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avatar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avatar
[시그널랩] Signal Lab 리서치
Date range
Number of views

Citations

Posts
Hide reposts
14.02.202508:23
✍️ <글로벌 이슈 / 시장 컬러>

[미국 중심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역발상 필요]
올해 시장 전망과 관련된 핵심 가정들이 변화하면서 역발상 전략이 필요해짐. 미국 경제 예외주의와 기술 빅테크 사이클 지속, 달러 강세 및 연준의 금리 인하 기조, 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기존 예상과 달리 조정되는 모습. 이에 따라 미국 주도의 주식시장 흐름이 약화되며 슈퍼 달러 현상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비미국 지역의 리플레이션 정책이 부각될 가능성. 딥시크의 AI 혁신이 초래할 시장 변화와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의 풍선효과 역시 변수로 작용할 전망.

[AI 기술 확산과 B2C S/W 주도 흐름]
빅테크의 독점적 성장 흐름에서 주도권이 확산되는 가운데, 주가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분야는 B2C 소프트웨어(S/W) 기업. 딥시크가 보여준 AI 기술의 잠재력이 빅테크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중소형 플랫폼 기업들이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활용해 사용자 데이터를 더 정교하게 수집·분석할 수 있는 강점이 부각됨. 초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기업들은 기존 빅테크 플랫폼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사용자를 확보하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음.

[트럼프 2기 관세정책과 무역 리스크]
트럼프 1기 때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무역법 301조(불공정 무역 조사)와 무역확장법 232조(국가안보 관련 관세)는 2기에도 주요 무역정책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음. 트럼프 대통령은 보편관세(모든 국가 대상)와 상호관세(보복 관세)를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IEEPA(국제비상경제권법)와 관세법 338조를 통해 무역수지 악화를 비상사태로 규정하고 특정 국가에 최대 50% 관세를 부과할 여지가 있음. 미 하원 공화당 의원들은 대통령에게 추가적인 관세 권한을 부여하는 법안을 제출한 상태이며, 한국도 무역법 122조 적용 가능성이 있어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큰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가 지속될 전망.

[채권시장 투자 전략: 저쿠폰채의 기회]
금투세가 도입되었다면 저쿠폰채의 세금 절감 효과가 희석될 뻔했지만, 지난해 말 금투세 폐지로 인해 저쿠폰채는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지로 남아 있음. 국내 채권의 경우 상반기를 지나면 남은 투자 기회가 더욱 제한될 가능성이 크므로 적정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 미국 채권의 경우 금리 매력이 높지만 환율 부담이 존재, 이에 따라 저쿠폰 미국채의 만기를 다양화하는 전략과 국내 저쿠폰채 투자를 병행하는 접근이 고려될 수 있음.

[넥스트레이드 도입과 한국 자본시장 변화]
2025년 3월 4일부터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를 통한 거래가 시작될 예정. 일본의 경우 전체 거래대금의 11%가 대체거래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 역시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됨.

#시그널랩리서치 #미국경제 #AI혁신 #트럼프관세 #저쿠폰채 #넥스트레이드 #자본시장선진화

- SignalLab Research
- https://t.me/siglab.
14.02.202507:12
[시그널랩 리서치] 2/14 (금) 마감 리뷰
https://t.me/siglab

◆ Market

- KOSPI: 2,591.05 (+0.31%)
- KOSDAQ: 756.32 (+0.94%)
- NIKKEI 225: 39,149.43 (-0.79%)
- 상해종합지수: 3,346.72 (+0.43%)
- 대만 가권: 23,152.61 (-1.05%)
- 원달러: 1,442.60 (-0.28%)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653억), 기관(+3,654억), 외국인(-3,207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1,830억), 기관(+119억), 외국인(+1,970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72억), 기관(-5,048억), 외국인(+4,933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290억), 비차익(+793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양 시장 상승 마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완화한 점이 매수세 유입으로 연결.
- 다만 오후 들어 양 시장 모두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는데, 주말 및 다음주 월요일 미 증시 휴장을 앞둔 경계감 때문으로 추정.
- 개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도에 나선 가운데, 기관은 KOSPI와 KOSDAQ 등 현물, 외국인은 KOSDAQ과 KOSPI200 선물을 순매수.
- KOSPI에서 기관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금융, 기계장비 유통, 제약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다수의 업종을 순매도한 가운데, 개인은 운송장비부품, 외국인은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일부 업종을 순매수.
- KOSDAQ에서 외국인은 제약, 기계장비 업종을 중심으로 일부 업종을 순매수. 개인은 해당 업종을 순매도, 전기전자 및 의료정밀 등 일부 업종을 순매수. 기관은 기계장비, 유통, 전기전자 등 일부 업종에서 순매수를 기록.
- 섹터별로는 상승 섹터와 하락 섹터가 비슷하게 형성된 가운데 CXL 등 반도체 섹터가 특히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주도.
-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 일본 니케이225(-0.79%), 중국 상해종합(+0.43%), 대만 가권(-1.05%) 등.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14.02.202506:35
[단독] 삼성 이재용 독일行…파운드리 챙기기 '미워도 다시 한번'

"올해 첫 해외 출장지로 찾은 독일은 삼성전자가 매년 파운드리 포럼을 개최하는 곳입니다.

업계 안팎에선 이 회장이 부진한 파운드리 실적을 만회하고자 고객사 확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18033
14.02.202505:48
[시그널랩 리서치] 2/14 (금)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 (EU) 4분기 GDP
- 예상: YoY +0.9%, QoQ +0.0%
- 이전: YoY +0.9%, QoQ +0.4%
● (미국) 1월 소매판매
- 예상: MoM -0.2% / 이전: MoM +0.4%
● (미국) 1월 근원 소매판매
- 예상: MoM +0.3% / 이전: MoM +0.4%
● (미국) 1월 산업생산
- 예상: MoM -0.2% / 이전: MoM +0.9%
● (미국) 12월 기업재고
- 예상: MoM +0.0% / 이전: MoM +0.1%

# 오늘은 미국의 실물 경기지표 및 유로존의 4분기 GDP 발표 등이 예정.
# 미국의 실물 경기지표는 대체로 이전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 특히 소매판매 및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감소세로 전환, 근원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증가폭 감소가 전망되는 상황.
# 소매판매의 감소는 인플레이션 영향일 가능성이 존재. 만약 소매판매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제기될 수 있음.
# 산업생산 둔화는 미국의 산불, 폭설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높음. 따라서 예상치에 부합하는 정도라면 일회성 요인에 따른 감소로 판단되면서 영향이 제한적일 가능성 높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14.02.202505:01
[주간베스트] 천연가스 가격 고가 & 저가 국가 특징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819
14.02.202503:50
[단독] 180조 파이 더 키우자…ETF 신고 문턱 낮춘다

"금융감독원이 ETF 신고서 심사 관련 문턱을 지금보다 낮추기로 했습니다.

ETF 상장 심사는 한국거래소가 담당하지만, 금감원은 ETF 증권신고서 관련 투자자 보호, 중요 기재 사항 부분 등 신고서 효력 발생에 관여하는데요.

파생형이거나 국내에 처음 도입되는 ETF면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보수적으로 심사했는데, 시장이 180조 원 규모를 넘어선 만큼 다양한 ETF상품이 나올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입니다.

이는 최근의 ETF 상품이 기초자산형에서 파생형으로, 패시브형에서 액티브형으로 바뀌고 있는 흐름을 반영한 것입니다."

https://biz.sbs.co.kr/article/20000217984
14.02.202508:04
[주간베스트] 한국 사람들은 이해하기 힘든 북유럽식 육아법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757
14.02.202506:18
LG전자, 러시아 사업 다시 시동거나...중국 기업들 ‘촉각’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LG전자 러시아 법인장이 러시아 대형 기업 행사에 참석해 LG의 B2B(기업 간 거래) 사업 경쟁력에 대해 밝혀 주목된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함께 러시아 사업을 사실상 중단한 LG전자가 현지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업계에서 나온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45930i
14.02.202505:48
[시그널랩 리서치] 다음주(2/17~2/21)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https://t.me/siglab

2/17 월요일
● (휴장) 미국
● (일본) 4분기 GDP
- 이전: YoY +1.2%, QoQ +0.3%
● (한국) 1월 무역수지
- 이전: 18억 9천 만 달러 적자
● (미국)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2/18 화요일
● (호주) RBA 2월 통화정책회의
● (독일) 2월 ZEW 경기지수
- 이전: -90.4(동향지수), 10.3(기대지수)
● (EU) 2월 ZEW 경기전망지수
- 이전: 18.0
● (미국) 2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 이전: -12.6
● (미국)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2/19 수요일
● (영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2.5%, MoM +0.3%
● (미국) 1월 주택착공건수
- 이전: MoM +15.8%
● (미국) FOMC 의사록 공개

2/20 목요일
● (한국) 2월 소비자신뢰지수
- 이전: 91.2
● (한국) 1월 생산자물가지수
- 이전: MoM +0.3%
● (중국) 2월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
● (독일) 1월 생산자물가지수
- 이전: MoM -0.1%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2월 필레달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
- 이전: 44.3
● (미국) 1월 선행지수
- 이전: MoM -0.1%

2/21 금요일
● (일본) 1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3.0%
● (일본) 2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3.0
● (독일) 2월 제조업 PMI
- 이전: 45.0
● (독일) 2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2.5
● (EU) 2월 제조업 PMI
- 이전: 46.6
● (EU) 2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1.3
● (미국) 2월 제조업 PMI
- 이전: 51.2
● (미국) 2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2.9
● (미국) 1월 기존주택판매
- 이전: MoM +2.2%
● (미국) 2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 이전: 3.3%(1년), 3.2%(5년)
● (미국) 2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 이전: 69.3(기대지수), 71.1(심리지수)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14.02.202504:42
[Economist] How to Invest Like a MAGA Bigwig

- 트럼프 행정부 주요 인사들의 투자 전략 분석

✔️ 자산 규모와 투자 성향: 차기 트럼프 행정부는 역대 가장 부유한 내각 중 하나로 평가되며, 고위 관료들의 투자 전략이 상당히 다양함. 하워드 루트닉(상무장관 지명자)과 린다 맥마흔(교육장관 지명자) 등 일부 인사는 칸토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와 WWE(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같은 사기업에 거액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로리 차베스-드레머(노동장관 지명자)는 대마초 생산업체에 100만~500만 달러 규모의 지분을 보유하는 등 비교적 소규모 투자 성향을 보임.

✔️ 부동산 투자 선호: 다수의 행정부 인사들은 부동산 투자에 강한 관심을 보이고 있음. 예를 들어, 더그 버검(내무장관 지명자)은 마이크로소프트에 11억 달러 규모로 회사를 매각한 후, 노스다코타와 몬태나 지역에 대규모 토지를 매입함. 다만,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매각한 결정은 이후 주가 급등을 감안할 때 손실로 작용함.

✔️ 자산 배분 스타일 차이: 스콧 베슨트(재무장관 지명자)는 예술품, ETF, 국제 통화 등에 걸친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반면, 제이미슨 그리어(무역대표부 지명자)와 존 래트클리프(CIA 국장 지명자)는 보다 전통적인 주식, 채권, 연금 상품 중심의 투자를 선호함.

✔️ 트럼프 정책과 연계된 투자: 일부 인사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 예를 들어, 팸 본디(법무장관 지명자)는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Trump Media and Technology Group)에 대규모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린다 맥마흔은 해당 기업 이사로 활동 중임.

✔️ 암호화폐 투자 성향:
암호화폐는 트럼프 행정부 내 투자 스타일의 가장 큰 차이를 보여주는 분야임. 트럼프 본인도 밈코인(meme coin)을 보유하고 있으며, J.D. 밴스(부통령 지명자)를 포함한 6명의 내각급 인사들이 디지털 자산에 투자함. 특히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와 툴시 개버드 같은 고위 인사들은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의 강한 암호화폐 선호는 차기 행정부가 디지털 자산 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가능성을 시사함.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5/02/05/how-to-invest-like-a-maga-bigwig
14.02.202503:38
우크라 종전 협상, 국내 석유화학 업계 숨통 트이나

-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간 정상 차원의 종전 협상 추진
- 종전 시 국내 석유화학 업계 간접 수혜 기대
- 실적 악화 주범인 중국발 공급 과잉 해소 가능성
- 석유화학 제품 적용 건설 기자재 등의 수요 증가

https://www.dailian.co.kr/news/view/1461873
14.02.202507:46
[단독] 개인이 실버바 2톤 ‘싹쓸이’… 은행권에 공급 중단

- 금거래소 한 달 평균 판매량 2톤
- 개인고객 1명이 주문... 약 36억원
- 골드바 이어 실버바까지 품귀 현상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214511029
14.02.202507:06
[주간베스트] 북한에 남아있는 탈북자 가족들은 괜찮을까?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829
✍️ 2월 주요국 증시 휴장 안내
- SignalLab Research
14.02.202505:34
한·미, FTA로 평균 관세 ‘0%’대… 상호관세 관건은 ‘비관세 장벽’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있는 한국은 상호관세만 적용할 경우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단순 관세뿐만 아니라 수입을 제한하는 비관세장벽도 살피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농축산물 수입과 플랫폼 규제 등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5/02/14/CBFIVH76PNGKPEVDZU36ZXU3YQ
[시그널랩 리서치] 미결제약정으로 보면 최근 상승세는 제동 가능성 높음
https://t.me/siglab

- 일반적으로 미결제약정의 증가는 시장의 상승(혹은 하락)의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 반대로 미결제약정 수가 특정 추세를 보이지 않고 등락을 반복한다면, 시장이 방향성을 보일 것이라 예상하는 투자자가 적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
- 최근 미결제약정 동향을 살펴보면, 2월 초 KOSPI200 지수선물 상승 구간에서 미결제약정 수의 감소가 확인됨.
- 이는 투자자들이 최근의 지수 상승을 지속할 것이라 여기는 투자자가 감소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 이를 감안하면, 근시일 내 지수 조정 가능성 높다고 볼 수 있음.

※ 상기 콘텐츠는 수정 없이 자유롭게 복사 및 배포, 전송이 가능합니다.
14.02.202503:21
"이러니 내 주식 이모양"…외국인 연초 韓증권 '2.5조' 던졌다

- 1월 외국인 국내증권 투자자금 -17.8억달러 순유출
- 주식 -7천억원, 채권 -1.8조원…5달째 순유출 행진

https://www.news1.kr/economy/trend/5690101
14.02.202507:27
증권채에 15조원 뭉칫돈…실적 개선 기대에 ‘흥행 릴레이’

"증권사들의 채권 발행 목적이 대부분 기존 채무 상환임을 감안하면 이번 자금 조달로 이자 비용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6개 증권사는 모두 개별 민평금리보다 낮은 금리에서 목표액 조달에 성공했다.

증권채가 흥행하는 배경에는 실적 개선이 작용했다. 지난해 서학개미 열풍과 자산 평가 이익 증가로 증권사들의 실적이 대폭 좋아졌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41134
14.02.202506:47
이제 '피지컬 AI' 시대… 美빅테크·中,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 가속

- 구글, 앱트로닉에 5000억 투자·참전
- 테슬라·오픈AI도 로봇개발에 가속도
- 젠슨 황 “로봇공학의 챗GPT 모멘트”
- AI물리적 구현체로 휴머노이드 주목
- 중국, 제조업 역량 바탕 시장 선점해
- 삼성·LG 등 참여했지만 기술력 열세

https://www.sedaily.com/NewsView/2GOYTP5W5N
14.02.202506:00
[주간베스트] 안전한 중고거래를 위한 안심존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834
14.02.202505:20
셀트리온 "액상 바이알 완제약 공장 내년 상반기 완공"

"신규 DP 공장은 연간 약 800만개의 액상 바이알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기존 제1공장 인근에 지어진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3년 9월 DP 공장 증설을 결정하고, 지난해 설계와 시공사 선정을 거쳐 이달 허가 절차를 마무리함에 따라 본격적인 착공에 돌입하게 됐다."

https://kormedi.com/1795830/
14.02.202504:02
[주간베스트] 광산 운영을 위한 자금 조달 과정 4단계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071
14.02.202503:01
[주간베스트] 실수로 비트코인 버린 남성 근황
https://www.moneystation.net/post/95842
Shown 1 - 24 of 88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