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e6c9e46e-cd6a-4bf4-978a-a6225dd69bf5.jpg%3Fw%3D24%26h%3D24&w=48&q=75)
02.05.202507:21
◈하나증권 해외주식분석◈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아마존 (AMZN.US): 2분기 재고 선확보로 관세 대비 했으나 보수적으로 가이던스 제시
▶ 자료: https://buly.kr/7mBVuWn
■ 1분기 주요 지표 예상치 상회
- 1분기 매출액 1,557억 달러(+9% yoy), 영업이익 184억 달러(+20%, OPM 11.8%) 각각 컨센 상회
- 리테일 매출은 북미가 기대치 상회 견인
- 일회성 요인 제외하면 북미와 해외 리테일 마진 각각 7.2%, 3.7%로 수익성 개선세 지속
- AWS 매출 293억(+17%) 컨센(294억) 하회, OPM은 39.5%로 최고치 경신
■ 클라우드 & 리테일 관련 주목할 사항
- 1)AI Capa 부족, 2)기업향 세일즈 사이클과 프로젝트 시작 시점 등 변동성 요인, 3)연간 Run-rate 1,200억 달러 수준으로 기저 규모 확대.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 견고한 추세 지속, 우려할 사항 아닌 것으로 판단
- 물류 인바운드 네트워크 조정, 배송 단위당 판매량 증가, 당일배송 지역 확대, 자동화 시스템 활용
- 리테일 비용 구조 추가적인 개선 가능성에 주목
- 1)2백만이 넘는 외부판매자로 다양성 확보, 2)저가 생필품 판매량 비중 확대, 3) 매크로 변동시기에 적합한 재고 확보 노하우 축적
- 매크로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과거와 달리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2분기 가이던스 대비 업사이드 높은 이유, 아마존이 점유율 높이는 환경
- 재고 선확보 충분히 진행되어 2분기 관세 영향 제한적이나 불확실성 고려하여 가이던스 보수적으로 제시
- 이커머스 시장 상대적으로 견고, 판매 품목수와 배송속도 최고치 경신 & 가격 경쟁력 높이는 아마존이 점유율 높이는 환경으로 판단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아마존 (AMZN.US): 2분기 재고 선확보로 관세 대비 했으나 보수적으로 가이던스 제시
▶ 자료: https://buly.kr/7mBVuWn
■ 1분기 주요 지표 예상치 상회
- 1분기 매출액 1,557억 달러(+9% yoy), 영업이익 184억 달러(+20%, OPM 11.8%) 각각 컨센 상회
- 리테일 매출은 북미가 기대치 상회 견인
- 일회성 요인 제외하면 북미와 해외 리테일 마진 각각 7.2%, 3.7%로 수익성 개선세 지속
- AWS 매출 293억(+17%) 컨센(294억) 하회, OPM은 39.5%로 최고치 경신
■ 클라우드 & 리테일 관련 주목할 사항
- 1)AI Capa 부족, 2)기업향 세일즈 사이클과 프로젝트 시작 시점 등 변동성 요인, 3)연간 Run-rate 1,200억 달러 수준으로 기저 규모 확대.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 견고한 추세 지속, 우려할 사항 아닌 것으로 판단
- 물류 인바운드 네트워크 조정, 배송 단위당 판매량 증가, 당일배송 지역 확대, 자동화 시스템 활용
- 리테일 비용 구조 추가적인 개선 가능성에 주목
- 1)2백만이 넘는 외부판매자로 다양성 확보, 2)저가 생필품 판매량 비중 확대, 3) 매크로 변동시기에 적합한 재고 확보 노하우 축적
- 매크로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과거와 달리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2분기 가이던스 대비 업사이드 높은 이유, 아마존이 점유율 높이는 환경
- 재고 선확보 충분히 진행되어 2분기 관세 영향 제한적이나 불확실성 고려하여 가이던스 보수적으로 제시
- 이커머스 시장 상대적으로 견고, 판매 품목수와 배송속도 최고치 경신 & 가격 경쟁력 높이는 아마존이 점유율 높이는 환경으로 판단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30.04.202508:00
[Wedbush X HANA] LGI Homes (LGIH): F1Q25: 가이던스 달성 난항 전망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6BwgMGR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가이던스 달성 난항 전망
- ‘F1Q25 Recap: Lowering our PT on LGI's Gross Margin Reset & Our Volume Concerns’ by Jay McCanless
- LGIH, 현재 시장 환경이 유지될 경우 가이던스 달성 어려울 전망
- 4월 주택 인도 실적, 전년대비 감소
- 총이익률 가이던스, EPS 추정치 하향 조정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6BwgMGR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가이던스 달성 난항 전망
- ‘F1Q25 Recap: Lowering our PT on LGI's Gross Margin Reset & Our Volume Concerns’ by Jay McCanless
- LGIH, 현재 시장 환경이 유지될 경우 가이던스 달성 어려울 전망
- 4월 주택 인도 실적, 전년대비 감소
- 총이익률 가이던스, EPS 추정치 하향 조정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9.04.202505:15
» 아마존 프라임데이에도 영향을 미치는 관세 정책
» CPI에 이어 내일 발표되는 3월 PCE 물가상승폭이 낮아지더라도 연준은 상황을 지켜보는 쪽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
» 5월 FOMC는 6일~7일 일정(한국 8일 새벽에 결과 확인)으로 진행 예정
관세에 우는 업체들…"아마존 할인행사도 건너뛴다"
- 대중국 관세 145% 여파 "나중에 정가로 파는 게 나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8384?sid=104
» CPI에 이어 내일 발표되는 3월 PCE 물가상승폭이 낮아지더라도 연준은 상황을 지켜보는 쪽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
» 5월 FOMC는 6일~7일 일정(한국 8일 새벽에 결과 확인)으로 진행 예정
관세에 우는 업체들…"아마존 할인행사도 건너뛴다"
- 대중국 관세 145% 여파 "나중에 정가로 파는 게 나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8384?sid=104
28.04.202523:30
[Wedbush X HANA] 혁신 기술(Disruptive Technology): 관세 불확실성에도 견고한 AI 산업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4mcc1fN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관세 불확실성에도 견고한 AI 산업
‘Big Tech Earnings Week Ahead; AI Revolution Strong Despite Tariff Uncertainty’ by Daniel Ives
- 금주 빅테크 실적 발표 통한 투자심리 회복 기대
- 기업들의 견고한 AI Capex 지출 의지 확인
- Apple의 실적 훼손 불가피. 장기적인 주가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4mcc1fN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관세 불확실성에도 견고한 AI 산업
‘Big Tech Earnings Week Ahead; AI Revolution Strong Despite Tariff Uncertainty’ by Daniel Ives
- 금주 빅테크 실적 발표 통한 투자심리 회복 기대
- 기업들의 견고한 AI Capex 지출 의지 확인
- Apple의 실적 훼손 불가피. 장기적인 주가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Reposted from: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e6c9e46e-cd6a-4bf4-978a-a6225dd69bf5.jpg%3Fw%3D24%26h%3D24&w=48&q=75)
28.04.202522:49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데일리 뉴스] 4/29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구글, 2024년 동안 CEO 순다르 피차이 보안 비용으로 827만 달러 지출
- 이는 2023년 678만 달러에서 22% 증가한 수치
- 2024년 순다르 피차이의 활발한 대외활동을 반영
- 임금도 2023년 880만 달러에서 1073만 달러로 22% 증가
https://buly.kr/DaOV3rp
유럽 정전 영향으로 일부지역에서 유튜브 고객 지원 일시 중단
https://buly.kr/GvmthNC
IBM, 향후 5년 미국 내 1500억 달러 투자 예정
https://buly.kr/74WSlgo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앱/에이전트/모델/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기업 AI 생태계를 보호하는 AI 보안 플랫폼 Prisma AIRS를 출시
- 기업 단에서의 AI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
https://buly.kr/GE7rm8e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및 머신 러닝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특화된 ProtectAI 인수
- 인수 금액 비공개이나 가장 최근 기업 가치는 4억 달러 수준
- Protect AI의 솔루션은 신규 출시된 Prisma AIRS에 통합될 예정
https://buly.kr/CWtxB0a
몽고DB, 신임 CFO로 Mike Berry를 선임
- 4월 21일 전임 CFO의 돌연 사임으로 약 5% 하락한 바 있음
https://buly.kr/4bhr2Ih
스포티파이, 1분기에 조 로건 등 유명 팟캐스트에 1억 달러 이상 지불
https://buly.kr/4Qn63UH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후원을 받는 Nscale,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27억 달러 조달 예정
- 조달 자금으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바이트댄스는 이를 임대할 것으로 예상
- 구체적으로 GB200 27,000개를 노르웨이에 배치할 예정
https://buly.kr/BIUeJJ5
허깅페이스, 3D프린트 로봇 신제품 출시
- 가격은 100~500 달러
https://buly.kr/7mBUgzh
테무는 앞으로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품에 최대 145%의 수입 수수료 부과 예정
https://buly.kr/1GJSOoO
화웨이의 Ascend910D, 엔비디아의 H100 수준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
- 이르면 5월 첫 샘플 수령 예상
https://buly.kr/5UHdwOT
ChatGPT 검색 기능에 쇼핑 지원 기능 추가
- 제품 검색 시 추천, 리뷰 제공 및 구매 링크 제공
https://buly.kr/5UHdwOf
GPT4-o 업데이트 이후 사용자에게 아첨하는 경향 증대
https://buly.kr/6BwfrfA
하나증권 김재임/송종원
구글, 2024년 동안 CEO 순다르 피차이 보안 비용으로 827만 달러 지출
- 이는 2023년 678만 달러에서 22% 증가한 수치
- 2024년 순다르 피차이의 활발한 대외활동을 반영
- 임금도 2023년 880만 달러에서 1073만 달러로 22% 증가
https://buly.kr/DaOV3rp
유럽 정전 영향으로 일부지역에서 유튜브 고객 지원 일시 중단
https://buly.kr/GvmthNC
IBM, 향후 5년 미국 내 1500억 달러 투자 예정
https://buly.kr/74WSlgo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앱/에이전트/모델/데이터를 포함한 전체 기업 AI 생태계를 보호하는 AI 보안 플랫폼 Prisma AIRS를 출시
- 기업 단에서의 AI 도입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
https://buly.kr/GE7rm8e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및 머신 러닝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특화된 ProtectAI 인수
- 인수 금액 비공개이나 가장 최근 기업 가치는 4억 달러 수준
- Protect AI의 솔루션은 신규 출시된 Prisma AIRS에 통합될 예정
https://buly.kr/CWtxB0a
몽고DB, 신임 CFO로 Mike Berry를 선임
- 4월 21일 전임 CFO의 돌연 사임으로 약 5% 하락한 바 있음
https://buly.kr/4bhr2Ih
스포티파이, 1분기에 조 로건 등 유명 팟캐스트에 1억 달러 이상 지불
https://buly.kr/4Qn63UH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후원을 받는 Nscale,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27억 달러 조달 예정
- 조달 자금으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바이트댄스는 이를 임대할 것으로 예상
- 구체적으로 GB200 27,000개를 노르웨이에 배치할 예정
https://buly.kr/BIUeJJ5
허깅페이스, 3D프린트 로봇 신제품 출시
- 가격은 100~500 달러
https://buly.kr/7mBUgzh
테무는 앞으로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품에 최대 145%의 수입 수수료 부과 예정
https://buly.kr/1GJSOoO
화웨이의 Ascend910D, 엔비디아의 H100 수준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
- 이르면 5월 첫 샘플 수령 예상
https://buly.kr/5UHdwOT
ChatGPT 검색 기능에 쇼핑 지원 기능 추가
- 제품 검색 시 추천, 리뷰 제공 및 구매 링크 제공
https://buly.kr/5UHdwOf
GPT4-o 업데이트 이후 사용자에게 아첨하는 경향 증대
https://buly.kr/6BwfrfA


28.04.202515:21
» Economist들은 미국이 1년 내에 경기침체 국면으로 진입할 확률을 45%로 전망
Reposted from: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e6c9e46e-cd6a-4bf4-978a-a6225dd69bf5.jpg%3Fw%3D24%26h%3D24&w=48&q=75)
01.05.202508:47
◈하나증권 해외주식분석◈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마이크로소프트(MSFT.US): Non-AI 클라우드 선전이 고무적인 이유
▶ 자료: https://buly.kr/CWty2Jc
■ AI & Non-AI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의 최대 수혜주
- Azure 매출 성장 35%(환율영향제외)로 가이던스(31.5%) 크게 상회
- 주요인은 Non-AI 부문. 1)대기업 고객군에서 클라우드 전환 상승, 2) Non-AI 세일즈 조정 효과, 3)데이터 워크로드를 비롯한 전반적인 사용량 증가
- AI Capa 확대 예상보다 빨라 AI 성장 기여 16ppt로 QoQ +3ppt
- 4분기 Azure 가이던스 34~35%, 컨센 상회. Non-AI 긍정적 흐름 지속 전망
- AI & Non-AI 전방위적으로 클라우드 워크로드 확대 본격화
- 최대 수혜주 마이크로소프트 선전 전망
■ Non-AI 클라우드 사용량 가속화 관련하여 주목할 4가지 변화
- 1)전통적인 클라우드 전환(윈도우 서버, 데이터 SQL 등) 뚜렷하게 상승
- 2) Azure 플랫폼 안에서 가동되는 데이터 관련 서비스(Postgres, Cosmos, Fabric) 가동량 증가
- 3)클라우드 기반 사업자들의 기본적인 컴퓨팅 사용량 추세적 확대
- 4) AI 기업들이 AI 가속기 수요가 높은 만큼이나 일정 비율로 데이터 프로그램, 기본 컴퓨팅 & 스토리지 사용량 증가
■ AI 수요 증가로 AI Capa 관련 수급 균형은 좀더 기다려야
- 데이터센터 리스 계약 조정은 세부 수요 항목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방식
- 3분기 Capex 214억 달러, 예상치 소폭 하회, 4분기에 늘어나며 기존 하반기 전망에 부합할 것
- AI 수요 늘어나며, 6월 이후에도 공급이 수요 대비 소폭 부족할 것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마이크로소프트(MSFT.US): Non-AI 클라우드 선전이 고무적인 이유
▶ 자료: https://buly.kr/CWty2Jc
■ AI & Non-AI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의 최대 수혜주
- Azure 매출 성장 35%(환율영향제외)로 가이던스(31.5%) 크게 상회
- 주요인은 Non-AI 부문. 1)대기업 고객군에서 클라우드 전환 상승, 2) Non-AI 세일즈 조정 효과, 3)데이터 워크로드를 비롯한 전반적인 사용량 증가
- AI Capa 확대 예상보다 빨라 AI 성장 기여 16ppt로 QoQ +3ppt
- 4분기 Azure 가이던스 34~35%, 컨센 상회. Non-AI 긍정적 흐름 지속 전망
- AI & Non-AI 전방위적으로 클라우드 워크로드 확대 본격화
- 최대 수혜주 마이크로소프트 선전 전망
■ Non-AI 클라우드 사용량 가속화 관련하여 주목할 4가지 변화
- 1)전통적인 클라우드 전환(윈도우 서버, 데이터 SQL 등) 뚜렷하게 상승
- 2) Azure 플랫폼 안에서 가동되는 데이터 관련 서비스(Postgres, Cosmos, Fabric) 가동량 증가
- 3)클라우드 기반 사업자들의 기본적인 컴퓨팅 사용량 추세적 확대
- 4) AI 기업들이 AI 가속기 수요가 높은 만큼이나 일정 비율로 데이터 프로그램, 기본 컴퓨팅 & 스토리지 사용량 증가
■ AI 수요 증가로 AI Capa 관련 수급 균형은 좀더 기다려야
- 데이터센터 리스 계약 조정은 세부 수요 항목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방식
- 3분기 Capex 214억 달러, 예상치 소폭 하회, 4분기에 늘어나며 기존 하반기 전망에 부합할 것
- AI 수요 늘어나며, 6월 이후에도 공급이 수요 대비 소폭 부족할 것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Reposted from: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e6c9e46e-cd6a-4bf4-978a-a6225dd69bf5.jpg%3Fw%3D24%26h%3D24&w=48&q=75)
30.04.202508:00
◈하나증권 해외주식분석◈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비자 (V.US): 매크로 불확실성에도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자료: https://buly.kr/DwE1W3B
■ 2QFY25 Review: 주요 실적지표 기대치 상회
- 순매출액 96억 달러(+9% yoy), 조정 EPS 2.76달러(+10%)로 컨센 상회
- 주요 결제지표 전년동기대비 역기저 요인(윤년, 부활절) 제외하면 안정적인 추세 지속
- Cross-border 결제는 이커머스 +14%, 여행 +12%로 전체 결제금액 +13%
- 전분기(16%)대비 하락은 역기저효과, 일부 지역 환율 상승, 캐나다에서 미국 인바운드 여행 감소 영향
■ 보수적인 관점에서 FY25년 가이던스 유지
- 부활절과 라마단 영향으로 4월 주요 결제지표 2분기대비 상승
- 시장이 우려하는 정도의 선구매 추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
- 하반기 Cross-border 결제 금액은 2분기 수준 소폭 하회 전망
- FY25년 가이던스 유지, 1)보수적인 관점, 2)인센티브 지급 하반기로 연기 고려
■ 매크로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주는 매크로 불확실성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사업구조 다각화 & 결제 비중 변화는 매크로 불안 속에서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
- 1)직불카드 결제 비중 상승, 2)Cross-border 결제에서 여행 대비 이커머스 비중 상승, 3)VAS에서 소비자 결제와 무관한 사업 증가 등이 안정성 높이는 다각화 요인
- 매크로 악화로 결제금액 영향 받을 경우 인센티브 조절로 실적 방어
- 보수적인 가이던스 고려하면 매크로 안정화로 여행 비롯한 자유재량 소비 살아날 경우 주가 상승 탄력 클 것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미국/선진국 기업분석 김재임(T.02-3771-7793), 송종원(7261)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 비자 (V.US): 매크로 불확실성에도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자료: https://buly.kr/DwE1W3B
■ 2QFY25 Review: 주요 실적지표 기대치 상회
- 순매출액 96억 달러(+9% yoy), 조정 EPS 2.76달러(+10%)로 컨센 상회
- 주요 결제지표 전년동기대비 역기저 요인(윤년, 부활절) 제외하면 안정적인 추세 지속
- Cross-border 결제는 이커머스 +14%, 여행 +12%로 전체 결제금액 +13%
- 전분기(16%)대비 하락은 역기저효과, 일부 지역 환율 상승, 캐나다에서 미국 인바운드 여행 감소 영향
■ 보수적인 관점에서 FY25년 가이던스 유지
- 부활절과 라마단 영향으로 4월 주요 결제지표 2분기대비 상승
- 시장이 우려하는 정도의 선구매 추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
- 하반기 Cross-border 결제 금액은 2분기 수준 소폭 하회 전망
- FY25년 가이던스 유지, 1)보수적인 관점, 2)인센티브 지급 하반기로 연기 고려
■ 매크로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에 주목
-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주는 매크로 불확실성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
- 그러나 사업구조 다각화 & 결제 비중 변화는 매크로 불안 속에서 실적 안정성 높이는 요인
- 1)직불카드 결제 비중 상승, 2)Cross-border 결제에서 여행 대비 이커머스 비중 상승, 3)VAS에서 소비자 결제와 무관한 사업 증가 등이 안정성 높이는 다각화 요인
- 매크로 악화로 결제금액 영향 받을 경우 인센티브 조절로 실적 방어
- 보수적인 가이던스 고려하면 매크로 안정화로 여행 비롯한 자유재량 소비 살아날 경우 주가 상승 탄력 클 것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9.04.202504:22
🔹미국과 중국 AI 모델의 성능 비교
» 2024년 초에는 미국 AI 모델이 중국 모델보다 약 100점 이상 앞섰지만, 2025년 중국의 Deepseek R1 출시 이후 격차가 23점까지 축소
» 성능 비교는 LMSYS arena에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 LMSYS는 AI 모델간 '실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 품질'을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는 플랫폼
» AI 분야에 대한 압도적인 기술 우위를 명분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일방적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부여하기 어려워진 이유 중 하나
» 2024년 초에는 미국 AI 모델이 중국 모델보다 약 100점 이상 앞섰지만, 2025년 중국의 Deepseek R1 출시 이후 격차가 23점까지 축소
» 성능 비교는 LMSYS arena에서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 LMSYS는 AI 모델간 '실제 사용자 질문에 대한 응답 품질'을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는 플랫폼
» AI 분야에 대한 압도적인 기술 우위를 명분으로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일방적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부여하기 어려워진 이유 중 하나


28.04.202523:23
»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의 배터리 소재 관련 지출 규모


28.04.202515:37
» Morgan Stanley의 Michael Wilson은 달러 약세가 미국 기업 실적을 뒷받침할 것이며, 미국 주식 시장이 글로벌 시장 대비 상대적 강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
» 현재 많은 월가 전략가들이 미국 예외주의(US exceptionalism) 시대의 종말을 언급하고 있는 상황에서 Wilson은 미국 기업들의 실적 변동성이 낮고, 기업 품질이 높다는 점을 근거로 미국 주식의 상대적 매력도를 강조. "현재는 late cycle 국면에 있으며, Quality와 대형주 중심의 상대적 초과 성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
» Wilson은 S&P 500 지수가 5,000pt~5,500pt 구간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범위를 넘어서는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1) 중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2) 기업 실적 추정치의 명확한 반등, 3) 연준의 통화완화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
» 현재 많은 월가 전략가들이 미국 예외주의(US exceptionalism) 시대의 종말을 언급하고 있는 상황에서 Wilson은 미국 기업들의 실적 변동성이 낮고, 기업 품질이 높다는 점을 근거로 미국 주식의 상대적 매력도를 강조. "현재는 late cycle 국면에 있으며, Quality와 대형주 중심의 상대적 초과 성과가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
» Wilson은 S&P 500 지수가 5,000pt~5,500pt 구간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범위를 넘어서는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1) 중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 2) 기업 실적 추정치의 명확한 반등, 3) 연준의 통화완화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


28.04.202515:21
» 연초 이후 업종별 S&P500 지수 Outperform 기업 비율
»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종이 높은 비중 기록. 임의소비자, 테크, 소재 등은 하위권. 방어주와 경기민감주의 엇갈린 행보 확인
» 유틸리티와 필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종이 높은 비중 기록. 임의소비자, 테크, 소재 등은 하위권. 방어주와 경기민감주의 엇갈린 행보 확인


30.04.202509:48
🔹화웨이는 미국의 수출 규제로 NVIDIA 반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 중국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자사 AI 칩 클러스터 시스템인 CloudMatrix 384의 배송을 본격화
» 이 시스템은 384개의 AI 칩을 묶어 대규모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초기 물량은 중국 내 대형 데이터센터에 납품되었으며, 현재까지 10세트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진 상황
» CloudMatrix 384는 화웨이의 Ascend 910C 칩 기반으로, 성능 면에서는 NVIDIA의 GB200 칩보다 떨어지지만, 칩 수를 대폭 늘리고 광통신 기반의 ‘Super node’ 아키텍처를 활용해 성능을 보완. 시장 조사기관인 SemiAnalysis는 “해당 시스템이 엔비디아를 능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NVIDIA의 H20 칩에도 특별 수출 허가 요건을 부과한 가운데, 중국 고객사들이 NVIDIA 대체재를 찾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 화웨이는 CloudMatrix가 미국 기업들이 사용하는 AI 클러스터 NVL72(GB200 칩 72개 구성)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주장하며, 중국 내 고객사들에게는 충분히 경쟁력 있는 대안으로 자리매김 중
» 다만, 더 많은 칩을 사용함에 따라 전력 소모가 크고 유지 관리에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 또한 화웨이의 소프트웨어 생태계는 NVIDIA의 CUDA에 비해 미성숙하다는 평가도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풍부한 전력과 기술 인력을 고려할 때, CloudMatrix는 현실적인 대체 솔루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 세트당 가격은 약 820만 달러(RMB 6천만 위안)로, 엔비디아 NVL72(약 300만 달러)보다 높지만 계약 조건에 따라 변동
» 이 시스템은 384개의 AI 칩을 묶어 대규모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초기 물량은 중국 내 대형 데이터센터에 납품되었으며, 현재까지 10세트 이상 판매된 것으로 알려진 상황
» CloudMatrix 384는 화웨이의 Ascend 910C 칩 기반으로, 성능 면에서는 NVIDIA의 GB200 칩보다 떨어지지만, 칩 수를 대폭 늘리고 광통신 기반의 ‘Super node’ 아키텍처를 활용해 성능을 보완. 시장 조사기관인 SemiAnalysis는 “해당 시스템이 엔비디아를 능가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
»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NVIDIA의 H20 칩에도 특별 수출 허가 요건을 부과한 가운데, 중국 고객사들이 NVIDIA 대체재를 찾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 화웨이는 CloudMatrix가 미국 기업들이 사용하는 AI 클러스터 NVL72(GB200 칩 72개 구성)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주장하며, 중국 내 고객사들에게는 충분히 경쟁력 있는 대안으로 자리매김 중
» 다만, 더 많은 칩을 사용함에 따라 전력 소모가 크고 유지 관리에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 또한 화웨이의 소프트웨어 생태계는 NVIDIA의 CUDA에 비해 미성숙하다는 평가도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풍부한 전력과 기술 인력을 고려할 때, CloudMatrix는 현실적인 대체 솔루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황. 세트당 가격은 약 820만 달러(RMB 6천만 위안)로, 엔비디아 NVL72(약 300만 달러)보다 높지만 계약 조건에 따라 변동
29.04.202507:44
[Wedbush X HANA] Electronic Arts(EA.US): Split Fiction 흥행과 신작 모멘텀 효과 기대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BTPPQRS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Split Fiction 흥행과 신작 모멘텀 효과 기대
- ‘Expecting a Q4 Beat and Strong FY:26 Guidance’ by Michael Pachter
- Split Fiction 판매 호조: TP 179달러, 비중확대 의견 유지
- 이번 분기 실적은 가이던스를 상회할 전망
- FY26 실적 상향 기대: 신작 출시 및 자사주 매입 효과 반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 하나 해외주식분석실 Global ETF 박승진
▶ 자료: https://buly.kr/BTPPQRS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 Split Fiction 흥행과 신작 모멘텀 효과 기대
- ‘Expecting a Q4 Beat and Strong FY:26 Guidance’ by Michael Pachter
- Split Fiction 판매 호조: TP 179달러, 비중확대 의견 유지
- 이번 분기 실적은 가이던스를 상회할 전망
- FY26 실적 상향 기대: 신작 출시 및 자사주 매입 효과 반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9.04.202501:25
[하나 Global ETF News (4/29)]
▶ 하나 Global ETF 박승진(T.3771-7761)
▶ RA 황수미(T.3771-7721)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Bloomberg] 가상자산 급등 흐름 속 가상화폐 ETF에 30억 달러 유입
- https://bit.ly/3EEjMi2
- 최근 한 주 동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추종하는 ETF에 총 32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 iShares Bitcoin Trust ETF(IBIT)는 올해 최대 규모인 15억 달러에 달하는 순유입을 기록. ARKB와 FBTC에도 각각 6억 2천만 달러, 5억 7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 이더리움 관련 상품은 2월 이후 처음으로 주간 순유입 전환
- 관세 협상 기대감으로 위험자산 전반이 상승하는 가운데, S&P 500은 주간 기준 4.6% 상승. 비트코인은 10% 급등하며 약 94,000달러에 도달, 주식 대비 높은 회복력을 보이며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 재조명
- IBIT는 현재 56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며 최대 비트코인 ETF로 자리잡음. 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순유입 지속.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밈코인 보유자들과 만찬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 추가적인 투자 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비트코인 강세론자인 마이클 세일러는 는 비트코인이 2045년까지 1,3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IBIT가 세계 최대 ETF로 성장할 것이라는 주장. 다만, 현재 6,0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 중인 Vanguard S&P 500 ETF(VOO)와 비교할 때, IBIT가 이를 초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과제로 평가
▶ 하나 Global ETF 박승진(T.3771-7761)
▶ RA 황수미(T.3771-7721)
▶ 텔레그램: https://t.me/globaletfi
[Bloomberg] 가상자산 급등 흐름 속 가상화폐 ETF에 30억 달러 유입
- https://bit.ly/3EEjMi2
- 최근 한 주 동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추종하는 ETF에 총 32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 iShares Bitcoin Trust ETF(IBIT)는 올해 최대 규모인 15억 달러에 달하는 순유입을 기록. ARKB와 FBTC에도 각각 6억 2천만 달러, 5억 7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이 유입. 이더리움 관련 상품은 2월 이후 처음으로 주간 순유입 전환
- 관세 협상 기대감으로 위험자산 전반이 상승하는 가운데, S&P 500은 주간 기준 4.6% 상승. 비트코인은 10% 급등하며 약 94,000달러에 도달, 주식 대비 높은 회복력을 보이며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 재조명
- IBIT는 현재 56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며 최대 비트코인 ETF로 자리잡음. 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순유입 지속.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밈코인 보유자들과 만찬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 추가적인 투자 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비트코인 강세론자인 마이클 세일러는 는 비트코인이 2045년까지 1,30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IBIT가 세계 최대 ETF로 성장할 것이라는 주장. 다만, 현재 6,00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 중인 Vanguard S&P 500 ETF(VOO)와 비교할 때, IBIT가 이를 초과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과제로 평가


28.04.202523:23
» 눈에 띄게 약화된 외국인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채권시장 수급 강도
28.04.202515:22
美재무 "韓과 통상협의 매우 잘되고있어…각국과 신속 협상할것"
- "첫 합의국에 印 포함 가능성 커"…맞불관세 中엔 "그들이 내게 전화할 것"
- 美 공급난 우려엔 "소매업체들이 미리 주문했을 것…우린 대체재 찾을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7637?sid=104
- "첫 합의국에 印 포함 가능성 커"…맞불관세 中엔 "그들이 내게 전화할 것"
- 美 공급난 우려엔 "소매업체들이 미리 주문했을 것…우린 대체재 찾을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7637?sid=104


28.04.202514:19
» 대중 수출이 제한되고 있는 가운데 화웨이가 H100의 성능에 근접한 AI칩을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영향으로 NVIDIA 주가는 -2.30% 가량 하락
Reposted from: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하나 글로벌 기업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e6c9e46e-cd6a-4bf4-978a-a6225dd69bf5.jpg%3Fw%3D24%26h%3D24&w=48&q=75)
30.04.202509:47
하나증권 중국기업분석 송예지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프로야(603605.CH): 1Q25 Re- 실망스러운 탑라인 성장률
▶자료: https://bit.ly/3GJZgwR
◆ 1Q25 매출은 컨센서스 하회, 순이익은 컨센서스 상회
프로야의 4Q24/1Q25 매출액은 38억위안(YoY +4%)/24억위안(YoY +8%)으로 컨센서스를 11%/8% 하회했고, 순이익은 6억위안(YoY +23%)/4억위안(YoY +29%)으로 컨센서스를 24%/3% 상회. 프로야의 매출 증가율은 높은 베이스 부담(4Q23/1Q24 YoY +51%/+35%)으로 최근 3년 평균 YoY +33%에서 4Q24/1Q25(YoY +4%/+8%) 한 자리 대로 둔화.
1Q25 매출총이익률은 72.8%로 YoY +2.7%p 제고, 영업이익률/순이익률도 20.9%/16.5%로 각각 YoY +2.8%p/2.7%p 개선, 역대 가장 높은 수준. 매출총이익률이 제고는 물류 비용, 원재료 가격이 하락에 기인. 영업이익률/순이익률 호조는 1Q25 라이브 커머스 비용 축소, Tmall의 우호적 정책 변경 때문.
◆ Tmall 1위를 유지 중이나, 성장률은 둔화
프로야의 스킨케어 브랜드 Proya는 2024년 Tmall 광군절 1위에 이어 2025년 Tmall 여성의 날 프로모션에서도 로레알과 랑콤을 제치고 1위를 기록. 색조 브랜드 TIMAGE 또한 2025년 Tmall 여성의 날 프로모션에서 TOP 20에 진출. 그러나, Proya/TIMAGE 모두 고성장기를 지나 안정기에 접어들며 성장세는 크게 둔화. Proya/TIMAGE의 매출 성장률은 1H24 YoY +38%/+41%에서 2H24 YoY +7%/+4%로 낮아졌고, 1Q25에도 Proya의 매출 증가율은 YoY +2-3%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
◆ 신규 히트 제품 또는 소비시장 회복이 필요한 상황
중국 화장품 시장은 아직 소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함. 중국 화장품 3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YoY +1.1%에 그치며 1-2월 대비 둔화. 프로야의 1Q25 매출/순이익 증가율은 YoY +8%/29%로 Peer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5년 연간 매출/순이익 성장률은 Peer 평균을 하회할 것으로 보임. 프로야는 중국 내 1위 화장품 기업으로서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최근 소비 침체의 영향을 극복하지 못하고 실적이 부진한 상황. 향후 실적 반등을 위해서는 신규 히트 제품의 출시 또는 중국 소비 시장의 실질적인 회복이 전제되어야 함. 주가는 이러한 실적 턴어라운드 여부에 따라 점진적인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텔레그램 채널: https://t.me/hanaglobalbottomup
프로야(603605.CH): 1Q25 Re- 실망스러운 탑라인 성장률
▶자료: https://bit.ly/3GJZgwR
◆ 1Q25 매출은 컨센서스 하회, 순이익은 컨센서스 상회
프로야의 4Q24/1Q25 매출액은 38억위안(YoY +4%)/24억위안(YoY +8%)으로 컨센서스를 11%/8% 하회했고, 순이익은 6억위안(YoY +23%)/4억위안(YoY +29%)으로 컨센서스를 24%/3% 상회. 프로야의 매출 증가율은 높은 베이스 부담(4Q23/1Q24 YoY +51%/+35%)으로 최근 3년 평균 YoY +33%에서 4Q24/1Q25(YoY +4%/+8%) 한 자리 대로 둔화.
1Q25 매출총이익률은 72.8%로 YoY +2.7%p 제고, 영업이익률/순이익률도 20.9%/16.5%로 각각 YoY +2.8%p/2.7%p 개선, 역대 가장 높은 수준. 매출총이익률이 제고는 물류 비용, 원재료 가격이 하락에 기인. 영업이익률/순이익률 호조는 1Q25 라이브 커머스 비용 축소, Tmall의 우호적 정책 변경 때문.
◆ Tmall 1위를 유지 중이나, 성장률은 둔화
프로야의 스킨케어 브랜드 Proya는 2024년 Tmall 광군절 1위에 이어 2025년 Tmall 여성의 날 프로모션에서도 로레알과 랑콤을 제치고 1위를 기록. 색조 브랜드 TIMAGE 또한 2025년 Tmall 여성의 날 프로모션에서 TOP 20에 진출. 그러나, Proya/TIMAGE 모두 고성장기를 지나 안정기에 접어들며 성장세는 크게 둔화. Proya/TIMAGE의 매출 성장률은 1H24 YoY +38%/+41%에서 2H24 YoY +7%/+4%로 낮아졌고, 1Q25에도 Proya의 매출 증가율은 YoY +2-3% 수준에 그친 것으로 파악.
◆ 신규 히트 제품 또는 소비시장 회복이 필요한 상황
중국 화장품 시장은 아직 소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함. 중국 화장품 3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YoY +1.1%에 그치며 1-2월 대비 둔화. 프로야의 1Q25 매출/순이익 증가율은 YoY +8%/29%로 Peer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5년 연간 매출/순이익 성장률은 Peer 평균을 하회할 것으로 보임. 프로야는 중국 내 1위 화장품 기업으로서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최근 소비 침체의 영향을 극복하지 못하고 실적이 부진한 상황. 향후 실적 반등을 위해서는 신규 히트 제품의 출시 또는 중국 소비 시장의 실질적인 회복이 전제되어야 함. 주가는 이러한 실적 턴어라운드 여부에 따라 점진적인 반등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위 문자의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29.04.202505:46
» KODEX AI전력핵심설비
- LS Electric 23.0%, LS 17.7% 편입
» HANARO 전력설비투자
- LS Electric 22.0%, LS 16.8% 편입
LS전선, 美에 해저케이블 공장 첫삽…"美 공급망 자립 선제대응"
- 美동부 해안에 1조원 투자…2028년 1분기 양산·일자리 330개 창출
- 트럼프 2기 한국기업 첫 착공…구리 관세·IRA 세액공제가 변수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8410?sid=104
- LS Electric 23.0%, LS 17.7% 편입
» HANARO 전력설비투자
- LS Electric 22.0%, LS 16.8% 편입
LS전선, 美에 해저케이블 공장 첫삽…"美 공급망 자립 선제대응"
- 美동부 해안에 1조원 투자…2028년 1분기 양산·일자리 330개 창출
- 트럼프 2기 한국기업 첫 착공…구리 관세·IRA 세액공제가 변수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8410?sid=104
28.04.202523:42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관련 관세 정책을 완화할 예정
» 관세 중복 부과 방지: 자동차 제조업체가 이미 자동차 관세를 내고 있다면,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와 같은 다른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
» 소급 적용 및 환급: 이 조치는 소급 적용되어, 이미 지불된 관련 관세를 자동차 제조업체가 환급 가능
» 수입 자동차 부품 관세 조정: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기존 25%)도 조정. 제조업체는 미국산 자동차 가치의 일정 비율(첫해 3.75%, 둘째 해 2.75%)까지 부품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아 열리는 미시간 집회에 참석하기 전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
» 관세 중복 부과 방지: 자동차 제조업체가 이미 자동차 관세를 내고 있다면,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와 같은 다른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지 않는 내용을 포함
» 소급 적용 및 환급: 이 조치는 소급 적용되어, 이미 지불된 관련 관세를 자동차 제조업체가 환급 가능
» 수입 자동차 부품 관세 조정: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기존 25%)도 조정. 제조업체는 미국산 자동차 가치의 일정 비율(첫해 3.75%, 둘째 해 2.75%)까지 부품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으며, 이후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아 열리는 미시간 집회에 참석하기 전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
28.04.202522:49
» 전력 테마 ETF들의 모멘텀 연결 가능성
» 글로벌 기업 전력 테마 ETF
- KODEX 미국 AI전력 핵심인프라
- SOL 미국 AI전력 인프라
- KIWOOM 글로벌전력 GRID 인프라
- TIGER 글로벌 AI전력 인프라 액티브
» 국내 기업 전력 테마 ETF
- KODEX AI전력 핵심설비
- HANARO 전력설비투자
» 미국 상장 전력 테마 ETF
- GRID
스페인·포르투갈 대규모 정전…비상사태 선포
- 도로·철로·항공편 대혼란…통신·ATM 서비스 등도 차질
- 정전 원인 아직 규명되지 않아…스페인, 밤 8시 이후 35% 복구
- 주스페인 대사 "한국인 피해는 확인되지 않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7685?sid=104
» 글로벌 기업 전력 테마 ETF
- KODEX 미국 AI전력 핵심인프라
- SOL 미국 AI전력 인프라
- KIWOOM 글로벌전력 GRID 인프라
- TIGER 글로벌 AI전력 인프라 액티브
» 국내 기업 전력 테마 ETF
- KODEX AI전력 핵심설비
- HANARO 전력설비투자
» 미국 상장 전력 테마 ETF
- GRID
스페인·포르투갈 대규모 정전…비상사태 선포
- 도로·철로·항공편 대혼란…통신·ATM 서비스 등도 차질
- 정전 원인 아직 규명되지 않아…스페인, 밤 8시 이후 35% 복구
- 주스페인 대사 "한국인 피해는 확인되지 않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57685?sid=104


28.04.202515:21
» 4월 Dallas 연은 제조업 지수는 -35.8pt를 기록. 시장 예상치(-14.2pt)와 3월의 -16.3pt를 크게 하회
» 신규 주문 지수는 -20.0pt(3월: -0.1pt)로 급락했으며, 출하 지수도 -5.5pt(3월: +6.1pt)로 악화
» 반면 지불가격 지수는 +48.4pt로 3월의 +37.7pt 대비 급등하며 비용 압력이 확대
» 고용 지수는 -3.9pt(3월-4.6pt)로 소폭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부진한 수준을 유지
» 신규 주문 지수는 -20.0pt(3월: -0.1pt)로 급락했으며, 출하 지수도 -5.5pt(3월: +6.1pt)로 악화
» 반면 지불가격 지수는 +48.4pt로 3월의 +37.7pt 대비 급등하며 비용 압력이 확대
» 고용 지수는 -3.9pt(3월-4.6pt)로 소폭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부진한 수준을 유지


28.04.202513:59
» 비트코인 현물 ETF 종목군의 자금 유출입 추이. 지난주에 IBIT, ARKB, FBTC 등을 중심으로 30억달러가 넘는 자금이 유입. 올해의 주간 최대 순유입 규모
Shown 1 - 24 of 1 545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