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SK 리서치 자산전략팀

25.02.202509:03
[SK증권 원유승, 윤원태] [Issue Comment] 2월 금통위 리뷰: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공조 필요
▶️ 2월 금통위, 25bp 금리 인하: 시장 예상에 부합. 경기 부진 우려에 초점을 둔 결정
▶️ 균형: 동결 우위 포워드가이던스 vs. 25년 1.5% 성장 전망
▶️ 기준금리, 연말 기준 2.25% 전망. 5월 추가 인하 예상. 재정정책과의 공조 노릴 것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JndbNx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2월 금통위, 25bp 금리 인하: 시장 예상에 부합. 경기 부진 우려에 초점을 둔 결정
▶️ 균형: 동결 우위 포워드가이던스 vs. 25년 1.5% 성장 전망
▶️ 기준금리, 연말 기준 2.25% 전망. 5월 추가 인하 예상. 재정정책과의 공조 노릴 것
보고서 원문: https://buly.kr/2JndbNx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23.02.202522:46
Analyst 박찬솔 (rightsearch@sks.co.kr/3773-9955)
▶️ Figure, Helix로 휴머노이드 시대 앞당길 것
-Figure AI, “휴머노이드 활용해 휴머노이드 대량 생산할 계획”
-2월 20일 Helix 시각-언어-행동 모델을 탑재한 두 휴머노이드 가사 노동 콜라보 영상 공개
-로봇 행동 확장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설명
-Figure가 50조원 수준의 투자 라운드를 진행 중이라는 블룸버그 보도 나와
-레인보우로보틱스(Full Body)/로보티즈(Dextrous Hand) 투자에 긍정적인 의견을 계속 피력할 수밖에 없는 이유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DEYbtvO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Figure, Helix로 휴머노이드 시대 앞당길 것
-Figure AI, “휴머노이드 활용해 휴머노이드 대량 생산할 계획”
-2월 20일 Helix 시각-언어-행동 모델을 탑재한 두 휴머노이드 가사 노동 콜라보 영상 공개
-로봇 행동 확장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뤘다고 설명
-Figure가 50조원 수준의 투자 라운드를 진행 중이라는 블룸버그 보도 나와
-레인보우로보틱스(Full Body)/로보티즈(Dextrous Hand) 투자에 긍정적인 의견을 계속 피력할 수밖에 없는 이유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DEYbtvO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02.202523:45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삼성생명(A032830) 매수/114,000원
과도한 기대감보다 펀더멘털 중심 접근 필요
- 4Q24 지배순이익 기대치 큰 폭 하회. 유배당 연금 손실계약비용 3천억원, 예실차 중 발생사고부채 조정 1,700억원, 사업비 예실차 부진 등으로 보험손익 적자 전환한데 기인
- 향후에도 4Q마다 유배당 연금 손실 약 2~3천억 발생하며 계절적 영향 예상
- 향후 50%까지 3~4년에 걸쳐 주주환원 확대할 계획. K-ICS 비율 180% 하회하더라도 150% 이상이면 주주환원 문제 없이 진행할 계획
- 삼성전자 주식 처분이익은 배당 재원 활용할 계획. 기존 처분이익의 경우 DPS 3~400원 영향 예상.
- 현재 삼성전자의 주식 소각 결정나지 않은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처분하지는 않을 것. 삼성화재 지분 추가 매입 검토하고 있지 않음
- 최근 동사 주가는 전자 지분가치 등 지배구조 관련 기대감으로 큰 폭 상승했으나 과한 기대감은 지양할 필요 있다고 판단. 이익체력과 주주환원 등 펀더멘털 중심 접근 필요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igYXEa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삼성생명(A032830) 매수/114,000원
과도한 기대감보다 펀더멘털 중심 접근 필요
- 4Q24 지배순이익 기대치 큰 폭 하회. 유배당 연금 손실계약비용 3천억원, 예실차 중 발생사고부채 조정 1,700억원, 사업비 예실차 부진 등으로 보험손익 적자 전환한데 기인
- 향후에도 4Q마다 유배당 연금 손실 약 2~3천억 발생하며 계절적 영향 예상
- 향후 50%까지 3~4년에 걸쳐 주주환원 확대할 계획. K-ICS 비율 180% 하회하더라도 150% 이상이면 주주환원 문제 없이 진행할 계획
- 삼성전자 주식 처분이익은 배당 재원 활용할 계획. 기존 처분이익의 경우 DPS 3~400원 영향 예상.
- 현재 삼성전자의 주식 소각 결정나지 않은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처분하지는 않을 것. 삼성화재 지분 추가 매입 검토하고 있지 않음
- 최근 동사 주가는 전자 지분가치 등 지배구조 관련 기대감으로 큰 폭 상승했으나 과한 기대감은 지양할 필요 있다고 판단. 이익체력과 주주환원 등 펀더멘털 중심 접근 필요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igYXEa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9.02.202523:42
Analyst 윤혁진 (hjyoon2019@sks.co.kr/3773-9025)
▶️자동차 관세 25% 부과 선언: 트럼프는 패를 던졌고, 우리의 대응은?
- 트럼프는 4월 2일에 미국의 수입 자동차 관세 25%로 언급할 것을 언급. 부과시점은 미정
- 관세 25%를 완성차가 전부 가격 부담하는 Worst Case 고려해도 현대차, 기아 25년 PER 8배 미만의 저평가 & 높은 배당수익률
- 반면에 현대차 그룹 미국 투자 확대, 한국의 미LNG 수입 확대 등 관세 낮출 카드 차례(+관세 부과 전 구매 증가, 환율 상승)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BwHEFO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자동차 관세 25% 부과 선언: 트럼프는 패를 던졌고, 우리의 대응은?
- 트럼프는 4월 2일에 미국의 수입 자동차 관세 25%로 언급할 것을 언급. 부과시점은 미정
- 관세 25%를 완성차가 전부 가격 부담하는 Worst Case 고려해도 현대차, 기아 25년 PER 8배 미만의 저평가 & 높은 배당수익률
- 반면에 현대차 그룹 미국 투자 확대, 한국의 미LNG 수입 확대 등 관세 낮출 카드 차례(+관세 부과 전 구매 증가, 환율 상승)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BwHEFO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19.02.202523:28
Analyst 박찬솔 (rightsearch@sks.co.kr/3773-9955)
▶️ 노머스 (A473980/KQ/Not Rated) –해외 투어 가는 신생 엔터테크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과 협력하는 엔터테크
-대형 아티스트들이 소속사로부터 독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사업 모델에도 긍정적 변화 생겨
-2025년에도 2024년과 마찬가지로 해외 투어 매출액이 고성장하며 전사 실적 견인 예상
-해외투어는 현지 프로모터와 공연의 성공 여부를 사전 조사해 하방을 막는 것이 사업의 핵심
-2025년 목표치를 달성하면 노머스의 연간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돌파 예상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9iFQqKl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노머스 (A473980/KQ/Not Rated) –해외 투어 가는 신생 엔터테크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과 협력하는 엔터테크
-대형 아티스트들이 소속사로부터 독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사업 모델에도 긍정적 변화 생겨
-2025년에도 2024년과 마찬가지로 해외 투어 매출액이 고성장하며 전사 실적 견인 예상
-해외투어는 현지 프로모터와 공연의 성공 여부를 사전 조사해 하방을 막는 것이 사업의 핵심
-2025년 목표치를 달성하면 노머스의 연간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돌파 예상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9iFQqKl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2.202522:56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삼성증권(A016360) 매수/62,000원
향후 더욱 높아질 주주환원 측면의 매력
- 향후 자기자본 8조 달성 등 IMA같은 신사업 진출 요건 확보 노력하는 동시에 배당성향 중장기적으로 50%까지 확대할 계획 발표. 향후 27년부터 배당성향 급격한 확대 전망되는 만큼 주주환원 측면의 매력 부각될 전망
- 4Q24 지배순이익 1,477억원(흑전 YoY) 시현. 해외 중심 브로커리지 실적 개선, IB 견조한 수수료 수입 등 이어졌으며 PF 등 충당금 약 300억원 발생했으나 운용손익 등 견조한 실적 시현
▶️보고서 원문: https://buly.kr/Csj3P70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삼성증권(A016360) 매수/62,000원
향후 더욱 높아질 주주환원 측면의 매력
- 향후 자기자본 8조 달성 등 IMA같은 신사업 진출 요건 확보 노력하는 동시에 배당성향 중장기적으로 50%까지 확대할 계획 발표. 향후 27년부터 배당성향 급격한 확대 전망되는 만큼 주주환원 측면의 매력 부각될 전망
- 4Q24 지배순이익 1,477억원(흑전 YoY) 시현. 해외 중심 브로커리지 실적 개선, IB 견조한 수수료 수입 등 이어졌으며 PF 등 충당금 약 300억원 발생했으나 운용손익 등 견조한 실적 시현
▶️보고서 원문: https://buly.kr/Csj3P70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 IT는 SK ]
![[ IT는 SK ]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652ede3b-d53c-4561-9555-7b8279da64ae.jpg%3Fw%3D24%26h%3D24&w=48&q=75)
25.02.202500:15
# 토비스
- 쇼 앤 프루브 ing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디스플레이
▶️ 결론
- 4Q24 일회성 비용 제외시 수익성 성장 지속
- 현재 주가 25F EPS기준 4.96배
(과거 저성장기 멀티플 저점 6.7배)
- 시장 변동성 높아지는 상황 속 든든한 실적 지속 예상
- 디지털 콧핏 시장 성장, 탄탄한 고객사 기반 안정적인 수주, 전기차 인프라 확장 기대감 반영 가능 업체
▶️ 4Q24 Review: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성장 지속
- 컨센서스 하회 요인
① 카지노 사업 계절적 요인
② 일회성 비용(성과급, 약 35억원 추정)
- 일회성 비용 제외 시 OPM 11%, QoQ 성장 지속
① 높은 수익성의 자회사 외형성장
② 전장 사업 가동률 상승
▶️ ’25 & 1Q25 Preview: 성장 가도 지속
- 1Q25 예상 매출액 1,610억원(YoY+16%, 이하), OP 157억원(OPM 10%, +55%),
- ’25 예상 매출액 7,317억원(+17%), OP 744억원(OPM 10%, +27%)
① 서천공장 Capa증설: 5월 완공, 6월 Ramp-up, 7월 양산
② 4Q25부터 컨티넨탈향 물량 추가
③ 중국 보조금 정책, 신모델 추가로 가동률 상승 전망
④ 글로쿼드텍 신제품 출시 및 외형성장 지속
▶️ 목표주가 28,000원 유지
- 현재 주가 25F EPS기준 PER 4.96배
- 펀더멘탈과 멀티플 괴리 여전히 존재
▶️ URL:
https://buly.kr/31SfNDy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쇼 앤 프루브 ing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디스플레이
▶️ 결론
- 4Q24 일회성 비용 제외시 수익성 성장 지속
- 현재 주가 25F EPS기준 4.96배
(과거 저성장기 멀티플 저점 6.7배)
- 시장 변동성 높아지는 상황 속 든든한 실적 지속 예상
- 디지털 콧핏 시장 성장, 탄탄한 고객사 기반 안정적인 수주, 전기차 인프라 확장 기대감 반영 가능 업체
▶️ 4Q24 Review: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성장 지속
- 컨센서스 하회 요인
① 카지노 사업 계절적 요인
② 일회성 비용(성과급, 약 35억원 추정)
- 일회성 비용 제외 시 OPM 11%, QoQ 성장 지속
① 높은 수익성의 자회사 외형성장
② 전장 사업 가동률 상승
▶️ ’25 & 1Q25 Preview: 성장 가도 지속
- 1Q25 예상 매출액 1,610억원(YoY+16%, 이하), OP 157억원(OPM 10%, +55%),
- ’25 예상 매출액 7,317억원(+17%), OP 744억원(OPM 10%, +27%)
① 서천공장 Capa증설: 5월 완공, 6월 Ramp-up, 7월 양산
② 4Q25부터 컨티넨탈향 물량 추가
③ 중국 보조금 정책, 신모델 추가로 가동률 상승 전망
④ 글로쿼드텍 신제품 출시 및 외형성장 지속
▶️ 목표주가 28,000원 유지
- 현재 주가 25F EPS기준 PER 4.96배
- 펀더멘탈과 멀티플 괴리 여전히 존재
▶️ URL:
https://buly.kr/31SfNDy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 리서치 자산전략팀

23.02.202522:38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1분기내 최대 고비
[Last Week] 전강후약+ 미국은 금요일 급락
- 지난 주도 ex-US > US의 흐름 지속. 한국은 나쁘지 않은 투심과 원활한 거래 속 전강후약 보이며 주간으로는 좋은 성과 도출되었으나 한국 증시가 종료된 이후의 미국 증시는 급락세를 나타냄. 주요 인덱스들이 -2% 전후의 낙폭을 보인 가운데 미국 증시에 상장된 한국 증시 ETF(EWY) 도 -1.5% 하락. 주초 불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은 어느정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임
- 금요일 미장 조정의 주요 원인은 경제지표 부진. 1) S&P 글로벌에서 발표한 미국 2월 서비스업 PMI의 큰 쇼크(49.7, 예상치 53 / 전월치 52.9)가 제조업 PMI(51.6, 예상치 51.3 / 전월치 51.2) 서프라이즈보다 더 크게 주목받으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증가, 2)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1Y 확정치가 4.3%로 예비치 수준을 유지(전월치가 3.3%이었음)한데다가 5Y 확정치는 3.5%까지 상승(예비치 3.3%, 이전치 3.2%)하며 인플레이션 우려 상승. 3) 여기에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도 크게 하락하며 지표 상 겹악재 발생. 중국 쪽에서 신종 코로나 관련 보도가 나온 것도 부담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
[Week Ahead] 2주 고비 돌입
- 이제 미국 쪽 주요 인덱스들의 YTD 수익률이 2% 아래까지 내려옴. YTD 수익률이 10% 위에 있는 한국과 유로존, 홍콩 등과는 대비되는 모습인데, 올해 그동안 많이 올랐던 지역들이 크게 안 빠지면서도 소외되었던 곳들이 많이 올랐던 이유는 분명히 미국이 밸류에이션을 더 받기에는 애매하면서도 주식 시장 자체를 팔고 떠날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 유동성 상 1분기 중 추가 악화 후 2분기 개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엔비디아 실적이 있는 이번 주와 주요 지표들 일정이 있는 다음 주가 무사히 넘겨야 하는 1분기 내 최대 고비로 판단
- 엔비디아는 한국 시간 27일(목) 새벽 1분기 실적발표 진행 예정. 딥시크 충격 이후 발생했던 낙폭을 많이 만회한 상황이나 최근 고점 당시 수준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으며 지난 주에도 조정을 어느 정도 받아 가격 상 부담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시장의 눈높이는 여전히 깐깐함
- 국내 증시는 최근 미국 증시와 완전히 함께 움직인다고 볼 수는 없으나 여전히 미국 영향력을 배제하고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기는 힘든 환경. 이번 주는 조금 수비적으로 나설 필요도 존재하며 최근 시장 내에서 나오고 있는 순환매 및 키맞추기 장세 지속될 가능성 높음
- 올해 두달 정도 기간동안 국내 증시가 오르는 과정 속에서 외국인의 코스피 현물 매도세는 계속되고 있지만 선물 수급은 다르게 돌아가고 있음. 이번달 누적으로 외국인은 코스피 현물을 -1.1조 순매도한 반면 코스피200 선물을 +2.5조가량 순매수(지난 주에는 현물 -3200억, 선물 +5300억원)하면서 2월 초를 기점으로 선물을 크게 사들이고 있음. 선물까지 고려한다면 외국인의 태도가 생각보다 냉담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으며 공매도 재개 전후로 현물 매수세까지 유입되는 것도 가능할 것을 감안하면 조금 길게 보았을 때 유리한 국면 지속
보고서 원문: https://buly.kr/1xy77Ub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Last Week] 전강후약+ 미국은 금요일 급락
- 지난 주도 ex-US > US의 흐름 지속. 한국은 나쁘지 않은 투심과 원활한 거래 속 전강후약 보이며 주간으로는 좋은 성과 도출되었으나 한국 증시가 종료된 이후의 미국 증시는 급락세를 나타냄. 주요 인덱스들이 -2% 전후의 낙폭을 보인 가운데 미국 증시에 상장된 한국 증시 ETF(EWY) 도 -1.5% 하락. 주초 불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은 어느정도 감수해야 할 것으로 보임
- 금요일 미장 조정의 주요 원인은 경제지표 부진. 1) S&P 글로벌에서 발표한 미국 2월 서비스업 PMI의 큰 쇼크(49.7, 예상치 53 / 전월치 52.9)가 제조업 PMI(51.6, 예상치 51.3 / 전월치 51.2) 서프라이즈보다 더 크게 주목받으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증가, 2)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 1Y 확정치가 4.3%로 예비치 수준을 유지(전월치가 3.3%이었음)한데다가 5Y 확정치는 3.5%까지 상승(예비치 3.3%, 이전치 3.2%)하며 인플레이션 우려 상승. 3) 여기에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도 크게 하락하며 지표 상 겹악재 발생. 중국 쪽에서 신종 코로나 관련 보도가 나온 것도 부담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
[Week Ahead] 2주 고비 돌입
- 이제 미국 쪽 주요 인덱스들의 YTD 수익률이 2% 아래까지 내려옴. YTD 수익률이 10% 위에 있는 한국과 유로존, 홍콩 등과는 대비되는 모습인데, 올해 그동안 많이 올랐던 지역들이 크게 안 빠지면서도 소외되었던 곳들이 많이 올랐던 이유는 분명히 미국이 밸류에이션을 더 받기에는 애매하면서도 주식 시장 자체를 팔고 떠날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 유동성 상 1분기 중 추가 악화 후 2분기 개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엔비디아 실적이 있는 이번 주와 주요 지표들 일정이 있는 다음 주가 무사히 넘겨야 하는 1분기 내 최대 고비로 판단
- 엔비디아는 한국 시간 27일(목) 새벽 1분기 실적발표 진행 예정. 딥시크 충격 이후 발생했던 낙폭을 많이 만회한 상황이나 최근 고점 당시 수준에 미치지는 못하고 있으며 지난 주에도 조정을 어느 정도 받아 가격 상 부담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시장의 눈높이는 여전히 깐깐함
- 국내 증시는 최근 미국 증시와 완전히 함께 움직인다고 볼 수는 없으나 여전히 미국 영향력을 배제하고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기는 힘든 환경. 이번 주는 조금 수비적으로 나설 필요도 존재하며 최근 시장 내에서 나오고 있는 순환매 및 키맞추기 장세 지속될 가능성 높음
- 올해 두달 정도 기간동안 국내 증시가 오르는 과정 속에서 외국인의 코스피 현물 매도세는 계속되고 있지만 선물 수급은 다르게 돌아가고 있음. 이번달 누적으로 외국인은 코스피 현물을 -1.1조 순매도한 반면 코스피200 선물을 +2.5조가량 순매수(지난 주에는 현물 -3200억, 선물 +5300억원)하면서 2월 초를 기점으로 선물을 크게 사들이고 있음. 선물까지 고려한다면 외국인의 태도가 생각보다 냉담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으며 공매도 재개 전후로 현물 매수세까지 유입되는 것도 가능할 것을 감안하면 조금 길게 보았을 때 유리한 국면 지속
보고서 원문: https://buly.kr/1xy77Ub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02.202523:44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한화생명(A088350) 매수/3,500원
전반적으로 무난한 실적과 자본 시현
- 4Q24 순이익 1,360억원(+254.2% YoY) 기록. 손실계약비용 부담 감소 등 영향으로 보험손익 개선
- 투자손익 무난한 실적 시현. 향후 대체투자 등 관련 평가처분손익 시현 예상되는 만큼 견조한 실적 전망
- 내부모형 도입 등 K-ICS비율 방어 위한 노력 지속할 계획. 향후 제도 개선 통한 주주환원 필요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CLynvKE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한화생명(A088350) 매수/3,500원
전반적으로 무난한 실적과 자본 시현
- 4Q24 순이익 1,360억원(+254.2% YoY) 기록. 손실계약비용 부담 감소 등 영향으로 보험손익 개선
- 투자손익 무난한 실적 시현. 향후 대체투자 등 관련 평가처분손익 시현 예상되는 만큼 견조한 실적 전망
- 내부모형 도입 등 K-ICS비율 방어 위한 노력 지속할 계획. 향후 제도 개선 통한 주주환원 필요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CLynvKE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9.02.202523:33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2.20.
미국 - 트럼프 관세 언급에도 개별 종목 변동성 커지며 강보합 마감
ㆍ 트럼프 관세 협상 여지 존재·FOMC 의사록 내 QT 속도 조절 언급 속 옵션만기일 앞두고 개별 종목 장세
유럽 - EU 겨냥 관세 부담 현실화 우려에 하락 마감
ㆍ 트럼프의 EU 겨냥 관세 부과 현실화 우려 및 기업 실적 하회에 하락세
중국 - AI 낙관론 및 시진핑 민간 부문 부양 의지에 상승 마감
ㆍ 중국 AI 테크 기업에 대한 긍정적 전망 및 시진핑 주석의 민간 부문 부양 의지에 상승세
국내 - 반도체 대형주 중심 강세에 상승 마감
ㆍ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기대감에 반도체 대형주 중심 상승세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BTP0eaC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미국 - 트럼프 관세 언급에도 개별 종목 변동성 커지며 강보합 마감
ㆍ 트럼프 관세 협상 여지 존재·FOMC 의사록 내 QT 속도 조절 언급 속 옵션만기일 앞두고 개별 종목 장세
유럽 - EU 겨냥 관세 부담 현실화 우려에 하락 마감
ㆍ 트럼프의 EU 겨냥 관세 부과 현실화 우려 및 기업 실적 하회에 하락세
중국 - AI 낙관론 및 시진핑 민간 부문 부양 의지에 상승 마감
ㆍ 중국 AI 테크 기업에 대한 긍정적 전망 및 시진핑 주석의 민간 부문 부양 의지에 상승세
국내 - 반도체 대형주 중심 강세에 상승 마감
ㆍ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 확대 기대감에 반도체 대형주 중심 상승세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BTP0eaC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19.02.202523:08
[SK증권 미래산업/미드스몰캡] Analyst 허선재/02-3773-8197
▶️디어유 (376300/KQ) / Not Rated
★중국 진출 임박, 기대감 가져보기 좋은 시점
[중국 노출도가 가장 큰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 디어유는 17년 설립, 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1H24 기준 동사는 613명의 입점 아티스트를 통해 215만개의 유료 구독수를 확보하며 24년 반기 매출액 394억원과 영업이익 142억원(OPM 36%) 시현
- 입점 아티스트의 80% 이상은 K팝 아티스트이며 지역별 구독자수는 중국 35%, 한국 28%, 일본 14%, 미국/기타 23%으로 구분
[엔터 업황 회복에 더해질 중국 진출 모멘텀]
- 지금 디어유에 주목할만한 이유는 내년부터 ①전반적인 엔터 업황/투자심리 회복 (음반 판매량 감소/주요 엔터사 실적 부진 바텀아웃, 중국 한한령 해제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②4Q24 체결한 중국 최대 음악 플랫폼 기업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TME)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시작될 전망이기 때문
- 디어유는 TME가 보유한 주요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①QQ뮤직 ②Kugou뮤직 ③Kuwo뮤직에 인앱 형태로 버블 서비스를 제공하고 (1Q25 예상), 총판매 대금의 약 10% (일본 수준)를 로열티 매출로 인식할 전망
- TME는 QQ, Kugou, Kuwo앱 합산 M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약 1.2억명을 확보한 중국 현지 최대 (MS 80%) 온라인 음악 플랫폼으로, 디어유는 TME에게 ①500명 이상의 K팝 아티스트 풀 ②버블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TME는 현지 C-POP 아티스트 영업 및 마케팅을 담당할 예정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진입할 전망]
- 중국 서비스는 빠르면 3월부터 시작될 전망이며 커머스 실적을 제외하고 단순 TME의 MAU 5억명에 서비스 유입률 1%~3% 가정시, 연간 최소 200억원~600억원의 구독 수익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 (국내 음악 앱 MAU 대비 국내 버블 이용자 비중 약 3% 수준). 잘 키운 중국 사업 하나로 성장의 판도가 완전히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는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it.ly/4i52PLx
▶️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디어유 (376300/KQ) / Not Rated
★중국 진출 임박, 기대감 가져보기 좋은 시점
[중국 노출도가 가장 큰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 디어유는 17년 설립, 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1H24 기준 동사는 613명의 입점 아티스트를 통해 215만개의 유료 구독수를 확보하며 24년 반기 매출액 394억원과 영업이익 142억원(OPM 36%) 시현
- 입점 아티스트의 80% 이상은 K팝 아티스트이며 지역별 구독자수는 중국 35%, 한국 28%, 일본 14%, 미국/기타 23%으로 구분
[엔터 업황 회복에 더해질 중국 진출 모멘텀]
- 지금 디어유에 주목할만한 이유는 내년부터 ①전반적인 엔터 업황/투자심리 회복 (음반 판매량 감소/주요 엔터사 실적 부진 바텀아웃, 중국 한한령 해제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②4Q24 체결한 중국 최대 음악 플랫폼 기업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TME)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시작될 전망이기 때문
- 디어유는 TME가 보유한 주요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①QQ뮤직 ②Kugou뮤직 ③Kuwo뮤직에 인앱 형태로 버블 서비스를 제공하고 (1Q25 예상), 총판매 대금의 약 10% (일본 수준)를 로열티 매출로 인식할 전망
- TME는 QQ, Kugou, Kuwo앱 합산 M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약 1.2억명을 확보한 중국 현지 최대 (MS 80%) 온라인 음악 플랫폼으로, 디어유는 TME에게 ①500명 이상의 K팝 아티스트 풀 ②버블 시스템 개발 및 운영 노하우 등을 제공하고 TME는 현지 C-POP 아티스트 영업 및 마케팅을 담당할 예정
[올해부터 본격적인 성장 구간에 진입할 전망]
- 중국 서비스는 빠르면 3월부터 시작될 전망이며 커머스 실적을 제외하고 단순 TME의 MAU 5억명에 서비스 유입률 1%~3% 가정시, 연간 최소 200억원~600억원의 구독 수익이 더해질 것으로 예상 (국내 음악 앱 MAU 대비 국내 버블 이용자 비중 약 3% 수준). 잘 키운 중국 사업 하나로 성장의 판도가 완전히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는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bit.ly/4i52PLx
▶️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2.202522:49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2.17.
미국- 정치·경제 불확실성에 혼조 마감
ㆍ 트럼프 관세 발언 불확실성 대두 및 1월 소매판매 저조에 혼조세,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 경신
유럽- 랠리 지속 이후 숨고르기 장세, 혼조 마감
ㆍ 5일 연속 최고치 경신 이후 숨고르기 장세 돌입, 명품 업종 실적 호조
중국- 기술주 상승이 시장 상승 견인
ㆍ 애플-알리바바 협력 재확인에 기술주 중심 랠리, AI 성장 기대감이 투자 심리 견인
국내- 관세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
ㆍ 트럼프 상호관세 적용 시점 연기에 투심 안정화, 전일 미국 국채금리 하락 영향. 반도체/전기전자 강세, 조선/전력 약세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GZwy08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미국- 정치·경제 불확실성에 혼조 마감
ㆍ 트럼프 관세 발언 불확실성 대두 및 1월 소매판매 저조에 혼조세,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 경신
유럽- 랠리 지속 이후 숨고르기 장세, 혼조 마감
ㆍ 5일 연속 최고치 경신 이후 숨고르기 장세 돌입, 명품 업종 실적 호조
중국- 기술주 상승이 시장 상승 견인
ㆍ 애플-알리바바 협력 재확인에 기술주 중심 랠리, AI 성장 기대감이 투자 심리 견인
국내- 관세 우려 완화에 상승 마감
ㆍ 트럼프 상호관세 적용 시점 연기에 투심 안정화, 전일 미국 국채금리 하락 영향. 반도체/전기전자 강세, 조선/전력 약세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GZwy08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4.02.202500:00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DB손해보험(A005830) 매수/137,000원
제도 영향에도 여전히 상위권의 효율 지표 지속
- 4Q24 순이익 1,943억원(-25.6% YoY) 기록. CSM 감소로 상각이익 감소, 보험금 예실차 계절적 부진, 자동차보험 부진, 해외수재 관련 보험금융비용 증가 등 요인으로 부진한 실적
- 무/저해지 관련 영향 발생에도 환산배수 등 안정적으로 관리 중. 향후 4월 보험료 인상 이후 높은 배수 지속 전망
- LA 산불 손실 약 4천만불 예상하며 복원보험료 감안하여 약 6~700억원 수준 손실 예상. 무저해지 관련 CSM 감소, LA 산불 등 실적 부담 요인 존재하나 양호한 지표 감안할 때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 향후 밸류업 공시 등에 따른 자본 활용의 효율성 제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TP26us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DB손해보험(A005830) 매수/137,000원
제도 영향에도 여전히 상위권의 효율 지표 지속
- 4Q24 순이익 1,943억원(-25.6% YoY) 기록. CSM 감소로 상각이익 감소, 보험금 예실차 계절적 부진, 자동차보험 부진, 해외수재 관련 보험금융비용 증가 등 요인으로 부진한 실적
- 무/저해지 관련 영향 발생에도 환산배수 등 안정적으로 관리 중. 향후 4월 보험료 인상 이후 높은 배수 지속 전망
- LA 산불 손실 약 4천만불 예상하며 복원보험료 감안하여 약 6~700억원 수준 손실 예상. 무저해지 관련 CSM 감소, LA 산불 등 실적 부담 요인 존재하나 양호한 지표 감안할 때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 향후 밸류업 공시 등에 따른 자본 활용의 효율성 제고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TP26us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소재/산업재

23.02.202509:44
[SK증권 철강/비철금속 이규익]
Weekly Scene Steeler
철강사 주가 추가 상승 여력 충분
▪️지난주 중국 철강 가격 열연 +1.3% WoW(이하 WoW), 냉연 +0.5%, 후판 +0.5%, 철근 -0.1%. 철광석 $108(+2.4%), 철광석 선물 $108(+0.8%). 원료탄 $190(-1.6%). 철강 제품 및 원재료 가격 대체로 상승. 봄철 수요 성수기 및 양 회에 대한 기대감 반영. 2/12 등불축제 이후 건설 현장 재개 차츰 진행되고 있음
▪️북미 유정관 가격 상승세 지속. 1/10 $1,800▶️2/14 $1,925▶️2/21 $2,350. 유정관 재고 조정 마무리되고 업황 개선세 이어지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 철강 관세 부과에 북미 열연 가격 2월 초 대비 15% 상승한 영향. 아직 수요 개선 움직임은 보이지 않음. 향후 미국 에너지 생산 증대로 수요까지 개선된다면 추가적인 유정관 가격 상승 가능할 것으로 전망
▪️구리 +0.3%, 아연 +3.4%, 연 +0.3%, 니켈 -0.4%, 금 +1.9%, 은 +1.1%. 달러 약세에 비철금속 가격 상승
▪️무역위,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후판 국내 유통-수입 가격이 10% 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는 점 감안하면 27.9~38% 관세율은 중국산 후판 수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대형 조선사 측에서 중국산 후판 수입 비중을 확대할 수 있지만 후판 유통-수입 가격 축소, 국내 기업과의 관계, 공급 안정성 등 감안 시 공격적인 확대 어려울 것
▪️관세 이슈로 지난주 철강사 주가 급등. 추가적인 상승 위해서는 중국 철강 업황의 개선 필요. 중국 부동산 업황 개선세 지속되고 있으며 계절적 성수기, 양 회에 대한 기대감도 상존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철강 가격 상승 가능성 높다고 판단
▶️보고서 원문: shorturl.at/q3Oca
SK증권 소재/산업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Weekly Scene Steeler
철강사 주가 추가 상승 여력 충분
▪️지난주 중국 철강 가격 열연 +1.3% WoW(이하 WoW), 냉연 +0.5%, 후판 +0.5%, 철근 -0.1%. 철광석 $108(+2.4%), 철광석 선물 $108(+0.8%). 원료탄 $190(-1.6%). 철강 제품 및 원재료 가격 대체로 상승. 봄철 수요 성수기 및 양 회에 대한 기대감 반영. 2/12 등불축제 이후 건설 현장 재개 차츰 진행되고 있음
▪️북미 유정관 가격 상승세 지속. 1/10 $1,800▶️2/14 $1,925▶️2/21 $2,350. 유정관 재고 조정 마무리되고 업황 개선세 이어지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 철강 관세 부과에 북미 열연 가격 2월 초 대비 15% 상승한 영향. 아직 수요 개선 움직임은 보이지 않음. 향후 미국 에너지 생산 증대로 수요까지 개선된다면 추가적인 유정관 가격 상승 가능할 것으로 전망
▪️구리 +0.3%, 아연 +3.4%, 연 +0.3%, 니켈 -0.4%, 금 +1.9%, 은 +1.1%. 달러 약세에 비철금속 가격 상승
▪️무역위,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결정. 후판 국내 유통-수입 가격이 10% 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는 점 감안하면 27.9~38% 관세율은 중국산 후판 수입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대형 조선사 측에서 중국산 후판 수입 비중을 확대할 수 있지만 후판 유통-수입 가격 축소, 국내 기업과의 관계, 공급 안정성 등 감안 시 공격적인 확대 어려울 것
▪️관세 이슈로 지난주 철강사 주가 급등. 추가적인 상승 위해서는 중국 철강 업황의 개선 필요. 중국 부동산 업황 개선세 지속되고 있으며 계절적 성수기, 양 회에 대한 기대감도 상존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철강 가격 상승 가능성 높다고 판단
▶️보고서 원문: shorturl.at/q3Oca
SK증권 소재/산업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02.202522:55
SK 증권 아침에 슥_2025.02.21.
미국 - 월마트 가이던스 부진 및 경기선행지수 부진에 하락
ㆍ 월마트 실적 부진을 지난 주 소매판매 부진과 맞물러 해석하면서 지수 하락, 은행 섹터 차익 실현
유럽 - 미국 관세폭탄 위협 등 영향 프랑스 제외 일제히 하락
ㆍ 트럼프 관세 위협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일부 기업 실적 실망감에 투자 심리 약화
중국 - 미국 관세 우려에 혼조세, 기술주 랠리 숨 고르기
ㆍ 기술주 랠리가 과도했다는 인식에 차익 실현, 트럼프 관세 우려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상방 제한
국내 - 7거래일 연속 상승 이어가던 시장, 장 색깔 변화하며 하락
ㆍ 조선 하락, 2차전지 상승.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게임, 유통, 엔터, 콘텐츠 등 다수 관련 섹터 상승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Jnc03T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미국 - 월마트 가이던스 부진 및 경기선행지수 부진에 하락
ㆍ 월마트 실적 부진을 지난 주 소매판매 부진과 맞물러 해석하면서 지수 하락, 은행 섹터 차익 실현
유럽 - 미국 관세폭탄 위협 등 영향 프랑스 제외 일제히 하락
ㆍ 트럼프 관세 위협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일부 기업 실적 실망감에 투자 심리 약화
중국 - 미국 관세 우려에 혼조세, 기술주 랠리 숨 고르기
ㆍ 기술주 랠리가 과도했다는 인식에 차익 실현, 트럼프 관세 우려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라 상방 제한
국내 - 7거래일 연속 상승 이어가던 시장, 장 색깔 변화하며 하락
ㆍ 조선 하락, 2차전지 상승.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게임, 유통, 엔터, 콘텐츠 등 다수 관련 섹터 상승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Jnc03T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19.02.202523:31
Analyst 박찬솔 (rightsearch@sks.co.kr/3773-9955)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Analyst 허선재 (sunjae.heo@sks.co.kr/3773-8197)
▶️ 2025년 사이클 컨버전스
-2025년 주식 시장을 흔들 4가지 힘(Force)이 서로 만나 상호 작용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미국 제조업, AI Thematic, 삼성전자 감익, 중소형주 홀수해 사이클을 같이 분석했습니다.
-중소형주에 기회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고 판단합니다. 실적 우려가 시장을 장악해도 매수 기회라고 판단합니다.
-25/26년 엔터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 제시하며, 3개의 중소형주 엔터 종목 노머스/SAMG엔터/디어유 추천드립니다.
▶️ 기업분석
노머스 (A473980/KQ/Not Rated) –해외 투어 가는 신생 엔터테크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과 협력하는 엔터테크
-대형 아티스트들이 소속사로부터 독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사업 모델에도 긍정적 변화 생겨
-2025년에도 2024년과 마찬가지로 해외 투어 매출액이 고성장하며 전사 실적 견인 예상
-해외투어는 현지 프로모터와 공연의 성공 여부를 사전 조사해 하방을 막는 것이 사업의 핵심
-2025년 목표치를 달성하면 노머스의 연간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돌파 예상
SAMG엔터 (A419530/KQ/Not Rated) -롱런 캐릭터로 진화
-SAMG엔터의 4Q24 매출액은 419억원(YoY +21.5%), 영업이익은 9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성공
-인기 IP를 활용한 제품 판매 증가로 외형이 성장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인기 IP를 활용한 사업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방증
-중장기적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롱런 캐릭터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
-올해는 확실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
디어유 (A376300/KQ/Not Rated) –중국 진출 임박, 기대감 가져보기 좋은 시점
-17년 설립, 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주력 서비스 ‘버블’은 구독자들이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월 구독형 프라이빗 메시징 플랫폼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TME)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곧 시작될 것
-TME는 QQ, Kugou, Kuwo앱 합산 M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약 1.2억명을 확보한 중국 현지 최대 온라인 음악 플랫폼
-TME의 MAU 5억명에 서비스 유입률 1%~3% 가정시, 연간 최소 200억원~600억원의 구독 수익이 디어유에 더해질 것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7ZUgtL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Analyst 허선재 (sunjae.heo@sks.co.kr/3773-8197)
▶️ 2025년 사이클 컨버전스
-2025년 주식 시장을 흔들 4가지 힘(Force)이 서로 만나 상호 작용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미국 제조업, AI Thematic, 삼성전자 감익, 중소형주 홀수해 사이클을 같이 분석했습니다.
-중소형주에 기회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고 판단합니다. 실적 우려가 시장을 장악해도 매수 기회라고 판단합니다.
-25/26년 엔터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 제시하며, 3개의 중소형주 엔터 종목 노머스/SAMG엔터/디어유 추천드립니다.
▶️ 기업분석
노머스 (A473980/KQ/Not Rated) –해외 투어 가는 신생 엔터테크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기획사에 소속된 아티스트들과 협력하는 엔터테크
-대형 아티스트들이 소속사로부터 독립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사업 모델에도 긍정적 변화 생겨
-2025년에도 2024년과 마찬가지로 해외 투어 매출액이 고성장하며 전사 실적 견인 예상
-해외투어는 현지 프로모터와 공연의 성공 여부를 사전 조사해 하방을 막는 것이 사업의 핵심
-2025년 목표치를 달성하면 노머스의 연간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돌파 예상
SAMG엔터 (A419530/KQ/Not Rated) -롱런 캐릭터로 진화
-SAMG엔터의 4Q24 매출액은 419억원(YoY +21.5%), 영업이익은 9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성공
-인기 IP를 활용한 제품 판매 증가로 외형이 성장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인기 IP를 활용한 사업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방증
-중장기적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롱런 캐릭터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
-올해는 확실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
디어유 (A376300/KQ/Not Rated) –중국 진출 임박, 기대감 가져보기 좋은 시점
-17년 설립, 2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업체
-주력 서비스 ‘버블’은 구독자들이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소통할 수 있는 월 구독형 프라이빗 메시징 플랫폼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TME)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곧 시작될 것
-TME는 QQ, Kugou, Kuwo앱 합산 MAU 5억명, 유료 구독자 수 약 1.2억명을 확보한 중국 현지 최대 온라인 음악 플랫폼
-TME의 MAU 5억명에 서비스 유입률 1%~3% 가정시, 연간 최소 200억원~600억원의 구독 수익이 디어유에 더해질 것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7ZUgtL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2.202523:23
Analyst 형권훈 (kh.hyung@sks.co.kr/3773-9997)
화승엔터프라이즈(A241590) 매수/15,000원
예상보다 강력했다
- 4분기 매출액 4,865억 원(+47.7%), 영업이익 394억 원(+392.4%, OPM 8.1%)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 크게 상회
- 고객사인 아디다스의 판매 호조에 더해 오리지널 시리즈 신규 오더 추가되며 높은 탑라인 성장률 시현
- 가동률 상승과 영업 레버리지 효과, 4Q23 일회성 비용 기저 효과, 지급수수료 감소로 OPM 5.6%p 개선 추정
- '25년 실적 매출액 1조 8,625억 원(+15.7%), 영업이익 1,225억 원(+48.3%, OPM 6.6%) 전망
- 아디다스 매출액 가이던스와 재고 상황, 그리고 신규 오더를 고려하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치
- 의류 OEM 내 가장 강한 실적 모멘텀 보유, OEM 내 탑픽 관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Mr17Kt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화승엔터프라이즈(A241590) 매수/15,000원
예상보다 강력했다
- 4분기 매출액 4,865억 원(+47.7%), 영업이익 394억 원(+392.4%, OPM 8.1%) 기록해 시장 컨센서스 크게 상회
- 고객사인 아디다스의 판매 호조에 더해 오리지널 시리즈 신규 오더 추가되며 높은 탑라인 성장률 시현
- 가동률 상승과 영업 레버리지 효과, 4Q23 일회성 비용 기저 효과, 지급수수료 감소로 OPM 5.6%p 개선 추정
- '25년 실적 매출액 1조 8,625억 원(+15.7%), 영업이익 1,225억 원(+48.3%, OPM 6.6%) 전망
- 아디다스 매출액 가이던스와 재고 상황, 그리고 신규 오더를 고려하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치
- 의류 OEM 내 가장 강한 실적 모멘텀 보유, OEM 내 탑픽 관점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6Mr17Kt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2.202522:42
Analyst 윤혁진 (hjyoon2019@sks.co.kr/3773-9025)
▶️롯데렌탈(A089860) 매수/49,000원
2025년 롯데렌탈에 기대할 수 있는 3가지
- 렌탈차량 순증의 스노우볼 효과로 오토렌탈 매출 성장 지속
- 중고차 매각사업 이익 +200억원 증가
- 매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10%대 성장
▶️보고서 원문: https://buly.kr/EdsdD3O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롯데렌탈(A089860) 매수/49,000원
2025년 롯데렌탈에 기대할 수 있는 3가지
- 렌탈차량 순증의 스노우볼 효과로 오토렌탈 매출 성장 지속
- 중고차 매각사업 이익 +200억원 증가
- 매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10%대 성장
▶️보고서 원문: https://buly.kr/EdsdD3O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3.02.202522:57
Analyst 나민식 , CFA (minsik@sks.co.kr/02-3773-9503)
[Quanta Services] 4Q24 Review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HHc2Sr0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Quanta Services] 4Q24 Review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HHc2Sr0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소재/산업재

23.02.202508:56
[SK증권 조선 한승한] (shane.han@sks.co.kr/3773-9992)
▶️한수위: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시화
▪️신조선가지수 188.57pt(-0.11pt), 중고선가지수 173.87pt(+0.30pt) 기록
▪️미국 현지시각으로 2월 21일, 미 무역대표부(USTR)은 지난 1월 26일 중국 조선/해운업 불공정 관행 결과를 바탕으로 Section 301에 의거하여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 항구에 입항 시 항만 수수료 등을 부과하는 등의 제안된 조치에 대한 대중 의견 공고문을 발표
▪️오는 3월 24일에 열릴 공청회를 거친 후 USTR 및 대통령실이 해당 제제안을 확정하고, 이후 2~3개월 내에 최종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빠르면 상반기 혹은 늦어도 하반기에는 해당 제제안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USTR의 공고문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①중국 국적 선사에 대한 수수료, ②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③중국 조선소에 선박 발주한 선주/선사에 대한 수수료, ④미국산 선박 사용 시 수수료 환급, ⑤미국 제품 수출 시 미국 국적 선박 의무 비율, ⑥중국 물류 플랫폼(LOGINK) 사용 제한으로 나눌 수 있음
▪️중요한 부분은 해당 조치들의 중복 여부인데, 중복이 가능할 시 미국 항구로 입항하는 선박이 ②-(a)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최대 150만 달러)이면서, ①해당 선박의 선사가 중국 국적이면서(최대 100만 달러), ②-(c)해당 선박 운영사의 선단 내 중국산 선박 비율이 25% 이상(최대 100만 달러)이면서, ③해당 운영사가 향후 24개월 내 인도 받을 선박 중 중국 조선소의 비중이 25% 이상(최대 100만 달러)이면 최대 450만 달러의 수수료 부과가 가능
▪️주목해야 할 것은 해당 수수료가 1회 입항 때마다 부과된다는 점. 선종 및 항구마다 차이가 있으며, 해당 제재안이 언제까지 적용될지 그리고 선사 및 선주들이 해당 제재안으로 입항 횟수 및 물동량 감소라는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수료 추정은 어려움. 하지만 해당안으로 인해 미 항만에 주로 입항하는 선박들(특히 컨선)에게 큰 타격은 확실
▪️또한 중국 국적의 ‘선박’이 아닌 ‘선사’라는 더 포괄적인 기준을 적용했다는 점. 중국 선사가 운영하는 선박이어도 파나마, 라이베리아, 마샬 제도 등의 타 국적인 선박인 경우가 훨씬 많음-①
▪️2Q25~3Q25 시행을 가정하면, 24개월 내 글로벌 인도 선박 중 중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의 비중은 60% 이상으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③번 제재안 조건에 해당될 선주 및 선사들은 상당히 많을 것으로 추정됨
▪️글로벌 병목현상 때부터 이어진 글로벌 대규모 선박 발주 물량의 인도가 ‘25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함. 특히 공격적인 캐파 확장을 바탕으로 작년까지 글로벌 컨테이너선을 싹쓸이 수주했던 중국 조선소와 이들에게 주로 발주했던 선주 및 선사들의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
▪️제재안 발표 및 시행 시 글로벌 선주들의 중국 조선소에 발주할 가능성은 이전 대비 매우 낮아지며, 한국과 일본 조선소의 반사수혜로 작용할 전망. 조선 3사 최근 미 해군 함정 모멘텀을 바탕으로 주가 급상승 나타내다 밸류에이션 부담에 따른 조정을 받았지만,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와 같은 상선 모멘텀에 의한 주가 급등 트리거가 아직 남아있기에 주가 상방은 계속 열어 놓아야 한다는 판단이며, 조선주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TP1slm
SK증권 소재/산업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한수위: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가시화
▪️신조선가지수 188.57pt(-0.11pt), 중고선가지수 173.87pt(+0.30pt) 기록
▪️미국 현지시각으로 2월 21일, 미 무역대표부(USTR)은 지난 1월 26일 중국 조선/해운업 불공정 관행 결과를 바탕으로 Section 301에 의거하여 중국의 해양/물류/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 항구에 입항 시 항만 수수료 등을 부과하는 등의 제안된 조치에 대한 대중 의견 공고문을 발표
▪️오는 3월 24일에 열릴 공청회를 거친 후 USTR 및 대통령실이 해당 제제안을 확정하고, 이후 2~3개월 내에 최종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빠르면 상반기 혹은 늦어도 하반기에는 해당 제제안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USTR의 공고문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①중국 국적 선사에 대한 수수료, ②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③중국 조선소에 선박 발주한 선주/선사에 대한 수수료, ④미국산 선박 사용 시 수수료 환급, ⑤미국 제품 수출 시 미국 국적 선박 의무 비율, ⑥중국 물류 플랫폼(LOGINK) 사용 제한으로 나눌 수 있음
▪️중요한 부분은 해당 조치들의 중복 여부인데, 중복이 가능할 시 미국 항구로 입항하는 선박이 ②-(a)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최대 150만 달러)이면서, ①해당 선박의 선사가 중국 국적이면서(최대 100만 달러), ②-(c)해당 선박 운영사의 선단 내 중국산 선박 비율이 25% 이상(최대 100만 달러)이면서, ③해당 운영사가 향후 24개월 내 인도 받을 선박 중 중국 조선소의 비중이 25% 이상(최대 100만 달러)이면 최대 450만 달러의 수수료 부과가 가능
▪️주목해야 할 것은 해당 수수료가 1회 입항 때마다 부과된다는 점. 선종 및 항구마다 차이가 있으며, 해당 제재안이 언제까지 적용될지 그리고 선사 및 선주들이 해당 제재안으로 입항 횟수 및 물동량 감소라는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수료 추정은 어려움. 하지만 해당안으로 인해 미 항만에 주로 입항하는 선박들(특히 컨선)에게 큰 타격은 확실
▪️또한 중국 국적의 ‘선박’이 아닌 ‘선사’라는 더 포괄적인 기준을 적용했다는 점. 중국 선사가 운영하는 선박이어도 파나마, 라이베리아, 마샬 제도 등의 타 국적인 선박인 경우가 훨씬 많음-①
▪️2Q25~3Q25 시행을 가정하면, 24개월 내 글로벌 인도 선박 중 중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의 비중은 60% 이상으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③번 제재안 조건에 해당될 선주 및 선사들은 상당히 많을 것으로 추정됨
▪️글로벌 병목현상 때부터 이어진 글로벌 대규모 선박 발주 물량의 인도가 ‘25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함. 특히 공격적인 캐파 확장을 바탕으로 작년까지 글로벌 컨테이너선을 싹쓸이 수주했던 중국 조선소와 이들에게 주로 발주했던 선주 및 선사들의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
▪️제재안 발표 및 시행 시 글로벌 선주들의 중국 조선소에 발주할 가능성은 이전 대비 매우 낮아지며, 한국과 일본 조선소의 반사수혜로 작용할 전망. 조선 3사 최근 미 해군 함정 모멘텀을 바탕으로 주가 급상승 나타내다 밸류에이션 부담에 따른 조정을 받았지만,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와 같은 상선 모멘텀에 의한 주가 급등 트리거가 아직 남아있기에 주가 상방은 계속 열어 놓아야 한다는 판단이며, 조선주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TP1slm
SK증권 소재/산업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Cyclical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0.02.202500:15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메리츠금융지주(A138040) 매수/145,000원
향후 이익체력에 대한 뚜렷한 기대감
- 메리츠화재: 가이드라인 영향 거의 없었으며 가정 조정에도 CSM 견조한 증가세 지속. 향후 예실차 이익 감소 예상되나 4세대 실손 조기 요율 인상 등 감안할 때 손실계약비용 부담도 갱신과 함께 완화될 전망. 자동차보험 부진 예상되나 실적 비중 작아 제한적 영향 전망
- 메리츠증권: 부동산 시장 부담 완화되며 부동산/기업금융 중심 견조한 이익체력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적극적으로 진출 중인 리테일/전통 IB 등에서 추가적인 이익체력 제고 기대 가능할 전망
- 4Q24 지배순이익 3,402억원(-6% YoY) 기록. 신계약 프로모션 확대로 인한 사업비 예실차 확대, 환산배수 하락 나타났으며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로 보험손익 부진. 증권도 해외부동산 관련 영향 지속되는 등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Q 실적은 소폭 감소. 다만 향후 부동산 관련 부담 완화에 따른 실적 개선세 나타날 전망
- 25년 총 주주환원 규모는 자사주 중심으로 약 1.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NjGrqw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메리츠금융지주(A138040) 매수/145,000원
향후 이익체력에 대한 뚜렷한 기대감
- 메리츠화재: 가이드라인 영향 거의 없었으며 가정 조정에도 CSM 견조한 증가세 지속. 향후 예실차 이익 감소 예상되나 4세대 실손 조기 요율 인상 등 감안할 때 손실계약비용 부담도 갱신과 함께 완화될 전망. 자동차보험 부진 예상되나 실적 비중 작아 제한적 영향 전망
- 메리츠증권: 부동산 시장 부담 완화되며 부동산/기업금융 중심 견조한 이익체력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적극적으로 진출 중인 리테일/전통 IB 등에서 추가적인 이익체력 제고 기대 가능할 전망
- 4Q24 지배순이익 3,402억원(-6% YoY) 기록. 신계약 프로모션 확대로 인한 사업비 예실차 확대, 환산배수 하락 나타났으며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로 보험손익 부진. 증권도 해외부동산 관련 영향 지속되는 등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Q 실적은 소폭 감소. 다만 향후 부동산 관련 부담 완화에 따른 실적 개선세 나타날 전망
- 25년 총 주주환원 규모는 자사주 중심으로 약 1.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
▶️보고서 원문: https://buly.kr/NjGrqw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증권 스몰캡 리서치

19.02.202523:28
Analyst 나승두 (nsdoo@sks.co.kr/3773-8891)
▶️ SAMG엔터 (A419530/KQ/Not Rated) - 롱런 캐릭터로 진화
-SAMG엔터의 4Q24 매출액은 419억원(YoY +21.5%), 영업이익은 9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성공
-인기 IP를 활용한 제품 판매 증가로 외형이 성장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인기 IP를 활용한 사업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방증
-중장기적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롱런 캐릭터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
-올해는 확실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3YCuVnh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SAMG엔터 (A419530/KQ/Not Rated) - 롱런 캐릭터로 진화
-SAMG엔터의 4Q24 매출액은 419억원(YoY +21.5%), 영업이익은 9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 성공
-인기 IP를 활용한 제품 판매 증가로 외형이 성장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해외에서도 우리나라의 인기 IP를 활용한 사업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방증
-중장기적으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롱런 캐릭터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
-올해는 확실한 이익 레버리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전망
▶️ 보고서 원문: https://buly.kr/3YCuVnh
SK증권 미드스몰캡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smallcap
SK증권 리서치센터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6.02.202522:57
[SK증권 금융(은행/보험/증권) 설용진]
▶️ 코리안리(A003690) 매수/10,000원
여전히 무난한 업황과 개선된 경상 이익체력
- 1월 재보험 특약 갱신 결과 인수조건 일부 하락하며 요율 상승에 대한 기대감 이전보다 낮아진 상황. 다만 누적된 요율 상승으로 재보험 가격 여전히 높은 만큼 안정적 이익 체력 지속하는데 어려움 없을 전망
- IFRS4 이익을 살펴보면 22년까지 2천억원을 하회하던 당기순이익은 23년 2,612억원, 24년 3,015억원으로 현저히 개선된 이익 수준을 기록. 향후 이상기후 등 감안했을 때 추가적인 인수 조건 개선 나타날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
- 4Q24 순이익 627억원(흑전 YoY) 기록. 특별한 고액사고 없었으나 미국 특종보험 부채 보수적 적립 단행했으며 LA 산불은 향후 약 2천만$~3천만$ 정도 예상. 생보의 경우 보수적 부채 적립 지속되었으나 공동재보험 등 영향으로 CSM 상각이익 개선되며 실적 개선
▶️보고서 원문: https://buly.kr/7QLYzpe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 코리안리(A003690) 매수/10,000원
여전히 무난한 업황과 개선된 경상 이익체력
- 1월 재보험 특약 갱신 결과 인수조건 일부 하락하며 요율 상승에 대한 기대감 이전보다 낮아진 상황. 다만 누적된 요율 상승으로 재보험 가격 여전히 높은 만큼 안정적 이익 체력 지속하는데 어려움 없을 전망
- IFRS4 이익을 살펴보면 22년까지 2천억원을 하회하던 당기순이익은 23년 2,612억원, 24년 3,015억원으로 현저히 개선된 이익 수준을 기록. 향후 이상기후 등 감안했을 때 추가적인 인수 조건 개선 나타날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
- 4Q24 순이익 627억원(흑전 YoY) 기록. 특별한 고액사고 없었으나 미국 특종보험 부채 보수적 적립 단행했으며 LA 산불은 향후 약 2천만$~3천만$ 정도 예상. 생보의 경우 보수적 부채 적립 지속되었으나 공동재보험 등 영향으로 CSM 상각이익 개선되며 실적 개선
▶️보고서 원문: https://buly.kr/7QLYzpe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Reposted from:
SK 리서치 자산전략팀

16.02.202522:27
[SK증권 조준기] [Market Nowcast] 다음주 엔비디아 실적
[Week Ahead]
- 이번 주 예정되어 있는 주요 이벤트들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최근 증시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변동성은 꽤나 높았는데 이번 주는 조금 잔잔한 일주일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
- 여전히 국내 증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 유지하며 최근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한 것 또한 고무적(지난 주 일주일동안 코스피와 코스닥의 일평균거래대금은 각각 13.1조원, 9.6조원, 분위기 극악이었던 작년말에는 거의 절반 수준이었음)이나 기술적 지표상으로는 과열에 근접. 절대적인 레벨상의 부담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나 단기간에 꽤 많이 오른 것도 사실. 초단기적으로는 가격 조정이든 기간 조정이든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
- 미국 S&P 500 기업들 중 80% 가까이 실적 발표 마무리하며 실적시즌 마무리 국면. 78% 정도의 어닝서프라이즈 비율 보인 가운데 실적발표 이후 2거래일 가격반응은 서프라이즈 -0.6%, 부합 -0.6%, 쇼크 -1.6%로 엄청 폭발적이지는 않았음. 자연스럽게 다음 주(2/26 미국 증시 종료 후) 예고된 엔비디아 실적으로 시선이 쏠리는 상황
- 지난 주 국내 증시 실적발표 일정도 거의 마무리. 이번 실적시즌에서 쇼크 많이 나긴 했지만 지난 주는 그래도 나쁘지 않았음.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도 잠시 멈추고 지난 주는 지지난 주 말 대비해서 25E, 26E 영업이익 추정치가 각각 0.2%, 0.23% 상향 조정됨. 실적이 나오면서 추정치가 더 내려갈 일은 당분간 없다는 점은 시장 측면에서 나쁠 것 없으며 많이 내려가 있는 눈높이를 감안할 때 1분기 실적시즌이 생각보다 괜찮게 흘러간다면 가격적 보상 크게 나올 가능성 존재
- 트럼프의 관세 노이즈 지속되고 있지만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때리며 시작했던 첫 날만큼의 변동성은 이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자극적인 뉴스들이 쏟아지지만 시장은 이제 상당히 둔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시간이 갈수록 협상용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듯. 최근까지의 시장에서의 섹터 선호도에 트럼프 관세 리스크가 큰 영향을 주면서 선호되는 곳들로 수급이 쏠렸다면 관세 리스크가 낮아지는 구간에서는 반대의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인덱스가 크게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겠으나 그 속에서 로테이션이 활발하게 돌 수 있을 것
- 최근 국내 증시 분위기 나쁘지 않으나 외국인 매수세에 기반한 상승은 아니었음. 주로 개인과 기관(연기금)의 매수세에 기반한 상승인데 외국인의 국내 증시에 대한 태도만 변한다면 추가적으로 시장 전체의 업사이드는 더 크게 열릴 수 있다는 생각. 환율이 메인 변수는 맞겠지만 이 위치에서 위로 튀어오르더라도 그 폭은 제한적일 가능성
- 미국 증시는 워싱턴 탄생일로 2/17(월) 휴장 예정, 매매 일정에 참고할 필요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IUEZHK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Week Ahead]
- 이번 주 예정되어 있는 주요 이벤트들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최근 증시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변동성은 꽤나 높았는데 이번 주는 조금 잔잔한 일주일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
- 여전히 국내 증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 유지하며 최근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한 것 또한 고무적(지난 주 일주일동안 코스피와 코스닥의 일평균거래대금은 각각 13.1조원, 9.6조원, 분위기 극악이었던 작년말에는 거의 절반 수준이었음)이나 기술적 지표상으로는 과열에 근접. 절대적인 레벨상의 부담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나 단기간에 꽤 많이 오른 것도 사실. 초단기적으로는 가격 조정이든 기간 조정이든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
- 미국 S&P 500 기업들 중 80% 가까이 실적 발표 마무리하며 실적시즌 마무리 국면. 78% 정도의 어닝서프라이즈 비율 보인 가운데 실적발표 이후 2거래일 가격반응은 서프라이즈 -0.6%, 부합 -0.6%, 쇼크 -1.6%로 엄청 폭발적이지는 않았음. 자연스럽게 다음 주(2/26 미국 증시 종료 후) 예고된 엔비디아 실적으로 시선이 쏠리는 상황
- 지난 주 국내 증시 실적발표 일정도 거의 마무리. 이번 실적시즌에서 쇼크 많이 나긴 했지만 지난 주는 그래도 나쁘지 않았음.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도 잠시 멈추고 지난 주는 지지난 주 말 대비해서 25E, 26E 영업이익 추정치가 각각 0.2%, 0.23% 상향 조정됨. 실적이 나오면서 추정치가 더 내려갈 일은 당분간 없다는 점은 시장 측면에서 나쁠 것 없으며 많이 내려가 있는 눈높이를 감안할 때 1분기 실적시즌이 생각보다 괜찮게 흘러간다면 가격적 보상 크게 나올 가능성 존재
- 트럼프의 관세 노이즈 지속되고 있지만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때리며 시작했던 첫 날만큼의 변동성은 이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자극적인 뉴스들이 쏟아지지만 시장은 이제 상당히 둔감하게 반응하고 있음. 시간이 갈수록 협상용이라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 듯. 최근까지의 시장에서의 섹터 선호도에 트럼프 관세 리스크가 큰 영향을 주면서 선호되는 곳들로 수급이 쏠렸다면 관세 리스크가 낮아지는 구간에서는 반대의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인덱스가 크게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겠으나 그 속에서 로테이션이 활발하게 돌 수 있을 것
- 최근 국내 증시 분위기 나쁘지 않으나 외국인 매수세에 기반한 상승은 아니었음. 주로 개인과 기관(연기금)의 매수세에 기반한 상승인데 외국인의 국내 증시에 대한 태도만 변한다면 추가적으로 시장 전체의 업사이드는 더 크게 열릴 수 있다는 생각. 환율이 메인 변수는 맞겠지만 이 위치에서 위로 튀어오르더라도 그 폭은 제한적일 가능성
- 미국 증시는 워싱턴 탄생일로 2/17(월) 휴장 예정, 매매 일정에 참고할 필요
보고서 원문: https://buly.kr/BIUEZHK
* SK증권 자산전략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_Research_Asset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hown 1 - 24 of 25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