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요가하는증권맨
마음을 다잡는 요가를 통한 성공투자를 지향합니다.
제 개인투자 잘 하려고 운영하는 채널입니다.
공부용/기록용/복기용 + 좋은 스터디원 모집
Disclaimer
- 본 채널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입니다.
제 개인투자 잘 하려고 운영하는 채널입니다.
공부용/기록용/복기용 + 좋은 스터디원 모집
Disclaimer
- 본 채널에서 업로드 되는 모든 종목은 작성자 및 작성자와 연관된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언제든 매도할 수 있습니다.
- 본 게시물에 올라온 종목 및 상품에 대한 투자 결정 시,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입니다.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Груд 18, 2024
Дадана ў TGlist
Січ 10, 2025Рэкорды
22.04.202523:59
495Падпісчыкаў07.01.202523:59
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06.04.202509:54
2KАхоп 1 паста07.04.202516:46
122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02.02.202523:59
37.50%ER06.04.202509:54
534.47%ERRПераслаў з:
도PB의 생존투자



31.03.202500:48
사진 출처: 메리츠 증권
베센트 재무장관의 대 전제가 작은 정부라는 것이 매우 부정적 요인인 듯 합니다.
베센트는 지금 경제 디톡스를 꾀하고 있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의 대 전제가 작은 정부라는 것이 매우 부정적 요인인 듯 합니다.
베센트는 지금 경제 디톡스를 꾀하고 있습니다.
09.04.202503:18
[재무제표에서 가장 중요한 FCF, 잉여현금흐름 최근 4개년 연속 흑자기업 리스트]
* 기준 : 2021~2025 (회계결산 시점에 따라 다름)
* 출처 : yahoofinance.com
(개인적으로 지금 시점에 담아보면 좋은 기업을 위주로 추림)
1. 마이크로소프트(MSFT.US)
2. 애플(AAPL.US)
3. 테슬라(TSLA.US)
4. 팔란티어(PLTR.US)
5. TSMC(TSM.US)
6. 웨이스트매니지먼트(WM.US)
7. 코스트코(COST.US)
8. 페라리(RACE.US)
9. 엔비디아(NVDA.US)
10. 시놉시스(SNPS.US)
11. 비자(V.US)
12. 이튼(ETN.US)
13. 스타벅스(SBUX.US)
14. 치폴레(CMG.US)
15. 록히드마틴(LMT.US)
16. 인튜이티브서지컬(ISRG.US)
17. 존 디어(DE.US)
18.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US)
19. 버크셔해서웨이(BRK.B)
20. 알파벳(GOOG.US)
21. 메타(META.US)
22. 캐터필러(CAT.US)
23. 에르메스(RMS.FP)
-
전체 5300개 기업 중에서 괜찮은 산업군에 있는 기업 추려보니 총 23개 나오네요. 저는 이 중에서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특히 팔란티어가 4개년 연속 FCF 흑자인 점은 저도 찾아보면서 되게 놀랐습니다.
일단 FCF가 4개년 연속 흑자라는 점은 이미 사업 잘하고 있고, 돈 잘 벌고, 현금흐름 탄탄하다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이 중에서 적당한 시기에 저점매수 잘 하셔서 이번에는 기회로 만드시길 바라겠습니다.
25.04.09. 요가하는증권맨
* 기준 : 2021~2025 (회계결산 시점에 따라 다름)
* 출처 : yahoofinance.com
(개인적으로 지금 시점에 담아보면 좋은 기업을 위주로 추림)
1. 마이크로소프트(MSFT.US)
2. 애플(AAPL.US)
3. 테슬라(TSLA.US)
4. 팔란티어(PLTR.US)
5. TSMC(TSM.US)
6. 웨이스트매니지먼트(WM.US)
7. 코스트코(COST.US)
8. 페라리(RACE.US)
9. 엔비디아(NVDA.US)
10. 시놉시스(SNPS.US)
11. 비자(V.US)
12. 이튼(ETN.US)
13. 스타벅스(SBUX.US)
14. 치폴레(CMG.US)
15. 록히드마틴(LMT.US)
16. 인튜이티브서지컬(ISRG.US)
17. 존 디어(DE.US)
18.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WD.US)
19. 버크셔해서웨이(BRK.B)
20. 알파벳(GOOG.US)
21. 메타(META.US)
22. 캐터필러(CAT.US)
23. 에르메스(RMS.FP)
-
전체 5300개 기업 중에서 괜찮은 산업군에 있는 기업 추려보니 총 23개 나오네요. 저는 이 중에서 투자를 하려고 합니다. 특히 팔란티어가 4개년 연속 FCF 흑자인 점은 저도 찾아보면서 되게 놀랐습니다.
일단 FCF가 4개년 연속 흑자라는 점은 이미 사업 잘하고 있고, 돈 잘 벌고, 현금흐름 탄탄하다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이 중에서 적당한 시기에 저점매수 잘 하셔서 이번에는 기회로 만드시길 바라겠습니다.
25.04.09. 요가하는증권맨


04.04.202503:27
게임과 엔터주가 관세 충격을 빗겨갔습니다.
25.04.04
25.04.04


31.03.202522:47
[4. 테슬라 FSD의 중국 진출과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의 중요성]
최근 중국에서 테슬라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가 처음으로 승인되었다. 이는 중국이 아직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서 미국 기업에 기술적으로 의존할 필요성을 인정한 사례다. 중국에서 출시된 “중국판 FSD”는 현지 도로 환경에 맞게 일부 최적화되어 있지만, 테슬라의 미국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초기 사용자 반응은 예상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고 평가했으며, 전문가들은 기본 기술력이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테슬라의 FSD 기술은 End-to-end 방식으로, 차량 센서 데이터를 직접 차량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가 방대해야만 가능하기에, 중국 기업들이 따라잡기 어렵다. 따라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는 미국이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적 비교우위로 평가된다.
즉, 테슬라의 End to End 기술력은 중국이 따라잡기 힘든 수준이라서 FSD가 승인이 났다고 보시면 됩니다.
25.04.01.
최근 중국에서 테슬라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가 처음으로 승인되었다. 이는 중국이 아직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서 미국 기업에 기술적으로 의존할 필요성을 인정한 사례다. 중국에서 출시된 “중국판 FSD”는 현지 도로 환경에 맞게 일부 최적화되어 있지만, 테슬라의 미국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초기 사용자 반응은 예상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고 평가했으며, 전문가들은 기본 기술력이 매우 높다고 분석했다. 테슬라의 FSD 기술은 End-to-end 방식으로, 차량 센서 데이터를 직접 차량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가 방대해야만 가능하기에, 중국 기업들이 따라잡기 어렵다. 따라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는 미국이 지켜야 할 가장 중요한 기술적 비교우위로 평가된다.
즉, 테슬라의 End to End 기술력은 중국이 따라잡기 힘든 수준이라서 FSD가 승인이 났다고 보시면 됩니다.
25.04.01.
07.04.202522:40
부동산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우리의 삶에서 의, 식, 주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입니다. 특히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부부 입장에서는 좋은 주거지에 거주하는 건 나를 위해서도, 아이를 위해서도 올바른 선택지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부동산을 투자의 관점에서 보자면
1. 과연 부동산은 기업과 같이 "유의미한 가치를 창출하는 자산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고
2. 한국은 전세계 1위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앞으로의 인구 감소는 뻔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그동안 지속되어온 부동산 불패 신화가 "공급보다 수요가 적은 상황에서 가능할까?" 입니다.
저는 위 2가지 질문에 모두 No 입니다.
부동산은 그저 좋은 입지의 땅 위에 지어진 콘크리트입니다.
그리고 인간의 삶은 유한하기 때문에 기존에 부동산을 가진 기득권이 언젠간 매도를 하게 되면 그 물량을 받아줄 젊은 수요가 많이는 없습니다.
증여를 하는 경우에도 자녀가 2명인 상황에서 강남 아파트 1채가 있으면 그걸 매도해서 나눠주지, 아파트 1채 전 재산을 1명에게 몰빵해서 주는 일은 잘 없을 겁니다.
-
의식주 관점에서 좋은 주거지를 거주하는 건 필수적이지만 투자의 관점과 같이 생각한다면 앞으로 10년 뒤,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부동산 가격은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년뒤 10년뒤 사도 늦지 않을거로 생각합니다.
25.04.08.
-
우리의 삶에서 의, 식, 주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입니다. 특히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부부 입장에서는 좋은 주거지에 거주하는 건 나를 위해서도, 아이를 위해서도 올바른 선택지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부동산을 투자의 관점에서 보자면
1. 과연 부동산은 기업과 같이 "유의미한 가치를 창출하는 자산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고
2. 한국은 전세계 1위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고 앞으로의 인구 감소는 뻔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그동안 지속되어온 부동산 불패 신화가 "공급보다 수요가 적은 상황에서 가능할까?" 입니다.
저는 위 2가지 질문에 모두 No 입니다.
부동산은 그저 좋은 입지의 땅 위에 지어진 콘크리트입니다.
그리고 인간의 삶은 유한하기 때문에 기존에 부동산을 가진 기득권이 언젠간 매도를 하게 되면 그 물량을 받아줄 젊은 수요가 많이는 없습니다.
증여를 하는 경우에도 자녀가 2명인 상황에서 강남 아파트 1채가 있으면 그걸 매도해서 나눠주지, 아파트 1채 전 재산을 1명에게 몰빵해서 주는 일은 잘 없을 겁니다.
-
의식주 관점에서 좋은 주거지를 거주하는 건 필수적이지만 투자의 관점과 같이 생각한다면 앞으로 10년 뒤,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부동산 가격은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년뒤 10년뒤 사도 늦지 않을거로 생각합니다.
25.04.08.
31.03.202522:41
23.04.202503:36
[종합상사 Deep Dive_신한투자증권(핵심요약)]
* 발간일 25.04.23.
1. 미-중 관세전쟁으로 인해 각 국가들은 "한 나라"에만 공급망을 의존하려고 하지 않고 "여러 나라"를 통해 공급받기를 원하는 상황.
2. 종합상사 세계화가 후퇴되고 공급망이 다변화되면서, 기업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원을 소싱할 수 있어서 반-세계화 시대에 수혜 가능
3.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시대에서 상사 기업은 "거래의 설계자"로 등장 가능. 왜냐하면 공급망을 여러 군데로 연결해서 조달을 해줄 수 있으니까.
한줄정리
트럼프 관세로 탈-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모든 국가들은 본인들의 제품을 공급받는 원천을 다변화시키고 싶어함. 예전까지는 싸고 좋은데에서만 공급받았다면 이제는 다양한 곳에서 포트폴리오 분산 차원에서 받고자하는 니즈가 커짐. 이러한 니즈에 따라 전 세계 인맥을 통해 다양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종합상사" 기업은 수혜를 볼 수 있음.
📍대표주식
일본 : 이토추상사, 미루베니, 미쓰이, 스미토모, 미쓰비시
한국 : 삼성물산, LX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25.04.23.
* 발간일 25.04.23.
1. 미-중 관세전쟁으로 인해 각 국가들은 "한 나라"에만 공급망을 의존하려고 하지 않고 "여러 나라"를 통해 공급받기를 원하는 상황.
2. 종합상사 세계화가 후퇴되고 공급망이 다변화되면서, 기업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원을 소싱할 수 있어서 반-세계화 시대에 수혜 가능
3.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시대에서 상사 기업은 "거래의 설계자"로 등장 가능. 왜냐하면 공급망을 여러 군데로 연결해서 조달을 해줄 수 있으니까.
한줄정리
트럼프 관세로 탈-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모든 국가들은 본인들의 제품을 공급받는 원천을 다변화시키고 싶어함. 예전까지는 싸고 좋은데에서만 공급받았다면 이제는 다양한 곳에서 포트폴리오 분산 차원에서 받고자하는 니즈가 커짐. 이러한 니즈에 따라 전 세계 인맥을 통해 다양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종합상사" 기업은 수혜를 볼 수 있음.
📍대표주식
일본 : 이토추상사, 미루베니, 미쓰이, 스미토모, 미쓰비시
한국 : 삼성물산, LX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25.04.23.


04.04.202507:52
[전기차 시장, 로보택시 시장]
중국의 전기차 침투율은 50%대, 유럽은 40%대, 미국은 10%, 한국은 5%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국가별 전기차 시장 비중도 중국이 65%로 압도적으로 큽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로보택시 상용화도 같이 진행이 되다 보니, 전기차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로보택시는 전기차 플랫폼과 호환이 되기 때문에 로보택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기차 시장의 개화는 필수불가결합니다.
즉, 전기차 시장이 계속 커지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로보택시 사업은 연계해서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25.04.04. 삼성증권
중국의 전기차 침투율은 50%대, 유럽은 40%대, 미국은 10%, 한국은 5%도 안되는 상황입니다.
국가별 전기차 시장 비중도 중국이 65%로 압도적으로 큽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로보택시 상용화도 같이 진행이 되다 보니, 전기차에 대한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로보택시는 전기차 플랫폼과 호환이 되기 때문에 로보택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기차 시장의 개화는 필수불가결합니다.
즉, 전기차 시장이 계속 커지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로보택시 사업은 연계해서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25.04.04. 삼성증권


04.04.202507:55
테슬라와 그 외 자율주행 추진 플랫폼의 데이터 연산능력 차이.
압도적으로 테슬라가 높습니다.
25.04.04. 삼성증권
압도적으로 테슬라가 높습니다.
25.04.04. 삼성증권
09.04.202505:14
미국은 관세로 미친듯이 공격하고
중국은 미국채 매도를 미친듯이 하면서 채권시장 자체를 광란으로 만들어버리네요.
과연 누가 이길까요? 치킨게임으로 가는 양상입니다. 다만 미국에서 채권금리가 이렇게 엉망이 된 상황에서 연준이 나서야할 것이고, 그거로도 시장 진정이 안된다면 트럼프가 한발 양보하지 않을까 싶네요.
트럼프는 과도한 정부 부채로 인해 달러 약세, 금리 인하가 되길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25.04.09.
중국은 미국채 매도를 미친듯이 하면서 채권시장 자체를 광란으로 만들어버리네요.
과연 누가 이길까요? 치킨게임으로 가는 양상입니다. 다만 미국에서 채권금리가 이렇게 엉망이 된 상황에서 연준이 나서야할 것이고, 그거로도 시장 진정이 안된다면 트럼프가 한발 양보하지 않을까 싶네요.
트럼프는 과도한 정부 부채로 인해 달러 약세, 금리 인하가 되길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25.04.09.
07.04.202507:21
대만의 반도체 섹터는 전 종목 하한가로 마감했습니다. 압도적인 파운드리 1위 TSMC도 2025.1월 대비 현재 25.4월 주가가 220불 수준에서 130불까지 단 3개월만에 바로 반토막이 나버렸습니다.
과도한 거 같지만, 반도체의 피바다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표종목
TSMC, NANYA, HON HAI, Mediatek, ASE
25.04.07.
과도한 거 같지만, 반도체의 피바다가 시작되었습니다.
대표종목
TSMC, NANYA, HON HAI, Mediatek, ASE
25.04.07.
07.04.202523:49
[한화자산운용 방위산업 세미나 : PLUS ETF]
1.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k-방산. 방위산업 황금기의 대 전제는 전세계적인 방위비 확대임. 2025년 k방산을 포함한 가장 큰 화두는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전세계 국방비 증대임
2. k-방산의 두가지 모멘텀, 신규 수주와 호실적. 대표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현재는 실적을 동반한 eps 상승이라는 점에서 계단식 상승이 가능하다는 전망
3. 한화에어로와 현대로템의 방산부분 해외 수출 영업이익률은 각각 30% 이상, 35% 이상을 기록함
4. 시장에서는 k-방산과 유럽-방산을 가장 많이 비교하는데, k-방산은 per 21.3배, 유럽은 30.8배 수준으로 유럽 방산이 30% 정도 비싼 수준
5. 논의 진행중인 해외 수주 파이프라인 : 특히 미국향 수출이 기대됨.
6. 신규수주 관련해서 NATO 가입국 GDP 대비 방위비 비중은 5%까지 확대할 것으로 추정. 현재 유럽 평균 3.5%임. 구체적인 무기 체계로는 방공 미사일 시스템, 포병, 미사일 및 탄약, 드론 및 안티 드론 시스템, 사이버보안 구매. 유럽의 '재무장회의'를 통한 '유럽자강론' 직접 언급하면서 방위산업에 대한 꾸준한 관심 증대
7. 글로벌 무기 수출 국가 점유율 : 1위 미국 43%, 2위 프랑스 9.6%, 3위 러시아 7.8%, 4위 중국 5.9%, 10위 한국 2.2%
=> 따라서 유럽 외 무기 수입은 사실상 미국 방산 또는 한국 방산이 현실적인 대안임. 유럽의 최대 적국은 러시아이고 중국의 경우에는 공산국가라서 무기 호환이 불가하기 때문. ==> 결국 미국 방산과 한국 방산 밖에 없음
8. 중동은 전통적인 방위산업의 큰손. 항상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하는 지역이라 장기간 무기 수입규모의 상위권에 해당됨. 세계의 화약고로 불릴 만큼 이슈가 많으며 종교/민족/문화적 요인도 깊이 관련이 있어서 단시간 내 화합은 불가능. 이스라엘을 제외하면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방산기업이 없기 때문에 해외에서 구입할 수 밖에 없음.
9. K-방산은 중동 시장을 노리는 중. 사우디나 UAE에서 노후화된 전차/장갑차/자주포 등 교체 시기가 임박해서 두 나라에서만 18조원 시장 규모임. 또한 한화에어로 K9자주포와 현대로템 K2전차는 국산화 완료해서 더이상 독일의 승인을 받지 않고 중동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이전까지는 독일산 파워팩을 사용해서 승인이 필요했었음)
10. 아시아 : 유럽이나 중동보다는 수주 규모가 적음. 다만 동남아 지역 국가들은 중국에 의한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서 무기 수입하는 경우가 많음. 대표적으로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11. 미국/캐나다/남미 : 미국이 방위산업의 본토이자 메이저리그. 미국에 수출한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레퍼런스. 현재 유력 후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LIG넥스원의 비궁.
12. 유럽 대표기업(독일의 라인메탈), 미국 대표기업(록히드마틴). 유럽은 방위산업 성장성을 띄고 있고 유럽과 중동 수출을 주력으로 함. 미국 방위산업은 가치주 기반이고 미국은 내수 위주 판매.
13. 기대하고 있는 수주 건은 현대로템의 K2, 폴란드 2차 수주건 기대중. 밸류에이션 기준으로 현대 로템이 가장 싸다. 다만,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가장 큰 대장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4. LIG넥스원은 중동 수주가 많고 유럽 수주는 없음. 중동향으로 뉴스 플로우가 중요함.
즉, 유럽도 그렇고 중동도 그렇고 미국도 그렇고 지속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에 따른 무기 수입은 계속될 가능성은 높으니 방위 산업에 주목해야하고, 앞으로는 특히나 더 방위산업의 끝판왕인 미국에 납품하는 기업에 주목해야합니다.
-
25.04.08.
1.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k-방산. 방위산업 황금기의 대 전제는 전세계적인 방위비 확대임. 2025년 k방산을 포함한 가장 큰 화두는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전세계 국방비 증대임
2. k-방산의 두가지 모멘텀, 신규 수주와 호실적. 대표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현재는 실적을 동반한 eps 상승이라는 점에서 계단식 상승이 가능하다는 전망
3. 한화에어로와 현대로템의 방산부분 해외 수출 영업이익률은 각각 30% 이상, 35% 이상을 기록함
4. 시장에서는 k-방산과 유럽-방산을 가장 많이 비교하는데, k-방산은 per 21.3배, 유럽은 30.8배 수준으로 유럽 방산이 30% 정도 비싼 수준
5. 논의 진행중인 해외 수주 파이프라인 : 특히 미국향 수출이 기대됨.
6. 신규수주 관련해서 NATO 가입국 GDP 대비 방위비 비중은 5%까지 확대할 것으로 추정. 현재 유럽 평균 3.5%임. 구체적인 무기 체계로는 방공 미사일 시스템, 포병, 미사일 및 탄약, 드론 및 안티 드론 시스템, 사이버보안 구매. 유럽의 '재무장회의'를 통한 '유럽자강론' 직접 언급하면서 방위산업에 대한 꾸준한 관심 증대
7. 글로벌 무기 수출 국가 점유율 : 1위 미국 43%, 2위 프랑스 9.6%, 3위 러시아 7.8%, 4위 중국 5.9%, 10위 한국 2.2%
=> 따라서 유럽 외 무기 수입은 사실상 미국 방산 또는 한국 방산이 현실적인 대안임. 유럽의 최대 적국은 러시아이고 중국의 경우에는 공산국가라서 무기 호환이 불가하기 때문. ==> 결국 미국 방산과 한국 방산 밖에 없음
8. 중동은 전통적인 방위산업의 큰손. 항상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하는 지역이라 장기간 무기 수입규모의 상위권에 해당됨. 세계의 화약고로 불릴 만큼 이슈가 많으며 종교/민족/문화적 요인도 깊이 관련이 있어서 단시간 내 화합은 불가능. 이스라엘을 제외하면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방산기업이 없기 때문에 해외에서 구입할 수 밖에 없음.
9. K-방산은 중동 시장을 노리는 중. 사우디나 UAE에서 노후화된 전차/장갑차/자주포 등 교체 시기가 임박해서 두 나라에서만 18조원 시장 규모임. 또한 한화에어로 K9자주포와 현대로템 K2전차는 국산화 완료해서 더이상 독일의 승인을 받지 않고 중동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이전까지는 독일산 파워팩을 사용해서 승인이 필요했었음)
10. 아시아 : 유럽이나 중동보다는 수주 규모가 적음. 다만 동남아 지역 국가들은 중국에 의한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서 무기 수입하는 경우가 많음. 대표적으로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11. 미국/캐나다/남미 : 미국이 방위산업의 본토이자 메이저리그. 미국에 수출한다는 것 자체가 굉장한 레퍼런스. 현재 유력 후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LIG넥스원의 비궁.
12. 유럽 대표기업(독일의 라인메탈), 미국 대표기업(록히드마틴). 유럽은 방위산업 성장성을 띄고 있고 유럽과 중동 수출을 주력으로 함. 미국 방위산업은 가치주 기반이고 미국은 내수 위주 판매.
13. 기대하고 있는 수주 건은 현대로템의 K2, 폴란드 2차 수주건 기대중. 밸류에이션 기준으로 현대 로템이 가장 싸다. 다만, 포트폴리오 다변화 차원에서 가장 큰 대장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4. LIG넥스원은 중동 수주가 많고 유럽 수주는 없음. 중동향으로 뉴스 플로우가 중요함.
즉, 유럽도 그렇고 중동도 그렇고 미국도 그렇고 지속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에 따른 무기 수입은 계속될 가능성은 높으니 방위 산업에 주목해야하고, 앞으로는 특히나 더 방위산업의 끝판왕인 미국에 납품하는 기업에 주목해야합니다.
-
25.04.08.
09.04.202502:35
챗gpt 4가 인간 의사의 진단 능력보다 더 상회하고 있다는 스탠포드대학의 'AI 인덱스 2025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제는 환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AI가 진단을 하고, 인간 의사가 그 내용을 판별해서 수술을 집행하는 수준으로 협업하는 그림을 그려볼 수가 있겠네요.
생명과 관련된 일이다보니, AI에만 의존할 수는 없을 거 같고 협업하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25.04.09.
생명과 관련된 일이다보니, AI에만 의존할 수는 없을 거 같고 협업하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25.04.09.
03.04.202500:20
진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주식을 장기간 보유해야합니다. 늘 모든 하락장에서는 여유를 갖고 차분히 모아갔던 사람들이 상승의 과실을 모두 취했습니다. 너무 서두르지 말고, 차분히 나아가면 됩니다.
#켄피셔
#켄피셔
07.04.202503:39
찐바닥은 보통 반대매매 다 털릴때이니, 지금 현금 있더라도 확 사지 말고 몇일 지켜본 뒤에 대응하시는게 더 싸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증권사 반대매매 + CFD 계좌 등등.
25.04.07.
25.04.07.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