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avatar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avatar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3.04.202505:39
인생 종목을 만나야한다. 깡통을 세번 차야 제대로 주식을 알수 있다.. 그런 얘기 많이들 하시는데요.

저는 인생종목 하나도 없습니다. 텐베이거는 커녕 2배 수익 전에 팔기 바쁘구요. 깡통은 세번은 커녕 한번도 찬적 없구요. 상폐 당한 경험 없구요.

그냥 꾸준하게 수익을 만들어갔어요. 가끔 유튜브 나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나가서 할 얘기도 없어요.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없어서..ㅋㅋ

나만의 스타일로 잃지않고 꾸준하게 돈버는 방법을 찾으세요. 그리고 그것을 반복하세요. 그럼 결국 부자가 됩니다.
07.04.202522:43
[4/8, 장 시작 전 생각: 절박한 시장,키움 한지영]

- 다우 -0.9%, S&P500 -0.2%, 나스닥 +0.1%
- 엔비디아 +3.6%, 테슬라 -2.5%, 애플 -3.6%, 메타 +2.3%
- 미 10년물 금리 4.2%, 달러 인덱스 103.2pt, 달러/원 1,470.9원

1.

미국 증시도 가짜뉴스에 휘둘리는 증시였네요.

장 초반 “중국 제외 국가 90일간 관세 부과 중단” 소식에 -5%에서 +4%까지 순식간에 움직였지만,

이내 가짜뉴스로 판명이 나면서 일장 춘몽의 주가 되돌림을 연출했습니다.

다행히 낙폭을 줄인 채로 마감을 했지만,

이런 찌라시성 뉴스 하나에도 미국 증시가 요동을 친 것은,

절이라도 박아야할 정도로 그만큼 시장이 관세 완화에 대한 절박함을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이었네요.

2.

여전히 시장은 트럼프로 시작해서 트럼프로 끝이 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의 대미 34% 보복관세를 9일 전에 철회하지 않으면 50%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네요.

그렇지만 중국과 대화 의지는 여전하다는 입장이며, 여타 국가들과 협상 의향이 이전보다 커져가고 있는 듯 합니다.

상호관세 시작되는 9일전까지 극적인 소식이 전해지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겠지만,

공화당 포함 정치권, 유권자들의 현 관세 정책 비난 수위 등을 고려 시, 9일 이후 분위기 호전의 재료가 등장할 가능성도 열고가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3.

어제 국내 증시는 항셍(-13.2%), 일본 닛케이(-7.8%) 등 아시아 증시와 함께 동반 폭락했고(코스피 -5.6%, 코스닥 -5.3%),

오늘은 전일 폭락에 대한 기술적, 저가매수세 유입, 미증시 낙폭 축소 등에 영향을 받아 반등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엔비디아(+3.6%), 마이크론(+5.6%)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7%)가 급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국내 장 시작 전 삼성전자의 잠정 실적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주 향방이 중요해졌네요.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4.9조원~5.1조원대로 형성됐으며, 이번 1분기 실적이 저점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존 중이긴 하나,

이들 역시 관세의 잠재적인 영향권에 있으며, 베트남 생산 스마트폰의 관세 부담 등의 불확실성에 둘러 쌓여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실적 발표 직후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단기적인 수급 변동성이 높아질 듯 합니다.

4.

한편, 코스피 후행 PBR은 0.79배로 22년 9월 러우전쟁(0.83배), 19년 8월 미중 무역분쟁(0.80배) 뿐만 아니라, 08년 10월 금융위기(0.81배)보다 낮아졌네요.

단순 과거 주가 저점(ex: 2023년 10월 31일 2,277pt, 2022년 9월 30일 2,155pt 등), 기술적 저점(ex: 월간 200월선 2,160pt)을 테스트해볼 수는 있어도, 밸류에이션 상 과매도권(or 매수 대응영역)에 진입한 것임을 시사합니다.

물론 코스피 역사상 최저 밸류에이션은 20년 3월 코로나 판데믹 시절이었지만(0.59배까지 하락), 당시의 밸류에이션을 현 시점에서 예상가능한 하단으로 상정하는 것은 과한 감이 있습니다.

코로나난 예측 불가능했던 블랙스완급 이벤트였지만, 현재는 트럼프 관세라는 알려진 악재로 주가 조정을 겪고 있다는 것이 차별점입니다.

결국, 현 시점에서는 매도 대응 보다는 기존 포지션을 보유하면서 상황 변화를 지켜보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거의 24시간 전세계 금융시장이 트럼프 하나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하네요.

그래도 오늘 날씨는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니 중간중간 따스한 햇볕과 함께 광합성도 하시면서,

컨디션, 스트레스 관리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내세요

키움 한지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567

Пераслаў з:
Rafiki Research avatar
Rafiki Research
07.04.202521:47
2025년 4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MSCI AC World 종목 2,000개 중 52주 신고가가 0개 신저가가 660개를 기록했습니다.

(2) 브로드컴 CATL이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3) 트럼프가 중국이 관세를 철회할 때까지 모든 대화를 중단한다고 말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9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67.99원 (-4.0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4/7, 가짜뉴스가 만들어낸 미국 증시의 무빙, 키움 한지영]

지금 미국 증시 무빙이 동전주, 잡주마냥 엄청난 상태네요.

아까 전에

"X에서 하셋 백악관 위원장의 말을 빌려, 트럼프가 90일간 중국 제외한 모든 국가들의 관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고려"

vs

"CNBC는 백악관 내부 정보에 의하면 90일 유예를 들은 바가 없다"

이런 혼재된 뉴스가 대전을 펼치면서 이 같은 잡주 식의 무빙을 보였고,

결국 백악관에서 90일 유예는 가짜 뉴스라고 못을 박았네요.

찌라시성 뉴스에 미국 증시 시총이 이렇게 요동을 치다니 별일 다있네요.

시장이 SNS 글 하나에 요동을 치고 있다는 것은 그정도로 센티가 무척이나 취약해 졌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대목이고,

앞으로 그게 뭐가 됐던 트럼프가 직접 등판하기 전까지는 뉴스나 SNS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안되겠네요.

이따 새벽에 트럼프 연설이 예정되어 있는데, EU의 협상 제안 등을 포함해 오늘 벌어진 주요국들의 대응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23.04.202505:36
10% 수익률이라도 꾸준히 낼수 있다면.. 씨드만 키우면 되요.. 10% 수익률이 별거 아닌거같지만.. 씨드가 10억이면 연간 1억입니다. 왠만한 직장인 연봉 이상..
Пераслаў з:
Rafiki Research avatar
Rafiki Research
디램 현물가격 상승
23.04.202506:32
한국과 미국 모두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인데요

금리인하 효과가 누적되다 보면 경기도 점차 다시 살아날 확률이 높아지고,주식시장 역시 할인률 하락으로 인해 상방에 대한 프레셔가 강해지게 됩니다.

현재 코스피의 주가 레벨은 해당 내용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매우 저렴한 구간이라고 판단 되는데요

상반기에 국장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조정을 받은 것도 이미 기존에 미국 대비 조정을 많이 받았던만큼 다운사이드가 제한적이였던 점이 큰 것 같습니다.

따라서 많이 하락한 주식 중 퀄리티 대비 주가가 저렴하여 확률적으로 유리한 배팅기회가 될 수 있는 주식들을 수량을 확대하는 기회로 적극 활용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23.04.202505:36
저도 맨날 드리는 말씀
📍유안타증권 - 이창영 애널리스트님

📝 크래프톤 - 선순환 진행중

✅ 1분기 시장 컨센 하회 전망

✅ 신년 프로모션 효과 및 지속적인 트래픽 상승(스팀 기준 최고 동시접속자수의 분기 월평균 QoQ +25%, YoY +50%)

✅ 3/28 출시한 ‘인조이’ 판매량 (70만장 가정) 포함 2,996억원 YoY +23%. 모바일 : 1월 ‘화평정영’ 론도 맵 출시 및 춘절 효과 등으로 4,346억원 YoY +9% 전망
Пераслаў з:
Rafiki Research avatar
Rafiki Research
4 -> 5
2025. 4. 7(월)
장중 DRAM 현물가격
23.04.202506:26
안녕하세요 와이즈리서치 프리덤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와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기준금리란? 📌
2.금리 결정 과정 비교 🔍
3.역사적 금리 추이 📉
4.기준금리 정책의 경제·자산 시장 영향 ✨
5.결론 및 시사점 ✍️

✅ 1. 기준금리란? 📌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결정하며, 금융 시장에서 각종 금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 2. 금리 결정 과정 비교 🔍

📌 결정 주체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 >미국 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회의 주기

🇰🇷 > 연 8회 (통상 매월 둘째 주·넷째 주 목요일)
🇺🇸 > 연 8회 정례 회의 (약 6주 간격)

📌 주요 고려 지표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인플레이션, 실업률, 경제성장 전망

✅ 3.역사적 금리 추이 비교 📉

팬데믹 초기: 코로나 충격 완화 차원에서 양국 모두 대규모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

긴축기: 2022년 중반 이후 급격한 물가 압박에 대응해 한국은 1.25→3.50%, 미국은 0.25→4.50%로 연속 인상했습니다.

완화·안정기: 한·미 모두 인플레이션 안정화 국면에 진입하며 금리 인하(또는 동결)로 전환했습니다.

✅ 4.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 금리인상 ⬆️

📍 경제

• 대출 이자 부담↑ → 가계·기업 소비·투자 위축

• 성장률 둔화·경기 냉각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억제

• 인플레 기대 안정화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하락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위축

📌 금리인하 ⬇️

📍 경제

• 대출 비용↓ → 가계·기업 소비·투자 확대

• 성장률 회복·경기 부양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견인

• 인플레 기대 상승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상승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활성화

금리인상이 소비·투자·자산 가격을 억제하며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반면, 금리인하는 자금 흐름을 촉진해 경기 회복과 인플레 상승 압력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및 시사점 ✍️

이번 글에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미국 연방기금금리의 개념, 결정 과정, 그리고 역사적 추이를 비교하며 살펴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통화정책의 출발점은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기준금리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금리 조정은 대출 비용, 소비·투자 심리, 자산 가격, 환율 등 경제 전반에 폭넓은 파급 효과를 일으킵니다.

📍 2. 금리 사이클별 투자 전략

금리 인상기 ⬆️: 지나치게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고 있는 기업, 기업의 이자 부담 증가를 고려해 유동성 리스크가 높은 기업 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

또한 금리인상에 따라 수요가 크게 둔화되는 기업 역시 투자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금리 인하기 ⬇️: 성장주·고배당주·부동산과 채권의 자산 가격 상승 매력이 부각되며, 레버리지 기회가 커집니다.

📍 3. 지속적 모니터링의 중요성

글로벌 경기 흐름, 물가 동향, 중앙은행의 스탠스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앞으로 기준금리 환경이 투자 기회와 리스크를 어떻게 바꿀지를 유의 깊게 살펴보시면서 투자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00% 수익나도 인생 크게 안 변해요
07.04.202521:58
-중국 보복관세에 대한 대응: 트럼프는 4/8까지 중국이 34% 관세 부과 조치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9일부터 50% 관세를 추가로 부여하겠다고 경고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즉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발언
Паказана 1 - 24 з 845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