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04.202507:35
vix가 60을 넘은 적은 2008년과 2020년 두 개년도가 전부임


06.04.202522:24
미국 선물 하락 즁


04.04.202510:19
Reposted from: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10.12.202412:29
Michele Bullock RBA 총재
1. 인플레이션 압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음
2. 그러나 물가와의 전쟁에서 이겼다는 것은 아니며, 일부 품목 상승 압력은 여전히 존재
3. 금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명시적으로는 논의하지 않았으나, 인상 가능성은 고의적으로(deliberately) 제외
4. RBA 전망과 실제 물가 경로에 큰 차이가 없다면 언젠가는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것
5. 미국의 관세정책이 호주에는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중국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가 중요
1. 인플레이션 압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음
2. 그러나 물가와의 전쟁에서 이겼다는 것은 아니며, 일부 품목 상승 압력은 여전히 존재
3. 금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명시적으로는 논의하지 않았으나, 인상 가능성은 고의적으로(deliberately) 제외
4. RBA 전망과 실제 물가 경로에 큰 차이가 없다면 언젠가는 기준금리 인하를 고려할 것
5. 미국의 관세정책이 호주에는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겠지만 중국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가 중요
08.04.202501:43
07.04.202506:21
월가 헤지펀드, 관세폭탄에 대규모 마진콜…2020년 코로나 이후 최대 규모
트럼프 관세 발표 → 헤지펀드 마진콜 폭증
주식시장 시가총액 5조4천억 달러 증발, S&P 500 9.1% 낙폭
미국 롱숏 헤지펀드 하루 평균 2.6% 손실 (모건스탠리 자료)
금 2.9% 하락, 정크본드 변동성 급증 → 경기침체 우려
트럼프 관세 발표 → 헤지펀드 마진콜 폭증
주식시장 시가총액 5조4천억 달러 증발, S&P 500 9.1% 낙폭
미국 롱숏 헤지펀드 하루 평균 2.6% 손실 (모건스탠리 자료)
금 2.9% 하락, 정크본드 변동성 급증 → 경기침체 우려


05.04.202503:13
v 실제로 시장이슈였던 2008년과 외부충격 이슈였던 2020년을 제외하고 전일 VIX 값은 2003년 VIX 산출 이래 4번 째 높은 값
v 또한 VIX 45.31은 전체 산출일 중 등위 기준 1.9%에 해당하는 값
v VIX의 중위값은 17, 평균은 19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
v 또한 VIX 45.31은 전체 산출일 중 등위 기준 1.9%에 해당하는 값
v VIX의 중위값은 17, 평균은 19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


07.04.202523:11
📊 S&P500, 안정 신호 보이나?
4/7 장중 급락 후 저점 4,889.50 기록 📉
이후 반등하며 4/8 새벽 5,154.25까지 회복
현재 +1.11% 상승, 변동성 줄며 안정세 진입 중
🔍 관련 이슈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연준 긴급 금리 인하 기대 속에서도 S&P500이 반등하며 시장 심리 회복 조짐!
4/7 장중 급락 후 저점 4,889.50 기록 📉
이후 반등하며 4/8 새벽 5,154.25까지 회복
현재 +1.11% 상승, 변동성 줄며 안정세 진입 중
🔍 관련 이슈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연준 긴급 금리 인하 기대 속에서도 S&P500이 반등하며 시장 심리 회복 조짐!


05.04.202503:08


03.04.202503:47
하루 앞둔 폴리마켓 탄핵 확률
07.04.202523:10
<4/8 블룸버그: 오늘 개장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 텔레그램 공유용 요약
1️⃣ ‘아멕시트’ 우려
달러-원 1,471원 마감 🚀 관세 뉴스에 출렁. 외국인, 미국 자산 매도하며 안전자산 지위 흔들릴까 걱정 😟
2️⃣ 연준 긴급 인하 베팅
스왑시장, 연말까지 125bp 인하 예상 💨 다음 주 25bp 긴급 인하 확률 40%! 2년물 금리 롤러코스터 🎢
3️⃣ EU, 대화+보복 병행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 제안 ⚔️ 4/15 발효 가능성. 협상 열어두되 디지털세 등 대책 준비 중 💡
4️⃣ 다이먼의 경고
JP모간 CEO: 관세 불확실성 빨리 풀어야 ⏰ 인플레+보복+달러 파장 우려. “미국 혼자 남으면 안 돼” 😐
5️⃣ 중국, 선제 부양책
관세 타격 대비 소비+수출 지원 논의 🇨🇳 항셍 13% 폭락 속 국부펀드 ETF 매수로 시장 안정화 💪
📈 텔레그램 공유용 요약
1️⃣ ‘아멕시트’ 우려
달러-원 1,471원 마감 🚀 관세 뉴스에 출렁. 외국인, 미국 자산 매도하며 안전자산 지위 흔들릴까 걱정 😟
2️⃣ 연준 긴급 인하 베팅
스왑시장, 연말까지 125bp 인하 예상 💨 다음 주 25bp 긴급 인하 확률 40%! 2년물 금리 롤러코스터 🎢
3️⃣ EU, 대화+보복 병행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 제안 ⚔️ 4/15 발효 가능성. 협상 열어두되 디지털세 등 대책 준비 중 💡
4️⃣ 다이먼의 경고
JP모간 CEO: 관세 불확실성 빨리 풀어야 ⏰ 인플레+보복+달러 파장 우려. “미국 혼자 남으면 안 돼” 😐
5️⃣ 중국, 선제 부양책
관세 타격 대비 소비+수출 지원 논의 🇨🇳 항셍 13% 폭락 속 국부펀드 ETF 매수로 시장 안정화 💪
06.04.202523:03
📢 이번 주(4월 7일~4월 13일) 경제 이벤트 안내
🔹 4월 10일 (수) KST
🕦23:30 🇺🇸 원유 재고량 (이전: 6.165M)
🔹 4월 11일 (목) KST
🕑02:00 🇺🇸 10년물 국채 입찰 (이전: 4.310%)
🕒03:00 🇺🇸 FOMC 의사록 공개
🕤21:30 🇺🇸 근원 CPI (MoM, 3월) ⭐️⭐️⭐️ (예상: 0.3%, 이전: 0.2%)
🕤21:30 🇺🇸 CPI (YoY, 3월) ⭐️⭐️⭐️ (예상: 2.6%, 이전: 2.8%)
🕤21:30 🇺🇸 CPI (MoM, 3월) ⭐️⭐️⭐️ (예상: 0.1%, 이전: 0.2%)
🕤21:30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 223K, 이전: 219K)
🔹 4월 12일 (금) KST
🕑02:00 🇺🇸 30년물 국채 입찰 (이전: 4.623%)
🕤21:30 🇺🇸 PPI (MoM, 3월) ⭐️⭐️⭐️ (예상: 0.2%, 이전: 0.0%)
🇺🇸 *미국 기준, KST 한국시간 기준입니다.
📊 CPI & PPI 주목! 물가 흐름 체크 필수!
🔹 4월 10일 (수) KST
🕦23:30 🇺🇸 원유 재고량 (이전: 6.165M)
🔹 4월 11일 (목) KST
🕑02:00 🇺🇸 10년물 국채 입찰 (이전: 4.310%)
🕒03:00 🇺🇸 FOMC 의사록 공개
🕤21:30 🇺🇸 근원 CPI (MoM, 3월) ⭐️⭐️⭐️ (예상: 0.3%, 이전: 0.2%)
🕤21:30 🇺🇸 CPI (YoY, 3월) ⭐️⭐️⭐️ (예상: 2.6%, 이전: 2.8%)
🕤21:30 🇺🇸 CPI (MoM, 3월) ⭐️⭐️⭐️ (예상: 0.1%, 이전: 0.2%)
🕤21:30 🇺🇸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예상: 223K, 이전: 219K)
🔹 4월 12일 (금) KST
🕑02:00 🇺🇸 30년물 국채 입찰 (이전: 4.623%)
🕤21:30 🇺🇸 PPI (MoM, 3월) ⭐️⭐️⭐️ (예상: 0.2%, 이전: 0.0%)
🇺🇸 *미국 기준, KST 한국시간 기준입니다.
📊 CPI & PPI 주목! 물가 흐름 체크 필수!


04.04.202516:31
03.02.202501:08
다음은 관세 정책(특히 닉슨 행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시기의 관세 부과 조치)이 미국 S&P500 시장에 미친 단기적 충격, 즉 최대 낙폭(MDD, Maximum Drawdown)을 대략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아래 수치는 관세 정책 외에도 당시 여러 경제·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추정치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닉슨 행정부 (1971년):
긴급 상황에 대응하여 수입품 일부에 약 10% 내외의 관세를 부과한 결과, 단기적으로 S&P500은 대략 –5%에서 –10% 정도의 낙폭을 보였으나, 비교적 빠른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18–2020년):
“미국 우선” 정책의 일환으로 주요 교역국(특히 중국 등)에 대해 상당히 높은 관세(일부 품목 최대 60%까지도 언급됨)를 부과한 결과, 시장 불안과 무역 분쟁 우려 속에서 S&P500은 단기간 최대 약 –20%의 낙폭(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사례가 있습니다.
※ 아래 수치는 관세 정책 외에도 당시 여러 경제·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추정치임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닉슨 행정부 (1971년):
긴급 상황에 대응하여 수입품 일부에 약 10% 내외의 관세를 부과한 결과, 단기적으로 S&P500은 대략 –5%에서 –10% 정도의 낙폭을 보였으나, 비교적 빠른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2018–2020년):
“미국 우선” 정책의 일환으로 주요 교역국(특히 중국 등)에 대해 상당히 높은 관세(일부 품목 최대 60%까지도 언급됨)를 부과한 결과, 시장 불안과 무역 분쟁 우려 속에서 S&P500은 단기간 최대 약 –20%의 낙폭(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사례가 있습니다.
Shown 1 - 17 of 17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