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Mobile Letter from DGB금융 iM 증권 김현석-2 avatar
Mobile Letter from DGB금융 iM 증권 김현석-2
Mobile Letter from DGB금융 iM 증권 김현석-2 avatar
Mobile Letter from DGB금융 iM 증권 김현석-2
24.04.202501:49
포스코DX, 1분기 영업익 229억…전년비 35% ↓
출처 : 헤럴드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5RhmcgzT
23.04.202522:58
[iM증권 고의영 (전기전자)]
[LG이노텍(011070)/Buy/225,000원(유지)]
★ 아이폰 패닉바잉과 LG이노텍 패닉셀링

▶️아이폰 패닉바잉
- 1분기 실적은 관세 부과를 앞둔 Pull-in 수요와 긍정적 환율 덕분에 당사 추정치를 상회
-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전 iPhone을 구매하려는 패닉 바잉이 나타나고 있음
- 2분기까지 이러한 현상이 이어질 수도 있지만, 이는 오히려 하반기 수요 가시성을 떨어뜨리는 요인
- 2Q25 실적은 당사 기존 전망을 유지하되 2H25 영업이익을 -10% 하향함

▶️LG이노텍 패닉셀링
- 다만 주가는 이러한 우려를 선반영
- 현 주가는 P/B 0.6배에 불과하여 10년 평균으로부터 -2SD 조정받았음
- 12MF P/E는 6.9배로 10년 평균으로부터 28% 할인 받는 중
- 관세 전쟁 이후 섹터 내 가장 가파르게 하락한 종목인 만큼, 우려 완화 시 반등 기울기도 가파를 것
- 또한, Apple이 중국 벤더 비중 추가 확대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잠재 기회

▶️'26년을 바라보면
- '26년을 바라보면 카메라의 유의미한 업그레이드를 기대
- FC-BGA 사업 본궤도 진입, 고부가가치의 조명 및 통신 모듈 중심의 전장부품 수익성 개선 등도 주목해야하는 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보고서: https://lrl.kr/cWWPn>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고 기발간된 자료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23.04.202522:39
트럼프의 말 주워담기 속도가 빨라지는 모양새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71768?cds=news_edit
23.04.202503:44
채무보증 우회 사채·CB TRS 금지…주식 TRS·PRS는 허용
출처 : 아이뉴스24 | 네이버

https://naver.me/xhzyIxJL
23.04.202523:43
DGB금융 iM증권 김현석입니다.

20250424 Morning brief

1. 금일 증시 Comment

- 미증시는 트럼프의 對中 관세협상 가능성 제시와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 완화에 상승. S&P글로벌 미국 제조업 PMI 50.7(이전치 50.2)로 확장된 반면 서비스업지수는 51.4로 전월 대비 위축.

- 국내 증시는 한미 통상협의 시작과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대형주 기업의 실적 발표 예정된 가운데 보합의 흐름 보이며 시작할 것으로 전망.

- 폴 앳긴스 SEC위원장 취임 이후 비트코인 상승이 돋보임과 동시에 금 가격 하락 중. 이는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일정부분 회복됨을 시사하며 이는 국내 증시에도 우호적인 현상일 것.

2. 현재 중국 경제는?

-미국 고율의 대중국 상호관세 시행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대미 수출 급감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출이 아직 큰 흔들림이 없는 것은 일단 미국 이외의 지역 수출이 견조. 대표적으로 아세안지역 수출 및 미국 주변 국가로의 수출이 예상보다 견조한 것으로 추론

-그러나 고율의 사호관세율이 지속된다면 중국 수출 등 경기에 궁극적으로 큰 부담을 줄 것임>5월부터 중단될 800달러 미만의 소액 상품 수입에 대한 무관세 혜택 폐지 등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는 물론 중국 중소기업 수출 등에 치명적 영향

-신흥산업 PMI지수 급락 및 IMF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중국 GDP 성장율을 4.0%로 대폭 하향 조정하는 등 상호관세 충격에 따른 중국 경기 둔화 리스크를 경고

3. 유니드, 25년 최상의 시나리오:Q증가, P 상승,(일회성) C 축소

-고환율과 운임비 하락이라는 대외적 여건에서 중국 UHC 신규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와 중국 염화칼륨 강세로 인한 가성칼률 cost-push 효과 기대

-1Q25 Review:영업이익 287억원, 컨센대비 +28.1%>2분기 부터는 UHC 가동 효과 Full  반영되고, 중국 염화칼륨 가격 상승세 지속에 따른 가성/탄산칼륨 판가 추가 상승도 기대

-러시아/벨라루스 염화칼륨 감산의 나비효과>주요 생산국 감삼 움직임 본격화

4. [전기/전자] 아이폰 패닉바잉과 LG이노텍 패닉셀링[LG이노텍/BUY/225,000(유지)]

- 1분기 실적은 관세 부과 앞둔 Pull-im 수요와 긍정적 환율 덕에 당사 추정치 상회. 2분기 까지 이러한 현상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오히려 하반 기 수요 가시성을 떨어뜨리는 요인.

- 주가는 이러한 우려를 선반영. 다만 관세 전쟁 이후 섹터 내 가장 가파르게 하락한 종목인 만큼, 우려 완화 시 반등 기울기도 가파를 것.

- 26년을 바라보면 카메라의 유의미한 업그레이드를 기대. FC-BGA 사업 본궤도 진입, 고부가가치의 조명 및 통신 모듈 중심 전장부품 수익성 개선 등도 주목 포인트


5. [반도체] 적극매수하기에는 여전히 불확실성 상존[Intel/NR]

- TSMC 합작사 설립은 무산된 듯. 4월 초 TSMC 합작사 설립에 대한 보도 있었으나, TSMC가 해당 내용 부인. 다만 합작사 설립에도 TSMC의 성공방식이 인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 의문

- 동사 18A 공정이 리스크 생산에 돌입. Panther Lake 프로세서가 첫 제품일 듯. 18A 공정 성공 여부가 동사 향후 경쟁력에 결정적인 영향 미칠 것.

- 미국 반도체 제품 고관세 유지 시 역내 공급망 재편에 따른 수혜 예상. 다만 중국의 고관세 대응은 동사 매출에 악영향 전망(동사 매출의 약 30%가 중국에서 창출됨)


□Head line news
-뉴욕증시, 中 관세 인하 검토가 남긴 찜찜함..나스닥 2.50% 상승 마감(연합)>미국이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데 이어 대중(對中)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주가는 치솟았다. 하지만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오름폭은 상당 부분 축소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7.4조..깜짝 실적(연합)>계절적 비수기에도 고부가 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5세대 HBM3E 12단의 판매 확대 등으로 시장 기대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유통가 1분기 실적 '희비'..이마트, 롯데쇼핑, 현대백화점 웃었다(LS)>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내수업종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며 “롯데백화점 사업은 조기 대선 전후로 새 정부의 내수 부양책 기대감이 있고, 롯데마트는 경쟁사(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에 따른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

-LG이노텍, 1분기 호실적..하반기 신제품 모멘텀 기대(DS)>“관세 리스크가 상존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주문 수요에 따른 물동량 증가, 중국 패널사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기판 소재 사업부의 디스플레이 제품군 수요 증가가 실적 호조의 배경”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우려 불식시킨 실적"(신한)>“삼성바이오로직스의 내부 거래 감소와 4공장의 안정적 가동률 상승에 기반한 매출 증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어시밀러 판매 호조와 높은 환율 등으로 우호적 상황이 지속됐다”

-"넥센타이어, 미 덤핑관세 품목관세 이중고"(키움)>"회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재고자산, 매출채권이 급격히 증가하며 넥센타이어 순운전자본에 부담이 발생한 바 있고, 단기적으로는 부담 완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

-저 성장 늪에 빠진 韓경제..올해 경제 성장율 1% 하회 가능성도(파이낸셜)>내수·수출 모두 부진하며 0.2% 역성장/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불가피/IMF는 3개월 만에 성장률 반토막으로 조정/일부 IB 0% 성장률 전망...'성장률 쇼크' 현실화

□전일 매매동향(ETF제외)

[코스피외국인 순매수]
한미반도체>삼성SDI>한국전력>LG에너지솔루션>LIG넥스원
[코스피기관 순매수]
SK하이닉스>삼성전자>기아>한화오션>LG에너지솔루션

[코스닥외국인 순매수]
에코프로>HLB>에코프로비엠>삼천당제약>에이비엘바이오
[코스닥기관 순매수]
에코프로비엠>알테오젠>대주전자재료>주성엔지니어링>에스피지
23.04.202522:52
"아직도 입나요?" 잘나가던 '구찌' 추락하더니…'충격 상황'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5oETOTzO
23.04.202522:25
아ᆢ

이건 정상 아닌 듯요ᆢ

왜들 이러지ᆢㅠ

중국가서 군부대 찍고 또 전투 자산 몰래 찍다가 걸려도 계속 풀려날까요?ᆢ흠ᆢ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3281?cds=news_edit
23.04.202522:15
이렇게는 아무래도 받아들이기가ᆢㅜ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938126?cds=news_edit
23.04.202520:24
DGB 금융 iM 증권 김현석입니다.
 
뉴욕증시가 미중간 빅딜 가능성에 낙폭이 컸던 빅테크 중심으로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트럼프와 베센트 장관이 동시에 미국이 선제적이고 일방적으로 관세를 낮출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현재 관세가 지나치게 높으며 미중 정상이 마주하기 전에 현실을 반영할 것이고 양국간에 합리적인 수준에서 빅딜이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함에 따라 시장이 안도하는 모습입니다.
 
달러 지수가 반등한 가운데 탈달러 안전자산의 대표 주자인 금 가격이 비교적 가파르게 하락한 점이 눈길을 끕니다.
 
하지만, 미국에 일방적으로 유리했던 플라자합의가 초우방들과의 빅딜이었던 반면 중국은 미국의 세계 유일 초강대국 지위를 21세기 빠른 시일 내에 바꾸겠다고 공언하는 적성국?이라는 점에서 트럼프와 그 지지자들이 원하는 빅딜을 해줄 것인지 의문이며 적당한 수준에서의 합의는 사실상 미국의 패배로 비춰지며 중국에게 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걱정입니다.
 
칼을 뽑아서 써는게 무라면 연초에 빚어쳤던 극도의 혼란은 그저 트럼프의 무능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 또한 문제일 듯 합니다.
 
서해의 인공 구조물 조성이나 한국을 대하는 고압적이고 거북한 중국의 태도에 대한 제 사견이 반영된 것으로 비춰진다면 죄송합니다.
 
장 초반의 컸던 상승폭을 그대로 유지하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이틀 연속 상승으로 오늘은 숨 쉴 공간이 생길 듯 해서 다행입니다.
 
오늘은 맑고 포근한 날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점심 식사 후 산책하시며 포근한 봄날 느끼시는 하루 되시면 좋겠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5631?sid=101
 
 
 
하단의 제 채널도 많이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https://t.me/kimuda_1
 
 
23.04.202503:41
적절한 속도가 중요하죠.

치열한 경재의 장인 국제무대에서 선명성 경쟁이 중요한건 아니니까요.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61537
23.04.202523:10
한국 경제 세 분기만에 또 뒷걸음…1분기 성장률 -0.2% '충격'
출처 : 연합뉴스 | 네이버

https://naver.me/GALwn8nx
23.04.202522:50
[iM증권 박상현(경제)]

★ 현재 중국 경제는?


▶ 미국 고율의 대중국 상호관세 시행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 상호관세를 두고 미국과 중국간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고율 상호관세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아직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됨
- 고율 상호관세 시행이 중국 경제에 아직 큰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은 일단 물류 관련 통계에서 확인되고 있음
- 미국 이외 지역 수출 견조, 베트남 중국의 대미 수출 우회기지 역할 담당하고 있음이 중국 수출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원인 중에 하나로 판단


▶ 그러나 고율의 상호관세율이 지속된다면 중국 수출 등 경기에 궁극적으로 큰 부담을 줄 것임
- 미국의 상호관세 충격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현 관세 수준이 지속되고 추가 대중국 제재가 현실화될 경우 중국 수출 및 경기는 큰 악영향을 받을 공산이 높음
- 일례로 5월부터 중단될 800달러 미만의 소액 상품 수입에 대한 무관세 혜택 폐지 등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는 물론 중국 중소기업 수출 등에 치명적 영향을 줄 여지가 있음
-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2∼3주 내 대중 관세 재조정이 있을 것이라고 밝히는 등 설왕설래하고 있는 미-중간 관세협상 타결 여부가 2분기 이후 중국 경기 흐름을 크게 좌우할 수 밖에 없음

<보고서: https://lrl.kr/U4ss>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고 기발간된 자료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23.04.202522:21
[속보] 트럼프 "2∼3주 안에 對中 관세율 정할 것"…재조정 시사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5jJIdLc6
23.04.202520:25
23.04.202507:50
[iM증권 전유진(정유화학에너지)]
[유니드/Buy/TP 126,000(유지)]
★ 25년 최상의 시나리오: Q 증가, P 상승, (일회성) C 축소 (4/23)

▶️TP 12.6만원, 최선호 유지
- 25년은 Q 증가(UHC 가동), P 상승(중국 KCI 강세로 인한 cost-push), C 축소(24년 UHC/CPs 초기 가동 관련 일회성 120억원 감소) 모두 연출되는 최상의 시나리오 예상
- 중소형주 최선호, 화학 전체로도 선호도 상위

▶️1Q25 영업이익: 287억원(+124%QoQ), 컨센 대비 +28%
- 판가 상승 및 UHC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 효과. 환율상승도 수출 비중 90% 달하는 국내법인 이익에 우호적으로 기여
- UHC 가동 full 반영, 중국 KCI 강세 지속으로 판가 추가 상승 기대. 이에 2분기 380억원(+32%QoQ), 25년 연간 1,275억원(+34%YoY) 전망

▶️러시아/벨라루스 감산의 나비효과
- 연초 이후 러시아/벨라루스 KCl 감산 본격화되며 가격 전반 강세
- 특히 이들의 수입 비중 55% 달하는 중국 내수 가격 급등(YTD +25% vs 캐나다산 +10%). 칼륨계 비료 최대 수요처인 중국 내 원재료 강세는 KOH 상승 야기
- 반면, 동사는 캐나다산 100% 구매. 원가보다는 중국법인 중심으로 판가 상승 효과를 더욱 크게 누림에 따라 25년 스프레드 확대 두드러질 전망- 25년 BPS 78,871원 * PBR 1.05배 적용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보고서: https://lrl.kr/U4en>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고 기발간된 자료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23.04.202503:38
금감원, 기업은행에 “디스커버리 펀드 손해액 최대 80% 배상 책임”
출처 : 문화일보 | 네이버

https://naver.me/GZZpbUU8
23.04.202522:59
[iM증권 송명섭(반도체)]
[Intel(INTC-US)/NR]
★ 적극 매수하기에는 여전히 불확실성 상존

▶️신규 CEO 립부 탄 선임으로 체질 개선 시도
- 최근 인텔은 립부 탄을 신규 CEO로 선임
- 탄 CEO는 인텔의 외부 고객을 위한 생산 방식 변경을 핵심 과제로 지적
- 동사의 올해 성과는 18A 공정 성공에 달려 있음

▶️ TSMC 합작사 설립은 무산된 듯
- 4월 초, TSMC와 합작사 설립에 대한 보도가 있었으나 TSMC가 해당 내용을 부인
- 다만, 합작사 설립에도 TSMC의 성공방식이 인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는 의문

▶️18A 공정 성공 여부가 동사 향후 경쟁력
- 동사 18A 공정이 리스크 생산에 돌입. Panther Lake 프로세서가 첫 제품일 듯
- TSMC도 2nm 양산 개시. 향후 Apple의 iPhone 18용 A20칩 생산 예상
- 인텔 18A 공정 성공 여부가 동사 향후 경쟁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관세 영향은 다소 엇갈릴 것으로 예상
- 미국의 반도체 제품 고관세 유지 시, 역내 공급망 재편에 따른 수혜 예상
- 다만 중국의 고관세 대응은 동사 매출에 상당한 악영향 전망
- 동사 매출의 약 30%가 중국에서 창출되기 때문

▶️ 적극 매수하기에는 여전히 불확실성 상존
- 동사 12개월 트레일링 PBR은 0.83배로 지난 20년간 최저 수준으로, 밸류에이션 메리트는 충분
- 다만 동사 경쟁력, 경기 전망 측면에서 여전히 불확실성 상존
- 불확실성 해소 시점까지 보수적 접근 필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보고서: https://lrl.kr/U4su>

(당사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받고 기발간된 자료의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23.04.202522:48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23.04.202522:20
'유력 차기 교황 후보' 유흥식 "주님은 동서양 구분 없다"
출처 : 한국경제 | 네이버

https://naver.me/5CWqeu4i
23.04.202504:36
‘6일 황금연휴’ 없다…정부 “5월 2일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지 않기로”
https://v.daum.net/v/20250423133152185
23.04.202503:37
종교적인 내용을 떠나 관계 없이 콘클라베는 독특한 행사임에는 분명하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01110?cds=news_edit
Паказана 1 - 24 з 678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