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5.202504:13
#녹십자웰빙
IR 전화를 안 받는데, 태반주사인 '라이넥'이 주력인 회사입니다.
작년 중국 하이난성에서 '라이넥' 판매 일부 승인을 받았는데, 수출 시장 개화 기대감도 있습니다.
추가로 IR과 통화되면 정리 후 공유드리겠습니다.
IR 전화를 안 받는데, 태반주사인 '라이넥'이 주력인 회사입니다.
작년 중국 하이난성에서 '라이넥' 판매 일부 승인을 받았는데, 수출 시장 개화 기대감도 있습니다.
추가로 IR과 통화되면 정리 후 공유드리겠습니다.
01.05.202522:30
https://m.nocutnews.co.kr/news/6333728?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502060529
CCTV는 이어 이번 공연은 약 3만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공연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충칭, 청두 등 6개 중국 대도시라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한국 공연기획사 측에 한국 연예인 출연협상 및 계약 준비, 공연 콘텐츠 기획·연출 및 운영에 관한 CCTV와의 실무 협력, 해당 프로젝트의 홍보·방송권 및 파생사업 논의 참여자격 등의 권한을 부여했다.
해당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중국 노동절 연휴 첫날에 갑작스레 CCTV 관계자로부터 연락이와 K팝 아이돌 그룹 공연 제의가 왔다"면서 "공식 문서를 요구하자 3시간만에 수권서(권한위임 서류)가 왔다"고 설명했다.
CCTV 관계자는 1차적으로 해당 공연 출연을 원하는 K팝 남성 아이돌 그룹 명단도 제시했는데 BTS,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트레저, 엑소 등 국내 정상급 10여개 그룹이 포함됐다.
CCTV는 이어 이번 공연은 약 3만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관에서 개최될 예정이라며, 공연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충칭, 청두 등 6개 중국 대도시라고 명시했다.
그러면서 한국 공연기획사 측에 한국 연예인 출연협상 및 계약 준비, 공연 콘텐츠 기획·연출 및 운영에 관한 CCTV와의 실무 협력, 해당 프로젝트의 홍보·방송권 및 파생사업 논의 참여자격 등의 권한을 부여했다.
해당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중국 노동절 연휴 첫날에 갑작스레 CCTV 관계자로부터 연락이와 K팝 아이돌 그룹 공연 제의가 왔다"면서 "공식 문서를 요구하자 3시간만에 수권서(권한위임 서류)가 왔다"고 설명했다.
CCTV 관계자는 1차적으로 해당 공연 출연을 원하는 K팝 남성 아이돌 그룹 명단도 제시했는데 BTS, 세븐틴, 스트레이키즈, 트레저, 엑소 등 국내 정상급 10여개 그룹이 포함됐다.
Reposted from: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01.05.202504:52
[ Microsoft (MSFT) FY25 Q3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 후 5% 넘게 상승 ]
📈 실적 요약 (YoY)
- 매출: $701억 (+13%, 환율영향 제외 시 +15%, 컨센서스를 16.2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320억 (+16%, 환율영향 제외 시 +19%)
- 순이익: $258억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 희석 EPS: $3.46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컨센서스를 0.24달러 상회)
☁️ 클라우드 실적
- Microsoft Cloud 매출: $424억 (+20%, 환율영향 제외 시 +22%)
- 클라우드 강세 지속, Azure와 AI 중심 성장
🔹 부문별 매출 상세 (YoY)
1️⃣ Productivity and Business Processes ($299억, +10%)
- Microsoft 365 Commercial: +11% (클라우드 +12%)
- Microsoft 365 Consumer: +10% (클라우드 +10%)
- LinkedIn: +7%
- Dynamics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11%
- Dynamics 365: +16%
2️⃣ Intelligent Cloud ($268억, +21%)
- 서버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22%
-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33%
3️⃣ More Personal Computing ($134억, +6%)
- Windows OEM 및 장치: +3%
-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8%
- 검색 및 뉴스 광고 매출 (트래픽 획득 비용 제외): +21%
💰 주주환원
- 배당 및 자사주 매입으로 총 $97억 주주환원 실시
📊 재무 상태표 주요 지표
- 총 자산: $5626억 (전년말 $5122억 대비 증가)
- 현금 및 단기투자자산: $796억
📌 기타 하이라이트
-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강력한 성장 지속
- Azure 매출 33% 증가, 지속적 성장 동력 유지
-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중
- 환율 영향이 없었다면 모든 주요 지표 더 높은 성장률 기록
🔍 향후 전망
- 상세한 포워드 가이던스는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공 예정
📢 CEO 코멘트 (Satya Nadella)
- “클라우드와 AI는 모든 비즈니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객의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성장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로 혁신을 이어갈 것.”
📌 CFO 코멘트 (Amy Hood)
- “차별화된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수요 덕분에 강력한 실적을 달성했다. Microsoft Cloud는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출시/강화
- 지속적 R&D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AI 중심 제품과 서비스 강화 지속 중
소결론
- 컨콜에서 가이던스를 얼마나 주는지 봐야하지만
- 최근 OpenAI 와의 관계가 멀어지고 있고 매크로 우려 속에 클라우드 컨센서스가 지속 하향되었음에도 긍정적인 수치가 나온 점이 인상적
- 마이크로소프트의 호실적 발표로 비메모리 기업들도 장후 시장에서 일제히 반등중
📈 실적 요약 (YoY)
- 매출: $701억 (+13%, 환율영향 제외 시 +15%, 컨센서스를 16.2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320억 (+16%, 환율영향 제외 시 +19%)
- 순이익: $258억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 희석 EPS: $3.46 (+18%, 환율영향 제외 시 +19%, 컨센서스를 0.24달러 상회)
☁️ 클라우드 실적
- Microsoft Cloud 매출: $424억 (+20%, 환율영향 제외 시 +22%)
- 클라우드 강세 지속, Azure와 AI 중심 성장
🔹 부문별 매출 상세 (YoY)
1️⃣ Productivity and Business Processes ($299억, +10%)
- Microsoft 365 Commercial: +11% (클라우드 +12%)
- Microsoft 365 Consumer: +10% (클라우드 +10%)
- LinkedIn: +7%
- Dynamics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11%
- Dynamics 365: +16%
2️⃣ Intelligent Cloud ($268억, +21%)
- 서버 제품 및 클라우드 서비스: +22%
- Azure 및 기타 클라우드 서비스: +33%
3️⃣ More Personal Computing ($134억, +6%)
- Windows OEM 및 장치: +3%
- Xbox 콘텐츠 및 서비스: +8%
- 검색 및 뉴스 광고 매출 (트래픽 획득 비용 제외): +21%
💰 주주환원
- 배당 및 자사주 매입으로 총 $97억 주주환원 실시
📊 재무 상태표 주요 지표
- 총 자산: $5626억 (전년말 $5122억 대비 증가)
- 현금 및 단기투자자산: $796억
📌 기타 하이라이트
-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강력한 성장 지속
- Azure 매출 33% 증가, 지속적 성장 동력 유지
-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 중
- 환율 영향이 없었다면 모든 주요 지표 더 높은 성장률 기록
🔍 향후 전망
- 상세한 포워드 가이던스는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공 예정
📢 CEO 코멘트 (Satya Nadella)
- “클라우드와 AI는 모든 비즈니스의 필수 요소이며, 고객의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성장을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로 혁신을 이어갈 것.”
📌 CFO 코멘트 (Amy Hood)
- “차별화된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수요 덕분에 강력한 실적을 달성했다. Microsoft Cloud는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출시/강화
- 지속적 R&D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AI 중심 제품과 서비스 강화 지속 중
소결론
- 컨콜에서 가이던스를 얼마나 주는지 봐야하지만
- 최근 OpenAI 와의 관계가 멀어지고 있고 매크로 우려 속에 클라우드 컨센서스가 지속 하향되었음에도 긍정적인 수치가 나온 점이 인상적
- 마이크로소프트의 호실적 발표로 비메모리 기업들도 장후 시장에서 일제히 반등중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30.04.202506:55
2025.04.30 15:42:22
기업명: 두산(시가총액: 5조 15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2,987억(예상치 : 44,112억/ -3%)
영업익 : 1,985억(예상치 : 3,491억/ -43%)
순이익 : 236억(예상치 : 2,367억/ -9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2,987억/ 1,985억/ 236억
2024.4Q 51,998억/ 2,089억/ -451억
2024.3Q 38,785억/ 1,102억/ -949억
2024.2Q 45,922억/ 3,367억/ 2,163억
2024.1Q 44,623억/ 3,479억/ 2,25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150
기업명: 두산(시가총액: 5조 15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2,987억(예상치 : 44,112억/ -3%)
영업익 : 1,985억(예상치 : 3,491억/ -43%)
순이익 : 236억(예상치 : 2,367억/ -9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2,987억/ 1,985억/ 236억
2024.4Q 51,998억/ 2,089억/ -451억
2024.3Q 38,785억/ 1,102억/ -949억
2024.2Q 45,922억/ 3,367억/ 2,163억
2024.1Q 44,623억/ 3,479억/ 2,25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2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150
30.04.202502:48
METSERA, 디앤디파마텍
화이자 CEO는 앞으로 GIPR 길항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파트너십이나 인수를 포함한 외부 기회를 모색하여
비만 분야를 포함한 심장대사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언급
이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볼라는 경구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 부진 이후 회사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올해 총 $15B 규모의 2~3건의 인수 계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저분자화합물로 실패했고..경쟁사인 저분자로 릴리는 성공했고..
저분자는 GLP-1만되고..다중작용제는 안되고
ADC 씨젠 42조원에 인수한거보면
Metsera 싸지않나요?
아무런 힌트없지만 현재 상황에서
바이킹테라퓨틱스, 멧세라가 2그룹권에서는
가장 앞서는 후발주자입니다
디앤디파마텍 관심가지세요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9/pfizer-pfe-slashes-spending-on-weaker-revenue-after-obesity-failure
화이자 CEO는 앞으로 GIPR 길항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파트너십이나 인수를 포함한 외부 기회를 모색하여
비만 분야를 포함한 심장대사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언급
이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볼라는 경구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 부진 이후 회사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올해 총 $15B 규모의 2~3건의 인수 계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저분자화합물로 실패했고..경쟁사인 저분자로 릴리는 성공했고..
저분자는 GLP-1만되고..다중작용제는 안되고
ADC 씨젠 42조원에 인수한거보면
Metsera 싸지않나요?
아무런 힌트없지만 현재 상황에서
바이킹테라퓨틱스, 멧세라가 2그룹권에서는
가장 앞서는 후발주자입니다
디앤디파마텍 관심가지세요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9/pfizer-pfe-slashes-spending-on-weaker-revenue-after-obesity-failure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9.04.202523:12
2025.04.30 07:36:52
기업명: 아모레퍼시픽(시가총액: 7조 2,00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75억(예상치 : 10,226억+/ 4%)
영업익 : 1,177억(예상치 : 985억/ +19%)
순이익 : 1,108억(예상치 : 811억+/ 37%)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75억/ 1,177억/ 1,108억
2024.4Q 10,917억/ 785억/ -462억
2024.3Q 9,772억/ 652억/ 372억
2024.2Q 9,048억/ 42억/ 5,306억
2024.1Q 9,115억/ 727억/ 80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0430
기업명: 아모레퍼시픽(시가총액: 7조 2,00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75억(예상치 : 10,226억+/ 4%)
영업익 : 1,177억(예상치 : 985억/ +19%)
순이익 : 1,108억(예상치 : 811억+/ 37%)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75억/ 1,177억/ 1,108억
2024.4Q 10,917억/ 785억/ -462억
2024.3Q 9,772억/ 652억/ 372억
2024.2Q 9,048억/ 42억/ 5,306억
2024.1Q 9,115억/ 727억/ 80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0430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02.05.202500:42
📌 녹십자웰빙(시가총액: 1,390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30 16:54:41 (현재가 : 7,830원, 0%)
매출액 : 348억(예상치 : -)
영업익 : 50억(예상치 : -)
순이익 : 61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348억/ 50억/ 61억
2024.4Q 351억/ 23억/ 6억/ -48%
2024.3Q 330억/ 39억/ 23억/ -22%
2024.2Q 326억/ 40억/ 29억/ +12%
2024.1Q 330억/ 27억/ 1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97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469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30 16:54:41 (현재가 : 7,830원, 0%)
매출액 : 348억(예상치 : -)
영업익 : 50억(예상치 : -)
순이익 : 61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348억/ 50억/ 61억
2024.4Q 351억/ 23억/ 6억/ -48%
2024.3Q 330억/ 39억/ 23억/ -22%
2024.2Q 326억/ 40억/ 29억/ +12%
2024.1Q 330억/ 27억/ 12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97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34690
Reposted from:
Donald J. Trump 🇺🇸

01.05.202521:30
🗽👀 #TRUMP J. Trump NVIDIA CEO Jensen Huang: "We're going to build NVIDIA's technology, the next generation of that, all here in the United States. Without the President's leadership, his policies, his support, and very importantly his strong encouragement — manufacturing in the United States wouldn't have accelerated to this pace." truthsocial.com
Reposted from: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01.05.202504:52
[ Meta (META) FY25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 CAPEX 상향 ]
📈 실적 요약 (YoY)
- 매출: $423.1억 (+16%, 환율영향 제외 +19%, 컨센서스를 0.95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175.6억 (+27%)
- 순이익: $166.4억 (+35%)
- 희석 EPS: $6.43 (+37%, 컨센서스를 1.21 달러 상회)
📊 주요 운영 지표
- 일일활성 사용자(DAP): 34.3억명 (+6%)
- 광고 노출(impressions): +5%
- 평균 광고 단가: +10%
🔸 부문별 매출
- Family of Apps(광고 중심): $419억 (+16%)
- Reality Labs(메타버스 및 AR/VR): $4.12억 (-6%)
💰 비용 및 투자
- 총 비용 및 지출: $247.6억 (+9%)
- 자본지출(CapEx): $136.9억
-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중심 투자 증가 중
💵 현금 흐름
- 영업현금흐름: $240.3억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103.3억
💳 자본 환원 (주주환원)
- 자사주 매입: $134억
- 배당금 지급: $13.3억
👥 직원 수
- 76,834명 (+11%)
📌 CFO 전망 코멘트
- 2025년 2분기 예상 매출: $425억~$455억
(현재 환율 기준, 환율은 매출성장률에 약 +1% 긍정적 영향 예상)
- 2025년 연간 비용 예상: $1130억~$1180억 (기존 전망보다 하향)
- 2025년 연간 자본지출: $640억~$720억 (기존 전망보다 상향 조정;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때문)
- 2025년 예상 세율: 12~15%
⚠️ 리스크 요인
- EU 디지털시장법(DMA) 관련 규제 이슈로 유럽의 무광고 구독모델에 제재,
- 2025년 3분기부터 유럽지역 사용자 경험 및 매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 가능성 존재.
🔹 CEO 코멘트 (Mark Zuckerberg)
- “중요한 한 해의 시작을 강하게 열었다. 커뮤니티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AI 안경과 Meta AI는 이제 월간 활성 사용자 약 10억 명에 도달했다.”
🌐 사업 방향 및 주요 이슈
- AI 기반 기술 투자 강화 (특히 AI 데이터센터 및 Reality Labs)
- Reality Labs 지속적 손실 확대 (영업손실: $42억 vs 전년 $38억)
소결론
- Meta 가 매크로 우려와 중국 이커머스 향 광고 매출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깜짝 실적 서프라이즈를 발표
- 이번 호실적의 원인을 컨콜에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
- 그에 더해 전체 비용 가이던스는 하향했지만 2025년 연간 CAPEX를 상향한 점이 긍정적
- 장후 시장에서 엔비디아 2%, ARM 3.6%, TSMC 2.7%, 브로드컴 2.7% 상승중
📈 실적 요약 (YoY)
- 매출: $423.1억 (+16%, 환율영향 제외 +19%, 컨센서스를 0.95억 달러 상회)
- 영업이익: $175.6억 (+27%)
- 순이익: $166.4억 (+35%)
- 희석 EPS: $6.43 (+37%, 컨센서스를 1.21 달러 상회)
📊 주요 운영 지표
- 일일활성 사용자(DAP): 34.3억명 (+6%)
- 광고 노출(impressions): +5%
- 평균 광고 단가: +10%
🔸 부문별 매출
- Family of Apps(광고 중심): $419억 (+16%)
- Reality Labs(메타버스 및 AR/VR): $4.12억 (-6%)
💰 비용 및 투자
- 총 비용 및 지출: $247.6억 (+9%)
- 자본지출(CapEx): $136.9억
- 데이터센터 및 AI 인프라 중심 투자 증가 중
💵 현금 흐름
- 영업현금흐름: $240.3억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103.3억
💳 자본 환원 (주주환원)
- 자사주 매입: $134억
- 배당금 지급: $13.3억
👥 직원 수
- 76,834명 (+11%)
📌 CFO 전망 코멘트
- 2025년 2분기 예상 매출: $425억~$455억
(현재 환율 기준, 환율은 매출성장률에 약 +1% 긍정적 영향 예상)
- 2025년 연간 비용 예상: $1130억~$1180억 (기존 전망보다 하향)
- 2025년 연간 자본지출: $640억~$720억 (기존 전망보다 상향 조정; 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때문)
- 2025년 예상 세율: 12~15%
⚠️ 리스크 요인
- EU 디지털시장법(DMA) 관련 규제 이슈로 유럽의 무광고 구독모델에 제재,
- 2025년 3분기부터 유럽지역 사용자 경험 및 매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 가능성 존재.
🔹 CEO 코멘트 (Mark Zuckerberg)
- “중요한 한 해의 시작을 강하게 열었다. 커뮤니티는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AI 안경과 Meta AI는 이제 월간 활성 사용자 약 10억 명에 도달했다.”
🌐 사업 방향 및 주요 이슈
- AI 기반 기술 투자 강화 (특히 AI 데이터센터 및 Reality Labs)
- Reality Labs 지속적 손실 확대 (영업손실: $42억 vs 전년 $38억)
소결론
- Meta 가 매크로 우려와 중국 이커머스 향 광고 매출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깜짝 실적 서프라이즈를 발표
- 이번 호실적의 원인을 컨콜에서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
- 그에 더해 전체 비용 가이던스는 하향했지만 2025년 연간 CAPEX를 상향한 점이 긍정적
- 장후 시장에서 엔비디아 2%, ARM 3.6%, TSMC 2.7%, 브로드컴 2.7% 상승중
30.04.202506:20
또 사시네...


30.04.202502:02
#파미셀
- LG화학向 68억원 수주
- 화학사업부도 순항 중
- LG화학向 68억원 수주
- 화학사업부도 순항 중
29.04.202509:16
*투자구분 및 목적
- 신규시설투자 / 파주 AIDC 신규 구축
- 고객 수요 증가에 따른 AIDC 신규 구축
» AI DC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중
» 설비 관련 장비도 계속해서 수요가 늘어날듯
- 신규시설투자 / 파주 AIDC 신규 구축
- 고객 수요 증가에 따른 AIDC 신규 구축
» AI DC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나는 중
» 설비 관련 장비도 계속해서 수요가 늘어날듯
Reposted from: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cec00b3405abffe6ba3d1426a4670a4162ecf33ffa4e67b81867c10371515281%2F91b0e8ee-cb15-4fd1-9eb6-c9c180f14e8b.jpg%3Fw%3D24%26h%3D24&w=48&q=75)
01.05.202505:5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5년 4월 CCL 수출금액 잠정치 발표
- 4월 5,539.4만달러(+9.4% MoM, +72.9% YoY) 기록
- 1~3월 대비 월 수출금액 증가
* 블랙웰 공급 개시 이후 CCL 수출금액 추이
- '25년 3월 5,065.5만 달러(+27.5% MoM, +64.1% YoY)
- '25년 2월 3,972.5만달러(-2.9% MoM, +48.4% YoY)
- '25년 1월 4,091.8만달러(-16.2% MoM, +23.3% YoY)
- '24년 12월 4,882.9만달러(+26.9% MoM, +53.8% YoY)
- '24년 11월 3,849.1만달러(+11.2% MoM, +15.6% YoY)
- '24년 10월 3,460.3만달러(+15.2% MoM, -0.6% YoY)
(출처: TRASS)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2025년 4월 CCL 수출금액 잠정치 발표
- 4월 5,539.4만달러(+9.4% MoM, +72.9% YoY) 기록
- 1~3월 대비 월 수출금액 증가
* 블랙웰 공급 개시 이후 CCL 수출금액 추이
- '25년 3월 5,065.5만 달러(+27.5% MoM, +64.1% YoY)
- '25년 2월 3,972.5만달러(-2.9% MoM, +48.4% YoY)
- '25년 1월 4,091.8만달러(-16.2% MoM, +23.3% YoY)
- '24년 12월 4,882.9만달러(+26.9% MoM, +53.8% YoY)
- '24년 11월 3,849.1만달러(+11.2% MoM, +15.6% YoY)
- '24년 10월 3,460.3만달러(+15.2% MoM, -0.6% YoY)
(출처: TRASS)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30.04.202510:56
#시황생각
- 오늘은 상승 종목수 비율이 28.4%로 전체적으로 약세인 시장이였네요.
- 실적 시즌인데 작년의 실리콘투, 지엔씨에너지와 같이 너무 섹시한 실적이 나오는 종목이 아직은 안 보이는 장세입니다.
- 수급 특징주를 보면 그래도 좋은 뉴스가 나오는 한한령 관련 수혜주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입니다.
- 오늘 아모레퍼시픽은 좋은 실적을 발표했는데 기관 수급은 잡히는 모습이지만 생각보다 시세는 약한 모습입니다.
- 트레이딩하는 형님들은 살 종목이 많다고 하시는데 개인적으로는 살 종목이 잘 안 보여서 수익실현하면서 관망 중입니다.
- 오늘은 상승 종목수 비율이 28.4%로 전체적으로 약세인 시장이였네요.
- 실적 시즌인데 작년의 실리콘투, 지엔씨에너지와 같이 너무 섹시한 실적이 나오는 종목이 아직은 안 보이는 장세입니다.
- 수급 특징주를 보면 그래도 좋은 뉴스가 나오는 한한령 관련 수혜주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입니다.
- 오늘 아모레퍼시픽은 좋은 실적을 발표했는데 기관 수급은 잡히는 모습이지만 생각보다 시세는 약한 모습입니다.
- 트레이딩하는 형님들은 살 종목이 많다고 하시는데 개인적으로는 살 종목이 잘 안 보여서 수익실현하면서 관망 중입니다.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30.04.202506:20
📌 파미셀(시가총액: 6,278억)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4.30 15:16:35 (현재가 : 10,460원, 0%)
보고자 : 김현수(64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보고전 : 8.81%
보고후 : 8.82%
변동률 : 0.01%(+)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4-30/ 장내매수(+)/ 10,300주/ 보통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6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690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4.30 15:16:35 (현재가 : 10,460원, 0%)
보고자 : 김현수(64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보고전 : 8.81%
보고후 : 8.82%
변동률 : 0.01%(+)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4-30/ 장내매수(+)/ 10,300주/ 보통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6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690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30.04.202500:11
📌 삼성전자(시가총액: 329조 1,319억)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30 09:05:04 (현재가 : 55,600원, 0%)
매출액 : 791,405억(예상치 : 779,930억+/ 1%)
영업익 : 66,853억(예상치 : 51,659억/ +29%)
순이익 : 80,284억(예상치 : 56,770억+/ 41%)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791,405억/ 66,853억/ 80,284억/ +29%
2024.4Q 757,883억/ 64,927억/ 77,544억/ -25%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15%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6%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04.30 09:05:04 (현재가 : 55,600원, 0%)
매출액 : 791,405억(예상치 : 779,930억+/ 1%)
영업익 : 66,853억(예상치 : 51,659억/ +29%)
순이익 : 80,284억(예상치 : 56,770억+/ 41%)
**최근 실적 추이**
매출/영업익/순익/예상대비 OP
2025.1Q 791,405억/ 66,853억/ 80,284억/ +29%
2024.4Q 757,883억/ 64,927억/ 77,544억/ -25%
2024.3Q 790,987억/ 91,834억/ 101,009억/ -15%
2024.2Q 740,683억/ 104,439억/ 98,413억/ +26%
2024.1Q 719,156억/ 66,060억/ 67,547억/ +26%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930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29.04.202509:14
📌 LG유플러스(시가총액: 5조 2,219억)
📁 신규시설투자등
2025.04.29 17:54:46 (현재가 : 11,960원, 0%)
*투자구분 및 목적
- 신규시설투자 / 파주 AIDC 신규 구축
- 고객 수요 증가에 따른 AIDC 신규 구축
투자금액 : 6,156억
자본대비 : 7.02%
시총대비 : 11.8%
투자시작 : 2025-05-07
투자종료 : 2027-05-25
투자기간 : 2.0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93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2640
📁 신규시설투자등
2025.04.29 17:54:46 (현재가 : 11,960원, 0%)
*투자구분 및 목적
- 신규시설투자 / 파주 AIDC 신규 구축
- 고객 수요 증가에 따른 AIDC 신규 구축
투자금액 : 6,156억
자본대비 : 7.02%
시총대비 : 11.8%
투자시작 : 2025-05-07
투자종료 : 2027-05-25
투자기간 : 2.0년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80093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32640
Reposted from: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메리츠 Tech 김선우, 양승수, 김동관]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cec00b3405abffe6ba3d1426a4670a4162ecf33ffa4e67b81867c10371515281%2F91b0e8ee-cb15-4fd1-9eb6-c9c180f14e8b.jpg%3Fw%3D24%26h%3D24&w=48&q=75)
01.05.202523:55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두산(000150): ‘Superhero Landing’
- 1Q25 전자BG 매출액(4,029억원)과 영업이익(1,161억원)은 당사 추정치를 각각 14.7%, 75.2% 상회
- 기존 제품의 수익성도 개선되었지만, 북미 NV사향 수익성이 당사 예상을 크게 상회한 점이 이익률 서프라이즈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 1Q25 NV사향 매출은 약 1,600억원으로 추정되며, 동사의 기타 제품 수익성과 비교했을 때 약 50%에 육박하는 이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
- 2025년 전자BG 영업이익을 기존 추정치 대비 60.9% 상향 조정한 4,650억원(+279.1% YoY)으로 전망
- 북미 NV사 B제품의 수요는 고성능 학습 수요의 증가와 추론용 제품 등 라인업 확대의 영향으로 연중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
- 특히 최근 하반기 출시가 예상되는 NV사의 신제품에 신규 아키텍처가 아닌 기존 Bianca 보드를 탑재하기로 결정한 점은, 출시 일정의 지연 가능성을 낮춘다는 측면에서 동사에 긍정적
- 또한 현재 공급중인 Computing tray 외 Switch Tray에 대한 퀄테스트도 진행하고 있어, 신제품부터는 고객사 내 공급 비중 확대 가능성도 상존
- NV사 외 ASIC 및 800g향 제품 역시 양산 준비의 마무리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되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기여 기대
- 당사는 시장 우려와 달리 AI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AI 하드웨어 부문의 초과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현 시점에서의 AI 투자는 과잉투자보다 과소투자 리스크가 우세한 구간으로 판단
- 전자BG의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을 반영, 적정주가를 기존 440,000원에서 500,000원으로 15.9% 상향하고 커버리지 종목 내 Top-Pick 의견을 유지
https://vo.la/bYVLnj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두산(000150): ‘Superhero Landing’
- 1Q25 전자BG 매출액(4,029억원)과 영업이익(1,161억원)은 당사 추정치를 각각 14.7%, 75.2% 상회
- 기존 제품의 수익성도 개선되었지만, 북미 NV사향 수익성이 당사 예상을 크게 상회한 점이 이익률 서프라이즈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 1Q25 NV사향 매출은 약 1,600억원으로 추정되며, 동사의 기타 제품 수익성과 비교했을 때 약 50%에 육박하는 이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
- 2025년 전자BG 영업이익을 기존 추정치 대비 60.9% 상향 조정한 4,650억원(+279.1% YoY)으로 전망
- 북미 NV사 B제품의 수요는 고성능 학습 수요의 증가와 추론용 제품 등 라인업 확대의 영향으로 연중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
- 특히 최근 하반기 출시가 예상되는 NV사의 신제품에 신규 아키텍처가 아닌 기존 Bianca 보드를 탑재하기로 결정한 점은, 출시 일정의 지연 가능성을 낮춘다는 측면에서 동사에 긍정적
- 또한 현재 공급중인 Computing tray 외 Switch Tray에 대한 퀄테스트도 진행하고 있어, 신제품부터는 고객사 내 공급 비중 확대 가능성도 상존
- NV사 외 ASIC 및 800g향 제품 역시 양산 준비의 마무리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파악되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기여 기대
- 당사는 시장 우려와 달리 AI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AI 하드웨어 부문의 초과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현 시점에서의 AI 투자는 과잉투자보다 과소투자 리스크가 우세한 구간으로 판단
- 전자BG의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을 반영, 적정주가를 기존 440,000원에서 500,000원으로 15.9% 상향하고 커버리지 종목 내 Top-Pick 의견을 유지
https://vo.la/bYVLnj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Reposted from:
BK Tech Insight - 바바리안 리서치

01.05.202504:52
[ Western Digital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로 장전 10% 넘게 상승 ]
📌 Western Digital (WDC) FY3Q25 실적 발표
✅ 주요 실적 (QoQ)
- 매출: $2.29B (-5% QoQ)
- 클라우드: $2.01B (-4%)
- 클라이언트: $137M (-2%)
- 소비자: $150M (-13%)
- GAAP EPS: $2.11 (+66%)
- Non-GAAP EPS: $1.36 (+15%)
- Gross Margin (Non-GAAP): 40.1% (+1.7%p)
✅ 주요 실적 (YoY)
- 매출: +31%
- 클라우드 매출: +38% (bit 출하량 +32%)
- 소비자 매출: -4% (가격 하락 영향)
✅ 4Q 가이던스
- 매출: $2.45B ± $150M (가이던스 2.35B 상회)
- Non-GAAP EPS: $1.45 ± $0.20
- Gross Margin (Non-GAAP): 40.0~41.0%
✅ 배당 프로그램 신설
- 분기당 현금배당: 주당 $0.10 (배당일: 6월 18일)
✅ 재무현황
- 영업활동 현금흐름: $508M
- 현금보유액: $3.48B
✅ 주요 코멘트
- 데이터 수요 증가로 HDD 제품군 강세 지속 예상
- 클라우드 제품군의 견조한 가격 상승(+5%)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점 강조
✅ 기타 특이사항
- 플래시 사업부 분리(Sandisk) 완료 (2025년 2월 21일)
✅ WDC 코멘트
"Western Digital은 회계연도 3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높은 수준의 매출과 40% 이상의 총 마진을 달성하면서 좋은 성과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관세 역학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 있어 HDD의 비용 효율성과 신뢰성에 필적할 수 있는 기술은 없음"
✅ 짧은 결론
- 데이터 저장 수요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센터 발 데이터 저장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컨센서스를 5% 가량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
📌 Western Digital (WDC) FY3Q25 실적 발표
✅ 주요 실적 (QoQ)
- 매출: $2.29B (-5% QoQ)
- 클라우드: $2.01B (-4%)
- 클라이언트: $137M (-2%)
- 소비자: $150M (-13%)
- GAAP EPS: $2.11 (+66%)
- Non-GAAP EPS: $1.36 (+15%)
- Gross Margin (Non-GAAP): 40.1% (+1.7%p)
✅ 주요 실적 (YoY)
- 매출: +31%
- 클라우드 매출: +38% (bit 출하량 +32%)
- 소비자 매출: -4% (가격 하락 영향)
✅ 4Q 가이던스
- 매출: $2.45B ± $150M (가이던스 2.35B 상회)
- Non-GAAP EPS: $1.45 ± $0.20
- Gross Margin (Non-GAAP): 40.0~41.0%
✅ 배당 프로그램 신설
- 분기당 현금배당: 주당 $0.10 (배당일: 6월 18일)
✅ 재무현황
- 영업활동 현금흐름: $508M
- 현금보유액: $3.48B
✅ 주요 코멘트
- 데이터 수요 증가로 HDD 제품군 강세 지속 예상
- 클라우드 제품군의 견조한 가격 상승(+5%) 및 제품 포트폴리오 강점 강조
✅ 기타 특이사항
- 플래시 사업부 분리(Sandisk) 완료 (2025년 2월 21일)
✅ WDC 코멘트
"Western Digital은 회계연도 3분기에 가이던스 범위의 높은 수준의 매출과 40% 이상의 총 마진을 달성하면서 좋은 성과를"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변화하는 관세 역학으로 특징지어지는 세계에서도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증가"
"데이터를 대규모로 저장하는 데 있어 HDD의 비용 효율성과 신뢰성에 필적할 수 있는 기술은 없음"
✅ 짧은 결론
- 데이터 저장 수요가 매크로 이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음
- 데이터 센터 발 데이터 저장 수요가 호조를 지속하며 컨센서스를 5% 가량 상회하는 가이던스 발표


30.04.202506:56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30.04.202504:26
2025.04.30 13:26:06
기업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시가총액: 37조 7,41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4,842억(예상치 : 47,851억+/ 15%)
영업익 : 5,608억(예상치 : 5,003억/ +12%)
순이익 : 866억(예상치 : 4,000억/ -7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4,842억/ 5,608억/ 866억
2024.4Q 48,250억/ 8,997억/ 20,590억
2024.3Q 26,312억/ 4,772억/ 3,183억
2024.2Q 27,860억/ 3,588억/ 1,599억
2024.1Q 18,483억/ 374억/ 2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2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2450
기업명: 한화에어로스페이스(시가총액: 37조 7,412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4,842억(예상치 : 47,851억+/ 15%)
영업익 : 5,608억(예상치 : 5,003억/ +12%)
순이익 : 866억(예상치 : 4,000억/ -7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4,842억/ 5,608억/ 866억
2024.4Q 48,250억/ 8,997억/ 20,590억
2024.3Q 26,312억/ 4,772억/ 3,183억
2024.2Q 27,860억/ 3,588억/ 1,599억
2024.1Q 18,483억/ 374억/ 2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2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2450
Reposted from:
Buff

29.04.202523:41
아모레 1Q25P 하이라이트
- 해외 매출 +102% yoy:
미주 +79%, 중동 +219%
- 해외 영업이익 +120% yoy
영업이익률 9.4% -> 14.7%
- 해외 매출 +102% yoy:
미주 +79%, 중동 +219%
- 해외 영업이익 +120% yoy
영업이익률 9.4% -> 14.7%


29.04.202508:35
#수급분석
- 장이 매우 강한데, 매수 주체가 매수하는 섹터 및 종목이 한정적으로 정해진 것 같네요.
- 좋은 섹터 & 좋은 종목을 골라서 산다면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장이지만 반대로 소외 섹터에서 매매를 한다면 재미가 없는 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크게는 태양광, 전력기기, 엔터 섹터가 반복해서 보이는 모습이 보입니다.
- 3 섹터 모두 산업과 관련해 분위기가 좋은 뉴스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고, 실제로 실적도 잘 나오고 있어서 이번 분기 실적 플레이 주인공은 이쪽에서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 개별 주식 중에서는 외국인이 이틀연속 비에이치아이를 찍어서 매수하는 모습입니다.
- 투자신탁, 연기금에서 아모레퍼시픽을 매수하는 모습인데 내일 정규장 거래 전 실적 발표가 예상되어 있어 미리 베팅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이 외에도 정치테마주에서 거래량이 많이 터지는데 5월 실적 시즌이 어느정도 마무리되고 나면 이후에는 정치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시점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 장이 매우 강한데, 매수 주체가 매수하는 섹터 및 종목이 한정적으로 정해진 것 같네요.
- 좋은 섹터 & 좋은 종목을 골라서 산다면 단기간에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장이지만 반대로 소외 섹터에서 매매를 한다면 재미가 없는 장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크게는 태양광, 전력기기, 엔터 섹터가 반복해서 보이는 모습이 보입니다.
- 3 섹터 모두 산업과 관련해 분위기가 좋은 뉴스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고, 실제로 실적도 잘 나오고 있어서 이번 분기 실적 플레이 주인공은 이쪽에서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 개별 주식 중에서는 외국인이 이틀연속 비에이치아이를 찍어서 매수하는 모습입니다.
- 투자신탁, 연기금에서 아모레퍼시픽을 매수하는 모습인데 내일 정규장 거래 전 실적 발표가 예상되어 있어 미리 베팅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이 외에도 정치테마주에서 거래량이 많이 터지는데 5월 실적 시즌이 어느정도 마무리되고 나면 이후에는 정치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시점이 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Shown 1 - 24 of 73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