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상상인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avatar

상상인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자료 및 뉴스 공유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Dec 28, 2024
Added to TGlist
Mar 07, 2025

Records

25.03.202511:49
1.7KSubscribers
15.03.202523:59
100Citation index
07.02.202518:26
4.1KAverage views per post
10.03.202506:54
4KAverage views per ad post
16.03.202507:44
2.72%ER
07.02.202518:26
589.20%ERR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MAR '25MAR '25MAR '25MAR '25APR '25APR '25APR '25

Popular posts 상상인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Deleted25.03.202503:34
✊현대제철이 미국 58억달러 투자를 공시했네요. 건설은 2026년 3분기부터이구요. 투자금액' $58억의 자본구조는 자기자본 50%와 외부차입 50%로 검토 중이며, 당사를 포함한 현대차그룹 및 기타 투자자와의 지분출자를 협의 중에 있습니다.
🇺🇸 트럼프가 관세를 핑계로 시장을 뒤흔드는 이유

개인적으로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관세 얘기를 꺼내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고 생각합니다

1. 미중 패권 경쟁에서 우위 차지
2. 미국 자산의 건강한(?) 디레버리징


1. 미중 패권 경쟁에서 우위 차지

트럼프는 사실 처음부터 중국 제외한 나라들에게 관세를 부과할 생각이 없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전략은 단순히 관세 자체가 아니라, 치고 올라오는 중국을 견제하고, 동맹국 및 주변국들이 미국과 중국 중에서 미국을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것입니다.

트럼프는 관세로 딜을 치며 중국을 고립시키고,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우위를 낮추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결국 수십 개국이 미국과 협상에 나섰고, 중국은 미국에 관세로 맞섰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결국 많은 나라들이 중국보다는 미국편에 설 것이라고 봅니다.

1)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시장

많은 나라들은 미국에 수출을 의존함. 미국이 수입을 줄이면, 다른 나라들은 대체 수요처를 찾기 어려움.

2) 중국은 결국 자급자족하고, 수출을 많이하지 수입을 많이 하는 나라는 아님

중국은 2018년 무역전쟁 이후 내수중심, 자급자족, 수입 대체를 강화함. 실제로 최근 10년간 중국 GDP 100달러 증가당 수입 증가액이 21.5 달러에서 12.5 달러로 감소함. 중국의 수입은 러시아, 베트남, 브라질 등 소수 국가에 집중되어 있음.

중국은 필요하면 외산을 언제나 대체하는 나라임. 예를 들면 한국의 배터리 산업이나 디스플레이 산업을 보면 알 수 있음. 중국은 시장 개방을 약속했다가도 언제든 규제 강화, 자국 우선 정책, 수입 제한 등으로 입장을 바꾼 전례가 많음.

결국, 미국이 같은 편에 설 것을 요구하면, 많은 나라들은 미국을 선택할 것입니다.

2. 미국 자산의 건강한(?) 디레버리징

불과 1-2주 전 대규모 관세 발표 이후, 레버리지가 극대화된 미국 자산 시장에 연쇄적 마진콜과 매도 압력이 발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전방위적인 시장 급락이 발생하였고 변동성이 심해졌습니다.

저는 트럼프가 의도적으로 자산시장의 거품을 꺼뜨리기 위해 시장에 말로 변동성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가계 총자산 / GDP 는 5.7배로 장기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고, 미국 총 부채는 미국 GDP의 3배 이상으로 과도한 레버리지를 낀 상태입니다.

또한 모두가 미국 자산 상승에 베팅하며 엔 캐리 트레이드 등의 레버리지를 활용해 미국 자산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한국인들의 미국 주식 매수세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죠.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 금융자산은 57조 달러에 육박합니다.

저는 트럼프가 관세 등 충격을 통해 기관 투자자 등의 레버리지 자금의 이탈과 자산시장 조정을 유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트럼프는 본인 임기 내에 외부적 요인으로 2008년 금융 위기,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등이 오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미연에 스스로 거품을 끄려는 것입니다.



트럼프 내각의 특징은 비즈니스 맨 과 펀드 매니저 등으로 구성되어 모든 무역, 외교, 경제 정책을 비즈니스 협상 관점에서 접근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두가 미친놈이라고 욕할 수는 있지만 트럼프의 행보를 지속적으로 지켜봐야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24.03.202523:44
오늘도 야근이네요 ㅎㅎ휴ㅠㅠㅠ
24.03.202517:07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철강산업 Comment: 중국 철강 감산의 서막?!

신장 지역 철강업체, 철강 생산량 10% 감축 발표
- 전일, 중국 신장지역 철강업체(Xinjiang Bayi, Kunlun, Kunyu, Minxin)는 3월 24일을 기점으로 일일 조강 생산량을 10% 감축하겠다는 공문을 개재했음
-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철강산업 수급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열연을 포함한 판재류의 현지 유통가격은 2% 수준의 가격 상승세를 시현헀음. 철근의 유통가격 역시 전일 대비 +2.5% 상승한 톤당 3,280위안 기록함
- 제품 및 원재료 선물가격 역시 업황 개선 기대감이 반영되었음. 열연(+1.3%)과 철광석(+2.9%), 코크스(3.9%) 선물가격은 모두 전일 대비 상승세 시현함
- 중국 철강업계의 주가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음. 다만 해당 소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Bayi Steel의 주가는 철강 수급 개선 기대에 따라 +7.5% 상승함

신장 지역 외 철강 생산량 감축에 대한 소식은 아직 확인된 바 없음
- 신장 지역의 2024년 기준 조강 생산량은 1,291만톤 수준으로 중국 전체 생산량의 1.3%를 차지함. 일일 조강생산량의 10% 감축 목표를 감안하면 연간 감산량은 130만톤 수준으로 추정됨
- 참고로 3월 초 발개위(NDRC)의 중국 철강산업 감산 발표 당시 구체적인 가이던스가 제시되지는 않았음. 다만 감산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는 대략 5천만톤 수준이었음. 아직 타 지역의 철강 생산량 감산 여부를 확인할 수 없지만, 추가적인 감산 조치 발표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판단함

중국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분위기. 한국 철강업계는 점진적 회복 기대 가능
- 연초 이후 중국의 일평균 조강 생산량은 287만톤(+21.1% YTD) 수준까지 증가한 바 있음. 다만 발개위(NDRC)의 감산 발언 이후 중국의 일평균 조강생산량은 271만톤 수준까지 감소했음. 한편으로 지난 1~2월 중국의 건설 신규착공 면적은 8.1억 제곱미터 수준으로 전년 동기대비 -23.2% 감소했으며, 부동산 개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하며 부진한 흐름 지속됨. 이러한 건설경기 침체 지속 및 보호주의 무역 기조 심화로 중국 철강업계의 감산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추가적으로 감산에 따른 중국산 저가제품의 물량유입 축소는 국내 철강 유통가격의 점진적인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보임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80nsmI 👈
31.03.202505:18
https://www.steel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0398
- 포스코 4월 유통향 열연강판 공급가 인상. 현대제철 역시 유통향 열연강판 공급가격 인상 검토 중
🇺🇸 "트럼프, 무역전쟁 재개? 中에 최대 245% 관세 부과"

- 75개국 이상이 무역협정 논의 위해 미국과 접촉

- 그로 인해 맞춤형 고관세 조치 보류, 단 중국은 예외

- 중국의 보복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245% 관세 부과

- 이에 대해 미국은 최대 245%에 달하는 수입 관세를 적용 예정

✍️ 실질적으로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 2라운드 개막
16.04.202515:29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세아베스틸지주 1Q25 Preview: 개선의 폭은 제한, 신사업 기대는 지속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6,000원 하향

1Q25 Preview: 방향성 전환 성공, 컨센서스 부합 예상
세아베스틸지주의 1Q25 실적은 매출액 8,696억원(-8.7% YoY, +4.8% QoQ), 영업이익 178억원(-16.5% YoY, +131.1% QoQ)을 기록하며 컨센서스(8,707억원, 영업이익 179억원)에 부합할 전망이다. 전사 기준 1분기 판매량은 전반적으로 전분기 대비 뚜렷한 개선세를 시현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세아베스틸의 경우 스크랩 가격 약세에 따라 제품가격 인하되었으며, 스프레드는 전분 대비 축소된 것으로 추측된다. 세아창원특수강은 니켈 가격 상승세에 따른 STS선재 판가 인상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니켈, 수요와 공급에 대한 우려는 상존.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 존재
1분기 니켈 가격의 상승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니켈 감산 계획, 中 델롱 그룹 파산에 따른 공급 우려에 기인한다. 다만 미국의 강경한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불확실성은 최근 산업 금속 전반의 우려 요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미-중 관세 협상 여부, 각 국가별 관세 협상 상황에 따라 니켈 가격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이다.

연내 실적 회복 가능성은 제한. 신사업 모멘텀은 하반기부터 이어질 가능성
2025~2026년 연간 실적추정치를 하향함에 따라 목표주가를 26,000원으로 조정한다. 트럼프發 관세 전쟁에 따른 국내 자동차 업계의 Offshoring, 국내 스크랩 가격 및 수요 등을 고려할 때 동사의 실적 회복 속도는 기대보다 완만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럼에도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 CASK, 우주항공용 특수합금 사업 등 신사업의 장기 성장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본다. 특히 국내 한빛, 한울, 고리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추가 저장 용량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 및 입찰은 하반기부터 내년 사이에 진행될 것으로 추측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1GJNwNJ 👈
25.03.202522:32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현대제철 Spot Comment: 미국 전기로 일관제철소 투자 결정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38,000원 유지

연산 270만톤 규모 미국 전기로 제철소 투자 결정
전일 현대제철은 58억달러(7.8조원) 규모의 미국 전기로 제철소 투자 결정을 공시를 통해서 밝혔다. 미국 남부 루이지애나 주 미시시피강 인접 부지에 총 280만톤의 열연, 냉연, 도금재 등을 포함한 판재류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180만톤의 그룹사 및 OEM향 고부가 자동차 강판 판매를 통해 현지 일관제철소의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기존에 언론보도를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현지 설비는 직접환원철(DRI) 기반의 전기로 방식으로, 펠렛을 천연가스를 통해 환원시켜 생성된 Hot DRI를 전기용융로에 직접 장입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해당 전기로 설비는 CCS와 연계하여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탄소 배출량을 최소화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OEM 업계의 저탄소 고급강 수요를 충족시킬 계획이다.

미국 시장 진출 자체는 긍정적. 현지 공장의 수익성 확보 여부가 관건
24일 중국 신장 지역 제강사의 감산 소식과 현대자 그룹의 230억달러 규모 현지 투자에도 불구하고 전일 현대제철의 주가는 -6.8% 하락했다. 이에 대한 주된 원인은 대규모 투자인 만큼 유상증자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시장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현대제철 측은 컨퍼런스콜을 통해 유상증자는 검토된 바가 없다고 반박하였다. 전주 기준 북미 열연 가격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불확실성 반영되며 Short Ton당 975달러를 기록하며 연초 대비 46.6% 상승했다. 보호주의 통상 환경 하에 현대제철의 미국 내 저탄소 생산능력 확보는 분명 긍정적이다. 다만 장기적으로 현지 공장의 수익성 확보 여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판단한다.

* 원문 다운로드 보고서 링크:
https://buly.kr/GE7fRqf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31.03.202523:43
💡 Steel&Metal Daily: 4/1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중국
1. 2025년 3월 철강 PMI는 46%
- 2025년 3월 철강업 PMI는 46%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하며 2개월 연속 반등세를 보였음. 다만 여전히 수축 구간에 머물러 철강 산업의 회복이 더딘 상황임. 세부지수로는 생산지수가 47.10%로 1.5%포인트 상승했고, 신규 주문지수는 41.10%로 0.90%포인트 상승했음. 반면, 신규 수출 주문지수는 41.10%로 전월보다 2.50%포인트 하락함. 완제품 재고지수는 50.60%, 원자재 재고지수는 45.90%로 상승했으며, 이는 수요 회복이 더디지만 구매 반등이 있었고 제철소 생산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공급과잉 압력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함.

2. 중국철강협회: 1~2월 주요 철강 사용산업 운영 현황 월간 보고서
- 2025년 1~2월 동안 철강 수요 산업 가운데 건설업은 지속적으로 위축됐고, 제조업은 성장세를 유지함. 특히 부동산 지표는 전년 대비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둔화됨. 인프라 건설과 전력 투자 분야는 계속해서 증가함. 기계산업의 부가가치는 안정적으로 증가했고, 전기기계 제품 수출도 증가함. 자동차 산업은 신에너지차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급성장했지만, 자동차 수출 증가율은 하락함. 백색가전 생산은 늘었고, 수출 증가율은 둔화됨. 컨테이너 생산은 계속해서 증가함.

3. 2025년 1~2월 원탄 생산업체 상위 10개 순위 발표
- 2025년 1~2월 동안 중국 상위 10대 석탄 기업의 원탄 생산량은 총 3.9억 톤으로 전년 대비 2,570만 톤 증가함. 대규모 기업이 전체 원탄 생산의 50.6%를 차지함. 국가에너지그룹은 1억245만 톤(+0.7%), 진능지주그룹은 6,594만 톤(+20.2%), 산둥에너지그룹은 4,401만 톤(+2.7%) 생산. 이외에 산시 코킹탄 그룹은 3,050만 톤(+34.1%), 뤄안화학그룹은 1,578만 톤(+17.6%) 증가. 반면 국가전력투자공사는 1,386만 톤으로 유일하게 전년 대비 5.6% 감소함.

4. 2024년 장쑤성 철강산업 매출 1조5800억위안 달성
- 2024년 장쑤성 철강 산업은 1조5800억 위안의 영업 수익을 달성했으며, 전국 생산량의 11.86%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기지로서 위상을 유지함. 특히 고급 특수강의 비중이 처음으로 35%를 넘어서면서, 산업이 ‘규모 중심’에서 ‘가치 중심’으로 전환 중임. 이는 공급·수요 구조 개혁 흐름과도 맞물려 있음.

5. 마강그룹: 2024년 46억5900만 위안 손실
- 마스틸 그룹은 2024년 총 영업수익 818억1,700만 위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7.3% 감소함. 순손실은 46억5,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손실(13억2,700만 위안)보다 손실폭이 커졌음.

6. 충칭스틸: 2024년 31억9600만위안 손실
- 충칭 철강은 2024년 영업수익 272억4,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0.71% 감소했으며, 순손실은 31억9,600만 위안으로 확대됨. 경영상황 악화가 두드러졌음.

7. 멕시코,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산 열간압연판에 대한 반덤핑 일몰 검토 조사 개시
- 멕시코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열연강판에 대해 다섯 번째 반덤핑 일몰 재조사를 개시함. 기존 반덤핑 관세는 조사 기간 중 계속 유지됨. 조사 범위는 2020~2024년 피해 조사, 2024년은 덤핑조사 대상임.


8. 발틱 건조물량 지수는 5일 연속 하락
- 발틱지수는 1,598포인트로, 5일 연속 하락하며 3월 중 최저치 기록. 케이프사이즈 -7포인트(2,465p), 수프라막스 운임 약세 영향. 반면 파나막스 지수는 +4포인트 상승(1,501p).

9. 월요일 밤 거래는 엇갈린 수익과 손실로 마감
- PX와 유리는 1% 이상 상승했으며, 설탕·대두박도 소폭 상승. 반면 가성소다·코크스용 석탄은 1% 이상 하락. 비철금속 중 니켈(-1.99%), 구리(-0.94%) 등 대부분 하락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도 0.56% 하락함.

10. 기관 : 100대 부동산 개발사 1분기 총매출액 8,101억 위안 기록
- 중국지수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3월 기간 동안 중국 내 상위 100개 부동산 개발사의 총 매출액은 8,10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함. 이 중 100억 위안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17곳뿐이었음. 시장 상황을 보면, 지난해 4분기 이후 주요 도시에서 신규 주택 매매가 회복세를 보이며 2분기 연속 반등했고, 중고주택 거래량도 상당히 늘어남.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락 저지 및 안정화’ 효과가 일부 나타났다는 평가. 정책 집행 속도가 빨라지면서 단기적으로 핵심 도시 위주의 거래량 회복이 예상되며, 특히 1선 도시 및 핵심 2선 도시에서 먼저 시장 안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됨.

11. 베이징, 2025년 3차 주거용 토지 공급 목록 발표
- 2025년 3월 31일, 베이징 도시계획 및 자연자원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차 공급 대상 주거용 토지는 총 5개 필지이며, 대지면적은 약 30헥타르, 건축 규모는 약 52만㎡에 달함. 해당 토지는 4월 말까지 공급될 예정이며, 주거용 및 상업용이 혼합된 형태로 도시 내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조치로 풀이됨.

12. 난징, 상업용 주택 판매 제한 전면 해제
- 2025년 3월 31일, 난징시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상업용 주택에 대한 매매 제한을 전면 해제함. 이에 따라 부동산 등기를 마친 상업용 주택은 즉시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주택 교체 수요를 보다 원활하게 충족시키기 위한 조치임. 거래 자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난징 내 부동산 거래 활성화가 기대됨.

13. 광저우시, 올해 상업용 주택 5만4000호 사전분양 승인 계획
- 광저우시는 2025년 주택 개발 계획을 처음으로 공개했으며, 그에 따르면 올해 약 5만4,000호의 상업용 주택이 사전 분양 승인을 받을 예정임. 중심구 5개 지역이 전체 물량의 36%, 외곽구 4개 지역이 48%, 기타 추가구 2개 지역이 16%를 차지함. 이와 별도로, 저렴주택 정책도 병행되며, 공공임대주택 8,000호 건설, 3,400호 공급 계획이 포함됨. 임대보장 주택은 총 10만 호를 짓고, 저렴주택은 1,500호 건설 및 2,800호 공급 계획이 수립됨. 전반적으로 광저우는 다양한 소득층을 위한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주거 안정성과 사회 보장을 함께 꾀하고 있음.

14. A주 재매수 붐이 계속 가열
- 2025년 3월 29일 기준, 총 666개 A주 상장사가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총 매입 주식 수는 32억 5,100만 주, 매입 금액은 약 293억 6,700만 위안에 달함. 이 중 63개 기업은 매입 금액이 1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대표적으로 귀주마오타이(12억 위안), 하이크비전(9.42억 위안), 중국건설(8.87억 위안)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림. 자사주 매입은 주가 방어 및 주주 환원 등의 목적을 가진 것으로, 같은 기간 190개 상장사가 자사주 매입 계획을 공시함. 이들 대부분은 이사회 승인 또는 주주총회 단계에 있음.
[Tin prices jump after earthquake hits Myanmar]
https://www.mining.com/web/tin-prices-jump-after-earthquake-hits-myanmar/

- 미얀마 지진 발생으로 인해 지난 주 주석 가격 급등. 주요 광산의 생산 재개 지연 우려 반영. 미얀마는 전 세계 중 세 번째 규모 주석 생산 국. 미얀마 주석의 70%를 생산하는 Wa주 광산은 지진 진원지인 Mandalay에서 약 425km 떨어져 있음. 2023년 8월 주 정부는 자원 보호를 위해 광산 작업 중단했으며, 4월 1일 Manxiang 광산 지역 투자자들과 협의를 통해 광산 개발 재개를 논의할 예정이었음
- 주석을 YTD 기준 24% 상승. 미얀마 공급 제한과 더불어, 3월 중순 콩고 민주 공화국 내 반군의 진군으로 Alphamin Resources가 광산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기 때문
- 지진이 없더라도 미얀마 와주에서 주석 채굴을 재개하려면 몇 달이 걸릴 가능성이 높고, 콩고에서는 갈등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합법적인 채굴을 재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

* 참고로 전주 금요일 LME 주석 가격은 톤당 36,220달러 기록했습니다.
16.04.202515:28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세아제강 1Q25 Preview: 유가는 불안, 미국향 수익성은 좋음

# 투자의견 BUY 유지 / 목표주가 215,000원 유지

▶ 1Q25 Preview: 내수 부진 심화 및 일부 물량 선적 지연
세아제강의 1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4,271억원(-6.3% YoY), 영업이익 310억원(-2.3% YoY) 기록하며, 기존 전망치(매출액 4,708억원, 영업이익 336억원)를 하회할 것으로 판단한다. 외형 축소의 가장 큰 원인은 국내 건설 및 플랜트 수요 부진에 따른 내수 판매량이 축소와 일부 수출물량의 선적 지연이다. 미국향 강관 수출 물량은 기존 쿼터 수준에서 유지되는 중이며, 현지 가격 상승분이 관세 부과 영향을 상쇄하는 만큼, 에너지 강관의 수익성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현지 OCTG업계의 반발을 고려하면, 국내 강관업계는 당분간 수출물량 확대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유가 하락은 OCTG 수요에 부담. 단기 불확실성 해소 시 BEP 확보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발표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WTI 원유 선물가격은 배럴당 58~62달러 수준까지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 1분기 Dallas Fed에서 조사한 미국 현지 시추 BEP(평균 65달러)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유정 개발의 수익성 저하 우려로, 지난 주 미국 원유 리그 수는 전주 대비 9개 감소한 480개를 기록했다. 지속적인 유정 투자 확대를 위해서 개발업체들의 이익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1) 경기침체 우려 및 불확실성 해소, 2) 이란·베네수엘라 원유 제재 등이 향후 유가와 리그 수 향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Secondary tariff 적용 확대 및 개별 국가의 관세 협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점차 해소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본다. 따라서 미국 OCTG 산업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유지하며, 투자의견(BUY)과 목표주가(215,000원)를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리포트 주소: https://buly.kr/7QLuGu5 👈
EU 철강 쿼터 축소, 한국 열연 14%, 냉연 1%, 후판 5%
https://www.steel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0321
- 본 건은 당사와 현대차그룹 등이 공동 투자하여 미국 남동부 루이지애나 주에 58억 달러 규모의 자동차강판 특화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하는 건
- '투자금액' $58억의 자본구조는 자기자본 50%와 외부차입 50%로 검토 중이며, 당사를 포함한 현대차그룹 및 기타 투자자와의 지분출자를 협의 중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5800001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