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avatar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avatar
한양증권 리서치(스몰캡)
29.04.202500:59
2025.04.29 09:56:15
기업명: 아이센스(시가총액: 4,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63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2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63억/ 32억/ 25억
2024.4Q 813억/ -39억/ -23억
2024.3Q 715억/ 38억/ 7억
2024.2Q 699억/ 20억/ 0억
2024.1Q 684억/ 8억/ -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9190
28.04.202507:27
2025.04.28 16:15:42
기업명: 한화시스템(시가총액: 7조 9,913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901억(예상치 : 6,890억/ 0%)
영업익 : 582억(예상치 : 441억/ +32%)
순이익 : 378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6,901억/ 582억/ 378억
2024.4Q 9,328억/ 432억/ 3,599억
2024.3Q 6,392억/ 570억/ 81억
2024.2Q 6,873억/ 798억/ 270억
2024.1Q 5,444억/ 393억/ 503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51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2210
28.04.202504:47
2025.04.28 13:46:59
기업명: 한화오션(시가총액: 27조 7,61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431억(예상치 : 30,720억+/ 2%)
영업익 : 2,586억(예상치 : 1,588억/ +63%)
순이익 : 2,157억(예상치 : 1,144억+/ 8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431억/ 2,586억/ 2,157억
2024.4Q 32,532억/ 1,690억/ 5,794억
2024.3Q 27,031억/ 256억/ -748억
2024.2Q 25,361억/ -97억/ -274억
2024.1Q 22,836억/ 529억/ 51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80025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42660
23.04.202501:04
🔜 생성형 AI '환각' 한계…'SKAI·롯데이노' 등 국내 기업 기술 주목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오픈AI의 차세대 모델 'o3'와 'o4 미니'가 선보인 기술적 진보와 함께 신뢰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관련 솔루션을 가진 기업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두 모델은 이미지까지 사고에 통합한 첫 AI로 평가되지만, 동시에 생성형 AI 특유의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문제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23000071
22.04.202523:20
한양증권 스몰캡 Analyst 이준석

[바이오플러스] HA필러·화장품·마이크로니들 패치, 세 개의 성장축이 움직인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 9,500원
현재주가(04/22): 7,830원
Upside : 21.3%

2025년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 전망
동사는 필러 중심의 기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반의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기존 필러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보툴리눔 톡신 및 GLP-1 비만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직접 수출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9억 원(+65.5% YoY),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으로 추정된다. HA 필러 매출이 72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디바이스 81억 원, 코스메틱 227.5억 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5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HA필러 본업에 신사업 날개를 달다
동사의 투자 포인트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핵심 주력 품목인 HA 필러의 고성장세다. DVS 가교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5년 약 720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브라질 등 남미를 중심으로 유럽까지 매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 ODM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자사 브랜드 기반의 직접 유통 체계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높은 수익성 확보가 기대된다. 둘째, 코스메틱 사업부의 외형 확장이다. 전년도에는 중국 왕홍 채널을 통해 일부 매출이 인식되었으며, 올해는 글로벌 유통사와의 협업을 통해 판매 채널이 다변화될 예정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 자회사로 편입된 코트리의 매출이 온전히 반영되면서, 올해 화장품 부문에서 200억 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 셋째, GLP-1 계열 비만 치료제의 성장 가능성이다. 삭센다 제네릭은 그레이 마켓을 통해 우선 납품이 개시되며, 위고비 대비 투약 편의성이 우수한 마이크로니들 패치형 제품도 병행 개발 중이다. 비만 치료제 시장은 투자자의 관심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며, 마이크로니들 기술은 차세대 약물 전달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불어, 신공장의 GMP 승인 절차가 마무리되는 하반기부터는 삭센다 제네릭의 수출도 본격화될 수 있어, 실적 추가 상향 여지도 존재한다.

신공장(Bio Complex) 2025년 1분기 준공 완료
동사는 충북 음성에 약 1,500억 원을 투자해 cGMP 수준의 바이오 콤플렉스를 구축하고, 2025년 1분기 준공을 완료하였다. 총 연면적은 약 1만 2천 평으로,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톡신 등 주요 품목별로 독립된 생산라인을 설계하였고, FDA 및 CE 인증 기준에 부합하는 글로벌 수준의 설비를 확보하였다. 연간 생산능력은 HA 필러 4,000만 개로, 기존 대비 약 10배 확장되었으며, GLP-1 비만치료제 및 톡신의 대량 생산 대응도 가능한 구조다. 상반기 중 시제품 생산 완료 후, 하반기부터 GMP 인증과 본격 상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완료를 통해 수출 확대와 신제품 상업화가 실적 레벨업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jJhVqU

한양증권 스몰캡 채널: https://t.me/hanyangresearch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29.04.202501:55
🔜 애플 아이폰17 양산 앞두고 먹구름, 미국 관세와 중국 '애국소비'로 이중고

대만 디지타임스는 29일 부품 공급망에서 입수한 정보를 인용해 “애플 협력사들은 대부분 아이폰17 출하량이 이전작 대비 약 10%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애플은 현재 아이폰17 시리즈 양산을 위한 첫 테스트 단계를 마무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량생산 준비가 일정에 맞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다.

아직 애플은 부품 협력사들에 생산 감축 계획을 전하지 않았지만 관련 업체들은 이미 전망치를 대폭 낮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3231
28.04.202505:15
안녕하세요 오병용 입니다.

금주에는 [유바이오로직스]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전세계 유일한 콜레라 백신 공급 기업입니다. WHO(국제보건기구)에 현재 독점으로 콜레라백신을 납품 중입니다.

이 상황에서 최근 콜레라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1년 연간 22만명 수준이던 콜레라 감염자가 ‘24년에는 80만명까지 늘어났습니다.

이에 WHO는 전세계 콜레라 위기를 3등급 비상사태(비상사태(Grade 3 emergency, 최고수준대응)으로 격상하고, GAVI(세계백신연합)은 백신공급계획을 크게 늘린 상황입니다.

여전히 콜레라백신 공급은 수요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GAVI는 콜레라백신 공급 상황이 “용인할수 없는 수준”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WHO나 GAVI 입장에서는 유바이오로직스의 생산량 확대가 콜레라억제의 주요 과제가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당연히 콜레라백신 유일한 공급자인 유바이오로직스가 단독으로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유바이오로직스의 올해 매출액은 +52.5% 성장한 1,465억원, 영업이익도 급증하여+76.3% 성장한 605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현재 주가는 올해 eps기준 PER 10배 수준으로 바이오기업 중 크게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되며, 20배 적용시 주가는 26,240원, 30배 적용시 39,360원이 됩니다.

현주가는 13,000원 수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오늘자 리포트 확인 바랍니다.

------------------------------------------------------------

[유바이오로직스] 콜레라 대 유행 중이다

자료 바로가기: http://bit.ly/42xjvGQ

한양증권 제약/바이오 채널: https://t.me/bdragon0808
28.04.202504:41
🔜 화웨이, 새 AI 가속기 개발 착수… H100 정말 넘어설까

중국 화웨이가 신형 인공지능(AI) 가속기 ‘어센드 910D’ 개발에 착수했다. 현 세대인 어센드 910C 대량 출하와 동시에 차세대 칩셋 개발에 속도를 붙이는 구도다. 미국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 제재 강화로 엔비디아 H20 등 ‘중국 전용 칩셋’ 판매가 차단된 와중 화웨이가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는 분석도 따른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P45W9IA/GD05
Reposted from:
Buff avatar
Buff
중국 상무부가 수출통제한 중희토류 7종, 이를 사용하는 한국 제조업 제품 정리
🔷 머스크 "수술 로봇, 5년 내 최고 외과의사 능가"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9004500075?input=1195m


🍀 독립리서치 ARIS
https://t.me/aris1031

📌 기사 요약
① 일론 머스크는 수술 로봇 기술이 5년 내 최고의 인간 외과의를 능가할 것이라 전망.

② 뉴럴링크의 뇌 칩 삽입 수술에서도 인간 대신 로봇을 사용, 정밀성과 속도 필요.

③ 머스크는 ALS 환자 대상 뉴럴링크 칩 성공 사례도 공개하며 수술 로봇의 중요성 강조.


📌수술용 로봇 관련 기업 정리(표 참고)
고영, 큐렉소, 더블유에스아이
2025년 4월 29일(화) Daily News
  
큐리언트, AACR에서 아드릭세티닙 임상 1상 결과 발표
 
"한화오션, 이익 점차 늘어날 것…산은 지분 매각은 주가에 부담"-대신
 
"국내 증시, M7 실적·美 경제지표 앞두고 경계심리…종목 장세 전망
 
나우로보틱스, 우리사주조합 청약률 100% 달성 “전량 완판” [fn마켓워치]
 
공무원연금공단, 자금운용단장 공개 채용
 
S-Oil, 상반기 실적 저점…정제마진 개선으로 하반기 반등-IBK
 
[클릭 e종목]"비아이매트릭스, 강화되는 AI 모멘텀에 주목"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장기화 우려에 주가 급락”
 
HD현대에너지솔루션, 실적 개선에 모멘텀도 확대…목표가↑-DS
 
뉴욕증시, 미중 무역·M7 실적 주시 속 혼조 마감
 
‘트럼프 관세’에 포르쉐 수익률 한자릿수로 ‘덜컹’ [투자360]
 
[거버넌스워치] 신도리코 양대 오너 개인회사엔 역시나 믿을맨 ‘가신’
 
"드디어 내 차례"…'한덕수 테마주' 급등에 임원들 자사주 매도 [이런국장 저런주식]
 
“평단 $120대 무지성 매매, 제대로 물린걸까요”…엔비디아, ‘中 화웨이 고성능 AI 칩
 
"구글, 5년 만에 회사채 발행 추진…50억 달러 규모"
 
* 위 내용은 국내외 언론사 뉴스 등을 인용한 자료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https://t.me/hanyangresearch
한양증권 스몰캡
28.04.202505:15
🔜 "현금 가진 크래프톤에 황금기…게임 아니어도 '조 단위' 투자 검토"

크래프톤(259960)은 지난해 2조 7098억 원의 매출과 1조 1825억 원의 영업이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여세를 몰아 5년 내 매출 7조 원, 기업가치 두 배를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청사진을 그렸다. 크래프톤의 창업자인 장병규 의장은 회사의 목표를 이루고 명실상부한 세계 최대 게임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의 다각화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한다. 특히 ‘펍지: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에 쏠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추가적인 메가 지식재산권(IP)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중요한 화두로 삼았다. ‘더 많은 타석’에 설 수 있도록 게임 IP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장 의장은 “지금은 현금을 가진 사람에게 황금기”이라며 이를 위한 공격적인 투자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GRP3TE75K/GD01
23.04.202500:03
🔜 "K-뷰티 대단하네"…에이피알, 홍콩 팝업에 5만명 몰려

에이피알(278470)은 홍콩의 쇼핑센터에서 진행한 팝업 스토어에 5만 명의 방문객이 몰렸다고 23일 밝혔다.

에이피알은 3월 17일부터 30일까지 홍콩 몽콕 지역의 대형 쇼핑센터 '모코몰'(Moko Mall)에서 팝업 스토어를 열었다.

팝업은 'K-뷰티 페스타'라는 타이틀 아래 꾸며졌다. 에이피알의 대표 브랜드인 메디큐브와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을 비롯해 에이프릴스킨,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포맨트, 헬스케어 브랜드 글램디바이오 등 자사 브랜드 제품을 선보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208840?sid=101
22.04.202507:07
🔜 월가 대표 시장 전략가 “최악의 경우 S&P500 3000까지 떨어질 것”

“채권자경단 뿐 아니라 달러와 주식에서도 자경단이 생겼습니다. 결국 미국 자산은 헐값 매물이 될 것입니다.”
월가에서 인정받는 이코노미스트이자 시장 전략가인 데이비드 로젠버그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자산 시장에 대해 이처럼 경고했다. 로젠버그 리서치의 창립자이기도 한 그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에 대한 해임 압박이 미국 국채 시장의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7649i
29.04.202501:38
🔜 코어라인소프트, AI 경영 국제표준 인증…"국내 의료 AI 최초"

코어라인소프트[384470]는 국내 인공지능(AI) 의료기기 기업 최초로 AI 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인 'ISO/IEC 42001' 인증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ISO/IEC 42001은 AI 시스템 개발·운영 시 윤리성,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리스크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 등 측면에서 요구되는 기준을 규정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29056800017?input=1195m
28.04.202504:55
🔜 '반도체 저승사자' 모건스탠리, 메모리 '빙산' 경고…삼전 최선호 유지 왜

'반도체 저승사자'로 불리는 모건스탠리 숀 킴 애널리스트가 또다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경고장을 날렸다.

그는 미국발 관세 충격의 숨겨진 위험을 '빙산'에 비유하며 단기적인 실적 개선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런 비관론 속에서도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최선호주(Top Pick) 의견을 유지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최근 발간한 '메모리 - 빙산이 다가온다(Memory - The Iceberg Looms)' 제하의 보고서에서 메모리 시장의 진짜 위험은 아직 수면 아래에 있다고 진단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3321
23.04.202501:09
🔜 반도체주, 美관세 완화 기대에 동반 강세생성형 AI '환각' 한계…'SKAI·롯데이노' 등 국내 기업 기술 주목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396656
22.04.202523:53
🔜 한성크린텍 자회사, 미·중 앞다퉈 확보 나선 '형석' 생산…광물도 리사이클

100% 자회사 이엔워터솔루션, 5월 황산암모늄 양산…내년엔 형석까지 생산

충청남도 당진에 있는 한성크린텍 자회사 이엔워터솔루션의 공장에는 전자부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액상 폐기물(폐액)이 매일 모인다. 이 회사는 주로 전자부품 제조부문 산업 폐수를 환경에 해가 없는 수준으로 처리하는 기업이었다. 최근 단순 처리를 넘어 전자부품 제조기업으로부터 받은 고농도 액상 폐기물에서 유용한 소재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해 양산을 앞두고 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2463108
Shown 1 - 24 of 591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