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5.202512:06
#네이버 #카카오 #인터넷 #BinaryOnly #주린주린열매
네카오는 비싸고 돈 못벌고 성장 못하는 친구...😭
지역별 빅테크 밸류에이션 지표 비교 (2025.05.09)
링크 : https://t.me/blackwhitestock/2308
네카오는 비싸고 돈 못벌고 성장 못하는 친구...😭
<느낀 점>
1. 대부분 작년 재작년 너무 많이 올라 성장성에 비해 멀티플은 여전히 비싸다.
2. 한국 네이버 카카오는 답이 없다.
3. 유럽은 빅테크라 할만한 기업이 아예 없다.
4. 중국은 알리바바 등 싸보이는 업체들이 좀 있다.
5. 성장주는 팔란티어, 메르카도, SEA가 눈에 띔
지역별 빅테크 밸류에이션 지표 비교 (2025.05.09)
링크 : https://t.me/blackwhitestock/2308
09.05.202513:39
#CJENM #미디어 #NEWS
이제 실제로 중국에서 공연할 수 있는건 보이즈플래닛 중국 현지화 그룹입니다.
> 애초에 현지화 그룹은 24년에도 본토 공연했음.
> ZB1을 통한 보이즈플래닛2의 성공 기대감.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45900?influxDiv=NAVER
이펙스, 중국 공연 돌연 연기...한한령 완화 너무 이른 기대감이었나
이제 실제로 중국에서 공연할 수 있는건 보이즈플래닛 중국 현지화 그룹입니다.
> 애초에 현지화 그룹은 24년에도 본토 공연했음.
> ZB1을 통한 보이즈플래닛2의 성공 기대감.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45900?influxDiv=NAVER
이펙스, 중국 공연 돌연 연기...한한령 완화 너무 이른 기대감이었나
09.05.202509:48
#더존비즈온 #실적 #25년1분기
매출액 : 986억
영업이익 : 215억
당기순이익 : 119억
[24년 4분기]
매출액 : 1,114억
영업이익 : 294억
당기순이익 : 200억
사실, 무엇을 더존비즈온에게 기대했는지 의문이 드는 셀온이라는 생각이 처음에 들긴했음.
회사는 꾸준하게 국내 기업 치고는 높은 밸류를 받고 있어서 25년 기준 30.12x로 매력적이지 않은 회사임.
연초 상승분은 제4인터넷은행 기대감이었고 하락시에는 참여를 하지 않았기에 40x 받던 상황에서 내려온 상황.
시장의 실망 포인트를 추측하자면, 더존비즈온은 작년 한해동안 경기 둔화, 투자 축소 사이클에서 성공적인 성장과 비용 축소를 통한 마진 개선을 보여줌.
그리고 AI 적용을 통해서 전환 매출, 신규 매출이 발생한다는 기대감이 존재했음.
하지만, 비수기라는 계절성이 있지만 밋밋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음. 그리고 연결 자회사들이 손잡고 별도를 훼손시켰음.
ONE AI는 세무법인 바쁜 시즌인 5월달에 유저가 많이 늘어나는지가 관건이라고 봄. 현재로서는 1만개 목표가 부담스러워 보이고 근거가 부족해 보임.
제주은행 시너지는 확실히 있을 것으로 보이나 신한은행, 더존비즈온 보도자료를 통해서 연말, 내년초 부터 상품들이 나온다고 하니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음.
매출액 : 986억
영업이익 : 215억
당기순이익 : 119억
[24년 4분기]
매출액 : 1,114억
영업이익 : 294억
당기순이익 : 200억
사실, 무엇을 더존비즈온에게 기대했는지 의문이 드는 셀온이라는 생각이 처음에 들긴했음.
회사는 꾸준하게 국내 기업 치고는 높은 밸류를 받고 있어서 25년 기준 30.12x로 매력적이지 않은 회사임.
연초 상승분은 제4인터넷은행 기대감이었고 하락시에는 참여를 하지 않았기에 40x 받던 상황에서 내려온 상황.
시장의 실망 포인트를 추측하자면, 더존비즈온은 작년 한해동안 경기 둔화, 투자 축소 사이클에서 성공적인 성장과 비용 축소를 통한 마진 개선을 보여줌.
그리고 AI 적용을 통해서 전환 매출, 신규 매출이 발생한다는 기대감이 존재했음.
하지만, 비수기라는 계절성이 있지만 밋밋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음. 그리고 연결 자회사들이 손잡고 별도를 훼손시켰음.
ONE AI는 세무법인 바쁜 시즌인 5월달에 유저가 많이 늘어나는지가 관건이라고 봄. 현재로서는 1만개 목표가 부담스러워 보이고 근거가 부족해 보임.
제주은행 시너지는 확실히 있을 것으로 보이나 신한은행, 더존비즈온 보도자료를 통해서 연말, 내년초 부터 상품들이 나온다고 하니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음.
Reposted from:
[미래 임희석] 인터넷/게임 아카이브
![[미래 임희석] 인터넷/게임 아카이브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36ea4263-f2c4-40c2-9f00-83dc0e826429.jpg%3Fw%3D24%26h%3D24&w=48&q=75)
07.05.202501:13
<1Q25 카카오게임즈 주요 Q&A>
Q. 신작 CBT 관련, 개발 상황, 내부 기대감, 규모 및 일정 공유
1) 크로노오디세이
- 주요 컨텐츠 및 서비스 구현 완료
- 글로벌 서구 유저 약 150명 비공개 테스트 진행 후 게임 전반 퀄리티 향상 확인
- 향후 스팀 글로벌 유저 대상 대규모 CBT 준비 중, 5월 중 일정 공개(5월초 홈페이지 내 공유 목표) 및 상반기 중 CBT 진행
2)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 컨텐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게임 핵심 시스템 개발 완료 후 마무리 폴리싱 작업 중
- 6-7월 중 글로벌 서구 유저 대상 비공개 테스트 예정
- 하반기 중 글로벌 CBT 목표
- 내부 대작 게임 간 리소스 배분 및 시너지 고려하여 CBT 일정 조율
Q. 모바일 매출 관련, 2분기 이후 오딘 반등 예상?
- 코어 유저층 유지 중
- 4Q24 신규 직업 출시 후 1Q25 트래픽 일부 반등
- 6월 중 4주년 대규모 이벤트로 트래픽 및 매출 반등 예상
- 오딘 글로벌 성과, 아시아 등 글로벌 내 인지도 있는 IP로 정착 중
- 하반기 중 가디스오더 등 출시로 모바일 매출 증가 기대
Q. 가디스오더 관련, 주요 타겟 시장 및 글로벌 타겟 요소?
- 주요 타겟 시장: 한국, 일본, 북미/유럽 등
- 5월 내부 글로벌 테스트 진행 후 유저 긍정 반응 확인
- 6월 소프트런칭, 3분기 후 글로벌 출시 계획
- 도트 그래픽 기반 액션 게임으로 수집, 육성, 캐릭터별 전투 시스템 차별화 등 진행
- 개발사 로드컴플릿 히트작 크루세이더 퀘스트(글로벌 누적 2,500만 다운로드) 글로벌 팬덤 바탕으로 초기 유저 모객 계획
Q. 넵튠 매각 이유 및 매각 대금 활용 방안
- 이유: 중장기적 성장 모멘텀 관점에서 목표 수준 내 성과 미흡 판단
- 대금 활용: 미정이나 신작라인업 확충 및 지분 투자 우선 검토 및 부채 일부 상환 고려
Q. 재무 관련, 마진 및 마케팅 가이드라인 등 향후 재무적 목표
- 상반기까지 대작 부재, 매출 및 수익성 현재 기조 유지 예상
- 하반기 가디스오더 출시 후 성장세 회복 목표
- 이후 프로젝트Q, 크로노오디세이 등 출시로 내년까지 매출 성장세 달성
- 수익성 달성 시점 목표는 하반기나 내년 초부터 가시성 확보할 듯
- 인건비: 작년 연간 인건비 수준 내 관리
- 마케팅비: 신작 투자 지속 및 라이브게임 보수적 비용 집행으로 연간 매출액의 10% 내 통제
- 비용 통제로 수익성 모멘텀 한계 존재, 매출 성장이 주된 목표
Q. PC/콘솔 플랫폼 확장 관련, 크로노오디세이,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외 주목 타이틀?
- 오션 드라이브, 엑스엘게임즈 중심으로 글로벌 타켓 PC/콘솔 개발 시도 중
- 갓세이브워밍업 영상 공개 후 첫 주 만에 80만 뷰 달성 및 글로벌 유저 기대감 상승
- PAX이스트 2025 보스턴(현지 시간 5/8)에서 플레이 영상 공개 및 향후 개발 지속 계획
Q. 신작 CBT 관련, 개발 상황, 내부 기대감, 규모 및 일정 공유
1) 크로노오디세이
- 주요 컨텐츠 및 서비스 구현 완료
- 글로벌 서구 유저 약 150명 비공개 테스트 진행 후 게임 전반 퀄리티 향상 확인
- 향후 스팀 글로벌 유저 대상 대규모 CBT 준비 중, 5월 중 일정 공개(5월초 홈페이지 내 공유 목표) 및 상반기 중 CBT 진행
2)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 컨텐츠,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 게임 핵심 시스템 개발 완료 후 마무리 폴리싱 작업 중
- 6-7월 중 글로벌 서구 유저 대상 비공개 테스트 예정
- 하반기 중 글로벌 CBT 목표
- 내부 대작 게임 간 리소스 배분 및 시너지 고려하여 CBT 일정 조율
Q. 모바일 매출 관련, 2분기 이후 오딘 반등 예상?
- 코어 유저층 유지 중
- 4Q24 신규 직업 출시 후 1Q25 트래픽 일부 반등
- 6월 중 4주년 대규모 이벤트로 트래픽 및 매출 반등 예상
- 오딘 글로벌 성과, 아시아 등 글로벌 내 인지도 있는 IP로 정착 중
- 하반기 중 가디스오더 등 출시로 모바일 매출 증가 기대
Q. 가디스오더 관련, 주요 타겟 시장 및 글로벌 타겟 요소?
- 주요 타겟 시장: 한국, 일본, 북미/유럽 등
- 5월 내부 글로벌 테스트 진행 후 유저 긍정 반응 확인
- 6월 소프트런칭, 3분기 후 글로벌 출시 계획
- 도트 그래픽 기반 액션 게임으로 수집, 육성, 캐릭터별 전투 시스템 차별화 등 진행
- 개발사 로드컴플릿 히트작 크루세이더 퀘스트(글로벌 누적 2,500만 다운로드) 글로벌 팬덤 바탕으로 초기 유저 모객 계획
Q. 넵튠 매각 이유 및 매각 대금 활용 방안
- 이유: 중장기적 성장 모멘텀 관점에서 목표 수준 내 성과 미흡 판단
- 대금 활용: 미정이나 신작라인업 확충 및 지분 투자 우선 검토 및 부채 일부 상환 고려
Q. 재무 관련, 마진 및 마케팅 가이드라인 등 향후 재무적 목표
- 상반기까지 대작 부재, 매출 및 수익성 현재 기조 유지 예상
- 하반기 가디스오더 출시 후 성장세 회복 목표
- 이후 프로젝트Q, 크로노오디세이 등 출시로 내년까지 매출 성장세 달성
- 수익성 달성 시점 목표는 하반기나 내년 초부터 가시성 확보할 듯
- 인건비: 작년 연간 인건비 수준 내 관리
- 마케팅비: 신작 투자 지속 및 라이브게임 보수적 비용 집행으로 연간 매출액의 10% 내 통제
- 비용 통제로 수익성 모멘텀 한계 존재, 매출 성장이 주된 목표
Q. PC/콘솔 플랫폼 확장 관련, 크로노오디세이,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외 주목 타이틀?
- 오션 드라이브, 엑스엘게임즈 중심으로 글로벌 타켓 PC/콘솔 개발 시도 중
- 갓세이브워밍업 영상 공개 후 첫 주 만에 80만 뷰 달성 및 글로벌 유저 기대감 상승
- PAX이스트 2025 보스턴(현지 시간 5/8)에서 플레이 영상 공개 및 향후 개발 지속 계획


06.05.202523:47
#실적 #카카오게임즈 #25년1분기
매출액 : 1,228.54억원
영업이익 : -124.40억원
당기순이익 : -334.28억원
[24년 4분기]
매출액 : 1,332.23억원
영업이익 : -39.46억원
당기순이익 : -1,094.76억원
결국, PC+모바일 비중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1,500억 분기매출은 해줘야 BEP 레벨인데 모바일(오딘)쪽이 감소 추세다 보니 유지가 안되는 상황.
신작들이 좀 멀게 느껴지는 부분이 한동안 약세 지속이 될 요인.
매출액 : 1,228.54억원
영업이익 : -124.40억원
당기순이익 : -334.28억원
[24년 4분기]
매출액 : 1,332.23억원
영업이익 : -39.46억원
당기순이익 : -1,094.76억원
결국, PC+모바일 비중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1,500억 분기매출은 해줘야 BEP 레벨인데 모바일(오딘)쪽이 감소 추세다 보니 유지가 안되는 상황.
신작들이 좀 멀게 느껴지는 부분이 한동안 약세 지속이 될 요인.


02.05.202511:46
#Game #펄어비스
출시일 확정 !
> 붉은사막의 명예사 가능성이 사라지고 GTA6를 피했던 다수의 게임들과 싸워서 체급 대로 평가받게되었습니다.
> GTA6와 싸워서 졌다 vs 요테이랑 싸워서 졌다.
GTA6(Grand Theft Auto VI) / 오픈월드액션어드벤처
플랫폼 : PS5, Xbox
개발사 : 락스타노스(락스타게임즈)
전작(GTA5) 판매량 : 2억장(2024.05 기준)
출시일 : 2026/05/26
출시일 확정 !
> 붉은사막의 명예사 가능성이 사라지고 GTA6를 피했던 다수의 게임들과 싸워서 체급 대로 평가받게되었습니다.
> GTA6와 싸워서 졌다 vs 요테이랑 싸워서 졌다.
GTA6(Grand Theft Auto VI) / 오픈월드액션어드벤처
플랫폼 : PS5, Xbox
개발사 : 락스타노스(락스타게임즈)
전작(GTA5) 판매량 : 2억장(2024.05 기준)
출시일 : 2026/05/26
10.05.202503:54
#CJENM #미디어 #NEWS
✅ 5월 11일 촬영시작 - 7월 온에어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241/0003435676
제2의 제베원 나올까… ‘보이즈 2 플래닛’ 11일 첫 촬영
https://m.joynews24.com/v/1842621
'활동 중단' 베리베리 동헌·계현·강민, '보이즈2플래닛' 출격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17/0003941340
다크비 희찬·해리준, '보플2' 출격…서바이벌 재도전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312/0000711138
BL 찍더니 '보플2' 출격…'김요한 그룹' 김준서, 7년 차에 세 번째 아이돌 도전
✅ 5월 11일 촬영시작 - 7월 온에어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241/0003435676
제2의 제베원 나올까… ‘보이즈 2 플래닛’ 11일 첫 촬영
https://m.joynews24.com/v/1842621
'활동 중단' 베리베리 동헌·계현·강민, '보이즈2플래닛' 출격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17/0003941340
다크비 희찬·해리준, '보플2' 출격…서바이벌 재도전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312/0000711138
BL 찍더니 '보플2' 출격…'김요한 그룹' 김준서, 7년 차에 세 번째 아이돌 도전
09.05.202511:02
#크래프톤 #Game
근황 체크 : 3,000 따리
인조이 / 인생시뮬레이션(SIMS l`ike)
플랫폼 : PC/콘솔
개발사/퍼블리셔 : 크래프톤
최초공개 : 지스타2023(23/11/16 ~ 19)
게임즈컴2024 : 24/08/21 ~ 25
얼리엑세스 : 25/03/28 09:00
근황 체크 : 3,000 따리
인조이 / 인생시뮬레이션(SIMS l`ike)
플랫폼 : PC/콘솔
개발사/퍼블리셔 : 크래프톤
최초공개 : 지스타2023(23/11/16 ~ 19)
게임즈컴2024 : 24/08/21 ~ 25
얼리엑세스 : 25/03/28 09:00
09.05.202509:33
#카페24 #인터넷 #신한증권
결론 : 24%가 빠진 상황에서도 꽉찬 적정 밸류 수준인 것 같다.
(시장상황)
- 1분기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성장률은 2.6%에 불과 그런데 쿠팡 커머스 부문 매출 성장률 16%
- 쿠팡을 제외한 국내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은 0.4%에 불과
- 네이버 GMV 성장률 +4.9% / 카페24 GMV 성장률 +8.7%
- 네이버 커머스 중개 및 판매 성장률 +12.3% / 카페24 매출액 성장률 +8.9%
✅ 규모 상에서 쿠팡, 네이버에 비해 작은 플랫폼 치고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 못한 상황.
(밸류에이션)
- 네이버 쇼핑의 지난 1년간 GMV 50.9조원 / EV/GMV = 0.18x (9.4조 수준으로 평가)
- 카페24의 지난 1년간 GMV 12.7조원 / EV/GMV = 0.095x
- NHNKCP의 24년 GMV 48.6조원 / EV/GMV = 0.006x
> 공교롭게도 네이버쇼핑(0.18)과 NHNKCP(0.006)의 평균은 0.093x로 현재 카페24 밸류와 비슷함.
> 국내 온라인 커머스의 성장이 두자리대 나오면서 오프라인 점유율이 빠지던 상황에서는 0.3x 이상을 받았지만 현재는 낮아지고 있는 국내 커머스.
> 개인적으로 카페24는 커머스 밸류와 PG 밸류 그 사이정도를 받는게 합리적이다 라는 생각.
> 현재 밸류보다 더 높게 받으려면 GMV 성장률이 두자리대 이상이 나와야한다고 생각함. (PG, 커머스 모두 그럴때 밸류를 높게 받았었음.)
> 그리고 해외진출은 불가능하다보니 글로벌 피어들과 비교할 수 없음.
25/02/25 에 쓴 카페24 밸류 생각 : 0.1x 미만에서는 유튜브 쇼핑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보유관점. 이상에서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
결론 : 24%가 빠진 상황에서도 꽉찬 적정 밸류 수준인 것 같다.
(시장상황)
- 1분기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성장률은 2.6%에 불과 그런데 쿠팡 커머스 부문 매출 성장률 16%
- 쿠팡을 제외한 국내 이커머스 시장 성장률은 0.4%에 불과
- 네이버 GMV 성장률 +4.9% / 카페24 GMV 성장률 +8.7%
- 네이버 커머스 중개 및 판매 성장률 +12.3% / 카페24 매출액 성장률 +8.9%
✅ 규모 상에서 쿠팡, 네이버에 비해 작은 플랫폼 치고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 못한 상황.
(밸류에이션)
- 네이버 쇼핑의 지난 1년간 GMV 50.9조원 / EV/GMV = 0.18x (9.4조 수준으로 평가)
- 카페24의 지난 1년간 GMV 12.7조원 / EV/GMV = 0.095x
- NHNKCP의 24년 GMV 48.6조원 / EV/GMV = 0.006x
> 공교롭게도 네이버쇼핑(0.18)과 NHNKCP(0.006)의 평균은 0.093x로 현재 카페24 밸류와 비슷함.
> 국내 온라인 커머스의 성장이 두자리대 나오면서 오프라인 점유율이 빠지던 상황에서는 0.3x 이상을 받았지만 현재는 낮아지고 있는 국내 커머스.
> 개인적으로 카페24는 커머스 밸류와 PG 밸류 그 사이정도를 받는게 합리적이다 라는 생각.
> 현재 밸류보다 더 높게 받으려면 GMV 성장률이 두자리대 이상이 나와야한다고 생각함. (PG, 커머스 모두 그럴때 밸류를 높게 받았었음.)
> 그리고 해외진출은 불가능하다보니 글로벌 피어들과 비교할 수 없음.
25/02/25 에 쓴 카페24 밸류 생각 : 0.1x 미만에서는 유튜브 쇼핑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보유관점. 이상에서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


07.05.202501:02
#제주은행 #더존비즈온 #인터넷
✅ 핀테크쪽으로 생각하면 너무 재미있는 생각이 많이 듦.
더존비즈온 IR 장표에서 B2C적인 힌트가 있는데, '임직원 실시간 자격 조회 및 상품 신청 _ 재직, 소득 데이터 기반 급여 가불, 이연 상품 이용'
> 신개념 단기 대출 제공 (급여/퇴직금/회사보증 연동)
> B2C적으로는 저신용자 중금리 대출 상품 구상이 되는 상황.
B2B적으로는 매출채권 유동화, 실시간 데이터 기반으로 리얼타임 신용 등급 책정을 통한 타사보다 저금리 대출로 고객사 확보가 가능할 것.
링크 : https://www.douzone.com/invest/ir_news_read.jsp?id=2885&
✅ 핀테크쪽으로 생각하면 너무 재미있는 생각이 많이 듦.
더존비즈온 IR 장표에서 B2C적인 힌트가 있는데, '임직원 실시간 자격 조회 및 상품 신청 _ 재직, 소득 데이터 기반 급여 가불, 이연 상품 이용'
> 신개념 단기 대출 제공 (급여/퇴직금/회사보증 연동)
> B2C적으로는 저신용자 중금리 대출 상품 구상이 되는 상황.
B2B적으로는 매출채권 유동화, 실시간 데이터 기반으로 리얼타임 신용 등급 책정을 통한 타사보다 저금리 대출로 고객사 확보가 가능할 것.
링크 : https://www.douzone.com/invest/ir_news_read.jsp?id=2885&
06.05.202523:39
#NEWS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6/VNA4LDOARVELJDPLUCQYDLQQN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美, 구글 광고기술도 강제 매각 추진…온라인 독점 제동
https://www.mk.co.kr/news/business/11309940
“파페치·대만 등 글로벌 사업 덕”…쿠팡 1분기 매출 11.4조 21%↑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PE6TFB3
'네이버 야심작' 쇼핑앱, AI 힘입어 초기 순항…이용자 175만 명 쑥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657304
SOOP, 태국 MCN ALTF4와 손잡고 글로벌 공략
https://www.mk.co.kr/news/it/11308398
넥슨도 출격…블록체인서 성장동력 찾는 게임사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1170
컴투스, 신작 '더 스타라이트' OST 6종 공개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39255
"中 텐센트가 밀어준다" 대륙서 800만 대기열 모은 시프트업 니케...기대감 '쑥'
https://dealsite.co.kr/articles/140579
기존 IP 한계 뚜렷…신작 실패로 더해진 리스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72173?rc=N&ntype=RANKING&sid=001
위메이드맥스·매드엔진, 신작 '탈: 디 아케인 랜드' 최초 공개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05/06/VNA4LDOARVELJDPLUCQYDLQQNA/?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美, 구글 광고기술도 강제 매각 추진…온라인 독점 제동
https://www.mk.co.kr/news/business/11309940
“파페치·대만 등 글로벌 사업 덕”…쿠팡 1분기 매출 11.4조 21%↑
https://www.sedaily.com/NewsView/2GSPE6TFB3
'네이버 야심작' 쇼핑앱, AI 힘입어 초기 순항…이용자 175만 명 쑥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657304
SOOP, 태국 MCN ALTF4와 손잡고 글로벌 공략
https://www.mk.co.kr/news/it/11308398
넥슨도 출격…블록체인서 성장동력 찾는 게임사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1170
컴투스, 신작 '더 스타라이트' OST 6종 공개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139255
"中 텐센트가 밀어준다" 대륙서 800만 대기열 모은 시프트업 니케...기대감 '쑥'
https://dealsite.co.kr/articles/140579
기존 IP 한계 뚜렷…신작 실패로 더해진 리스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72173?rc=N&ntype=RANKING&sid=001
위메이드맥스·매드엔진, 신작 '탈: 디 아케인 랜드' 최초 공개


02.05.202506:57
#거래대금 #데일리
5월 1주차 : 25/05/02
MSFT 실적 호조 / META 실적 호조 / AMZN 실적 호조 = #테크 #전력기기 우려감 해소
> 전력기기는 여전히 수출데이터 호조 + 1Q25 Re 1분기가 바닥, 구조적 성장 시작(LS일렉트릭) + 1Q25 Re 호실적 수주 성장까지(효성중공업) + 1Q25 Re 호황과 우려 사이 시험대, 긍정에 무게 (HD현대일렉트릭) + 성장가도 이상무. 관세 영향 제한적, 노이즈도 선반영 (산일전기)
> 유럽 정전사태 + MSFT 실적 발표에서 전력 부족 언급 + 실적 발표시 안정적인 수주잔고 및 향후전망 = 다시 상승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잡힌 것 같음.
> 테크는 엔비디아 관련한 SK하이닉스, 두산, 이수페타시스가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줌.
#엔터 #미디어 는 한한령 해소 되면 좋은건 알겠는데 기자들이 너무 선행하는 듯 함. 일단 EPEX 공연이 취소되지 않고 진행되는지부터 봐야할 것 같음.
> 애초에 엔터/미디어는 중국 열리는걸 가정하면서 주가가 올라가고 있음.
미중 무역 분쟁이 완화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나스닥 선물도 오르고 테크/미용쪽이 강세를 보임.
#바이오 는 비만쪽이 테마가 계속 잡히는 중. 릴리 컨콜
✅ 테크가 더 상승한다고 보면, 지수 상단을 열어줘도 된다고 생각함.
> (순수출에 따른 마이너스지만) GDP 성장률은 좋지 않았고 PCE, ISM이 빠른 변화를 요구하는 정도로는 나오지 않아서 관세 이슈가 5월중에 해소가 된다면 6월에 발표될 5월 데이터는 무시하고 갈 수도 있을 것 같은 시간적 여유가 생긴 개인적인 느낌임.
> 따라서 지표 발표 전까지는 그래도 적당히 베트 짧게 잡고 놀기에 좋은 구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
5월 1주차 : 25/05/02
MSFT 실적 호조 / META 실적 호조 / AMZN 실적 호조 = #테크 #전력기기 우려감 해소
> 전력기기는 여전히 수출데이터 호조 + 1Q25 Re 1분기가 바닥, 구조적 성장 시작(LS일렉트릭) + 1Q25 Re 호실적 수주 성장까지(효성중공업) + 1Q25 Re 호황과 우려 사이 시험대, 긍정에 무게 (HD현대일렉트릭) + 성장가도 이상무. 관세 영향 제한적, 노이즈도 선반영 (산일전기)
> 유럽 정전사태 + MSFT 실적 발표에서 전력 부족 언급 + 실적 발표시 안정적인 수주잔고 및 향후전망 = 다시 상승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잡힌 것 같음.
> 테크는 엔비디아 관련한 SK하이닉스, 두산, 이수페타시스가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줌.
#엔터 #미디어 는 한한령 해소 되면 좋은건 알겠는데 기자들이 너무 선행하는 듯 함. 일단 EPEX 공연이 취소되지 않고 진행되는지부터 봐야할 것 같음.
> 애초에 엔터/미디어는 중국 열리는걸 가정하면서 주가가 올라가고 있음.
미중 무역 분쟁이 완화 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나스닥 선물도 오르고 테크/미용쪽이 강세를 보임.
#바이오 는 비만쪽이 테마가 계속 잡히는 중. 릴리 컨콜
✅ 테크가 더 상승한다고 보면, 지수 상단을 열어줘도 된다고 생각함.
> (순수출에 따른 마이너스지만) GDP 성장률은 좋지 않았고 PCE, ISM이 빠른 변화를 요구하는 정도로는 나오지 않아서 관세 이슈가 5월중에 해소가 된다면 6월에 발표될 5월 데이터는 무시하고 갈 수도 있을 것 같은 시간적 여유가 생긴 개인적인 느낌임.
> 따라서 지표 발표 전까지는 그래도 적당히 베트 짧게 잡고 놀기에 좋은 구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
10.05.202500:19
#엔터
공연 연기 공고문
> 확정적 미래인 CJ ENM 중국 현지 아이돌 중국 공연 말고는 불확실해짐.
<strike>워드로 사기치고 중국 외교부한테 질문할때 알아봄</strike>
2025 EPEX CONCERT《青春缺乏》福州
일시 : 25/05/31
장소 : MAAQUU&CH8 LIVEHOUSE (1,200석 규모)
공연 연기 공고문
> 확정적 미래인 CJ ENM 중국 현지 아이돌 중국 공연 말고는 불확실해짐.
<strike>워드로 사기치고 중국 외교부한테 질문할때 알아봄</strike>
2025 EPEX CONCERT《青春缺乏》福州
일시 : 25/05/31
장소 : MAAQUU&CH8 LIVEHOUSE (1,200석 규모)
09.05.202511:00
#거래대금 #데일리
5월 2주차 : 25/05/09
실적에 대한 베타가 엄청 강한 시장.
> 넷마블 서프라이즈 / 와이지엔터 서프라이즈 / 금호석유 서프라이즈 (2분기 톤다운) / 코웨이 서프라이즈 / 롯데쇼핑 서프라이즈 (+롯데시네마 합병)
> 카페24 어닝 미스 / 더존비즈온 어닝 미스 / 씨앤씨인터내셔널 어닝 미스 / 덴티움 어닝 쇼크 / BGF리테일 어닝 쇼크 / GS리테일 어닝 쇼크
어제까지 생각하면, 지누스 서프라이즈 (일회성 포함) / 에이피알 서프라이즈 / LIG넥스원 서프라이즈 (톤업이 없던 컨콜) / 씨에스윈드 서프라이즈 / 스튜디오드래곤 어닝 쇼크 / CJ ENM 어닝 쇼크
그러면서 라인메탈은 신고가라서 방산은 여전히 좋고 국내 기업들의 실적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서 전고점을 넘겨서 주가가 강세.
구글의 검색 지위가 흔들리는 이슈로 인해서 네이버, 카카오는 나쁘지 않은 실적에도 어제 하락세를 면치 못함.
바이오쪽은 개별적으로는 강세를 보이는 기업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미국 바이오 하락세에 영향 받는 중.
시장과 밀접하게 붙어있다면 돈 벌기 쉬운 장. 괜히 홍대픽하면 상당히 포모를 느낄 장.
아마도, 나를 포함한 5월장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은 예측을 통해서 뷰가 부정적으로 잡혀있는 사람들. 대응을 통해서 열린 시각으로 장을 봤으면 쉬웠을 장.
5월 2주차 : 25/05/09
실적에 대한 베타가 엄청 강한 시장.
> 넷마블 서프라이즈 / 와이지엔터 서프라이즈 / 금호석유 서프라이즈 (2분기 톤다운) / 코웨이 서프라이즈 / 롯데쇼핑 서프라이즈 (+롯데시네마 합병)
> 카페24 어닝 미스 / 더존비즈온 어닝 미스 / 씨앤씨인터내셔널 어닝 미스 / 덴티움 어닝 쇼크 / BGF리테일 어닝 쇼크 / GS리테일 어닝 쇼크
어제까지 생각하면, 지누스 서프라이즈 (일회성 포함) / 에이피알 서프라이즈 / LIG넥스원 서프라이즈 (톤업이 없던 컨콜) / 씨에스윈드 서프라이즈 / 스튜디오드래곤 어닝 쇼크 / CJ ENM 어닝 쇼크
그러면서 라인메탈은 신고가라서 방산은 여전히 좋고 국내 기업들의 실적도 호조를 보이고 있어서 전고점을 넘겨서 주가가 강세.
구글의 검색 지위가 흔들리는 이슈로 인해서 네이버, 카카오는 나쁘지 않은 실적에도 어제 하락세를 면치 못함.
바이오쪽은 개별적으로는 강세를 보이는 기업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미국 바이오 하락세에 영향 받는 중.
시장과 밀접하게 붙어있다면 돈 벌기 쉬운 장. 괜히 홍대픽하면 상당히 포모를 느낄 장.
아마도, 나를 포함한 5월장을 어려워하는 사람들은 예측을 통해서 뷰가 부정적으로 잡혀있는 사람들. 대응을 통해서 열린 시각으로 장을 봤으면 쉬웠을 장.
07.05.202501:39
#카카오게임즈 #Game
개발자 노트 #1: 현황 업데이트
크로노 오디세이 / MMORPG
플랫폼 : PC/콘솔
개발사 : 크로노스튜디오(엔픽셀 내부 스튜디오)
퍼블리셔 : 카카오게임즈
CBT : 2Q25
출시일 : 4Q25
개발자 노트 #1: 현황 업데이트
크로노 오디세이 / MMORPG
플랫폼 : PC/콘솔
개발사 : 크로노스튜디오(엔픽셀 내부 스튜디오)
퍼블리셔 : 카카오게임즈
CBT : 2Q25
출시일 : 4Q25
07.05.202500:33
#제주은행 #인터넷 #더존비즈온
트랜드에는 확실히 맞는 선택.
오픈뱅킹/인터넷은행 에서 임베디드 뱅킹 쪽으로 방향성은 변화 중.
K-스트라이프 가 될 수 있는 제주은행.
Open banking vs. embedded finance: A guide
>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대출, 보험, 뱅킹 등의 금융 서비스를 비금융 앱이나 플랫폼과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행에 갈 필요 없이, 쇼핑, 업무, 자금 관리 등 어디에서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제 시 대출을 받거나, 앱에서 디지털 지갑으로 결제하거나, 소매점에서 즉시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임베디드 금융 시장은 2023년 827억 달러 규모였으며 , 2033년까지 연평균 21.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대출, 보험 등의 금융 서비스와 비금융 플랫폼을 통합합니다. 은행이나 별도의 앱을 이용하는 대신, 사용자는 쇼핑, 차량 예약, 사업 재정 관리 등 어디에서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시 금융 서비스 제공, 앱 내 보험, 긱 워커(Gig Worker) 지급 등에 활용됩니다.
> 앱 내 브랜드 결제 (기업은 사용자를 제3자에게 보내지 않고도 결제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통합 대출 및 BNPL (기업은 고객이 은행에 갈 필요 없이 결제 시 자금 조달 옵션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형 뱅킹(BaaS) (기업은 자사 플랫폼 내에서 은행 기능(예: 계좌, 직불 카드, 공과금 지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내장형 보험 (기업은 고객에게 별도로 보험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대신, 구매 과정에 보험 적용 범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된 공급업체 및 급여 지불 (사업 운영을 관리하는 플랫폼은 근로자나 공급업체에 직접 급여를 지급하기 위한 금융 도구를 내장할 수도 있습니다.)
핀테크 부활하나…美 스트라이프, 650억弗 평가 받아 (24/02/29)
[글로벌 유망기업-스트라이프] 페이팔 아성 깰 기대주...기업가치 100조 (25/02/02)
트랜드에는 확실히 맞는 선택.
오픈뱅킹/인터넷은행 에서 임베디드 뱅킹 쪽으로 방향성은 변화 중.
K-스트라이프 가 될 수 있는 제주은행.
Open banking vs. embedded finance: A guide
>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대출, 보험, 뱅킹 등의 금융 서비스를 비금융 앱이나 플랫폼과 통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행에 갈 필요 없이, 쇼핑, 업무, 자금 관리 등 어디에서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결제 시 대출을 받거나, 앱에서 디지털 지갑으로 결제하거나, 소매점에서 즉시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임베디드 금융 시장은 2023년 827억 달러 규모였으며 , 2033년까지 연평균 21.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대출, 보험 등의 금융 서비스와 비금융 플랫폼을 통합합니다. 은행이나 별도의 앱을 이용하는 대신, 사용자는 쇼핑, 차량 예약, 사업 재정 관리 등 어디에서든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임베디드 금융은 결제 시 금융 서비스 제공, 앱 내 보험, 긱 워커(Gig Worker) 지급 등에 활용됩니다.
> 앱 내 브랜드 결제 (기업은 사용자를 제3자에게 보내지 않고도 결제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통합 대출 및 BNPL (기업은 고객이 은행에 갈 필요 없이 결제 시 자금 조달 옵션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형 뱅킹(BaaS) (기업은 자사 플랫폼 내에서 은행 기능(예: 계좌, 직불 카드, 공과금 지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내장형 보험 (기업은 고객에게 별도로 보험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대신, 구매 과정에 보험 적용 범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된 공급업체 및 급여 지불 (사업 운영을 관리하는 플랫폼은 근로자나 공급업체에 직접 급여를 지급하기 위한 금융 도구를 내장할 수도 있습니다.)
핀테크 부활하나…美 스트라이프, 650억弗 평가 받아 (24/02/29)
[글로벌 유망기업-스트라이프] 페이팔 아성 깰 기대주...기업가치 100조 (25/02/02)


06.05.202508:35
#미디어 #NEWS
넷플릭스(-1.94%), 디즈니(-0.41%), 폭스(-0.42%), 컴캐스트(-0.03%), AMC (-1.49%)
> 장초 낙폭이 컸다가 회복한 모습. 아직 어떻게 관세가 적용되는지 확정이 안됬다보니 논란이 많은 상황.
> 일단, 관세와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봤던 섹터에서 처음 나온 상황이라 부정적.
> 넷플릭스(해외)에 판매매출로 성과를 많이 내는 유럽/한국 + 해외 촬영지로 선택되는 유럽/호주 이런곳을 타겟한 관세 아닐까 싶음.
Hollywood’s reaction to Trump’s movie tariffs idea: Confusion, dread and a little hope
A 100% Tariffs on Films Produced
Outside the U.S. - Negative on Korean Film Production Companies
Australia, New Zealand pledge support for film industry after Trump proposes tariffs
넷플릭스(-1.94%), 디즈니(-0.41%), 폭스(-0.42%), 컴캐스트(-0.03%), AMC (-1.49%)
> 장초 낙폭이 컸다가 회복한 모습. 아직 어떻게 관세가 적용되는지 확정이 안됬다보니 논란이 많은 상황.
> 일단, 관세와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봤던 섹터에서 처음 나온 상황이라 부정적.
> 넷플릭스(해외)에 판매매출로 성과를 많이 내는 유럽/한국 + 해외 촬영지로 선택되는 유럽/호주 이런곳을 타겟한 관세 아닐까 싶음.
Hollywood’s reaction to Trump’s movie tariffs idea: Confusion, dread and a little hope
A 100% Tariffs on Films Produced
Outside the U.S. - Negative on Korean Film Production Companies
Australia, New Zealand pledge support for film industry after Trump proposes tariffs
02.05.202506:30
#위메이드 #Game
✅ 풋백이 있기 때문에 토해내셔야 합니다.
위메이드 전환사채 발행 조건 : 24년 사업보고서
제 1차 ~ 제 4차 전환사채 : 785억
위메이드 제4차 전환사채 : 200억 (SK플래닛)
> 만기 보장 수익률 연복리 6%로 갚아야함.
✅ 풋백이 있기 때문에 토해내셔야 합니다.
위메이드 전환사채 발행 조건 : 24년 사업보고서
제 1차 ~ 제 4차 전환사채 : 785억
위메이드 제4차 전환사채 : 200억 (SK플래닛)
> 만기 보장 수익률 연복리 6%로 갚아야함.


09.05.202514:40
#CJENM #미디어
보이즈플래닛2 중국 편은 중국 내 현지 기획사랑 댄스스튜디오랑 협력해서 캐스팅 진행중입니다.
중국 지역 캐스팅 팀 : 招賣君studio
> 공식 웨이보
중국 지역 협력사 : K.A DANCE ACADEMY (북경), HEY+娱乐文化 (청두), RGM热血教室 (우한), PINKBOSS ACADEMY (시안), 线星娱乐 (충칭), 橙子艺考教育 (항저우), U.A DANCE STUDIO (광저우), PHOENIX舞蹈工作室 (상하이), BANANA舞蹈工作室 (선전)
공식웨이보 : https://m.weibo.cn/u/7968426875?luicode=10000011&lfid=231522type%3D1%26t%3D10%26q%3D%23男宝星球2中国海选%23
보이즈플래닛2 중국 편은 중국 내 현지 기획사랑 댄스스튜디오랑 협력해서 캐스팅 진행중입니다.
중국 지역 캐스팅 팀 : 招賣君studio
> 공식 웨이보
중국 지역 협력사 : K.A DANCE ACADEMY (북경), HEY+娱乐文化 (청두), RGM热血教室 (우한), PINKBOSS ACADEMY (시안), 线星娱乐 (충칭), 橙子艺考教育 (항저우), U.A DANCE STUDIO (광저우), PHOENIX舞蹈工作室 (상하이), BANANA舞蹈工作室 (선전)
공식웨이보 : https://m.weibo.cn/u/7968426875?luicode=10000011&lfid=231522type%3D1%26t%3D10%26q%3D%23男宝星球2中国海选%23
09.05.202510:11
#데브시스터즈 #Game
사실 전성기때 마케팅 수준을 1분기에 보여주셔서 주주 모두가 놀라버림. 갑티슈에서 돈 뽑아쓰듯 쓰던 그 시절 그 데브. 그 망령이 다시 깃든 우리 데브.
링크 : https://www.devsisters.com/investors/ir-releases
2분기 역시 규모감 있는 마케팅 집행 예상되나, 이는 영업이익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집행될 예정.
사실 전성기때 마케팅 수준을 1분기에 보여주셔서 주주 모두가 놀라버림. 갑티슈에서 돈 뽑아쓰듯 쓰던 그 시절 그 데브. 그 망령이 다시 깃든 우리 데브.
링크 : https://www.devsisters.com/investors/ir-releases
07.05.202501:35
#카카오게임즈 #Game
갓세이브버밍엄 / 좀비서바이벌
개발/퍼블리셔 : 오션드라이브스튜디오
플랫폼 : PC/콘솔
게임즈컴 2024 : 24/08/21 ~ 25
PAX East 2025 : 25/05/08 ~ 11
출시일 : 4Q25
God Save Birmingham - PAX East 2025 Demo Gameplay Walkthrough by Dev - No Commentary
갓세이브버밍엄 / 좀비서바이벌
개발/퍼블리셔 : 오션드라이브스튜디오
플랫폼 : PC/콘솔
게임즈컴 2024 : 24/08/21 ~ 25
PAX East 2025 : 25/05/08 ~ 11
출시일 : 4Q25
God Save Birmingham - PAX East 2025 Demo Gameplay Walkthrough by Dev - No Commentary


07.05.202500:26
#제주은행 #더존비즈온 #인터넷
신한지주 IR BOOK : https://shinhangroup.com/kr/ir/finance/investorPresentations
신한지주 IR BOOK : https://shinhangroup.com/kr/ir/finance/investorPresentations
06.05.202507:15
#NEWS #Game
✅해당 이슈에 대해서 중국 게임주는 반응이 없었음. 사실 글로벌 게임사 중에서 모바일 비중이 높은 중국 게임사들이 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해당 이슈는 노이벤트.
텐센트(+1.64%), 넷이즈(+0.68%), 비리비리(+0.83%), 37게임즈(+0.79%), 세기화통(+4.98%)
> 세기화통은 실적 발표 호조로 상승.
✅해당 이슈에 대해서 중국 게임주는 반응이 없었음. 사실 글로벌 게임사 중에서 모바일 비중이 높은 중국 게임사들이 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해당 이슈는 노이벤트.
텐센트(+1.64%), 넷이즈(+0.68%), 비리비리(+0.83%), 37게임즈(+0.79%), 세기화통(+4.98%)
> 세기화통은 실적 발표 호조로 상승.


02.05.202506:19
#위메이드 #Game #NEWS
위믹스 잘되면 나중에 소장 가치가 있지 않을까 했지만...
https://www.inews24.com/view/1840763
위믹스, 2차 거래지원 종료 현실화…DAXA "소명자료만으로 해소되지 않아"
위믹스 잘되면 나중에 소장 가치가 있지 않을까 했지만...
https://www.inews24.com/view/1840763
위믹스, 2차 거래지원 종료 현실화…DAXA "소명자료만으로 해소되지 않아"
Shown 1 - 24 of 1 082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