 다양한 모델의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LGM과 LLM이 상호 작용하는 방식이 디벨롭되면 AGI에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

(16) 이러한 상호 연결성이 바로 공간 컴퓨팅의 미래. 1) 물리적 세계 인지, 2) 이해하며, 3) 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뜻함

(17) Niantic은 단순히 게임을 넘어, 대형 지리 공간 모델을 통해 1) Spatial Planning and Design(공간 계획 및 설계&디자인), 2) Logistics(물류), 3) 사용자 참여(Audience Engagement), 4) Remote Collaboration(원격 협업) 등을 도모할 예정

(18) Niantic이 데이터를 모으는 방법은 흡사 'Tesla'와 매우 닮아 있음

(19) Tesla는 사용자[운전자]의 '이동(Mobiliy)'라는 '목적'에 딱 맞는 '수단(BEV)'을 제공하고, 양질의 Real Data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구조

(20) 해당 데이터를 통해 FSD를 지속 고도화 시키고, 일부 엣지 케이스의 경우 '시뮬레이션' 활용까지 덧붙이면서 물리 세계에서의 '이동'을 이해하는 S/W를 이미 완성시킴

(21) Niantic은 사용자[게이머]의 '유희(Play)'라는 '목적'에 딱 맞는 '수단(Game)'을 제공하고, 실제 Physical World의 Data를 획득하는 구조

(22) Physical World에서 나오는 양질의 데이터 확보와 사용자의 자발적인 행위의 교집합을 찾은 것이 바로 혁신의 시작
*이런 비즈니스 모델과 유사한 국내 업체로는 플리토와 같은 업체도 있음. 해당 업체의 데이터 획득 방법은 '언어 학습' 그 자체와 적절한 '리워드'

(23) 해당 업체들의 비즈니스 시발 포인트는 단순히 1) 컴퓨팅 파워를 많이 확보해서, 2)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것과는 확연히 다름[NVIDIA]

(24) 한편, 로보틱스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글로벌리 계속해서 커지고 있음

(25) 직관적으로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 점은 "휴머노이드 로봇'은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해서, 얼마나 빠르게, 잘 학습 시킬 수 있는가?"-임

(26) BMW 스파르탄버그 공장에서 단순히 부품을 들어서 끼우는 단순 노동이 아니라, 1) 스스로 이동하고, 2) 판단하고, 3) 행동이 연결되는 AGI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27) 일단 가장 효율적이고 저비용으로 온 지구의 데이터를 모아야 하는데, Niantic의 VPS(Visual Positioning System) 같은 것들이 향후에 꽤 주목 받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듦
https://nianticlabs.com/developers?hl=ko

(28) 감히 추측해 보건데, IP에 대한 권리는 사업부를 매각하면서 사우디 국부펀드에게 넘기더라도, 해당 IP(Pokémon Go, Pikmin Bloom 등)에서 파생되는 Real World Data에 대한 소유권(라이선스)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

[Niantic] VPS(Visu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 확보 및 매핑 방법
■ Niantic 게임(Pokémon Go, Pikmin Bloom) 사용자는 게임 플레이 중 주변 환경을 촬영/스캔할 수 있는데 해당 과정에서 시각 데이터를 수집. 물론 모두 익명화된 데이터 처리를 통해 개인정보 등의 이슈를 보호
■ Niantic Wayfarer: Niantic은 Wayfarer 프로그램을 통해 플레이어들이 특정 장소를 스캔하거나, 새로운 장소 정보를 제출하도록 장려(나무위키 수정 같은 것..). 주요 랜드마크나 포켓스탑(PokéStops) 같은 AR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장면의 시각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VPS의 정확성을 높임
https://wayfarer.nianticlabs.com/
■ 수집된 시각 데이터를 통해 3D 지형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AR 콘텐츠(게임)가 실제 환경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함
■ 즉, Niantic의 VPS는 "1) 자발적인 사용자 참여 → 2) 3D 매핑 기술을 결합 → 3) AI 머신 러닝 고도화 → 4) 양질의 콘텐츠 제공 → 5) 사용자 커뮤니티(Wayfarer) 활성화 → 6) 자발적인 사용자 증가"의 플라이 휠을 만들어 가고 있음
17.02.202507:19
23.02.202522:53
250224_OpenAI to shift 75% of data centers to Stargate by 2030

https://www.techinasia.com/news/openai-to-shift-75-of-data-centers-to-stargate-by-2030

(1) The Information에 따르면, OpenAI가 '30년까지 Data Center 용량의 약 75%를 SoftBank 지원 프로젝트 Stargate로 이전할 계획

(2) 해당 움직임은 OpenAI의 Microsoft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신호로 해석. 또한 단기적으로 Microsoft Data Center에 대한 투자도 현재 큰 이상 없이 진행 중
*MSFT의 리스 CAPEX 관련 노이즈는 대세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 됨

(3) 운영 비용 또한 '24년 $5bn에서 '27년 $20bn까지 급증할 전망

(4) 또한 '30년까지 AI 모델 운영 비용이 훈련 비용을 초과할 전망

■ Recent OpenAI developments
(1) 22-Feb-2025 🚫 OpenAI bans accounts possibly linked to N Korea job fraud
■ OpenAI bans accounts linked to a North Korea scam.
■ Fraud involved fake jobs and personal documentation.

(2) 19-Feb-2025 💻 OpenAI launches new benchmark to test AI in freelance work
■ OpenAI launches SWE-Lancer for LLM evaluation.
■ Dataset features 1,400 tasks with over $1M in payouts.

(3) 18-Feb-2025 🗳️ OpenAI considers board powers after Musk’s $97.4b bid
■ OpenAI considers special voting rights for board.
■ Musk’s $97.4B takeover bid rejected by OpenAI.

(4) 17-Feb-2025 📰 OpenAI updates ChatGPT policy for neutrality, diversity
■ OpenAI updates AI training policy for neutrality.
■ ChatGPT to present multiple views on sensitive topics.

(5) 16-Feb-2025 🚀 OpenAI merges o3 into GPT-5, plans GPT-4.5 release first
■ OpenAI cancels o3, integrates features in GPT-5.
■ GPT-4.5 to be released as final non-chain model.

(6) 16-Feb-2025 🚫 OpenAI board rejects Elon Musk’s $94.7b takeover bid
■ OpenAI rejects Musk’s $97.4B acquisition bid.
■ CEO deems bid as hindrance to progress.
250221_DOGE 배당금(feat. Elon Musk, James Fishback)

(1)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피시백의 기똥찬 아이디어를 고려중이라고 밝힘

(2) 그들의 아이디어는 DOGE에서 절감한 비용의 약 20%를 미국 시민들에게 Cash로 환급 해주는 것

(3) 또 다른 20%는 국가 부채 상환에 사용한다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머지 60%는 아직 어떤 방식으로 흘러갈 지는 불투명한 상황

(4) 해당 아이디어에는 투자회사 Azoria의 CEO이자 트럼프의 최측근이기도 한 제임스 피시백이 처음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짐

(5) 피시백은 한때 DOGE의 공동 수장을 맡았던 비벡 라마스와미와도 엄청 가까운 사이

(6) 제임스 피시백의 공식 제안에 따르면, DOGE가 '26년 7월에 공식 폐지된 이후 모든 미국인 납세자 가정에 'money-back guarantee(세금 환급 수표)'를 지급하는 방안이 포함되어 있음

(7) DOGE의 배당금 아이디어는 온라인에서 큰 화제성을 모았고, 피시백이 X(트위터)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올린지 5일 만에 트럼프의 귀까지 들어가게 됨

(8) 해당 제안에 따르면 약 7,900만 가구가 가구 당 $5,000 수준의 수표를 받게 되는 구조

(9) 세금 환급 수표(Tax Refund Check)는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급 수단이지만, 정확히 말하면 정부가 발행하는 수표

(10) 은행에서 현금으로 인출할 수도 있고, 계좌에 입금해서 사용할 수도 있어 사실상 현금과 같은 가치를 지님

(11) 피시백은 DOGE의 총 절감액이 $2tn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며, 이를 소득세를 납부하는 가구에게 분배할 계획이라고 아래 X(트위터)에서 밝힘
https://x.com/j_fishback/status/1891933120313663493

(12) 한편, 현재까지 DOGE는 $55bn 절감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만약 여기서 20%의 금액을 소득세를 내는 7,900만 가구로 나누게 되면 약 $139 수준임

(13) 그러나 DOGE가 주장하는 $55bn은 현재 왈가왈부가 많은 상황(오류 표기 등..ㅋㅋ)이며, Bloomberg의 추정에 따르면 실제 절감액은 *$8.6bn 수준. 해당 규모로 나누게 될 경우 약 $21.5 수준을 가구 당 지급할 것으로 계산
*DOGE에서 $55bn을 절감했다고 주장하지만,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16.6bn만 확인할 수 있었고 데이터의 일부 오류까지 감안하면 실제 절감액은 현재 $8.6bn로 줄어듦
**DOGE 웹사이트의 데이터 오류로 인해 한 계약이 $8bn으로 잘못 기재되었고, 이후 연방정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 금액이 $8mn으로 정정

(14) 심지어 일론 머스크 또한 초기 목표였던 $2tn 규모의 절감은 포기한 것으로 보임

(15) 지난 달, 머스크는 이미 $2tn은 최고의 시나리오일 뿐이라며 아마 해당 규모의 '절반' 정도가 달성 가능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한 바 있음

(16) 한편, 벌써부터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까지 지금 나오고 있음

(17) 어느 정도의 규모가 될지 아직 예측 가능한 사안은 아님. 그러나 조 단위가 넘어가는 돈을 현금으로 지급하면 경제에는 즉각적인 유동성이 공급될 것이고, 이는 소비를 급격히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

(18) 이러한 DOGE 배당 정책 제안은 과거 '21년 3월, 조 바이든이 COVID-19 시기에 승인 했었던 역대 최대 규모의 경기 부양책과도 유사함

(19) '2021 미국 구조 계획법(American Rescue Plan Act 2021)'은 미국 국민의 약 90%에 1인당 $1,400의 수표가 직접 지급되는 부양책을 펼침(+아동 세금 공제 연장, 실업 수당 연장, 백신 배포 기금, 의료 보조금, 식당 지원에 이르는 다양한 조치 등도 포함)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CotraNewsDetail.do;JSESSIONID_KITA=78598DF69133D0BAD6CBFE98452C2170.Hyper?no=187682&siteId=2

(20) 세인트루이스 연준에 따르면, '22년 초까지 발생한 인플레이션의 약 '1/3'을 차지했으며, 그 결과 '22년 6월에는 41년 만에 역대 최고치인 9%의 인플레이션을 기록한 바 있음

(21) 피시백은 자신의 제안에서 약 1/4을 인플레이션 우려를 해소하는 것에 할애하고, 세금 환급 수표는 모든 납세자가 아닌 '순소득 납세자(net-income taxpayers, 세금을 낸 사람들)'에게만 지급하면 인플레이션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

(22) 이는 순소득 납세자들은 추가로 받은 돈을 당장 100% 모두 소비하기보다 저축하는 경향이 더 크기 때문이라는 논리에서 나옴

(23) 또한 피시백은 DOGE 배당금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재정 정책(적자 지출)이 아니라 절감된 예산에서 그 돈의 소스가 나오기 때문이라고 설명

(24) 한편 미국의 정치/사회 평론가인 스콧 애덤스는 "DOGE 배당이 재정적으로 보수적이지 않다[정부가 재정을 책임감 있게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무분별하게 지출하는 경향]"라며 우려

(25) 애덤스는 DOGE 최악의 시나리오 중의 하나가 DOGE를 통한 절감액을 하나의 새로운 '저금통(재정 정책 수단)'으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일갈. 그리고 이미 의회도 그렇게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기에 이를 심히 우려한다고 코멘트

(26) 머스크는 이에 대해 우리의 최우선 과제는 예산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라고 마무리 지으며 논쟁을 일단락

(27) 이런 미친 생각이 정말로 실현될 수도 있을 것 같은 나라가 미국

(28) 진짜 DOGE의 절감액 규모에 따라서 정말 미국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요소로 디벨롭 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29) 산술적으로 COVID-19 대규모 부양책 규모와 유사한 규모($1,400)로 가기 위해서는 DOGE는 약 $553bn을 절감하는 것에 성공해야 함
*$553bn=$1,400*79mn(명)/20%

(30) 목표치의 1/4에 딱 도달하는 것. 머스크 형의 주특기이기도 함. 일단 $2tn에서 $1tn으로 낮아졌고 또 한 번 낮추면서 스무스하게 $2~300bn 정도는 결국 해낼 수도 있지 않을까? ㅋㅋ

(31) 그렇다면 세금 내는 7,900만 가구에게 정말 $500~760 정도가 지급되고 실물 경제에도 진짜 후폭풍을 가져올 수도..?-라는 망상을 해봄

(32) 그냥 재밌어서 가져왔는데, 가볍게 웃어 넘기기엔 뭔가 불안. 실제로 진짜 어떻게 될지 모르겠음 ㅋㅋ
20.02.202513:17
비비 (BIBI) - 행복에게 (Bluebird) Official M/V

https://youtu.be/EdbiVcksUAI?si=1lVhzLWQjbN62_o8
19.02.202522:53
250220_1Q25 Analog Devices [Beat, $120bn, 28x]

(1) 컨센서스 대비 매출액 +3%, 영업이익 +4% 상회

(2) FY2Q25 Guidance
■ Revenue $2,400~2,600mn vs. $2,473.8mn
■ Adj. EPS $1.58~1.78 vs. $1.67

(3) 가이던스의 경우 하단 기준으로는 미스했으나 상단 기준으로는 비트
■ Revenue -3% ~ +5.1%
■ Adj. EPS -5.4% ~ +6.6%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일 주가는 +10% 급등했고 이는 경영진이 차분기부터 탑라인 성장률 + 전환에 대한 강한 자신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임

(5) CFO Richard Puccio는 "1분기 동안 수주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특히 산업용/자동차 부문의 강세가 차분기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고 언급

(6) 유통 채널에서 Distributors의 믹스가 높아지는 시기가 되면 확연한 레거시 턴에 대한 확신이 높아질 듯

(7) Analyst Comment
■ Evercore ISI: 이번 분기 실적 및 차분기 실적 전망은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이 바닥을 찍었다는 우리의 가설을 뒷받침하며, 곧 "리스타킹 사이클"이 올 것으로 보임
■ Truist Securities: 핵심 지표에서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지만, 차분기 전망은 시장 컨센서스 대비 엇갈린 반응(가이던스 상하단 이슈)
■ KeyBanc Capital Markets: 해당 분기 실적 및 차분기 전망이 긍정적이며, 산업용, 자동차, 통신 부문이 예상보다 강했고, 소비자 부문은 시장 예상과 부합
■ Vital Knowledge: 절대적인 숫자 자체가 강한 수준일 뿐만 아니라, 피어인 ON Semiconductor, NXP Semiconductors, STMicroelectronics의 실망스러운 실적과 비교했을 때 우리의 이번 실적은 더욱 고무적
18.02.202503:13
금융당국, 3월 말 공매도 재개…무차입공매도 방지조치 의무화

https://www.yna.co.kr/view/AKR20250218071700002
17.02.202504:22
코인시장 뒤흔든 ‘아르헨티나 트럼프’의 밈코인 러그풀[매일코인]

https://www.mk.co.kr/news/stock/11242634

주말간 코인시장이 ‘남미의 트럼프’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밈코인 ‘리브라(LIBRA)’로 들썩였다.

그가 직접 리브라를 추천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지만 등장한지 수시간만에 개발팀이 코인을 팔아치웠고 80% 이상 폭락했기 때문이다.

밀레이는 급하게 해당 코인을 잘 모르고 추천했다며 자신의 발언을 취소했지만 아르헨티나의 야권은 탄핵을 추진하기로 했다.
दिखाया गया 1 - 24 का 142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