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주혁
Watch me: https://www.youtube.com/@juhyuk
Inquiries: @bjuhyuk
Inquiries: @bjuhyuk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Jan 29, 2022
Дадана ў TGlist
May 23, 2024Прыкрепленая група
Апошнія публікацыі ў групе "박주혁"
Пераслаў з:
오렌지 연합 🟧

15.04.202505:29
BitVM 비켜? : 스타크넷, ColliderVM 공개
개발은 아무튼 열심히 하는... 스타크넷이 BitVM 의 라이벌(?)이 될 수도 있는 ColliderVM 기술에 관한 논문을 출시했습니다.
💡 비트코인은 대체 왜 이렇게 개발이 어려운가?
비트코인은 상태(state) 기반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전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로직이 없고, 더더욱 쉽게 이해하자면 조건문 기반으로 뭘 짤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미 BTC를 한번 보낸 주소들은 이 주소로 다시 BTC를 못보내게 해줘!' 같은 로직을 짤 수 없는 거에요. 왜냐면 비트코인은 매 거래들이 각자 각자의 거래고, 이전 트랜잭션이 다음 트랜잭션에 영향을 미치게끔 뭔가를 구현하기가 어렵거든요!
💥 ColliderVM
비트코인이 상태 기억을 못하니까, ColliderVM은 기억력이 필요하지도 않을 만큼 트랜잭션을 엄청 분할합니다. 예를 들어 '금고에 비밀번호 4885를 입력하면 BTC를 출금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ColliderVM은
"4를 입력한다 -> 8을 입력한다 -> 8을 입력한다 -> 5를 입력한다 -> 출금을 실행한다" 처럼 트랜잭션을 엄청 잘게 쪼개고, 특정 값만이 이 로직을 통과할 수 있게 구현합니다. 즉, 정직한 사람들은 이 쪼개진 트랜잭션을 수행할 때 별 오류가 없지만, 만약에 중간에 5를 입력한다 단계에 끼어들려고 하면 그 난이도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는 형태로 보안을 구현합니다.
✍️ 개인 코멘트
사실 저는 기술은 잘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같은 사람들은 그냥 나중에 실사용이 될때 따라가도 늦지 않아요! 그냥 '스타크넷이 또 비트코인 가지고 신박한 기술을 만들어냈고, BitVM의 경쟁자가 생긴 느낌이다!' 정도만 이해하고 넘어가면 오케이입니다! BitVM이랑은 조금 특징이 달라서, 라이벌같은 느낌이 저는 드네요.
ps: 스타크넷 토큰 사는건 뭔가뭔가 애매하지만, 진짜 일은 잘하는 기분이란 말이지..
ColliderVM 논문 보기: https://eprint.iacr.org/2025/591
🍊 비트코인이 궁금하다면?
오렌지 연합 공지 / 오렌지 연합 채팅방
개발은 아무튼 열심히 하는... 스타크넷이 BitVM 의 라이벌(?)이 될 수도 있는 ColliderVM 기술에 관한 논문을 출시했습니다.
💡 비트코인은 대체 왜 이렇게 개발이 어려운가?
비트코인은 상태(state) 기반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전 상태를 추적할 수 있는 로직이 없고, 더더욱 쉽게 이해하자면 조건문 기반으로 뭘 짤 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이미 BTC를 한번 보낸 주소들은 이 주소로 다시 BTC를 못보내게 해줘!' 같은 로직을 짤 수 없는 거에요. 왜냐면 비트코인은 매 거래들이 각자 각자의 거래고, 이전 트랜잭션이 다음 트랜잭션에 영향을 미치게끔 뭔가를 구현하기가 어렵거든요!
💥 ColliderVM
비트코인이 상태 기억을 못하니까, ColliderVM은 기억력이 필요하지도 않을 만큼 트랜잭션을 엄청 분할합니다. 예를 들어 '금고에 비밀번호 4885를 입력하면 BTC를 출금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다면, ColliderVM은
"4를 입력한다 -> 8을 입력한다 -> 8을 입력한다 -> 5를 입력한다 -> 출금을 실행한다" 처럼 트랜잭션을 엄청 잘게 쪼개고, 특정 값만이 이 로직을 통과할 수 있게 구현합니다. 즉, 정직한 사람들은 이 쪼개진 트랜잭션을 수행할 때 별 오류가 없지만, 만약에 중간에 5를 입력한다 단계에 끼어들려고 하면 그 난이도가 어마어마하게 증가하는 형태로 보안을 구현합니다.
✍️ 개인 코멘트
사실 저는 기술은 잘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같은 사람들은 그냥 나중에 실사용이 될때 따라가도 늦지 않아요! 그냥 '스타크넷이 또 비트코인 가지고 신박한 기술을 만들어냈고, BitVM의 경쟁자가 생긴 느낌이다!' 정도만 이해하고 넘어가면 오케이입니다! BitVM이랑은 조금 특징이 달라서, 라이벌같은 느낌이 저는 드네요.
ps: 스타크넷 토큰 사는건 뭔가뭔가 애매하지만, 진짜 일은 잘하는 기분이란 말이지..
ColliderVM 논문 보기: https://eprint.iacr.org/2025/591
🍊 비트코인이 궁금하다면?
오렌지 연합 공지 / 오렌지 연합 채팅방


14.04.202506:54
이드서울에서 레밀리아 굿즈 가져가세요


13.04.202511:51
중국 공장주들이 아예 직접 미국인들에게 틱톡으로 홍보 중
어디서 보니까 100달러 하던 룰루레몬 레깅스를 5달러면 살 수 있다고 함
이러면 중간상인 사라지니까 오히려 수요 증가?
https://x.com/abby4thepeople/status/1911238808018014587
어디서 보니까 100달러 하던 룰루레몬 레깅스를 5달러면 살 수 있다고 함
이러면 중간상인 사라지니까 오히려 수요 증가?
https://x.com/abby4thepeople/status/1911238808018014587


12.04.202508:29
해커톤 응원을 위하여 내일 9시에 라이브를 진행합니다.
해커톤 관련해서 궁금하신 것들을 마음껏 물어보시고 그게 아니어도 솔라나 슈퍼팀이 어색하게 떠드는 걸 보고 싶다면 들어오십시오.
라이브 알림 켜놓으세요: https://youtube.com/live/mdEI8K1XD4Y
🙏
해커톤 관련해서 궁금하신 것들을 마음껏 물어보시고 그게 아니어도 솔라나 슈퍼팀이 어색하게 떠드는 걸 보고 싶다면 들어오십시오.
라이브 알림 켜놓으세요: https://youtube.com/live/mdEI8K1XD4Y
🙏
12.04.202508:00
⭐️SOLANA 생태계 최대 온라인 해커톤, Breakout이 4월 14일 시작합니다!
Breakout 해커톤은 4월 14일(4:00 AM PDT) 부터 5월 16일까지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지금 바로 등록하기 - [등록신청]
📅 기간: 4월 14일 ~ 5월 16일
🏆 7개 트랙과 Grand Prize ($50,000- pump.fun)
- AI 트랙 ($77.5K) – Replit
- Consumer Apps ($77.5K) – MagicBlock
- DeFi ($77.5K) – Wormhole
- DePIN ($77.5K) - Render Network
- Infrastructure ($77.5K) -Walrus Protocol
- Gaming ($77.5K) - Metaplex
- Stablecoins ($77.5K)– Perena
그 외, Public Goods Award($10K), 📱 Solana Mobile Award: ($25K), 🎓 University Award($10K),📚 University Dropout Program 으로는 최대 $250K 지원금과 풀타임 빌딩 기회까지. 정말 다양하고, 큰 특전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솔라나 글로벌 데뷔하는 최고의 무대가 될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Superteam Korea에서는 일주일에 한두번씩 온오프라인 세션, 멘토십, 해킹장소 등을 제공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Breakout 해커톤은 4월 14일(4:00 AM PDT) 부터 5월 16일까지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지금 바로 등록하기 - [등록신청]
📅 기간: 4월 14일 ~ 5월 16일
🏆 7개 트랙과 Grand Prize ($50,000- pump.fun)
- AI 트랙 ($77.5K) – Replit
- Consumer Apps ($77.5K) – MagicBlock
- DeFi ($77.5K) – Wormhole
- DePIN ($77.5K) - Render Network
- Infrastructure ($77.5K) -Walrus Protocol
- Gaming ($77.5K) - Metaplex
- Stablecoins ($77.5K)– Perena
그 외, Public Goods Award($10K), 📱 Solana Mobile Award: ($25K), 🎓 University Award($10K),📚 University Dropout Program 으로는 최대 $250K 지원금과 풀타임 빌딩 기회까지. 정말 다양하고, 큰 특전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솔라나 글로벌 데뷔하는 최고의 무대가 될 예정이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Superteam Korea에서는 일주일에 한두번씩 온오프라인 세션, 멘토십, 해킹장소 등을 제공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0.04.202507:26
지금 근본적으로 별로 변한 게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
1) 이런 미친 관세 전략이 나온 건 애초에 중국 때문임
2) 그런데 중국에게만 관세로 압박하지 않고 다른 국가들까지 포함시킨 이유는 중국이 다른 국가로 우회해서 수출을 하기 때문임
3) 베트남이 미국에게 0% 관세를 제안하자 피터 나바로는 정확히 이 점을 꼬집으며 제안을 거절함
4) 결국 중국->제3국->미국의 루트로 중국의 상품이 미국으로 도달하는 모든 경로에 대한 관세가 필요함
5) 그런데 이렇게 되면 수출로 먹고 사는 제3국의 경제적 피해도 만만치 않을 거라는 시나리오가 그려짐
6) 이 과정에서 인플레에 대한 불안, 미국에 대한 신용 하락, 자국 화폐 가치 부양과 같은 심리가 작용해 미국 10년채 덤핑 나옴
7) 계산된 건지는 모르겠는데, 여튼 그래서 트럼프와 내각은 중국 제외 90일 관세 유예라는 카드를 꺼낸 것
8) 이 90일 관세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국가들을 돌아다니며 “우리 시장에다가 물건 팔거면 편 골라”라고 할 거임
9) 아직 이 90일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핵심임
10) 예를 들어, 동남아에서 제일 미국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 베트남 같은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80%, 의류의 90%가 중국으로 수입해온 원자재로 만들어짐
11) 미국은 당연히 베트남과 같은 구조로 미국에게 물건을 파는 것을 막아야하기 때문에 베트남 입장에서 말도 안되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지마”와 같은 요구를 할지도 모름
12) 베트남 입장에서는 이런 요구를 단시간 내에 들어주는게 당연히 불가능함
13) 여기서 두 국가가 어떤식으로 타협을 볼지, 아니면 타협을 안 볼 것인지를 알 수 없음
14) 그런데 이렇게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에서 제일 쉽게 미국에게 물건을 팔아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긴 있음
15) 그냥 미국으로 공장을 옮겨버리는 거임
16) 현재 트럼프의 경제 어드바이저를 지내고 있는 스티븐 미란은 달러의 기축통화화가 곧 달러의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이게 곧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는데, 이게 미국에게 존재적 위기라고 이야기 함
17) 요약하자면 미국은 자국의 산업기반을 희생하면서 세계 경제 성장을 돕고 있었는데, 이러한 산업기반의 부재가 곧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모순에 봉착해있다는 거임
18) 특히나 중국은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크게 성장했고, 이걸 이용해서 더욱더 성장하려고 하고 있음
19) 이걸 지난 트럼프 임기 때도 인식하고 관세로 조지려고 했으나, 위와 같이 제3국으로 우회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배움
20) 그래서 이번에 2차전을 벌이는 건데, 이제 봐주는 거 없이 걍 다 모아놓고 패고 있는 거임
21) 여튼, 지금 시장은 “중국 제외 관세 유예”를 반영하고 있는 거 같은데, 만약에 수 틀리면 다시 원상복귀 될 수 있다고 생각함
1) 이런 미친 관세 전략이 나온 건 애초에 중국 때문임
2) 그런데 중국에게만 관세로 압박하지 않고 다른 국가들까지 포함시킨 이유는 중국이 다른 국가로 우회해서 수출을 하기 때문임
3) 베트남이 미국에게 0% 관세를 제안하자 피터 나바로는 정확히 이 점을 꼬집으며 제안을 거절함
4) 결국 중국->제3국->미국의 루트로 중국의 상품이 미국으로 도달하는 모든 경로에 대한 관세가 필요함
5) 그런데 이렇게 되면 수출로 먹고 사는 제3국의 경제적 피해도 만만치 않을 거라는 시나리오가 그려짐
6) 이 과정에서 인플레에 대한 불안, 미국에 대한 신용 하락, 자국 화폐 가치 부양과 같은 심리가 작용해 미국 10년채 덤핑 나옴
7) 계산된 건지는 모르겠는데, 여튼 그래서 트럼프와 내각은 중국 제외 90일 관세 유예라는 카드를 꺼낸 것
8) 이 90일 관세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국가들을 돌아다니며 “우리 시장에다가 물건 팔거면 편 골라”라고 할 거임
9) 아직 이 90일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핵심임
10) 예를 들어, 동남아에서 제일 미국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 베트남 같은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80%, 의류의 90%가 중국으로 수입해온 원자재로 만들어짐
11) 미국은 당연히 베트남과 같은 구조로 미국에게 물건을 파는 것을 막아야하기 때문에 베트남 입장에서 말도 안되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지마”와 같은 요구를 할지도 모름
12) 베트남 입장에서는 이런 요구를 단시간 내에 들어주는게 당연히 불가능함
13) 여기서 두 국가가 어떤식으로 타협을 볼지, 아니면 타협을 안 볼 것인지를 알 수 없음
14) 그런데 이렇게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에서 제일 쉽게 미국에게 물건을 팔아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긴 있음
15) 그냥 미국으로 공장을 옮겨버리는 거임
16) 현재 트럼프의 경제 어드바이저를 지내고 있는 스티븐 미란은 달러의 기축통화화가 곧 달러의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이게 곧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는데, 이게 미국에게 존재적 위기라고 이야기 함
17) 요약하자면 미국은 자국의 산업기반을 희생하면서 세계 경제 성장을 돕고 있었는데, 이러한 산업기반의 부재가 곧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모순에 봉착해있다는 거임
18) 특히나 중국은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크게 성장했고, 이걸 이용해서 더욱더 성장하려고 하고 있음
19) 이걸 지난 트럼프 임기 때도 인식하고 관세로 조지려고 했으나, 위와 같이 제3국으로 우회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배움
20) 그래서 이번에 2차전을 벌이는 건데, 이제 봐주는 거 없이 걍 다 모아놓고 패고 있는 거임
21) 여튼, 지금 시장은 “중국 제외 관세 유예”를 반영하고 있는 거 같은데, 만약에 수 틀리면 다시 원상복귀 될 수 있다고 생각함


10.04.202502:57
09.04.202512:41
"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은 대체 뭘까?"
자, 내가 지금까지 생각해본 이론 나갑니다:
1) 얘네 미친 사람들 아님. 전략은 있음. 우리가 흔히 아는 경제학 원칙이랑은 안 맞을 수 있는데, 무슨 수 싸움을 두고 있는 건 맞음.
2) 얘네 바보도 아님. 구성원들 보면, 뭔가 멍청해 보이는 선택을 할지언정 그 안에 나름대로 일관된 논리는 있어요. 미국 내 제조업을 키우고 싶어 하는 건 맞지만, 전부 리쇼어링할 수 있다고 믿는 건 또 아님.
3) 일부러 전략을 뿌옇게 만드는 중. 트럼프는 자기가 협상의 신이라고 생각하잖아요. 카드 다 들키는 순간 게임 끝이라 생각함. 심지어 블러핑도 일부러 하는 거임.
4) 단순한 사리사욕이 목적은 아님. 요즘은 “다 해먹으려고 하는 거 아니냐”는 시선이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일단 좀 더 복잡한 동기를 가진 걸로 보고 가봄.
5) 진짜 타겟은 중국. 중국이 지난 몇 년 동안 해온 짓들 덕분에, 오바마 시절만 해도 온건했던 애들이 지금은 완전 매파 됐음. 언론에선 “트럼프는 시진핑 좋아해” 이런 말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라는 느낌을 많이 받음.
만약 이게 맞다면, 단순히 중국만 대상으로 관세 때리는 걸로는 부족하겠지. 왜냐면 중국은 다른 나라에도 물건 잘 팔거든.
그럼 어떻게 해야 하냐?
"그냥 다 때려잡자."
모두한테 관세를 때리면, 미국이라는 소비 대국이 전 세계를 인질로 잡고 협상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음.
중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미국은 소비 의존도가 높음.
근데 미국은 먹고 살 재료가 다 있음. iPhone이랑 와인, 독일차 없으면 좀 불편하긴 하겠지만, 굶어 죽지는 않음.
반대로 다른 나라들은 미국 소비자 없으면 진짜로 골로 감.
그럼 미국이 원하는 건 뭘까?
각 나라랑 세세하게는 이것저것 협상하겠지만, 진짜 큰 그림은 이거일 수 있음: “중국이랑 우리 둘 다랑 놀 순 없어. 편 들어.”
동남아는 “너네가 다음 중국이 될 수 있어~ 우리랑 하면 더 좋을걸?” 이런 식으로 꼬시고,
유럽은 이미 중국한테 물건 잘 안 팔리는 데다가, BYD 같은 브랜드에 공포심 제대로 들었음.
중국은 뭐라고 반응할까?
지금까지는 “우리 자립 가능함~ 외국 필요 없어~” 이런 식으로 말해왔는데,
만약 세계 질서 자체가 자기네 왕따시키는 식으로 재편된다면? 뭘 할 수 있을까?
솔직히, 모르겠음.
이게 트럼프 행정부의 진짜 계획인지 확신은 없지만,
적어도 “말이 되네” 싶은 건 이 전략 하나뿐임.
요약하자면: “대충 하는 거 같지만, 사실 다 계산돼 있었던 거다 (일 수도 있다)”.
ㄹㅇ 트럼프식 카오스 전략 아니냐고.
출처
자, 내가 지금까지 생각해본 이론 나갑니다:
일단 몇 가지 가정부터 깔고 갈게요.
1) 얘네 미친 사람들 아님. 전략은 있음. 우리가 흔히 아는 경제학 원칙이랑은 안 맞을 수 있는데, 무슨 수 싸움을 두고 있는 건 맞음.
2) 얘네 바보도 아님. 구성원들 보면, 뭔가 멍청해 보이는 선택을 할지언정 그 안에 나름대로 일관된 논리는 있어요. 미국 내 제조업을 키우고 싶어 하는 건 맞지만, 전부 리쇼어링할 수 있다고 믿는 건 또 아님.
3) 일부러 전략을 뿌옇게 만드는 중. 트럼프는 자기가 협상의 신이라고 생각하잖아요. 카드 다 들키는 순간 게임 끝이라 생각함. 심지어 블러핑도 일부러 하는 거임.
4) 단순한 사리사욕이 목적은 아님. 요즘은 “다 해먹으려고 하는 거 아니냐”는 시선이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일단 좀 더 복잡한 동기를 가진 걸로 보고 가봄.
5) 진짜 타겟은 중국. 중국이 지난 몇 년 동안 해온 짓들 덕분에, 오바마 시절만 해도 온건했던 애들이 지금은 완전 매파 됐음. 언론에선 “트럼프는 시진핑 좋아해” 이런 말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라는 느낌을 많이 받음.
자, 그래서 내가 생각한 전략의 정체는…
중국을 흔들고, 최종적으로 고립시켜서 목을 자르려는 거다.
만약 이게 맞다면, 단순히 중국만 대상으로 관세 때리는 걸로는 부족하겠지. 왜냐면 중국은 다른 나라에도 물건 잘 팔거든.
그럼 어떻게 해야 하냐?
"그냥 다 때려잡자."
모두한테 관세를 때리면, 미국이라는 소비 대국이 전 세계를 인질로 잡고 협상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음.
중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미국은 소비 의존도가 높음.
근데 미국은 먹고 살 재료가 다 있음. iPhone이랑 와인, 독일차 없으면 좀 불편하긴 하겠지만, 굶어 죽지는 않음.
반대로 다른 나라들은 미국 소비자 없으면 진짜로 골로 감.
결론: 미국이 “관세 전쟁 할래? 그럼 이제 우리 아니면 중국 중 하나 골라”라고 나오면, 대부분은 미국 쪽 들 수밖에 없음.
그럼 미국이 원하는 건 뭘까?
각 나라랑 세세하게는 이것저것 협상하겠지만, 진짜 큰 그림은 이거일 수 있음: “중국이랑 우리 둘 다랑 놀 순 없어. 편 들어.”
동남아는 “너네가 다음 중국이 될 수 있어~ 우리랑 하면 더 좋을걸?” 이런 식으로 꼬시고,
유럽은 이미 중국한테 물건 잘 안 팔리는 데다가, BYD 같은 브랜드에 공포심 제대로 들었음.
중국은 뭐라고 반응할까?
지금까지는 “우리 자립 가능함~ 외국 필요 없어~” 이런 식으로 말해왔는데,
만약 세계 질서 자체가 자기네 왕따시키는 식으로 재편된다면? 뭘 할 수 있을까?
솔직히, 모르겠음.
이게 트럼프 행정부의 진짜 계획인지 확신은 없지만,
적어도 “말이 되네” 싶은 건 이 전략 하나뿐임.
요약하자면: “대충 하는 거 같지만, 사실 다 계산돼 있었던 거다 (일 수도 있다)”.
ㄹㅇ 트럼프식 카오스 전략 아니냐고.
출처
09.04.202507:15
위안화 얘기는 지금 체스판에서 중요한 포인트도 아니고, 진짜 전장이 절대 아님.
지금 돌아가는 전략적 구도는 이 일차원 체스판이 더 잘 보여주고 있음. 근데 자꾸 위안화 같은 마이너한 요소를 중심축이라 착각하고 거기에 복잡한 전략이 깔려 있다고 믿는 건 완전 오판임. 위안화가 무역에서 많이 쓰이긴 했고 그 무역이 지금 억제되고 있으니 혼란스러울 수는 있지만, 그래도 결국 여기서 위안화는 그냥 졸임.
진짜 판을 움직이는 요소들이 뭐냐면,
- 지정학적 동맹과 안보 문제
- 에너지랑 희소 자원에 대한 접근권
- 소득 불균형에 대한 불만
- 그리고 그 모든 걸 압도하는, USD 기축통화의 위상과 미국 국채 시장임.
그니까 위안화 얘기하다가 중요한 줄 착각하지 마라, 지금 판 자체가 다르다.
출처
지금 돌아가는 전략적 구도는 이 일차원 체스판이 더 잘 보여주고 있음. 근데 자꾸 위안화 같은 마이너한 요소를 중심축이라 착각하고 거기에 복잡한 전략이 깔려 있다고 믿는 건 완전 오판임. 위안화가 무역에서 많이 쓰이긴 했고 그 무역이 지금 억제되고 있으니 혼란스러울 수는 있지만, 그래도 결국 여기서 위안화는 그냥 졸임.
진짜 판을 움직이는 요소들이 뭐냐면,
- 지정학적 동맹과 안보 문제
- 에너지랑 희소 자원에 대한 접근권
- 소득 불균형에 대한 불만
- 그리고 그 모든 걸 압도하는, USD 기축통화의 위상과 미국 국채 시장임.
그니까 위안화 얘기하다가 중요한 줄 착각하지 마라, 지금 판 자체가 다르다.
출처
09.04.202507:04
09.04.202506:51
🔥Solana 생태계 최대 해커톤, Breakout by Colosseum이 시작됩니다!
브레이크아웃 해커톤은 4월 14일(4:00 AM PDT) 부터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지금 바로 해커로 sign up 하기: https://www.colosseum.org/breakout
📅 기간: 4월 14일 ~ 5월 16일
🏆 7개 트랙과 Grand Prize ($50,000- Pump.fun )
- AI 트랙 ($77.5K) – Replit
- Consumer Apps ($77.5K) – MagicBlock
- DeFi ($77.5K) – Wormhole
- DePIN ($77.5K) - Render Network
- Infrastructure ($77.5K) -Walrus Protocol
- Gaming ($77.5K) - Metaplex
- Stablecoins ($77.5K)– Perena
그 외, Public Goods Award($10K), 📱 Solana Mobile Award: ($25K), 🎓 University Award($10K),📚 University Dropout Program 으로는 최대 $250K 지원금과 풀타임 빌딩 기회까지. 정말 다양하고, 큰 특전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솔라나 글로벌 데뷔하는 최고의 무대가 될 예정이니, 많이 참여해주세요!
지금 당장 할 수있는것은 https://www.colosseum.org/breakout 웹사이트에서 해커로 sign up 하는 것입니다! 공식 해커톤은 4월 14일부터 시작됩니다.
브레이크아웃 해커톤은 4월 14일(4:00 AM PDT) 부터 한달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지금 바로 해커로 sign up 하기: https://www.colosseum.org/breakout
📅 기간: 4월 14일 ~ 5월 16일
🏆 7개 트랙과 Grand Prize ($50,000- Pump.fun )
- AI 트랙 ($77.5K) – Replit
- Consumer Apps ($77.5K) – MagicBlock
- DeFi ($77.5K) – Wormhole
- DePIN ($77.5K) - Render Network
- Infrastructure ($77.5K) -Walrus Protocol
- Gaming ($77.5K) - Metaplex
- Stablecoins ($77.5K)– Perena
그 외, Public Goods Award($10K), 📱 Solana Mobile Award: ($25K), 🎓 University Award($10K),📚 University Dropout Program 으로는 최대 $250K 지원금과 풀타임 빌딩 기회까지. 정말 다양하고, 큰 특전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솔라나 글로벌 데뷔하는 최고의 무대가 될 예정이니, 많이 참여해주세요!
지금 당장 할 수있는것은 https://www.colosseum.org/breakout 웹사이트에서 해커로 sign up 하는 것입니다! 공식 해커톤은 4월 14일부터 시작됩니다.
09.04.202504:56
스태그플레이션 대비 장기 보유 포트폴리오 요약:
✅ 추천 자산
1. 원자재 (에너지, 식료품 중심)
- 인플레이션 = 가격 상승 → 원자재 = 가격 그 자체
- 예: 원유, 천연가스, 밀, 콩 / 관련 ETF: $XLE, 농업 ETF 등
2. 금 (그리고 약간의 은)
- 인플레 헤지 + 위기 시대 안전 자산
- 예: 실물 금, 금 ETF ($GLD), 금광주 ($GDX)
3. 물가연동채 (TIPS)
- CPI에 연동돼 실질 구매력 유지
- 예: 미국 TIPS, 선진국 인플레 연동 국채
4. 가격 전가 가능한 방어주 (소비재, 의료, 유틸리티)
- 가격 올려도 계속 사는 제품들
- 예: 코카콜라, P&G, 유틸리티, 제약주
5. 실물 자산 (농지, 인프라)
- 생산성 + 인플레에 강한 현금흐름
- 예: 농지 REIT ($LAND), 인프라 ETF ($IGF)
❌ 피해야 할 자산
- 성장주 (특히 테크): 고금리 시대에 박살
- 현금: 인플레에 실질 가치 급감
- 일반 채권: 고정금리라 인플레에 녹음
- 레버리지 부동산: 금리+실물침체 더블 펀치
💼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포트폴리오 예시
- 금 20%
- 원자재 30%
- 방어주 25%
- TIPS 15%
- 실물 자산 (농지/인프라) 10%
✅ 추천 자산
1. 원자재 (에너지, 식료품 중심)
- 인플레이션 = 가격 상승 → 원자재 = 가격 그 자체
- 예: 원유, 천연가스, 밀, 콩 / 관련 ETF: $XLE, 농업 ETF 등
2. 금 (그리고 약간의 은)
- 인플레 헤지 + 위기 시대 안전 자산
- 예: 실물 금, 금 ETF ($GLD), 금광주 ($GDX)
3. 물가연동채 (TIPS)
- CPI에 연동돼 실질 구매력 유지
- 예: 미국 TIPS, 선진국 인플레 연동 국채
4. 가격 전가 가능한 방어주 (소비재, 의료, 유틸리티)
- 가격 올려도 계속 사는 제품들
- 예: 코카콜라, P&G, 유틸리티, 제약주
5. 실물 자산 (농지, 인프라)
- 생산성 + 인플레에 강한 현금흐름
- 예: 농지 REIT ($LAND), 인프라 ETF ($IGF)
❌ 피해야 할 자산
- 성장주 (특히 테크): 고금리 시대에 박살
- 현금: 인플레에 실질 가치 급감
- 일반 채권: 고정금리라 인플레에 녹음
- 레버리지 부동산: 금리+실물침체 더블 펀치
💼 스태그플레이션 대응 포트폴리오 예시
- 금 20%
- 원자재 30%
- 방어주 25%
- TIPS 15%
- 실물 자산 (농지/인프라) 10%
09.04.202504:29
중국한테 유리한 점:
1. 미국, 2025년 상반기에 부채 리롤링 해야 할 양이 어마무시함. 시장 흔들릴 수도 있음.
2. 트럼프가 너무 세게 오래 나가면 중간선거에서 역풍 맞을 위험 있음.
3. 중국은 문화적으로 고통 견디는 내성이 진짜 세계급임. “고생은 사서 한다”는 말이 진짜 현실임.
4. 희귀금속? 거의 중국이 주도권 쥐고 있음. 이거 없으면 첨단산업 반쪽 남.
미국한테 유리한 점:
1. 중국은 지금 디플레이션이랑 싸우는 중인데, 부채도 이미 산더미.
2. 무역전쟁은 수입 많이 하는 쪽(미국)이 수출 많이 하는 쪽(중국)보다 유리함. “안 사”면 끝임.
3. 미국은 제3국들한테 “야, 니네 중국한텐 관세 때리고 우리한텐 깎아줄래?” 식의 거래 가능. 진짜 다자간 딜 메타 잘 타면 쩔 수 있음.
4. CCP가 진짜로 무서워하는 건 내부 소요임. 제로코로나 막판에 봤듯이 또 터지면 게임 끝남.
5. 미국은 파나마 같은 운하 포함해서 주요 해상 운송 루트들 꽉 쥐고 있음. 이건 글로벌 상선 게임에서 핵심 스펙임.
결론적으로 봤을 때, 치킨게임은 미국이 이길 확률이 높아 보임.
근데 싱가포르 같은 애들이 중간에서 “중립” 코스프레 하면서 양쪽 불러서 회담 열어주는 게 제일 깔끔할 듯. 그래야 체면도 지키고, 먼저 손 내미는 쪽 없어도 대화 시작 가능.
출처
1. 미국, 2025년 상반기에 부채 리롤링 해야 할 양이 어마무시함. 시장 흔들릴 수도 있음.
2. 트럼프가 너무 세게 오래 나가면 중간선거에서 역풍 맞을 위험 있음.
3. 중국은 문화적으로 고통 견디는 내성이 진짜 세계급임. “고생은 사서 한다”는 말이 진짜 현실임.
4. 희귀금속? 거의 중국이 주도권 쥐고 있음. 이거 없으면 첨단산업 반쪽 남.
미국한테 유리한 점:
1. 중국은 지금 디플레이션이랑 싸우는 중인데, 부채도 이미 산더미.
2. 무역전쟁은 수입 많이 하는 쪽(미국)이 수출 많이 하는 쪽(중국)보다 유리함. “안 사”면 끝임.
3. 미국은 제3국들한테 “야, 니네 중국한텐 관세 때리고 우리한텐 깎아줄래?” 식의 거래 가능. 진짜 다자간 딜 메타 잘 타면 쩔 수 있음.
4. CCP가 진짜로 무서워하는 건 내부 소요임. 제로코로나 막판에 봤듯이 또 터지면 게임 끝남.
5. 미국은 파나마 같은 운하 포함해서 주요 해상 운송 루트들 꽉 쥐고 있음. 이건 글로벌 상선 게임에서 핵심 스펙임.
결론적으로 봤을 때, 치킨게임은 미국이 이길 확률이 높아 보임.
근데 싱가포르 같은 애들이 중간에서 “중립” 코스프레 하면서 양쪽 불러서 회담 열어주는 게 제일 깔끔할 듯. 그래야 체면도 지키고, 먼저 손 내미는 쪽 없어도 대화 시작 가능.
출처


Пераслаў з:
Uniswap Labs 공식 한국 공지 채널 🇰🇷

09.04.202503:46
유니스왑 랩스와 호엔, 구글 클라우드가 함께 준비한 디파이 이벤트에 초대드립니다🦄
👉🏻 신청 링크: https://lu.ma/0r7jmzpu
📆 일정
- 4/15-16, 15일은 디파이 빌더 이벤트, 16일은 디젠 이벤트로 진행됩니다
📍장소
- 구글 캠퍼스 서울, 삼성역 바로 앞!
🎤구성
- 종일 운영되는 코워킹 스페이스와, K 디파이를 대표하는 패널 분들이 함께하는 토크!
빌더 패널 (4/15 화)
디젠 패널 (4/16 수)
👉🏻 지금 바로 신청하기: https://lu.ma/0r7jmzpu
이벤트는 한국어로 진행됩니다
👉🏻 신청 링크: https://lu.ma/0r7jmzpu
📆 일정
- 4/15-16, 15일은 디파이 빌더 이벤트, 16일은 디젠 이벤트로 진행됩니다
📍장소
- 구글 캠퍼스 서울, 삼성역 바로 앞!
🎤구성
- 종일 운영되는 코워킹 스페이스와, K 디파이를 대표하는 패널 분들이 함께하는 토크!
빌더 패널 (4/15 화)
- Anurag Arjun, Founder of Avail
- Shukyee, CSO of Plume
- Kevin, Founder of Clober
- Glovin, Cofounder of 246 Club
- JS, Co-Founder of Eisen Finance
- Duke, Tech Researcher at Solayer
- Moderated by Heechang, DeFi Researcher at Four Pillars
디젠 패널 (4/16 수)
- Professor Jo, Founder of Undefined Labs
- Mike Mu, DeFi Korea
- Juhyuk Bak, Content Producer, Independent
- Chris Park, CSO / Head of Trading at Ignight Capital
- Moderated by Kido, Co-Founder of nonce Classic
👉🏻 지금 바로 신청하기: https://lu.ma/0r7jmzpu
이벤트는 한국어로 진행됩니다


09.04.202502:54
지금 중국은 부동산, 내수, 실업률 모두 다 좆된 상황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관세 104%에 제일 아픈 건 중국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중국 부동산부터 한번 시원하게 터져준 다음에 중국에 잠입해 있던 CIA요원들이 정부 타도 선동질 존나게 해서 전국적인 폭동으로 사회 혼란 가중시키는데 성공하면 미국 입장에선 완벽하지 않을까요.
관세 104%에 제일 아픈 건 중국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중국 부동산부터 한번 시원하게 터져준 다음에 중국에 잠입해 있던 CIA요원들이 정부 타도 선동질 존나게 해서 전국적인 폭동으로 사회 혼란 가중시키는데 성공하면 미국 입장에선 완벽하지 않을까요.
Рэкорды
11.04.202516:47
6.4KПадпісчыкаў18.11.202423:59
9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27.03.202523:59
59.1KАхоп 1 паста30.12.202407:17
6.9K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28.01.202523:59
13.33%ER27.03.202523:59
936.24%ERR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