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삼성/강희진] 로봇/Robotics avatar

[삼성/강희진] 로봇/Robotics

삼성증권 로봇 담당 애널리스트의 채널입니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Nov 22, 2024
Added to TGlist
Jan 02, 2025

Records

23.03.202523:59
329Subscribers
31.12.202423:59
0Citation index
13.03.202508:28
2.9KAverage views per post
06.03.202508:28
2.9KAverage views per ad post
04.05.202504:07
7.69%ER
14.03.202502:37
912.69%ERR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JAN '25FEB '25MAR '25APR '25MAY '25

Popular posts [삼성/강희진] 로봇/Robotics

09.05.202508:30
(강희진) 로봇 - 5월 둘째 주 돌아보기: 가시거리를 확인하는 업체들

- 글로벌 관세발 불확실성이 추가되며 협동 로봇 업체들의 실적 부진 국면 장기화. 기술에 대한 기대감 vs 실제 로봇 수요 발굴 사이 간극 여전히 크다는 점을 확인.

- 로봇 지능 수준과 안전성을 어떻게 가늠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 기관과 기업에서 보다 적절한 벤치마크들을 꾸준히 제안하고 있음.

- 사업 가시성이 더 개선되어야 개별 종목의 투자 매력도가 커질 것으로 판단.

[Spotlight]
■ 국내 소식 - 두산로보틱스, 올해 키워드는 “솔루션화”:
1Q25 실적 및 2025년 계획
■ 해외 소식 ① - 글로벌 업체도 절치부심:
포트폴리오 확장, 구조조정 등 노력 부각
■ 해외 소식 ② - Amazon, 물류 로봇 Vulcan 공개:
촉각 데이터 관련 논의 연중 활성화 예상
■ 정책 소식 - 안전 벤치마크의 필요성 대두:
휴머노이드 오작동 사례의 함의에 주목
■ 논문 소식 - Microsoft, Phi-4-Mini-Reasoning 공개:
작은 모델들의 성능 경쟁

https://www.samsungpop.com/streamdocs/v4/openMailLink?issueDate=20250509&fileName=2025050715473600K_02_02.pdf

(2025/5/9 공표 자료)
01.05.202522:57
(강희진) 로봇 - 5월의 초입에서: 아직 정답은 없지만, 전력질주가 필요하다

- 국내외 업체들이 새로운 AI 모델과 로봇 신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는 움직임 지속. 특히 중국 제품들이 글로벌 로봇 시장의 지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주목.

- 자동차 및 물류 업체를 중심으로 휴머노이드 Test 사례가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 K-휴머노이드 연합 하에 국내 업체들도 시너지를 적극 보여줘야 하는 시점.

[Spotlight]
■ 국내 소식 - 로보티즈, 세미 휴머노이드 ‘AI 워커’ 7월 출시 예정
■ 해외 소식 ① - BYD, 센서 업체 PaXini Tech에 지분 투자
■ 해외 소식 ② - Alibaba Cloud, Qwen 3 출시
■ 정책 소식 - 중국 정부, AI 기술 “자력갱생” 강조하는 중
■ 논문 소식 - “Multi-Agent LLM이 실패하는 이유” 짚어준다


https://www.samsungpop.com/streamdocs/v4/openMailLink?issueDate=20250502&fileName=2025050201252962K_02_03.pdf

(2025/5/2 공표 자료)
15.04.202502:04
[파격적인 Action에 목마른 국내 로봇 섹터]
2분기 첫 주부터 글로벌 정세가 심상치 않습니다만, 국내 로봇 종목들은 잘 버텨주고 있습니다. 금일 두산로보틱스(454910)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사업의 구심점을 하드웨어에서 지능형 로봇 솔루션으로 전환하겠다는, 전일의 발표가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풀이됩니다.

2015년 설립된 협동 로봇 전문 기업으로, 두산로보틱스는 25~30kg의 물체를 핸들링하는 고가반하중 라인업 H-Series에 주력합니다. 팔레타이징(Palletizing) 전용 P-Series도 출시하며 새로 열릴 물류 로봇 시장에서도 공격적인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그런 중 동사는 14일 타운홀을 통해 협동 로봇 하드웨어 중심의 사업을 '지능형 로봇 솔루션'으로 옮기고자 한다고 발표했습니다. HW+SW+AI를 통합한 형태의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것인데요, 사용성을 극대화한 'Plug&Play'를 주요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SW와 AI 역량을 확충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과 M&A 기회를 활용하고자 하며, 올해 하반기 중 휴머노이드 R&D 조직을 신설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습니다.

■ 그간 놓쳐온 것을 챙기겠다는 포부
2023년 상장 한 이래로 두산로보틱스는 "SW/AI 기술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는 물음에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HW와 SW 역량을 고르게 갖춰야만 하는 (3월 7일 "Samsung Robot Conference 2025: Take-aways" 자료 참고) 로봇 사업의 특성상 이는 동사에게 난제였습니다. 정체되어 있던 파트너십 그리고 M&A 논의 진전에 대한 기대감에 오늘 시장이 화답하고 있습니다.

또 동사가 주력하는 협동 로봇 시장의 개화 시점이 늦어지고 있는 와중에, 휴머노이드 기술이 급부상하면서 잠시 관심에서 소외되는 경향도 있었습니다.

연초 대표이사를 교체하는 파격적인 인사로 전략적인 변화를 예고한 가운데, 이번 소식은 두산로보틱스가 꿰는 변화의 첫 단추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로봇의 도입을 어렵게 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아직 의미 있는 Use Case/쓸모가 부족하다"는 점인데, 'Plug&Play' 전략이 사용성을 얼마나 끌어올리고, 얼마나 많은 고객을 사로잡아 Track Record을 다져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합니다.

■ 간 볼 때가 아니다
로봇 업체들의 파격적인 움직임에 투자자들이 환호하는 모습, 올해 중 지속되는 그림일 것입니다. 어떤 기술과 시장에 주력해, 얼마나 전속력으로 달릴 수 있으며 (R&D와 Capex), 얼마나 빨리 의미있는 외형 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지를 입증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중국 업체들의 전투력이 시시각각 재평가되고 있는 현 시점에 이는 더욱 중요한 과제입니다.

대장주의 행보가 이번주 섹터 내의 긍정적인 센티먼트를 잘 이끌어갈 수 있을지를 지켜보고자 합니다.

(2025/4/15 공표 자료)
25.04.202508:30
위클리를 재개합니다! 국내-해외-정책동향-논문트렌드 압축적으로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모두 좋은 주말 보내시고, 다음 주에도 섹터 동향 전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5.04.202502:04
개인적인 일정이 있어 잠시 자리를 비웠는데요, 너른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섹터 소식 이어서 전해드리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5.04.202508:16
(강희진) 로봇 - 4월 넷째 주 돌아보기: 첨예해지는 패권 경쟁 속으로

- “Killer Application을 통해 Q 확장을 꾀할 것인가” VS “선 Mass Deployment를 통해 Application을 발굴할 것인가”를 두고 글로벌 업체들의 접근이 갈리는 조짐.

- 이에 로봇 시장이 두 층으로 구분되는 현상도 본격화. (기술 잠재력과 기대에 기초한 휴머노이드 시장 VS 올해를 확장의 원년으로 삼는 협동 로봇 및 자동화 시장.)

- 국내 업체들은 대부분 후자와 관련성이 깊은 가운데, 주가 관점에서 Catalyst는 이들이 올해 대형 Track Record를 창출할 수 있을지에 달려있다는 판단을 유지.

[Spotlight]
■ 국내 소식: CJ대한통운-레인보우로보틱스, 양팔 로봇 공동 개발
■ 해외 소식: 베이징, 휴머노이드 마라톤 개최 / ABB, 로봇 사업 부문 분사 가능성 발표
■ 정책 소식: 상하이, 휴머노이드 훈련 센터 개소
■ 논문 소식: Physical Intelligence, 범용 행동 원칙(Policy) “Pi0.5” 발표


https://www.samsungpop.com/streamdocs/v4/openMailLink?issueDate=20250425&fileName=2025042320154856K_02_08.pdf

(2025/4/25 공표 자료)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