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avatar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avatar
신영증권 전략 박소연
20.02.202504:01
안녕하세요 신영증권 박소연입니다.

3월부터 애널리스트 일을 접고 새로운 본부로 이동하게 되었습니다. 2002년에 증권사에 입사했고, 2003년부터 리서치만 했는데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네요.

노안이 와서 글자 안보이기 전에 다른 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회사에서 감사하게도 기회를 주셨습니다.

텔레그램 채널은 2018년부터 운영했는데, 3월 초쯤 완전히 폐쇄하려고 합니다. 그간 저와 같이 밤낮으로 시장에 대해 고민해주셨던 3만명이 넘는 구독자 분들께 무한 감사를 드립니다.

새로 하게 된 일은 상품쪽입니다. 애널리스트와 다른 각도에서 투자와 시장을 보는 일이라 걱정도 많지만 기대도 됩니다.

앞으로도 최고의 투자를 위해 경주하는 신영증권이 되겠습니다. 많은 응원과 지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8.02.202501:49
(위) 우라늄 공급 충격에 대비하라 (FT)

AI capex 확대로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을 위한 귀중한 자원이죠.

그런데 우라늄 생산지가 주로 아프리카 등 제 3세계에 위치하고 있다보니

날이 갈수록 공급 충격에 취약해지고 있다는 기사가 FT에 실렸습니다. 당장의 이슈는 아니겠지만, 우라늄 가격이 이 이상 급등한다면 SMR과 원자력 등 관련 기업에 영향이 있을 수 있겠네요.

미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들이 자국 우라늄 광산 개발에 더 열을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

- 현재 우라늄 최대 생산국은 카자흐스탄. 그런데 카자흐스탄 국유 광산업체인 Kazatom­prom이 몇 년 전부터 러시아/중국 공급 비중을 급격하게 늘리기 시작

- 2021년에는 러시아/중국/카자흐 매출 비중이 3분의 1 이었으나 2023년에는 러시아/중국/카자흐 매출 비중이 3분의 2까지 폭증

- 반대로 미국/캐나다/프랑스/영국 우라늄 공급 비중은 2021년 60%에서 2023년 28%로 급감. Kazatom­prom은 국가별 매출 다각화 과정이라고 해명하고 있음

- 니제르도 문제임. 니제르는 전세계 우랴늄 생산량의 5%에 불과하나 EU 주요 우라늄 공급원이었음. 그런데 군사 쿠데타로 서방국가에 적대적 정부가 수립되면서 2021년 대비 2023년 유럽향 우라늄 수출은 3분의 1로 감소. 2024년부터는 아예 EU 수출이 뚝 끊김

- 프랑스 국유기업인 오라노는 니제르 정부로부터 광산 채굴권을 박탈당함. 니제르는 오라노의 우라늄 공급의 16%를 담당하고 있었는데 카자흐스탄 광산도 거의 고갈 중이라 난처한 입장

- 카자흐스탄, 니제르 모두 미국/유럽보다는 러시아/중국쪽 공급에 주력하면서 서방국가 공급 차질 가능성 높아질 전망
05.02.202522:56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2.6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국채 금리 하락 및 기업별 실적 발표 소화 속 금융/부동산/기술 관련주 중심 강세

- WTI, 관세 우려 일부 완화 및 미 원유재고 예상치 상회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44.7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재무부 분기발행계획 유지 및 1월 ISM 서비스업PMI 예상치 하회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6.8bp 축소된 23.0bp

==================

◆ 미국 증시
-DOW 44,873.28p (+0.71%)
-NASDAQ 19,692.33p (+0.19%)
-S&P500 6,061.48p (+0.39%)
-Russell 2000 2,316.23p (+1.1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FISERV INC (+7.15%)
-AMGEN            (+6.50%)
-NVIDIA             (+5.21%)

Top Losers 3
-UBER TECHNOLOGIES INC (-7.56%)
-ALPHABET A         (-7.29%)
-ALPHABET C         (-6.94%)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2.43%)
-테슬라 (-3.58%)
-코카콜라 (+0.72%)
-NVIDIA (+5.21%)
-Apple (-0.14%)
-Ford (-1.48%)
-Microsoft (+0.22%)
-메타 플랫폼스 (+0.10%)
-유니티 소프트웨어 (-1.68%)
-ASML Holding (+1.53%)
-AT&T (+0.91%)
-로블록스 (+2.28%)
-Airbnb (-0.87%)
-디즈니 (-2.44%)
-리얼티 인컴 (+0.74%)
-화이자 (+2.20%)
-머크 (-1.18%)
-길리어드 (+1.69%)
-IBM (-0.44%)
-에스티로더 (-5.08%)
-사이먼 프라퍼티 (+3.32%)
-보스턴 프라퍼티 (+0.98%)
-구글 c (-6.94%)
-Star Bulk (-0.38%)
-Waste Management (+1.18%)

◆ 디지털자산
- BITCOIN $96,935.73 (+0.42%)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7.60 (-0.33%)
-유로/달러 1.04 (+0.23%)
-달러/엔 152.61 (-1.12%)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189% (-2.6bp)
-10년물 4.419% (-9.4bp)
-30년물 4.637% (-11.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78% (-0.6bp)
-10년물 2.818% (-2.6bp)

◆ 상품시장
-WTI (bbl) $71.03 (-2.30%)
-금 (t oz) $2,871.60 (+0.64%)
-구리 (lb) $4.44 (+2.0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04.02.202503:51
노무라: 일본 증시, 저평가 해소 국면 진입할까?
- 글로벌 가치주 강세가 지속될 경우, 일본 증시의 상대적 저평가가 완화될 가능성이 높음. 작년 여름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이후, 일본 주식은 글로벌 시장 대비 여전히 낮은 밸류에이션을 유지하고 있음. 당시 엔화 강세, 중국 경기 둔화 우려, 미국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해외 투자자들은 기존 일본 주식 포지션을 대부분 정리했으며, 이후 포지션이 복원되지 않음.

- 그러나 현재는 상황이 다소 달라짐. 엔화는 이미 작년 시장 변동성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으며, 중국 경제는 작년 가을부터 본격적인 경기부양책이 시행되며 최악의 국면을 피한 상태. 미국 경제도 예상보다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경기 침체 없이 연착륙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또한,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는 일본이 타국 대비 관세 정책의 영향을 적게 받을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하고 있음.

- 한편, 일본 증시를 견인했던 은행주(금융주)에 대한 투자 심리 변화 가능성도 감지됨. 최근 싱가포르에서의 미팅을 통해 일본 은행주에 대한 강세론이 지속될지에 대한 의문이 확대되는 분위기를 확인함. 채권시장에서도 BOJ의 금리 인상 전망(6개월마다 1회 인상, 최종 금리 1.0%)에 대한 컨센서스가 확고해지면서, 은행주의 추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대두됨.

- 따라서 향후 투자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음. 첫째, 은행주가 추가 상승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을 찾을 것인가. 둘째, 은행주의 역할을 대체할 새로운 섹터가 부각될 것인가임. 그러나 후자의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높지 않다고 봄. 결국, 일본 증시의 저평가 해소 여부는 은행주 이외의 업종이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지에 달려 있음.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03.02.202501:22
도이치뱅크: Tarrifs, A huge shock

-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조치는 글로벌 무역 질서에 상당한 충격을 주고 있음.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이후 가장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로 평가되며, 일부 경제권에서는 즉각적인 경기침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미국 전체 수입의 44%가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됐으며, 기존에 면제됐던 소형 화물까지 포함되면서 시장 예상과 크게 어긋남. 특히 캐나다산 에너지 수입에도 10% 관세가 부과되면서, 기존에 생활비 부담을 고려해 에너지는 예외적으로 다룰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깨진 상황임.

- 시장에서는 무역전쟁 리스크를 과소평가해 왔음. 당초 5% 수준의 보편적 관세를 예상했으나, 이번 조치는 그보다 세 배 크며, 미국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을 1%포인트 이상 끌어올릴 가능성이 있음.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단행한 모든 무역 조치를 합친 것보다도 이번 관세 인상 규모가 5배 이상 크며, 캐나다와 멕시코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브렉시트가 영국에 미친 영향보다 더 클 것으로 전망됨.

- 시장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해보임. 개장 직후부터 외환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USD/CAD는 1.50선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춘절 연휴(2월 5일 개장 전까지 휴장)로 인해 위안화 시장의 유동성 관리가 어려워지며, 역외시장(USDCNH)에서는 사상 최고치(7.36) 테스트할 가능성이 존재함.

- 추가적인 변동성 요인으로는 미국 내 법적 대응과 각국의 보복 관세 조치가 있음. 트럼프 행정부가 IEEPA을 광범위하게 활용한 만큼, 이에 대한 가처분 신청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음. 캐나다는 즉각적으로 1,5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중국과 멕시코도 강경 대응을 시사 중.

- 이번 관세가 장기적으로 유지될지는 불확실함. 시장 충격이 커질수록 행정부가 대응할 가능성이 있지만, 반대로 미국 정부가 예산 협상을 앞두고 있어 재정 수입 확보를 위해 관세를 지속할 동기도 존재함. 단기적으로는 시장과 정책 당국 간 피드백 과정이 지속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무역 리스크 프리미엄이 구조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19.02.202522:4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2.20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종목별 차별화 흐름 속 헬스케어/에너지/필수소비재 중심 강세

- WTI, 주요 산유국 증산 연기 전망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38.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월 FOMC 의사록에서 QT 일시 중단 가능성이 언급된 가운데 중단기 구간 중심 하락 마감. 커브 불-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2.1bp 확대된 26.4bp

==================

◆ 미국 증시
-DOW 44,627.59p (+0.16%)
-NASDAQ 20,056.25p (+0.07%)
-S&P500 6,144.15p (+0.24%)
-Russell 2000 2,282.46p (-0.34%)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NALOG DEVICES INC (+9.74%)
-TEXAS INSTRUMENT (+5.29%)
-CAPITAL ONE FINANCIAL (+3.46%)

Top Losers 3
-PALANTIR TECHNOLOGIES INC-A (-10.08%)
-ARISTA NETWORKS INC (-6.43%)
-INTEL (-6.10%)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01%)
-테슬라 (+1.82%)
-코카콜라 (+1.48%)
-NVIDIA (-0.12%)
-Apple (+0.16%)
-Ford (+0.54%)
-Microsoft (+1.25%)
-메타 플랫폼스 (-1.76%)
-유니티 소프트웨어 (-1.60%)
-ASML Holding (+0.08%)
-AT&T (+0.65%)
-로블록스 (-3.72%)
-Airbnb (-1.63%)
-디즈니 (+1.63%)
-리얼티 인컴 (+0.80%)
-화이자 (+1.29%)
-머크 (+2.77%)
-길리어드 (+2.28%)
-IBM (+0.48%)
-에스티로더 (-1.09%)
-사이먼 프라퍼티 (-0.06%)
-보스턴 프라퍼티 (-1.80%)
-구글 c (+0.72%)
-Star Bulk (-8.72%)
-Waste Management (+0.07%)

◆ 디지털자산
- BITCOIN $ 96,315.42 (+1.3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7.18 (+0.11%)
-유로/달러 1.04 (-0.22%)
-달러/엔 151.47 (-0.39%)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70% (-3.8bp)
-10년물 4.534% (-1.7bp)
-30년물 4.767% (+0.0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30% (-1.1bp)
-10년물 2.873% (-0.5bp)

◆ 상품시장
-WTI (bbl) $ 72.25 (+0.56%)
-금 (t oz) $ 2,919.40 (-0.42%)
-구리 (lb) $ 4.56 (-0.6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09.02.202522:55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2.10 모닝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계획 발표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속 전업종 약세

- WTI, 이란산 원유 수출 제재 여파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5.2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견조한 고용시장 및 미시간대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확인하며 전 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1.5bp 축소된 20.6bp
==================
◆ 미국 증시
-DOW 44,303.40p (-0.99%)
-NASDAQ 19,523.40p (-1.36%)
-S&P500 6,025.99p (-0.95%)
-Russell 2000 2,279.71p (-1.19%)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UBER TECHNOLOGIES INC (+6.59%)
-PALO ALTO NETWORKS INC (+3.51%)
-ARISTA NETWORKS INC (+2.78%)

Top Losers 3
-NIKE              (-4.27%)
-AMAZON COM        (-4.05%)
-TESLA            (-3.39%)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4.05%)
-테슬라 (-3.39%)
-코카콜라 (+0.76%)
-NVIDIA (+0.90%)
-Apple (-2.40%)
-Ford (-0.22%)
-Microsoft (-1.46%)
-메타 플랫폼스 (+0.36%)
-유니티 소프트웨어 (-0.71%)
-ASML Holding (-1.55%)
-AT&T (+0.37%)
-로블록스 (-1.25%)
-Airbnb (+1.82%)
-디즈니 (-1.10%)
-리얼티 인컴 (-0.31%)
-화이자 (-0.35%)
-머크 (-0.87%)
-길리어드 (-2.04%)
-IBM (-0.43%)
-에스티로더 (+1.20%)
-사이먼 프라퍼티 (-0.13%)
-보스턴 프라퍼티 (+0.48%)
-구글 c (-3.19%)
-Star Bulk (-0.19%)
-Waste Management (-0.00%)

◆ 디지털자산
- BITCOIN $95,224.76 (-1.38%)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04 (+0.33%)
-유로/달러 1.03 (-0.53%)
-달러/엔 151.41 (+0.0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90% (+7.6bp)
-10년물 4.496% (+6.1bp)
-30년물 4.694% (+5.5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35% (+5.3bp)
-10년물 2.836% (+4.0bp)

◆ 상품시장
-WTI (bbl) $71.00 (+0.55%)
-금 (t oz) $2,867.30 (+0.40%)
-구리 (lb) $4.59 (+2.8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03.02.202523:32
[신영증권 박소연] 시장 대응전략 및 전망

간단하게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투자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

1. 시장 : 각국 정치적 교착 상태라 효율적 대응 어려워, 3월 말부터 1차 안정화 가능성

-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온건할 것이라는 가정이 부러지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중

- 이를 더욱 키운 것은 캐나다의 즉각적인 25% 보복 관세 부과. 중국과 멕시코는 즉각적으로 반격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고려 중이라고 답변

- EU 관세 부과까지 예정되어 있어 1~2개월은 '경기둔화' 시나리오를 충분히 반영하는 과정 전개될 것 : 채권금리 하락, 주식시장 조정, 달러 강세 등

- 상반기 중 마라라고 합의를 기대 : 트럼프는 통상 '협박 후 협상한다'는 전술을 사용. 따라서 앞으로 언제쯤 어떤 방식의 합의가 나올지가 중요

- 문제는 즉각적으로 보복관세를 발표한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의 경우 이미 사임한 상태이며 내부적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잃었다는 것. 즉각적 보복관세 발표는 17%에 불과한 자유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처절한 정치적 제스처였을 가능성

- 캐나다 의회는 자유당이 새 대표직을 선출할 때까지 3월 24일까지 정회. 따라서 지금 당장은 협상의 주체가 없는 상태이며 새 총리가 정해져야 트럼프와 협상 가능. 관세 정책 대응이 새로운 지도부의 지지율과도 연관이 있는만큼 전향적 협상 결과를 기대

- 중국도 3월 초 양회가 마무리되어야 모종의 협상이 가능. 독일 역시 2월에 총선이 있어 당장 정치권에서 실효적 대응이 나오기 어려움. 선거 후 실질적 협상 시작될 때까지 시간 필요

2. 업종 대응 및 전략 : 탈중국 수혜주가 더 이상 기능하기 어려운 이유, 배당주/내수주/중국 수혜주 선호

- 트럼프 1기는 중국이 공격 대상이었으나 이후 제 3국 우회 수출이 증가하며 미국 무역적자는 되려 더 증가

- 따라서 트럼프 2기에는 우회 수출로를 틀어막기 위해 캐나다/멕시코 등 중국 이외 국가를 겨냥한 보편관세를 핵심정책으로 가져가고 있음

- 이는 지난 4~5년간 유효한 PLAY였던 탈중국 수혜주, 공급망 재구축 수혜주의 컨셉이 더 이상은 기능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함. 이차전지/반도체/의류OEM/바이오 등 다양한 한국기업들이 탈중국 수혜를 입었지만 이번 국면은 한국 수출에 전반적 피해 예상. 딥시크 여파까지 겹쳐 반도체 CAPEX에도 영향이 있을 것

- 따라서 의미있는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는 배당주/내수주 등 경기중립적 스타일 플레이가 필요. 한편 상대적으로 내수 부양 여력이 큰 중국 수혜주들은 아웃퍼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관세/수출 악영향을 피하려면 충분한 내수 부양 정책이 발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
02.02.202522:38
(아래) 트럼프 "관세부과, 고통 있을수도…그럴 만한 가치는 있어"

위는 트럼프가 Truth social에 올린 메세지 전문입니다.

관세 부과에 따른 고통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쓰고 있네요. 단기적으로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긴 하는거네요.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1664
18.02.202522:53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2.19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채권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소재 중심 강세 및 커뮤니케이션/경기소비재 중심 약세

- WTI, 우크라이나 드론의 러시아 송유관 타격 소식에 공급 차질 우려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4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와 윌러 이사가 금리 인하 신중론을 밝힌 가운데 회사채 발행 물량이 수급 압박으로 작용하며 전구간 상승 마감. 커브 베어-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2.7bp 확대된 24.3bp

==================

◆ 미국 증시
-DOW 44,556.34p (+0.02%)
-NASDAQ 20,041.26p (+0.07%)
-S&P500 6,129.58p (+0.24%)
-Russell 2000 2,290.35p (+0.45%)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INTEL              (+16.06%)
-WALGREEN BOOTS ALLIANCE (+14.02%)
-MICRON TECHNOLOGY INC (+7.31%)

Top Losers 3
-MEDTRONIC PLC        (-7.26%)
-UNITEDHEALTH GROUP     (-4.35%)
-T-MOBILE US INC (-2.81%)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89%)
-테슬라 (-0.49%)
-코카콜라 (+0.26%)
-NVIDIA (+0.40%)
-Apple (-0.05%)
-Ford (-2.00%)
-Microsoft (+0.30%)
-메타 플랫폼스 (-2.76%)
-유니티 소프트웨어 (+1.44%)
-ASML Holding (-0.98%)
-AT&T (+0.77%)
-로블록스 (-0.97%)
-Airbnb (-0.51%)
-디즈니 (-0.74%)
-리얼티 인컴 (+1.36%)
-화이자 (+0.12%)
-머크 (+0.34%)
-길리어드 (+1.12%)
-IBM (+0.69%)
-에스티로더 (+5.10%)
-사이먼 프라퍼티 (+0.53%)
-보스턴 프라퍼티 (+0.41%)
-구글 c (-0.57%)
-Star Bulk (+1.80%)
-Waste Management (+0.27%)

◆ 디지털자산
- BITCOIN $95,008.45 (-1.46%)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7.03 (+0.43%)
-유로/달러 1.04 (-0.36%)
-달러/엔 152.06 (+0.36%)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308% (+4.7bp)
-10년물 4.551% (+7.4bp)
-30년물 4.767% (+6.9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41% (+1.8bp)
-10년물 2.878% (+0.9bp)

◆ 상품시장
-WTI (bbl) $71.85 (+1.57%)
-금 (t oz) $2,931.60 (+1.66%)
-구리 (lb) $4.59 (-1.58%)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10.02.202522:44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5.02.11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 마감.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알루미늄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종목별 차별화 진행되며 금융/헬스케어 제외 전업종 강세

- WTI, 러시아 원유 생산량 목표치 하회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49.8원 호가

- 미 국채금리,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기대 인플레이션 발표 이후 중장기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스티프닝. 10y2y 금리차는 1.5bp 확대된 22.16bp

==================

◆ 미국 증시
-DOW 44,470.41p (+0.38%)
-NASDAQ 19,714.27p (+0.98%)
-S&P500 6,066.44p (+0.67%)
-Russell 2000 2,287.94p (+0.36%)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UBER TECHNOLOGIES INC (+5.40%)
-PALANTIR TECHNOLOGIES INC-A (+5.23%)
-MCDONALDS          (+4.80%)

Top Losers 3
-THERMO FISHER SCIENTIFIC   (-3.26%)
-TESLA            (-3.01%)
-SCHWAB (CHARLES) CORP (-2.42%)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74%)
-테슬라 (-3.01%)
-코카콜라 (+1.11%)
-NVIDIA (+2.87%)
-Apple (+0.01%)
-Ford (+0.00%)
-Microsoft (+0.60%)
-메타 플랫폼스 (+0.40%)
-유니티 소프트웨어 (-3.04%)
-ASML Holding (+2.25%)
-AT&T (+1.30%)
-로블록스 (-1.86%)
-Airbnb (+0.19%)
-디즈니 (-1.43%)
-리얼티 인컴 (-0.30%)
-화이자 (+0.51%)
-머크 (-1.01%)
-길리어드 (-0.58%)
-IBM (-1.22%)
-에스티로더 (+5.66%)
-사이먼 프라퍼티 (+0.34%)
-보스턴 프라퍼티 (-2.23%)
-구글 c (+0.57%)
-Star Bulk (+1.82%)
-Waste Management (+0.52%)

◆ 디지털자산
- BITCOIN $97,403.00 (+2.2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32 (+0.25%)
-유로/달러 1.03 (-0.20%)
-달러/엔 152.00 (+0.39%)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77% (-1.3bp)
-10년물 4.498% (+0.2bp)
-30년물 4.708% (+1.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638% (+0.3bp)
-10년물 2.830% (-0.6bp)

◆ 상품시장
-WTI (bbl) $72.32 (+1.86%)
-금 (t oz) $2,914.30 (+1.64%)
-구리 (lb) $4.71 (+2.57%)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이상연 연구원
02-2004-9045
08.02.202501:00
(아래) 검찰, ‘1·2심 무죄’ 이재용 회장 대법원에 상고

다만 대법원 재판은 피고인 출석 없이 서류로 진행되는 법률심으로, 이 회장이 직접 재판장에 갈 필요는 없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지난 연말 1심 6개월, 2심 3개월, 3심 3개월 원칙을 강조한 만큼 올해 안에 재판이 마무리될 가능성도 있다.

https://www.inews24.com/view/1811441
04.02.202522:42
(아래) 트럼프가 펜타닐에 집착하는 이유

미국은 왜 마약 확산 차단을 위해 관세 카드를 꺼내든 것일까.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원장은 “트럼프 정부가 펜타닐에 집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에서 유입되는 펜타닐로 인해 트럼프의 가장 큰 지지층인 미국 노동자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미국은 펜타닐의 최대 원료 수출국이 중국이고, 이 원료를 밀반입해 펜타닐로 만들어 미국으로 넘기는 제조 기지의 상당수가 멕시코와 캐나다에 있다고 보고 있다.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5/02/05/UWBH26Z6L5CABIVFXZPJDQWX3A/
03.02.202522:32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2.4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하락마감. 트럼프 대통령 멕시코 관세 정책 유예했으나 위험 회피 심리 지속되며 기술/경기소비재/소재 관련주 중심 약세

- WTI, OPEC+ 기존 감산 정책 고수 합의 속 상승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3.75원 호가

- 미 국채금리, 관세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속 중단기구간 중심 상승 마감. 커브 베어-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3.5bp 축소된 30.7bp

==================

◆ 미국 증시
-DOW 44,421.91p (-0.28%)
-NASDAQ 19,391.96p (-1.20%)
-S&P500 5,994.57p (-0.76%)
-Russell 2000 2,258.42p (-1.28%)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ABBVIE             (+3.39%)
-COSTCO WHOLESALE      (+2.65%)
-T-MOBILE US INC (+2.20%)

Top Losers 3
-FEDEX CORP         (-6.62%)
-BLACKROCK          (-5.74%)
-TESLA            (-5.17%)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0.11%)
-테슬라 (-5.17%)
-코카콜라 (-0.20%)
-NVIDIA (-2.84%)
-Apple (-3.39%)
-Ford (-1.88%)
-Microsoft (-1.00%)
-메타 플랫폼스 (+1.20%)
-유니티 소프트웨어 (-3.65%)
-ASML Holding (-1.12%)
-AT&T (+2.19%)
-로블록스 (-0.55%)
-Airbnb (-1.06%)
-디즈니 (+0.83%)
-리얼티 인컴 (-0.27%)
-화이자 (-1.21%)
-머크 (+0.98%)
-길리어드 (+1.21%)
-IBM (+1.97%)
-에스티로더 (-0.79%)
-사이먼 프라퍼티 (-0.26%)
-보스턴 프라퍼티 (-2.00%)
-구글 c (-1.44%)
-Star Bulk (-1.30%)
-Waste Management (+1.57%)

◆ 디지털자산
- BITCOIN $101,934.79 (+5.09%)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47 (+0.09%)
-유로/달러 1.03 (-0.17%)
-달러/엔 154.73 (-0.30%)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50% (+5.1bp)
-10년물 4.557% (+1.6bp)
-30년물 4.792% (+0.4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72% (-0.1bp)
-10년물 2.835% (-2.4bp)

◆ 상품시장
-WTI (bbl) $73.16 (+0.87%)
-금 (t oz) $2,857.10 (+0.78%)
-구리 (lb) $4.31 (+0.62%)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UBS: 중국 2차 민영경제 좌담회-기술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민영경제 및 기술 산업의 중요성 확인
2025년 2월 17일, 중국 정부는 이례적인 민영경제 좌담회를 개최했으며, 이는 2018년 이후 시진핑 주석이 직접 주재한 첫 회의임. 회의에는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화웨이, 메이투안, CATL 등 주요 기술 기업 대표들이 참석하여 정부의 민영 부문 지원 의지를 확인함. 시진핑 주석은 고품질 성장, 혁신 개발, 현대 산업 시스템 구축을 강조하며 민영경제 및 기술 산업의 역할을 공식 인정함.

기술 업종 규제 종료 및 투자 심리 회복 기대

2020년 이후 반독점 규제, 온라인 게임 및 사교육 규제 등으로 기술 업종이 지속적인 디레이팅을 경험함. 이번 좌담회는 기술 업종 규제 완화 및 정부 지원 확대 신호로 해석되며, 업종 전반의 불확실성 해소 및 투자 심리 회복 가능성을 시사함. 이에 따라 1월 저점 대비 25% 이상 반등한 기술 업종의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거시 경제 정책이 핵심 동력이 될 전망.

과거 사례와 비교: 2018년 좌담회 이후 기술주 30% 상승
2018년 좌담회 이후, 텐센트·알리바바 등 기술주가 5개월 동안 약 30% 상승함. 당시 정부는 감세, 금융 지원, 공정 경쟁 환경 조성 등을 약속하며 민영경제 지원을 강화함. 이번 회의 역시 유사한 정책 기조를 시사하며, 기술 업종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

정책 기조 변화: 협력 중심으로 전환
2024년 9월 정치국 회의 이후, 중국 정부는 민영경제 및 기술 산업 육성을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강조함. 이번 회의는 규제 강화보다는 공정 경쟁과 협력을 기반으로 기술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려는 방향을 반영. 따라서 내수 시장 확대, 혁신 기업 육성, 소비 구조 다변화 등의 정책이 기술 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10.02.202501:32
(위) 미국 주식시장 일드갭 논란 가열 : 채권 vs. 주식

연초부터 미국 주식시장의 Yield Gap 논란이 가열차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미국 Treasury 10년물 금리가 4.5%인데 굳이 주식을 할 필요가 있냐는건데요.

S&P500의 PER이 22배 정도이니 Earnings Yield (PER의 역수)는 현재 4.5% 정도입니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랑 똑같은거죠.

관세전쟁이 격화되면 경기는 둔화되고 금리는 더 떨어질테니, 현 시점에서 채권 매력이 더 높아보이는건 당연지사입니다.

실제로 S&P500 기준으로 미국 주식시장 일드갭은 "마이너스"로 전환한 상태입니다. 미국은 채권금리가 주식 기대수익률보다 더 높다는 뜻입니다.
도이치뱅크: 미-중 무역전쟁의 본질적인 차이

- 현재 시장의 핵심 이슈는 무역임. 일부에서는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와의 협상 성공 사례를 중국과의 무역전쟁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보지만, 미중 갈등은 근본적으로 다름.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는 단순한 무역 불균형 해소가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경제 구조 개편에 있음.

- 현재 미국은 글로벌 소비의 29%를 차지하지만, 전 세계 생산 비중은 15%에 불과함. 반면 중국은 세계 제조업의 32%를 담당하지만, 소비 비중은 12%에 그침. 이를 단순화하면, 중국은 1조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반면, 미국은 이에 상응하는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 이러한 불균형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경제는 소비 중심으로 전환되기보다는 첨단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방 국가들의 긴장감이 커지는 상황임. 특히, 중국이 첨단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지난 30년간 미국과 동맹국들의 제조업 점유율이 급감한 것이 문제로 지적됨. 이에 따라 미국의 대응이 늦어졌다는 우려도 존재함.

- 단순히 저렴한 제품을 공급받는 것이 미국에 유리했던 시기는 끝났음. 이제 미국은 생산 공급망과 기술력의 주도권을 경쟁국에 넘겨주면서 경제적 안보를 위협받는 상황임.

- 트럼프가 "MAKE YOUR PRODUCT IN THE USA AND THERE ARE NO TARIFFS”라고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음. 미중 무역전쟁은 단순한 관세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인 경제 패권을 둘러싼 장기적인 싸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 결국, 기존의 캐나다·멕시코와의 갈등과 달리, 미중 무역전쟁은 글로벌 경제 구조 자체를 재편할 가능성이 크며, 단기적인 협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님.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04.02.202522:39
[신영증권 자산전략팀] 2025.2.5 모닝 브리프

- 뉴욕증시 3대지수 상승마감. 미중 상호 관세 부과에도 협상 기대 이어지며 기업별 실적 차별화 속 에너지/기술/경기소비재 중심 강세

- WTI, 미중 관세전쟁으로 수요 감소 우려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452.00원 호가

- 미 국채금리, 12월 JolTs 구인 건수 예상치 하회 속 전구간 하락 마감. 커브 불-플래트닝. 10y2y 금리차는 0.9bp 축소된 29.8bp

==================

◆ 미국 증시
-DOW 44,556.04p (+0.30%)
-NASDAQ 19,654.02p (+1.35%)
-S&P500 6,037.88p (+0.72%)
-Russell 2000 2,290.21p (+1.41%)

◆ 미국 주요 종목
Top Gainers 3
-PALANTIR TECHNOLOGIES INC-A (+23.99%)
-ADVANCED MICRO DEVICES (+4.58%)
-UBER TECHNOLOGIES INC (+3.66%)

Top Losers 3
-PAYPAL HOLDINGS        (-13.17%)
-MERCK & CO         (-9.07%)
-KKR & CO INC (-8.53%)

기타 주요 종목
-아마존 (+1.95%)
-테슬라 (+2.22%)
-코카콜라 (-1.07%)
-NVIDIA (+1.71%)
-Apple (+2.10%)
-Ford (+2.73%)
-Microsoft (+0.35%)
-메타 플랫폼스 (+0.96%)
-유니티 소프트웨어 (+0.37%)
-ASML Holding (+0.05%)
-AT&T (+0.00%)
-로블록스 (+4.40%)
-Airbnb (+0.74%)
-디즈니 (-0.61%)
-리얼티 인컴 (-0.84%)
-화이자 (-1.26%)
-머크 (-9.07%)
-길리어드 (-0.40%)
-IBM (+1.43%)
-에스티로더 (-16.07%)
-사이먼 프라퍼티 (-0.03%)
-보스턴 프라퍼티 (+0.82%)
-구글 c (+2.50%)
-Star Bulk (+3.49%)
-Waste Management (-0.71%)

◆ 디지털자산
- BITCOIN $96,530.36 (-5.30%)

◆ 외환시장
-달러인덱스 108.01 (-0.90%)
-유로/달러 1.04 (+0.34%)
-달러/엔 154.34 (-0.25%)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215% (-3.5bp)
-10년물 4.513% (-4.4bp)
-30년물 4.747% (-4.5bp)

◆ 한국 국고채시장
-3년물 2.584% (+1.2bp)
-10년물 2.844% (+0.9bp)

◆ 상품시장
-WTI (bbl) $72.70 (-0.63%)
-금 (t oz) $2,853.30 (+0.68%)
-구리 (lb) $4.35 (+1.11%)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기태의 연구원
02-2004-9090
03.02.202507:31
(아래) 이재용 2심도 무죄, 8년 사법리스크 사실상 일단락…‘부당합병’ ‘분식회계’ 무죄

부당합병·분식회계 혐의로 기소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2심에서도 무죄가 선고됐다. 8년간 재판정을 드나들었던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일단락 수순에 접어들며 ‘뉴삼성 전략’에도 본격 시동이 걸릴 전망이다.

https://naver.me/FJburzP9
02.02.202512:40
[신영증권 박소연] 2월 첫째주 증시전망

설마 설마 했지만 예고대로 되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2월 4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중국산 수입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키로 했고 캐나다는 즉각 25%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멕시코와 중국은 아직 구체적인 안은 안나왔지만 WTO 제소 및 보복 관세 검토를 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가뜩이나 경제 전망이 어두운데 이런 식의 전개는 안전자산 선호현상을 더 부추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딥시크 여파로 반도체 업종도 타격을 받은터라 지수에 대한 눈높이는 낮춰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대신, 2월과 3월은 배당 및 주주총회 시즌인만큼 배당주/가치주가 좋은 대안으로 보이며 저비용 AI 수혜가 기대되는 소프트웨어 등은 선별 수혜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

▲ 전주 동향 : KOSPI 설 연휴 직후 딥시크 여파로 하락 마감. 외국인 투자자 반도체 중심으로 금요일 하루 1.1조원 매도. 원/달러 환율 22원 급등한 1,453원

▲ 업종/종목 : 딥시크 등 저비용 AI 수혜 기대로 카카오(+7.3%), NAVER(+6.1%), 크래프톤(+6.1%) 강세. 밸류업 공시한 삼성화재(+11.7%) 필두로 삼성생명(+9.7%), 삼성물산(+4.3%), 삼성전기(+4.7%) 등 삼성 계열사 상승

▲ 주말 해외동향 : 미국증시 3대 지수 하락.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부과 현실화로 투자심리 악화. NVIDIA(-3.7%), AMD(-2.5%) 등 반도체와 Constellation Energy(-2.8%), Vistra(-4.7%) 등 원전주 약세 지속

- 캐나다, 트럼프 2기 행정부 25% 관세 부과에 보복관세로 맞불. 멕시코와 중국도 추가 조치 천명. 비트코인 10만달러 하회 등 안전자산 선호 심리 반영

▲ 종합판단 : 트럼프 취임 보편관세 시행 여파로 경기둔화 우려 및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배당주와 가치주는 3월 주주총회와 배당기산일 앞두고 아웃퍼폼. 중국은 경기부양으로 하방경직 기대

- 금주 실적 발표 : 4일(화) 알파벳, AMD, 페이팔, 머크, 화이자 / 5일(수) 월트디즈니, 포드 / 5일(목), 아마존 등
Shown 1 - 24 of 289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