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b8e91c7-b45b-4cb4-83a3-08b92ce35d95.jpg%3Fw%3D24%26h%3D24&w=48&q=75)


06.05.202523:22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스타일 전략
"트럼프처럼 주식 스타일도 오락가락"
▪︎ 5월 들어 주가 설명력이 높은 다수의 매크로 변수들이 "성장" 시그널로 둔화되며 1개월만에 강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
▪︎ 이는 패시브 외국인 유출, 물동량 감소, 기대인플레 하락에 주로 기인하며, 반대로 최근 글로벌 반미 연대 확산 및 대만 생보사 환헷지 등의 달러 약세 환경이 국내 환 강세를 야기하며 개선. 이 또한 모두 "트럼프발 사이클 왜곡"에 해당되는 만큼, 앞으로도 로테이션 빈도가 잦을 수 밖에 없는 이유
▪︎ EQUITY DURATION상 다수의 국내 섹터들이 성장주 쪽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대다수 건강관리, 조선, 방산(상사자본재) 등의 종목들이 리스트 상위에 등극된 유망 업종
(보고서 원본 ☞ https://buly.kr/2fdZ0CH)
"트럼프처럼 주식 스타일도 오락가락"
▪︎ 5월 들어 주가 설명력이 높은 다수의 매크로 변수들이 "성장" 시그널로 둔화되며 1개월만에 강한 "성장 전략"으로 전환
▪︎ 이는 패시브 외국인 유출, 물동량 감소, 기대인플레 하락에 주로 기인하며, 반대로 최근 글로벌 반미 연대 확산 및 대만 생보사 환헷지 등의 달러 약세 환경이 국내 환 강세를 야기하며 개선. 이 또한 모두 "트럼프발 사이클 왜곡"에 해당되는 만큼, 앞으로도 로테이션 빈도가 잦을 수 밖에 없는 이유
▪︎ EQUITY DURATION상 다수의 국내 섹터들이 성장주 쪽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대다수 건강관리, 조선, 방산(상사자본재) 등의 종목들이 리스트 상위에 등극된 유망 업종
(보고서 원본 ☞ https://buly.kr/2fdZ0CH)
06.05.202522:40
5/7(수) 채권 모닝 서포터【리서치센터 허정인 연구원】
【US국채: 전일 미 국채 금리 전구간 하락 마감. FOMC 경계감 속 소폭 상승 출발, 이후 견조한 국채 입찰 수요 확인하며 하락 전환
- 미 국채 10년물 응찰률 2.60배(이전 6개월 평균: 2.60배), 낙찰금리 4.342%(이전: 4.435%), 간접 낙찰률 71.2%(이전: 87.9%)에 440억 달러 규모 발행. 발행 수익률이 발행 전 거래 수익률 1.2bp 하회하며 수요가 양호한 것으로 해석
- GDP Now 25년 2분기 GDP 성장률 SAAR 추정치, (실제: 2.2%/이전: 1.1%)로 상향 조정. 4월 고용보고서, ISM 서비스 지수를 반영한 결과
- 국제유가, +3.4% 상승한 $59.09 기록. 최근 유가 하락에 따른 셰일 업계의 감산 전망이 부상하며 상승. 다만 금리 영향력은 제한적
- 한편 한국 휴장 간 미국 주요 경제지표 발표. 대체로 견조하게 발표되며 금리 상승 재료로 소화
- 미국 4월 비농업고용자수 변동, (실제: 177k/예상: 138k/이전: 185k)
- 미국 4월 실업률, (실제: 4.2%/예상: 4.2%/이전: 4.2%)
- 미국 4월 ISM 서비스 지수, (실제: 51.6/예상: 50.2/이전: 50.8), ISM 서비스 지불 가격 지수, (실제: 65.1/예상: 61.4/이전: 60.9) 】
▣ 2yr 3.78% (-5bp), 5yr 3.89% (-5bp), 10yr 4.29% (-5bp), 30yr 4.8% (-3bp)
【유럽국채】
▣[2Y] 이탈리아 2.02%(0bp)/스페인 1.94%(0bp)/프랑스 1.9%(-1bp)/독일 1.74%(-1bp)
▣[10Y] 이탈리아 3.63%(+3bp)/스페인 3.19%(+2bp)/프랑스 3.26%(+2bp)/독일 2.54%(+2bp)
【중국국채】
▣5y 1.52% (+1bp), 10y 1.63% (0bp)
【US증시: 미 주가지수, 무역협상 진전 부재 및 트럼프 의약품 관세 예고에 하락.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 유럽 판매량이 급감에 -1.8% 하락 】
▣ DOW 40,829(-0.9%), S&P500 5,607(-0.8%)
【FX/Cmdty: 휴장 】
▣ USD 99.248(-0.6%), EUR 1.137(+0.5%), JPY 142.45(-0.9%), INR 84.4362(+0.2%), IDR 16,449(0%), BRL 5.7142(+0.5%)
▣ WTI 59.09(+3.4%), GOLD $3,422.80/oz (+3.0%)
▣ 뉴욕 원달러 NDF 1개월 1,373.41원 1개월 스왑포인트 -2.75원 감안 현물환율 1,376.16원(-25.3원)
【KR: 휴장 】
▣ KOSPI 2,560(0,0%), 원달러 1,401.5(+0.0,0%)
▣ 국3 2.282% (0bp), 국5 2.395% (0bp), 국10 2.595% (0bp), 국20 2.555% (0bp)
▣ 통1 2.362% (0bp), 통2 2.317% (0bp)
▣ KTB 107.8 (0틱), LKTB 121.05 (0틱)
* 당사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
【US국채: 전일 미 국채 금리 전구간 하락 마감. FOMC 경계감 속 소폭 상승 출발, 이후 견조한 국채 입찰 수요 확인하며 하락 전환
- 미 국채 10년물 응찰률 2.60배(이전 6개월 평균: 2.60배), 낙찰금리 4.342%(이전: 4.435%), 간접 낙찰률 71.2%(이전: 87.9%)에 440억 달러 규모 발행. 발행 수익률이 발행 전 거래 수익률 1.2bp 하회하며 수요가 양호한 것으로 해석
- GDP Now 25년 2분기 GDP 성장률 SAAR 추정치, (실제: 2.2%/이전: 1.1%)로 상향 조정. 4월 고용보고서, ISM 서비스 지수를 반영한 결과
- 국제유가, +3.4% 상승한 $59.09 기록. 최근 유가 하락에 따른 셰일 업계의 감산 전망이 부상하며 상승. 다만 금리 영향력은 제한적
- 한편 한국 휴장 간 미국 주요 경제지표 발표. 대체로 견조하게 발표되며 금리 상승 재료로 소화
- 미국 4월 비농업고용자수 변동, (실제: 177k/예상: 138k/이전: 185k)
- 미국 4월 실업률, (실제: 4.2%/예상: 4.2%/이전: 4.2%)
- 미국 4월 ISM 서비스 지수, (실제: 51.6/예상: 50.2/이전: 50.8), ISM 서비스 지불 가격 지수, (실제: 65.1/예상: 61.4/이전: 60.9) 】
▣ 2yr 3.78% (-5bp), 5yr 3.89% (-5bp), 10yr 4.29% (-5bp), 30yr 4.8% (-3bp)
【유럽국채】
▣[2Y] 이탈리아 2.02%(0bp)/스페인 1.94%(0bp)/프랑스 1.9%(-1bp)/독일 1.74%(-1bp)
▣[10Y] 이탈리아 3.63%(+3bp)/스페인 3.19%(+2bp)/프랑스 3.26%(+2bp)/독일 2.54%(+2bp)
【중국국채】
▣5y 1.52% (+1bp), 10y 1.63% (0bp)
【US증시: 미 주가지수, 무역협상 진전 부재 및 트럼프 의약품 관세 예고에 하락. 주요 종목으로는 테슬라, 유럽 판매량이 급감에 -1.8% 하락 】
▣ DOW 40,829(-0.9%), S&P500 5,607(-0.8%)
【FX/Cmdty: 휴장 】
▣ USD 99.248(-0.6%), EUR 1.137(+0.5%), JPY 142.45(-0.9%), INR 84.4362(+0.2%), IDR 16,449(0%), BRL 5.7142(+0.5%)
▣ WTI 59.09(+3.4%), GOLD $3,422.80/oz (+3.0%)
▣ 뉴욕 원달러 NDF 1개월 1,373.41원 1개월 스왑포인트 -2.75원 감안 현물환율 1,376.16원(-25.3원)
【KR: 휴장 】
▣ KOSPI 2,560(0,0%), 원달러 1,401.5(+0.0,0%)
▣ 국3 2.282% (0bp), 국5 2.395% (0bp), 국10 2.595% (0bp), 국20 2.555% (0bp)
▣ 통1 2.362% (0bp), 통2 2.317% (0bp)
▣ KTB 107.8 (0틱), LKTB 121.05 (0틱)
* 당사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
06.05.202522:11
[다올투자증권 조선/기계/방산 최광식]
5/7 (수) 데일리뉴스
🛳 조선
[TradeWinds]
‘We are looking to acquire companies’: Orca AI eyes expansion after $72.5m fundraiser
New IMO fuel penalties could raise $1trn over a decade, MSI says
VLCC values may have found a firm floor at significant historical benchmark, says Veson Nautical
Trafigura sells first 12-year US notes issue as part of $390m financing
Sinokor offloads former Ridgebury VLCC for huge profit
[Upstream]
First oil on the way for two major US Gulf developments
Brazilian independent aims to double production by 2027
EU unveils phase out of Russian gas
TotalEnergies-owned developer steps up $16 billion green hydrogen and ammonia project
Chinese yard hits key milestone for third Golar FLNG unit
🚢 조선
K-조선, 컨선 발주 문의 6배 증가···2027년 영업이익 8조 정조준
https://buly.kr/BTPS3dM
미중 갈등으로 찾아온 K조선의 새 기회... "국내 제도, 지원책 정비해 도와야"
https://buly.kr/DlJIoFx
K조선업, 트럼프 효과 기대…美 현지화·인력난은 과제
https://buly.kr/DPTmqgo
HD현대, 글로벌 해운 2위…머스크와 탈탄소 동맹
https://buly.kr/3YDLroQ
'중형선 강자' HD현대미포, 잇따른 수주 낭보
https://buly.kr/FAdMeks
선박 엔진도 'HD현대 vs 한화' 고성장 투톱
https://buly.kr/4Qn8p2o
한화오션 '세계 최고 안전한 조선소' 만든다
https://buly.kr/5JMvj8Y
HD현대삼호, 1분기 영업이익률 18.6% 배경은 '친환경 선박'
https://buly.kr/GZxQVOy
🚀 방산
진격의 K방산… ‘빅4’ 수주 100조원 눈앞
https://buly.kr/G3D9YdN
트럼프에 등 돌린 캐나다…"한국산 자주포·잠수함은 명품 무기
https://buly.kr/3CNpx6D
KAI, 밸류업 계획 발표…“27년까지 매출액 연평균 20%↑ 성장”
https://buly.kr/FsIOZr2
한화시스템, ‘수도권 최후의 방패’ LAMD 레이더 개발 맡는다
https://buly.kr/FhNdb3F
현대로템, 차세대 전차 'K3' 디자인 특허…K2 계보 잇는다
https://buly.kr/74WVX9D
'원팀' 떴다…HD현대重·한화오션, 캐나다 33조 잠수함 공동 입찰
https://buly.kr/3YDLuzB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5/7 (수) 데일리뉴스
🛳 조선
[TradeWinds]
‘We are looking to acquire companies’: Orca AI eyes expansion after $72.5m fundraiser
New IMO fuel penalties could raise $1trn over a decade, MSI says
VLCC values may have found a firm floor at significant historical benchmark, says Veson Nautical
Trafigura sells first 12-year US notes issue as part of $390m financing
Sinokor offloads former Ridgebury VLCC for huge profit
[Upstream]
First oil on the way for two major US Gulf developments
Brazilian independent aims to double production by 2027
EU unveils phase out of Russian gas
TotalEnergies-owned developer steps up $16 billion green hydrogen and ammonia project
Chinese yard hits key milestone for third Golar FLNG unit
🚢 조선
K-조선, 컨선 발주 문의 6배 증가···2027년 영업이익 8조 정조준
https://buly.kr/BTPS3dM
미중 갈등으로 찾아온 K조선의 새 기회... "국내 제도, 지원책 정비해 도와야"
https://buly.kr/DlJIoFx
K조선업, 트럼프 효과 기대…美 현지화·인력난은 과제
https://buly.kr/DPTmqgo
HD현대, 글로벌 해운 2위…머스크와 탈탄소 동맹
https://buly.kr/3YDLroQ
'중형선 강자' HD현대미포, 잇따른 수주 낭보
https://buly.kr/FAdMeks
선박 엔진도 'HD현대 vs 한화' 고성장 투톱
https://buly.kr/4Qn8p2o
한화오션 '세계 최고 안전한 조선소' 만든다
https://buly.kr/5JMvj8Y
HD현대삼호, 1분기 영업이익률 18.6% 배경은 '친환경 선박'
https://buly.kr/GZxQVOy
🚀 방산
진격의 K방산… ‘빅4’ 수주 100조원 눈앞
https://buly.kr/G3D9YdN
트럼프에 등 돌린 캐나다…"한국산 자주포·잠수함은 명품 무기
https://buly.kr/3CNpx6D
KAI, 밸류업 계획 발표…“27년까지 매출액 연평균 20%↑ 성장”
https://buly.kr/FsIOZr2
한화시스템, ‘수도권 최후의 방패’ LAMD 레이더 개발 맡는다
https://buly.kr/FhNdb3F
현대로템, 차세대 전차 'K3' 디자인 특허…K2 계보 잇는다
https://buly.kr/74WVX9D
'원팀' 떴다…HD현대重·한화오션, 캐나다 33조 잠수함 공동 입찰
https://buly.kr/3YDLuzB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01.05.202523:00
[Microsoft(MSFT US)|다올 인터넷·게임·엔터·레저 김혜영 ☎2184-2395]
★ FY25 3Q Review: 클라우드 매출의 선전
★ Not Rated
▶ 클라우드 매출 서프라이즈 시현
- 3Q25 매출액은 701억 달러(+13.3% YoY, +0.6% QoQ)로 컨센서스(685억 달러)에 소폭 상회. 당기순이익도 258억 달러(+17.7% YoY, +7.1% QoQ)로 컨센서스(241억 달러)에 상회. Intelligent Cloud 매출은 268억 달러(+20.8% YoY, +4.9% QoQ)로 FY25 3Q 실적을 견인
- 클라우드의 성장은 AI 부문이 아닌 Non-AI 부문이 견인하였으며 특히 대형 고객들에 의해 가속화되었다고 밝힘. AI 부문에서는 공급과 수요를 조정했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음
- 다만 AI 워크로드와 Non-AI 워크로드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지고 있고 통합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따라서 AI 중심 워크로드로 전환됨에 따라 Non-AI 부문도 수혜 가능
- 3분기 실적을 견인했던 클라우드 매출이었으나 2분기에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하회했던 만큼 4분기 실적도 불투명.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권고
▶ CapEx 가이던스는 불변
- FY25 3Q 자본지출액은 214억달러로, 이 중 설비 투자 비용으로 현금 지출한 금액은 167억 달러. 가이던스는 변함없이 FY26(CY25 3Q)부터는 투자 속도가 낮아질 예정이라고 밝힘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tinyurl.com/mtbp52wv>
★ FY25 3Q Review: 클라우드 매출의 선전
★ Not Rated
▶ 클라우드 매출 서프라이즈 시현
- 3Q25 매출액은 701억 달러(+13.3% YoY, +0.6% QoQ)로 컨센서스(685억 달러)에 소폭 상회. 당기순이익도 258억 달러(+17.7% YoY, +7.1% QoQ)로 컨센서스(241억 달러)에 상회. Intelligent Cloud 매출은 268억 달러(+20.8% YoY, +4.9% QoQ)로 FY25 3Q 실적을 견인
- 클라우드의 성장은 AI 부문이 아닌 Non-AI 부문이 견인하였으며 특히 대형 고객들에 의해 가속화되었다고 밝힘. AI 부문에서는 공급과 수요를 조정했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음
- 다만 AI 워크로드와 Non-AI 워크로드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지고 있고 통합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 따라서 AI 중심 워크로드로 전환됨에 따라 Non-AI 부문도 수혜 가능
- 3분기 실적을 견인했던 클라우드 매출이었으나 2분기에 시장 컨센서스를 소폭하회했던 만큼 4분기 실적도 불투명.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권고
▶ CapEx 가이던스는 불변
- FY25 3Q 자본지출액은 214억달러로, 이 중 설비 투자 비용으로 현금 지출한 금액은 167억 달러. 가이던스는 변함없이 FY26(CY25 3Q)부터는 투자 속도가 낮아질 예정이라고 밝힘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tinyurl.com/mtbp52wv>
01.05.202522:50
[다올투자증권 자동차/이차전지 유지웅]
현대글로비스: 어닝 점프 시작. TP 16.6만원 유지
★ 1Q25 Review: 어닝 점프 시작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6.6만원 유지. 자동차 운반선 부분에서의 어닝 레벨업이 본격화되었으며, 1Q25에서 충분히 확인
▶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7.2조원 (YoY +9.7%), 5,019억원 (YoY +30.4%) 기록. 해운, 유통 부문 영업이익이 각각 YoY +66.3%, +38.1%로 크게 증가하며 성장세 견인
▶ 1Q25부터는 1)완성차 해상운송의 신규계약분의 매출인식이 시작되며 북미노선은 제외되었고 2)중국발 노선 다수가 추가되기 시작
▶ CKD사업은 HMGMA의 아이오닉5 생산 시작 및 기아 인도공장의 시로스 생산 등 그룹사의 해외생산이 새로운 변곡점을 지나고 있음
▶ 현재 주가 수준은 P/E 5.4배로, 구조적 어닝 상승 확인이 된 시점에서 최근의 주가 조정은 유의미한 매수 기회로 판단
★ 보고서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uly.kr/FWSqwNt>
현대글로비스: 어닝 점프 시작. TP 16.6만원 유지
★ 1Q25 Review: 어닝 점프 시작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16.6만원 유지. 자동차 운반선 부분에서의 어닝 레벨업이 본격화되었으며, 1Q25에서 충분히 확인
▶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7.2조원 (YoY +9.7%), 5,019억원 (YoY +30.4%) 기록. 해운, 유통 부문 영업이익이 각각 YoY +66.3%, +38.1%로 크게 증가하며 성장세 견인
▶ 1Q25부터는 1)완성차 해상운송의 신규계약분의 매출인식이 시작되며 북미노선은 제외되었고 2)중국발 노선 다수가 추가되기 시작
▶ CKD사업은 HMGMA의 아이오닉5 생산 시작 및 기아 인도공장의 시로스 생산 등 그룹사의 해외생산이 새로운 변곡점을 지나고 있음
▶ 현재 주가 수준은 P/E 5.4배로, 구조적 어닝 상승 확인이 된 시점에서 최근의 주가 조정은 유의미한 매수 기회로 판단
★ 보고서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uly.kr/FWSqwNt>
01.05.202522:43
★ DAOL Daily Morning Brief (5/2)
▶️ 미국증시: Dow (+0.21%), S&P500 (+0.63%), Nasdaq (+1.52%)
- 미국증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호실적 발표와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에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 백악관, 20여개 나라로부터 구체적인 협상 제안을 받았으며, 중국과의 진전도 기대한다고 밝힘
- 트럼프, 이란산 원유를 구매하는 모든 국가-개인에 2차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힘
- 미 재무장관, 2년물 수익률이 FFR 금리보다 낮은 것은 연준이 인하해야 한다는 신호라고 언급
-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급증하자 +7.6% 상승
-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가 고객들의 AI 서비스 제품 수요 증가가 인상적인 성장을 이끌었다고 언급하자 +2.5% 상승
- 일라이릴리, 세금 부담과 주식 투자 순손실을 이유로 올해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11.7% 하락
- S&P500, 기술 +2.2%, 커뮤니케이션 +1.6% vs 헬스케어 -2.8%, 필수소비재 -0.8%
- 변동성지수(VIX), 전일 대비 -0.40% 하락한 24.60 기록
♣️ 보고서 원문 및 링크: https://buly.kr/3j85DjY
▶️ 미국증시: Dow (+0.21%), S&P500 (+0.63%), Nasdaq (+1.52%)
- 미국증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호실적 발표와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에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
- 백악관, 20여개 나라로부터 구체적인 협상 제안을 받았으며, 중국과의 진전도 기대한다고 밝힘
- 트럼프, 이란산 원유를 구매하는 모든 국가-개인에 2차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힘
- 미 재무장관, 2년물 수익률이 FFR 금리보다 낮은 것은 연준이 인하해야 한다는 신호라고 언급
-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급증하자 +7.6% 상승
-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가 고객들의 AI 서비스 제품 수요 증가가 인상적인 성장을 이끌었다고 언급하자 +2.5% 상승
- 일라이릴리, 세금 부담과 주식 투자 순손실을 이유로 올해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11.7% 하락
- S&P500, 기술 +2.2%, 커뮤니케이션 +1.6% vs 헬스케어 -2.8%, 필수소비재 -0.8%
- 변동성지수(VIX), 전일 대비 -0.40% 하락한 24.60 기록
♣️ 보고서 원문 및 링크: https://buly.kr/3j85DjY
Repost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b8e91c7-b45b-4cb4-83a3-08b92ce35d95.jpg%3Fw%3D24%26h%3D24&w=48&q=75)


06.05.202523:21
# 관세 업데이트: "계속되는 품목별 관세 부과" - 5월 7일
■ 미국,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 발효
■ 트럼프 대통령,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힘
*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영화 관세 부과 발언 하루만에 외국 영화에 대한 관세는 아직 최종 결정된 사안이 아니며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 발표
■ 트럼프 대통령, 향후 2주 이내에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관련하여 큰 발표를 할 것이라 예고
* 트럼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짓는데 걸리는 승인 시간을 단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의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반대 의견서 제출
■ 파이낸셜타임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활 움직임에 중국 수출업체들이 제3국을 경유해 원산지 세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
■ 워런 버핏 버크셔 CEO,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고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 표출
(자료 원본 ☞ https://buly.kr/7bGmbt0)
■ 미국,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 발효
■ 트럼프 대통령,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외국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할 것이라고 밝힘
* 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영화 관세 부과 발언 하루만에 외국 영화에 대한 관세는 아직 최종 결정된 사안이 아니며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 발표
■ 트럼프 대통령, 향후 2주 이내에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관련하여 큰 발표를 할 것이라 예고
* 트럼프 대통령은 식품의약국(FDA)에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짓는데 걸리는 승인 시간을 단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한미 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의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반대 의견서 제출
■ 파이낸셜타임스,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활 움직임에 중국 수출업체들이 제3국을 경유해 원산지 세탁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
■ 워런 버핏 버크셔 CEO, 올해 말 은퇴를 선언하고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 표출
(자료 원본 ☞ https://buly.kr/7bGmbt0)
Repost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b8e91c7-b45b-4cb4-83a3-08b92ce35d95.jpg%3Fw%3D24%26h%3D24&w=48&q=75)
06.05.202522:39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5/7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68%
- 전년동기비 성장률 +17%
- 성장률 상위: 조선(+469%) > 화학(+101%)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디스플레이 > 소매(유통) > 철강
KOSDAQ
- 기발표 완료율 9%
- 전년동기비 성장률 +10%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기계(+386%) > 반도체(+78%)
- 서프라이즈 섹터: IT가전 > 상사,자본재
■ 실적발표 예정
- (5/8) 카카오 1,059억원 (-12%y / +40%q)
- (5/9) 셀트리온 2,154억원 (+1,295%y / +10%q)
- (5/9) NAVER 5,089억원 (+16%y / -6%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https://buly.kr/9iFsNcB)
1Q25 Earnings Calendar - 5/7 업데이트
■ 시장 공시이익 현황
KOSPI
- 기발표 완료율 68%
- 전년동기비 성장률 +17%
- 성장률 상위: 조선(+469%) > 화학(+101%) > 디스플레이(+100%)
- 서프라이즈 섹터: 디스플레이 > 소매(유통) > 철강
KOSDAQ
- 기발표 완료율 9%
- 전년동기비 성장률 +10%
- 성장률 상위: 건설건축관련(+856%) > 기계(+386%) > 반도체(+78%)
- 서프라이즈 섹터: IT가전 > 상사,자본재
■ 실적발표 예정
- (5/8) 카카오 1,059억원 (-12%y / +40%q)
- (5/9) 셀트리온 2,154억원 (+1,295%y / +10%q)
- (5/9) NAVER 5,089억원 (+16%y / -6%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https://buly.kr/9iFsNcB)
06.05.202522:10
[다올투자증권 자동차/이차전지 유지웅]
★ 4월 판매: 성수기 진입, 미국 대호조
▶ 현대차와 기아의 4월 글로벌 도매판매는 YoY +2.0%, +5.0%로 내수, 미국 판매가 특히 호조세 기록
▶ 최대 성수기에 진입, 전기차 판매 모멘텀은 대체로 보합세. RV 신차판매가 내수, 미국 중심으로 큰 폭의 상승 기록
▶ 현대차 내수에서는 팰리세이드가 전월대비 +44.2% 증가율 기록하며 부각
▶ 미국 판매의 경우, 수요위축에 대한 전망과는 다르게 특정 메이커들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판매가 크게 증가
▶ 한편 현대차는 아이오닉5 차량에 대해 5월부터 IRA 세액공제 혜택 시작. 미국 현지생산 EV차종에 대한 상대적 메리트가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기대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buly.kr/Eonqp0C>
★ 4월 판매: 성수기 진입, 미국 대호조
▶ 현대차와 기아의 4월 글로벌 도매판매는 YoY +2.0%, +5.0%로 내수, 미국 판매가 특히 호조세 기록
▶ 최대 성수기에 진입, 전기차 판매 모멘텀은 대체로 보합세. RV 신차판매가 내수, 미국 중심으로 큰 폭의 상승 기록
▶ 현대차 내수에서는 팰리세이드가 전월대비 +44.2% 증가율 기록하며 부각
▶ 미국 판매의 경우, 수요위축에 대한 전망과는 다르게 특정 메이커들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판매가 크게 증가
▶ 한편 현대차는 아이오닉5 차량에 대해 5월부터 IRA 세액공제 혜택 시작. 미국 현지생산 EV차종에 대한 상대적 메리트가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기대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buly.kr/Eonqp0C>
01.05.202523:00
[Meta Platforms(META US)|다올 인터넷·게임·엔터·레저 김혜영 ☎2184-2395]
★ 1Q25 Review: 명확한 성장세 지속
★ Not Rated
▶ 성장을 지속하는 광고 매출
- 1Q25 매출액은 423억 달러(+16.1% YoY, -12.5% QoQ)로 컨센서스(414억 달러)에 소폭 상회하고 당기순이익도 166억 달러(+34.6% YoY, -20.1% QoQ)로 컨센서스(137억 달러)에 상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 등 패밀리 앱의 광고 매출이 41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기 때문. 서버 수명 연장과 법률 관련 비용 감소로 OPM도 전년 동기 대비 3.6%p 상승한 41.5% 시현
- 광고 노출 수는 5% 증가하였으며 평균 가격 또한 10% 상승. 실제로 1Q25 DAP는 34.3억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상승. 광고 수익 내에서는 온라인 상거래 부문이 성장에 기여했으며, Threads에도 광고를 점진적으로 도입 중. 향후 광고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나 매출 성장을 크게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고 밝힘
▶ AI 인프라투자와 에이전트 개발은 지속
- 동사는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를 기존 600~650억 달러에서 640~720억 달러로 수정. 이는 AI 관련 투자를 위한 추가 데이터 센터 투자와 인프라 하드웨어 비용 증가가 반영되었기 때문. CapEx의 대부분은 핵심 사업에 집중될 예정
- 현재 동사의 여러 앱들에 적용된 Llama 4 기반 Meta AI의 MAU는 약 10억 명. 2025년에 걸쳐 사용자 경험을 심화시키며 음성 대화, 엔터테인먼트에 중점을 두어 개인 AI로 만드는 데 주력할 예정. 앱에 탑재하는 것 외에도 독립형 앱을 출시하였으며 초기 반응은 긍정적. 다른 에이전트와의 경쟁에 대해서는 기업 생산성, 개인 생산성, 엔터테인먼트와 소셜 활동 등으로 용도가 세분화될 수 있음을 밝힘
- 동사와 같이 선도적으로 소셜 플랫폼에 AI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별도의 앱으로 출시하는 기업을 통해 국내에서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는 카카오에 대한 미래 방향성을 점쳐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tinyurl.com/yc8cekc6>
★ 1Q25 Review: 명확한 성장세 지속
★ Not Rated
▶ 성장을 지속하는 광고 매출
- 1Q25 매출액은 423억 달러(+16.1% YoY, -12.5% QoQ)로 컨센서스(414억 달러)에 소폭 상회하고 당기순이익도 166억 달러(+34.6% YoY, -20.1% QoQ)로 컨센서스(137억 달러)에 상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 등 패밀리 앱의 광고 매출이 41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기 때문. 서버 수명 연장과 법률 관련 비용 감소로 OPM도 전년 동기 대비 3.6%p 상승한 41.5% 시현
- 광고 노출 수는 5% 증가하였으며 평균 가격 또한 10% 상승. 실제로 1Q25 DAP는 34.3억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상승. 광고 수익 내에서는 온라인 상거래 부문이 성장에 기여했으며, Threads에도 광고를 점진적으로 도입 중. 향후 광고 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나 매출 성장을 크게 견인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고 밝힘
▶ AI 인프라투자와 에이전트 개발은 지속
- 동사는 2025년 자본 지출 가이던스를 기존 600~650억 달러에서 640~720억 달러로 수정. 이는 AI 관련 투자를 위한 추가 데이터 센터 투자와 인프라 하드웨어 비용 증가가 반영되었기 때문. CapEx의 대부분은 핵심 사업에 집중될 예정
- 현재 동사의 여러 앱들에 적용된 Llama 4 기반 Meta AI의 MAU는 약 10억 명. 2025년에 걸쳐 사용자 경험을 심화시키며 음성 대화, 엔터테인먼트에 중점을 두어 개인 AI로 만드는 데 주력할 예정. 앱에 탑재하는 것 외에도 독립형 앱을 출시하였으며 초기 반응은 긍정적. 다른 에이전트와의 경쟁에 대해서는 기업 생산성, 개인 생산성, 엔터테인먼트와 소셜 활동 등으로 용도가 세분화될 수 있음을 밝힘
- 동사와 같이 선도적으로 소셜 플랫폼에 AI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별도의 앱으로 출시하는 기업을 통해 국내에서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있는 카카오에 대한 미래 방향성을 점쳐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tinyurl.com/yc8cekc6>
01.05.202522:49
[화장품(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432.1백만달러 (YoY +9.4%, MoM -0.8%)
> 중국 97.2백만달러 (YoY -6.1%, MoM -9.7%)
> 미국 81.7백만달러 (YoY -5.4%, MoM +23.8%)
2. 색조 화장품 76.7백만달러 (YoY +28.5%, MoM +15.8%)
> 중국 20.9백만달러 (YoY -3.6%, MoM +35.5%)
> 일본 16.2백만달러 (YoY +33%, MoM -5.4%)
> 미국 7.2백만달러 (YoY +0.9%, MoM +17.8%)
3. 마스크팩 25.9백만달러 (YoY +36.5%, MoM +26%)
> 미국 10.6백만달러 (YoY +23.4%, MoM +45.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7%, MoM +10.5%)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432.1백만달러 (YoY +9.4%, MoM -0.8%)
> 중국 97.2백만달러 (YoY -6.1%, MoM -9.7%)
> 미국 81.7백만달러 (YoY -5.4%, MoM +23.8%)
2. 색조 화장품 76.7백만달러 (YoY +28.5%, MoM +15.8%)
> 중국 20.9백만달러 (YoY -3.6%, MoM +35.5%)
> 일본 16.2백만달러 (YoY +33%, MoM -5.4%)
> 미국 7.2백만달러 (YoY +0.9%, MoM +17.8%)
3. 마스크팩 25.9백만달러 (YoY +36.5%, MoM +26%)
> 미국 10.6백만달러 (YoY +23.4%, MoM +45.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7%, MoM +10.5%)
01.05.202522:42
5/2(금) 채권 모닝 서포터【리서치센터 허정인 연구원】
【US국채: 미 국채 금리 전구간 상승 마감. ISM 제조업 지수 컨센 상회 및 유가 상승에 연동되며 상승
- 미국 4월 ISM 제조업지수, (실제: 48.7/예상: 47.9/이전: 49.0). 구매물가지수, (실제: 69.8/예상: 73.0/이전: 69.4). 고용지수, (실제: 46.5/예상: 44.6/이전: 44.7). 헤드라인 지수가 컨센 상회한 가운데 물가, 고용 지표도 전월대비 호조를 보인 점이 금리 상승 재료로 소화
- 국제유가, +1.8% 상승한 $59.24 기록. 트럼프의 이란에서 원유나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국가나 사람은 즉시 2차 제재 대상이 될 것이라는 발언의 영향
- 한편 한국 휴장 중 미국 1Q GDP 역성장 확인. 세부내역 중 개인소비 호조, 1Q 물가지수 컨센 상회에 발표 직후 금리 급등했으나 재차 급락. 이후 3월 PCE 발표 소화하며 금리는 하락 우위 흐름을 유지
- 미국 1분기 GDP QoQ SAAR 확정치, (실제: -0.3%/예상: -0.2%/이전: 2.4%(4Q))
- 3월 PCE 물가지수 yoy, (실제: 2.3%/예상: 2.2%/이전: 2.7%) 】
▣ 2yr 3.7% (+10bp), 5yr 3.8% (+7bp), 10yr 4.22% (+6bp), 30yr 4.72% (+4bp)
【유럽국채(휴장)】
▣[2Y] 이탈리아 1.99%(0bp)/스페인 1.89%(0bp)/프랑스 1.85%(0bp)/독일 1.69%(0bp)
▣[10Y] 이탈리아 3.56%(0bp)/스페인 3.11%(0bp)/프랑스 3.17%(0bp)/독일 2.44%(0bp)
【중국국채(휴장)】
▣5y 1.51% (0bp), 10y 1.63% (0bp)
【US증시: 미 주가지수, 주요 빅테크의 호실적 발표와 미중 협상 기대에 상승.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급증하자 +7.6% 상승 】
▣ DOW 40,753(+0.2%), S&P500 5,604(+0.6%)
【FX/Cmdty: 휴장 】
▣ USD 100.184(+0.7%), EUR 1.129(-0.3%), JPY 145.39(+1.6%), INR 84.4912(0%), IDR 16,577(-0.2%), BRL 5.6733(0%)
▣ WTI 59.24(+1.8%), GOLD $3,222.20/oz (-2.9%)
▣ 뉴욕 원달러 NDF 1개월 1,432.89원 1개월 스왑포인트 -2.65원 감안 현물환율 1,435.54원(-1.3원)
【KR: 휴장 】
▣ KOSPI 2,557(0,0%), 원달러 1,426.9(+0.0,0%)
▣ 국3 2.272% (0bp), 국5 2.375% (0bp), 국10 2.57% (0bp), 국20 2.545% (0bp)
▣ 통1 2.362% (0bp), 통2 2.315% (0bp)
▣ KTB 107.86 (0틱), LKTB 121.33 (0틱)
* 당사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
【US국채: 미 국채 금리 전구간 상승 마감. ISM 제조업 지수 컨센 상회 및 유가 상승에 연동되며 상승
- 미국 4월 ISM 제조업지수, (실제: 48.7/예상: 47.9/이전: 49.0). 구매물가지수, (실제: 69.8/예상: 73.0/이전: 69.4). 고용지수, (실제: 46.5/예상: 44.6/이전: 44.7). 헤드라인 지수가 컨센 상회한 가운데 물가, 고용 지표도 전월대비 호조를 보인 점이 금리 상승 재료로 소화
- 국제유가, +1.8% 상승한 $59.24 기록. 트럼프의 이란에서 원유나 석유화학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국가나 사람은 즉시 2차 제재 대상이 될 것이라는 발언의 영향
- 한편 한국 휴장 중 미국 1Q GDP 역성장 확인. 세부내역 중 개인소비 호조, 1Q 물가지수 컨센 상회에 발표 직후 금리 급등했으나 재차 급락. 이후 3월 PCE 발표 소화하며 금리는 하락 우위 흐름을 유지
- 미국 1분기 GDP QoQ SAAR 확정치, (실제: -0.3%/예상: -0.2%/이전: 2.4%(4Q))
- 3월 PCE 물가지수 yoy, (실제: 2.3%/예상: 2.2%/이전: 2.7%) 】
▣ 2yr 3.7% (+10bp), 5yr 3.8% (+7bp), 10yr 4.22% (+6bp), 30yr 4.72% (+4bp)
【유럽국채(휴장)】
▣[2Y] 이탈리아 1.99%(0bp)/스페인 1.89%(0bp)/프랑스 1.85%(0bp)/독일 1.69%(0bp)
▣[10Y] 이탈리아 3.56%(0bp)/스페인 3.11%(0bp)/프랑스 3.17%(0bp)/독일 2.44%(0bp)
【중국국채(휴장)】
▣5y 1.51% (0bp), 10y 1.63% (0bp)
【US증시: 미 주가지수, 주요 빅테크의 호실적 발표와 미중 협상 기대에 상승.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급증하자 +7.6% 상승 】
▣ DOW 40,753(+0.2%), S&P500 5,604(+0.6%)
【FX/Cmdty: 휴장 】
▣ USD 100.184(+0.7%), EUR 1.129(-0.3%), JPY 145.39(+1.6%), INR 84.4912(0%), IDR 16,577(-0.2%), BRL 5.6733(0%)
▣ WTI 59.24(+1.8%), GOLD $3,222.20/oz (-2.9%)
▣ 뉴욕 원달러 NDF 1개월 1,432.89원 1개월 스왑포인트 -2.65원 감안 현물환율 1,435.54원(-1.3원)
【KR: 휴장 】
▣ KOSPI 2,557(0,0%), 원달러 1,426.9(+0.0,0%)
▣ 국3 2.272% (0bp), 국5 2.375% (0bp), 국10 2.57% (0bp), 국20 2.545% (0bp)
▣ 통1 2.362% (0bp), 통2 2.315% (0bp)
▣ KTB 107.86 (0틱), LKTB 121.33 (0틱)
* 당사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없이 제공
06.05.202523:01
★ DAOL Daily Morning Brief (5/7)
▶️ 미국증시: Dow (-0.95%), S&P500 (-0.77%), Nasdaq (-0.87%)
- 미국증시, 무역협상 진전 부재 및 트럼프의 의약품 관세 도입 예고에 약세 마감
- 미 재무장관, 이르면 이번 주 최대 교역국 중 일부와의 무역 합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적절한 시점에 중국과 미국이 협상을 위해 만날 것이라고 언급
- 트럼프, 최근 국제 유가 하락으로 러-우 전쟁 종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
- 테슬라, 유럽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어 분기 실적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1.8% 하락
- 일라이릴리, 트럼프가 2주 내 의약품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에 -5.6% 하락
-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트럼프가 원전 배치를 가속화하는 행정명령 준비 소식에 +10.3% 상승
- S&P500, 유틸리티 +1.2%, 에너지 +0.1% vs 헬스케어 -2.8%, 산업 -0.9%
- 변동성지수(VIX), 전일 대비 +4.74% 상승한 24.76 기록
♣️ 보고서 원문 및 링크: https://buly.kr/FsIOih2
▶️ 미국증시: Dow (-0.95%), S&P500 (-0.77%), Nasdaq (-0.87%)
- 미국증시, 무역협상 진전 부재 및 트럼프의 의약품 관세 도입 예고에 약세 마감
- 미 재무장관, 이르면 이번 주 최대 교역국 중 일부와의 무역 합의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힘
- 트럼프, 적절한 시점에 중국과 미국이 협상을 위해 만날 것이라고 언급
- 트럼프, 최근 국제 유가 하락으로 러-우 전쟁 종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주장
- 테슬라, 유럽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어 분기 실적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며 -1.8% 하락
- 일라이릴리, 트럼프가 2주 내 의약품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에 -5.6% 하락
-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트럼프가 원전 배치를 가속화하는 행정명령 준비 소식에 +10.3% 상승
- S&P500, 유틸리티 +1.2%, 에너지 +0.1% vs 헬스케어 -2.8%, 산업 -0.9%
- 변동성지수(VIX), 전일 대비 +4.74% 상승한 24.76 기록
♣️ 보고서 원문 및 링크: https://buly.kr/FsIOih2
06.05.202522:10
[다올투자증권 자동차 유지웅]
5/7(수) 데일리NEWS
[완성차]
■기아, 1분기 유럽 전기차 최다 판매 달성…EV3가 주도
https://buly.kr/HSXDNQq
■현대·기아 이름 딴 美도로만 3개…"한국 위상 달라져"
https://buly.kr/FWSsaRx
■중고차 '족쇄' 푸는 현대차·기아…중고차 시장 지각변동 예고
https://buly.kr/FLY7dEa
■‘국내 픽업 1위’ 장악한 기아 타스만…이유 있던 연구원들의 자신감
https://buly.kr/1REG8o2
[부품/타이어]
■현대글로비스, 중국 車 운송으로 비계열 물량 확대 나선다
https://buly.kr/3CNpvML
■1분기 쌩쌩 달린 타이어 3사…관세 반영땐 '감속' 불가피
https://buly.kr/2qYJzL1
[배터리/2차전지]
■SK온, 전고체 배터리 수명 연장 기술 선점
https://buly.kr/GvmwSWs
■‘K배터리’ 간판 LG엔솔·삼성SDI, ESS용 신제품으로 유럽시장 공략
https://buly.kr/4FsNpoF
■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2025’서 UPS용 배터리 등 신제품 대거 공개
https://buly.kr/2qYJzJ6
■"2차전지 중국 의존도 낮추자"…美·日은 兆단위 지원
https://buly.kr/AwfB6tj
[Global]
■휴머노이드 경쟁…중국 車회사 무서운 질주
https://buly.kr/EzibfZs
■토요타, 웨이모와 자율주행 기술 협약
https://buly.kr/74WVVK4
■캐즘 극복 돌파구 찾는 완성차업체…너도 나도 EREV 선택
https://buly.kr/8pg5L3Q
■"목표 설정 중지"… 美 관세, 테슬라·GM 먼저 때렸다
https://buly.kr/8pg5L5P
■美, 車부품 관세 발효 “차값 561만원 뛸것” 수요 줄면 韓수출 타격
https://buly.kr/611xe2b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5/7(수) 데일리NEWS
[완성차]
■기아, 1분기 유럽 전기차 최다 판매 달성…EV3가 주도
https://buly.kr/HSXDNQq
■현대·기아 이름 딴 美도로만 3개…"한국 위상 달라져"
https://buly.kr/FWSsaRx
■중고차 '족쇄' 푸는 현대차·기아…중고차 시장 지각변동 예고
https://buly.kr/FLY7dEa
■‘국내 픽업 1위’ 장악한 기아 타스만…이유 있던 연구원들의 자신감
https://buly.kr/1REG8o2
[부품/타이어]
■현대글로비스, 중국 車 운송으로 비계열 물량 확대 나선다
https://buly.kr/3CNpvML
■1분기 쌩쌩 달린 타이어 3사…관세 반영땐 '감속' 불가피
https://buly.kr/2qYJzL1
[배터리/2차전지]
■SK온, 전고체 배터리 수명 연장 기술 선점
https://buly.kr/GvmwSWs
■‘K배터리’ 간판 LG엔솔·삼성SDI, ESS용 신제품으로 유럽시장 공략
https://buly.kr/4FsNpoF
■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2025’서 UPS용 배터리 등 신제품 대거 공개
https://buly.kr/2qYJzJ6
■"2차전지 중국 의존도 낮추자"…美·日은 兆단위 지원
https://buly.kr/AwfB6tj
[Global]
■휴머노이드 경쟁…중국 車회사 무서운 질주
https://buly.kr/EzibfZs
■토요타, 웨이모와 자율주행 기술 협약
https://buly.kr/74WVVK4
■캐즘 극복 돌파구 찾는 완성차업체…너도 나도 EREV 선택
https://buly.kr/8pg5L3Q
■"목표 설정 중지"… 美 관세, 테슬라·GM 먼저 때렸다
https://buly.kr/8pg5L5P
■美, 車부품 관세 발효 “차값 561만원 뛸것” 수요 줄면 韓수출 타격
https://buly.kr/611xe2b
* 위 내용은 보도된 사실의 단순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01.05.202522:55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반도체
- 트럼프도 막지 못 하는 AI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최근 관세 등 매크로 불확실성 구간에서 빅테크의 단기 속도 조절에 따른 CapEx 축소 우려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관세에 따른 가격 상승 영향까지 고려해 CapEx 가이던스 범위를 확대 발표할 정도로 단기/중기 투자 기조는 명확하다는 점이 재확인됐습니다.
긍정적 업종 이벤트였습니다.
여전히 남아있는 관세, 경기 등의 우려로 업종 주가는 박스권 움직임을 지속할 수 있으나,
금번 실적 발표에 따른 우려 해소로 적어도 박스권 상단 부근에서 업종 주가가 유지될 수 있는 근거는 마련됐다고 판단됩니다."
▶️ 빅테크 4사 실적 발표 마무리 - CapEx 축소는 없다!
① 다시 한번 보여진 경기/수익화와 CapEx의 관계성
- 성숙 단계 진입 전까지 오히려 무관하게 CapEx는 확대
- 최근 관세 불확실성까지 동반된 상황임에도 계획대로 투자를 집행하겠다는 기조 확인
② 공통적인 Capa 부족 언급 → AI/일반 서버 모두 투자 확대 필요
- 빅테크들이 공통적으로 언급 중인 것은 AI 컴퓨팅 용량 부족
- 공급 측면에서 부족한 데이터센터 Capa 확대 가속화 계획 표출
- 하반기 인프라 투자 지속 확대
▶️ 투자전략
- 관세, 경기 등 불확실성과 우려 잔존 → 박스권 가능성 지속
- 박스권 상단 돌파를 위해서는 1) 관세 우려 해소, 2) AI 수요의 B2C → B2B 학습/추론 확장 확인 필요
- 다만, 금번 실적 발표로 최근 형성된 우려는 해소
→ 단기적으로 박스권 상단에서 업종 주가가 유지될 수 있는 근거는 마련, 긍정적 이벤트로 해석
📑 자료: https://buly.kr/EI3Y4rB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반도체
- 트럼프도 막지 못 하는 AI
💡 핵심 주제 & 아이디어 요약
"최근 관세 등 매크로 불확실성 구간에서 빅테크의 단기 속도 조절에 따른 CapEx 축소 우려가 존재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관세에 따른 가격 상승 영향까지 고려해 CapEx 가이던스 범위를 확대 발표할 정도로 단기/중기 투자 기조는 명확하다는 점이 재확인됐습니다.
긍정적 업종 이벤트였습니다.
여전히 남아있는 관세, 경기 등의 우려로 업종 주가는 박스권 움직임을 지속할 수 있으나,
금번 실적 발표에 따른 우려 해소로 적어도 박스권 상단 부근에서 업종 주가가 유지될 수 있는 근거는 마련됐다고 판단됩니다."
▶️ 빅테크 4사 실적 발표 마무리 - CapEx 축소는 없다!
① 다시 한번 보여진 경기/수익화와 CapEx의 관계성
- 성숙 단계 진입 전까지 오히려 무관하게 CapEx는 확대
- 최근 관세 불확실성까지 동반된 상황임에도 계획대로 투자를 집행하겠다는 기조 확인
② 공통적인 Capa 부족 언급 → AI/일반 서버 모두 투자 확대 필요
- 빅테크들이 공통적으로 언급 중인 것은 AI 컴퓨팅 용량 부족
- 공급 측면에서 부족한 데이터센터 Capa 확대 가속화 계획 표출
- 하반기 인프라 투자 지속 확대
▶️ 투자전략
- 관세, 경기 등 불확실성과 우려 잔존 → 박스권 가능성 지속
- 박스권 상단 돌파를 위해서는 1) 관세 우려 해소, 2) AI 수요의 B2C → B2B 학습/추론 확장 확인 필요
- 다만, 금번 실적 발표로 최근 형성된 우려는 해소
→ 단기적으로 박스권 상단에서 업종 주가가 유지될 수 있는 근거는 마련, 긍정적 이벤트로 해석
📑 자료: https://buly.kr/EI3Y4rB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01.05.202522:49
[의료기기(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40.1백만달러 (YoY +54%, MoM +42%)
> 미국/캐나다 14.4백만달러 (YoY +150.9%, MoM +66.4%)
> 중국 7.9백만달러 (YoY +117.3%, MoM +105.1%)
2. 미용 의료기기 87.1백만달러 (YoY +10.8%, MoM -12.5%)
> 미국 23.3백만달러 (YoY +108.2%, MoM +48.3%)
> 일본 10백만달러 (YoY -2.4%, MoM -16.9%)
> 브라질 2.3백만달러 (YoY -48.3%, MoM -73.7%)
> 러시아 4.4백만달러 (YoY +44.5%, MoM -9.5%)
> 태국 4.5백만달러 (YoY 0%, MoM -25%)
> 대만 2.7백만달러 (YoY -32.5%, MoM -27.4%)
3. 홈뷰티 12.4백만달러 (YoY -29.5%, MoM +15.8%)
> 미국 0.7백만달러 (YoY -92.9%, MoM -79.1%)
4. 임플란트 60백만달러 (YoY -25.4%, MoM -5.5%)
> 중국 18.5백만달러 (YoY -48.8%, MoM -16.1%)
> 미국 3.2백만달러 (YoY -60.2%, MoM +6%)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6.9%, MoM +25.6%)
5. 치과영상장비 19.6백만달러 (YoY -10%, MoM -33.6%)
> 미국 2.6백만달러 (YoY -61.1%, MoM -77.1%)
6. 필러(기타 화장품) 263.9백만달러 (YoY +37.3%, MoM +12.2%)
7. 스텐트 11.8백만달러 (YoY +21%, MoM +1.4%)
8. 지혈제 0.8백만달러 (YoY -22.1%, MoM -16.5%)
9. 콘택트렌즈 16.6백만달러 (YoY +9.5%, MoM -14.2%)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40.1백만달러 (YoY +54%, MoM +42%)
> 미국/캐나다 14.4백만달러 (YoY +150.9%, MoM +66.4%)
> 중국 7.9백만달러 (YoY +117.3%, MoM +105.1%)
2. 미용 의료기기 87.1백만달러 (YoY +10.8%, MoM -12.5%)
> 미국 23.3백만달러 (YoY +108.2%, MoM +48.3%)
> 일본 10백만달러 (YoY -2.4%, MoM -16.9%)
> 브라질 2.3백만달러 (YoY -48.3%, MoM -73.7%)
> 러시아 4.4백만달러 (YoY +44.5%, MoM -9.5%)
> 태국 4.5백만달러 (YoY 0%, MoM -25%)
> 대만 2.7백만달러 (YoY -32.5%, MoM -27.4%)
3. 홈뷰티 12.4백만달러 (YoY -29.5%, MoM +15.8%)
> 미국 0.7백만달러 (YoY -92.9%, MoM -79.1%)
4. 임플란트 60백만달러 (YoY -25.4%, MoM -5.5%)
> 중국 18.5백만달러 (YoY -48.8%, MoM -16.1%)
> 미국 3.2백만달러 (YoY -60.2%, MoM +6%)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6.9%, MoM +25.6%)
5. 치과영상장비 19.6백만달러 (YoY -10%, MoM -33.6%)
> 미국 2.6백만달러 (YoY -61.1%, MoM -77.1%)
6. 필러(기타 화장품) 263.9백만달러 (YoY +37.3%, MoM +12.2%)
7. 스텐트 11.8백만달러 (YoY +21%, MoM +1.4%)
8. 지혈제 0.8백만달러 (YoY -22.1%, MoM -16.5%)
9. 콘택트렌즈 16.6백만달러 (YoY +9.5%, MoM -14.2%)
01.05.202522:4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BUY(유지)/TP 950,000원(상향)/다올투자증권 조선/기계/방산 최광식 ☎️2184-2308]
★ 1Q25 Review
: 지상도 바다도 좋았다, 다음은 미국 장약
▶ Issue:
- 유상증자 변동(3자배정)을 반영(증자비율 3.8%)하지만,
- 적정PER 30배로 상향하면서 적정주가 95만원으로 올림
▶ Pitch:
- 지상방산의 폴란드 납품이 계획보다 빠르며 수출비중에 따른 호조 계속
: K9 20문(연간 70문 이상 안내), 천무 24대(연간 50대 이상)으로 더 빠름. 올해 천무는 K9보다 많이 나감
: 1Q보다 2~4Q, 특히 하반기가 좋음. 폴란드 외 지역 납품 늚
- 연결로 처음 잡힌 한화오션도 기대 이상
- 즉, 지상과 바다의 실적 턴어라운드는 올해 하반기에 또 2027년까지 계속
- 선호주 의견 유지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it.ly/HA1Q25REV
★ 1Q25 Review
: 지상도 바다도 좋았다, 다음은 미국 장약
▶ Issue:
- 유상증자 변동(3자배정)을 반영(증자비율 3.8%)하지만,
- 적정PER 30배로 상향하면서 적정주가 95만원으로 올림
▶ Pitch:
- 지상방산의 폴란드 납품이 계획보다 빠르며 수출비중에 따른 호조 계속
: K9 20문(연간 70문 이상 안내), 천무 24대(연간 50대 이상)으로 더 빠름. 올해 천무는 K9보다 많이 나감
: 1Q보다 2~4Q, 특히 하반기가 좋음. 폴란드 외 지역 납품 늚
- 연결로 처음 잡힌 한화오션도 기대 이상
- 즉, 지상과 바다의 실적 턴어라운드는 올해 하반기에 또 2027년까지 계속
- 선호주 의견 유지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it.ly/HA1Q25REV
06.05.202522:51
[다올 시황 김지현]
★ 연휴 기간 코멘트: 해프닝
➡️ 대만 달러 급등 해프닝
- 대만 수출기업, 생보사들의 환헤지 수요라는 주장은 일부 타당. 대만 생보사들의 해외투자 비중은 2010년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 그에 비해 헤지 비율은 낮은 것으로 파악. 23년 기준 총 자산 대비 외환 익스포저 비중은 12%로 높은 편.
- 다만 1) 실제 포지션 변화 데이터를 확인하기 어렵고, 2) 원화 외 아시아 통화 전반적인 강세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음.
- 원화에 대한 포지션 증가를 보여주는 달러/원 선물 미결제 약정이 급증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향후 데이터 확인 필요.
➡️ 관세 영향력 여전하지만 FOMC 금리인하는 아직
- 달러 약세 원인은 1) 정책 불확실성, 2) 미국 수입규모 확대에 기인. 미일, 미중 협상 난항, 외국 영화에 대한 100% 관세 부과 추진 및 철회 해프닝, 2주내 의약품 관세 예고 등 관세 불확실성 지속.
- 미국 3월 수입은 YOY 4.4% 급증한 4,190억 달러로 사상최고치. 즉 해외 수출업체에 지불한 달러가 시중에 사상 최대치로 증가했다는 뜻으로, 실제로 관세 부과가 시작된 4월 초 이후 달러인덱스는 104pt대에서 하락한 뒤 100pt를 넘지 못하고 있음.
- 장기적으로는 사재기 수요 소멸 이후 미국 수입규모 감소, 단기적으로 5월 FOMC 동결 및 매파 발언 나올 시 달러 추가 약세는 제한될 가능성.
➡️ 이면보다는 현상에 주목
- 대만달러 급등 사례는 아시아 국가의 달러 헤지 확대와 미국 외 투자 다각화의 계기로 해석. 트럼프 관세와 약달러가 촉발한 부차적인 현상.
- 방향성보다는 급격한 변동성이 문제.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에서는 수출주 중 환헤지를 적극적으로 해왔던 기업이 상대적으로 유리.
- 위안화 강세라는 현상에 주목. 1) 중국이 수출 중심 성장에서 내수 중심 성장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시점, 2) 트럼프와 협상을 위해 통화 절상의 필요성 확대, 그 결과 나타난 아시아 통화 강세는 수출주 < 내수주 선호 전망을 강화하는 근거.
★ 보고서: https://buly.kr/3j872BT
감사합니다.
★ 연휴 기간 코멘트: 해프닝
➡️ 대만 달러 급등 해프닝
- 대만 수출기업, 생보사들의 환헤지 수요라는 주장은 일부 타당. 대만 생보사들의 해외투자 비중은 2010년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 그에 비해 헤지 비율은 낮은 것으로 파악. 23년 기준 총 자산 대비 외환 익스포저 비중은 12%로 높은 편.
- 다만 1) 실제 포지션 변화 데이터를 확인하기 어렵고, 2) 원화 외 아시아 통화 전반적인 강세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음.
- 원화에 대한 포지션 증가를 보여주는 달러/원 선물 미결제 약정이 급증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향후 데이터 확인 필요.
➡️ 관세 영향력 여전하지만 FOMC 금리인하는 아직
- 달러 약세 원인은 1) 정책 불확실성, 2) 미국 수입규모 확대에 기인. 미일, 미중 협상 난항, 외국 영화에 대한 100% 관세 부과 추진 및 철회 해프닝, 2주내 의약품 관세 예고 등 관세 불확실성 지속.
- 미국 3월 수입은 YOY 4.4% 급증한 4,190억 달러로 사상최고치. 즉 해외 수출업체에 지불한 달러가 시중에 사상 최대치로 증가했다는 뜻으로, 실제로 관세 부과가 시작된 4월 초 이후 달러인덱스는 104pt대에서 하락한 뒤 100pt를 넘지 못하고 있음.
- 장기적으로는 사재기 수요 소멸 이후 미국 수입규모 감소, 단기적으로 5월 FOMC 동결 및 매파 발언 나올 시 달러 추가 약세는 제한될 가능성.
➡️ 이면보다는 현상에 주목
- 대만달러 급등 사례는 아시아 국가의 달러 헤지 확대와 미국 외 투자 다각화의 계기로 해석. 트럼프 관세와 약달러가 촉발한 부차적인 현상.
- 방향성보다는 급격한 변동성이 문제.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에서는 수출주 중 환헤지를 적극적으로 해왔던 기업이 상대적으로 유리.
- 위안화 강세라는 현상에 주목. 1) 중국이 수출 중심 성장에서 내수 중심 성장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시점, 2) 트럼프와 협상을 위해 통화 절상의 필요성 확대, 그 결과 나타난 아시아 통화 강세는 수출주 < 내수주 선호 전망을 강화하는 근거.
★ 보고서: https://buly.kr/3j872BT
감사합니다.
06.05.202522:30
[HD현대마린솔루션(443060)/BUY(유지)/TP 230,000원(상향)/다올투자증권 조선/기계/방산 최광식 ☎️2184-2308]
★ 1Q25 Review
: 엔진 부품 YoY 성장폭 40%대 계속
▶ Issue: 1Q25 리뷰. 적정주가 23만원으로 상향. 성장만 할 동사에 장기 투자 권고
▶ Pitch:
- 동사는 YoY 늘 성장하고 그 폭이 관심일 뿐
1) 힘센엔진 및 D/F 확산으로 1Q25에 매출보다 영업이익 성장폭이 더 큼
2) 사업들 중 고마진의 엔진 성장폭 가장 큼
- MEPC 83차로 D/F 추진 친환경선으로의 교체발주 확대가 기대
- 즉, 가파른 성장이 십수년은 담보된 것으로 판단하며, 장기 투자 권고
> 실적 상향으로 적정주가 23만원으로 올림
- KKR 락업 해제는, 잔여 지분 20%로 너무 많아서, 시장 충격 없는 방식으로 갈 것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bit.ly/HMS1Q25RE >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 1Q25 Review
: 엔진 부품 YoY 성장폭 40%대 계속
▶ Issue: 1Q25 리뷰. 적정주가 23만원으로 상향. 성장만 할 동사에 장기 투자 권고
▶ Pitch:
- 동사는 YoY 늘 성장하고 그 폭이 관심일 뿐
1) 힘센엔진 및 D/F 확산으로 1Q25에 매출보다 영업이익 성장폭이 더 큼
2) 사업들 중 고마진의 엔진 성장폭 가장 큼
- MEPC 83차로 D/F 추진 친환경선으로의 교체발주 확대가 기대
- 즉, 가파른 성장이 십수년은 담보된 것으로 판단하며, 장기 투자 권고
> 실적 상향으로 적정주가 23만원으로 올림
- KKR 락업 해제는, 잔여 지분 20%로 너무 많아서, 시장 충격 없는 방식으로 갈 것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노티스:
< https://bit.ly/HMS1Q25RE >
* 텔레그램 공개 채널 https://t.me/HI_GS
Reposted from: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b8e91c7-b45b-4cb4-83a3-08b92ce35d95.jpg%3Fw%3D24%26h%3D24&w=48&q=75)


06.05.202512:11
[DAOL퀀트 김경훈] 5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REITERATE: "RATHER BUY IN MAY?"
▪︎ 국내 경기 사이클은 작년 5월을 기점으로 확장 추세에서 벗어났으며, 8월에는 본격적인 수축 사이클로 전환. 그 이후 10개월 내내 둔화하던 국내 경기의 침체 속도가 이번달 들어 가장 크게 줄어들며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
▪︎ 이번달 선행 및 후행경기지표의 동반상승이 목격되는데, 이는 두 지표가 교차하기 직전 나타난 상황으로 트럼프 관세 우려가 만든 밀어내기 물량 즉, “사이클 왜곡 현상”에 주로 기인. 이러한 왜곡은 추세라기 보단 단발성 요인인 만큼, 이번달 시그널의 큰 변화를 변곡으로 보기엔 무리수
▪︎ 국내 경기의 이번 수축 사이클이 아직 절반에도 못 미쳤다는 기존 시각을 유지하는 바, KOSPI의 상단은 제한적인 반면 하단은 국내 밸류에이션 상 락바텀인 2,400P 대에서 지지하는 횡보장세 지속 예상. 결론적으로 향후 경기 기초체력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중장기적 주식전략 차원에서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통신과 같은 성장주이자 방어주 컨셉을 띄는 "NON-CYCLICAL DEFENSIVE” 업종 유망 시각 지속 유지 (REITERATE)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4mcekvR)
REITERATE: "RATHER BUY IN MAY?"
▪︎ 국내 경기 사이클은 작년 5월을 기점으로 확장 추세에서 벗어났으며, 8월에는 본격적인 수축 사이클로 전환. 그 이후 10개월 내내 둔화하던 국내 경기의 침체 속도가 이번달 들어 가장 크게 줄어들며 속도조절에 들어간 모습
▪︎ 이번달 선행 및 후행경기지표의 동반상승이 목격되는데, 이는 두 지표가 교차하기 직전 나타난 상황으로 트럼프 관세 우려가 만든 밀어내기 물량 즉, “사이클 왜곡 현상”에 주로 기인. 이러한 왜곡은 추세라기 보단 단발성 요인인 만큼, 이번달 시그널의 큰 변화를 변곡으로 보기엔 무리수
▪︎ 국내 경기의 이번 수축 사이클이 아직 절반에도 못 미쳤다는 기존 시각을 유지하는 바, KOSPI의 상단은 제한적인 반면 하단은 국내 밸류에이션 상 락바텀인 2,400P 대에서 지지하는 횡보장세 지속 예상. 결론적으로 향후 경기 기초체력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중장기적 주식전략 차원에서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통신과 같은 성장주이자 방어주 컨셉을 띄는 "NON-CYCLICAL DEFENSIVE” 업종 유망 시각 지속 유지 (REITERATE)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4mcekvR)
01.05.202522:50
[다올투자증권 자동차/이차전지 유지웅]
LG에너지솔루션: 수요 반등의 흔적. TP 44만원 유지
★ 1Q25 Review: 수요 반등의 흔적
▶ 업종 최선호주 의견 유지. 현재의 관세정책은 미국내 EV수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굉장히 높으며, 3Q25부터는 다양한 Catalyst 발현 기대
▶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6조 2,650억원 (YoY +2.2%), 3,747억원 (YoY +138.2%) 기록.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 상회
▶ 중대형 중 EV부분은 약 YoY +17%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 1Q25 GM의 미국내 EV 판매량은 YoY +94%의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했고, 동사의 미국 실적 역시 큰 폭의 상승흐름을 보인 것으로 판단
▶ 2Q25에 대해 컨퍼런스 콜에서 회사는 다소 보수적 스탠스를 보였고 당일 주가에 큰 영향을 줬으나, 시장의 우려는 결국 GM의 멕시코생산차종 2개 라인업에만 국한
▶ 3Q25를 시작으로 HLI, HMGMA JV에서 나타나는 현기차 물량과 2026년 일본 OEM향 공급이 가시화되며 중대형 전지부분 매출지연 우려는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기대
★ 보고서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uly.kr/B7ZuPz0>
LG에너지솔루션: 수요 반등의 흔적. TP 44만원 유지
★ 1Q25 Review: 수요 반등의 흔적
▶ 업종 최선호주 의견 유지. 현재의 관세정책은 미국내 EV수요를 촉진시킬 가능성이 굉장히 높으며, 3Q25부터는 다양한 Catalyst 발현 기대
▶ 1Q25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6조 2,650억원 (YoY +2.2%), 3,747억원 (YoY +138.2%) 기록.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 상회
▶ 중대형 중 EV부분은 약 YoY +17%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 1Q25 GM의 미국내 EV 판매량은 YoY +94%의 급격한 증가세를 기록했고, 동사의 미국 실적 역시 큰 폭의 상승흐름을 보인 것으로 판단
▶ 2Q25에 대해 컨퍼런스 콜에서 회사는 다소 보수적 스탠스를 보였고 당일 주가에 큰 영향을 줬으나, 시장의 우려는 결국 GM의 멕시코생산차종 2개 라인업에만 국한
▶ 3Q25를 시작으로 HLI, HMGMA JV에서 나타나는 현기차 물량과 2026년 일본 OEM향 공급이 가시화되며 중대형 전지부분 매출지연 우려는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기대
★ 보고서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uly.kr/B7ZuPz0>
01.05.202522:47
[GS건설(006360)/BUY(유지)/TP 22,000원(유지)/다올 건설•부동산 박영도 ☎2184-2548]
★ 1Q25 Review
: 긍정/부정 요인 혼재
▶ Issue:
- 1Q25 Review
▶ Pitch:
- 매출액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부합. 영업이익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하회.
- 전사 원가율은 안정적이었으나 판관비 증가. 공사미수금에 대한 대손 설정과 정비사업 수주를 위한 수주 비용 반영. 2025년 상반기까지 이러한 형태의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기존 시각 유지. 잔여기간 이익 전망은 유지.
- 연간 영업이익 조정이 크지 않아 적정주가 22,000원 유지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uly.kr/FAdKyZq
★ 1Q25 Review
: 긍정/부정 요인 혼재
▶ Issue:
- 1Q25 Review
▶ Pitch:
- 매출액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부합. 영업이익 당사추정치와 컨센서스 하회.
- 전사 원가율은 안정적이었으나 판관비 증가. 공사미수금에 대한 대손 설정과 정비사업 수주를 위한 수주 비용 반영. 2025년 상반기까지 이러한 형태의 비용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기존 시각 유지. 잔여기간 이익 전망은 유지.
- 연간 영업이익 조정이 크지 않아 적정주가 22,000원 유지하고 투자의견 Buy 유지.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uly.kr/FAdKyZq
01.05.202522:40
[한화오션(042660)/HOLD(유지)/TP 70,000원(상향)/다올투자증권 조선/기계/방산 최광식 ☎️2184-2308]
★ 1Q25 Review
: 피어보다 높은 멀티플 부여. 그래도
▶ Issue:
1Q25 실적 리뷰. 적정주가 상향
▶ Pitch:
- 조선업종 전체의 생산성 개선(Q), 선가 상승과 가스선 비중 증가(MIX)로 실적 턴어라운드 확인
- 동사만의 특징은 1) CAPA 확대, 2) 미군 MRO 수행과 그룹사의 적극적인 미국 진출
- 지켜볼 포인트 많지만, 이를 인정하는 시장의 멀티플을 일부 반영하면서 적정PER 20배로 상향하고
- 적정주가를 7만원으로 100% 올림. 투자의견은 HOLD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it.ly/HO1Q25REV
★ 1Q25 Review
: 피어보다 높은 멀티플 부여. 그래도
▶ Issue:
1Q25 실적 리뷰. 적정주가 상향
▶ Pitch:
- 조선업종 전체의 생산성 개선(Q), 선가 상승과 가스선 비중 증가(MIX)로 실적 턴어라운드 확인
- 동사만의 특징은 1) CAPA 확대, 2) 미군 MRO 수행과 그룹사의 적극적인 미국 진출
- 지켜볼 포인트 많지만, 이를 인정하는 시장의 멀티플을 일부 반영하면서 적정PER 20배로 상향하고
- 적정주가를 7만원으로 100% 올림. 투자의견은 HOLD
▶ 보고서 원문 및 Compliance Notice: https://bit.ly/HO1Q25REV
Shown 1 - 24 of 428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